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3 장 고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제 3 장 고문"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3 장 고문

제 3 절 고전 문학의 흐름

(2)

학습목표 ( 필요시 작성 )

1. 공무원 국어 (I)

-- 고전문학의 시대별 전개에 대해 이해한다 . -- 고전문학의 갈래적 전개에 대해 이해

(3)

3.1 고대문학의 시대별 전개

1. 고대문학

① 국문학의 발생 : 제천 의식에서 행해진 집단 가무 ( 集團歌舞 , Ballad dance) 에서 발생하였다 .

② 국문학의 분화 : 집단 가무 형태의 원시 종합 예술에서 문학이 분화 되고 , 다시 이것이 신화 전설 등의 설화 문학과 개인 서정 가요로 점․ 차 분화되어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었다 .

③ 향가 ( 鄕歌 ) 의 발생 : 통일 신라에 이르러 우리 고유의 정서를 정제 된 시형식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시가 양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

④ 한문학의 발달 : 일찍이 한자가 수입되어 한문 문학이 발달하였으 며 ,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 표기법이 개발되 기도 하였다 .

⑤ 사상적 기반 : 초기에는 무속 신앙과 토테미즘 ( 동물 숭배 사상 ) 을 기반으로 하다가 통일 신라 이후 불교와 유교가 시상적 기반을 이루 었다 .

⑥ 문학의 형태 : 구비 문학과 한자로 기록된 기록 문학으로 나뉘는데 , 설화와 고대 시가는 구비 전승되다가 후대에 한역되었다 .

(4)

3.1 고대문학의 시대별 전개

2. 고려시대의 문학

① 주요 전개 양상 (1/2)

㉠ 향가의 소멸 : 신라시대에 융성하던 향가는 균여 대사의 보현십원가 를 ‘ ’ ‘ ’

거쳐 예종의 도이장가 등에 그 맥락이 이어졌으나 , 한문학에 눌려 고려 초기에 사라지게 되었다 .

㉡ 속요 ( 고려가요 ) 의 등장 : 이 시기에 서민층의 정신 세계를 솔직하고 소 박하게 담은 속요가 등장 , 구전되다가 조선 초 문헌「악학궤범」 , 「악 장가사」 , 「시용향악보」등에 그 일부가 문자로 정착되어 전해지고 있 다 .

㉢ 경기체가의 등장 : 귀족층의 문학으로 경기체가가 등장하여 , 조선 시대 까지 그 맥락을 이어가게 된다 . 경기체가는 향찰식 표기 체계가 한자로 바뀌면서 한자 어휘의 나열과 이두식 ( 吏讀式 ) 후렴구로 고려인들의 의 식 세계를 노래한 문학 장르이다 .

(5)

3.1 고대문학의 시대별 전개

2. 고려시대의 문학

① 주요 전개 양상 (2/2)

㉣ 시조의 발생 : 3 장 6 구의 단가 ( 短歌 ) 형식인 시조가 고려 중엽에 발생 하여 고려 말엽에 완성되었다 . 시조는 우리 고유의 노래이며 , 국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양식이다 . 이 무렵의 작품은 모두 평시조였으며 , 초기에 는 귀족층에서 즐겼던 문학이었으나 , 조선 시대에 와서 국민 문학으로서 의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 .

㉤ 패관 문학과 가전체 등장 : 설화에서 발전한 패관 문학과 가전체 작품이 본격적인 소설 문학의 바탕을 마련하게 되었다 .

㉥ 한문학의 융성 : 고려시대에는 중국 문물의 수입과 과거 제도 등의 실시 로 한문학이 융성하였으며 , 문학의 주류는 귀족들의 한시 , 시화 ( 詩畵 ), 설화 등의 한문학이 차지하였다 .

(6)

3.1 고대문학의 시대별 전개

3. 조선 전기의 문학

① 주요 전개 양상

㉠ 운문 문학의 성행 : 악장 , 시조 , 가사 등 사대부들의 다양한 시가 문학 이 성행하였다 . 정도전 ( 납씨가 , 문덕곡 , 정동방곡 , 신도가 ), 권근 ( 상대 별곡 ) 등

㉡ 한문 소설의 등장 : 김시습 , 임제 등에 의하여 한문 소설이 등장하게 되 었다 .

㉢ 번역 문학 : 훈민정음의 보급과 인쇄술의 발달로 각종 언해 사업이 활발 하게 진행되었다 .

4. 조선 후기의 문학 (1/2)

① 주요 전개 양상

㉠ 현실주의적인 경향의 대두 : 조선 전기의 비현실적이고 소극적인 안빈 낙도 , 음풍농월류의 경향에서 탈피 ,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문학 경향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

(7)

3.1 고대문학의 시대별 전개

4. 조선 후기의 문학 (2/2)

① 주요 전개 양상

㉡ 산문화 , 장편화의 경향 : 시조가 정형성을 벗어난 중 장형 시조인 엇시조 ․ 와 사설시조로 변화했으며 , 가사 역시 보다 산문적인 내용인 기행 가사 유배 가사를 주류로 하였고 분량도 장편화되었다 .

㉢ 평민 문학의 대두 : 작자층과 향유 계층이 평민 계급으로 대폭 확대되면 서 평민 의식을 반영한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

㉣ 국문 소설의 발달 : 허균의 홍길동전 을 비롯 , ‘ ’ 김만중의 구운몽 , ‘ 사씨 ‘ ’ 남정기 등 많은 국문 소설이 쏟아져 나왔다 .’

㉤ 기타 : 국문으로 된 일기 , 서간 , 기행 등의 다양한 수필류가 대거 생산되 었고 , 판소리가 등장하였으며 , 구전 설화가 소설화되었다 .

(8)

3.2 고대문학의 갈래별 전개

5. 고전 시가의 특징 (1/2)

① 율격 : 음수율과 음보율이 비교적 뚜렷이 나타난다 .

㉠ 음수율 : 주로 3(4) 4․ 조로 실현된다 . ⇨ 표층적 운율

㉡ 음보율 ⇨ 심층적 운율

-3 음보율 : 고려 (구비 문학적 ) - 음악성민요적 운율로 계승됨 .

-4 음보율 : 조선 (기록 문학적 ) - 안정감시조 , 자유시 등에 내면화됨 .

② 구조 : 전반적으로 선경 후정 ( 先景後情 )’, ‘ ‘ 시상 전개 ⇨ 마무리 등’ 의 원리가 적용된다 .

㉠ 향가 : 4 구체 ⇨ 8 구체 ⇨ 10 구체의 형식 . 낙구 ( 落句 ) 의 시상 마무리가 특징이다 .

㉡ 속요 : 분절체 , 후렴구의 형식 . 경기체가에서 이 형식을 답습한다 .

㉢ 시조 : 3 장 6 구의 정형시

- 평시조형의 중첩연시조 - 평시조형의 팽창사설시조

- 배열 방식의 변화장별 배형과 구별 배행

(9)

3.2 고대문학의 갈래별 전개

5. 고전 시가의 특징 (2/2)

② 구조

㉣ 가사 : 4 음보 연속체의 형식 . 정격 가사는 시조의 종장처럼 마무리한다 .

③ 정서 ( 情緖 )

㉠ 자연 친화 : 자연을 정서적 위안의 공간으로 인식하며 , 자연에 몰입 ( 낙원사 상 ) 하는 경향을 보인다 .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특징이 있다 .

㉡ 현실 순응적 태도

- 인종과 한 ( 恨 ) : 서정적 자아가 주로 여성화되어 있다 .

- 관조와 달관 : 상황 대응 방식이 개인적으로 내성화 ( 內省化 ) 되어 나타난다 .

㉢ 해학과 풍자 : 조선 후기 사회의 평민 의식의 분출 방식에서 두드러지게 나 타난다 .

참조

관련 문서

„ Sender는 메시지의 해시를 구하고 메시지와 해시 모두를 암 호화하여 상대방 Receiver에게 보낸다.. 메시지의 해시를 구하 는

장물수사에 대한

공유결합보다는 약한 이러한 이끌림을 수소결합(hydrogen bond)이라고 한다.. 물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극성화합물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극성 유기화합물이

Das Rathaus liegt im Graus, die Starken sind zerhaun, Die Jungfern sind geschänd’t, und wo wir hin nur schaun, Ist Feuer, Pest, und Tod, der Herz und Geist durchfähret..

• 인간의 동기부여의 성격에 관한 문제 미해결-작업자 의 만족이 생산성의 일차적 요인만은 아니었다.즉, 임 금과 같은 작업환경요인도 생산성과 연결될 수 있다.

단 자녀에게 증여한 재산은

국가공간정보체계 구축 범용통계조사시스쳄 구축 디지털행정협업체계 구축 외교정보통합관리체계 구축 온라인 국민소통시스템 구축 차세대 전자인사관리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