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5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20년 2월 박사학위 논문

대장암 생쥐 모델에서 철분이 광역학 치료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 학 과

박 성 남

(3)

대장암 생쥐 모델에서 철분이 광역학 치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ron on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in Colon Cancer Bearing Mouse Model

2020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 학 과

박 성 남

(4)

대장암 생쥐 모델에서 철분이 광역학 치료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안 태 규

이 논문을 의학박사 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9년 10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 학 과

박 성 남

(5)

박성남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이 병 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임 성 철 (인) 위 원 이화대학교 교 수 주 웅 (인) 위 원 원광대학교 교 수 김 병 윤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안 태 규 (인)

2019년 12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ⅵ

1. 서론 ...1

A. 대장암 ...1

B. 광역동 치료 ...1

C. 광민감제 ...3

D. 빛(광원) ...4

E. 반응성 산소 ...5

F. 금속이온 ...5

G. 실험목적 ...6

2. 재료 및 방법 ...8

A. 실험재료 ...8

B. 실험동물 ...8

C. 세포배양 ...8

D. Colon cancer bearing mouse model 확립 ...9

E. 광역동치료(PDT) ...9

F. 종양조직 TBARS 측정 ...10

(7)

G. 종양 조직 RNA-sequencing 및 분석 ...10 H. 통계처리 ...11

3. 결과 ...12

A. CT26 cancer bearing mice의 종양에 PDT 시행

후 종양 용적의 변화 ...12 B. CT26 cancer bearing mice의 종양에 PDT 시행

후 종양조직 TBARS 량의 변화 ...12 C.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조직 유전자 세트

(Gene set) 발현 변화 ...13 D. PDT군과 Iron+PDT군의 암조직 화학주성

(chemotaxis)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13 E. PDT군과 Iron+PDT군의 암조직 사이토카인과

사이토카인수용체 상호반응(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14 F. PDT군과 Iron+PDT군의 암조직 사이토카인 활성 (cytokine activity)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14 G. PDT군과 Iron+PDT군의 암조직 염증반응

(inflammatory responsec)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15

(8)

4. 고찰 ...16

5. 요약 ...22

6. 참고문헌 ...24

(9)

표 목 차

Table 1. Effects of PDT on growth of tumor in

CT26 cancer bearing mice ... ..33 Table 2. Functional categories of differential

expressed genes in tumor tissues from

Iron+PDT versus PDT mice ...34 Table 3.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chemotaxis ...35 Table 4.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36 Table 5.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cytokine activity ...37 Table 6.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inflammatory response ...38

(10)

도 목 차

Fig.1. Type I and type II photochemical reaction ...39

Fig.2. Tetrapyrrole backbones ...40

Fig.3. Tetrapyrrole photosensitizers ...41

Fig.4. Chemical structure of phthalocyanine ...42

Fig.5. Diode laser irradiation with a 660 nm red light ...43

Fig.6. Photography of CT26 cancer bearing mice after photodynamic therapy with 80 J/Cm

2

...44

Fig.7. Effects of iron and PDT on tumor growth ...45

Fig.8. The effects of iron and PDT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 in

tumor tissue of CT26 cancer bearing mice

...46

(11)

ABSTRACT

Effects of Iron on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in tumor bearing Mouse Model

Park Seong-Nam

Advisor : Prof. Ahn Tae-Gyu, M.D, 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hotodynamic therapy (PDT) is a noninvasive cancer treatment method that treats cancer using photosensitizing agents and light. However, PDT needs to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due to the limitation of light transmission and the limited effect of photosensitiz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iron on the effects of PDT on cancer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iron group, PDT group, and Iron+PDT group. The CT26 tumor bearing mouse model was used to induce carcinoma by injecting colon cancer cells (CT26 cells) into Balb/c mice. Iron (10 mg/kg BW)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2 hours prior to photon injection. Photolon (2.5 mg/kg BW)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2 hours prior to laser irradiation. The laser was irradiated to the tumor site with 80J dose using a semiconductor laser.

The tumor volume was measured every three days after laser irradiation using digital caliper. After three hours of laser irradiation, the gene expression was measured by the mRNA sequencing method and the cancer tissue lipid peroxid(TBARS) content was measured by using OxiSelect™

(12)

TBARS Assay Kit. The volume of tumors was increased by 421% on the 14th day compared to the 0 day, the control group was increased by 418%, the PDT group was increased by 114%, and the Iron+PDT group was reduced by 53%. After 3 hours of PDT, the TBARS content of tumor tissue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iron group. Tumor tissue TBARS content increased 178% over control group, while Iron+PDT group increased 67%

over PDT group.

Three hours after PDT, gene expression in tumor tissue was measured and 12 chemotaxis-related genes in the Iron+PDT group were increased by 17.0 times, 13 genes related to cytokin-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increased by 7.3 times, and the corresponding gene response was increased by 10 times, respectively.

In these experiments, when photolon-PDT was performed using CT26 tumor bearing mouse, iron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volume of tumors, increased the TBARS volume in cancer tissues,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inflammatory reactions.

The anticancer effect increased by iron in Photolon-PD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use iron very effectively in the treatment of cancer by PDT.

Key words: Photodynamic therapy, Iron, photolon, CT26 cells.

(13)

1. 서 론

A. 대장암

세계적으로 대장암은 매년 100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는 암으로, 2018 년에 55,0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 대장암은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암으로 국가 암 등록통계에 의하면 2011년에 우리나라에 발생한 대장암은 총 28,112건으로 전체 암 발생(218,017건)의 12.9%를 차지하며 암 발생빈도 3위, 암 사망률 4위를 차지하는 암이다.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은 56.1건이며,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2). 대장암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및 면역 요법 등으로 치료하고 있다(3). 암은 전 세계적으로 인류의 건강을 가장 위 협하는 질환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아직까지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남아있다. 따라서 암 치료 효과를 증 대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치료방법을 여러 가지 병행하여 시행하는 복합적 치 료요법이나, 새로운 치료제나 방법의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3).

B. 광역동 치료

광역동 치료(photodynamic therapy)는 암 치료분야에서 대안적인 비침윤적 치료법으로서 광민감제 투여 후 암 조직에 빛을 조사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4). 광역동 치료는 광민감제(photosensitizer)에 특정한 파장의 광선을 조 사하여 활성화되는 광역동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세포나 조직에 작용하여 치료효과가 나타나게 하는 방법이다(4). 광민감제는 특정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광자를 흡수하여 활성화

(14)

(excitation) 상태로 전환되는데, 이 과정을 광감작 반응(photosensitizing reaction)이라 한다(5). 기저상태의 광민감제가 활성화되면 광감작반응에 예 민한 주변의 물질들을 산화시키고 다시 기저상태로 되돌아간다(5).

따라서 광민감제는 광감작 반응이 일어나더라도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빛 을 지속적으로 조사하면 광감작 반응은 광민감제가 배출 될 때까지 계속해서 일어날 수 있다(5).

광감작반응에 의해서 활성화된 광과민제는 주위의 목표물질(target molecules)에 작용하여 광화학 반응(Photochemical reactions)을 일으킬 수 있는데, 광화학반응은 type I과 type II 반응이 있다(6)(Fig.1). Type I 반 응은 광감작 반응에 의해서 활성화된 광민감제가 목표물질(기질)에 직접 작 용하는 반응이고, type II 반응은 활성화된 광민감제가 산소와 반응하여 ROS 를 생산하고, 이 반응성 산소종이 기질에 작용하는 반응이다(6). 반응성 산 소종은 세포내 단백질, 지질 및 핵산에 작용하여 이들 물질을 산화시켜서 세 포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반응성 산소종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트립토판, 티 로신, 히스티딘, 시스테인 및 메치오닌등과 반응하고, 지질의 불포화지방산 에 반응하여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며, 핵산의 구아닌과 반응하여 산화시킴 으로서 세포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7). 따라서 광역동 치료는 활성화된 광민 감제가 직접 또는 반응성 산소종을 생성하여 세포내 단백질, 지질 및 핵산에 산화적 손상을 유발하여 치료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8). 광역동 반응 에서 생성되는 반응성 산소(singlet oxygen)는 수명이 매우 짧아(10 ~ 320 ns) 세포에서 확산이 약 10-55 nm로 제한되기 때문에(9), 광역동 치료에서 나타나는 세포내 단백질, 지질 및 핵산에 산화적 손상은 세포내 광민감제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10). 광민감제는 종류에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소포체 및 원형질막에 위치하는 제재가 있다(10).

PDT에 의한 세포손상은 세포 사멸로 이어지며, 세포사멸의 종류는 세포 자멸 사(apoptosis), 괴사(necrosis) 및 자가 포식(autophage)이 있다(11). 현재 광역동 요법은 다양한 광민감제와 투여방법이 개발되고, 병변 부위에 적절한

(15)

파장과 양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그 응용분야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C. 광민감제

광민감제는 빛에너지인 광자를 흡수하여 활성화되는 물질로서, 항암치료에 이용되는 광민감제는 테트라피롤 골격(tetrapyrrole backbones)을 가진 물질 인 포르피린(porphyrin), 엽록소(chlorophyll), bacteriochlorophyll 및 Phthalocyanines 이 있다(12) (fig.2,3).

포르피린은 항암치료에 이용되는 광민감제중 최초로 개발된 제재로서 1 세 대 광민감제다(13). Lipson은 1960년도에 헤마토포르피린(hematoporphyrin) 으로부터 포토프린(Photofrin)을 처음 개발하여 암 진단에 이용하였고, 1970 년대 후반기부터 악성종양 치료 실험에 이용되었고, 방광암 치료, 식도암과 폐암의 치료에 사용되었다(13). 포토프린은 파장 652 nm 광선을 조사하면 활 성화(excitation)되어 type 2 반응에 의해서 항암효과가 나타낸다(13,14).

포토프린은 세포내에서 수 주 동안 배설되지 않고 남아있기 때문에 햇빛의 노출을 피하기 위해 피부를 가리고, 썬글라스를 착용해야하며, 썬 크림 등을 발라서 햇빛을 차단해야 한다(15).

엽록소는 식물, 박테리아 및 조류(algae)의 염록체에서 주로 발견되는 색 소로서 광합성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엽록소에서 유도된 클로린 (chlorine) 유도체인 포토론(photolon)은 체내에서 빠르게 배설되는 2세대 광민감제다(16). Kostenich등은 1994년 클로로필 유도체인 클로린 e6(Ce6)를 암 치료에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7). 클로린 e6 는 수용성이 낮아서 polyvinylpyrrolidone(PVP)과 중합하여 수용성이 증가된 Ce6-PVP을 합성하여 새로운 광민감제인 포토론을 만들었다(18). 포토론은 파장 650~700nm의 광선 에 활성화(excitation)되어 type 2 광역동 반응에 의해서 치료효과를 나타낸 다(16). 포토론은 수용성이 높기 때문에 주사 후 12시간이 지나면 체내에서 대부분 배출되므로, 광역동 치료 후 환자는 햇볕 차단시간이 짧아서 일상복

(16)

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18).

박테리오 클로린은 phototropic 세균에서 광합성에 관여하는 bacteriochlorophyll 유도체로서 클로린에 비하여 광산화에 의한 손상을 잘 받기 때문에 클로린보다 안정성이 낮다(19). 박테리오클로린은 파장 700 ~ 800nm의 광선을 조사하면 활성화(excitation) 되기 때문에 조직의 광선 침투 력이 증가하여 클로린 보다 더 깊은 암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어서, 전립선 암이나, 두경부 암에 대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19).

프탈로시아닌은 포르피린의 tetrapyrrole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합물로 서 1990년대에 다양한 유도체가 개발되어 암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20)(Fig.4). 프탈로시아닌은 파장 670nm의 근처의 원적외선에 의해서 활성 화(excitation) 되기 때문에 포르피린의 활성화 파장 652nm 보다 더 커서 광 선 침투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더 깊은 암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20).

D. 빛(광원)

PDT에 처음 사용된 광원은 석영, 크세논, 텅스텐 또는 할로겐 램프와 광대 역의 비간섭성 광원이다(21). 광민감제인 포르피린의 흡수 스펙트럼에 기초 하여, 포르피린의 흡수 스팩트럼 400 nm(Soret 밴드)에서 최대 피크가 나타 나지만 조직 침투력이 약하기 때문에 흡수 스팩트럼이 더 낮은 650 nm(Q 밴 드)의 적색을 이용하였다(14). 현재는 다양한 종류의 광민감제가 개발되고 있고, 또한 치료목적과 광민감제의 종류에 적합한 전신 및 국소 광역동 치료 를 위한 광대역 청색광 및 적색광이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21,22). 광민 감제를 활성화시키는 광원으로 레이저가 주로 사용되며, 저출력의 비교적 간 단한 반도체 레이저(diode laser)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23). 광역동 치료에 이용되는 레이저의 파장은 630 nm-1200 nm이며, 폴피린이나 클로린계 광민감 제는 적색광선 파장인 600nm-700 nm에서 활성화가 일어난다(21, 22). 광선은 파장에 따라서 피부 침투력에 차이가 있는데, 빛의 피부 침투력은 파장 630

(17)

nm 빛은 0.5 cm, 파장 700 nm 빛은 1.5 cm으로, 파장이 길수록 피부 투과력 이 증가하여 광역동 치료에 더 효율적이다 (22,24). 암 치료를 위한 PDT 시 행 시 빛의 조직 침투력이 낮기 때문에 PDT 시행은 매우 제한적이므로, 수술 이나 내시경을 통한 광섬유 삽입 등으로 조직이나 장기내로 빛을 전달하는 광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PDT의 치료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25,26).

E. 반응성 산소

광민감제가 광전자를 받으면 삼중항 여기(triplet) 상태로 되어 일중항 산 소(singlet oxygen)를 형성하고, 이 일중항 산소는 다시 수퍼옥사이드 (superoxide)를 형성하여 광역동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7, 8). 반응성 산소 종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강한 산소를 함유한 물질로서, 퍼옥사이드 (peroxide), 수퍼옥사이드,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s), 일중항 산 소 및 알파-산소(alpha-oxygen)가 포함된다(27). 반응성 산소종은 정상적으 로 호기성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되는 물질인데, 자외선이나 방사선 조사, 중금속 및 약물 등에 의해서 생성이 증가 될 수 있으며, 반응성 산소 종 증가는 지질, DNA, RNA 및 단백질을 손상을 유발하여 노화, 만성질환 및 암의 발생과도 연관이 있다(27,28).

F. 금속이온

세포내 금속은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보조인자로서 대단히 중요한 작용을 하나, 대량의 금속이온은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량을 증가시켜서 세포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29).

철, 구리 및 크롬과 같은 산화 환원반응 활성 금속(Redox-active metals) 은 산화 환원 순환반응(oxydo-reduction cycle)을 통하여 반응성 산소종을

(18)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29). 체내에 생성된 수퍼옥사이드는 수퍼옥사이 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에 의해서 과산화수소로 전환되고 과산 화수소는 퍼옥시다제(peroxidase)나 카탈라제(catalse)에 의해서 소거된다 (30). 반응성 산소종 중에서 반응성이 가장 강한 물질은 히드록실 라디칼이 다. 철이나 구리는 반응성 산소종 생성을 증가시키고, 과산화수소를 Feton reaction에 의해서 히드록시 라디칼로 전환시켜서 지질, 단백질 및 핵산의 산화를 유발하여 미토콘드리아, 마이크로솜 및 기타 세포 소기관의 손상을 초래 할 수 있다(31). 철분을 과량투여하면 세포사멸이 일어나는데, 이는 체 내 철분 발란스가 무너지고, 지질과산화의 증가와 관련된 세포사멸인 페롭토 시스(ferroptosis)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G. 실험목적

광역동 치료법은 비침윤적 치료법으로서 최근 암 치료분야에서 대안적인 치료법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4). 그러나 PDT는 빛의 침투력이 제한적이고, 치료 효과에 대한 신뢰가 미흡하여 아직까지는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이용되 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광역동 치료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항암요법 제와 병행 치료하는 등의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다(33, 34). 광역동 요법은 광민감제가 광역동 반응에 의해서 활성화되어 생성되는 반응성 산소가 작용 하여 치료효과가 나타나며, 반응성 산소종 중 히드록실 라디칼이 반응성이 가장 강한데, 철 이온은 반응성 산소종 생성을 증가시키고, Feton reaction 에 의해서 히드록시 라디칼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반응성 산소종에 의 한 세포손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역동 치료의 치료효과 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광역동 치료에 미치는 철분의 증강 효과를 관찰하고자 한다. 광역동 치료효과에 미치는 철분의 효 과를 생체실험을 통하여 관찰하기 위한 실험으로, 대장암 세포주(CT26 cells)를 생쥐에 주사하여 tumor bearing mouse model을 만들어서 철분을 투

(19)

여하고 photolon을 이용한 광역동 치료를 실시하여 암종의 크기와 암 조직의 유전자 발현을 mRNA sequencing 법으로 측정하여 광역동 치료의 영향을 관찰 하였다.

(20)

2. 재료 및 방법

A.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철분은 주사용 철분제제 일양약품(서울, 한국)에서 구매 하여 사용하였고, 10% 태우혈청, 스트렙토마이신, 페니실린, DMEM 배지 등은 Gibco BRL(NY, US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생쥐 대장암 세포주(CT26 cell)는 ATCC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광민감제(photolon)는 동성제약 연 구부에서 기증받아 사용하였다.

B. 실험동물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실험동물 생쥐(Balb/c 종, 6주령, 수컷)는 중앙 실험 동물(주)(Seoul, KOREA)에서 구매하였고, 사육은 12시간 명암주기, 온도 20± 2 ℃ 상대습도 60± 5 %의 조건을 유지하는 환경에서 사육하였고, 동물 실험은 조선대학교 동물실험 윤리 위원회 승인(승인번호: CIACUC 2019-A0034)을 받아 윤리규정에 따라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C. 세포배양

생쥐 대장암 세포(CT 26 cell)는 ATCC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생쥐 대장암세포는 10% 태우혈청, 스트렙토마이신(100 U/mL) 및 페니실린 (100 U/mL)을 함유한 DMEM 배지(Gibco BRL, NY, USA)를 사용하여, 37℃로 유 지되는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1)

D. Colon cancer bearing mouse model 확립

Balb/c mouse를 구매하여 1주일간 사육하여 환경에 적응시킨 후 암종 유도 동물로 이용하였다. 배양한 생쥐대장암 세포(CT26 cell)를 trypsin 처리하여 수집한 후 암세포(CT26 cells : 2x105 cells/mouse)를 PBS 0.2 ml에 부유하 여 Balb/c mouse의 등 쪽 피하에 주사하였다. 암세포 주사 후 시간 경과에 따라서 관찰하고 암종의 크기를 digital caliper로 측정하였으며, 2주일 경 과 시 350 mm3 정도의 크기로 암종이 형성된 것을 tumor bearing mouse model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E. 광역동 치료 (PDT)

실험동물에 형성된 암종의 크기가 350 mm3 이상인 tumor bearing mouse 5 마리씩을 한 실험군으로 모두 5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레이저를 조 사하지 않은 대조군과 Iron 군(철분 10 mg/kg BW 투여군), PDT 군(레이저 80 J/Cm2 조사군) 및 Iron+PDT 군(철분 10 mg/kg BW 투여 후 레이저 80 J/Cm2 조 사군)으로 나누었다. 실험에 사용하는 광민감제는 포토론(Photolon)으로 동 성제약 연구부에서 기증받아 사용하였다. 철분은 생리식염수에 희석시켜서 포토론 주사 1시간 전에 생쥐 체중 kg 당 10 mg(10 mg/kg BW)를 생쥐 복강에 주사하였다. 포토론은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서 체중 kg 당 2.5 mg(2.5 mg/kg BW)를 생쥐 복강에 주사하고 2시간 경과한 후 반도체 레이저 수술기 (LuxR)로 레이저(파장 660 nm)를 조사하였다(Fig. 5).

암종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3시간 경과 후 각 실험군당 3마리씩 경추 탈골 하여 희생시킨 후 암종을 절제하여 일부는 TRIzol 용액에 보관하여 RNA-seq 검사를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지질과산화물 측정을 위한 시료로

(22)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당 5마리씩은 레이저 조사전과 조사 후 시간 경과에 따라서 14일까지 암종(tumor mass)의 크기를 측정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다.

암종의 크기는 digital caliper로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서 계산하였다.

Tumor volume(mm3) = (width2 x length)/2

F. 종양조직 TBARS 측정

종양조직 지질과산화 산물량은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량으로 측정하였다. 종양조직을 절제하여 조직중량 10배(W/V)의 0.1M phosphate buffer(pH 7.4)를 첨가하여 polytrone homogenizer로 균질화 시킨 후 TBARS 량 측정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다. TBARS 량은 OxiSelect™

TBARS Assay Kit(고마바이오텍(주), 서울, Kore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G. 종양 조직 RNA-seq 측정 방법

절제한 종양조직에서 TRIzol® RNA Isolation Reagents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고, Agilent RNA 6000 Pico Kit (Agilent,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고 BioAnalyzer 2100 automated electrophoresis system (Bio-Rad,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RNA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RNA는 TruSeq stranded mRNA sample preparation kit (illumina,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서 mRNA sequencing library를 준비하였다.

mRNA library는 Agilent DNA High sensitivity Kit (Agilent,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BioAnalyzer 2100로 분석하고, CFX96 real time system

(23)

(BioRad,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정량분석 하였다. 각각의 mRNA library sequencing은 Illumina HiSeq 25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cDNA libraries의 clusters는 TruSeq flow cell을 이용하여 만든 다음 TruSeq 200 cycle SBS kit (Illumina, San Diego, CA, USA) 를 이용하여 100 bp-end read 로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Illumina HiSeq 2500에서 수집된 염기서 열 정보는 FASTQ format에 정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Gene set의 분석은 DAVID Bioinformatics Resources 6.7, NIH(35)에서 Functional Annotation Tool을 이용하였다. 실험군 간의 유전자 발현 차이는 reads per kilobase per million mapped reads (RPKM) 값을 이용하여 fold-change false discovery rate (FDR)를 측정하고, p<0.05 인 것을 유의한 것으로 하 였다.

H. 통계처리

RNA-seq를 제외한 모든 측정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mean± SD)로 표시하 였고, 실험결과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 (ANOVA)을 실시하였고, 시료 간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서 P<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24)

3. 결 과

A. CT26 cancer bearing mice의 종양에 PDT 시행 후 종양 용적의 변화

PDT가 종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PDT 시행 후 14일까지 종양 의 크기를 측정하여 용적을 산출한 결과는 Table 1, Fig. 6 및 Fig. 7과 같 다. PDT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종양의 용적은 실험 시작 0일, 7일 및 14일에 191± 52, 312±121 및 996± 239 mm3를 각각 나타내서 실험 시작할 때와 비교하면 7일 및 14일 경과 시에 종양 용적은 63% 및 421%가 각각 증가 되어 시간이 경과에 따라서 종양의 용적도 증가됨을 알 수 있다. PDT를 시행 하지 않은 Iron 군에서 종양의 용적은 실험 시작할 때와 비교하면 7일 및 14 일경과 시에 종양 용적이 90% 및 447%가 각각 증가되어 대조군과 종양 용적 의 차이가 없었다. PDT 군에서 종양의 용적은 실험 시작 0일 및 14일에 각각 213± 57과 457± 110 mm3 을 각각 나타내서 종양의 용적이 실험 시작할 때 와 비교하여 14일경과 시에 114%가 증가되어 PDT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종량의 용적이 더 감소됨을 알 수 있다. Iron+PDT 군의 종양 용적은 PDT 시행일과 14일 경과 후에 201± 48과 95± 102 mm3를 나타내서 종양의 용적이 PDT 시행 직전에 비교하여 레이저 조사 후 14일 경과 시에 52%가 감 소되어 PDT 시행으로 종량 크기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B. PDT 시행 후 종양 조직 TBARS 량의 변화

CT26 cancer bearing mouse에 PDT를 시행하고 3시간 경과 후 종양 조직 TBARS 량을 측정한 결과는 Fig. 8 과 같다. 종양 조직 TBARS 함량은 대조군 과 Iron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PDT 군의 종양 조직 TBARS 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178 %가 증가되어, PDT 시행으로 종양 조직에 산화손상이 증가됨을

(25)

보여주고 있다. Iron+PDT 군의 종양 조직 TBARS 량은 PDT 군보다 67%가 증가 되어, 철분투여로 PDT 시행으로 인한 산화적 세포손상이 증가됨을 보여주고 있다.

C.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유전자 세트 (Gene set) 발현 변화

철분이 PDT에 의한 종양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종양을 가진 생쥐에 철분을 주사하고 PDT를 시행한 생쥐의 종양조직에서 mRNA-sequencing 법으로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여, 유전자 발현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log2(FC) 값이 1 이상이고 p 값이 0.05 이하인 화학주성 (Chemotaxis), 사이토카인과 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작용(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및 염증반응(Inflammatory response) 관련 유전자 세 트는 Table 2 와 같다. 화학주성 관련 유전자 12개는 17.0 배 증가되었고, 사이토카인-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작용 관련 유전자 13 개는 7.3 배 증가되 었으며,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 10 개는 7.1 배가 각각 증가되었다.

D.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화학주성 (chemotaxis) 관련 유전자 발 현 변화

철분이 PDT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화학주성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log2(FC) 값이 1 이상이고, p 값이 0.05 이하인 유전자는 Table 3 과 같다. PDT 군에 비하여 Iron+PDT 군의 암 조직 화학주성 관련 유전자 chemokine (C-C motif) ligand 2 (Ccl2), chemokine (C-C motif) ligand 7 (Ccl7), chemokine (C-C motif) ligand 12 (Ccl12), Colony Stimulating Factor 3 Receptor (Csf3r), chemokine (C-X-C motif) ligand 2 (Cxcl2), chemokine (C-X-C motif)

(26)

ligand 5 (Cxcl5), chemokine (C-X-C motif) ligand 10 (Cxcl0), C-X-C motif mhemokine receptor 2 (Cxcr2), interleukin 1 beta (Il1b), S100 calcium-binding protein A8 (S100a8), S100 calcium-binding protein A9 (S100a9)가 증가되었다. Cxcl2, Cxcl5, Cxcr2, S100a8 및 S100a9 유전자는 log2(FC) 값이 3 이상이었고, Ccl2, Ccl7, Ccl12, Cxcl10 및 Il1b 는 log2(FC) 값이 1.2 ~ 2.0 이였으며, Csf3r은 log2(FC) 값이 2.05 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E.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사이토카인과 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반 응(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사이토카인과 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반 응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log2(FC) 값이 1 이상이거나 -1 이하이고, p 값이 0.05 이하인 유전자는 Table 4 와 같다. PDT 군에 비하 여 Iron+PDT 군의 암 조직 사이토카인과 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반응 관련 유전자 Cxcl2, Cxcl5 와 Cxcr2 유전자의 log2(FC) 값은 3.3 이상이었고, Csf3r 과 Cxcl1 유전자의 log2(FC) 값은 2.93 이었으며, Ccl2, Ccl7, Ccl12, Cxcl10, Il1b 및 Il16 유전자의 log2(FC) 값은 1 이상 2 이하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반면에 Csf1r 유전자의 log2(FC) 값은 –1.01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F.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사이토카인 활성 (cytokine activity)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사이토카인 활성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log2(FC) 값이 1 이상이고 p 값이 0.05 이하인 유전자

(27)

는 Table 5 와 같다. PDT 군에 비하여 Iron+PDT 군의 암 조직 사이토카인 활 성 관련 유전자 Cxcl1, Cxcl2 와 Cxcl5 유전자의 log2(FC) 값은 2.93, 4.29 및 3.85 였고, Ccl2, Ccl7, Ccl12, Cxcl10 및 Il6 유전자의 log2(FC) 값은 1 과 2 사이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반면에 Spp1 유전 자의 log2(FC) 값은 –1.28 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G.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염증반응 (inflammatory response)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 여 비교한 결과 log2(FC) 값이 1 이상이고 p 값이 0.05 이하인 유전자는 Table 6 과 같다. PDT 군에 비하여 Iron+PDT 군의 암 조직 염증반응 관련 유 전자 Cxcl1, Cxcl2 와 Cxcl5 유전자의 log2(FC) 값은 2.93, 4.29 및 3.85 였 고, Ccl2, Ccl7, Ccl12, Cxcl10, Il1b 및 Il6 유전자의 log2(FC) 값은 1 과 2 사이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반면에 Fn1 유전자의 log2(FC) 값은 –1.05 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28)

4. 고 찰

본 연구는 광역동 치료에 미치는 철분 병합투여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생쥐 대장암세포(CT26 cells)를 Balb/c 생쥐에 주사하여 피부에 암종이 유발 된 tumor bearing mouse model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철분 병합투 여로 광역동 치료에 의한 항암작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동 치 료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종양의 용적은 실험 시작할 때와 비교하면 7 일 및 14일에 63%와 421%가 각각 증가되었고, 철분군에서 종양의 용적도 대 조군과 차이가 없어서, 대조군과 철분군은 시간 경과에 따라서 종양의 크기 가 증가하여 종량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였고, 철분(10 mg/kg BW) 투여로 암종 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CT26 세포는 1975년 Griswold 등이 발암물질 N-nitroso-N-methylurethane을 Balb/C mouse에 투여 하여 유발된 대장암 조직을 배양하여 확립한 대장암 세포주로서 tumor bearing animal model로서 많이 이용되는 세포주다(36,37). 본 실험에서도 CT26 세포를 Balb/c 종 마우스에 주사하여 생성된 암종이 실험기간동안 지속 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PDT 군에서 종양의 용적은 실험 시작 할 때와 비교하여 14일 경과 시에 114%가 증가 되어 광역동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421%가 증가된 것에 비하면 종량의 용적이 감소되어 광역동 치료 시행으로 암종의 성장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광역동 치료는 빛에너지 를 받아서 활성화된 광민감제가 직접 또는 산소를 활성화시켜 반응성 산소종 을 생성하여 이에 의해서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치료법이다. 광민감제는 적절 한 파장의 빛에 의해서 활성화 되는데, 빛의 파장이 길수록 빛의 조직 침투 력은 증가한다(24). 암 치료에 사용되는 폴피린(porphyrin)계 물질이 1세대 광민감제로 개발되었는데, 러시아에서 포토젬(Photogem), 캐나다에서 포토프 린(Photofrin), 독일에서 포토산(Photosan)이 상품화 되었다(38-40). 그러나

(29)

이들 1세대 폴피린계 광민감제는 파장 600 nm의 비교적 짧은 광선에 의해서 활성화되기 때문에 빛의 침투력이 낮고, 투여 후 2-3주 동안 체내에 지속적 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빛을 격리시켜야 한다. 따라서 체내 지속시 간이 짧고, 침투력이 큰 긴 파장의 빛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chlorin 유도체 가 제 2세대 광과민 물질로서 개발되었다(16,17). 클로린 e6는 파장 660 nm 빛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광과민제이지만, 지용성물질이기 때문에 생체에 투 여 후 배출되는 시간이 길다. 따라서 지용성인 클로린 e6를 수용성물질 polyvinylpyrrolidone과 중합시켜 제조한 포토론은 수용성 특징을 가지고 있 어서 투여 후 24시간이면 대부분 배출된다. 포토론에 파장 660 nm 레이저를 조사하면 광감작반응이 일어나 반응성 산소종 (ROS: reactive oxygen species)을 발생시켜서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ROS는 superoxide anion(O2.), hydrogen peroxide(H2O2), hydroxy radicals(OH.)등이 있으며(41), ROS 중 반 응성이 가장 강한 것은 hydroxy radicals 인데, 철분이 증가하면 Fe++의 촉매 로 Fenton 반응에 의해서 hydroxy radicals 생성이 증가 될 수 있다(42).

Mrozek-Wilczkiewicz A 등(43)은 5-aminolevulinic acid와 iron-chelating agent인 thiosemicarbazones을 병용하여 광역동 치료를 시행하면 ROS 생성량 이 증가되어 치료효과가 증가된다고 하였는데, 본 실험에서 광역동 치료 시 행 후 14일 경과 시에 종양 용적은 대조군 447% 증가, PDT 군 114% 증가 및 Iron+PDT 군 52% 감소로 나타나서, 대조군에 비하여 PDT 군의 종양 용적이 적어서 광역동 치료 시행으로 종양의 성장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Iron+PDT 군의 종양 용적은 52% 감소로 PDT 군보다 종양크기가 더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철이온은 생명체에 필수적인 원소이지만,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 서는 철분의 촉매 반응으로 반응성 산소종을 생성한다(44). 철분에 의해서 생성되는 반응성 산소종은 지질의 과산화 반응을 유발하여 세포사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를 ferroptosis라 하며 apoptosis와는 다른 형태의 세포사 메 커니즘으로 알려져 있다(45). 따라서 본 실험에서 광역동 치료 시행 3시간 후 종양조직의 지질과산화 산물량을 TBARS 량으로 측정한 결과 종양 조직

(30)

TBARS 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PDT 군에서 178 %가 증가되어, 광역동 치료 시 행으로 종양 조직에서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증가로 인한 지질과산화 반응이 증가됨을 보여주고 있다. Iron+PDT 군의 종양 조직 TBARS 량은 PDT 군보다 67%가 증가되어, 철분은 광역동 치료로 인한 지질과산화 반응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철분은 Fenton 반응에 의해서 반응성 산소종 중에서 반응성이 가장 강한 hydroxy radicals 생성을 증가시키는데, 광역동 치료에 의해서 반응성 산소종이 생성되고 이때 철분이 존재하면 hydroxy radicals 생성량이 증가되고 이는 지질과산화를 유발할 것으로 추측되기 때 문에 Iron+PDT 군의 종양 조직 TBARS 량 증가는 철분에 의한 촉매반응 결과 로 생각된다. 철분에 의해서 일어나는 ferroptosis는 지질과산화물의 증가와 연관이 있는데, 본 실험에서도 Iron+PDT 군의 종양 조직 TBARS 량이 증가되 어 있어서 Iron+PDT 군의 종양 용량의 감소는 ferroptosis에 의한 종양세포 의 사멸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철분은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암세포 독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광 역동 요법에 의한 종양치료 반응 효과는 종양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 성(1차 손상)과 종양 및 인접 조직에 대한 복잡한 상호작용(2차 손상)에 의 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염증반응은 광역동 치료에 의한 2차 손상의 대표적인 반응으로 광역동 치료 시행 후 24 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46). Photofrin을 이용하여 광역동 치료를 시행하면 인터루킨(IL-1β, IL-6)과 종양 괴사 인자(TNF-α)를 포함하여 다수의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48). 또한 광역동 치료에 의해서 종 양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면 백혈구 침윤이 일어나는데, 침윤 세포는 대부분 호중구이지만 비만세포, 단핵구 및 대식세포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7,49).

본 실험에서 철분이 광역동 치료에 의한 종양조직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PDT 군과 Iron+PDT 군의 종양조직에서 유전자 발현

(31)

량을 비교한 결과 log2(FC) 값이 1 이상이고 p 값이 0.05 이하인 화학주성 (Chemotaxis), 사이토카인과 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작용(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및 염증반응 (Inflammatory response) 관련 유전자 세트를 비교한 결과 Iron+PDT 군에서 화학주성 관련 유전자 12개는 17.0 배 증가되었고, 사이토카인-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작용 관련 유전자 13 개는 7.3 배 증가되었으며,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 10개는 7.1 배가 각각 증가되었 다. 이러한 실험결과로서 철분을 투여하고 난 후 포토론을 이용하여 광역동 치료를 시행하면 암 조직에 염증반응 유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철분은 광역동 치료에 의한 염증반응을 증가시킬 것으로 추측된다.

염증반응은 광역동 치료에 의한 대표적인 2차 치료반응이기 때문에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 발현의 증가는 염증반응을 증가시켜서 광역동 치료 에 의한 치 료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화학주성은 세포가 케모카 인 또는 화학적 유인 물질을 감지하고 이를 향해 이동하는 것으로 많은 종류 의 세포가 화학 주성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50). 염증세포가 염증 부위에 모여드는 것은 화학주성의 대표적인 예로서 염증 세포가 화학주성 유도물질을 감지하면, 혈관에서 혈관을 빠져나와서 인 접한 조직 내의 염증 부위로 이동된다(51). 본 실험에서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화학주성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log2(FC) 값이 3 이상인 유전자는 Cxcl2, Cxcl5, Cxcr2, S100a8 및 S100a9 이었고, Ccl2, Ccl7, Ccl12 및 Cxcl10 은 log2(FC) 값이 1.2 ~ 2.0 으로 Iron+PDT 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Cxcl2는 단핵구(monocyte)와 대식구 (macrophage)에서 주로 분비되어 다형핵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에 대한 강력한 화학주성을 나타내며(52,53), Cxcl5 는 Il-1이나 TNF-a에 의해 서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분비되어 호중구를 활성화(activation)시키고 (54), Cxcr2는 Cxcr1 ~ Cxcr7이 결합하는 수용체로서 세포막 단백질이다.

S100a8과 S100a9는 호중구와 단핵구에서 분비되어 염증반응 유발에 관여하며

(32)

(55), Cxcl10은 단핵구나 내피세포에서 분비되어 단핵구, 대식세포, T cell, NK cell에 대한 화학주성을 나타낸다(56,57). Ccl2는 단핵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에서 분비되면 단핵구와 호염구에 대한 화학주성 을 나타내고(58), Ccl7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며 단핵구에 대한 화학주성을 나타내며(59), Ccl12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며 단핵구, 호산구, 임파구에 대 한 화학주성을 나타낸다(60). 본 실험결과 Iron+PDT 군 암 조직에서 Cxcl2, Cxcl5, Cxcl10, S100a8, S100a9, Ccl2, l7 및 Ccl12이 증가되어 호중구, 단 핵구, 대식세포 및 임파구에 대한 화학주성이 증가되어 암 조직에 염증세포 가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염증 반응이 증가될 것으로 추측된다. 암 조직의 염증반응 증가는 광역동 치료로 인한 항암효과의 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Iron+PDT 군에서 암 조직 염증세포의 증가는 종양용량의 감소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DT 군과 Iron+PDT 군의 암 조직 사이토카인과 사이토카인 수용체 상호반 응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Iron+PDT 군에서 Cxcl1, Cxcl2, Cxcl5, Cxcl10, Ccl2, Ccl7, Ccl12, Il1b, Il16, Cxcr2 및 Csf3 유전자 발현 이 증가되었고, Csf1r 유전자 발현은 감소되었다. 염증반응이 일어나는 부위 에서 염증세포에 의해서 증가되는 cytokine의 종류는 Cxcl8, Cxcl10, Ccl2, Ccl3, Ccl4, Ccl5 및 Ccl11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 Iron+PDT 군 의 암 조직에서 Cxcl10 과 Ccl2 가 증가되어 염증반응이 더 활성화 될 것으 로 추측된다. 활성화된 대식구(activated macrophages)에서 분비되어 염증반 응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는 Il1b(61)와 Il16(62)이 Iron+PDT 군의 암 조직에 서 증가되어 T 임파구와 대식구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하여 암세포에 대한 항암작용이 증가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실험으로 CT26 tumor bearing mouse model에서 포토론을 이용한 광역동 치료에 철분을 병용하면 종양의 용적감소가 더 증가하는데, 이는 철분이 ROS의 생성을 증가시켜서 지질과산화 유발에 의한 세포손상을

(33)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작용과 암 조직 주변에 염증반응 관련 사이토카인의 증 가로 인하여 염증반응을 증가시켜서 나타난 간접적인 2차 반응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면역반응이 작용하여 암 치료에 상승효과를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 다. 철분과 광역동 치료의 병용으로 인한 암 치료효과 상승작용은 암 치료분 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계 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4)

5. 요 약

광역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암 조직에 빛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하는 비침윤성 국소적 암 치료 방법이다. 빛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하는 광역동 치료는 빛의 투과에 한계와 광민감제의 효과 제한으로 치료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철분이 광역동 치료를 이용한 암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레 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Iron 군, PDT 군 및 Iron+PDT 군으로 나누었 다. 배양 대장암세포(CT26 cells)를 Balb/c 생쥐 등에 주사하여 암종을 유발 하여 CT26 tumor bearing mouse model을 만들었다. 철분(10 mg/kg BW)을 포 토론 주사 2시간 전에 복강에 주사하였다. 포토론(2.5 mg/kg BW)은 레이저 조사 2시간 전에 복강 주사하였다. 레이저 조사 후 시간 경과에 따라서 종양 용적을 측정하였고, 레이저 조사 3시간 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암 조직을 절 제하여 mRNA sequencing 법에 의해서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고, 암 조직 지 질과산화물량을 TBARS 량으로 측정하였다.

종양의 용적은 광역동 치료 시행일에 비하여 14일째에 대조군은 421%가 증가 되었고, 철분군은 418%가 증가되었으며, PDT 군은 114%가 증가되었고, Iron+PDT 군은 53%가 감소되었다. 광역동 치료 시행 3시간 후 종양조직의 지 질과산화 산물인 TBARS 량은 대조군과 철분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PDT 군 은 대조군에 비하여 178%가 증가되었으며, Iron+PDT 군은 PDT 군보다 67%가 증가되었다. 광역동 치료 시행 3시간 후 종양조직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 여, PDT 군과 Iron+PDT 군의 유전자 발현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Iron+PDT 군에서 화학주성 관련 유전자 12개는 17.0 배, 사이토카인-사이토카인 수용 체 상호 작용 관련 유전자 13 개는 7.3 배,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 10 개는

(35)

7.1 배가 각각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CT26 tumor bearing mouse를 이용한 포토론-광역동 치료 실 험에서 철분의 투여로 종양의 용적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암 조직에서 TBARS 량이 증가되었으며,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어 철분은 포토론 -광역동 치료의 항암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의 포토론-광 역동 치료 항암효과 증가작용은 광역동 치료의 치료에서 매우 의미 있는 효 과로서, 철분이 광역동 치료의 치료효과 증강을 위한 제제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6)

6. 참고 문 헌

1. Bray F, Ferlay J, Soerjomataram I, Siegel RL, Torre LA, Jemal A.

Global cancer statistics 2018: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Cancer J Clin. 2018; 68:394–424.

2. 세브란스/연세암병원.http://sev.iseverance. com/cancer/dept_clinic/

cancer_center/colorectal_cancer_center/bout_cancer/colon_cancer/

Date accessed: Sep 24, 2019

3. Colon Cancer Treatment (PDQ®)–Patient Version-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s://www.cancer.gov/ types/ colorectal/ patient/

colon- treatment- pdq/ Date accessed: Sep 24, 2019

4. Dolmans DE, Fukumura D, Jain RK. Photodynamic therapy for cancer.

Nature Reviews Cancer. 2003; 3:380–387.

5. Silva JN, Filipe P, Morliere P, Maziere JC, Freitas JP, JL Cirne de Castro,Santus R. Photodynamic therapies: principles and present medical applications. Biomed Mater Eng. 2006; 16:S147–S154.

6. Foote CS. Definition of type I and type II photosensitized oxidation. Photochem Photobiol. 1991; 54:659.

7. Kochevar IE, Redmond RW. Photosensitized production of single oxygen. Methods Enzymol. 2000; 319:20-28.

8. Price M, Reiners JJ, Santiago AM, Kessel D. Monitoring singlet oxygen and hydroxyl radical formation with fluorescent probes during photodynamic therapy. Photochem Photobiol. 2009;

85:1177-1181.

9. Dysart JS, Patterson MS. Characterization of Photofrin photo bleaching for singlet oxygen dose estimation during photodynamic

(37)

therapy of MLL cells in vitro. Phys Med Biol. 2005; 50:2597–2616.

10. Moan J, Berg K, Kvam E, Western A, Malik Z, Ruck A, Schneckenburger H.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photosensitizers. Ciba Found Symp. 1989; 146:95–107.

11. Wei MF, Chen MW, Chen KC, Lou PJ, Lin SY, Hung SC, Hsiao M, Yao CJ, Shieh MJ. Autophagy promotes resistance to photodynamic therapy-induced apoptosis selectively in colorectal cancer stem-like cells. Autophagy. 2014; 10:1179-1192.

12. Allison RR, Sibata CH. Oncologic photodynamic therapy photosensitizers: a clinical review. Photodi agnosis Photodyn Ther. 2010; 7:61- 75

13. Dougherty TJ, Henderson BW, Schwartz S, Winkelman JW, Lipson RL.

Historical perspective, In: Henderson BW, Dougherty TJ, editors.

Photodynamic Therapy: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Dekker M. 1992; 1-15.

14. Pandey RK, Zheng G. Porphyrins as photosensitizers in photodynamic therapy. In: Kadish KM, Smith KM, Guilard R, editors. The Porphyrin Handbook. Boston. Academic Press. 2000; 157-230.

15. O’Connor AE, Gallagher WM, Byrne AT. Porphyrin and nonporphyrin photosensitizers in oncology: preclinical and clinical advances in photodynamic therapy, Photochem. Photobiol. 2009; 85:1053-1074.

16. Petrov PT, Trukhacheva T, Isakov GA, Turyn MCV, Kravchenko E.

PhotolonTM an agent for photodynamic diagnosis and therapy:

non-clinical and clinical experience. Acta Biooptic Inform Med.

2004;10:6-7.

17. Kostenich GA, Zhuravkin IN, Zhavrid EA. Experimental grounds for

(38)

using chlorin e6 in the photodynamic therapy of malignant tumors.

J Photochem Photobiol B. 1994; 22:211-217.

18. Chin WW, Lau WK, Heng PW, Bhuvaneswari R, Olivo M. Fluorescence imaging and phototoxicity effects of new formulation of chlorin e6-polyvinylpyrrolidone. J Photochem Photobiol B. 2006; 84:103-110.

19. Brandis AS, Salomon Y, Scherz A : Bacteriochlorophyll sensitizers in photodynamic therapy. in : Grimm B, Porra RJ, Rüdiger W, Scheer H (eds):Chlorophylls and Bacteriochlorophylls: Biochemistry, Biophysics, Functions and Applications, pp. 485–494.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2006.

20. Allen CM, Sharman WM, Van Lier JE. Current status of phthalocyanines in the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J Porphyrins Phthalocyanines. 2001; 5:161–169

21. Mang TS. Lasers and light sources for PDT, Past, present and future. Photodiagn Photodyn Ther. 2004; 1:43–48

22. Beyer W. Systems for light application and dosimetry in photodynamic therapy. J Photochem Photobiol B. 1996; 36:153-156.

23. Lim HS.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a diode laser for photodynamic therapy. Laser Ther. 2011; 20:195-203.

24. Wilson BC, Patterson MS. The physics, biophysics and technology of photodynamic therapy. Phys Med Biol. 2008; 53:R61-69.

25. Yoon I, Li JZ, Shim YK. Advance in photosensitizers and light delivery for photodynamic therapy. Clin Endosc. 2013; 46:7–23.

26. Bansal A, Yang F, Xi T, Zhang Y, Ho JS. In vivo wireless photonic photodynamic therapy. PNAS. 2018; 115:1469-1474.

27. wikipedia. Reactive oxygen species. https://en.wikipedia.org/wiki/

Reactive_ oxygen_species. Date accessed: Sep 24, 2019

(39)

28. Hayyan M, Hashim MA, AlNashef IM. Superoxide Ion: Generation and Chemical Implications. Chemical Reviews. 2016; 116:3029–3085.

29. Jaishankar M, Tseten T, Anbalagan N, Mathew BB, Beeregowda KN.

Toxicity, mechanism and health effects of some heavy metals.

Interdiscip Toxicol. 2014; 7:60–72.

30. Weydert CJ, Cullen JJ. Measurement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glutathione peroxidase in cultured cells and tissue.

Nat Protoc. 2010; 5:51–66.

31. McCord JM. Iron, free radicals, and oxidative injury. Semin Hematol. 1998; 35:5–12.

32. Dixon SJ, Lemberg KM, Lamprecht MR, Skouta R, Zaitsev EM, Gleason CE, Patel DN, Bauer AJ, Cantley AM, Yang WS, Morrison B 3rd, Stockwell BR : Ferroptosis: an iron-dependent form of nonapoptotic cell death. Cell. 2012; 149:1060-1072.

33. Lange C, Bednarski PJ. Evaluation for synergistic effects by combinations of photodynamic therapy (PDT) with Temoporfin (mTHPC) and Pt(II) complexes carboplatin, cisplatin or oxaliplatin in a set of five human cancer cell lines. Int J Mol Sci. 2108;

19:3183-3204.

34. Li X, Gao M, Xin K, Zhang L, Ding D, Kong D, Wang Z, Shi Y, Kiessling F, Lammers T, Cheng J, Zhao Y. Singlet oxygen-responsive micelles for enhanced photodynamic therapy. J Control Release. 2017; 260:12-21.

35. Huang DW, Sherman BT, Lempicki RA. Systematic and integrative analysis of large gene lists using DAVID bioinformatics resources.

Nature Protocols. 2008; 4:44-57.

(40)

36. Griswold DP, Corbett TH. A colon tumor model for anticancer agent evaluation.Cancer. 1975; 36:2441-2444.

37. Castle JC, Loewer M, Boegel S, de Graaf J, Bender C, Tadmor AD, Boisguerin V, Bukur T, Sorn P, Paret C, Diken M, Kreiter S, Türeci Ö, Sahin U. Immunomic, genomic and transcriptomic characterization of CT26 colorectal carcinoma. BMC Genomics. 2014; 15:1471-1483.

38. Melo CA, Kurachi C, Grecco C, Sibata CH, Castro-e-Silva O, Bagnato VS. Pharmacokinetics of Photogem using fluorescence monitoring in Wistar rats. J Photochem Photobiol B. 2004; 73:183-188.

39. Korbelik M, Krosl G. Photofrin accumulation in malignant and host cell populations of various tumours. Br J Cancer. 1996; 73:506-513.

40. Radakovic-Fijan S, Rappersberger K, Tanew A, Hönigsmann H, Ortel B.

Ultrastructural changes in PAM cells after photodynamic treatment with delta-aminolevulinic acid-induced porphyrins or photosan. J Invest Dermatol.1999; 112:264-270.

41. Ryter SW, Kim HP, Hoetzel A, Park JW, Nakahira K, Wang X, Choi AM.

Mechanisms of cell death in oxidative stress. Antioxid Redox Signal. 2007; 9:49-89.

42. Valko M, Rhodes CJ, Moncol J, Izakovic M, Mazur M.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2006; 160:1-40.

43. Mrozek-Wilczkiewicz A, Serda M, Musiol R, Malecki G, Szurko A, Muchowicz A, Golab J, Ratuszna A, Polanski J. Iron chelators in photodynamic therapy revisited: synergistic effect by novel highly active thiosemicarbazones. ACS Med Chem Lett. 2014; 5:336-339.

(41)

44. Dixon SJ, Stockwell BR. The role of ir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death. Nat Chem Biol. 2014; 10:9-17.

45. Yang WS, Stockwell BR. Ferroptosis: Death by Lipid Peroxidation.

Trends Cell Biol. 2016; 26:165-176.

46. Gollnick SO, Evans SS, Baumann H, Owczarczak B, Maier P, Vaughan L, Wang WC, Unger E, Henderson BW. Role of cytokines in photodynamic therapy-induced local and systemic inflammation. Br J Cancer. 2003;

88:1772-1779.

47. Gollnick SO, Liu X, Owczarczak B, Musser DA, Henderson BW. Altered expression of interleukin 6 and interleukin 10 as a result of photodynamic therapy in vivo. Cancer Res. 1997; 57:3904–3909

48. Evans S, Matthews W, Perry R, Fraker D, Norton J, Pass HI.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on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by murine macrophages. J Natl Cancer Inst. 1990; 82:34–39

49. Adams DH, Lloyd AR. Chemo kines: leucocyte recruitment and activation cytokines. Lancet. 1997; 349:490–495

50. Zlotnik A, Burkhardt AM, Homey B. Homeostatic chemokine receptors and organ-specific metastasis. Nat Rev Immunol. 2011; 11:597–606.

51. Zlotnik A, Yoshie O. The chemokine superfamily revisited. Immunity. 2012; 36: 705–716. 52. Wolpe SD, Sherry B, Juers D, Davatelis G,

Yurt RW, Cerami A.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2. Proc Natl Acad Sci. 1989;

86:612-616.

53. Devalaraja RM, Nanney LB, Du J, Qian Q, Yu Y, Devalaraja MN, Richmond A. Delayed wound healing in CXCR2 knockout mice. J Invest Dermatol. 2000; 115:234-244.

(42)

54. Persson T, Monsef N, Andersson P, Bjartell A, Malm J, Calafat J, Egesten A. Expression of the neutrophil-activating CXC chemokine ENA-78/CXCL5 by human eosinophils. Clin Exp Allergy. 2003;

33:531-537.

55. Wang S, Song R, Wang Z, Jing Z, Wang S, Ma J. S100A8/A9 in Inflammation. Front Immunol. 2018; 9:1298-1312.

56. Luster AD, Unkeless JC, Ravetch JV. Gamma-interferon transcriptionally regulates an early-response gene containing homology to platelet proteins. Nature. 1985; 315:672-676.

57. Dufour JH, Dziejman M, Liu MT, Leung JH, Lane TE, Luster AD.

IFN-gamma-inducible protein 10 (IP-10; CXCL10)-deficient mice reveal a role for IP-10 in effector T cell generation and trafficking. J Immunol 2002;168:3195-3204.

58. Xu LL, Warren MK, Rose WL, Gong W, Wang JM. Human recombinant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and other C-C chemokines bind and induce directional migration of dendritic cells in vitro. J Leukoc Biol. 1996; 60:365–371.

59. Opdenakker G, Froyen G, Fiten P, Proost P, Van Damme J. Human monocyte chemotactic protein-3 (MCP-3): molecular cloning of the cDNA and comparison with other chemokin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3; 191:535-542.

60. Jia G, Gonzalo J, Lloyd C, Kremer L, Lu L, Martinez-A C, Wershil B, Gutierrez-Ramos J. Distinct expression and function of the novel mouse chemokin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5 in lung allergic inflammation. J Exp Med. 1996; 184:1939-1951.

(43)

61. Arend WP. The balance between IL-1 and IL-1Ra in disease. Cytokine Growth Factor Rev. 2003; 13:323–340

62. Cruikshank WW, Kornfeld H, Center DM. Interleukin-16. J Leukoc Biol. 2000; 67 :757–766.

(44)

Table 1. Effects of PDT on growth of tumor in tumor bearing mice.

Groups Tumor volume (㎣)

0 days 7 days 14 days

Control 191 ± 52 312 ± 121 996 ± 239 Iron 174 ± 49 331 ± 136 952 ± 211

PDT 213 ± 57 - 457 ± 110

Iron+PDT 201 ± 48 - 95 ± 101

Colon tumor bearing mice were irradiated with lazer light(80 J/Cm2) at 2 hour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hotolon (2.5mg/kg).

Values are mean±D, n=5.

(45)

Table 2. Functional categories of differential expressed genes in tumor tissues from Iron+PDT versus PDT mice

Term Genes Fold

Enrichment p_value

Chemotaxis

Ccl2, Ccl12, Cxcl5, S100a8, Cxcl2, S100a9, Il1b, Csf3r, Cxcr1, Cxcr2, Ccl7, Cxcl10

17.012 4.4E-11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Cxcl1, Ccl12, Ccl2, Cxcl5, Cxcl2, Il1b, Il6, Csf3r, Cxcr1, Cxcr2, Ccl7, Csf1r, Cxcl10

7.327 7.3E-08

Inflammatory response

Cxcl1, Ccl12, Ccl2, Cxcl5, Cxcl2, Il1b, Il6, Ccl7, Fn1, Cxcl10

7.101 7.1E-06

Ccl2 : chemokine (C-C motif) ligand 2, Ccl5 : chemokine (C-C motif) ligand 5, Ccl7 : chemokine (C-C motif) ligand 7, Ccl12 : chemokine (C-C motif) ligand 12, Csf3r : Colony Stimulating Factor 3 Receptor, Cxcl1 : chemokine (C-X-C motif) ligand 1, Cxcl2 : chemokine (C-X-C motif) ligand 2, Cxcl5 : chemokine (C-X-C motif) ligand 5, Cxcl10 : chemokine (C-X-C motif) ligand 10, Cxcr2 : C-X-C motif mhemokine receptor 2, Fn1 : fibronectin1, Il1b : interleukin 1 beta, Il6 : interleukin 6, S100A8 : S100 calcium-binding protein A8.

(46)

Table 3.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chemotaxis

Gene PDT Iron+PDT log2(FC) p_value

Ccl2 94.4 235.13 1.31 0.0025

Ccl7 13.29 39.34 1.56 0.0005

Ccl12 14.46 47.17 1.70 0.0005

Csf3r 1.73 7.18 2.05 0.0005

Cxcl2 0.72 14.15 4.29 0.0001

Cxcl5 4.64 67.12 3.85 0.0001

Cxcl10 6.15 21.07 1.77 0.0005

Cxcr2 0.72 7.13 3.31 0.0001

Il1b 22.15 54.17 1.29 0.0025

S100a8 31.12 257.19 3.04 0.0001

S100a9 21.44 329.11 3.94 0.0001

(47)

Table 4.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Gene PDT Iron+PDT log2(FC) p_value

Ccl2 94.4 235.13 1.31 0.0025

Ccl7 13.29 39.34 1.56 0.0005

Ccl12 14.46 47.17 1.70 0.0005

Csf1r 26.88 13.28 -1.01 0.0005

Csf3r 1.73 7.18 2.05 0.0005

Cxcl1 2.97 22.78 2.93 0.0001

Cxcl2 0.72 14.15 4.29 0.0001

Cxcl5 4.64 67.12 3.85 0.0001

Cxcl10 6.15 21.07 1.77 0.0005

Cxcr2 0.72 7.13 3.30 0.0001

Il1b 22.15 54.17 1.29 0.0005

Il6 18.50 48.31 1.38 0.0005

(48)

Table 5.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cytokine activity.

Gene PDT Iron+PDT log2(FC) p_value

Ccl2 94.4 235.13 1.31 0.0008

Ccl7 13.29 39.34 1.56 0.0001

Ccl12 14.46 47.17 1.70 0.0001

Cxcl1 2.97 22.78 2.93 0.0001

Cxcl2 0.72 14.15 4.29 0.0001

Cxcl5 4.64 67.12 3.85 0.0001

Cxcl10 6.15 21.07 1.77 0.0001

Il6 18.50 48.31 1.38 0.0008

Spp1 11286 4630 -1.28 0.0001

(49)

Table 6. Select tumor tissue transcripts in Iron+PDT versus PDT mice related to inflammatory response.

Gene PDT Iron+PDT log2(FC) p_value

Ccl2 94.4 235.13 1.31 0.0005

Ccl7 13.29 39.34 1.56 0.0005

Ccl12 14.46 47.17 1.71 0.0005

Cxcl1 2.97 22.78 2.93 0.0001

Cxcl2 0.72 14.15 4.29 0.0001

Cxcl5 4.64 67.12 3.85 0.0001

Cxcl10 6.15 21.07 1.77 0.0005

Fn1 361.95 174.26 -1.05 0.0005

Il1b 22.15 54.17 1.29 0.0005

Il6 18.50 48.31 1.38 0.0005

(50)

Fig.1. Type I and Type II photochemical reaction.

PS: Photosensitizer, ROS: reactive oxygen species.

(51)

Fig.2. Tetrapyrrole backbones

(52)

Fig. 3. Tetrapyrrole photosensitizers

(53)

Tetrapyrrole Phthalocyanine

Fig. 4. Chemical structure of phthalocyanine

(54)

Fig. 5. Diode laser irradiation with a 660 nm red light

(55)

Control

PDT

Iron+PDT

0 day 1 day 7 days 14 days

Fig.6. Photography of tumor bearing nude mice after photodynamic therapy with 80 J/Cm2.

(56)

Fig.7. Effects of iron and PDT on tumor growth.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57)

Fig.8. The effects of iron and PDT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 in tumor tissue of tumor-bearing mice.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참조

관련 문서

- 우리 주위에 있는 대부분의 물리, 화학, 전자, 기계, 생체 시스템이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온도는 가장 자주 측정되는

• Homeostatic control system에 의해서 모든 것이 상대적인 항상성을 유지할 필요는 없음..

1) 원인 :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ACTH 과잉생성에 의해서 발생. ① 뇌하수체 종양 및 뇌하수체 호르몬 과잉분비 : cushing

조직에서의 온도는 비열이나 비중 그리고 열전도도와 같은 상수들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혈류변화와 같은 생리학적 반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 반응성, 부정 긴급성,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정서 반응성과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를

전기가 생기는 원리와 발전기 주기율표와 금속의 반응성 전기를 만들 수 있는 볼타전지 전기는 어떻게 만들

중합체들의 flammability는 mg 단위의 샘플에 대한 flammability 시험에 적합한 Lyon과 Walters에 의해서 개발된 Pyrolysis Combustion Flow

공공의 수는 온도에 의해서 생기는 내인성 의 공공과,불순물에 의해서 생기는 외인성의 공공으로 되어 있다.온도가 낮을 때는 내인성의 공공은 무시된다.이 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