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하반기 한국경제의 성장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하반기 한국경제의 성장 전망"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하반기 한국경제의 성장 전망

목차

요약

Ⅰ. 최근 경기흐름

Ⅱ. 핵심변수별 전망

Ⅲ.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작성 : 황인성 수석연구원(3780-8036) inseong.hwang@samsung.com 전영재, 김현진, 황상연, 권기덕 감수 : 홍순영 연구위원(3780-8104)

serihsy@seri.org

(2)

《 요 약 》

한국경제는 2007년 들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식시장 '시가총액 1,000조원' 시대가 열렸고, 산업생산 등 실물지표 흐름도 호전되었다. 특히 재고조정의 마무리와 장단기 금리차 확대 등 향후 경기상승에 대한 신호도 발견되고 있다. 반면, 고유가, 원高, 미국경제의 불확실성 등 한국경제의 회복세를 저해할 수 있는 불안요인도 여전 하다. 하반기 한국경제는 수요요인(미국경제, 세계 IT경기), 원자재가격(국제유가), 그리고 금융요인(환율, 금리) 측면에서 핵심변수들의 움직임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수요 측면을 보면, 하반기 미국경제는 제조업 경기의 회복과 민간소비 호조 등이 주택경기의 부진을 상쇄하면서 2% 중반 대에서 연착륙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 세 계 IT경기는 계절적 성수기 진입, 공급조정 등으로 회복세가 예상된다. 회복은 최근 1∼2년 내 어려움을 겪었던 순서(LCD→Flash→DRAM)에 따라 진행되고, 회복의 정도는 공급측면의 역학관계, 품목별 사이클 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원자재가격의 경우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하반기에 배럴당 65∼70달러로 상반기보다 5달러 이 상 오를 전망이다. 이는 원유공급이 예상보다 저조한 가운데, 휘발유 재고는 최저 수 준인 상태에서 성수기인 하반기로 접어들기 때문이다.

금융 측면에서는 글로벌 유동성 흐름과 관련된 금리 및 환율의 향방이 중요하다.

과잉유동성의 해소를 위해 2005년 이후 각국은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하반기 한국경제의 금리여건은 '일본에 비해서는 불리'하고, '중국보다는 유리'한 상 반기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다. 하반기에 한·중·일 3국 모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 이 높지만, 엔캐리트레이드 자금의 청산으로 일부 자금이 일본으로 회귀해 일본에는 금리 하락 압력, 한국과 중국에는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하반기 중 엔 화가치가 다소 상승하면서 한국기업의 대일 수출가격 경쟁력은 소폭 개선되겠지만, 원/달러 환율이 적정수준(958.6원)을 크게 하회하여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는 지속 될 전망이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하반기 한국경제는 현재의 수출 모멘텀이 유지되면서 완만 한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요인은 상반기보다 개선되는 긍정적 측면 이 있으나, 고유가가 지속되고, 금융요인이 중립적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미 국경제와 세계 IT경기, 국제유가 등은 관리가 불가능하므로 하반기 한국경제의 회복 속도는 결국 금리, 환율 등 금융요인을 얼마나 잘 관리하는가에 좌우될 것이다. 금리 인상은 해외자금의 유입을 촉진해 원화가치를 추가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를 유발하 므로 금리는 현수준에서 동결하여 중립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엔화의 지나친 약 세에 대해서는 한국만의 외환시장 개입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국제적인 공조 체제를 구축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

(3)

Ⅰ. 최근 경기흐름

2000년대 들어 세계경제는 호조세를 지속

□ 2000년대 들어 세계경제는 수년간 '고성장-저물가'의 호조세를 지속

- 2001년 침체에서 벗어나 5년 이상의 장기호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2004년 이후에는 5%대의 높은 성장세를 시현

ㆍ세계 경제성장률: 3.2%('80∼'99) → 3.6%('00∼'03)→ 5.2%('04∼'06)

- 반면 물가상승률은 2000년대 들어 한 자릿수에서 안정

ㆍ세계 소비자물가상승률: 17.0%('80∼'99) → 3.8%('00∼'06) 세계 경제성장률 및 소비자물가상승률

0 10 20 30 40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0 2 4 6

(%) (%)

세계 소비자물가 상승률(좌축)

세계 경제성장률(우축)

자료: IMF World Economic Outlook DB

□ 세계경제의 '고성장-저물가'를 지탱시켜준 주된 요인은 생산성 향상, 글로벌화 진전 등

- 2000∼2005년 OECD 21개국의 평균 1인당 GDP 증가율 2.0% 중 생산성 향상의 기여도가 55%1)

1) OECD, "OECD Compendium of Productivity Indicators", 2007.

(4)

ㆍ경제개방 확대로 세계교역 증가율도 4.4%(80년대)→ 6.5%(90년대)

→ 7.0%(2000~06년)로 증가

ㆍ2000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글로벌 유동성도 고성장에 일조

- 생산성 향상에 기반한 경제성장이 이루어져서 물가상승 압력은 감소 ㆍ중국, 러시아, 동구권 등의 시장경제 편입에 따른 저렴한 노동력

확대, 경제구조의 IT화 진전, 개방화 등도 저물가에 기여

ㆍ통화당국도 중기적 물가안정목표제, 선제적 금리정책을 펴는 등 과거의 재량적 수요관리정책보다 향상된 관리능력을 발휘

국내경기는 2007년 1/4분기를 저점으로 상승세로 전환

□ 최근 실물지표가 개선되는 가운데 주가도 상승하는 등 국내경기는 점차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음

- 견조한 수출 증가세, 산업생산 증가세 확대 등 실물지표가 호전 ㆍ2007년 6월 수출은 원화가치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 대비 15.9% 증가(2006년 1월 이후 17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

수출 및 산업생산 증가율

0.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05.Q1 '05.Q2 '05.Q3 '05.Q4 '06.Q1 '06.Q2 '06.Q3 '06.Q4 '07.Q1 '07.Q2 (%)

산업생산증가율 수출증가율

자료: 통계청 KOSIS DB

(5)

- 소비심리 호전, 신용등급 상향조정 가능성 등에 힘입어 코스피지수도 1800p를 돌파

ㆍ7월 4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이 각각 910조원, 104조원을 기록하면서 '시가총액 1,000조원 시대'가 개막

□ 국내경기는 2007년 1/4분기를 저점으로 상승세로 전환

- 재고는 2006년 4/4분기 이후 2분기 연속 감소한 반면 출하증가율은 확대되는 등 경기회복의 신호가 뚜렷함

- 장단기 금리차 확대2) 등 경제주체들의 경기상승 기대감도 확산

ㆍ장단기 금리차(국고채 3년물 수익률 - 콜금리)가 2007년 4월 27일 -7bp에서 7월 3일 현재 80bp로 대폭 확대

장단기 금리차와 실질GDP의 순환변동치 추이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7 98 98.5 99 99.5 100 100.5 101 101.5 102 국고채3년-콜금리 스프레드 (좌축)

실질GDP 순환변동치 (우축) ( bp)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7 98 98.5 99 99.5 100 100.5 101 101.5 102 국고채3년-콜금리 스프레드 (좌축)

실질GDP 순환변동치 (우축) ( bp)

자료: 한국은행 ECOS DB

대내외 불안요인도 공존

□ 원화 절상, 고유가 및 세계 IT경기 둔화 등 한국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불안요인도 여전

2) 장단기금리차는 경제성장률에 2분기 선행하는 것으로 분석(분석기간은 1995년∼2007년 1/4분기)

(6)

- 한때 안정되는 듯 했던 국제유가의 경우 2007년 들어 다시 오름세로 반전되면서 배럴당 70달러에 육박

ㆍ두바이유가($/B): 49.1(1월 19일) → 68.6(7월 5일)

- 원/달러 환율은 2007년 4월까지는 930원대를 유지했으나, 5월 이후 920원대로 하락

ㆍ원/엔 환율은 2007년 7월 5일 현재 100엔당 749.8원으로 1997년 수준(784.0원)을 하회

- 세계 IT경기 부진으로 국내 IT부문의 성장세도 2005년 4/4분기 이후 약화 ㆍIT부문 성장률(%): 19.5('05.4/4) → 10.1('06.4/4) → 5.2('07.1/4)

□ 하반기 이후 한국경제의 향방은 수요요인, 원자재가격, 그리고 금융요인 측면에서의 핵심변수들의 움직임에 의해 좌우될 듯

- 국제유가(원자재가격), 미국경제의 연착륙 및 세계 IT경기의 회복 여부(수요요인) 등이 중요한 외생변수

- 글로벌 유동성(금리 및 환율)은 한국경제의 국제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금융요인 측면)

하반기 한국경제의 핵심변수

미국경제 세계IT경기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수요요인

과잉유동성 문제 소비심리 개선 북핵 협상 진전 부동산시장 불안

한국경제 금융요인 글로벌 유동성과

금리, 환율

미국경제 세계IT경기 국제유가

원자재가격 수요요인

과잉유동성 문제 소비심리 개선 북핵 협상 진전 부동산시장 불안

한국경제

과잉유동성 문제 소비심리 개선 북핵 협상 진전 부동산시장 불안

한국경제 금융요인 글로벌 유동성과

금리, 환율 금융요인 글로벌 유동성과

금리, 환율

(7)

Ⅱ. 핵심변수별 전망

1. 수요요인 : 미국경제 및 세계 IT경기

① 미국경제

하반기 미국경제는 2%대에서 연착륙

□ 크게 둔화되었던 미국경제가 2007년 2/4분기 이후 회복국면에 진입

- 주택경기 침체로 주택건설투자가 대폭 감소하면서 2007년 1/4분기 경제성장률은 0.7%(전분기 대비 연율)로 하락

ㆍ1/4분기 경제성장률은 주택건설투자 부진으로 0.87%p 하락요인 발생

□ 1/4분기 개인소비지출은 서비스지출 호조에 힘입어 3.8%(전분기 대비 연율) 증가했으며, 설비투자도 2.9% 증가

- 2006년 기업이익이 1조 6,157억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증가하는 등 기업실적이 개선되면서 경기급락을 억제

미국기업의 이익 추이

(단위: 억달러, 달러,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기업이익 8,179

(-3.9)

7,673 (-6.2)

8,863 (15.5)

9,931 (12.1)

11,826 (19.1)

13,307 (12.5)

16,157 (21.4) 주당순이익 50.89 18.86 27.52 48.47 60.12 69.60 79.85

주: 1. 기업이익은 국민소득계정에서 재고평가 및 감가상각을 감안한 세전이익 2. ( ) 내는 전년대비 증가율,

자료: 한국은행, "최근 미국 기업의 이익 증대 배경과 전망", 『해외경제 포커스』, 2007.6.

□ 2007년 하반기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2.4% 수준에서 연착륙할 전망 (상반기 2.0%, 연간 2.2%)

(8)

- 취업자 증가와 실질소득 증가로 인한 민간소비 증가세가 건설경기 둔화에 따른 경제성장률 하락분을 상쇄

ㆍ6월 중 비농업 취업자수 증가가 13.2만명으로 예상치(12.5만명)를 상회하고, 실업률도 4.5%로 3개월 연속 보합

ㆍ미국의 소비증가율은 소득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는데, 이는 저축률이 낮음에도 저축 이외의 자산가치 상승에 따른 富의 창출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3)

- 제조업 경기의 회복 조짐과 장기금리 상승도 미국경제 회복의 청신호 ㆍ제조업 ISM(공급관리자 협회)지수가 2007년 6월 56.0으로 2006년 4월

이후 최고치이고, 2007년 1/4분기 재고투자도 48억달러 감소하는 등 기업들의 재고조정이 일단락

ㆍ최근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5.29%로 상승하면서 수익률 곡선이 '短低 長高'(단기금리보다 장기금리가 높은 상황)로 정상화

미국의 주택시장은 2007년 하반기에도 부진할 전망

□ 최근 주택관련 지표들은 주택부문의 조정이 장기화될 것임을 시사

- 주택시장지수4)(기준치 50): 30(2007년 5월) → 28(2007년 6월) ㆍ5월 중 주택 재고/판매비율이 사상 최고치인 8.9로 하반기에도 주택

경기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연체율과 부도율이 급등하면서 부실화 우려가 확산 ㆍ2007년 1/4분기 서브프라임 연체율은 13.8%로 2002년 3/4분기(14.4%)

이후 최고 수준

3) 1980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가계의 순자산증가율은 4%였으나 총소득증가율은 3%로 자산 대비 소득 비율이 4.4:1에서 5.7:1로 확대

4) 미국 주택건설협회가 발표하는 주택건설업자의 체감주택경기를 나타내는 지수

(9)

ㆍ최근 베어스턴즈(Bear Stearns)의 자회사인 HGSC가 20% 이상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밝혀지면서 서브프라임의 부실문제가 다시 부각

□ 그러나 주택부문의 조정이 연말까지 지속된다 해도 건설경기를 제외한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모기지시장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비중은 2006년말 현재 13.7%에 불과 ㆍ향후 5년간 서브프라임 모기지 중 압류 처분될 물건은 110만채로

예상되지만 이는 전체 담보 물건의 1% 수준

- 서브프라임 대출 자체가 줄어드는 추세이고 고용여건 개선 등으로 연체율은 2007년 하반기 이후 점차 낮아질 전망

주택건설투자 전망

(단위: %, 전기대비 연율)

구분 2007년

2008년 1/4 2/4 3/4 4/4 연간

JP 모건 -15.4 -8.0 -5.0 0.0 -13.0 1.9 바클레이즈 -15.4 -8.0 -2.0 0.5 -12.7 0.2 메릴린치 -15.4 -8.5 -15.2 -8.4 -14.8 -2.9 골드만삭스 -15.4 -15.0 -10.0 -5.0 -15.1 -1.9 레만브라더스 -15.4 -10.0 -8.0 -4.0 -13.9 -2.5 주: 2007년 1/4분기는 실적치, 각 전망치의 전망시점은 2007년 6월

자료: 한국은행, "미국 1/4분기 경제성장률 조정내역과 전망", 『해외경제 포커스』, 2007.5.

② 세계 IT경기

상반기 중 부진했던 IT산업

□ 연초부터 시작된 반도체가격의 폭락으로 IT산업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

(10)

- 2006년 8.9%였던 세계 반도체 매출증가율이 2007년 1/4분기에는 전 분기 대비 -6.5%로 逆성장하면서 침체국면에 돌입

ㆍDDR2 512M DRAM 고정거래선 가격이 2007년 1∼5월에 약 70% 급락

-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는 2007년 반도체 매출 성장률을 당초 8.6%에서 2.3%로 하향 조정

□ 반도체 매출 부진은 공급과잉과 예상하지 못했던 수요부진에 기인

- '윈도우 비스타' 효과 등 2007년 수요급증을 예상한 업체들이 무리한 설비투자를 감행

ㆍ2007년 메모리산업의 설비투자/매출 비율은 74%, DRAM 공급증가율은 82.6%로 지난 10년 내 최고 수준

메모리 반도체의 설비투자/매출(%) DRAM 공급 증가율(%)

58

43 38

73

28

39 43 51

58 74

0 20 40 60 80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Capex/Revenue(%)

50.4 114 77 108 122 46 73 -1 50 39

2006년 2007년

82.6 총비트공급증가율

95 엘피다

80 파워칩

60 프로모스

60 윈본드

42 난야

56 키몬다

43 마이크론

123 하이닉스

108 삼성전자

50.4 114 77 108 122 46 73 -1 50 39

2006년 2007년

82.6 총비트공급증가율

95 엘피다

80 파워칩

60 프로모스

60 윈본드

42 난야

56 키몬다

43 마이크론

123 하이닉스

108 삼성전자

자료: JP Morgan, 2007.4. 자료: Deutsche Bank, 2007.6.

□ 그러나 DRAM 가격이 5월 말부터 반등하면서 가격 바닥논쟁이 일단락

- 7월 초 DRAM 고정거래 가격은 6월 하순에 비해 약 10∼15% 상승하고, 지난 3월부터 가격이 상승한 NAND Flash도 연초보다 30% 급등

(11)

하반기에 완만한 회복세로 전환

□ 하반기 세계 IT경기는 계절적 성수기 진입, 공급조정 등으로 회복세가 예상

- 메모리 반도체(DRAM, Flash)는 하반기에 플러스 성장세로 전환 ㆍDRAM 공급과잉률은 2/4분기 중 7.3%에서 4/4분기에는 -1.1%(공급

부족)로 수급상황 개선(Deutsche Bank)

- 2년 전부터 공급과잉, 가격급락으로 인해 先공급조정이 이루어졌던 LCD는 금년 상반기부터 이미 회복세로 전환

ㆍ최근 1∼2년내 어려움을 겪었던 순서(LCD → Flash → DRAM)에 따라 2007년에 회복세가 진행 중 ('先苦先回' 경향)

주요 IT품목의 하반기 성장률 전망 구분 2007년 분기별 매출성장률(%)

하반기 회복 요인 1/4 2/4 3/4 4/4

DRAM -8.1 -17.5 7.6 6.8 ▷ 설비투자확대 둔화, 가격하락 따른 수요증대

인텔 산타로사 플랫폼, 윈도우 비스타 효과 Flash -12.9 4.3 14.3 11.5 애플 아이폰, 차세대 비디오 아이팟 효과

▷ 장기적으로 SSD 등 신수요처 확대 LCDTV -10.5 18.4 37.0 4.9 ▷ 대형 LCD TV, full HDTV 등 수요 확대

▷ 연말 시즌부터 2008년 올림픽 효과 반영 휴대폰 -9.2 0.9 4.0 14.1 ▷ 3G폰, 뮤직폰, 스마트폰 등 보급확대

▷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 저가폰 수요확대 주: 매출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기준

자료: 반도체(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 2007.5.), LCD TV(JP Morgan, 2007.3), 휴대폰(Cowen and company, 2007.6.)

□ 그러나 회복의 정도는 공급측면의 역학관계, 품목별 사이클 등에 따라 차별적으로 진행

(12)

- IT소비는 세계 경기와 동행하고, 특히 최대 소비국인 미국 경기에 대한 의존도가 큼

ㆍ2000~06년 중 미국 GDP 성장률과 반도체 매출 성장률간 상관계수는 0.92(세계 GDP 성장률과는 0.82)

국별 IT산업의 규모(2003년)

규모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한국 핀란드

IT산업규모(억달러) 11,453.4 3,215.3 1,942.5 1,687.6 644.5 246.0 명목GDP 대비 비중(%) 10.5 7.6 10.7 6.9 10.6 14.9 자료: 한국은행, "주력성장산업으로서 IT산업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2007.3.

- 대형수요 촉발요인 부족으로 수요측면보다 공급조정이 더욱 중요 ㆍFlash와 달리 DRAM의 경우 업체들의 버티기 경쟁 등으로 공급과잉이

해소되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가능성

- 최근 달라진 IT사이클 패턴에 따라 품목별 회복 양상도 제각각 ㆍ과거 IT경기는 PC사이클에 발맞추어 대략 4년 주기의 호·불황을

반복했으나 최근 들어 '사이클의 分化경향'이 뚜렷 최근 IT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변수

IT사이클의 세분화 ▷ IT품목별로 호·불황이 다르게 전개

- DRAM, NAND, LCD 등의 사이클이 차별적으로 진행

계절적 효과 심화 ▷ 반도체, LCD 수요처가 PC중심에서 계절성이 높은 소비자 가전으로 확대 → IT 경기가 계절적 요인에 더욱 좌우

경쟁질서의 재편 ▷ IT산업의 성숙화, 업체간 기술격차 축소로 경쟁 심화

▷ 파트너십을 통한 '陣營경쟁' 등 경쟁전략의 중요성 증대

제품의 포트폴리오 전략

▷ 수급상황에 따른 제품믹스 매니지먼트가 업체실적을 좌우 - 메모리에서 DRAM과 Flash, 휴대폰에서 高價폰과 低價폰,

LCD에서 중소형과 대형패널 등

(13)

2. 원자재가격 : 국제유가

2007년 1월 중순 이후 국제유가 불안이 재연

□ 異常暖冬에 따른 난방유 수요감소로 국제유가(두바이유)는 2007년 1월 배럴당 49.1달러까지 하락

- 2006년 8월 최고가(72.2$/B) 대비 무려 30%나 하락

□ 그러나 2007년 1월 중순 이후 유가 불안이 재연되며 최근에는 배럴당 65∼68달러로 급등

- 수급불안(가솔린 盛需期 진입), 투기자금 재유입 등이 주된 원인 국제유가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Petronet DB

(14)

하반기에도 국제유가 불안은 불가피할 전망

□ 원유공급이 예상보다 저조한 가운데, 휘발유 재고는 최저 수준

- 2007년 非OPEC의 공급증가가 당초 예상의 절반 수준(80∼100만B/d)에 그치고 OPEC 공급분도 회원국간 減産합의 이행으로 지속적으로 감소

ㆍ반면, 중국을 위시한 개도국과 중동지역 국가들의 고도성장 등으로 2007년 원유수요는 2006년 대비 약 150만B/d 증가

- 휘발유 재고가 최저수준5)인 상태에서 성수기인 하반기에 접어들기 때문에 수급 불안감이 점차 확산

ㆍ허리케인 시즌의 도래도 무시할 수 없는 불안요인

□ 이란 핵문제, 나이지리아 정정불안 등 지정학적 불안요인이 고착화

- 이란은 외국인 투자 중단 등으로 노후 석유시설 교체 및 신규 유전 개발 등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

ㆍ이란의 원유 생산량은 400만B/d로 세계 석유생산량의 5%를 차지

- 나이지리아는 무장단체들이 외국계 유전개발기업에 대한 테러 및 납치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어 향후 공급차질이 확대될 가능성

ㆍ2007년 6월 현재 원유 총생산능력의 1/3 수준에 달하는 80만B/d의 생산차질이 있는 것으로 추정

□ 원유 선물시장으로 투기자금이 빠르게 몰려들면서 유가 변동폭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상존

-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장기투자자금이 원자재 시장으로 유입

5) 미국 휘발유 재고는 2007년 5월 2째주 현재 1억 9,500만배럴(2억배럴 이하는 이례적으로 낮은 수준)

(15)

NYMEX시장의 순매수포지션 동향 및 국제유가 추이

구분 2006년 8월 8일 2007년 1월 9일 1월 30일 5월 15일 6월 26일 순매수포지션(계약數) 111,778 15,110 42,944 74,527 103,760 WTI선물($/B) 76.31 55.64 56.97 63.17 67.77 주: 순매수포지션은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가

집계한 비상업용 거래중 매수포지션에서 매도포지션을 뺀 차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Petronet DB

하반기 국제유가는 65∼70달러 수준

□ 2007년 하반기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상반기(60.2달러)보다 다소 높은 배럴당 65∼70달러로 예상

- 미국의 드라이빙 시즌6)과 허리케인 시즌 등이 겹치는 3/4분기까지는 국제유가의 상승세가 지속

- 2000년 이후 분기별 국제유가를 보면 1/4분기를 저점으로 상승하여 3/4분기 최고점에 도달한 후 4/4분기에 다소 안정되는 패턴을 지속

국제유가의 분기별 패턴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Petronet DB

6) 5월 말부터 9월 초 노동절까지 이어지는 미국의 휴가철로 차량운행이 급증하면서 휘발유 소비량이 5∼10% 가량 증가(EIA DB)

(16)

3. 금융요인 : 글로벌 유동성과 금리·환율

① 글로벌 유동성과 금리

하반기 금리여건은 일본과 비교해 불리, 중국에 대해서는 유리

□ 2000년 IT버블 붕괴 이후 2004년까지 세계 주요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저금리 정책을 추진하면서 글로벌 유동성7)이 급속도로 확대

- 1991∼2000년간 연평균 8.5% 증가했던 글로벌 유동성(달러화 기준)은 2001∼06년에는 연평균 15.3%의 높은 증가세로 전환

글로벌 유동성(달러화 기준)의 추이

자료: IMF IFS DB

-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 아시아와 중동지역 국가들의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도 글로벌 유동성 증가에 결정적으로 기여

ㆍ2000∼05년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3조 2,609억 달러, 韓·中·日 및 주요 석유수출국의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2조 446억 달러

7) 글로벌 유동성은 주요국의 마샬(Marshallian) K(명목GDP 대비 통화량 비율) 추이나 미국 본원통화와 외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의 합으로 표현되는 달러화 기반 글로벌 유동성 등으로 측정

(17)

- 2005년부터는 엔캐리트레이드가 과잉유동성의 새 원인으로 부상 ㆍ일본 소재 외국계 금융기관의 해외 운용자산이 2005년 7월 12조엔에서

2007년 2월에는 23조엔으로 확대

□ 과잉 유동성에 따른 자산가격 상승 및 물가 불안을 우려한 주요국들이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2005년 3/4분기 이후 글로벌 유동성이 축소국면으로 전환

- 미국은 정책금리를 4.25%p(1%→5.25%), 유로지역은 2.00%p(2%→4.0%), 일본은 0.5%p(0%→0.5%) 인상

- 하반기에도 유럽, 중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가장 높고, 일본도 7월 참의원 선거 이후 경기 호조세를 반영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

ㆍ반면 2004년 상반기 이후 17차례에 걸쳐 정책금리를 인상한 미국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

주요국의 정책금리 추이

0 1 2 3 4 5 6 7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미국

유로

일본 (%)

자료: Datastream, 일본 중앙은행 DB

□ 각국의 금리 인상 기조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금리여건은 일본과 비교하면 열세, 중국에 대해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음

(18)

- 2000∼05년 중 한·일간 대출금리 격차8)는 축소되었으나, 2005년 하반기 이후에는 확대되면서 금리여건이 일본에 비해 크게 약화

ㆍ일본의 대출금리는 2차례(2006.8, 2007.3)에 걸쳐 0.525p 인상되었으나, 한국의 대출금리가 2005년 5월에서 2007년 5월까지 0.98p나 큰 폭 인상

- 반면, 중국의 대출금리는 2004년 이래 4차례에 걸쳐 인상되면서 한국의 대출금리를 상회

한ㆍ중ㆍ일 대출금리 격차의 추이

4.0 4.2 4.4 4.6 4.8 5.0 5.2 5.4 5.6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0.2 0.0 0.2 0.4 0.6 0.8 1.0 1.2 1.4 1.6

한 국 - 일 본 (좌 축 ) 한 국 - 중 국 (우 축 )

(%p) (%p)

주: 한국은 예금은행 가중평균 대출금리, 일본은 단기우대금리, 중국은 금융기관 1년 대출금리 자료: 한국은행 ECOS DB

□ 하반기에도 금리여건은 '일본에 비해서는 불리'하고, '중국보다는 유리'한 수준을 유지할 전망

- 하반기에 한·중·일 3국 모두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지만, 일본의 금리 인상으로 엔캐리트레이드 자금에 대한 청산압력이 발생하고, 이중 일부 자금이 일본으로 회귀

- 이는 다시 일본의 금리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여 일본의 금리 인상 폭을 일정 부분 상쇄하지만 한국과 중국에는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

8) 한국의 예금은행의 가중평균 대출금리(신규 취급액 기준)와 일본의 단기우대금리간 격차

(19)

환율

원화의 수출가격 경쟁력은 하반기 중 소폭 개선

□ 상반기 중 원화의 수출가격 경쟁력은 엔화에 비해 약화, 위안화에 비해 강화

- 미국 및 일본 發 자금이 신흥국 등 세계경제로 유입되면서 달러화와 엔화가치가 모두 하락한 반면, 신흥국의 화폐는 강세를 시현

ㆍ2007년 7월 6일 현재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전년말 대비 0.7% 상승, 위안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2.7% 상승한 반면 엔화 가치는 3.3% 하락

- 실질실효환율 기준으로 본 원/달러 적정환율은 958.6원으로 7월 6일 (919.6원) 현재 4.2% 高평가된 상태

원/달러ㆍ위안/달러ㆍ엔/달러 추이

6 0 0 7 0 0 8 0 0 9 0 0 1 , 0 0 0 1 , 1 0 0 1 , 2 0 0 1 , 3 0 0 1 , 4 0 0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7 . 4 7 . 5 7 . 6 7 . 7 7 . 8 7 . 9 8 . 0 8 . 1 8 . 2 8 . 3 8 . 4 위 안 / 달 러 ( 우 축 )

엔 / 1 0 달 러 ( 좌 축 )

원 / 달 러 ( 좌 축 )

자료: 한국은행 ECOS DB

□ 하반기에는 엔화가치 상승 등으로 원화의 수출가격 경쟁력이 소폭 개선

- 하반기 달러화 대비 엔화가치는 상반기에 비해 4.4% 상승하고, 위안화 가치는 3.2% 상승하여 달러화 대비 원화가치 상승률 1.7%를 상회

ㆍ7월 일본 참의원 선거 이후 금리 인상 가능성과 엔캐리트레이드 청산 압력의 확대 등으로 엔화가 상반기보다는 강세를 띨 전망

(20)

Ⅲ.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1. 종합판단

하반기 경제는 완만한 속도로 상승(하반기 경제성장률 4.7%)

□ 하반기 한국경제는 상반기에 비해 수요요인은 개선되는 반면, 원자재가격 측면에서는 불리하고, 금융요인 측면은 중립적

- 세계경제의 불안요인 중 하나인 미국경제가 연착륙하고, 세계 IT경기가 회복세로 전환되면서 시장상황은 상반기보다 개선될 전망

ㆍ한국, 대만 등 NIEs와 같이 對美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에 긍정적인 영향 미국과 세계 주요지역간 경제성장률의 상관계수

구분 세계 EU 아시아 개도국 아시아 NIEs

미국 0.75 0.64 0.31 0.82

자료: 산업연구원, "한·미 경제의 동조화 추이와 시사점", 『e-KIET 산업정보』, 2007.4.

- 하반기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가 상반기에 비해 배럴당 5달러 이상 상승할 것으로 보여 생산비용이 증가할 전망

- 하반기 원화가치 상승폭이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 작아 유리하지만, 금리여건 면에서는 불리하기 때문에 금융요인 측면은 중립적

□ 따라서 하반기 경기는 현재의 수출 모멘텀이 유지되면서 완만한 회복세가 지속될 전망(경제성장률: 상반기 4.2%, 하반기 4.7%, 연간 4.5%)

- 세계경제의 호조세 지속, IT품목의 수출 확대 등에 힘입어 수출이 상반기에 이어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하반기 수출증가율 10.6%)

ㆍ2007년 상반기 IT수출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7.8%로 2001년 이후 최저

(21)

- 내수는 주가상승에 따른 富의 자산효과 등으로 회복세가 유지되겠지만, 고유가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 금리 인상 여부 등이 복병9)

환율과 금리의 적절한 관리 여부가 하반기 경기회복 속도를 좌우

□ 미국 및 세계 IT경기, 국제유가 등은 관리가 불가능

- 수요나 원자재가격 측면의 有·不利는 한국 등 모든 국가가 공통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일종의 常數

□ 따라서 한국경제의 회복 속도는 결국 금리, 환율 등 금융변수에 의해 결정된다는 결론에 도달

2. 정책제언

금리 : 현수준에서 동결하여 중립적으로 운용

□ 경기회복 조짐이 가시화되면서 하반기 중 통화당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론

- 하반기 중 유가 상승과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금리인상 움직임 등이 한국의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

ㆍ2007년 1∼6월 중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2%로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2.5~3.5%)를 하회했으나, 향후 물가상승 압력은 점차 확대

- 또한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과잉유동성을 잡고자 하는 통화당국의 관리의지도 큰 것이 사실

9)하반기 국제유가가 배럴당 66달러로 상반기 대비 10%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0.2% 상승압력 발생

(22)

최근 유동성 증가율 추이

(단위: %, 전년동기 대비)

2006년 2007년

1/4 2/4 3/4 4/4 1월 2월 3월 4월 5월 M2(광의통화)

Lf(금융기관유동성) L(총유동성)

7.2 7.5 8.3

8.3 7.7 9.1

10.8 9.5 10.1

12.5 10.6 11.2

11.6 10.4 11.1

11.1 10.0 11.3

11.9 10.8 12.3

10.6 9.8 11.8

10.5 10.2 12.2 자료: 한국은행 ECOS DB

□ 그러나 하반기 금리정책은 중립적(콜 금리 목표를 현 수준인 4.5%로 유지)으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금리인상은 엔캐리트레이드 등 해외자금의 유입을 촉진해 원화가치를 추가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를 유발

ㆍ또한 금리상승은 금리재정거래10) 기회를 확대시켜, 외화차입 증가에 따른 단기외채 증가와 원화가치 상승 등 逆효과를 초래

- 특히 금리가 인상될 경우 가계 및 중소기업의 부담도 확대

ㆍ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 증가액(연말대비, 조원): 11.0('05) → 43.5('06) → 29.3('07년 5월말)

환율 : 국제 공조체제 구축으로 대응

□ 원/달러 환율 하락 압력은 자본거래의 수급조절을 통해 대응

- 2006년 원화가치 상승은 자본수지, 특히 외국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 증가로 인한 기타투자수지의 확대에 기인

ㆍ2006년과 2007년 1~5월 중 기타투자수지 흑자가 각각 476.8억달러, 207.9억달러에 달할 정도

10) 국내외 금리차가 스왑레이트(선물환율-현물환율)를 상회할 경우 외화를 차입해 원화자산에 투자하는 금리재정거래를 통해 초과수익을 획득

(23)

국제수지 추이

(단위: 억달러) 구 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1∼5월누계) 경상수지 53.9 119.5 281.7 149.8 60.9 -28.2

자본수지 62.5 139.0 76.0 47.6 186.2 125.6

직접투자수지 간접투자수지 기타투자수지

-2.2 7.1 68.5

1.0 179.1 -27.0

45.9 86.2 -38.6

20.1 -17.3 68.1

-34.8 -225.4 476.8

-16.6 -52.9 207.9 자료: 한국은행 ECOS DB

- 대규모 외화차입 자금이 국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감시·감독을 한층 강화하고, 해외투자 확대 등으로 자본거래의 조절능력을 제고

□ 엔화의 지나친 약세에 대해서는 국제적인 공조체제를 구축해 공동 대응할 필요('제2 플라자 합의' 등)

- 하반기에 엔화가 강세로 전환된다 해도 매우 소폭에 그칠 전망

ㆍ7월 6일 현재 원화가치는 4월 초에 비해 달러화 대비 2.1% 상승에 그쳤지만, 엔화 대비 6.6%나 상승

- 글로벌 엔화 약세는 한국만의 외환시장 개입으로는 효과 기대難 ㆍ글로벌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저금리 및 엔캐리트레이드

지속 등으로 주요 통화들이 엔화에 대해 약세를 시현

ㆍ일본 가계의 금융자산은 1,500조엔을 상회하여, 고수익 상품(외화 예금, 해외증권 등)에 대한 투자여력이 아직도 풍부

- 주요국간 상호협조를 통해서 엔화 약세에 따른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정상회담, 재무장관 회담 등 국제적 정책 협조를 도모

CEO

(24)

<別添> 2007년 하반기 경제전망

단위 2006년

2007년

1/4 2/4 상반기 3/4 4/4 하반기 연간

경제성장률 % 5.0 4.0 4.5 4.2 4.6 4.7 4.7 4.5

민간소비 고정투자

설비 건설

%

4.2 3.2 7.6 -0.4

4.1 7.0 10.8 3.9

4.1 4.7 6.1 3.3

4.0 5.7 8.1 3.7

4.3 3.3 5.0 1.7

4.4 3.0 7.1 -0.2

4.4 3.1 6.1 0.6

4.2 4.3 7.1 2.0

소비자물가 % 2.2 2.1 2.4 2.2 2.6 3.0 2.8 2.5

실업률 % 3.5 3.6 3.4 3.5 3.3 3.2 3.2 3.4

경상수지 억달러 61 -17 -11 -26 -9 24 15 -11

무역수지 수출증가율 수입증가율

억달러

%

%

161 14.4 18.4

25 14.7 13.3

59 14.7 14.2

84 14.7 13.7

31 12.1 11.8

45 9.2 13.7

76 10.6 12.8

160 12.0 13.3 원/달러

엔/달러 달러/유로 위안/달러

955.5 116.3 1.256 7.975

938.9 119.4 1.311 7.762

929.3 120.7 1.348 7.680

934.0 120.0 1.329 7.721

921.7 115.7 136.7 7.543

914.3 114.3 1.367 7.417

918.0 115.0 1.367 7.480

925.0 117.0 1.350 7.600

회사채수익률 % 5.2 5.3 5.5 5.4 5.6 5.8 5.7 5.6

주: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기준

(25)

【 지표로 보는 경제 Trend 】

< 금융동향 >

7. 03 7. 04 7. 05 7. 06 7. 09

환율 원/달러(종가기준) 엔/달러(뉴욕시장)

918.0 122.34

919.9 122.46

922.0 122.68

919.6 122.96

920.9 123.46

금리 회사채(3년AA-, %) 국고채(3년, %)

5.70 5.30

5.73 5.33

5.76 5.36

5.75 5.35

5.75 5.35 주가지수(KOSPI, 종가) 1,805.5 1,838.4 1,847.8 1,861.0 1,883.6

< 실물동향 >

(전년동기(월)비, %) 2005년 2006년 2006.12월 2007. 3월 4월 5월 6월 GDP성장률1)

민간소비 설비투자

4.2 3.6 5.7

5.0 4.2 7.6

..

..

..

..

..

..

..

..

..

..

..

..

..

..

..

산업생산 증가율 평균가동률

6.3 79.7

10.1 81.1

3.0 80.5

3.1 81.4

6.7 82.3

6.6 83.2

..

..

실업률 실업자(만명) 전국 어음부도율

3.7 88.7 0.04

3.5 82.7 0.02

3.3 78.4 0.03

3.5 84.0 0.01

3.4 81.7 0.02

3.2 77.9 0.02

..

..

..

소비자물가 상승률 2.8 2.2 2.1 2.2 2.5 2.3 2.5

수출(억달러, FOB)2) (증감률) 수입(억달러, CIF)

(증감률)

2,844.2 (12.0) 2,612.4 (16.4)

3,254.6 (14.4) 3,093.8 (18.4)

287.8 (12.3) 275.2 (13.8)

303.9 (13.2) 292.1 (12.6)

299.3 (17.0) 294.1 (20.1)

311.2 (11.4) 297.2 (13.4)

323.9 (15.9) 284.5 (9.3)

경상수지(억달러) 149.8 60.9 1.5 -16.4 -20.8 9.2 ..

외환보유액(억달러) 2,103.9 2,389.6 2,389.6 2,439.2 2,472.6 2,507.4 2,507.0 총대외지불부담3)

(억달러) 1,879 2,634 2,634 .. .. .. ..

1) 한국은행 2007년 6월 1일자 ‘2007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 자료에 의거하여 작성.

2) 산업자원부 수출입 동향자료에 의거하여 작성.

3) IMF, World Bank 등 9개 국제기구가 마련한 새로운 편제기준, 분기별 발표.

참조

관련 문서

□ 전형시 본인의 수험표와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한정)을 지참해야 하고 학생증 등 기타 신분증으로는 응시할 수 없으며 , 신분증을 분실한 경우

[r]

[r]

만약 가격상한이 균형가격 아래에 설정된다면, 그것은 법적 구속력이 있게 되고 물량부족을 야기..  가격하한은 재화/서비스의

[r]

에너지 수요 전망(기준안) 에너지 소비 추이..

- 이에, 올해 하반기 계획된 예비우선시행자 공모과정에서 “복합쇼핑몰 건립사업을 제안하는 사업시행자가 있을 경우 교통수요 대비 대책, 공원시설 확보

지난 현안 이슈분석에서는 몽골 남부지역 자원개발에 필요한 기반 시설 구축에 있어, 철도 및 도로 건 설과 발전설비를 중심으로 인프라 현황, 개발 계획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