•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과 방법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과 방법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6)노시훈*

목 차 1. 서론

2. 문화자원의 조사와 분류

3. 활용 사례 조사와 대상 자원의 선정 4. 대상 자원의 특성 분석 : 광주의 마한문화

5. 유사 콘텐츠화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과 콘텐츠화 방향 결정 6. 결론

<국문초록>

오늘날 문화콘텐츠를 지역 발전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이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지방자치제가 다시 시작된 1995년부터이기 때문에 짧은 역사로 인한 방법론의 부재가 그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문 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의 과정과 그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그 단계는 크게 네 개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을 조사하고 종류별로 분류 한 뒤 이들 가운데 특히 풍부하게 나타나는 자원 종류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화하기 적절한 대상 자원을 선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콘텐츠로 활용할 때 유의해야할 대상 자원의 특성을 파악하여 콘텐츠화 과정에서 이 특성이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유사 콘텐츠화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벤치마킹한 뒤 최종적으로 콘텐츠화 방향을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광주광역시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해 고찰해보

* 전남대학교

(2)

면 우선 광주의 자원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선사농경문화자원처럼 풍부하고 특색 있는 자원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것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매우 빈약하고 개발된 경우에도 5․18광주민주화운동자원과 같은 특정 소재와 영화 와 같은 콘텐츠에 치우쳐있으므로 광주의 마한문화(선사농경문화자원)와 같이 콘텐 츠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신선한 소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광주의 마한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광주신창동유적의 특성은 그 유물․유적이 우리나라 최고․최초 의 것인 데다 그 수도 많아 세부 소재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크며, 활발한 국제 교류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중국․낙랑․왜와 관련된 유물이 많아 콘텐츠의 공간적 배경을 넓혀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유사 콘텐츠화 사례인 프랑스 만화 <아스테릭 스>(1961-2013) 등을 분석해보면 선사문화자원이 여러 콘텐츠에 활용하기에 효과 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으므로 광주의 마한문화를 만화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디지 털콘텐츠와, 테마파크와 같은 오프라인 콘텐츠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지역문화자원, 문화콘텐츠, 광주광역시, 마한, 광주신창동유적

1. 서론

오늘날 문화콘텐츠산업1)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늘어남에 따라 문화콘

1) 「문화산업진흥기본법」(2015. 07. 31. 일부개정) 제2조(정의)는 ‘문화콘텐츠’를 ‘문화적 요 소가 체화된 콘텐츠’[같은 법에 따르면 ‘문화적 요소’는 ‘예술성․창의성․오락성․여가 성․대중성’을 말하며, ‘콘텐츠’는 ‘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 및 영 상 등(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한다)의 자료 또는 정보’를 뜻함]로 정의하고 있으나 ‘문화콘텐 츠산업’이라는 용어는 사용하고 있지 않다. 대신 ‘문화상품의 기획․개발․제작․생산․

유통․소비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를 하는 산업’[‘문화상품’은 문화적 요소가 ‘체화(體 化)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형․무형의 재화(문화콘텐츠, 디지털문화콘텐츠 및 멀티미디어문화콘텐츠를 포함한다)와 그 서비스 및 이들의 복합체’를 의미]으로 정의한

‘문화산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여기에 11개 부류의 세부 산업을 포함시키고 있다.

그런데 실제 사용을 보면 문화콘텐츠는 넓은 의미에서 위 정의의 다섯 가지 요소를 포함하 여 ‘문화적’이라 할 수 있는 어떤 요소가 들어간 내용물(문화상품 포함)을 뜻하기도 하고, 좁은 의미에서는 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제한된 부류의 문화상품(영화․만화․애

(3)

텐츠를 지역 발전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 도는 직접 산업을 유치하는 경우를 제회하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지역이 문화콘텐츠의 배경이 되게 하거나 그 랜드마크를 콘 텐츠에 노출시킴으로써 지역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를 높여 보다 많은 방 문객을 끌어들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소재로 직접 문 화콘텐츠를 제작하여 소비하게 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적 이미지와 명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분야에 그 긍정적 영향이 미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랜 드마크가 문화콘텐츠의 배경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콘텐츠의 소재 로 활용되는 등 두 가지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활용의 예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역으로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를 들 수 있다. 먼저 이 도시가 수많은 영화, TV프로그램의 배경으로 쓰이는 것은 단순히 로케이션 제공을 통해 경제적 수익을 올리는 것을 넘어 지역을 널리 알림으로써 전 세계로부터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TV드라마의 경우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제작비가 많이 들어 실제 촬영이 로스앤젤레스나 캐나다의 밴쿠버에서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접적 수익은 많지 않지만 이 도시가 드라마 전체의 배경으로 인식 되기 때문에 가상의 장소 설정이 샌프란시스코의 이미지를 전파한다고 할

니메이션․게임․캐릭터․음악․방송)을 의미하기도 한다. 문화콘텐츠산업을 위의 문화 산업 정의에 따라 정의해보면 ‘문화콘텐츠의 기획․개발․제작․생산․유통․소비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를 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는데, 문화콘텐츠 정의의 넓고 좁음에 따라 문화산업과 거의 같은 의미가 되기도 하고, 영화․만화․애니메이션․게임․캐릭터․음 악․방송산업으로 제한되기도 한다. 특히 좁은 의미의 문화콘텐츠산업의 예로 7개 산업을 든 것은 이 산업들이 우리나라에서 영화진흥위원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을 두어 지원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이기 때문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매해 발간하고 있는 뺷콘텐츠산업백서뺸에서 이 7개 외에도 패션문화․출판(서적)․정기간행물․광고산업을

‘콘텐츠산업’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7개 산업 외의 것을 추가한다면 그보다는 오히려 이 산업들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는 테마파크산업이 그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자의 산업들이 기능․정보 제공, 홍보 등 다른 실용적 목적을 함께 추구하는 데 반해 후자는 7개 산업처럼 순수하게 오락성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앞으로 사용하는 문화콘텐츠산업이라는 용어는 7개 산업에 테마파크산업을 더한 8개 산업을 뜻한다.

(4)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게임에서는 그림이 실제 풍경을 대신하 여 그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2015)에서 8개의 U자형 급커브가 있는 도로로 유명한 롬바드 가(Lombard Street)는 그림으로 재현되어 ‘가파르고 기복이 있는 언덕’이라는 이 도시의 이미지를 반복 재생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가 미국의 도시들 가운데 인구 수에서 13번째지만 해외관광객수에서 다섯 번째2)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 러한 문화콘텐츠에 힘입은 바가 크다.

다음으로 샌프란시스코의 문화자원이 문화콘텐츠의 소재로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것은 이 도시의 문화적 이미지와 명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34년-1963년 연방교도소(Alcatraz Federal Penitentiary) 였다가 현재는 관광지로 이용되고 있는 앨커트래즈 섬(Alcatraz Island)은 악명 높은 재소자들과 탈옥이 불가능한 지형으로 유명하여 <알카트라즈 탈 출(Escape from Alcatraz)>(1979), <더 록(The Rock)>(1996) 등 영화와 <알 카트라즈(Alcatraz)>(2012) 등 TV드라마의 소재로 자주 이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신선한 공기와 안개 등의 기후, 케이블카와 같은 독특한 교통수단, 1960 년대 미국 반체제 문화운동의 중심으로서의 샌프란시스코의 역사까지도 이 도시의 고유한 문화자원으로 활용되는 것을 이 도시를 소재로 한 대중가요 가운데 가장 유명한 두 곡인 토니 베넷(Tony Bennett)의 <내 마음을 두고 온 샌프란시스코(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1962)와 스코트 매켄 지(Scott McKenzie)의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1967)의 가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영화에서는 배경 설정과 노출의 경우 <8월의 크리스마스>(1998) 의 군산, 소재로의 활용의 경우 <국제시장>(2014)의 부산을 가장 성공적인 예로 들 수 있다. <8월의 크리스마스>는 대부분의 장면을 군산에서 로케이션

2) U. S. Department of Commerce, Overseas Visitation Estimates for U. S. States, Cities, and Census Regions : 2014 (Washington, D. C., US Department of Commerce,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2015), p.3.

(5)

하였는데, 이주봉은 이 영화를 통해 배경이 된 군산의 여러 공간들이 미개발 되고 낙후된 부정적 이미지가 아니라 푸근하고 정겨운 긍정적인 도시 공간 이미지로 자리하게 됨으로써 실제 군산의 지역문화 형성을 위한 자극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3)또한 단순히 관광객 유치에 대해서만 보더라도 영화 의 배경이 된 ‘초원사진관’ 등이 이 도시의 방문객 수를 크게 증가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부산은 군산과 함께 영화 촬영지로 가장 각광받아온 곳이지 만 그 문화자원을 중심 소재로 한 영화가 만들어진 경우는 드물었는데, <국제 시장>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피난민들이 몰려들면서 부산의 문화상징이 된 장소를 이야기의 무대이자 소재로 삼음으로써 지역문화자원 콘텐츠화의 성 공적인 사례를 만들어냈다. 물론 이 영화는 그 가족주의적 시각으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고 있으나4), 지역성의 환기가 영화의 흥행에 큰 도움을 주는 매력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제는 위와 같은 성공 사례들이 흔치 않으며, 특히 배경 설정과 노출의 차원을 넘어 지역문화자원을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많 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이다. 샌프란시스코가 미국 내에서 인구수에 있어 서나 문화콘텐츠 활용에 있어서나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도시인 뉴욕과 함께 이러한 활용에 있어 세계적으로도 대표 지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이 세계 엔터테인먼트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라는 이점을 안고 있 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군산과 부산의 성공 사례가 있으나 지역에 서 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이 지방자치제가 다 시 시작된 1995년부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역사로 인한 방법론의

3) 이주봉, 「영화에 나타난 공간이미지와 지역문화의 가능성 : ‘8월의 크리스마스’에 나타 난 군산이미지를 중심으로」, 뺷인문콘텐츠뺸 29, 인문콘텐츠학회, 2013, 103~124면.

4) 권유리야, 「명령하는 아버지 응답하는 아들; 유아적 노년의 로컬 부산: 영화 ‘국제시장’을 중심으로」, 뺷동북아문화연구뺸 45,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93~111면; 류재형, 「‘국제 시장’,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재현」, 뺷현대영화연구뺸 22,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257~286면.

(6)

부재가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경우는 각 주 정부가 주권 국가의 권한을 갖는 미국에서 지역이 오래전부터 문화자원을 지역 발전에 활용하는 데 기울여온 노력이 축적된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단순히 지역의 장소를 배경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는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의 과정과 그 방법에 대해 광주광역 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를 분석 대상으로 한 것 은 그 가능성에 비해 이 지역의 문화자원이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성공 사례도 많지 않기 때문이다.

2. 문화자원의 조사와 분류

문화자원을 지역 발전에 활용하는 데 있어 지역에 없는 자원을 새롭게 도입할 수도 있고 기존 지역자원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입 성공 사례로 들 수 있는 스페인의 빌바오(Bilbao, 인구 약 35만 명)는 중요한 철강․조선산업 도시였다가 1970-1980년대 산업의 쇠퇴로 도시가 정체되고 인구가 감소하는 위기를 겪었는데, 1997년 구겐하임미술관(Guggenheim Museum Bilbao)을 유치․개관하여 1년 동안 130만 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임으로써 단기간에 쇠락한 산업도시에서 문화예술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다.5) 기존 자원 활용 성공 사례로 들 수 있는 프랑스 루앙(Rouen, 인구 약 11만 명)은 센 강 하구 만곡 지역에 위치한 해항(海港)이자 하항(河港)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토대 로 1989년부터 범선과 군함의 축제인 아르마다축제(Armada de Rouen)를 4-5년을 주기로 개최하고 있는데, 2008년 제5회 축제에는 약 1,100만 명의

5) 이처럼 지역문화와 특별한 관련이 없는 문화콘텐츠산업을 도입하여 도시 발전을 이끈 사례로 만화도시인 프랑스의 앙굴렘(Angoulême)과 이 도시를 벤치마킹한 우리나라의 부천을 들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이 사례들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

관광객이 방문하기도 하였다.6)

지역 발전을 위해 문화자원을 외부에서 도입하는 것이 좋은가 아니면 기 존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가? 이에 대해서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전자는 지역 주민의 공감과 협력을 얻기 어려운 반면 후자는 쉽 게 공감을 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어서 동의와 협력을 얻기가 훨씬 수월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후자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성공 사례로 수없이 인용되고 있는 빌바오의 구겐하임미술관 유치 가 “민관의 정치적, 경제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이기에 상대적으 로 문화예술에 대한 고려는 미약하다 할 수 있으며 지역문화의 활성화와 지역공동체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여 부분은 아직도 회의적인 부분으로 남아있다.”7)는 비판을 받고 있는 데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할 일은 조사를 통해 차별화된 지역문화자원의 유무를 판단하여 외부 자원을 도입할지 아니면 기존 자원을 활용할지를 선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의 과정에 있어 어려움은 판단의 근거가 될 지역문화자원 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 많지 않아서 차별화된 지역문화 자원의 유무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문화자원’은 ‘아직 가치가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잠재적인 문화유산 내지 문화재’8)로서 그 미래적 가

6) 노시훈, 「루앙 아르마다 축제의 사례 분석을 통한 여수 거북선축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뺷프랑스학연구뺸 44, 프랑스학회, 2008, 161~184면.

7) 이은해, 「유럽의 전통산업도시에서 문화․예술도시로의 변모: 빌바오(Bilbao)에서의 ‘구 겐하임효과(Guggenheim Effect)’에 대한 비판적 고찰」, 뺷EU연구뺸 25,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2009, 136면.

8) ‘문화재’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한 문화유산’이며 ‘현재 시점에서 대상물 이 (…) 희소성과 보존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좁은 의미의 자산’이다, 이에 비해

‘문화유산’은 ‘문화재의 외연을 둘러싼 민족자산’이며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온 유무형의 자산으로서 보호․관리되거나 계승․발전시켜야 할 잠재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자면 개념의 크기는 문화자원, 문화유산, 문화재의 순으로 크다고 할 수 있 다. 문화재청, 뺷문화재 활용 가이드 북뺸, 문화재청, 2007, 15면.

(8)

치로 판단하기 때문에 이에 포함되는 항목이 문화유산이나 문화재보다 방 대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문화 관련 조사는 문화재 조사로 그치는 경우가 많고 문화자원으로까지 확대된 조사도 분산되어 있 어 그 전체적 규모를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가 이를 잘 보여주는데, 각종 조사에서 광주의 문화자원은 문화재로 제한되 어 제시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다음 <표 1>9)은 광주광역시가 제시하고 있는 2012-2014년 문화재 현황이다.

<표 1> 광주광역시 문화재 현황(2012-2014)

구분 총계

국가지정

소계 국보 보물 사적 및

명승

천연 기념물

중요민속 자료

중요무형 문화재

144 17 1 7 3 2 3 1

동구 26 6 5 1

서구 11

남구 36 2 1 1

북구 45 8 1 1 2 1 3

광산구 26 1 1

구분 총계

시지정 등록

소계 유형 문화재

문화재 기념물 민속

문화재 무형 문화재

문화재 자료

144 114 29 24 7 24 30 13

동구 26 15 6 3 2 4 5

서구 11 11 4 1 2 4

남구 36 31 7 6 3 9 6 3

북구 45 33 9 7 3 9 5 4

광산구 26 24 3 7 1 2 11 1

9) 광주광역시 통계연보, http://stat.kosis.kr/statHtml_host/statHtml.do?orgId=205& tblId=

DT_20503_M001023&dbUser=NSI_IN_205. 현재 ‘국가지정 문화재’ 가운데 ‘중요민속자 료’는 ‘중요민속문화재’로, ‘중요무형문화재’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이름이 바뀌었다.

(9)

그러나 문화콘텐츠화에 있어 위와 같이 좁은 의미의 자산인 문화재만을 대상으로 할 경우 소재가 매우 제한되어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가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나 향후 지역의 중요한 문화자원으로 평가될 수 있는 자원으로까지 조사를 반 드시 확대하여야 한다. 그러나 광주의 문화자원 규모를 알게 해주는 최근 자료가 없어서 그것을 대략이나마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에서 2004년에 발표한 뺷문화관광 자원을 활용한 자립형 지역개발 방안 초 안뺸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이 자료에는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별 문화자원, 자연 및 생태환경자원, 관광장소 및 시설자원의 수가 조사되어있 어 서로 비교가 가능하다.10)

<표 2> 전국 지역별 문화․관광자원 분포 현황

자원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인물 386 141 88 94 53 116 15 949 251

축제ㆍ의식 90 105 24 26 11 45 17 198 195

민속ㆍ풍속 196 125 88 79 77 74 57 481 808

마을 14 2 0 1 0 0 0 1 2

유적지ㆍ사적지 213 61 57 84 28 21 33 378 194 건축 412 247 222 173 103 131 61 692 398

조각 77 32 56 31 18 21 18 236 169

회화ㆍ서예 39 13 10 30 5 5 1 36 21

서적ㆍ활자ㆍ기기 55 11 9 7 12 21 2 43 27

공예ㆍ자기 62 8 5 9 5 6 4 28 12

소계 1,544 745 559 534 312 440 208 3,042 2,077 자연

생태 환경

동ㆍ식물 16 9 5 7 2 0 1 39 53

보호구역 4 3 0 0 0 0 2 1 6

산악 및 평지 자원 173 100 37 39 17 11 43 367 279 수변 및 해양 자원 26 52 15 56 11 9 12 188 128

10)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뺷문화관광 자원을 활용한 자립형 지역개발 방안 초안뺸, 국가균형 발전위원회, 2004, 13면.

(10)

경승지 14 18 3 8 1 3 1 20 39 소계 233 182 60 110 31 23 59 615 505

관광 장소 시설

관광지구 3 4 0 4 0 1 0 16 44

공원 63 22 15 10 8 13 3 57 26

전시관람시설 316 131 49 63 50 80 16 253 129

체육시설 125 36 28 55 10 22 17 397 173

숙박식음시설 497 242 54 97 106 38 35 597 317 쇼핑시설 138 122 51 42 32 31 12 165 105

교통시설 115 73 31 28 6 12 21 161 123

유원ㆍ휴양ㆍ

수련시설 34 46 26 67 13 17 14 175 287

부대시설 83 44 18 19 11 13 7 56 26

소계 1,374 720 272 385 236 227 125 1,877 1,230 총계 3,151 1647 891 1029 579 690 392 5,534 3,812

자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인물 499 392 176 471 574 446 30 4,681 축제ㆍ의식 82 228 85 325 136 205 58 1,830 민속ㆍ풍속 472 792 155 648 703 1,292 74 6,121

마을 0 1 0 1 13 6 0 41

유적지ㆍ사적지 240 327 146 1,446 365 453 280 4,326 건축 757 681 480 1,118 1,767 1,214 95 8,551 조각 202 244 133 391 398 208 44 2,278

회화ㆍ서예 20 21 17 85 54 26 0 383

서적ㆍ활자ㆍ기기 3 46 27 160 94 102 3 622

공예ㆍ자기 3 24 24 25 42 25 5 287

소계 2,278 2,756 1,243 4,670 4,146 3,977 589 29,120

자연 생태 환경

동ㆍ식물 20 25 40 79 58 79 55 488

보호구역 0 2 0 5 1 4 7 35

산악 및 평지 자원 169 152 111 223 221 275 137 2,354 수변 및 해양 자원 66 80 74 234 179 131 41 1,302

경승지 21 52 52 74 21 28 20 375

소계 276 311 277 615 480 517 260 4,554

관광지구 23 26 19 22 35 24 21 242

공원 18 9 34 30 33 61 14 416

(11)

관광 장소 시설

전시관람시설 89 115 108 137 148 149 48 1,881 체육시설 87 111 50 106 119 134 76 1,546 숙박식음시설 117 184 111 334 414 199 70 3,412 쇼핑시설 87 70 116 143 236 188 30 1,568 교통시설 57 58 61 104 154 103 24 1,131 유원ㆍ휴양ㆍ

수련시설 89 132 103 199 178 169 74 1,623

부대시설 19 21 25 42 40 28 7 459

소계 586 726 627 1,117 1,357 1,055 364 12,278

총계 23 26 19 22 35 24 21 242

위 통계에 따르면 인접한 전남의 문화자원은 4,670개로 1위, 자연 및 생 태환경자원은 615개로 1위, 관광장소 및 시설자원은 1,117개로 5위를 차지 한 반면, 광주의 문화자원은 312개로 15위, 자연 및 생태환경자원은 31개로 15위, 관광장소 및 시설자원은 236개로 14위를 차지하였다. 위의 자료가 작 성된 뒤 시간이 많이 지났고 구체적인 자원명과 내용을 제시하지 않고 있 으며 어떤 기준에 따라 자원을 조사하였는가를 밝히고 있지 않아서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없으나 이를 수용할만한 자료로 받 아들인다면 광주의 문화자원(자연 및 생태환경자원과 관광장소 및 시설자 원 일부 포함)에 대해 두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하나는 우리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것처럼 문화재보다 훨씬 많은 수의 문화자원이 있다는 것 이며, 다른 하나는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할 때 마지막에서 두세 번 째 순위를 차지할 정도로 그 수가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통 계를 근거로 광주에 문화콘텐츠화할 수 있는 자원이 다른 지역에 비해 부 족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결국 이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광주의 문화자 원에 포함될 수 있는 것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그런데 현재까지 광주의 문화자원에 대한 총 조사가 이루어진 바가 없기 때문에 지방자치단 체는 지역문화자원의 원활한 문화콘텐츠화를 위해 본격적인 조사를 서두 를 필요가 있다. 창작자의 입장에서는 그러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12)

산재한 관련 자료를 종합하여 광주의 문화자원을 파악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광주 문화자원 관련 자료 가운데 종합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뺷광주의 문화유적뺸(광주직할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90) 과 뺷문화유적분포지도: 광주광역시뺸(전남대학교박물관․광주광역시, 2004) 는 <표 2>의 통계에서 제시한 광주 문화․관광자원의 수보다 많은 문화유적 (1,072개, 797개)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조사 대상이 문화유적이기 때문에 문화자원으로 분류될 수 있는 많은 항목이 제외 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문화유적은 ‘국보, 보물, 사적 등 국가지정문화재 및 지방지정문화재’, ‘매장문화재를 포함한 비지정 유형문화재’, ‘부동산 성격 을 갖는 천연기념물, 민속자료 등’ 거의 대부분 ‘부동산 문화재’11)이기 때문에 무형의 자원에 대해서는 다른 자료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뺷광주 :유구한 문화의 도시뺸(국립광주박물관, 2008)는 무형의 것까지 포함하여 광 주의 문화유산을 시대별․분야별로 설명하고 있어서 유산과 지역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지만 역시 유물과 유적 중심이이서 위의 자료들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뺷(광주광역시 북구) 문화자원총람뺸(광주광역시 북구, 2014)과 ‘무등산웹생태박물관 아카이브’(무등산웹생태박물관)는 문화 자원 전체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각각 광주광역시 북구와

‘무등산문화권’12)이라는 특정 지역으로 범위를 제한하고 있어서 역시 다른 자료들을 함께 참고하여야 한다. 반대로 뺷민족 문화의 꽃을 피우다: 호남 100대 문화원형 콘텐츠 기획 총람뺸(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단, 2007)과 같은 자료는 광주광역시를 포함한 보다 넓은 지역의 문화자원을 조사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광주 자원이 인접 지역의 자원과 어떻게 맥락이 닿아있는지를 알게 해주지만 적은 수의 대표 자원만이 제시된 것이 아쉬운 점이다.13)지금

11) 전남대학교박물관․광주광역시, 뺷문화유적분포지도: 광주광역시뺸(전남대학교 박물관, 2004), 12면.

12) 무등산문화권의 문화자원에 대한 다른 유용한 자료로는 뺷무등산: 문화유적조사뺸(광주 직할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88)와 뺷무등산뺸(박선홍, 2008)이 있다.

(13)

까지 언급한 자료들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종합적 자료들인데, 이를 통해 광주 문화자원의 종류를 파악한 뒤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뺷광주 의 전설뺸(광주직할시․고산연구회, 1990)과 같이 분야별로 자원을 조사․수 록한 자료를 참조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문화자원을 조사한 뒤에는 자원을 종류별로 분류 하고 이들 가운데 특히 풍부하게 나타나는 자원 종류가 있는지를 살펴보아 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광주의 전통문화자원 가운데는 특히 다음의 자원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14)

-선사농경문화자원 : BC 1세기경 동양 최대 복합 농경유적지로 역사적 고도 를 입증(신창동 유적지)

-불교문화자원 :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지는 문화유산으로 현존사 찰과 다수의 폐사지(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여래좌상, 광주서5층 석탑, 광주동5층석탑)

-유교문화자원 : 조선시대 호남사림의 선비문화중심지(광주향교, 포충사 등) -생활문화자원 : 고려말 청자, 조선전기 최고의 분청사기, 백자 도요지 분포(충

효동 도요지)

-시가문화자원 : 지역사림들의 학문과 문학의 산실이었던 광주호와 인접한 정 자와 누정분포(소쇄원, 석계정 등)

-민족운동유산자원 : 임란의병에서 동학혁명, 구한말의병, 광주학생운동까지 이어지는 항쟁의 역사(김덕령장군 의복, 너릿재, 안중근의사 유묵, 광주일 고, 전남여고 등)

13) 뺷민족 문화의 꽃을 피우다: 호남 100대 문화원형 콘텐츠 기획 총람뺸에 제시된 100개의 문화자원 가운데 광주와 관련된 것으로는 영산강, 무등산(자연), 옹관묘(유형문화), 견 훤, 기대승, 임방울(인물), 광주학생독립운동, 5․18광주민주화운동(사건), 칠석동 고싸 움(민속), 양림동 기독교 유적지(문학과 예술), 백제의 노래, 한정식, 호남정맥, 정자와 가사문학, 솟대와 장승, 농악, 호남의병, 판소리(종합) 등이 있다.

14) 광주광역시, 뺷광주문화수도 육성을 위한 문화환경연구뺸, 광주광역시, 2004, 34면.

(14)

위 자원들 가운데 첫 번째를 제외하고 불교․유교․생활․시가문화자원 과 민족운동유산자원은 무등산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어서 광주의 문화 자원에 있어 무등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문화자원에 양림동 기독교 유적지를 중심으로 한 종교문화자원, 전 방․일신방직을 중심으로 한 산업문화자원, 5․18광주민주화운동 관련 역 사문화자원(구 전남도청 등) 등 근․현대문화자원이 더하여져 광주의 다채 로운 문화자원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견상 광주 문화자원 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어보지이만 그 종류가 다양하고, 전통문화자원만 을 언급하더라도 선사농경문화자원이나 시가문화자원과 같이 수에 있어서 도 풍부하고 특색 있는 자원들이 있기 때문에 광주광역시의 경우는 외부 자원의 도입보다는 기존 자원의 활용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3. 활용 사례 조사와 대상 자원의 선정

전영옥은 문화자원 개발의 유형별 사례를 분류하면서 ‘기존에 형성된 문 화적 이미지의 강화’의 사례로 김해와 영국의 에든버러(Edinburgh)를, ‘부 정적 이미지 개선을 위한 문화콘텐츠의 도입’의 사례로 부천과 독일의 에센 (Essen)을, 그리고 ‘무색․무취 지역의 문화적 이미지 창출’의 사례로 광주 와 스페인의 빌바오를 들고 있다. 그리고 광주에 대해 “다른 지역과 차별화 되는 지역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못하였으나 문화예술의 메카가 되기 위 한 정책 수립”하여 “1995년 시작된 광주 비엔날레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분 야에서 도약을 시작”15)하였다고 언급하고 있다. 앞에서 볼 수 있었던 바와 같이 광주가 빌바오와 달리 풍부한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이처럼 무색․무취 지역으로서 한 부류로 묶인 것은 자원의 활용에 문

15) 전영옥, 뺷문화자원 개발과 지역활성화 전략뺸, 삼성경제연구소, 2004, ⅲ~ⅳ면.

(15)

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지역문화자원의 활용 사례 조사는 자원이 제대로 활용되었는지를 알게 해주고 향후 어떤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시사 점을 제공한다. 광주 문화자원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 현황을 살펴보 면 이러한 활용이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매우 빈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 루어지는 경우와 이러한 지원 없이 산업 분야의 기획으로만 이루어지는 경 우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광주의 경우는 어느 쪽이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 하고 있다.

광주광역시가 지원한 콘텐츠 제작 현황을 살펴보면 이 지방자치단체가 여러 사업을 통해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을 활성화하려 는 노력을 꾸준히 지속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주정보문화산업 진흥원이 2005-2012년에 벌인 ‘문화콘텐츠 특성화브랜드 상품 발굴 지원 사업’은 그 대표적 예로서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문화산업의 원천으로 발 굴하고 특성화 상품으로 개발하여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고 ‘특성화 상품 개발을 통해 지역의 문화자원과 상품을 널리 알림 으로 문화․관광산업 육성 및 문화산업 발전에 기여’16)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지역자원을 기본 소재로 하여 제작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다. 이 사 업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는 아래의 <표 3>17)과 같다.

16) 한국콘텐츠진흥원, 뺷2012 콘텐츠산업 지원 가이드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42면.

17)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뺷2013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백서뺸(문화체 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2014), 155~156면, 170~171면.

(16)

<표 3> 문화콘텐츠 특성화브랜드 상품 발굴 지원 사업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

연도 개발 콘텐츠 연도 개발 콘텐츠

2005 무타쥬스(애니메이션), 샤인시티 로봇형제 (애니메이션), 파호장군전(모바일 게임) 2009

오메아짐(브랜드전략개발 부문), 아트주 (브랜드전략개발 부문), 샤인시티(대표문 화상품개발 부문, 플래쉬 애니메이션) 2006 순지(독립영화), 그날 이후(3D 애니메이

션), 빛고을 투어(보드형 미니게임) 2010 오메아짐(책, 어플리케이션), 아트주(전시)

2007

호남이 준 선물(다큐멘터리), 스토리 남 도(다큐멘터리), 남도의 멋, 세계의 꿈(다 큐멘터리)

2011

뮤지컬 화려한 휴가(뮤지컬), 넌버벌 퍼 포먼스 MASK(무언극), 무등산 주상절리 대(다큐멘터리)

2008

작곡가 정추(다큐멘터리), 남도에서 자랑 마라(다큐멘터리), 민족시인 용아 박용철 (다큐멘터리)

2012

슬로푸드, 슬로라이프, 남도의 맛과 멋(다 큐멘터리), 유서석록(다큐멘터리), 외국 인과 어린이를 위한 광주 김치 명인의 한 류 레시피 브랜드 사업(다큐멘터리)

또한 광주광역시 주도의 사업은 아니지만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한 국콘텐츠진흥원의 ‘지역스토리랩 운영 지원 사업’과 ‘지역특화콘텐츠개발 지 원 사업’ 등을 통해 이야기와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 역시 지역문화자원의 활용을 위한 노력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2015년 후자의 사업에 선정된 애니메이션 ‘이야기배달부 동개비’와 게임 ‘빛고을 영웅전’은 각각 광주 양림동의 400년 된 충견설화와 김덕령 장군을 비롯한 광주의 유명 위인들을 소재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개발된 콘텐츠 가운데 소재에 관계없이 지역에서 제작한 것들과 인접한 전남의 문화자원을 소재로 제작한 것들도 포함되어 있어 실제 광주 문화자원 활용 콘텐츠의 수는 집계보다 많지 않다. 또한 개발 지원이 대부분 1년을 단위로 한 단발성으 로 그치고 한정된 소재(5․18광주민주화운동, 음식, 무등산 등)가 반복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성공적인 문화콘텐츠화 사례를 찾기 어렵다.

산업 분야에서 지원 사업을 통하지 않고 광주 문화자원을 소재로 문화콘 텐츠를 제작한 경우를 보면 세부 산업 분야가 거의 영화산업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그 사례도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의 <표 4>는 전체적 또는

(17)

부분적으로 광주를 소재로 한 상업영화의 목록이다.

<표 4> 광주 소재 상업영화 목록

제목 연도 감독 비고

꽃잎 1996 장선우 소설원작영화

박하사탕 1999 이창동

무등산타잔, 박흥숙 2005 박우상

오래된 정원 2006 임상수 소설원작영화

스카우트 2007 김현석

화려한 휴가 2007 김지훈

26년 2012 조근현 만화원작영화

위 목록을 살펴보면 <무등산타잔, 박흥숙>을 제외하고 모두 ‘5․18광주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들이어서 소재가 된 지역문화자원의 폭이 매 우 협소함을 볼 수 있다. 위의 영화들 이외에도 광주 로케이션 영화들이 많 이 있으나 <화려한 휴가>나 <26년>처럼 광주가 주 배경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군산 배경의 <8월의 크리스마스>처럼 도시 전체를 담은 사례 는 거의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영화산업 이외 분야에서도 광주의 풍부한 지역문화자원이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광주의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하 는 문화콘텐츠가 도시 전체를 그 대상으로 삼도록 하여 도시 이미지 제고 에 기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샌프란시스코를 노래한 <내 마음을 두고 온 샌프란시스코>와 <샌프란시 스코>처럼 광주를 소재로 한 대중가요로는 <여기가 어디냐>(서판석 작사, 박인호 작곡, 인순이 노래, 1984)가 있으나 역시 우리나라의 특정 도시를 노래 한 <목포의 눈물>(문일석 작사, 손목인 작곡, 이난영 노래, 1935), <돌아와요 부산항에>(황선우 작사․작곡, 조용필 노래, 1972), <서울 서울 서울>(양인 자 작사, 조용필 작곡․노래, 1988)처럼 인기를 얻지는 못하였다. 게다가 <목

(18)

포의 눈물>과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구체적인 장소와 풍경을 담음으로써 목포와 부산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는 반면, <서울 서울 서울>과 마찬가지 로 <여기가 어디냐>는 아래의 가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소재가 된 도시의 이름을 빼고는 그 도시로 인식하게 해주는 아무런 특징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광주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데 실패하였다.

여기가 어디냐 꿈속에 그리던 곳

꿈을 버리고 무엇을 찾아 나 여기 떠났던가 정든 내 땅 다시 보자 눈물이 앞을 가리네 나 떠난 뒤에 누가 너를 이렇게 아껴주었나

여기가 어디냐 추억이 숨 쉬는 곳

정을 버리고 누구를 따라 나 여기 떠났던가 정든 내 땅 다시 보자 너도 많이 달라졌구나 나 떠난 뒤에 누가 너를 이렇게 아껴주었나

여기가 어디냐 어머님 계시던 곳

정이 그리워 꿈이 그리워 나 여기 다시 또 왔네 광주 광주 다시 보자 내 어찌 너를 잊으랴 나 떠난 뒤에 누가 너를 이렇게 아껴 주었나

광주 광주 다시 보자 내 어찌 너를 잊으랴 나 떠난 뒤에 누가 너를 이렇게 아껴 주었나

위와 같이 실패한 활용 사례는 창작자가 지역을 어떤 콘텐츠로 효과적으 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콘텐츠가 구체성을 갖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지금까지 논의한 바를 종합해보면 광주의 문화자원은 문화콘텐츠로 활 용된 사례가 많지 않으며 활용된 경우를 보더라도 특정 소재와 콘텐츠에

(19)

치우쳐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소재에 있어서 광주 문화자원의 활용은 무 등산을 중심으로 한 전통문화자원과, 양림동, 5․18광주민주화운동 관련 자 원에 집중되고 신창동을 중심으로 한 선사농경문화자원이나 전방․일신방 직을 중심으로 한 산업문화자원 등은 활용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광주는 ‘의향’(義鄕), ‘예향’(藝鄕)뿐만 아니라 ‘미향’(味鄕)으로 일컬어지는 곳인데 그 음식문화자원이 단순히 소개에만 그치고 본격적인 콘텐츠로 충 분히 활용되지 못한 점도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재 동일한 소재의 반복 활용으로 인해 광주의 이미지를 담은 신선한 콘텐츠를 생산하지 못하 고 있으므로 창작자는 선사농경문화자원, 산업문화자원, 음식문화자원을 새로운 소재로 적극 활용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자원을 소재로 한 창 작이 활성화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4. 대상 자원의 특성 분석 : 광주의 마한문화

세 번째 단계에서는 활용하고자 하는 자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을 창 작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특성 분석은 자원에서 뚜렷하고 일 관되게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며, 창작에 반영한다는 것은 그 특징 이 문화콘텐츠에 고스란히 담기게 하는 것을 뜻한다. 여기에서는 지금까지 문화콘텐츠 소재로 활용된 바 없는, 광주의 선사농경문화자원인 마한문화를 예로 들어 이러한 대상 자원의 특성 분석과 그 반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마한은 기원전 3세기경에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기원 3세기에 경기․충청․전라지역에 54개 소국을 형성하였는데, 묘제(墓制)를 통해 한 강유역권, 아산만권, 금강유역권, 영산강유역권, 남해안권으로 구분할 수 있 다. 3세기말부터 마한은 백제에 병합되었으나 광주․전남에서는 일반론(4세 기 중엽 근초고왕대 병합설)과 달리 영산강유역권 중심으로 6세기 초까지 이어졌다는 주장도 있다.18)광주․전남 지역에서 마한이 이처럼 지속되었다

(20)

는 것은 3-6세기 성행한 광주․전남의 옹관묘가 당시 백제의 적석총, 석곽 묘, 석실묘 등과 다르나 규모나 유물은 백제에 못지않았으며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초까지 사용된 광주․전남의 석실묘도 백제와 무관한 영산강식석실 묘였다는 데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은 6세기 초까지 독자적인 세력을 이뤄 계속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19)광주․전남 지역 마한의 성장 은 상당한 수준에 이른 농경의 발달에 기인하는데, 광주신창동유적에서 발 견된 벼껍질 압착층과 목제 농기구들은 당시 벼농사의 수준을 알게 해준다.

그러나 이 지역의 마한은 혈연 중심의 농경사회가 고대국가로의 발전을 막 고 부드러운 흙으로 된 구릉에서의 경작이 철기 발달을 제한하여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소멸하였다.20)

광주의 마한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광주신창동유적이다. 이 유적은 1963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에서 도로 옆에 노출된 옹관묘를 조사하면 서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1992년 광주-장성을 잇는 국도 1호선 도로 개량공사에 따라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조사를 실시하여 토기 가마, 저습지, 주거지, 경작지 등을 확인함으로써 초기 철기시대의 벼농사 기반 생산과 생 활, 분묘에 대해 알려주는 기원전 1세기경의 대단위 복합 농경 유적임이 밝혀 지게 되었고 그에 따라 그 학술적․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이 인정되어 같은 해 9월 9일에 사적 제375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1995년, 1997년(2회), 1998년 (같은 해에 사적 확대 지정을 위한 시굴조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2002 년, 2005년(2회), 2009년, 2010년, 2011년에도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21)

문화콘텐츠화 대상 자원으로서 주목해야할 광주신창동유적의 특성은 먼

18) 임영진, 「묘제를 통해 본 마한의 지역성과 변천과정」, 뺷백제학보뺸 3, 백제학회, 2010, 25~46면.

19) 임영진, 「영산강유역권의 분구묘와 그 전개」, 뺷호남고고학보뺸 16, 호남고고학회, 2002, 79~99면.

20) 임영진, 「3-5세기 영산강유역권 토착세력의 성장 배경과 한계」, 뺷백제학보뺸 6, 백제학 회, 2011, 33~44면.

21) 국립광주박물관, 뺷신창동/2,000년 전의 타임캡슐뺸, 비에이디자인, 2012, 8~15면.

(21)

저 그 유물․유적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거나 최초로 발견된 것인 데다 수에 있어서도 풍부하여 세부 소재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특히 “신창동 유적의 저습지에서는 칼․활 등의 무기류, 괭이․낫․따비 등 의 농공구, 통형칠기․절판 등의 각종 용기류, 발화구․신발골 등의 생활용 품, 바디․실감개 등의 방직구, 수레바퀴통․가로걸이대 등의 수레부속구, 현악기․북 등의 악기류, 문짝 등의 건축 부재와 같은 다양한 목기와 칠기가 다량으로 출토”22)되었는데, 이 ‘다양하고 많은 유물들은 우리 문화를 이해하 는 데 획기적인 자료들’23)이어서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 매우 적합한 자원들 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유물․유적 가운데 155㎝ 두께의 벼껍질 압착층은 벼의 무게로 환산하면 약 500t에 달하는데, 중국 허무두(河姆渡) 유적의 벼껍 질 압착층이 최대 두께 70㎝로 벼 무게로 환산할 때 약 100t이기 때문에 현재 까지 조사된 것 가운데 동북아시아 최대의 벼 생산 자료이다.24)완성된 칠기 와 그 제작에 쓰인 칠 용기와 나무주걱은 우리나라 최초로 발견된 것들인데,

“이는 2,000년 전 신창동에 고도의 칠기 제작 기술을 소유한 생산 집단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25)바디는 우리나라 선사․고대 유물 중 유일한 것으로 당시의 베틀 구조를 밝혀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비단 천 조각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기록에 등장하는 마한의 직물 생산을 확인하게 해준다.26)발화막대, 발화막대집, 발화대 등으로 이루어진 발화 도구 역시 우리나라 최초로 발견된 것으로 당시 어떻게 불을 피우고 그것을 보관․이동 하였는지를 알게 해준다.27)수레바퀴와 가로걸이대 등 수레부속구 또한 우리 나라 최초로 발견되어 ‘소와 말을 탈 줄 모르고 장례에 다 써버린다’는 뺷삼국

22) 같은 책, 8면.

23) 같은 책, 2면.

24) 같은 책, 28면.

25) 같은 책, 146면.

26) 같은 책, 152~154, 157면.

27) 같은 책, 176면.

(22)

지뺸 「위서 동이전」의 기록이 잘못 되었음을 알려준다.28)이처럼 활용 대상 자원들이 콘텐츠 수용자의 입장에서 처음 접하는 것이 많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여 수용자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하므로 창작자는 이러한 참신성과 다양성이 콘텐츠 구성에 반영되도록 하여 재미를 최대화하여야 한다.

광주신창동유적의 두 번째 특성은 출토된 유물들 가운데 중국 및 낙랑, 왜와 관련된 유물이 많아 이 지역 사람들이 강과 바다를 통해 활발한 국제 교류를 하였음을 잘 보여준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몸통은 청동이고 슴베는 철로 만들어진 철경부동촉(鐵莖附銅鏃)은 전형적인 한대 청동 화살촉으로 철기의 확산과 함께 유입되었는데, 주로 낙랑 관련 유적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낙랑과의 교류를 짐작하게 해준다. 낙랑계토기편은 회백색을 띠며 신창동 토기와 다른 아가리 모양을 하고 있어서 낙랑과의 교류의 또 다른 증거가 된다. 또한, 야요이계토기편은 부산, 김해, 경주, 고성, 사천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것으로 신창동 사람들이 야요이시대에 왜와 교류하였음을 알게 해준 다.29)이와 같이 교류를 증명하는 유물들이 많기 때문에 창작자는 구상하는 콘텐츠의 공간적 배경을 넓힘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높일 필요가 있다.

창작자가 이와 같이 대상 자원의 특성을 일일이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지역문화자원 총 조사를 실시한 뒤 이를 종합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만들어 쉽게 자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중요한 자원들에 대해서는 전문가를 통해 그 내용과 특 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오프라인 강의를 제공함으로써 창작자의 지역문화자원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28) 같은 책, 100~105면.

29) 같은 책, 190~192면, 194~195면.

(23)

5. 유사 콘텐츠화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과 콘텐츠화 방향 결정

지역문화자원 문화콘텐츠화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유사 콘텐츠화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벤치마킹한 뒤 최종적으로 콘텐츠화 방향을 결정하여야 한다. 광주신창동유적과 같은 선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대표적인 콘텐츠로 신창동유적이 형성된 기원전 1세기의 프랑스 브르타뉴(Bretagne) 지방을 배경으로 한 프랑스 만화 <아스테릭스(Astérix)>(1961-2013)를 들 수 있다. 이 만화는 작가 르네 고시니(René Goscinny)와 만화가 알베르 위데 르조(Albert Uderzo)가 만든 프랑스 대표 만화로 1959년부터 현재까지 35권 이 출판되었는데, 카이사르가 골(Gaule, 현재 프랑스에 해당하는 지역)을 점 령한 기원전 50년 골 사람 아스테릭스와 오벨릭스(Obélix)가 제사장인 파노 라믹스(Panoramix)가 만든 ‘마법의 물약’의 힘으로 카이사르와 로마군을 골 탕 먹이고 전 유럽을 여행하며 모험을 펼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고의 주제와 관련하여 <아스테릭스>에서 눈여겨볼 점은 프랑스의 지방 인 브르타뉴가 만화의 배경으로서 시리즈의 모든 작품에 나오며, 카르나크 (Carnac)의 돌 유물들에서 볼 수 있는, 이 지역에서 발달한 선사시대의 거석 문화가 이 지방의 대표적 특성으로 일관되게 제시된다는 것이다. 오벨릭스가 선돌을 제조․배달하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 나오는 것이 그 대표적 예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사항은 선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이 콘텐츠가 가진 확장력이 다. 이 만화는 1967-2014년 아홉 번에 걸쳐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고, 네 번에 걸쳐 <아스테릭스(Astérix et Obélix contre César)>(1999), <아스테릭 스 : 미션 클레오파트라(Astérix et Obélix : Mission Cléopâtre)>(2002), <아 스테릭스: 미션 올림픽게임(Astérix aux Jeux Olympiques)>(2008), <아스테 릭스 앤드 오벨릭스 : 갓 세이브 브리타니아(Astérix et Obélix : Au service

de sa Majesté)>(2012)로 영화화되었다. 또한 1989년 이 만화를 소재로 파리

에서 약 30㎞ 떨어진 곳에 테마파크인 아스테릭스 파크(Parc Astérix)가 만들

(24)

어지기도 하였는데, 2015년에만 185만 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방문하였다.

이처럼 <아스테릭스>는 광주신창동유적과 비슷한 시대의 지역문화자원을 소재로 출발하여 교류라는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이야기의 범위를 지역 훨씬 너머로까지 확대시키고 다양한 콘텐츠로의 개발에 성공하였다는 점에서 광 주의 마한문화를 콘텐츠화하는 데 있어 유용한 벤치마킹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선사문화를 소재로 한 많은 해외 영화․애니메이션 가운데 대표적인 예 인 장 자크 아노(Jean-Jacques Annaud) 감독의 <불을 찾아서(La guerre

du feu)>(1981)도 벨기에 출신의 프랑스 SF 작가인 로스니(J-H. Rosny aîné)

의 동명 소설(1909)을 영화화한 것이어서 선사문화자원이 동시에 여러 콘 텐츠로 개발하는 데 적합한 자원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영화는 신창동 출토 발화도구를 통해 ‘선사시대의 발화기술과 불의 역사’를 조명한 국립광 주박물관 전시 ‘불을 찾아서’(2015. 9. 1~11. 22)의 내용에서 볼 수 있는 ‘불 을 만드는 방법’을 소재로 하고 있어서 광주의 마한문화가 얼마든지 성공적 인 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결국 이 사례들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어떤 문화자원이 콘텐츠를 통해 지역을 상징하는 대표 자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콘텐츠 안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지속적으 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과 선사문화자원이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하기에 효과적인 소재라는 것이다.

창작자는 위와 같은 시사점을 토대로 콘텐츠 장르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 때 성공적인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콘텐츠화 방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선사시대를 배경으로 그 문화를 본격적으로 다룬 콘텐츠가 거의 없는 데다 영화 <단적비연수>(2000)와 같은 희귀한 사례도 겉으로는 선사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나 그것이 단지 판타지를 위한 설정일 뿐 선사문화와는 별 관련이 없음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광주의 마한문화는 콘텐츠 장르에 관계없이 신선한 소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유사 소재로 가장 성공한

(25)

사례의 하나인 <아스테릭스>의 경우를 보면 만화가 OSMU(One Source Multi Use)의 출발점으로서 효과적으로 원천 콘텐츠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 로 광주의 마한문화를 문화콘텐츠화 할 때 만화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여러 콘텐츠로 개발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주의 무속이라는 지역문 화자원에서 주로 소재를 가져와 콘텐츠화에 성공한 주호민의 만화 <신과 함께>(2010-2012)가 영화화되고 있는 데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만화가 최근 영화․애니메이션․TV드라마와 같은 서사적 장르뿐만 아니라 게임․캐릭 터 등의 원작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만화가 이야기의 정교함과 기발한 상상력으로 인해 다른 장르로 각색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 장르이기 때문이므 로 광주 마한문화의 콘텐츠화도 이와 같은 과정을 따르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선사문화를 다룬 문화콘텐츠를 찾기 힘든 이유 가운데 하 나가 이를 재현하는 데 도움을 줄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광주의 마한 문화는 출토 유물과 그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로 충분히 재현 가능하므로 다양한 OSMU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로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디지털콘텐츠 외에도 오프라인 공간에서 지역문 화자원을 직접 체험하는 동시에 개발한 콘텐츠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해 주는 ‘선사문화공원’과 같은 테마파크를 구상해볼 수 있다. 일본 사가현(佐 下縣)의 요시노가리역사공원(吉野ヶ里歴史公園, 2001년 개원)은 유적, 체 험시설, 놀이공원을 결합하여 방문객이 재미를 만끽하면서 선사문화를 배 우도록 하고 있는데30), 2010년에만 63만 6천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였다. 다 만 요시노가리 유적은 다른 문화콘텐츠로 개발된 바가 없고 역사공원도 아 스테릭스 파크보다 오락성이 떨어지므로 콘텐츠 파급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서는 <아스테릭스>의 경우처럼 보다 다양한 OSMU 전략을 세우고 테마파

30) 유홍준, 뺷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1 규슈뺸, 창비, 2013, 25~59면; 국립중앙박물관, 뺷요시노가리, 일본 속의 고대 한국뺸, 국립중앙박물관, 2007.

(26)

크도 유희적 측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를 지원할 때 이러한 사향들을 정책에 반영 함으로써 효과적인 콘텐츠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6. 결론

지금까지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과 방법에 대해 논의한 바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늘날 문화콘텐츠를 지역 발전에 활용하고자 하 는 시도들이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지방 자치제가 다시 시작된 1995년부터이기 때문에 짧은 역사로 인한 방법론의 부재가 그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의 과정과 그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그 단계는 크게 네 개로 나누어진 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을 조사하고 종류별로 분류한 뒤 이들 가운데 특히 풍부하게 나타나는 자원 종류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그 결 과를 토대로 콘텐츠화하기 적절한 대상 자원을 선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는 콘텐츠로 활용할 때 유의해야할 대상 자원의 특성을 파악하여 콘텐츠화 과정에서 이 특성이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유사 콘텐츠화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벤치마킹한 뒤 최종적으로 콘텐츠화 방향을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광주광역시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해 고찰해보면 우선 광주의 자원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선사농경문화자원처 럼 풍부하고 특색 있는 자원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것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매우 빈약하고 개발된 경우에도 5․18광주민 주화운동자원과 같은 특정 소재와 영화와 같은 콘텐츠에 치우쳐있으므로 광주의 마한문화(선사농경문화자원)와 같이 콘텐츠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참조

관련 문서

과학과 기술이 우리 삶에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긍정적 영향을 최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여 우리 나라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또한, 문화적 상상력과 타 인의 경험 및 인간에 대한 공감 능력, 문화적 감수성을 통하여 시각적 이미지 소통 등 타인에 대한 공감 을 높일 수 있는

그런데 올해에는 수업에 활용하기 쉬우면서도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재미있는 수업을 많이 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평소 음악

모둠별로 다섯 가지 이상의 물체를 선택하여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하고 실험 결과를 적어봅시다.. 이번 시간에 배운 플라즈마의 특성을 생각하며

플라즈마 볼에 여러 가지 물체를 가까이 가져가 봅시다.. 모둠별로 다섯 가지 이상의 물체를 선택하여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

광학설계 프로그램를 이용한 Chi p설계 방법으로 3가지가 있다.첫째로 LED를 구성 하고 있는 모든층을 구현하여 구현하는 방법이다.이 방법은 세 가지 방법 중 가장

가만히 생각해 보건데 영공께서는 국가의 후은을 받고 일찍이 몸을 바쳤으니 그 국난에 급히 하고 방관이나 구경만으로 구급한 일을 회피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대저

어떤 의미에서 같은 한자문화권인 일본 에서 만들어진 법률용어의 수용은 우리 말을 풍부하게 한다고도 볼 수 있다... 지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