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이등변삼각형과 직각삼각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이등변삼각형과 직각삼각형"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 학

수학

VII . 도형의 성질

1. 이등변삼각형과 직각삼각형

│4쪽│

01B, 65 02AB”, 5

0390, 6, 50, RHA 0490, 5, 4, RHS

│5쪽│

01⑴ 49˘ ⑵ 110˘ ⑶ 117˘ ⑷ 110˘

02⑴ 3 cm ⑵ 90˘

03⑴ 6 ⑵ 4

04⑴ 12 ⑵ 5

05⑴ △ABC™△EDF, RHA 합동 ⑵ 4 cm

06⑴ △ABC™△FDE, RHS 합동 ⑵ 6 cm

07∠PBO, ∠BOP, △BOP, RHA, PB”

0890, OP”, PB”,△AOP, RHS, ∠BOP

│6~9쪽│

대표 유형01 01- ②, ③01-01-

01- 120˘ 01- 150˘ 01- ③ 대표 유형02∠B=35˘, BD”=7 cm

02-02- 44 02- ⑤ 대표 유형038 cm 03- ∠C, ∠CAD, ∠ADC, ASA,

AC”

03- 15 m03- 4 cm

03- 22 cm 대표 유형04 04- 은희

대표 유형0544 05-05-05- 38˘

05- 72 cm¤

대표 유형0630 cm¤ 06-06- 6 cm

0150˘ 0257˘ 035

│실수하기쉬운 문제│

01

⑶ AB”=AC”이므로

∠ACB=;2!;_(180˘-54˘)=63˘

∴ ∠x=180˘-∠ACB=180˘-63˘=117˘

⑷ AB”=AC”이므로 ∠C=∠B=55˘

따라서 △ABC에서

∠x=55˘+55˘=110˘

04

⑵ △ABC에서 ∠B=136˘-68˘=68˘

따라서 ∠A=∠B이므로 AC”=BC”=5(cm) ∴ x=5

대표 유형01 △ABC에서 AB”=AC”이므로

∠ACB=∠B=66˘

△CDB에서 CB”=CD”이므로

∠BCD=180˘-2_66˘=48˘

∴ ∠ACD=∠ACB-∠BCD

=66˘-48˘=18˘

01-

① AC” ④ SAS ⑤ ∠C

01-

△ABC에서 AC”=BC”이므로

∠B=;2!;_(180˘-50˘)=65˘

따라서 AD”∥BC”이므로

∠EAD=∠B=65˘ (동위각)

01-

△ABC에서 AB”=AC”이므로

∠ACB=;2!;_(180˘-40˘)=70˘

△DCE에서 DC”=DE”이므로

∠DCE=;2!;_(180˘-58˘)=61˘

∴ ∠ACD=180˘-(70˘+61˘)=49˘

01-

△ABC에서 AB”=AC”이므로

∠ABC=∠C=;2!;_(180˘-100˘)=40˘

∴ ∠DBC=;2!;∠ABC=;2!;_40˘=20˘

따라서 △DBC에서

∠BDC=180˘-(20˘+40˘)=120˘

01-

△ABC에서 AB”=AC”이므로

∠ACB=∠B=30˘

∴ ∠x=30˘+30˘=60˘

△ACD에서 AC”=CD”이므로

∠D=∠CAD=60˘

△DBC에서 ∠y=30˘+60˘=90˘

∴ ∠x+∠y=60˘+90˘=150˘

01 -

△ABC에서 AB”=AC”이므로

∠ACB=;2!;_(180˘-68˘)=56˘

이때 ∠ACE=180˘-∠ACB=180˘-56˘=124˘이 므로 ∠DCE=;2!;∠ACE=;2!;_124˘=62˘

따라서 △CDB에서 CB”=CD”이므로

∠BDC=∠DBC이고

∠DCE=∠BDC+∠DBC이므로 62˘=2∠BDC ∴ ∠BDC=31˘

대표 유형02 AD”는 BC”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DB=90˘

∴ ∠B=180˘-(90˘+55˘)=35˘

또, BD”=CD”=7(cm)

02-

① AB”=AC”이므로 ∠B=∠C=62˘

②,``④ AD”는 BC”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DB=∠ADC=90˘, BD”=CD”=9(cm)

③ △ABD에서 ∠BAD=180˘-(90˘+62˘)=28˘

⑤ AD”의 길이는 알 수 없다.

http://zuaki.tistory.com

(2)

02-

AB”=AC”이므로

∠B=∠ACB=180˘-126˘=54˘

△ABD에서

∠BAD=180˘-(54˘+90˘)=36˘ ∴ x=36 AD”는 BC”를 수직이등분하므로

BD”=;2!;BC”=;2!;_16=8(cm) ∴ y=8

∴ x+y=36+8=44

02-

① AD”는 BC”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D”⊥BC”

② △ABC가 AB”=A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D=∠ACD

③, ④ △ABP와 △ACP에서 AB”=AC”,

∠BAP=∠CAP, AP”는 공통

따라서 △ABP™△ACP`( SAS 합동)이므로 BP”=CP”

대표 유형03 △ABC에서 AB”=AC”이므로

∠B=∠ACB=;2!;_(180˘-36˘)=72˘

∴ ∠ACD=∠DCB=;2!;∠ACB=;2!;_72˘=36˘

즉, △ADC에서 ∠A=∠ACD이므로 AD”=CD”

한편, △ADC에서 ∠BDC=36˘+36˘=72˘이므로

∠B=∠BDC

따라서 CD”=CB”=8(cm)이므로 AD”=CD”=8(cm)

03-

△ABC에서

∠A=∠CBD-∠C=110˘-55˘=55˘

따라서 △ABC에서 ∠A=∠C이므로 AB”=BC”=15(m)

03 -

△ABC에서

∠ACB=∠CAD-∠B=68˘-34˘=34˘

즉, ∠B=∠ACB이므로 AC”=AB”=4(cm) 또, ∠CDA=180˘-112˘=68˘이므로

△ACD에서 ∠CAD=∠CDA

∴ CD”=AC”=4(cm)

03-

∠FEG=∠DEG`(접은 각), ∠FGE=∠DEG(엇각) 이므로 ∠FEG=∠FGE

따라서 △EFG는 EF”=FG”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둘 레의 길이는

EF”+FG”+GE”=7+7+8=22(cm) 대표 유형04 ① RHS 합동 ② SAS 합동

③ RHA 합동 ④ ASA 합동

04-

은희 : RHS 합동

대표 유형05 △ADE와 △ACE에서

∠ADE=∠ACE=90˘, AE”는 공통,

AD”=AC”

∴ △ADE™△ACE (RHS 합동)

이때 DE”=CE”=4(cm)이므로 x=4 또, ∠CAE=∠DAE=25˘이므로

△ABC에서 ∠B=180˘-(90˘+25˘+25˘)=40˘

∴ y=40

∴ x+y=4+40=44

05-

△DBE와 △CBE에서

∠BDE=∠BCE=90˘, BE”는 공통,

BD”=BC”

따라서 △DBE™△CBE(RHS 합동)이므로

∠DEB=∠CEB

05-

△ADB와 △CEA에서

∠ADB=∠CEA=90˘, AB”=CA”,

∠DBA=90˘-∠DAB=∠EAC

∴ △ADB™△CEA(RHA 합동)

따라서 DA”=EC”=4(cm), AE”=BD”=3(cm)이므로 DE”=DA”+AE”=4+3=7(cm)

05-

△BMD와 △CME에서

∠BDM=∠CEM=90˘, BM”=CM”,

MD”=ME”

따라서 △BMD™△CME (RHS 합동)이므로

∠B=∠C

△ABC에서 ∠B=;2!;_(180˘-76˘)=52˘

따라서 △BMD에서

∠BMD=180˘-(90˘+52˘)=38˘

05-

△ADB와 △BEC에서

∠ADB=∠BEC=90˘, AB”=BC”,

∠DAB=90˘-∠ABD=∠EBC

∴ △ADB™△BEC (RHA 합동)

따라서 DB”=EC”=5(cm), BE”=AD”=7(cm)이므로 (사다리꼴 ADEC의 넓이)=;2!;_(7+5)_(5+7)

=72(cm¤ ) 대표 유형0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에서 AB”에 내린 수선 의 발을 E라고 하면

△AED와 △ACD에서

∠AED=∠ACD=90˘, AD”는 공통,

∠EAD=∠CAD

∴ △AED™△ACD(RHA 합동) 따라서 DE”=DC”=4(cm)이므로

△ABD=;2!;_15_4=30(cm¤ )

A

B D C

E

4###cm 15###cm

http://zuaki.tistory.com

(3)

수 학 06-

△AOP와 △BOP에서

∠PAO=∠PBO=90˘, OP”는 공통,

PA”=PB”

따라서 △AOP™△BOP(RHS 합동)이므로

∠AOP=∠BOP, ∠APO=∠BPO, OA”=OB”

06-

△ABD와 △AED에서

∠ABD=∠AED=90˘, AD”는 공통,

∠BAD=∠EAD

∴ △ABD™△AED (RHA 합동)

이때 ED”=BD”이고 AE”=AB”=3(cm)이므로 EC”=AC”-AE”=5-3=2(cm)

∴ (△EDC의 둘레의 길이)=ED”+DC”+CE”

=BD”+DC”+CE”

=BC”+CE”

=4+2

=6(cm)

│실수하기

쉬운 문제│

01

∠A=∠x라고 하면 ∠DBE=∠A=∠x(접은 각)

△ABC에서 AB”=AC”이므로

∠C=∠ABC=∠DBE+∠EBC=∠x+15˘

따라서 △ABC에서

∠x+(∠x+15˘)+(∠x+15˘)=180˘이므로 3∠x=150˘, ∠x=50˘

∴ ∠A=50˘

02

△ABC에서 AB”=AC”이므로

∠B=∠C=;2!;_(180˘-48˘)=66˘

한편, △BED와 △CFE에서 BD”=CE”,

∠B=∠C, BE”=CF”

∴ △BED™△CFE (SAS 합동) 이때 ∠BDE=∠CEF이므로

∠DEF=180˘-(∠BED+∠CEF)

=180˘-(∠BED+∠BDE)

=∠B=66˘

△DEF에서 DE”=EF”이므로

∠DFE=;2!;_(180˘-66˘)=57˘

03

△ABD와 △CAE에서

∠BDA=∠AEC=90˘, AB”=CA”,

∠ABD=90˘-∠BAD=∠CAE

∴ △ABD™△CAE (RHA 합동) 따라서 `AE”=BD”=12, AD”=CE”=7이므로 DE”=AE”-AD”=12-7=5

│10~11쪽│

01020334˘ 0440˘ 050655˘

07AC”, AD”, SAS, ∠ADC, 180˘ 0865 09

10

16 cm

11

②, ④

12

45

13

14

11 cm

15

16

112 cm¤

➊회

01

AB”=AC”이므로 ∠C=∠B=2∠x+30˘

따라서 △ABC에서

∠x+(2∠x+30˘)+(2∠x+30˘)=180˘이므로 5∠x=120˘ ∴ ∠x=24˘

02

△ABD에서 AD”=BD”이므로

∠ABD=∠A=;2!;_(180˘-116˘)=32˘

△ABC에서 AB”=AC”이므로

∠ABC=;2!;_(180˘-32˘)=74˘

∴ ∠DBC=∠ABC-∠ABD=74˘-32˘=42˘

03

∠A=∠x라고 하면

△BAC에서 AB”=BC”이므로

∠BCA=∠A=∠x

∴ ∠CBD=∠x+∠x=2∠x

△BCD에서 BC”=CD”이므로

∠CDB=∠CBD=2∠x

따라서 △DAC에서 102˘=∠x+2∠x이므로 3∠x=102˘, ∠x=34˘ ∴ ∠A=34˘

04

△ABC에서 AC”=BC”이므로

∠BAC=∠B=∠x

∴ ∠ACD=∠x+∠x=2∠x

△ACD에서 AD”=CD”이므로

∠CAD=∠ACD=2∠x

따라서 ∠x+2∠x+60˘=180˘이므로 3∠x=120˘ ∴ ∠x=40˘

05

△ABC에서 AB”=AC”이므로

∠ABC=∠ACB=;2!;_(180˘-56˘)=62˘

∴ ∠DBC=;2!;∠ABC=;2!;_62˘=31˘

∠ACE=180˘-∠ACB=180˘-62˘=118˘이므로

∠DCE=;2!;∠ACE=;2!;_118˘=59˘

따라서 △DBC에서

∠BDC=∠DCE-∠DBC=59˘-31˘=28˘

06

△ABC에서 AB”=AC”이므로

∠B=∠C=;2!;_(180˘-70˘)=55˘

한편, △BED와 △CFE에서 BD”=CE”,

∠B=∠C, BE”=CF”

∴ △BED™△CFE(SAS 합동)

http://zuaki.tistory.com

(4)

따라서 ∠BDE=∠CEF이므로

∠DEF=180˘-(∠BED+∠CEF)

=180˘-(∠BED+∠BDE)=∠B=55˘

08

AD”는 BC”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DC=90˘

∠C=∠B=53˘이므로

△ADC에서 ∠CAD=180˘-(90˘+53˘)=37˘

∴ x=37

또, BD”=CD”이므로

BC”=2CD”=2_14=28 ∴ y=28

∴ x+y=37+28=65

09

③ ∠B=180˘-(45˘+90˘)=45˘이므로

∠A=∠B

④ ∠B=180˘-(52˘+64˘)=64˘이므로

∠B=∠C

⑤ ∠ACB=180˘-120˘=60˘이므로

∠A=180˘-(60˘+65˘)=55˘

따라서 △ABC는 이등변삼각형이 아니다.

10

△ABC에서 ∠A=180˘-(30˘+90˘)=60˘

△ADC에서 AD”=CD”이므로 ∠ACD=∠A=60˘

즉, △ADC는 정삼각형이므로 AD”=CD”=AC”=8(cm)

이때 ∠DCB=90˘-60˘=30˘이므로

∠B=∠DCB

따라서 DB”=DC”=8(cm)이므로 AB”=AD”+DB”=8+8=16(cm)

11

① ∠C=∠F이면 ∠A=∠D이므로

△ABC™△DEF (ASA 합동)

③ RHS 합동

⑤ SAS 합동

12

△AMC와 △BMD에서

∠ACM=∠BDM=90˘, AM”=BM”,

∠AMC=∠BMD (맞꼭지각)

∴ △AMC™△BMD`(RHA 합동) 이때 AC”=BD”=10(cm)이므로 x=10

또, ∠AMC=∠BMD=180˘-(55˘+90˘)=35˘이므로 y=35

∴ x+y=10+35=45

13

③ ∠DBA=90˘-∠DAB=∠EAC, ∠ACE=90˘-∠EAC=∠BAD

14

△ABD와 △CAE에서

∠BDA=∠AEC=90˘, AB”=CA”,

∠ABD=90˘-∠BAD=∠CAE

∴ △ABD™△CAE (RHA 합동)

따라서 AD”=CE”=20(cm), AE”=BD”=9(cm)이므로 DE”=AD”-AE”=20-9=11(cm)

15

△AED와 △AFD에서

∠AED=∠AFD=90˘, AD”는 공통,

DE”=DF”

∴ △ADE™△AFD`( RHS 합동)

따라서 ∠ADE=∠ADF=180˘-(24˘+90˘)=66˘이 므로 ∠EDF=2∠ADE=2_66˘=132˘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에서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ABD와 △AED에서

∠ABD=∠AED=90˘, AD”는 공통,

∠BAD=∠EAD

∴ △ABD™△AED (RHA 합동) 따라서 DE”=DB”=8(cm)이므로

△ADC=;2!;_28_8=112(cm¤ ) A

B C

D 28 cm

8 cm E

│12~13쪽│

0175˘ 0203116˘ 0405120˘ 0669˘

0754˘ 08①, ④099 cm

10

②, ⑤

11

①, ⑤

12

40˘

13

14

8 cm¤

15

16

5 cm

➋회

01

△ABC에서 B’A”=BC”이므로

∠ABC=180˘-2_35˘=110˘

△DBC에서 DB”=DC”이므로 ∠DBC=∠C=35˘

∴`∠ABD=∠ABC-∠DBC=110˘-35˘=75˘

02

△ABE에서 B’A”=BE”이므로

∠BEA=;2!;_(180˘-50˘)=65˘

△CDE에서 CD”=CE”이므로

∠CED=;2!;_(180˘-30˘)=75˘

∴ ∠AED=180˘-(65˘+75˘)=40˘

03

△ABC에서 AB”=AC”이므로

∠ACB=;2!;_(180˘-52˘)=64˘

이때∠FCB=∠ACB-∠ACE=64˘-20˘=44˘이므로

△FBC에서 ∠BFC=180˘-(20˘+44˘)=116˘

∴ ∠EFD=∠BFC=116˘ (맞꼭지각)

04

BC”∥DE”이므로 ∠BCD=∠EDC=40˘ (엇각)

△BCD에서 BC”=CD”이므로

∠CBD=∠CDB=;2!;_(180˘-40˘)=70˘

△BAC에서 AB”=BC”이므로 ∠BCA=∠A=∠x 따라서 70˘=∠x+∠x이므로

2∠x=70˘ ∴ ∠x=35˘

http://zuaki.tistory.com

(5)

수 학 05

∠BDE=∠CDE=∠a라고 하면

△BED에서 BE”=DE”이므로 ∠DBE=∠BDE=∠a

△DBC에서 (∠a+∠a)+∠a+90˘=180˘이므로 3∠a=90˘ ∴ ∠a=30˘

따라서 △BED에서

∠x=180˘-2∠a=180˘-2_30˘=120˘

06

△ABD와 △ACE에서 AB”=AC”,

∠B=∠C, BD”=CE”

따라서 △ABD™△ACE(SAS 합동)이므로 AD”=AE”

즉, △ADE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DE=;2!;_(180˘-42˘)=69˘

07

∠B:∠C=3:2이므로

∠B=3∠a, ∠C=2∠a라고 하면

△ABM에서 AM”=BM”이므로

∠BAM=∠B=3∠a

△AMC에서 AM”=CM”이므로

∠MAC=∠C=2∠a

△ABC에서

(3∠a+2∠a)+3∠a+2∠a=180˘이므로 10∠a=180˘ ∴ ∠a=18˘

∴ ∠BAM=3∠a=3_18˘=54˘

08

① AB”=AC”이므로 ∠B=∠C

②, ③ AD”는 BC”를 수직이등분하므로 BD”=CD”=;2!;BC”=;2!;_6=3(cm)

∠ADB=∠ADC=90˘

④ ∠BAD의 크기는 알 수 없다.

⑤ △ABD와 △ACD에서 AB”=AC”,

∠BAD=∠CAD, AD”는 공통

∴ △ABD™△ACD(SAS 합동)

09

△ABC에서

∠CBA=∠BCD-∠A=50˘-25˘=25˘

즉, ∠A=∠CBA이므로 BC”=AC”=9(cm)

△ABD에서

∠ADB=∠DBE-∠A=75˘-25˘=50˘

즉, △BDC에서 ∠BDC=∠BCD이므로 BD””=BC”=9(cm)

10

①, ③, ④ ∠ABC=∠CBD(접은 각),

∠ACB=∠CBD`(엇각)이므로

∠ABC=∠ACB ∴ AB”=AC”

11

㉠과 ㉢ (RHS 합동), ㉣과 ㉥ (RHA 합동)

12

△BCE와 △CBD에서

∠BEC=∠CDB=90˘, BC”는 공통,

BE”=CD”

∴ △BCE™△CBD`(RHS 합동) 이때 ∠EBC=∠DCB이므로

△ABC에서 ∠ABC=;2!;_(180˘-80˘)=50˘

따라서 △BCE에서

∠BCE=180˘-(90˘+50˘)=40˘

13

△BCE와 △BDE에서

∠BCE=∠BDE=90˘, BE”는 공통,

BC”=BD”

∴ △BCE™△BDE (RHS 합동) 이때 DE”=CE”=5(cm)이므로 x=5 또, △ADE에서

∠DEA=180˘-(52˘+90˘)=38˘이므로

∠BEC=∠BED=;2!;_(180˘-38˘)=71˘

∴ y=71

∴ x+y=5+71=76

14

△BCF와 △CDG에서

∠BFC=∠CGD=90˘, BC”=CD”,

∠FBC=90˘-∠BCF=∠GCD

∴ △BCF™△CDG(RHA 합동)

따라서 CF”=DG”=8(cm), CG”=BF”=6(cm)이므로 FG”=CF”-CG”=8-6=2(cm)

∴ △DFG=;2!;_2_8=8(cm¤ )

15

△AOP와 △BOP에서

∠PAO=∠PBO=90˘, OP”는 공통,

∠AOP=∠BOP

따라서 △AOP™△BOP`( RHA 합동)이므로 PA”=PB”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BCD=;2!;_16_DE”=40

∴ DE”=5(cm)

△ABD와 △EBD에서

∠BAD=∠BED=90˘, BD”는 공통,

∠ABD=∠EBD

따라서 △ABD™△EBD(RHA 합동)이므로 AD”=ED”=5(cm)

A

B C

D E 16###cm

http://zuaki.tistory.com

(6)

│14~15쪽│

01 ⑴ 48˘ ⑵ 6 cm ⑶ 42˘ ⑷ 4 cm

02⑴ 40˘ ⑵ 32 cm 0340˘

04:¢2¡: m¤ 0536˘ 0618 cm¤

07- 76˘ 07- 105˘ 07- 15˘

01

⑴ △ABD에서 AD”=BD”이므로

∠BAD=∠B=24˘

∴ ∠ADC=24˘+24˘=48˘

⑵ ∠ACD=∠ADC이므로 AC”=AD”=6(cm)

⑶ △ADC는 AD”=A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E”는 DC”를 수직이등분한다.

따라서 ∠AEC=90˘, ∠ACD=∠ADC=48˘이므로

△AEC에서

∠CAE=180˘-(90˘+48˘)=42˘

⑷ DE”=;2!;DC”=;2!;_8=4(cm)

02

⑴ ∠GEF=∠FEC=70˘(접은 각),

∠GFE=∠FEC=70˘(엇각)이므로

△GEF에서 ∠FGE=180˘-(70˘+70˘)=40˘

⑵ ∠GEF=∠GFE이므로 △GEF는 GE”=GF”인 이등 변삼각형이다.

따라서 △GEF의 둘레의 길이는 GE”+EF”+FG”=12+8+12=32(cm)

03

⑴ △ABC에서 AB”=AC”이므로

∠ABC=∠ACB=;2!;_(180˘-80˘)=50˘

∴ ∠DBC=;2!;∠ABC=;2!;_50˘=25˘

⑵ ∠ACE=180˘-∠ACB=180˘-50˘=130˘이므로

∠DCE=;2!;∠ACE=;2!;_130˘=65˘

⑶ △DBC에서

∠BDC=∠DCE-∠DBC=65˘-25˘=40˘

04

⑴ △ABE와 △ECD에서

∠ABE=∠ECD=90˘, AE”=ED”,

∠BAE=90˘-∠AEB=∠CED

∴ △ABE™△ECD`(RHA 합동)

⑵ △ABE™△ECD이므로

BE”=CD”=5(m), EC”=AB”=4(m)

⑶ △AED=(사다리꼴 ABCD의 넓이)-2△ABE

=;2!;_(4+5)_(5+4)-2_{;2!;_5_4}

=:•2¡:-20=:¢2¡:(m¤ )

따라서 배추를 심은 밭의 넓이는 :¢2¡: m¤ 이다.

05

∠A=∠x라고 하면

△ABD에서 AD”=BD”이므로

∠ABD=∠A=∠x

∴ ∠BDC=∠x+∠x=2∠x

△BCD에서 BC”=BD”이므로

∠C=∠BDC=2∠x …… [3점]

△ABC에서 AB”=AC”이므로

∠ABC=∠C=2∠x …… [1점]

따라서 △ABC에서

∠x+2∠x+2∠x=180˘이므로 5∠x=180˘, ∠x=36˘

∴ ∠A=36˘ …… [2점]

06

△ADE와 △ACE에서

∠ADE=∠ACE=90˘, AE”는 공통,

AD”=AC”

따라서 △ADE™△ACE(RHS 합동)이므로

DE”=CE”=6(cm) …… [3점]

한편, △ABC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B=∠BAC=45˘

△DBE에서 ∠DEB=180˘-(90˘+45˘)=45˘이므로

∠B=∠DEB

∴ DB”=DE”=6(cm) …… [2점]

∴ △DBE=;2!;_6_6=18(cm¤ ) …… [1점]

07-

∠ACB=180˘-128˘=52˘ …… [1점]

따라서 △ABC에서 AB”=BC”이므로

∠B=180˘-2_52˘=76˘ …… [2점]

07-

△BAC에서 AB”=BC”이므로 ∠BCA=∠A=35˘

∴ ∠CBD=35˘+35˘=70˘ …… [2점]

△BCD에서 BC”=CD”이므로

∠CDB=∠CBD=70˘ …… [1점]

따라서 △DAC에서

∠DCE=35˘+70˘=105˘ …… [1점]

07 -

∠A=∠x라고 하면

△BAC에서 AB”=BC”이므로

∠BCA=∠A=∠x

∴ ∠CBD=∠x+∠x=2∠x …… [1점]

△BCD에서 BC”=CD”이므로

∠CDB=∠CBD=2∠x …… [1점]

△DAC에서

∠DCE=∠x+2∠x=3∠x …… [1점]

△DCE에서 CD”=DE”이므로

∠DEC=∠DCE=3∠x …… [1점]

따라서 △DAE에서 60˘=∠x+3∠x이므로 4∠x=60˘, ∠x=15˘

∴ ∠A=15˘ …… [1점]

http://zuaki.tistory.com

(7)

수 학

대표 유형01 ③ OE”=OF”인지 알 수 없다.

④ ∠OCE=∠OBE, ∠OCF=∠OAF이지만

∠OCE=∠OCF인지는 알 수 없다.

01-

점 O는 △ABC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BD”=AD”=7(cm)

BE”=CE”=8(cm) AF”=CF”=5(cm)

2.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16쪽│

01수직이등분선, 꼭짓점 0230, 40, 20, 90

03이등분선, 변 0430, 35, 25, 90

│17쪽│

01⑴ × ⑵ 02⑴ 3 ⑵ 30 03⑴ 32˘ ⑵ 48˘ ⑶ 110˘ ⑷ 70˘

04 ⑵ × ⑶ 05⑴ 25 ⑵ 4 06⑴ 22˘ ⑵ 33˘ ⑶ 115˘ ⑷ 76˘

07⑴ 5 ⑵ 4 0860 cm¤

08

△ABC=;2!;_3_(8+17+15)=60(cm¤ )

│18~23쪽│

대표 유형01③, ④ 01-01-01- ① 대표 유형0213p 02- 8 cm02- 35˘ 02-

02- 18˘

대표 유형0303- 26˘ 03-

03- 140˘ 03-03- 40˘

대표 유형04②, ③ 04- 지현, 석민 04- ③ 대표 유형0517 05- 5 cm05- 21 cm 대표 유형0636˘ 06-06-

06- 186˘ 06-

06- 130˘

대표 유형072 cm 07- 13 cm

07- 30 cm

07- 10 cm 대표 유형0808- 48 cm

08- :™5§: cm 08-

대표 유형0909- 수정 09- 15˘ 09- 17

09-09-

0120˘ 0256˘ 0364˘

│실수하기쉬운 문제│

∴ (△ABC의 둘레의 길이)=AB”+BC”+CA”

=14+16+10

=40(cm)

01-

유물의 중심은 세 지점 A, B, C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 으므로 중심의 위치는 △ABC의 외심의 위치와 같다.

01-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A”=OC”

△AOC의 둘레의 길이가 14 cm이므로 OA”+OC”+6=14, 2 OA”=8

∴ OA”=4(cm)

따라서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4 cm이다.

대표 유형02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므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2!;BC”=;2!;_13=:¡2£:

따라서 △ABC의 외접원의 둘레의 길이는 2p_:¡2£:=13p

02-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A”=OB”=OC”

∴ OC”=;2!;AB”=;2!;_16=8(cm)

02-

점 M이 △ABC의 외심이므로 MB”=MC”

∴ ∠MBC=∠C

따라서 △MBC에서 70˘=∠MBC+∠C이므로 2∠C=70˘ ∴ ∠C=35˘

02 -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A”=OB”

∴ △OBC=;2!;△ABC

=;2!;_{;2!;_12_9}

=27(cm¤ )

02 -

점 M이 △ABC의 외심이므로 MA”=MB”

∴ ∠BAM=∠B=36˘

△ABM에서 ∠AMH=36˘+36˘=72˘

따라서 △AMH에서

∠MAH=180˘-(90˘+72˘)=18˘

대표 유형03 ∠OAB+∠OBC+∠OCA=90˘이므로

∠OAB+20˘+32˘=90˘ ∴ ∠OAB=38˘

따라서 △OAB에서 OA”=OB”이므로

∠OBA=∠OAB=38˘

03 -

∠BOC=2∠BAC=2_64˘=128˘

따라서 △OBC에서 OB”=OC”이므로

∠OBC=;2!;_(180˘-128˘)=26˘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를 그으 면 △OBC에서 OB”=OC”이므 로 ∠OCB=∠OBC=30˘

∠OAB+∠OBC+∠OCA

=90˘이므로

27˘+30˘+∠OCA=90˘

∴ ∠OCA=33˘

∴ ∠C=∠OCB+∠OCA=30˘+33˘=63˘

30˘

27˘

A

B C

O

http://zuaki.tistory.com

(8)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를 그으 면 △OAB에서 OA”=OB”이므 로 ∠OAB=∠OBA=42˘

△OCA에서 OA”=OC”이므로

∠OAC=∠OCA=28˘

∴ ∠BAC=∠OAB+∠OAC=42˘+28˘=70˘

∴ ∠BOC=2∠BAC=2_70˘=140˘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OB”를 그 으면 △OAB에서 OA”=OB”

이므로

∠OBA=∠OAB=30˘

∴`∠OBC

=∠ABC-∠OBA

=50˘-30˘=20˘

△OBC에서 OB”=OC”이므로 ∠y=∠OBC=20˘

또, ∠OAB+∠OBC+∠OCA=90˘이므로 30˘+20˘+∠x=90˘ ∴`∠x=40˘

∴ ∠x-∠y=40˘-20˘=20˘

03-

∠AOB=360˘_ =360˘_;9@;=80˘

∴ ∠ACB=;2!;∠AOB=;2!;_80˘=40˘

대표 유형04 ① IA”=IB”=IC”인지 알 수 없다.

④ ∠IAF=∠IAD, ∠ICF=∠ICE이지만

∠IAF=∠ICF인지는 알 수 없다.

⑤ △IAD™△IAF, △IBD™△IBE이지만

△IAD™△IBD인지는 알 수 없다.

04-

삼각형의 내심은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고, 삼각 형의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같으므로 점 I가

△ABC의 내심을 나타내고 있는 삼각형을 그린 학생은 지현, 석민이다.

04 -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BC=∠IBA=24˘, ∠ICB=∠ICA=32˘

따라서 △IBC에서 ∠BIC=180˘-(24˘+32˘)=124˘

대표 유형05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DBI=∠IBC, ∠ECI=∠ICB 이때 DE”∥BC”이므로

∠DIB=∠IBC (엇각), ∠EIC=∠ICB (엇각) 따라서 ∠DBI=∠DIB, ∠ECI=∠EIC이므로 DI”=DB”, EI”=EC”

∴ (△ADE의 둘레의 길이)

=AD”+DE”+EA”

=AD”+(DI”+EI”)+EA”

=(AD”+DB”)+(EC”+EA”)

=AB”+AC”=7+10=17 2 2+3+4

A

x

B y C

O 30˘

30˘20˘

42˘

28˘

A

B O C

05-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DBI=∠IBC, ∠ECI=∠ICB 이때 DE”∥BC”이므로

∠DIB=∠IBC (엇각), ∠EIC=∠ICB (엇각) 따라서 ∠DBI=∠DIB, ∠ECI=∠EIC이므로 DI”=DB”=3(cm), EI”=EC”=2(cm)

∴ DE”=DI”+EI”=3+2=5(cm)

05 -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DBI=∠IBC,

∠ECI=∠ICB 이때 DE”∥BC”이므로

∠DIB=∠IBC(엇각), ∠EIC=∠ICB(엇각) 따라서 ∠DBI=∠DIB, ∠ECI=∠EIC이므로 DI”=DB”, EI”=EC”

(△ADE의 둘레의 길이)

=AD”+DE”+EA”

=AD”+(DI”+EI”)+EA”

=(AD”+DB”)+(EC”+EA”)

=AB”+AC”=13(cm)

∴ (△ABC의 둘레의 길이)=AB”+BC”+CA”

=13+8=21(cm) 대표 유형06 오른쪽 그림과 같이

IA”를 그으면

∠IAB=;2!;∠A

=;2!;_68˘=34˘

∠IAB+∠IBC+∠ICA=90˘이므로 34˘+∠IBC+20˘=90˘ ∴ ∠IBC=36˘

∴ ∠IBA=∠IBC=36˘

06-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BAC=2∠IAC=2_36˘=72˘

∴ ∠BIC=90˘+;2!;∠BAC=90˘+;2!;_72˘=126˘

06 -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CA=∠ICB=15˘

∠IAB+∠IBC+∠ICA=90˘이므로

∠IAB+40˘+15˘=90˘ ∴ ∠IAB=35˘

06-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CB=∠ICA=24˘

즉, △IBC에서 ∠x=180˘-(34˘+24˘)=122˘

이때 ∠BIC=90˘+;2!;∠A이므로

122˘=90˘+;2!;∠y, ;2!;∠y=32˘ ∴ ∠y=64˘

∴ ∠x+∠y=122˘+64˘=186˘

06-

∠x=90˘+;2!;∠C=90˘+;2!;_60˘=120˘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AB=∠IAC=25˘

68˘ 20˘

A

B C

I A

B C

D I E

8###cm

http://zuaki.tistory.com

(9)

수 학

△IAB에서 ∠IBA=180˘-(25˘+120˘)=35˘

∴ ∠y=∠IBA=35˘

∴ ∠x-∠y=120˘-35˘=85˘

06 -

∠ABC=180˘_ =180˘_;9$;=80˘

∴ ∠AIC=90˘+;2!;∠B=90˘+;2!;_80˘=130˘

대표 유형07 AF”=x cm라고 하면 AD”=AF”=x(cm) BE”=BD”=7-x(cm), CE”=CF”=6-x(cm) 이때 BC”=BE”+CE”이므로 9=(7-x)+(6-x) 2x=4, x=2 ∴ AF”=2(cm)

07-

AD”=AF”=20-13=7(cm) CE”=CF”=13(cm)이므로 BD”=BE”=19-13=6(cm)

∴ AB”=AD”+BD”=7+6=13(cm)

07 -

BD”=BE”=7(cm)이므로 AF”=AD”=12-7=5(cm) CE”=CF”=3(cm)

∴ (△ABC의 둘레의 길이)=AB”+BC”+CA”

=12+(7+3)+(3+5)

=30(cm)

07-

오른쪽 그림과 같이 ID”를 그 으면 사각형 DBEI는 정사 각형이므로

BD”=BE”=IÆEÚ=2(cm) AF”=AD”=6-2=4(cm) CF”=CE”=8-2=6(cm)

∴ AC”=AF”+CF”=4+6=10(cm)

대표 유형08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_15_8=;2!;_r_(17+15+8) 60=20r ∴ r=3

따라서 △ABC의 내접원의 넓이는 p_3¤ =9p(cm¤ )

08-

△ABC의 둘레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96=;2!;_4_x, 96=2x ∴ x=48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는 48 cm이다.

08 -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156=;2!;_r_(15+24+21)

156=30r ∴ r=:™5§:

따라서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5§: cm이다.

08 -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_9_12=;2!;_r_(15+9+12) 54=18r ∴ r=3

∴ △ICA=;2!;_12_3=18(cm¤ ) 4

3+4+2

6`cm

2`cm A

B C

8`cm D I

E F

대표 유형09 ∠BIC=90˘+;2!;∠A이므로 130˘=90˘+;2!;∠A, ;2!;∠A=40˘

∴ ∠A=80˘

∴ ∠BOC=2∠A=2_80˘=160˘

09 -

수정 : 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따라서 잘못 설명한 학생은 수정이다.

09-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BOC=2∠A=2_40˘=80˘

△OBC에서 OB”=OC”이므로

∠OBC=;2!;_(180˘-80˘)=50˘

한편, △ABC에서 AB”=AC”이므로

∠ABC=;2!;_(180˘-40˘)=70˘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BC=;2!;∠ABC=;2!;_70˘=35˘

∴ ∠OBI=∠OBC-∠IBC=50˘-35˘=15˘

09-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므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2!;AC”=;2!;_26=13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2!;_24_10=;2!;_r_(10+24+26) 120=30r ∴ r=4

따라서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13+4=17

09-

△ABC에서 ∠ACB=180˘-(54˘+90˘)=36˘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CB=;2!;∠ACB=;2!;_36˘=18˘

△OBC에서 OB”=OC”이므로

∠OBC=∠OCB=36˘

따라서 △PBC에서

∠BPC=180˘-(36˘+18˘)=126˘

09-

△ABC에서 ∠BAC=180˘-(35˘+75˘)=70˘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AC=;2!;∠BAC=;2!;_70˘=35˘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를 그 으면 점 O가 △ABC의 외심 이므로

∠AOC=2∠B

=2_35˘=70˘

△AOC에서 OA”=OC”이므로

∠OAC=;2!;_(180˘-70˘)=55˘

∴`∠OAI=∠OAC-∠IAC=55˘-35˘=20˘

35˘ 75˘

A

B C

O I

http://zuaki.tistory.com

(10)

│실수하기

쉬운 문제│

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 OB”를 그으면 △OCA에서

OA”=OC”이므로

∠OAC=∠OCA

=50˘+20˘=70˘

△OCB에서 OB”=OC”이므로 ∠OBC=∠OCB=20˘

이때 ∠ABC=∠x라고 하면

△OAB에서 OA”=OB”이므로

∠OAB=∠OBA=∠x+20˘

따라서 △ABC에서

(∠x+20˘+70˘)+∠x+50˘=180˘이므로 2∠x=40˘, ∠x=20˘ ∴ ∠ABC=20˘

02

∠BAD=∠x, ∠ABE=∠y라고 하면 점 I가 △ABC 의 내심이므로

∠CAD=∠BAD=∠x, ∠CBE=∠ABE=∠y

△ABE에서 2∠x+∠y+88˘=180˘ yy㉠

△ABD에서 ∠x+2∠y+86˘=180˘ yy㉡

㉠, ㉡`에서 ∠x=30˘, ∠y=32˘

따라서 △ABC에서 ∠BAC=2∠x=2_30˘=60˘,

∠ABC=2∠y=2_32˘=64˘이므로

∠C=180˘-(60˘+64˘)=56˘

03

AD”위에 내심 I와 외심 O가 있으므로 AD”는 ∠A의 이등 분선이면서 BC”의 수직이등분선이다.

즉, △ABC는 AB”=A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CB=;2!;_(180˘-76˘)=52˘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CA=;2!;∠ACB=;2!;_52˘=26˘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EC=90˘

따라서 △PCE에서

∠EPC=180˘-(26˘+90˘)=64˘

50˘

20˘

A

B C

O

│24~25쪽│

01 ①, ②02145˘ 0329 0472˘ 0544˘

06126˘ 0708㉠, ㉢09

10

20˘

11

164˘

12

13

14

2 cm

15

111˘

16

84p cm¤

➊회

01

삼각형의 외심은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고, 삼각 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으므로 점 O 가 △ABC의 외심을 나타내는 것은 ①, ②`이다.

02

△OBC에서 OB”=OC”이므로

∠OCB=;2!;_(180˘-30˘)=75˘

△OCA에서 OC”=OA”이므로

∠OCA=;2!;_(180˘-40˘)=70˘

∴ ∠BCA=∠OCB+∠OCA=75˘+70˘=145˘

03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B”=OA”=OC”=;2!;AC”=;2!;_12=6(cm)

∴ x=6

△OBC에서 ∠OBC=∠OCB이므로 46˘=∠OBC+∠OCB, 2∠OCB=46˘

∠OCB=23˘ ∴ y=23

∴ x+y=6+23=29

04

∠MAB=90˘_ =90˘_;5#;=54˘

점 M이 △ABC의 외심이므로 MA”=MB”

∴ ∠MBA=∠MAB=54˘

따라서 △ABM에서 ∠AMB=180˘-2_54˘=72˘

05

△OAB에서 OA”=OB”이므로

∠OAB=;2!;_(180˘-88˘)=46˘

∠OAB+∠OBC+∠OCA=90˘이므로 46˘+∠y+∠x=90˘ ∴ ∠x+∠y=44˘

06

△OAB에서 OA”=OB”이므로

∠OAB=∠OBA=35˘

∴ ∠BAC=∠OAB+∠OAC=35˘+28˘=63˘

∴ ∠BOC=2∠BAC=2_63˘=126˘

07

오른쪽 그림의 △ABC에서

∠x=2∠B=2_80˘=160˘

따라서 ∠y=360˘-160˘=200˘

이므로 △ACD에서

∠D=;2!;∠y=;2!;_200˘=100˘

08

㉡ PA”=PB”인지 알 수 없다.

㉣ 점 P는 △ABC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09

③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DBI=∠IBC, ∠ECI=∠ICB 이때 DE”∥BC”이므로

∠DIB=∠IBC(엇각), ∠EIC=∠ICB (엇각) 따라서 ∠DBI=∠DIB, ∠ECI=∠EIC이므로 DIÚ=DB”=5(cm), EIÚ=EC”=4(cm)

∴ DE”=DIÚ+EIÚ=5+4=9(cm)

10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BC=∠IBA=35˘

오른쪽 그림과 같이 IA”를 그으면

∠IAB=;2!;∠A

=;2!;_70˘=35˘

∠IAB+∠IBC+∠ICA=90˘이므로 35˘+35˘+∠ICA=90˘ ∴ ∠ICA=20˘

B A

C I

35˘ x 35˘ 35˘

35˘

A

B C

D

O y

x

80˘

3 3+2

http://zuaki.tistory.com

(11)

수 학 11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CB=∠ICA=31˘

△IBC에서 ∠x=180˘-(112˘+31˘)=37˘

∠ABC=2∠x=2_37˘=74˘이므로

∠y=90˘+;2!;∠ABC=90˘+;2!;_74˘=127˘

∴ ∠x+∠y=37˘+127˘=164˘

12

BE”=x cm라고 하면 BD”=BE”=x(cm)

AF”=AD”=14-x(cm), CF”=CE”=20-x(cm) 이때 AC”=AF”+CF”이므로 16=(14-x)+(20-x) 2x=18, x=9 ∴ BE”=9(cm)

13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ICA=;2!;_5_r=;2%;r(cm¤ )

△ABC=;2!;_r_(7+8+5)=10r(cm¤ )

∴ △ICA:△ABC=;2%;r:10r

=1:4

14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_12_5=;2!;_r_(13+12+5) 30=15r ∴ r=2

따라서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 cm이다.

15

∠A=;2!;∠BOC=;2!;_84˘=42˘

∴ ∠BIC=90˘+;2!;∠A=90˘+;2!;_42˘=111˘

16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므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2!;AB”=;2!;_20=10(cm)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_16_12=;2!;_r_(20+16+12) 96=24r ∴ r=4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p_10¤ -p_4¤ =84p(cm¤ )

│26~27쪽│

➋회

01

선영:BD”=AD”, BE”=CE”이지만 BD”=BE”인지는 알 수 없다.

민철:△OAD™△OBD, △OAF™△OCF이지만

△OAD™△OAF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틀리게 말한 학생은 선영, 민철이다.

01선영, 민철 02 0360˘ 0410 cm 05 06195˘ 07 08 09

10

11

151˘

12

15 cm

13

90 cm¤

14

15

55˘

16

135˘

02

점 O는 △ABC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AD”=BD”=6(cm), CE”=BE”=5(cm)

CF”=AF”=7(cm)

∴ (△ABC의 둘레의 길이)=AB”+BC”+CA”

=12+10+14

=36(cm)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OB”를 그으면 OA”=OB”=OC”이므로

∠OBA=∠OAB=40˘

∴ ∠OCD=∠OBD

=∠ABC-∠OBA

=70˘-40˘=30˘

따라서 △ODC에서

∠COD=180˘-(90˘+30˘)=60˘

04

△ABC에서 ∠A=180˘-(90˘+30˘)=60˘

△AOC에서 OA”=OC”이므로

∠OCA=∠A=60˘

즉, △AOC는 정삼각형이므로 OA”=OC”=AC”=5(cm) 따라서 OB”=OA”=5(cm)이므로 AB”=2 OA”=2_5=10(cm)

05

∠OAB+∠OBC+∠OCA=90˘이므로 20˘+∠OBC+46˘=90˘

∴ ∠OBC=24˘

따라서 △OBC에서 OB”=OC”이므로

∠OCB=∠OBC=24˘

06

△OBC에서 OB”=OC”이므로

∠y=180˘-2_25˘=130˘

∴ ∠x=;2!;∠BOC=;2!;_130˘=65˘

∴ ∠x+∠y=65˘+130˘=195˘

07

AB”=AC”이므로

∠ABC=;2!;_(180˘-52˘)=64˘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BC=;2!;∠ABC=;2!;_64˘=32˘

08

∠IBC=∠a, ∠ICB=∠b라고 하면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BD=∠IBC=∠a, ∠ICE=∠ICB=∠b

△ABC에서 80˘+2∠a+2∠b=180˘이므로 2(∠a+∠b)=100˘

∴ ∠a+∠b=50˘

한편, △ADC에서 ∠x=80˘+∠b

△ABE에서 ∠y=80˘+∠a

∴ ∠x+∠y=(80˘+∠b)+(80˘+∠a)

=160˘+∠a+∠b

=160˘+50˘

=210˘

O A

B D C

40˘

40˘

30˘

http://zuaki.tistory.com

(12)

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IC”를 그으면

∠IAB+∠IBC+∠ICA=90˘

이므로 28˘+30˘+∠ICA=90˘

∴ ∠ICA=32˘

∴ ∠C=2∠ICA=2_32˘=64˘

10

∠BIC=90˘+;2!;∠BAC이므로 125˘=90˘+;2!;∠BAC, ;2!;∠BAC=35˘

∴ ∠BAC=70˘

∴ ∠BAI=;2!;∠BAC=;2!;_70˘=35˘

11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BAC=2∠IAB=2_32˘=64˘

∠BIC=90˘+;2!;∠BAC=90˘+;2!;_64˘=122˘이므로

∠BI'C=90˘+;2!;∠BIC=90˘+;2!;_122˘=151˘

12

AD”=AF”=7(cm)이므로 BE”=BD”=13-7=6(cm) CE”=CF”=16-7=9(cm)

∴ `BC”=BE”+CE”=6+9=15(cm)

13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_24_18=;2!;_r_(24+30+18) 216=36r ∴ r=6

∴ △IBC=;2!;_30_6=90(cm¤ )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IE”를 그으면 사각형 IECF는 정사각형이므로 CE”=CF”=IF”=2(cm) AD”=x cm라고 하면

AF”=AD”=x(cm), BE”=BD”=12-x(cm)이므로 BC”=BE”+CE”=(12-x)+2=14-x(cm) AC”=AF”+CF”=x+2(cm)

∴ △ABC=;2!;_2_{12+(14-x)+(x+2)}

=;2!;_2_28=28(cm¤ )

15

점 I가 △OBC의 내심이므로

∠BIC=90˘+;2!;∠BOC

145˘=90˘+;2!;∠BOC, ;2!;∠BOC=55˘

∴ ∠BOC=110˘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A=;2!;∠BOC=;2!;_110˘=55˘

16

△ABC에서 ∠ACB=180˘-(90˘+60˘)=30˘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CA=;2!;∠ACB=;2!;_30˘=15˘

△AOC에서 OA”=OC”이므로 ∠OAC=∠OCA=30˘

따라서 △APC에서 ∠APC=180˘-(30˘+15˘)=135˘

12###cm 2###cm A

B C

D

E F I A

B C

I 28˘

30˘

│28~29쪽│

01⑴ 62˘ ⑵ 60˘ ⑶ 50˘ ⑷ 130˘

02⑴ 18p cm ⑵ 28˘ 0396˘

0422 cm 058 cm 06

07- 6 cm 07- 9 cm 07- 4 cm

01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OC”를 그으면

∠OAB+∠OBC+∠OCA

=90˘이므로

28˘+32˘+∠OCA=90˘

∴ ∠OCA=30˘

△OBC에서 OB”=OC”이므로

∠OCB=∠OBC=32˘

∴ ∠x=∠OCB+∠OCA=32˘+30˘=62˘

⑵ ∠x=;2!;∠AOC=;2!;_120˘=60˘

⑶ 오른쪽 그림과 같이 IA”를 그으면

∠IAB+∠IBC+∠ICA

=90˘이므로

∠IAB+45˘+20˘=90˘

∴ ∠IAB=25˘

∴ ∠x=2∠IAB=2_25˘=50˘

⑷ ∠x=90˘+;2!;∠A=90˘+;2!;_80˘=130˘

02

⑴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므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2!; BC”=;2!;_18=9(cm) 따라서 외접원의 둘레의 길이는

2p_9=18p(cm)

⑵ 점 M이 △ABC의 외심이므로 MA”=MB”

∴ ∠MAB=∠B=31˘

△ABM에서 ∠AMH=31˘+31˘=62˘

따라서 △AMH에서

∠MAH=180˘-(62˘+90˘)=28˘

03

⑴ △ABC의 외심 O가 BC” 위에 있으므로

∠BAC=90˘

⑵ △ABO에서 OA”=OB”이므로

∠OAB=∠B=42˘

∴ ∠OAC=∠BAC-∠OAB=90˘-42˘=48˘

⑶ 점 O'이 △AOC의 외심이므로

∠OO'C=2∠OAC=2_48˘=96˘

04

⑴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DBI=∠IBC, ∠ECI=∠ICB 이때 DE”∥BC”이므로

∠DIB=∠IBC (엇각), ∠EIC=∠ICB (엇각) 따라서 ∠DBI=∠DIB, ∠ECI=∠EIC이므로 DI”=DB”, EI”=EC”

20˘

45˘

x A

B C

I 32˘

28˘

x A

B C

O

http://zuaki.tistory.com

(13)

수 학

12

3. 사각형의 성질

│30, 32쪽│

01⑴ DC”, BC” ⑵ ∠A, ∠D ⑶ CO”, BO”

02⑴ DC”, AD” ⑵ AB”, BC” ⑶ ∠C, ∠D ⑷ AO”, BO”

⑸ DC”, AB” ⑹ BC”, BC”

03;2!;, 10 04△BCP, ;2!;

05⑴ 90˘ ⑵ = ⑶ BO” 06⑴ CD” ⑵ ⊥ ⑶ CO”, BO”

07⑴ 90˘ ⑵ DA” ⑶ AC”, AC” ⑷ CO”

08⑴ ∠B ⑵ AB”, DB” 09h, n, n

│31, 33쪽│

01⑴ 5 cm ⑵ 3 cm ⑶ 16 cm

02⑴ 125˘ ⑵ 55˘ ⑶ 180˘ 03⑴ 2 cm ⑵ 3 cm

04⑴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⑵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⑶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⑷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다.

⑸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다.

05DC”, DF”, CF”, DF”, 길이 06⑴ 14 cm¤ ⑵ 3 cm¤

07⑴ 11 cm¤ ⑵ 30 cm¤ 08⑴ 12 ⑵ 5 ⑶ 34 ⑷ 100

09⑴ 5 ⑵ 4 ⑶ 120 ⑷ 90

10

⑴ 6 ⑵ 7 ⑶ 90 ⑷ 45

1 1

⑴ 6 ⑵ 7 ⑶ 115 ⑷ 50

12

해설 참조

13

18 cm¤

14

30 cm¤

종류 성질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다.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다.

네 내각의 크기 가 모두 같다.

두 대각선의 길 이가 같다.

두 대각선이 직 교한다.

평행 사변형

직사

각형 마름모 정사

각형 등변사 다리꼴

◯ ◯ ◯ ◯ ×

× × ◯ ◯ ×

× ◯ × ◯ ×

× ◯ × ◯ ◯

× × ◯ ◯ ×

│34~39쪽│

대표 유형013 01- 6 01- 3 cm01- ③ 대표 유형02108˘ 02-02- 75˘

02- 130˘

대표 유형0328 cm 03- 11 03-

대표 유형0404- AB”, DA”, CDA, SSS, AB”, AD”

04-

⑵ (△ADE의 둘레의 길이)

=AD”+DE”+EA”

=AD”+(DI”+EI”)+EA”

=(AD”+DB”)+(EC”+EA”)

=AB”+AC”

=12+10

=22(cm)

05

삼각형의 내부에 되도록 큰 원을 그려 원의 중심에 시침과 분침을 고정하려면 원의 중심은 △ABC의 내심이어야 한

다. …… [2점]

이때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ABC=;2!;_r_(AB”+BC”+CA”)이므로

;2!;_48_20=;2!;_r_(48+52+20) 480=60r ∴ r=8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8 cm이다. …… [4점]

06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BOC=2∠A=2_48˘=96˘

△OBC에서 OB”=OC”이므로

∠OCB=;2!;_(180˘-96˘)=42˘ …… [2점]

한편, △ABC에서 AB”=AC”이므로

∠ACB=;2!;_(180˘-48˘)=66˘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ICB=;2!;∠ACB=;2!;_66˘=33˘ …… [2점]

∴ ∠OCI=∠OCB-∠ICB

=42˘-33˘=9˘ …… [1점]

07-

BE”=BD”=7(cm) …… [1점]

CF”=CE”=11-7=4(cm) …… [1점]

∴ AF”=AC”-CF”

=10-4=6(cm) …… [1점]

07-

BE”=x cm라고 하면 BD”=BE”=x(cm) CF”=CE”=12(cm)

AD”=AF”=20-12=8(cm) …… [2점]

이때 △ABC의 둘레의 길이가 58 cm이므로 AB”+BC”+CA”=(8+x)+(x+12)+20=58 2x=18, x=9

∴ BE”=9(cm) …… [2점]

07-

AD”=x cm라고 하면 AF”=AD”=x(cm) BE”=BD”=9-x(cm)

CE”=CF”=7-x(cm) …… [3점]

이때 BC”=BE”+CE”이므로 8=(9-x)+(7-x) 2x=8, x=4

∴ AD”=4(cm) …… [2점]

http://zuaki.tistory.com

(14)

∠BAF=180˘-80˘=100˘이므로

∠BAE=;2!;∠BAF=;2!;_100˘=50˘

따라서 △ABE에서 ∠AEC=50˘+80˘=130˘

대표 유형03 AO”=;2!;AC”=;2!;_14=7(cm) DO”=;2!;BD”=;2!;_18=9(cm) AD”=BC”=12(cm)

∴ (△AOD의 둘레의 길이)=7+9+12=28(cm)

03 -

BO”=DO”이므로 9=3x ∴ x=3 AO”=CO”이므로 6=y-2 ∴ y=8

∴ x+y=3+8=11

03-

②, ③ △AOP™△COQ(ASA 합동)이므로 AP”=CQ”, OP”=OQ”

⑤ △POD™△QOB (ASA 합동)

대표 유형04 ② ∠D=360˘-(110˘+70˘+110˘)=70˘이 므로 ∠A=∠C, ∠B=∠D

따라서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BCD는 평행사변형이 된다.

04-

ABCD가 평행사변형이므로 OA”=OC”, OB”=OD”

이때 AE”=CF”이므로

OE”=OA”-AE”=OC”-CF”=OF”

즉, OB”=OD”, OE”=OF”이므로 EBFD는 평행사변 형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대표 유형05 △ABP+△CDP=;2!; ABCD이므로 14+△CDP=;2!;_42 ∴ △CDP=7(cm¤ )

05-

△ABP+△CDP=△ADP+△BCP이므로

△ABP+9=8+16 ∴ △ABP=15(cm¤ )

05-

△OEA≡△OFC(ASA 합동)이므로

△OEA=△OFC

∴ △OED+△OFC=△OED+△OEA

=△ODA=;4!;` `ABCD

=;4!;_36=9(cm¤ )

대표 유형06 BO”=DO”이므로 3x-1=4x-6 ∴` x=5 즉, BO”=3x-1=3_5-1=14이므로

AC”=BD”=2BO”=2_14=28

06-

AD”∥BC”이므로

∠y=∠DAO=90˘-65˘=25°`(엇각)

△AOD는 AO”=DO”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x=180˘-2_25˘=130˘

∴ ∠x-∠y=130˘-25˘=105˘

06-

AD”∥BC”이므로 ∠AEF=∠EFC (엇각) 또, ∠AFE=∠EFC(접은 각)이므로

∠AEF=∠AFE 대표 유형057 cm¤ 05- 15 cm¤ 05-

대표 유형0628 06- 105˘ 06- 55˘

06- 세훈, 명근 대표 유형0739 07- 96 cm¤

07- ∠x=30˘, ∠y=120˘

07-07- 55˘

대표 유형0808-08- 25˘ 08- ⑤ 대표 유형0911 cm 09-09- 40˘

09- 2 cm

대표 유형

10

①, ④

10

- ㉤, ㉥

10-

10-

② 대표 유형

1 1

1 1

- 54 cm¤

1 1

-

1 1

- 12 cm¤

1 1

- 18 cm¤

01 38˘ 02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0375˘

│실수하기쉬운 문제│

대표 유형01 AB”=DC”이므로 3=2x-1, 2x=4 ∴ x=2 AD”=BC”이므로 7=3y+4, 3y=3 ∴ y=1

∴ x+y=2+1=3

01-

AD”=BC”이므로 2x+2=3x-1 ∴ x=3

∴ AB”=DC”=x+3=3+3=6

01-

BF”∥CD”이므로 ∠BFC=∠DCF (엇각) 또, ∠BCF=∠DCF이므로 ∠BFC=∠BCF 따라서 △BCF는 BC”=BF”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F”=8 cm

이때 AB”=DC”=5(cm)이므로 AF”=BF”-AB”=8-5=3(cm)

01-

AF”=AD”=10이므로 ∠AFD=∠ADF 또, AD”∥BE”이므로 ∠BEF=∠ADF (동위각)

∴ ∠BFE=∠BEF

따라서 △BFE는 BF”=BE”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E”=4

이때 BC”=AD”=10이므로 CE”=BC”-BE”=10-4=6 대표 유형02 ∠B+∠C=180˘이므로

∠C=180˘_ =180˘_;5#;=108˘

∴ ∠A=∠C=108˘

02-

∠y=∠D=60˘

AB”∥DC”이므로 ∠ACD=∠BAC=70˘ (엇각)

△ACD에서 ∠x=180˘-(60˘+70˘)=50˘

∴ ∠y-∠x=60˘-50˘=10˘

02-

∠DAB=∠C=100˘이므로

∠BAE=100˘-25˘=75˘

AB”∥DC”이므로 ∠AED=∠BAE=75˘ (엇각)

02-

AD”∥BC”이므로

∠FBE=∠AFB=180˘-140˘=40˘ (엇각)

∠ABE=2∠FBE=2_40˘=80˘

3 2+3

http://zuaki.tistory.com

(15)

수 학

따라서 △AFE는 AF”=AE”인 이등변삼각형이고

∠EAF=90˘-20˘=70˘이므로

∠AEF=;2!;_(180˘-70˘)=55˘

06-

세훈, 명근:평행사변형에서 한 내각이 직각이거나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으면 직사각형이 된다.

따라서 바르게 적은 학생은 세훈, 명근이다.

대표 유형07 ∠AOD=90˘이므로 △AOD에서

∠ADO=180˘-(58˘+90˘)=32˘ ∴ x=32 BC”=CD”이므로 2y-3=11, 2y=14 ∴ y=7

∴ x+y=32+7=39

07-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로 ABCD=4△ABO=4_{;2!;_8_6}=96(cm¤ )

07-

AB”=AD”이므로 ∠x=∠ADB=30˘

△ABD에서 ∠A=180˘-2_30˘=120˘이므로

∠y=∠A=120˘

07 -

①, ②, ④ 평행사변형 ABCD가 직사각형이 되기 위한 조건이다.

⑤ 평행사변형 ABCD의 두 대각선이 직교하므로 마름 모가 된다.

07-

CB”=CD”이므로 ∠CDB=;2!;_(180˘-110˘)=35˘

∴`∠AEB=∠DEF=180˘-(90˘+35˘)=55˘

대표 유형08 △ADE와 △CDE에서

AD”=CD”, DE”는 공통, ∠ADE=∠CDE=45˘

∴ △ADE™△CDE (SAS 합동)

따라서 ∠DCE=∠DAE=23˘이므로 △CDE에서

∠x=45˘+23˘=68˘

08-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로

ABCD=4△AOD=4_{;2!;_5_5}=50

08-

△DEA에서 DA”=DE”이므로

∠EDA=180˘-2_70˘=40˘

∴ ∠EDC=∠EDA+∠ADC=40˘+90˘=130˘

이때 DE”=DC”이므로

∠DCE=;2!;_(180˘-130˘)=25˘

08-

⑤ ABCD는 직사각형이므로 AC”⊥BD”이면 정사각 형이 된다.

대표 유형09 AE”∥`DC”가 되도록 AE”를 그으면 △ABE는 정 삼각형이므로

BE”=AB”=6(cm)

또, AECD는 평행사변형이므로 EC”=AD”=5(cm)

∴ BC”=BE”+EC”=6+5=11(cm)

09-

△ABC에서 ∠ACB=180˘-(85˘+65˘)=30˘

∠DCB=∠B=65˘이므로

∠x+30˘=65˘ ∴ ∠x=35˘

6 cm 5 cm

B

A D

E C 60˘ 60˘ 60˘

60˘

09-

AB”=AD”이므로 ∠ABD=∠ADB

또, AD”∥BC”이므로 ∠ADB=∠DBC (엇각) 따라서 ∠ABD=∠DBC이므로

∠DBC=;2!;∠ABC=;2!;∠C=;2!;_80˘=40˘

09-

꼭짓점 D에서 BC”에 내린 수 선의 발을 E라고 하면 HE”=AD”=4(cm)

△ABH™△DCE (RHA 합동)이므로

BH”=CE”=;2!;_(8-4)=2(cm)

대표 유형

10

② 한 내각의 크기가 90˘인 평행사변형은 직사각 형이다.

③ 등변사다리꼴도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은 사각형이다.

⑤ 이웃하는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평행사변형은 직사 각형이다.

10-

④ 직사각형에서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거나 두 대 각선이 직교하면 정사각형이 된다.

10-

② 직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든 사각형은 마름모이다.

대표 유형

11

AE”를 그으면 AC”∥DE”이므로

△ACD=△ACE

∴ ABCD

=△ABC+△ACD=△ABC+△ACE

=△ABE=;2!;_(14+6)_10=100(cm¤ )

11-

AD”∥BC”이므로 △DBC=△ABC=90(cm¤ )

∴ △OBC=△DBC-△CDO=90-36=54(cm¤ )

11-

BN”=NC”이므로 △ABN=△ANC AD”∥BC”이므로 △ANC=△DNC AC”∥MN”이므로 △ANC=△AMC AM”=MB”이므로 △AMC=△MBC

∴ △ABN=△ANC=△DNC=△AMC=△MBC 따라서 △ABN과 넓이가 항상 같다고 할 수 없는 것은

③ △DMN이다.

11-

BD”:DC”=2:1이므로

△ADC=△ABC_ =48_;3!;=16(cm¤ ) AP”:PD”=3:1이므로

△APC=△ADC_ =16_;4#;=12(cm¤ )

11 -

AC”를 그으면

△ACD=;2!; ABCD

=;2!;_60=30(cm¤ ) 이때 AP”:PD”=2:3이므로

△PCD=△ACD_ 3 =30_;5#;=18(cm¤ ) 2+3

P

B C

A D

3 3+1

1 2+1

8`cm A 4`cm

B C

D

E H

B E

A D

H C

14 cm 10 cm

6 cm

http://zuaki.tistory.com

(16)

04

AB”∥DC”이므로 ∠y=∠BDC=40˘ (엇각)

△BCD에서 ∠C=180˘-(30˘+40˘)=110˘

∴ ∠x=∠C=110˘

∴ ∠x-∠y=110˘-40˘=70˘

05

∠BAD=180˘-60˘=120˘이므로

∠BAE=120˘_ =120˘_;4#;=90˘

AB”∥DC”이므로 ∠AED=∠BAE=90˘ (엇각)

07

③ AD”∥BC” 또는 AB”=DC”인 조건이 추가되어야 평행 사변형이다.

08

MN”을 그으면 ABNM,

MNCD는 모두 평행사변형 이다.

∴ MPNQ

=△MPN+△MQN=;4!; ABNM+;4!; MNCD

=;4!; ABCD=;4!;_48=12(cm¤ )

09

AO”=BO”이므로

∠OBA=∠OAB=90˘-35˘=55˘ ∴ x=55 BD”=AC”=2AO”=2_6=12(cm) ∴ y=12

∴ x+y=55+12=67

10

△AOE≡△COF(ASA 합동)이므로 EO”=FO”

즉, AO”=CO”, EO”=FO””이므로 AFCE는 평행사변형 이다.

이때 AC”⊥EF”이므로 AFCE는 마름모이다.

따라서 AFCE의 둘레의 길이는 4_9=36(cm)

11

△ABE≡△BCF(SAS 합동)이므로

∠FBC+∠BEA=∠EAB+∠BEA=180˘-90˘=90˘

△OBE에서

∠BOE=180˘-(∠OBE+∠OEB)=180˘-90˘=90˘

∴ ∠AOF=∠BOE=90˘ (맞꼭지각)

12

민지:평행사변형 ABCD에서 AB”=AD”이면 마름모이 다. 따라서 마름모 ABCD에서 AO”=BO”이면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으므로 정사각형이 된다.

13

AE”∥DC”가 되도록 AE”를 그 으면 △ABE는 정삼각형이 므로 BE”=AB”=8(cm) 또, AECD는 평행사변형 이므로 EC”=AD”=6(cm)

∴ BC”=BE”+EC”=8+6=14(cm)

14

④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로 ㉠, ㉡, ㉢이다.

15

AC”∥DE”이므로 △ACD=△ACE=17(cm¤ )

∴ △ABC= ABCD-△ACD=45-17=28(cm¤ )

16

△ABC=;2!; ABCD=;2!;_50=25(cm¤ ) 이때 AP”:PC”=1:4이므로

△PBC=△ABC_ 4 =25_;5$;=20(cm¤ ) 1+4

A

B C

D

E 6 cm 8 cm 120˘

60˘ 60˘ 60˘

A

P Q

D

B C

N M 3

3+1

01

④ 두 대각선의 길이는 같지 않을 수도 있다.

02

AD”∥BC”이므로 ∠BEA=∠DAE (엇각) 또, ∠BAE=∠DAE이므로 ∠BAE=∠BEA 따라서 △ABE는 BE”=BA”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E”=4(cm)

이때 BC”=AD”=5(cm)이므로 EC”=BC”-BE”=5-4=1(cm)

03

△ABE와 △DFE에서

AE”=DE”, ∠AEB=∠DEF(맞꼭지각),

∠BAE=∠FDE(엇각)

∴ △ABE™△DFE (ASA 합동)

따라서 DF”=AB”=7(cm), CD”=AB”=7(cm)이므로 CF”=CD”+DF”=7+7=14(cm)

│실수하기

쉬운 문제│

01

△BCE와 △FDE에서 CE”=DE”,

∠BEC=∠FED(맞꼭지각), ∠BCE=∠FDE(엇각)

∴ △BCE™△FDE (ASA 합동)

∴ ∠EFD=∠EBC=19˘, FD”=BC”

△AHF는 직각삼각형이고, FD”=BC”=AD”이므로 점 D 는 △AHF의 외심이다.

즉, DH”=DF”이므로 ∠DHF=∠DFH=19˘

따라서 △DHF에서 ∠ADH=19˘+19˘=38˘

02

△ABC와 △DBE에서

AB”=DB”, BC”=BE”, ∠ABC=60˘-∠EBA=∠DBE

∴ △ABC™△DBE (SAS 합동)

같은 방법으로 △ABC™△FEC (SAS 합동)

∴ DE”=AC”=AF”, DA”=BA”=EF”

따라서 AFED는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03

CD”의 연장선 위에 BP”=DE”인 점 E를 잡으면

△ABP™△ADE (SAS 합동)

△APQ와 △AEQ에서 AP”=AE”, AQ”는 공통,

∠PAQ=45˘=∠BAP+∠DAQ

=∠DAE+∠DAQ=∠EAQ

∴ △APQ™△AEQ (SAS 합동)

∴ ∠AQD=∠AQP=180˘-(45˘+60˘)=75˘

A

C D E

B P

45˘ Q

60˘

│40~41쪽│

01020314 cm 040590˘

06360, 180, 180, BC”, 엇각, DC” 07

0812 cm¤ 0967

10

36cm

11

12

민지

13

14

15

28 cm¤

16

20 cm¤

➊회

http://zuaki.tistory.com

(17)

수 학 01

AD”=BC”이므로 5x-1=9, 5x=10 ∴ x=2

AB”=DC”이므로 7=x+y, 7=2+y ∴ y=5

02

AD”∥BC”이므로 ∠BEA=∠DAE (엇각) 또, ∠BAE=∠DAE이므로 ∠BAE=∠BEA 따라서 △BEA는 BA”=BE”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E”=5(cm)

같은 방법으로 CF”=CD”=AB”=5(cm) 이때 BF”=BC”-CF”=8-5=3(cm)이므로 FE”=BE”-BF”=5-3=2(cm)

03

∠A+∠B=180˘이므로

∠B=180˘_ =180˘_;9$;=80˘

∴ ∠D=∠B=80˘

04

∠ADC=180˘-110˘=70˘이므로

∠ADF=;2!;∠ADC=;2!;_70˘=35˘

△AFD에서

∠DAF=180˘-(90˘+35˘)=55˘

이때 ∠BAD=∠C=110˘이므로

∠BAF=∠BAD-∠DAF=110˘-55˘=55˘

05

② BD”의 길이는 알 수 없다.

06

⑤ ∠ABD=∠CDB(엇각)이므로 AB”∥DC”

즉, AB”=DC”, AB”∥DC”이므로 ABCD는 평행사변 형이 된다.

07

② RHA

08

△ADP+△BCP=;2!; ABCD=;2!;_54=27(cm¤ )

09

∠BAD+∠ABC=180˘이므로

∠BAE+∠ABE=90˘

△ABE에서 ∠AEB=180˘-90˘=90˘이므로

∠HEF=∠AEB=90˘ (맞꼭지각)

같은 방법으로 ∠EFG=∠FGH=∠GHE=90˘

따라서 EFGH는 직사각형이다.

10

∠ABC=∠ADC=76˘이고 BA”=BC”이므로

∠x=;2!;_(180˘-76˘)=52˘

△AFC에서 ∠FAC=180˘-(90˘+52˘)=38˘

△AEO에서 ∠y=180˘-(90˘+38˘)=52˘

∴ ∠x+∠y=52˘+52˘=104˘

11

△OBE와 △OCF에서

OB”=OC”, ∠OBE=∠OCF=45˘,

∠BOE=90˘-∠EOC=∠COF

∴ △OBE™△OCF (ASA 합동) 4

5+4

│42~43쪽│

01x=2, y=5 02030455˘ 05

06070827 cm¤ 09

10

11

100 cm¤

12

84˘

13

경미, 준수

14

②, ③

15

18 cm¤

16

6 cm¤

➋회

따라서 △OBE=△OCF이므로

(포개어진 부분의 넓이)=△OEC+△OCF

=△OEC+△OBE

=△OBC=;4!; ABCD

=;4!;_20_20=100(cm¤ )

12

AD”∥BC”이므로 ∠ADB=∠DBC=32˘ (엇각) AB”=AD”이므로 ∠ABD=∠ADB=32˘

△ABC™△DCB이므로 ∠ACB=∠DBC=32˘

따라서 △ABC에서

∠BAC=180˘-(32˘+32˘+32˘)=84˘

13

태양: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평행사변형은 마름모이다.

미애:평행사변형에서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거나 두 대각선이 직교하면 마름모가 된다.

따라서 바르게 말한 학생은 경미, 준수이다.

14

㉠ 한 내각이 직각이거나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다.

㉡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거나 두 대각선이 직교한다.

15

AD”∥BC”이므로 △DBC=△ABC=42(cm¤ ) 이때 OB”:OD”=4:3이므로

△DOC=△DBC_ =42_;7#;=18(cm¤ )

16

△ABE=△ABF+△FBE,

△DBC=△DFE+△FBE+△EBC이고,

△ABE=△DBC이므로

20+△FBE=△DFE+△FBE+14

∴ △DFE=20-14=6(cm¤ ) 3 4+3

01

⑴ AB”=CD”이므로 2x-5=13, 2x=18 ∴ x=9

⑵ AO”=;2!;BD”이므로 3x+1=;2!;_20 3x=9 ∴ x=3

⑶ BO”=CO”이므로 9-x=5x-3, 6x=12 ∴ x=2

02

⑴ AE”∥DB”이므로 △ABD=△EBD EB”=BC”이므로 △EBD=△BCD

∴ △ABD=△EBD=△BCD

⑵ AE”∥DB”이므로 △ABD=△EBD

∴ ABCD=△ABD+△DBC

=△EBD+△DBC=△DEC

⑶ AE”∥DB”이므로 △ABD=△EBD

∴ ABCD=△ABD+△DBC=△EBD+△DBC

=△DEC=;2!;_12_4=24(cm¤ )

│44~45쪽│

01⑴ 9 ⑵ 3 ⑶ 2

02⑴ △EBD, △BCD ⑵ △DEC ⑶ 24 cm¤

0338˘ 04150˘ 0542 cm 06승현, 현진

07- 26 cm¤ 07- 6 cm¤ 07- 40 cm¤

http://zuaki.tistory.com

(18)

03

⑶ AC”:DF”=2:3이므로 AC”:12=2:3 3AC”=24 ∴ AC”=8(cm)

04

⑶ DE”:ST”=1:2이므로 3:ST”=1:2

∴ ST”=6(cm)

07

⑴ AB”¤ =BH”_BC”이므로 6¤ =4_(4+x) 36=16+4x, 4x=20 ∴ x=5

⑵ AH”¤ =BH”_CH”이므로 4¤ =8x ∴ x=2

01 -

③ 두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을 때, 두 부채꼴은 닮은 도형이다.

VIII . 도형의 닮음

1. 도형의 닮음

│46쪽│

01ª 02⑴ 점 E ⑵ AB” ⑶ ∠D

031, 2 04SAS

│47쪽│

01⑴ ⑵ × ⑶ ⑷ × ⑸ ×

02⑴ ABCDª EFGH⑵ 점 G ⑶ EH” ⑷ ∠B

03⑴ 2:3 ⑵ 85˘ ⑶ 8 cm

04⑴ 1:2 ⑵ 면 PSUR ⑶ 6 cm

05㉠`과 ㉥ `(AA 닮음), ㉡`과 ㉤ `(SSS 닮음),

㉢`과 ㉣ `(SAS 닮음)

0616, 4, AD”, 9, 3, ∠A, SAS

07⑴ 5 ⑵ 2

│48~51쪽│

대표 유형01㉠, ㉤ 01-01- ② 대표 유형0202- :¡5§: 02- ⑤ 대표 유형037 03- 9 cm03- ⑤ 대표 유형04③, ⑤ 04-04-

대표 유형0505- AD”, ∠A, SAS, 2, 2, 18, 6

05- 6 cm

대표 유형0613 cm 06-06-

06- 8 cm

대표 유형0712 cm 07-07- :™4∞: cm 대표 유형0808-08- 39 cm¤

08- 12 km

019 cm 02;3*; cm 03:¡5§: cm

│실수하기쉬운 문제│

03

⑴ △ABP와 △CDQ에서

AB”=CD”, ∠APB=∠CQD=90˘,

∠BAP=∠DCQ(엇각)

∴ △ABP™△CDQ (RHA 합동)

⑵ ∠BPQ=∠DQP=90˘ (엇각)이므로 BP”∥DQ”

또, △ABP™△CDQ이므로 BP”=DQ”

따라서 PBQD는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 가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⑶ ∠PBQ=∠PDQ=180˘-(52˘+90˘)=38˘

04

⑴ ∠ABE=90˘-60˘=30˘이고 BA”=BE”이므로

∠AEB=;2!;_(180˘-30˘)=75˘

⑵ ∠DCE=90˘-60˘=30˘이고 CD”=CE”이므로

∠DEC=;2!;_(180˘-30˘)=75˘

⑶ ∠AEB=∠DEC=75˘, ∠BEC=60˘이므로

∠AED=360˘-(75˘+60˘+75˘)=150˘

05

AD”∥BC”이므로 ∠AEB=∠DAE (엇각) 또, ∠BAE=∠DAE이므로 ∠BAE=∠BEA 따라서 BE”=BA”=10(cm)이므로

AD”=BC”=BE”+EC”=10+4=14(cm) …… [2점]

AB”∥DF”이므로 ∠DFA=∠BAE (엇각) 또, ∠BAE=∠DAE이므로 ∠DFA=∠DAE 이때 ∠D=∠B=60˘이므로 △AFD는 한 변의 길이가

14 cm인 정삼각형이다. …… [2점]

∴ (△AFD의 둘레의 길이)=3_14=42(cm) …… [1점]

06

승현:㉢`은 한 내각이 직각이거나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 다는 조건이 필요하다. …… [2점]

현진:㉣`은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거나 두 대각선이 직교한다는 조건이 필요하다. …… [2점]

따라서 틀리게 말한 학생은 승현, 현진이다. …… [1점]

07 -

△ABP+△CDP=;2!; ABCD이므로 …… [2점]

13=;2!; ABCD

∴ ABCD=26(cm¤ ) …… [1점]

07-

△APO와 △CQO에서

AO”=CO”, ∠AOP=∠COQ(맞꼭지각),

∠PAO=∠QCO(엇각)

∴ △APO™△CQO (ASA 합동) …… [2점]

∴ △APO+△QDO=△CQO+△QDO

=△CDO=;4!; ABCD

=;4!;_24=6(cm¤ ) …… [2점]

07-

BC”=EC”, DC”=FC”이므로 BFED는 평행사변형이

다. …… [2점]

ABCD=4△ABO=4_5=20(cm¤ )이므로

△BCD=;2!; ABCD=;2!;_20=10(cm¤ )…… [2점]

∴ BFED=4△BCD=4_10=40(cm¤ )…… [1점]

http://zuaki.tistory.com

참조

관련 문서

(2)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가연성 물질의 경우와 같이 폭발성이 강한 설비의 경우 폭발에 의한 주변설비의 타격과 그로 인한 연쇄사고에 대한 다음의

효소의 활성부위에 기질을 근접시키는 기능 - 배향성효과(orientation effect):4. 반응하는 물질의 반응이 쉽도록 가장 선호하는 환경의 조성

그림 5.7 반응식에 있는 어떤 두 물질의 몰 관계를 알기 위하여 반응식을 이용...

 열용량 : 어떤 물질의 온도 1K만큼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CNU Engine Research Lab..

그리고 이러한 표현 법은 입자크기 구간 별로 서로 연속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별 수적 분포가 크기별로 연속적으로

(18) 인화성 액체가 지표수 또는 지하수에서 발견되는 경우 폭발성 증기 농도가 도랑 또는 웅덩이로 확산될 수도 있다.. (가) 대부분의 경우 지표수에서 발견되는

움직임 게임을 통해 여러 가지 동선과 움직임을 활용하여 물질의 상태 및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이 활동을 통해 물질의 상태변화를 재미있는 활동을 통해 반복함으로써

이 중 QUAL2E모델은 국내의 유역보전사업 등에 널리 쓰여 왔다.그러나 QUAL2E 모델은 조류에 의한 BOD성 물질의 생산과 bottl eBOD를 모의할 수 없으므로 조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