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머리말머리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머리말머리말"

Copied!
18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머 리 말

(3)

년 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 이 원 덕

(4)

목 차

요 약

제 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연구의 내용 연구의 방법

연구의 범위와 용어정의 연구의 한계

제 장 우리나라 외국인력 제도와 고용 현황 2

외국인력정책의 유형 외국인력 정책의 전개과정

외국인의 입국과 체류자격 전문기술 외국인력 활용제도․ 저숙련 외국인력 활용제도 외국인 고용허가제도의 운영현황

(5)

외국인력의 체류현황

고용허가제 외국인력 고용현황

이주에 따른 비용과 편익

노동이동촉진과 근로자의 숙련정보

제 장 외국인력 고용현황 및 숙련수요 조사 분석 3

업종 및 규모

설립년도 및 노동조합

기업 주력제품의 최근 수요추세

인력부족과 부족원인 외국인력의 고용현황

외국인력의 채용과 직무수행 만족 필요한 외국인력의 유형과 경험정도

교육훈련 현황 숙련기간 및 만족도 직무능력표준 개발과 활용

외국인 근로자 활용 시 애로사항 외국인 근로자 활용의 파급효과 외국인 근로자 고용정책 평가 고용허가제 고용절차 평가

(6)

앞으로 외국인력 활용여부와 근로자 유형 업종별 요구되는 직무능력 유형 직무능력 유형별 업종에서 필요정도

업종별 직무능력 유형의 우선순위와 직무능력 수준

제 장 요약 및 결론 4

외국인력이 보유한 직무능력 수준 정보 공유 자격을 갖춘 외국인력을 선별할 수 있는 기제 구축 외국인 근로자 직무능력표준개발

외국인 근로자의 도입 절차 및 체류관리 개선 외국인력의 체계적인 인적자원개발

기타 외국인력 활용을 위한 과제 SUMMARY

부록 업종별 직무능력 유형에 대한 수요와 수준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7)

표목차

< >

표Ⅰ 제조업 중분류별 외국인 근로자 고용 기업체 최종 선정 결과 표Ⅰ 설문조사 영역별 조사 내용

표Ⅱ 체류자격 유형

표Ⅱ 취업활동이 가능한 사증 실무상 취업사증 이라고 함 표Ⅱ 단기상용 자격

표Ⅱ 사업장 규모별 허용인원 제조업 표Ⅱ 외국인력 체류 현황

표Ⅱ 취업비자 외국인력 현황 표Ⅱ 불법체류자의 국적별 분포 현황 표Ⅱ 고용허가 현황 년 월 현재

표Ⅱ 고용허가제 외국인력의 인적 특성별 분포 표Ⅱ 생산기능 조작직 인력부족률․

표Ⅲ 업종분포 표Ⅲ 사업체 규모 표Ⅲ 설립년도 표Ⅲ 노동조합여부 표Ⅲ 주력상품의 수요 표Ⅲ 인력부족 여부 표Ⅲ 인력부족률 표Ⅲ 인력부족 원인

표Ⅲ 인력부족 상황 시 해결방안 표Ⅲ 외국인력 활용 업체 표Ⅲ 외국인력 고용 이유 전체 표Ⅲ 외국인력 고용 이유 표Ⅲ 외국인 근로자 인적사항 표Ⅲ 국가별 외국인력 분포 표Ⅲ 업종별 작업내용

표Ⅲ 외국인 근로자 채용 시 고려사항 전체

표Ⅲ 외국인 근로자 채용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 업종별

(8)

표Ⅲ 외국인 근로자 채용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 규모별 표Ⅲ 외국인 근로자 직무수행 만족도

표Ⅲ 외국인력 확보 가능성

표Ⅲ 외국인력을 채용할 수 없는 이유 표Ⅲ 필요한 외국인력의 직무수준 표Ⅲ 한국에서의 근속기간 표Ⅲ 필요한 교육수준 경력수준

표Ⅲ 외국인력의 본국에서 동종업체 근무경험 표Ⅲ 외국인력의 적응훈련 실시여부

표Ⅲ 적응훈련 실시기간

표Ⅲ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을 위한 필요 교육내용 표Ⅲ 외국인 근로자 시 느끼는 애로사항 표Ⅲ 직업훈련 형태별 실시여부와 지원여부 표Ⅲ 문화교육에 대한 업종별 실시 현황

표Ⅲ 업종 및 규모별 외국인 근로자 훈련기간 및 참여인원 표Ⅲ 업종별 단순직무 적응기간

표Ⅲ 업종별 숙련직무 적응기간 표Ⅲ 숙련 근로자의 직무수준 만족정도 표Ⅲ 업종 및 규모별 직무능력표준의 활용가치 표Ⅲ 업종별 직무능력표준 활용의 도움여부

표Ⅲ 업종 및 규모별 외국인 근로자 활용 시 애로사항 표Ⅲ 내국 근로자에 대한 외국인 근로자 활용의 영향정도 표Ⅲ 외국인 근로자 고용정책에 대한 의견

표Ⅲ 외국인 근로자 고용절차 만족도 표Ⅲ 고용절차 불만에 따른 개선사항 표Ⅲ 사용자 교육에 대한 개선사항

표Ⅲ 외국인 근로자 활용에 따른 고충사항 개선방법 표Ⅲ 외국인력 활용계획

표Ⅲ 활용할 인력유형

표Ⅲ 인력유형별 필요 직무능력 순위

표Ⅲ 섬유 의복업종의 인력유형별 필요 직무능력 유형과 수준․ 표Ⅲ 기계업종의 인력유형별 필요 직무능력 유형과 수준 표Ⅲ 화학업종의 인력유형별 필요 직무능력 유형과 수준 표Ⅲ 전기전자업종의 인력유형별 필요 직무능력 유형과 수준․

(9)

표Ⅲ 목재가구업종의 인력유형별 필요 직무능력 유형과 수준․ 표Ⅲ 금속업종의 인력유형별 필요 직무능력 유형과 수준

부표Ⅰ 전체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부표Ⅰ 섬유 의복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부표Ⅰ 기계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부표Ⅰ 화학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부표Ⅰ 전기전자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부표Ⅰ 목재가구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부표Ⅰ 금속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부표Ⅰ 기타업종에 대한 직무능력유형별 수요와 수준

(10)

그림목차

[ ]

그림 Ⅰ 연구의 절차와 방법

그림 Ⅱ 외국인 고용허가 신청절차

그림 Ⅲ 외국인력 활용 업체 분포 그림 Ⅲ 외국인력 선택의 우선순위 그림 Ⅲ 외국인력 수요 비율

그림 Ⅲ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필요 교육정도

그림 Ⅲ 외국인 근로자 활용에 있어서 가장 큰 애로사항 그림 Ⅲ 활용 계획에 있는 외국인 인력유형

그림 Ⅲ 전문 직무능력 에 대한 전체 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공통 직무능력 에 대한 전체 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전문 직무능력 에 대한 섬유 의복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공통 직무능력 에 대한 섬유 의복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전문 직무능력 에 대한 기계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공통 직무능력 에 대한 기계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전문 직무능력 에 대한 화학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공통 직무능력 에 대한 화학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전문 직무능력 에 대한 전기 전자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공통 직무능력 에 대한 전기 전자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전문 직무능력 에 대한 목재 가구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공통 직무능력 에 대한 목재 가구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전문 직무능력 에 대한 금속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공통 직무능력 에 대한 금속업종의 필요정도 그림 Ⅲ 전문용어 이해정도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장비 및 도구사용법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공정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용 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생산품의 품질관리 분석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안전에 관한 이해도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연관분야 기술이해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11)

그림 Ⅲ 대인관계 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문제해결 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조직이해 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정보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수리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신체운동능력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한국어능력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문화이해능력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그림 Ⅲ 노동법 이해도 에 대한 업종별 인력유형의 필요수준

(12)

요약

【 】

연구배경 1.

주요 연구결과

2.

(13)
(14)
(15)

결론

3.

(16)
(17)

제 1 장

서 론 1)

제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1.

(18)
(19)

연구의 목적 2.

제 절 연구의 내용방법 및 한계 2 ․

연구의 내용 1.

(20)

연구의 방법 2.

(21)
(22)

 

(23)

() () () () () () () () () () () ()

N

표본할당 1.285 48 1 2.589 145 3 5.199 37 2 16.800 13 1 243 7 1.244 116 1 3.167 281 8 7.823 76 5 5.344 26 499 14 1.670 12 0 3.157 44 1 11.487 7 1 5.750 6 0 69 2

0.837 5 0 2.410 19 0 0 24 0

1.334 61 1 3.160 155 4 5.391 6 0 0.577 3 0 225 5 1.399 63 1 3.088 168 4 3.638 15 0 1.732 9 0 255 16 1.075 33 0 3.181 127 3 3.592 10 0 20.092 5 1 175 4

0.837 5 0 2.114 19 0 . 1 0 . 1 0 26 0

1.331 86 1 2.714 157 4 5.021 10 5 3.817 7 0 260 10 1.309 409 5 3.630 869 27 5.938 96 0 11.729 39 4 1,413 36 1.210 75 1 3.092 182 5 3.348 14 2 8.927 5 0 276 11 1.203 117 1 2.851 309 8 8.428 24 7 5.338 15 1 465 17 1.161 325 3 3.056 773 20 8.887 92 3 30.002 28 7 1,218 33 1.380 157 2 3.066 500 13 5.518 68 0 27.516 31 7 756 22

0.894 5 0 2.074 6 0 4.037 5 1 16 1

1.505 23 0 3.634 101 3 4.570 26 6 19.475 10 2 160 11 1.184 95 1 3.397 338 10 9.441 77 0 17.819 52 8 562 19 0.753 6 0 2.296 18 0 5.657 2 2 5.069 8 0 34 2 1.288 132 1 4.586 427 17 7.462 94 1 8.932 56 4 709 23 0.894 11 0 4.206 63 2 5.602 19 3 4.432 8 0 101 5 1.373 156 2 3.238 339 9 13.183 23 0 6.214 7 0 525 11

1.373 30 0 4.327 48 2 1.414 2 2 80 4

21 143 40 35 253

(24)
(25)

연구의 범위와 용어정의 3.

(26)

연구의 한계 4.

(27)
(28)
(29)

제 2 장

우리나라 외국인력 제도와 고용 현황

제 절 외국인력정책의 전개과정 1

외국인력정책의 유형 1.

(30)
(31)
(32)

외국인력 정책의 전개과정 2.

(33)
(34)

제 절 외국인력 제도의 현황과 특징 2

외국인의 입국과 체류자격 1.

(35)
(36)

전문기술 외국인력 활용제도

2. ․

8)

(37)
(38)
(39)

저숙련 외국인력 활용제도 3.

(40)
(41)
(42)
(43)
(44)

외국인 고용허가제도의 운영현황 4.

(45)
(46)
(47)
(48)
(49)
(50)
(51)

제 절 외국인력의 고용현황 3

외국인력의 체류현황 1.

(52)

단위 명 ( : , %)

(53)

단위 명 ( : , %)

(54)

단위 명 ( : , %)

고용허가제 외국인력 고용현황 2.

(55)
(56)

제 절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4

이주에 따른 비용과 편익 1.

(57)
(58)
(59)

노동이동촉진과 근로자의 숙련정보 2.

(60)
(61)

단위 ( : %)

(62)
(63)

제 3 장

외국인력 고용현황 및 숙련수요 조사 분석

제 절 조사대상 업체의 일반현황 1

업종 및 규모 1.

(64)

단위 개 ( : , %)

단위 개 ( : , %)

(65)

설립년도 및 노동조합 2.

단위 개 ( : , %)

단위 개 ( : , %)

(66)

기업 주력제품의 최근 수요추세 3.

단위

( : %, )

(67)

제 절 인력부족과 외국인력 고용현황 2

인력부족과 부족원인 1.

단위

( : %, )

(68)

단위 명 ( : , %)

(69)

단위 ( : %, )

(70)

단위 ( : %, )

외국인력의 고용현황 2.

(71)

단위 개 ( : , %)

기계 23.3%

화학 19.0%

전기·전자 11.5%

목재·가구 14.2%

금속 18.2%

기타 7.5%

섬유·의복 6.3%

(72)

단위 ( : %, )

단위 ( : %)

(73)
(74)

단위 ( : %, )

(75)

단위 ( : %, )

(76)

단위 ( : %, )

외국인력의 채용과 직무수행 만족 3.

(77)

단위 ( : %, )

인성 13.4%

기타 0.4%

관련지식 및 숙련도 7.9%

의사소통 11.5%

해당분야의경력 및 경험 3.2%

출신국가 42.7%

요구하는 임금수준 5.1%

학력 1.2%

체격 등 육체적조건 14.6%

(78)

단위 ( : %, )

(79)
(80)

단위 ( : %, )

필요한 외국인력의 유형과 경험정도 4.

(81)

단위 ( : %, )

(82)

단위 ( : %, )

(83)

단위 ( : %, )

(84)

숙련인력 20.9%

반숙련인력 34.0%

단순직근로자 44.7%

기타 0.4%

(85)

단위 명 ( : , %)

(86)

단위 ( : %, )

(87)

단위 ( : %, )

(88)

제 절 외국인 근로자의 교육훈련 3

교육훈련 현황 1.

단위 개 ( : , %)

(89)

단위 개 ( : , %)

(90)

단위 개 ( : , %)

(91)

직업정신 10.3 기초기능 7.1

관련법규 0.8 한국문화 및 한

국생활에 필요한 기본소양 3.2

한국어 44.3 산업안전 34.4

단위 개 ( : , %)

(92)

단위 개 ( : , %)

(93)
(94)

단위 개 ( : , %)

(95)

단위 개 ( : , %)

(96)

단위 명 ( : , %)

직무능력표준 개발과 활용 3.

(97)

단위 개 ( : , %)

(98)

단위 개 ( : , %)

제 절 외국인 근로자 활용과 인력정책에 대한 평가 4

외국인 근로자 활용 시 애로사항 1.

(99)

단위 점 척도

( : 5 )

(100)

높은 임금을 요구한다 13

외국인 인력관리가 어렵다 7.1

이탈률이 높다 4

생활관습 상의 차이가 크다 5.5 일에 대한 적응력이 낮다 0.8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 한다 50.2 근면성이 떨어진다 5.1

애사심이 없다 4.3 생산성이 낮다 3.6

내국인 근로자와 융화가 잘 되지 않는다 0.4

지식, 기술 숙련도가 낮다 5.1

외국인 근로자 활용의 파급효과 2.

(101)

외국인 근로자 고용정책 평가 3.

(102)

고용허가제 고용절차 평가 4.

단위 점 척도

( : 5 )

(103)

단위 개 ( : , %)

단위 개 ( : , %)

(104)

단위 개 ( : , %)

제 절 외국인 근로자 숙련수요 5

(105)

앞으로 외국인력 활용여부와 근로자 유형 1.

단위 개 ( : , %)

(106)

단위 개 ( : , %)

(107)

단순노무인력 51.3

숙련 노동자 12.7

반숙련 노동자 36

업종별 요구되는 직무능력 유형

2. (skill)

(108)
(109)
(110)

0 20 40 60 80 100

전문용어 이해 정도

(작업지시서 이 해 등) 장비 및 도구사용법

공정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용 능 생산품의

품질관리분석 안전에 관한 이해도

연관분야 기술이해

전문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인관계능력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문

제인식능력) 조직이해 능

력 (경영, 업 무이해 능력) 정보능력 (정

보수집,분석,활 용능력) 수리능력 (사칙

연산,도표해석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신체운동능력한국어 능력문화이해능력노동법 이 해도

공통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

(11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전문용어 이해 정도 (작업지시 서 이해 등)

장비 및 도구사 용법

공정에 대한 이 해와 기술적용

능력

생산품의 품질관 리분석

안전에 관한 이 해도

연관분야 기술이

섬유·의복업종 전문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인관계능력문제해결능력 (창의 력, 문제인식능력) 조직이해 능력 (경

영, 업무이해 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 분석,활용능력)

수리능력 (사

칙연산,도표해석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

신체운동능력한국어 능문화이해능력노동법 이해

섬유·의복업종 공통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전문용어 이 해 정도 (작

업지시서 이해 등) 장비 및 도구사용

공정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용 능 생산품의 품

질관리분석 안전에 관한

이해

연관분야 기술이

기계업종 전문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인관계능문제해결능력 (창 의력, 문제인식능력) 조직이해 능

력 (경영, 업 무이해 능력) 정보능력 (정

보수집, 분석,활용 능력) 수리능력 (사

칙연산,도표해석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신체운동능한국어 능력문화이해능 노동법 이해

기계업종 공통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4)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전문용어 이해 정 도 (작업지시서

이해 등)

장비 및 도구사용

공정에 대한 이해 와 기술적용 능력

생산품의 품질관 리분석

안전에 관한 이해

연관분야 기술이

화학업종 전문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인관계 능력

문제해결 능력 (창

의력, 문 제인식능

력) 조직이해

력 (경영 , 업무이

해 능력) 정보능력

(정보수 집,분석,활

용능력) 수리능력

(사칙연 산,도표해

석능력) 자기관리발능

신체운동 능력

한국어 능 문화이해

능력 노동법 이

해도

화학업종 공통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전문용어 이 해 정도 (작

업지시서 이해 등) 장비 및 도구사용법

공정에 대한 이해와 기 술적용 능력 생산품의 품

질관리분석 안전에 관한 이해

연관분야 기 술이해

전기·전자업종 전문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인관계능력 문제 해결능력 (창의력

, 문제인식 능력) 조직이해 능

력 (경영, 업 무이해 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 분석

,활용능력) 수리능력 (사칙연산, 도표

해석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신체운동능력 한국어 능력 문화이 해능력 노동법 이해

전기·전자업종 공통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전문용어 이해 정도 (작업

지시서 이해 등) 장비 및 도

구사용

공정에 대한 이해와 기술 적용 능 생산품의 품질

관리분 안전에 관한 이해도

연관분야 기 술이해

목재·가구업종 전문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인관계능 문제해결

능력 (창의

력, 문제인식능력) 조직이해 능

력 (경영, 업 무이해 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

,분석,활용능력) 수리능력 (사칙연산

,도표해석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신체운동능

한국어 능문화 이해능

노동법 이해도

목재·가구업종 공통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전문용어 이해 정 도 (작업지시서

이해 등)

장비 및 도구사용

공정에 대한 이해 와 기술적용 능력

생산품의 품질관 리분석

안전에 관한 이해

연관분야 기술이 금속업종 전문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11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인관계능력문제해결능력 (창의 력, 문제인식능력) 조직이해 능력 (경영

, 업무이해 능력) 정보능력 (정보

수집,분석,활 용능력) 수리능력 (사칙

연산,도표해석능력) 자기관리 및 개

발능력

신체운동능력한국어 능 문화이해능력 노동법 이

해도

금속업종 공통기술

(%) 숙련인력

반숙련인력 단순노무인력

직무능력 유형별 업종에서 필요정도 3. (skill)

(12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전문용어 이해정도 (작업지시서 이해 등)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장비 및 도구사용법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공정에 대한 이해와 기술 적용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생산품의 품질관리 분석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안전에 관한 이해도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연관분야 기술이해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4)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대인관계 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문제해결 능력 (창의력, 문제인식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조직이해 능력 (경영, 업무이해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정보능력 (정보수집, 분석, 활용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수리능력 (사칙연산, 도표해석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신체운동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한국어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2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문화이해능력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130)

0 10 20 30 40 50 60 70 80

섬유·의복업 기계업 화학업 전기·전자업 목재·가구업 금속업 노동법 이해도

(%)

숙련 인력 반숙련 인력 단순노무 인력

업종별 직무능력 유형의 우선순위와 직무능력 수준

4. (skill) (skill)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제 4 장

요약 및 결론

제 절 연구 요약 1

(142)
(143)
(144)
(145)
(146)

제 절 정책과제 2

외국인력이 보유한 직무능력 수준 정보 공유 1.

자격을 갖춘 외국인력을 선별할 수 있는 기제 구축 2.

(147)

외국인 근로자 직무능력표준개발 3.

(148)

외국인 근로자의 도입 절차 및 체류관리 개선 4.

(149)

외국인력의 체계적인 인적자원개발 5.

기타 외국인력 활용을 위한 과제 6.

(150)
(151)

Foreign Workers Employment and Skills Requirements

1. Background

2. Major Results

(152)
(153)
(154)
(155)

3. Conclusion

(156)
(157)

부 록

부록 업종별 직무능력 유형에 대한 수요와 수준

< 1>

부록 설문지

< 2>

(158)
(159)

부록 업종별 직무능력 유형에 대한 수요와 수준

단위 명 ( : , %)

(160)

단위 명 ( : , %)

(161)

단위 명 ( : , %)

(162)

단위 명 ( : , %)

(163)

단위 명 ( : , %)

(164)

단위 명 ( : , %)

(165)

단위 명 ( : , %)

(166)

단위 명 ( : , %)

(167)

부록 설문지

한국기업의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직무능력 (skill) 수요 조사

(16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제노동기구 ․ (ILO) ․ 노동부

(169)

사업체 일반 현황 .

(170)

인력부족과 외국인 고용 현황 .

(171)
(172)
(173)
(174)
(175)

외국인 근로자의 숙련수요 와 교육훈련 . (skills requirement)

(176)
(177)
(178)
(179)
(180)

외국인력 활용과 외국인력 정책에 대한 평가 .

(181)

대체 로 찬성

매우 찬성

4 5

4 5

4 5

4 5

4 5

4 5

4 5

4 5

(182)

설문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83)

참고문헌

(184)

      

(185)

참조

관련 문서

* (주의) 일률적으로 “근로계약 체결 = 근로자 인정”인 것은 아니고, 근로자 여부는 계약의 형식과 관계없이 그 실질에 따라 사용 종속관계 하에서

연구는 성과급 일자리가 비성과급 일자리에 비해 근로자 특성에 대한 보상을 더 많이 해 주어 근로자 일자리 간 매치 정도를 향상시킨다는 - 이론적 가설을

[r]

□ 고급기술 보유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이민 개방정책을 유지하는 반면 저기술 외국인 근로자 유입에 대한

지연으로 인한 입국 규모 감소에 따라 달라질 것임. 현재까지 상황으로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 고용 규모가 감소 한 것으로 파악됨. • 그러나

– 불이익 변경이라면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 공급 유형은 첫째, 고용허가제 사업장 이동 외국 인 근로자, 둘째,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배정 농가의 인력 파견,

고용허가제는 매년 산업별로 외국인 근로자 신규 도입 규모 (Quota) 를 정한다..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계절근로자 제도는 고용허가제와 마찬가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