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핀란드를 대표하는 20인 20 FACES FROM FINLAND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핀란드를 대표하는 20인 20 FACES FROM FINLAND"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핀란드를

대표하는 20인

20 FACES FROM

FINLAND

(4)
(5)

CONTENTS (목차)

I. 정치/외교/역사 _ 5

・ Gustaf John RAMSTEDT(1873-1950 / 외교관, 언어학자) _ 6

・ Simo Häyhä(1905-2002 / 군인) _ 7

・ Gustaf MANNERHEIM(1867-1951 / 국가 원수, 대통령) _ 8

・ Johan Vilhelm SNELLMAN(1806-1881 / 정치인, 작가, 언론인) _ 10

・ Miina Sillanpää(1866-1952 / 정치인, 노동운동가) _ 12

・ Tarja HALONEN(1943- / 대통령) _ 13

・ Urho KEKKONEN(1900-1986 / 대통령) _ 15

II. 경제 _ 17

・ Armi RATIA(1912-1979 / 마리메꼬 창업자) _ 18

・ Karl FAZER(1866-1932 / Fazer 과자회사 창업자) _ 19

III. 문화/스포츠 _ 21

・ Aleksis KIVI(1834-1872 / 작가) _ 22

・ Alvar AALTO(1898-1976 / 건축가, 디자이너) _ 24

・ Eino LEINO(1878-1926 / 시인) _ 26

・ Elias LÖNNROT(1802-1884 / 의사, 언어 학자) _ 28

・ Jean SIBELIUS(1865-1957 / 작곡가) _ 30

・ Johan Ludvig RUNEBERG(1804-1877 / 시인) _ 32

・ Mikael AGRICOLA(1510-1557 / 종교 개혁가) _ 34

・ Minna CANTH(1844-1897 / 작가, 사회운동가) _ 35

・ Paavo NURMI(1897-1973 / 운동 선수) _ 36

(6)
(7)

I

・ Gustaf John RAMSTEDT

・ Simo Häyhä

・ Gustaf MANNERHEIM

・ Johan Vilhelm SNELLMAN

・ Miina Sillanpää

・ Tarja HALONEN

・ Urho KEKKONEN

정치/외교/역사

2 0 F A C E S F R O M F I N L A N D

(8)

20

1873-1950 / 외교관, 언어학자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는 알타이어족에 대한 비교 연구 및 저서로 잘 알려져 있는 언어학자이다. 특히 알타이어족 가설에 한국어를 포함시켜 하나의 어족으로 보는 주장으로 유명하다.

남수오미 주 탐미사리 출신이며, 헬싱키 대학교에서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로 부터 핀우그리아어파를 배운 뒤 알타이어족을 학습하였다. 이후 몽골, 동튀르 케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아시아 지역의 학술 탐험대에 참가해 알타이 민족의 언어를 연구하였다. 그 뒤 1917년 헬싱키 대학교의 교수 자격을 취득했으며, 1920년부터 1929년까지 초대 주일 공사를 역임하였다. 역임하던 중 한국어를 학습, 1939년 <한국어 문법>, 1949년 <한국어 어원연구>를 저술하여 한국어를 국제사회에 체계적으로 처음 널리 알렸다. 이후 1930년부터 1941년까지 헬싱키 대학교의 교수로 다시 활동했으며, 1944년까지 객원 교수를 맡았다.

헬싱키에서 서쪽으로 약 100㎞ 떨어진 Raseborg 시내 공원에 람스테드 교수 기념비가 있다. 기념비는 약 2.7m 높이에, 4면에는 각각 핀란드어, 스웨덴어, 한국어, 일본어로 람스테드 교수의 업적과 함께 동인의 생전 활동사진이 새겨져 있다.

Gustaf John RAMSTEDT

(9)

I.

/ /

1905-2002 / 군인

시모 해위해는 겨울전쟁에 종군한 핀란드의 군인으로, 역사상 가장 많은 전과를 올린 저격수이다. 3개월간 소련군 병사 최대 542명을 사살했다. 소련군 병사들은 해위해를 ‘하얀 사신(白死病, the White Death)’이라고 부르며 두려워하였다.

핀란드 남부 라우턔르비(Rautjärvi)에서 태어나 17세에 징병돼 15개월 의무 복무를 마치고 상병 전역한 그는 겨울전쟁에 예비역으로 다시 소집됐다. 뛰어 난 사냥꾼이었던 그는 사격 솜씨를 인정받아 저격수가 됐지만, 특이하게도 조준 경을 쓰지 않았다. 눈밭의 렌즈 반사광 때문에 위치가 노출될 수 있어서였다.

그는 입김을 감추기 위해 눈을 입에 머금고 저격했고, M28 소총 총열 아래의 눈을 얼음처럼 다져 발포 압력에 눈이 날리는 것을 피했다고 한다. 소비에트군이 백색 위장복을 입지 않은 점은 그에겐 큰 이점이었다.

해위해는 1940년 3월 6일 전투에서 총알 파편에 왼쪽 턱을 관통 당하는 중상을 입었지만, 1주일 뒤 평화조약으로 전쟁이 끝났다. 그는 5계급 특진한 소위 계급 장을 달고 제대했다. 핀란드의 영웅으로 제대한 그가 개발한 전술은 지금도 전 세계 저격수들이 배우고 있다.

Simo Häyhä

(10)

20

1867-1951 / 국가 원수, 대통령

구스타프 만네르헤임 (1867년 6월 4일 핀란드 아스까이넨 출생) 은 핀란드 군인 이자 대통령이고 역사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던 인물이다.

어린 시절부터 야심 찼던 만네르헤임은 1882년 15세의 나이로 하미나 군사 학교에 입학했지만 기율 위반으로 퇴학당하고, 헬싱키 사립 문법 학교에서 공부를 계속 하다가 1887년에 대학 시험에 합격했다. 같은 해 9월 만네르헤임은 상트 페테 르부르크의 니콜라예프 기병 학교에 입학하면서 그의 군 경력이 다시 시작되 었다. 그는 태도가 분명하고 올바른 군인으로서 근위병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에는 근위대 중위로 진급했다. 만네르헤임은 경력을 쌓기 위해 1904년 일본과 전쟁이 발발했을 때 자원했다. 이 시기에 그는 상관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았고 대령으로 진급하게 되면서 아시아 전역에 걸친 대규모 원정을 계획하기 시작 했다. 그리고 1906년 10월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말을 타고 아시아 전역을 횡단 하는 긴 원정을 시작했다. 그는 단 두 사람과 함께 거의 전적으로 중국에 속한 지역을 말을 타고 통과했는데, 그의 군사 임무는 러시아, 중국 및 영국의 관심을 끌었던 대부분의 무인 산지와 사막 지역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만네르헤임은 이 시대를 “군 경력의 각 단계는 매우 보람이 있었고, 더 넓은 관점을 즐겼다.” 라고 회고할 만큼 그는 뛰어난 정신력을 갖춘 장교로서 부대를 지휘했다.

Gustaf MANNERHEIM

(11)

I.

/ /

1917년 중장으로 진급한 만네르헤임은 다사다난한 군 생활을 마치고 남은 여행을 평화롭게 보내고 싶은 계획을 세웠으나 1918년 해방 전쟁 (소비에트 러시아와 그 동맹국인 핀란드 적군에 맞춰 싸워야 했다), 1939년부터 1940년 까지 겨울 전쟁 (소련에 대항한 핀란드 투쟁의 상징이었다. 그는 압도적으로 우세한 적에 대한 완강한 저항의 105일 동안 서방 세계 전역에서 인정 받았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계속 전쟁 등 세 번의 전쟁에서 핀란드군의 최고 사령관 으로 복무했다. 이후 1944년 제 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패배 가능성이 명확 해지나, 핀란드 의회는 만네르헤임을 핀란드 대통령으로 임명했으며, 1944년 부터 1946년에는 대통령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는 수십 년 동안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했고, 나중에는 고국인 핀란드에서 전쟁 영웅이 된 인물이다. 핀란드에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로 선정되었고, 핀란드의 아버지라 불려오고 있다. 헬싱키 도심에서 가장 긴 거리는 만네르헤 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2)

20

1806-1881 / 정치인, 작가, 언론인

요한 빌헬름 스넬만 (1806년 5월 12일 스웨덴 스톡홀름 출생) 은 핀란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가이자 철학자, 저널리스트, 정치인이다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태어난 스넬만 핀란드 대공국이 수립된 후 가족들과 함께 핀란드로 이주를 하게 된다. 투르쿠 아카데미에서 공부한 그는 1835년 제국 대학의 강사로 임명 되는데, 러시아의 핀란드 지배를 열렬히 반대한 사람으로서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대학 이사회로부터 지시되는 명령을 거부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스넬만은 1839년에 자발적으로 스웨덴과 독일로 망명했고, 1842년 까지 핀란드로 돌아오지 않았다. 이 시간 동안 학문과 정치 생활에 대한 그의 야망이 구체화되기 시작하는데, 그것은 바로 핀란드 민족 의식에 대한 것이었다.

1800년대 중반에는 스웨덴어 사용은 곧 엘리트들의 언어였다. 스넬만은 핀란 드어 사용을 늘리는 것이 핀란드가 러시아에 동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믿었다. 그는 민족적 정체성을 고취하는데 있어 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19세기까지 핀란드어로 출판된 것은 종교적인 저작물 외에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핀란드 민속 서사시이자 핀란드 문학의 가장 중요한 단일 작품인 깔레발라로 채워졌다. 스넬만은 이후 두 개의 정기 간행물을 출판하기 시작했다. 당시 핀란드어로 발행된 유일한 신문인 Maamiehen ystävä(The Countryman’s Friend)는 일반 핀란드인을 대상으로

Johan Vilhelm SNELLMAN

(13)

I.

/ /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고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것이 스넬만이 핀란드인들 사이에서 비할 데 없는 인기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였다.

스넬만은 1881년 7월에 사망했고, 그를 기념하는 동상은 핀란드 은행 앞에 있다.

(14)

20

1866-1952 / 정치인, 노동운동가

미나 실란패는 핀란드의 정치인, 노동운동가이다. 탄네르 내각의 사회장관보로 입각하여 핀란드 최초의 여성 각료를 역임했다.

1866년–1868년 핀란드 기근의 와중인 1866년 6월 4일 요키오이넨의 농민 집안에서 태어났다. 9남매의 대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12살 때부터 포르사의 목면공장에서 일했고 그 뒤 요키오이넨의 못 공장에서 일했다. 18세 때 포르 보로 이사하여 하녀 일을 하게 되었고 이때 이름을 미나 실란패라고 개명했다.

1900년부터 1915년 사이에 헬싱키 가사노동자협회 상근자로 일했다. 이후 1932년에서 1936년 사이에 핀란드 사회민주당 노동여성협회 간사를 지냈다.

1907년 선출된 핀란드의 첫 여성 의원 19인 중 한 명으로서 38년간 의회의원 으로 재임했다. 1926년에서 1927년 사이 배이뇌 탄네르의 내각에 사회장관 보로 입각하여 핀란드 최초의 여성 각료가 되었다. 1925년, 1931년, 1937년, 1940년, 1943년에 공화국 대통령 간접선거 유권자로서 투표했다.

언 론 인 으 로 서 1 9 0 5 년 에 서 1 9 0 6 년 사 이 에 《 여 성 고 용 인 잡 지 》 (Palvelijatarlehti), 1907년에서 1916년 사이에 《노동자 여성》

(Työläisnainen), 1922년에서 1943년 사이에 《여성 동지》(Toveritar)의 주필 을 지냈다.

10월1일은 그녀를 기념하는 날이며 시민참여의 날이기도 하다.

Miina Sillanpää

(15)

I.

/ /

1943- / 대통령

따르야 할로넨 (1943년 12월 24일 핀란드 헬싱키 출생) 은 핀란드 정치인으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핀란드 11대 대통령이자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역임 했던 인물이다.

1968년에 헬싱키 대학교를 졸업한 할로넨은 이후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핀란드 학생 연합에서 활동을 시작한 할로넨은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사회 사무 장관으로 일했다. 1970년에는 핀란드 노동 조합의 중앙 조직에서 여성 최초 변호사가 되었으며, 1971년 사회민주당에 입당한 이후 1974년 총리 비서관 으로 임명되면서 그녀의 정치 경력이 시작되었다. 1979년에 처음으로 의회에 선출된 할로넨은 핀란드 대통령직을 맡을 때까지 무려 네 번이나 재선되었다.

1984년부터부터 1987년까지 사회 위원장 위원회,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사회 복지부 관장, 1990년부터 1991년까지 법무부 장관,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법무 위원회 부의장, 1995년에는 대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이후 1995년 부터 2000년까지는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뿐만 아니라 1998년부터 1999년 까지 유럽 평의회 현인 위원회 위원이기도 했다. 할로넨의 인생의 중심에는 정치 활동이 있었다. 길고 광범위한 정치 경력을 가지고 있던 할로넨은 2000년 3월 1일에 마침내 핀란드 11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Tarja HALONEN

(16)

20

재임 기간 동안 할로넨은 국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 받는 대통령이었다. 2003년 에는 지지율이 최고 88%가 달할 정도로 매우 인기가 많았는데, 임기 제한 때문에 201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없었고, 2006년에 재선되었다. 핀란드 국민 캐릭터인 무민 (Moomin) 에 나오는 무민 맘마 캐릭터 별명을 얻기도 했다. 마치 국민들의 엄마처럼 친근하고 소탈한 성격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애칭이었다.

할로넨은 특히 인권, 민주주의, 양성 평등과 발전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것은 그녀의 정치 경력 전반에 걸친 중심 주제이기도 했다. 1980년에는 핀란드 성소수자 인권단체 Seta의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고, 재임 기간 동안 여성의 권리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기 마지막 몇 년 동안에는 유엔 활동에 더욱 밀접하게 관여하였는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여성 세계 지도자 위원회 의장으로, 2010년에는 유엔 사무총장의 글로벌 지속 가능성에 관한 고위급 패널의 공동 의장으로, 2011년에는 유엔 무역 및 개발 회의 자문 위원회 의장으로, 2017년에는 유엔 사무총장의 고위급 자문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 되었다. 할로넨은 2009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100인 안에 선정되기도 했다. 2011년에는 핀란드 헬싱키 시립 극장 옆에는 그녀의 70세 생일을 맞아 이름을 딴 작은 공원이 만들어졌다.

(17)

I.

/ /

1900-1986 / 대통령

우르호 께꼬넨 (1900년 9월 3일 핀란드 피엘라벨시 출생) 은 핀란드 정치인으로 1956년부터 1981년까지 핀란드 8대 대통령이자 25년 동안 최장수 대통령을 역임했던 인물이다.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께꼬넨은 어릴 때부터 학교 생활에서 모범생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작가가 되고 싶었던 그는 종종 단편 소설과 연극을 썼다. 께꼬넨은 1916년부터 1917년까지 핀란드 내전 동안 종군 기자가 되기도 했는데, 이후 그는 신문사 (Kajaani Lehti) 에서 기자 경력을 계속 이어갔고, 잡지 칼럼리스트로도 활동했다. 정치 칼럼에 대해 잡지에 글을 자주 실었는데,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총 5번의 핀란드 총리 재임 기간에도 글을 꾸준히 기고했다.

께꼬넨은 헬싱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그의 정치 입문은 1933년부터 시작되었다. 그의 첫 번째 정치적 직책은 농업부의 직위였다. 1936년부터 1956년 까지 의원으로서 다양한 국가 정치 공직에서 근무했는데, 제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카렐리야 (Karelia. 러시아 북서쪽에 있는 지역으로 핀란드와 국경을 접 하고 있다) 피난민 복지 센터의 이사이자 조정 위원이었다. 께꼬넨은 1954년에 출판된 정치 팜플렛을 통해 핀란드 경제 정책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 하기도 했다. 1950년부터 1964년까지 스웨덴 국민보수당 부위원장과 스웨덴 부총리를 역임했다.

Urho KEKKONEN

(18)

20

께꼬넨은 1936년부터 1956년까지 의회 의원으로 재직하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선출 및 임명 직책을 역임했다. 원래 그는 소련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 으며 1940년에는 핀란드를 양도하는 것에 반대한 두 의원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러나 1943년까지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이 될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핀란드가 독립을 유지하려면 해당 국가에 대해 우호적 중립 정책을 채택해야 한다고 결론짓기도 했다.

께꼬넨은 총리였던 당시 대통령이었던 유로 빠시끼비(Juho Paasikivi) 가 사망 하자마자 1956년 바로 대통령이 되었다. 1956년부터 1981년 건강 악화로 사임할 때까지 핀란드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국민들로부터 독재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고, 영향력 있는 지도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는데, 실제로 그가 장기 집권을 하는 동안 다양한 국제적 거래를 성사 시켰다. 1960년대는 소련과 5년 간의 무역 협정을 잘 맺었고, 핀란드를 세계 최고의 석유 굴착 장치 생산국 중 하나로 만들었다. 또한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1975년 8월 유럽 안보 및 협력에 관한 회의를 주선한 것인데, 이 회의에서 헬싱키 협정이 체결된다. 이는 서방 의회 민주주의의 전통 고수 동시에 모스크바의 신뢰를 얻는 데 있어서 모범적인 균형 달성했다. 그의 행정부는 핀란드가 강력한 이웃인 소련과 조심 스럽지만 우호적인 관계로 살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 중립 정책으로 유명했다.

목표는 자신의 외교 정책을 소련의 외교 정책과 연계하여 핀란드가 과도한 외부 영향 없이 자국의 업무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께꼬넨의 이력 중에는 1928년에 올림픽에 참가해 높이뛰기 금메달을 수상한 경력이 있는데, 핀란드 스포츠 기구와 핀란드 올림픽 위원회의 적극적인 회원 이기도 했다. 그는 굉장한 스포츠맨으로 알려졌다. 핀란드 라플란드 지역에서 스키를 즐기기도 했는데, 1983년에 라플란드에 있는 국립공원에 그의 이름을 기념해 명명된 우르호 께꼬넨 국립공원이 있다. 핀란드에서 가장 큰 보호 구역 중 하나다.

(19)

II

・ Armi RATIA

・ Karl FAZER

경제

2 0 F A C E S F R O M F I N L A N D

(20)

20

1912-1979 / 마리메꼬 창업자

마리메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창업자인 아르미 라티아는 직물디자 인을 전공하였다. 다소 보수적인 패션 스타일이 주를 이루었던 1950년대에 Marimekko는 패션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과감하게 표현하는 여성들에게 생생 하고 강렬한 컬러와 추상적인 패턴의 드레스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라티아는 방수포(oilcloth) 천을 판매하는 남편의 회사에서 일을 하였다. 남편회사의 천을 팔기 위한 목적으로 열었던 패션쇼에서 많은 여성들이 커다란 패턴과 과감한 색상으로 디자인된 의상을 사가는 것을 보고, 의류를 만들어 판매하기로 결심 한다.

브랜드 이름 Marimekko는 ‘마리’라는 핀란드에서 가장 친근한 여자 이름과 옷이라는 의미의 ‘메꼬’를 합쳐지며 만들어졌다. 1959년 미국에서의 박람회에 참가하여 마리메꼬라는 회사의 이름을 알리고, 이로 인해 Jonh F. Kennedy 영부인이 마리메꼬의 드레스를 입고 잡지촬영을 하여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게 되었다.

아르미 라티아는 예술적 재능을 알아보는 천재적 능력으로 능력 있는 디자이 너들을 고용하였고, 마리메꼬에서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문화를 조성하였다. 마리 메꼬에서 나온 디자인들은 시대에 상관없이 꾸준히 인기를 누리는 것들이 많다.

그녀의 대담함, 편협하지 않은 사고, 그리고 국제적 비즈니스 안목 등은 마리메 꼬가 상대적으로 작은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명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 중요한 요소이다.

Armi RATIA

(21)

II.

1866-1932 / Fazer 과자회사 창업자

칼 파체르는 1866년 헬싱키에서 태어났다. 그는 제과점 주인이 되고 싶었다. 그 당시 제과 제조로 가장 유명했던 나라는 러시아였다. 파체르는 상트 페테르부 르크의 한 당과 제조업자의 제자로 들어가 열심히 수련을 하여 1886년 첫 수련 증을 취득하고, 이후 독일 베를린 및 프랑스 파리를 포함한 유럽을 돌아다니며 제과 기술을 습득하였다. 마침내 1891년 헬싱키로 돌아와 그의 케이크 및 제과 점을 열게 된다. 그의 카페는 Kluuvikatu 3에 위치했는데, 현재까지도 운영이 되고 있다.

1897년 이후 러시아에서 저렴하게 수입되던 제과류에 관세가 적용되기 시작 하였다. 파체르는 많은 양을 생산하게 될 경우 핀란드 제과류도 수출에 승산이 있을 것을 깨닫고 그의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한다.

그의 제과는 러시아와 프랑스 전통의 장점만 모아놓은 퀄리티를 보유했다. 그의 제품의 질은 우수했으며, 겉모습은 눈길을 끌며, 포장 또한 견고했다. 파체르는 마케팅 능력도 탁월했다. 19세기말 이미 트램에 그의 상점을 광고하기 시작했다.

그의 상품은 국제박람회에서 우승을 하면서 전 유럽국가로 수출되기 시작했다.

1898년 영국으로의 첫 수출을 시작으로, 모로코, 스리랑카 등으로도 수출되었다.

Karl FAZER

(22)
(23)

III

・ Aleksis KIVI

・ Alvar AALTO

・ Eino LEINO

・ Elias LÖNNROT

・ Jean SIBELIUS

・ Johan Ludvig RUNEBERG

・ Mikael AGRICOLA

・ Minna CANTH

・ Paavo NURMI

・ Teemu SELÄNNE

・ Tove JANSSON

문화/스포츠

2 0 F A C E S F R O M F I N L A N D

(24)

20

1834-1872 / 작가

알렉시스 끼비 (1834년 10월 10일 핀란드 누르미야르비 출생) 은 핀란드 현대 문학의 창시자다.

1821년과 1868년 사이에 단 7명의 누르미야르비 출신 소년들만 대학에 입학 했는데 그중 한명이 알렉시스 끼비였다. 그 중 끼비는 유일한 평민이었고 나머지 소년들은 모두 계급의 자식들이었다. 1857년 끼비는 역사적인 결정을 내리는데, 그것은 그의 어머니가 마음속에 바랐던 루터교 성직자가 아닌 작가가 되기로 한 것이다.

끼비의 가장 중요한 문학 작품은 1850년대 중반 연극 Nummisutarit (웨딩 댄스)로 시작하여, 1871년에 출판된 연극 Margareta 로 끝난다고 볼 수 있다.

1865년에는 국가 문학상을 받았으며 오늘날에도 핀란드어로 쓰여진 희곡 중 가장 자주 공연되고 있는 연극이다. 작가로서 그의 힘의 원천은 놀라운 상상력에 있었다. 또한 사람에 대한 지식, 문학적 재능 그리고 동시에 그의 작품에 계속해 서 등장하는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동정이었다.

끼비가 첫 번째 문학상을 받았을 때부터 Kullervo, Nummisuutari 그리고 Seitsemän veljestä (일곱 형제. 끼비의 유일한 소설인 일곱 형제는 일찍 고아가 된 청년이 농장을 운영하려는 과정에서 인접 마을과 갈등을 겪는 이야기다.

Aleksis KIVI

(25)

III.

/

핀란드 남부의 시골마을과 숲이 배경이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 대회 에서 상을 받았고, 국가 소설의 지위를 얻었다.

그의 이름 끼비는 핀란드어로 돌을 의미한다. 이름에서 딴 그의 별명은 주춧돌 이었다. 핀란드 문학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들을 만들었던 끼비는 인생의 마지막 무렵에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다가 1872년 사망했다. 그의 나이 겨우 38세였다.

그의 생일인 10월 10일은 핀란드 문학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

(26)

20

1898-1976 / 건축가, 디자이너

알바르 알토 (1898년 2월 3일 핀란드 꾸오르딴네 출생) 는 핀란드의 가장 유명한 디자이너이자 건축가이며, 더 나아가 스칸디나비아에서 모더니즘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이다. 인간, 자연, 건물의 유기적 관계와 기능성을 바탕으로 공공 건물의 건축과 가구를 재탄생 시켰다.

1916년부터 1921년까지 헬싱키 공과 대학에서 건축 학위를 취득한 알토는 굉장히 우수한 성적을 받은 학생이었다. 1922년부터 1923년 사이에 스웨덴의 한 프로젝트에서 일을 했고, 예테보리 세계 박람회 의회 홀 디자인에 참여하기도 했고 같은 해 핀란드 탐페레에서 열린 산업 박람회를 위해 여러 건물을 설계하 기도 했다.

알토는 1923년 핀란드 유바스큘라에 거의 첫 번째 건축 사무실을 열었다. 일 년 뒤 알토는 거의 조수로 일했던 아이노 마르시오와 결혼하는데, 신혼 여행으로 갔던 이탈리아에서 지중해 문화를 접했고, 그의 창의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27년 알토는 핀란드 투르쿠로 거주를 옮겼는데, 그곳에서 Paimio Sanatorium (핀란드 남서부에 있는 결핵 요양소다. 1929년에 열린 건축 공모 프로젝트에서 우승하여 디자인 커미션을 받았다) 을 설계하여 기능주의 설계의 대가로 불리게 된다. 그가 추구하는 방향은 사람과 건물과 환경의 유기적 통합을 통해 예술적 조화를 이루는 것이었다. 현대 건축에서 가장 존경 받고 그의 설계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중 하나로 간주되는 Villa Mairea (1938년에서

Alvar AALTO

(27)

III.

/

1939년 사이에 지어졌으며, 핀란드 노오르마르꾸에 있는 부유했던 부부를 위한 개인 주택) 도 같은 맥락에서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1933년 알토는 헬싱키로 거주지를 다시 옮겼다. 1936년 건축 회사 아르텍을 설립하는데, 파리 세계 박람회 파빌리온, 뉴욕 세계 박람회 파빌리온, 미국 오리 건의 도서관, 독일 오페라 하우스와 같은 국제 커미션을 수행했다. 외에도 그의 중요한 건물에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의 베이커 하우스,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중앙대학교 병원, 헬싱키 공과대학, 덴마크의 North Utland 미술관,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노르딕 하우스, 비보르크에 있는 공공 도서관, 헬싱 키의 핀란디아 홀 등이 있다.

건축뿐만 아니라 알토의 가구, 유리 제품 및 보석을 때묻지 않은 자연의 이미지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을 불러 일으키게 한다. 그리고 그것은 대중의 시선과 관심을 사로잡았다.

알토는 1976년 5월 11일에 헬싱키에서 사망했다. 그의 첫 번째 작업실이 있었던 유바스큘라에는 거의 이름을 딴 알바 알토 박물관이 있다.

(28)

20

1878-1926 / 시인

에이노 레이노 (1878년 7월 6일 핀란드 팔타모 출생) 는 핀란드 예술가이자 시인이다.

1895년 헬싱키 제국 알렉산더 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한 레이노는 문학계에 재능이 있던 청년이었다. 일 년 뒤 그는 1896년 Maaliskuun lauluja(‘3월의 노래’)와 Tarina suuresta tammesta(‘The Tale of the Great Oak’)의 두 시집을 출판했던 열렬한 작가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1902년 거의 첫 번째 아내Freya Schoultz와 사랑에 빠지게 되는데, 이 사건은 레이노 인생에 큰 변화였다. 사랑은 그의 창의성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렸 으며, Leino는 그의 시집 Talvi-yö(‘Winter Night’)을 출판한다. 이는 새로운 승리이자 혁신을 위한 그의 무궁무진한 능력을 보여줬다.

그는 본격적으로 다양한 산문 작품 (Päivä Helsingissä(‘헬싱키에서의 하루’)와 연극 Väinämöisen kosinta(‘Väinämöinen’s Courtship’), Hiiden miekka(‘악마의 검’) 등) 활동을 하였으며, 1904년 Helsingin Sanomat의 영구 칼럼니스트가 되면서 마침내 일반 대중의 의식에 각인되었다.

1906년 그는 압제적인 러시아화 시대에 대한 작품Tuomas Vitikka(1906), Jaana Rönty(1907), Olli Suurpää(1908)을 출판하기 시작했다. 이 세 작품

Eino LEINO

(29)

III.

/

사이에 그는 또한 Lalli(1907), Maunu Tavast(1908), Tuomas piispa (‘Tuomas the Bishop’, 1909)의 3부작 연극을 출판했다.

레이노는 오랜 지병 끝에 1926년 1월 10일 사망했는데 그의 나이는 47세였다.

그는 겨우 12살의 나이에 Hämeen Sanomat 신문에 첫 시를 발표했으니 일생 에서 창작 기간이 무려 35년 지속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그는 80개 이상의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어 냈으며, 셀 수 없을 만큼 광범위한 번역을 출판했다.

작품들을 통해 전국 문학상을 여덟 번이나 수상했다. 레이노의 시는 여전히 핀란드인의 삶에 많이 남아 있다. 핀란드 사람들의 레이노를 존경하고 사랑 하는 마음에 그가 죽은 지 거의 70년이 지난 1995년에 소설 Mestari(‘마스터’)가 기록적인 판매를 달성할 정도였다.

(30)

20

1802-1884 / 의사, 언어 학자

엘리아스 룐로트 (1802년 4월 9일 핀란드 삼마띠 출생) 는 핀란드의 의사이자, 국가 서사시인 깔레발라의 편집자였다. 핀란드 국가 정체성의 가장 중심적인 아이콘 중 하나인 인물이다.

룐로트는 당시 핀란드의 유일한 대학이었던 투르쿠 아카데미에서 의학, 라틴어, 그리스어, 역사 및 문학과 같은 다양한 과목을 공부했다. 그의 초기 경력을 보면 룐로트는 1833년부터 1853년 기간에 까야니 지역의 의사였다. 당시 시골 지역은 기아와 전염병이 심했고 그는 지방 의사로서 위생의 중요성에 대해 사람들 에게 가르치는 일에 앞서 있었다. 의사가 부족해 치료를 받는 것이 굉장히 비쌌기 때문에 위생은 좋은 예방 조치가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당시로서는 파격 적인 제안이었던 아동 및 출산 보호 시스템 설립을 제안하기도 했는데, 실제로 100년 후에 체계화 되었으니 거의 제안은 한 세기를 앞선 것이다.

식물 전문가이기도 했던 그는 당시 가장 흔했던 병인 구루병과 괴혈병을 예방 하는 차원에서 음식을 만들 때 식물을 사용하라고 권장하기도 했다. 의사이자 저널리스트로도 일했던 룐로트는 1860년에 꽃과 잎에 대한 설명과 식물 사용에 대한 많은 메모가 담겨 있는 책(Flora Frnnica – Suomen Kasvisto)을 쓰기도 했다. 이것은 핀란드어로 출판된 최초의 과학 저작물이기도 하다.

Elias LÖNNROT

(31)

III.

/

1827년부터 핀란드어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고, 의사 생활을 하고 있었지만 그는 자리를 비우면서까지 11번의 민속 수집을 위해 여행을 떠난다. 사람들 사이에 살아있는 민속시의 세계에 들어가 그 고풍스럽고 때로는 난해한 언어를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그는 다양한 장르를 대표하는 3,500개 이상의 민속 텍스트를 기록했다.

이후 그는 깔레발라를 만드는 긴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깔레발라는 19세기 핀란드와 카렐리야 민속에서 편집한 서사시 작품이다. 1917년 러시아로부터 핀란드의 독립을 이끈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룐토르는 대중 교육 분야의 작가이자 새로운 어휘의 창시자였으며, 민속시의 수집가이자 편집자였다. 또한 1854년에는 헬싱키 대학의 교수로 임명되기도 했다. 핀란드어로 첫 강의를 하고 핀란드어 연구와 교육을 소개한 사람이다.

그는 핀란드어 발전과 표준화에 대한 공헌이 크다. 그의 목표는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핀란드어 표준을 개발하는 것이었으며, 표준화된 철자법을 개발 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1866년부터 1880년 사이에 최초의 핀란드 - 스웨덴어 사전을 편찬하는 작업을 맡았다.

(32)

20

1865-1957 /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는 스웨덴 계 핀란드 작곡가이다. 음악 활동을 위해 본명인 요한 (Johan) 대신 프랑스식 예명 장(Jean)을 사용했다. 시벨리우스의 음악은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의 시처럼 핀란드의 국민성을 대표한다. 그는 핀란드를 대표 하는 작곡가일 뿐 아니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세계적인 작곡가 이다. 그의 작품은 애조를 담은 북유럽의 음악다운 특색을 가지고 있다.

그는 9살 때 피아노를, 15살 때 바이올린과 작곡법을 배웠다. 하지만 가족들이 반대하여 1885년에 헬싱키대학 법학과로 진학하였다가 음악을 전공하기 위하여 중퇴하고 당시 음악원 교수로 있던 부조니를 사사하였다. 졸업 후 베를린과 빈으로 유학을 떠나 노년의 브람스로부터 격려를 받았다. 1892년 헬싱키음악 원의 교수가 되었으며 대서사시 칼레발라에 의한 교향시를 작곡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1899년에 작곡한 핀란디아 교향시가 있다. 러시아의 압제를 물리치고 당당하게 일어난 핀란드의 희망찬 앞날을 묘사한다. 중요한 공식적인 자리나 각종 행사에 많이 연주된다. 그 밖에도 그는 칼레발라에 영감을 얻은 작품과 일곱 개의 교향곡, 100개가 넘는 가곡, 13개의 연극을 위한 반주 음악, 하나의 오페라(Jungfrun i tornet - 미완성작품), 현악 사중주를 포함한 실내악 작품, 피아노 소품, 21개의 합창곡집, 프리메이슨 예배음악 등을 썼다.

Jean SIBELIUS

(33)

III.

/

그는 1925년 이후 30년의 여생 동안 시벨리우스는 작곡 활동을 중단하고, 음악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도 꺼려했다고 전해진다.

그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는 공원은 1945년 그의 탄생 80주년을 기념해 조성 되었으며, 시내 중앙역으로부터 서북쪽 방향, 대략 2㎞ 남짓 떨어진 거리에 있다. 그의 생일 12월 8일은 그의 탄생일이자 핀란드 음악의 날이며, 국기 게양일 로도 지정하였다.

(34)

20

1804-1877 / 시인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르그 (1804년 2월 5일 핀란드 포르보 출생) 는 핀란드의 낭만주의 시인 중 한 명이다.

1822년 투르쿠 대학에서 공부를 시작한 루네베르그는 1824년부터 1825년 까지 고전을 공부하였고, 1827년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Saarijärvi 지역과 일상 생활 및 관습에 대해 매우 흥미로운 에세이를 썼는데, 이 에세이는

‘조국’에 대한 그의 개념이 자신의 관찰, 그리스 문학에 대한 연구 및 투르쿠에 있는 동안 저널을 포함한 출처에서 얻은 독일 사상에 의해 형성되었던 방식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에세이는 1830년대까지 러시아어로 등장했으며 루네베르그가 러시아에서 얻은 초기 명성에 기여했다.

1828년 가을, 대학이 헬싱키로 이전되었을 때 루네베르그는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헬싱키로 옮겼다. 그의 첫 번째 시집은 1830년에 출판되었으며 그곳에서 그는 친밀한 서정성을 키우게 된다. 1837년부터 1857년에는 Liceo de Borga에서 문학 및 라틴어 교수로 재직하면서 경제 생활을 이어가게 된다.

루네베르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1809년 러시아-스웨덴 전쟁에서 영감을 받은 Ensign Stål(1848-1860)의 두 권의 이야기로 그는 명성을 얻게 된다.

그가 지은 시 가운데 하나인 <조국>은 핀란드의 국가로도 쓰이고 있다. 그는 또한 Hanna(1836), Nadeschada(1841), Christmas Eve(1841), King Fjalar (1844) 및 la obra dramática Kungarna pa Salamis(살라미스의 왕)(1863)를

Johan Ludvig RUNEBERG

(35)

III.

/

썼다. 사실적인 묘사, 낭만주의와 리얼리즘 그리고 고전주의를 결합한 독창적인 기법으로 그의 시는 매우 세련되었으며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매년 2월 5일은 루네베리의 탄생일을 기념하는 날로, 이 날이 되면 그의 부인이 자주 만들었다던 루네베리 타르트가 핀란드 슈퍼마켓과 베이커리에 판매된다.

그의 아들 Walter Runerberg가 디자인하고 조각한 그의 동상은 헬싱키 도심의 에스플라나디 공원에 있다.

(36)

20

1510-1557 / 종교 개혁가

미까엘 아그리꼴라 (1510년 Pernå출생) 는 핀란드의 언어학자이자 종교 개혁 가다.

아그리꼴라는 본당의 사제로부터 초등교육을 받았고, 1520년대 초에 비보르크 학교에서 학업을 이어나갔다. 1528년 아그리꼴라는 스승과 함께 투르쿠로 이주하며 Martti Skytte 주교의 서기가 되었다. 1539년 아그리꼴라는 석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이때부터 적극적인 출판을 시작하게 된다. 1543년에는 사도 행전을, 1544년에는 기도서를 출판했으며, 신약성경 번역을 다듬기도 했다.

종교개혁 덕분에 많은 사제들이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었는데 아그리 꼴라도 1550년에 그의 아내를 만나 가정을 이루었다. 가정을 이룬 이후에도 그의 저술 작업은 계획되었고, 구약의 일부를 출판했다. 아그리꼴라는 핀란드 최초의 루터교 주교로 핀란드 입문서(c. 1543)와 신약성경을 그리스어에서 핀란드어로 번역했고, 1642년에 전체 성경에 대한 최초의 핀란드어 번역이 출판되었다.

타고난 언어학자이자, 학식 있는 식학자, 자연 과학, 법학, 의학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지식을 갖춘 인문주의자였던 아그리꼴라는 성경 번역을 통해 표준 핀란 드어의 기초를 닦았다. 개혁가로서 그는 후기 종교 저작물과 함께 성경의 중요 성을 강조하는 루터의 모범을 따랐다.

헬싱키 뿌나부오리 지역에 그의 이름을 따서 1933년과 1935년 사이에 지어진 루터교 교회가 있으며, 헬싱키 대성당 안에는 그의 조각상이 기념되어 있다.

Mikael AGRICOLA

(37)

III.

/

1844-1897 / 작가, 사회운동가

민나 칸트는 1844년 쿠오피오 지역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여성인권 운동의 대모로, 그 사상이 시대를 앞서갔을 뿐 아니라 자신의 관점을 강하게 주장하여 당대에는 논쟁적인 인물이었다. 민나 칸트는 여성으로서 첫 국기게양일을 부여 받았으며, 그의 생일(3월 19일)은 핀란드에서 사회평등의 날이기도 하다.

1863년, 핀란드 최초로 여성에게 개방된 고등교육기관이었던 이위배스퀼래 사범신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1865년 자연과학 선생이었던 요한 페르디 난트 칸트(Johan Ferdinand Canth)와 결혼하면서 중퇴했다. 1866년에서 1880년 사이에 일곱 자녀를 낳았고, 남편이 주필로 있는 『중앙수오미』(Keski- Suomi)지에 기고를 시작했다.

칸트는 여성문제에 관해 글을 썼고 금주운동을 지지했다. 1876년 그녀의 글들이 불화를 일으키면서 칸트 부부는 신문 일을 그만두어야 했지만, 이듬해 『패이 얜네』(Päijänne)로 이적했고, 민나는 『패이얜네』 지면에서 문학 작품을 처음 발표했다.

민나의 작품은 사실주의 성격이 강했다. 1885년 발표한 희곡 ‘노동자의 아내’는 알코올 중독자 남편이 아내가 힘겹게 벌어온 돈을 끊임없이 탕진하며 온 가족을 절망의 늪으로 끌고 가는 이야기였다. 그의 작품은 격렬한 사회적 논쟁을 불러

Minna CANTH

(38)

20

1897-1973 / 운동 선수

파아보 누르미 (1897년 6월 13일 핀란드 투르쿠 출생) 는 핀란드 재능 있는 핀란드 운동 선수다.

그의 신장 (키 174cm, 몸무게 65kg) 은 장거리 주자에게 이상적이었다. 그는 기본 훈련은 독학으로 이뤄냈으며, 스톱워치로 자신의 페이스와 그 효과를 측정하는 법을 배웠다. 그는 손에 시계 없이는 경주를 한 적이 없을 정도였다.

1914년 누르미는 지역 스포츠 클럽에 입단하였다. 1920년 5월 29일 투르쿠 에서 그는 첫 핀란드 국가 기록을 세웠는데 거리는 3000미터, 시간은 8.36,2 입니다.

그는 1920년 앤트워프 게임에서 올림픽 데뷔를 했다. 그는 10,000m, 크로스컨 트리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대회를 석권했습니다. 5000m 에서도 은메달을 땄다.

1921년 6월 22일 스톡홀름에서 그는 10,000m에서 30초 40.2라는 자신의 첫 세계 기록을 세웠다. 그는 한때 자신의 기본 원칙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시간과 경쟁할 때 전력 질주할 필요가 없습니다. 테이프가 끝날 때까지 꾸준 하고 열심히 하면 다른 사람들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합니다.” 1923년 말 Paavo Nurmi는 마일, 5000m, 10000m의 세 가지 명성 있는 트랙 종목에서 세계 기록을 보유했다.

Paavo NURMI

(39)

III.

/

1924년 파리에서 열린 제 8회 올림픽에서는 누르미 선수 생활에서 최고의 시간 이기도 했다.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는 (개인 3개, 단체 2개) 최초의 선수가 되는 역사를 만들었다.

그의 조각상은 현재 유바스큘라 대학교 체육 학부 앞에, 헬싱키 올림픽 경기장 앞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누르미의 고향인 투르쿠에 세워졌다.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 박물관 공원에도 그의 동상이 있다.

(40)

20

1970- / 아이스하키 선수

떼무 셀란네 (1970년 7월 3일 핀란드 헬싱키 출생) 는 유명한 하키 선수다.

1989년부터 1990년에 SM-liiga 의 Jokerit 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NHL 역사상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선수 중 하나다. 신인 시절 떼무는 득점왕 선수로 유명했다. 1992-1993년 시즌에 NHL의 돌파구를 마련했고 뛰어난 루키 시즌을 보냈다. 그는 132점을 위해 76골과 56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그는 올해의 신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3-1994년 시즌 동안 셀란네는 아킬레스건이 절단되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결국 회복했다. 이러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떼무는 여전히 2경기에 평균 1골을 기록했다.

1996년 오프 시즌 동안 떼무는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 기반을 둔 프로 아이스 하키 팀 Anaheim Ducks 으로 이적하게 된다. 이적한 팀에서 첫 시즌 동안 그는 51골을 기록하면서 팀을 이끌었고, 다음 시즌에서도 다시 50 골 이상을 득점 했다. 놀라운 속도와 힘을 가진 타고난 득점자 라는 평가를 받는다. 떼무는 또한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 핀란드를 대표하여 핀란드 하키 팀의 일원으로 동메 달을 획득한다.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영웅적 하키 선수 중 한 명이 된 그는 43 세의 베테랑으로 소치 올림픽 MVP로 커리어를 마감했다.

2017년 떼무는 역사상 100명의 위대한 NHL 선수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6월 26일 하키 선수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영예인 하키 명예의 전당에 선출된 두 번째 핀란드 선수가 되었다.

Teemu SELÄNNE

(41)

III.

/

1914-2001 / 무민책 저자 및 일러스트레이터

토베 얀손(Tove Jansson)은 무민 책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그녀의 책은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무민 캐릭터 또한 아이들과 어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조각가인 아버지와 일러스트레이터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토베는 두 남동 생과 함께 예술가의 꿈을 자연스럽게 키워갔다.

토베는 싱크대 뒤에 살면서 목에 입김을 분다는 괴물 ‘트롤’ (북유럽의 도깨비와 같은 존재로서 두렵고 무서운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무민으로 재탄생 시킨다.

겨울전쟁(Winter War)이 시작되었던 1939년에 토베는 첫 번째 ‘무민 가족과 대홍수’ 책을 집필하였다. 커다란 코의 우울하고 우스꽝스러운 무민의 모습은 점차 오늘날의 귀엽고 통통한 형태를 띠어 갔으며,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작은 귀와 통통한 배, 짧은 손발 등의 모습으로 변해갔다.

부모님과의 각별한 관계, 주변 지인, 어린 시절의 즐겁고 평화로운 기억 등은 그녀의 무민 세계의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토베는 주변 지인과 가족들을 무민 세상에서 활력 넘치는 다양한 캐릭터로 탄생시켰다. 무민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무민 골짜기와 주변의 아름다운 숲, 소박한 소품들 역시 토베가 어린 시절 경험했던 핀란드 자연과 문화가 스며든 것이다.

Tove JANSSON

(42)

참고자료

https://kansallisbiografia.fi/

(43)
(44)

참조

관련 문서

- 방어기전은 금지된 욕구, 죄책감, 무 능력감과 타협(Compromising)하는 하 나의 수단이다.. → 이때 불안은 대개 상징적인 대상으로 옮겨져 있다.. - 부정과

악을 대표하는 인물인 광해군은 절대권력을 위해 선을 대표하는 인물인 인목대 비를 계속해서 핍박한다 계축옥사는 계축년. 국구인 김제남과 대비의 동생들이

나무 젓가락은 쇠젓가락보다는 약하지만

이상으로 극동대학교 자위소방대 합동소방훈련을 모두

창작 활동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였는데,먼저 가사에 어울리는 가락 만들 기는 가사의 길이에 알맞은 형식의 가락을 만들거나,가사에 어울리는 리듬과 가락

–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 얻어진 객체의 정보에 대해서 수치화된 데이터 를 추출하는 과정이나 추출되어진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 • 객체의 형태학적인 특성, 색상들의

④ 외국에 있는 영업소ㆍ국제기구에 근무하고 있는 국민 또는 2년이상 외국에 체재 하고 있는 국민(아래의 2. 비거주자 ③ 내지 ⑥에 해당하는 국민)으로서 일시귀국

캐릭터 사회적 통념에 맞는 행동양식을 지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