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횡문근융해증을 동반한 전격성 제1형 당뇨병 1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횡문근융해증을 동반한 전격성 제1형 당뇨병 1예"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57

S-427

횡문근융해증을 동반한 전격성 제1형 당뇨병 1예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내과

*윤수진, 김성운, 우정택, 오승준, 이상열, 진상욱, 박소영, 전 숙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기전에 의한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분비기능이 소실되는 질환으로 2000년 Imagawa 등은 특발성 제1형 당뇨병 환자군 중에서 전 격성 임상경과를 보이는 11명의 증례를 보고하여 그 아형으로 전격성 제 1형 당뇨병을 보고하였다. 국내에서 전격성 제1형 당뇨병은 몇 차례 보고된 적 있었으 나 횡문근융해증을 동반한 경우는 없었기에 저자들은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31세 남자가 속옷만 입고 집을 나서려 하는 이상행동을 보인 후 혼미한 의식 변화를 보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자 내원 3일 전부터 다뇨, 다갈 있었으며 내원 전일 구역, 구토로 개인의원에서 위염 의심 하에 경구제 처방받고 귀가하였 다. 당뇨병 가족력은 없고, 내원 2 개월 전 군제대 후 2주가량 주 3회 소주 3병 가량 마셨으나 이후 절주하여 최근 1개월 주 1회 1병 미만 섭취한 음주력 외에 특 이사항 없었다. 응급실 내원시 혈장포도당은 1025 mg/dL로 상승되어 있었고, 당화혈색소는 6.7%로 정상에서 약간 상승소견 보였다. 동맥혈 pH 7.157 PaCO2 12.7 mmHg, PaO2 115.3 mmHg, HCO3- 4.4 mmol/L, 소변 케톤체 양성으로 대사성 케톤산증을 보였다. 크레아틴 키나아제 22133 U/L 마이오글로 빈 >3781.0 ng/mL로 횡문근 융해증 소견을 보였고 아밀라아제 19441 U/L, 리파아제 35 IU/L로 췌장염증 소견을 동반하였다. 복부 CT에서는 심한 지방간 외에 특이소견 없었다. EBV, coxsackie virus, hepatitis A virus, CMV, human herpess virus 모두 음성이었고, 추후 검사한 GAD-항체 3.95 U/mL, IA2-항체

<0.4 U/mL 음성이었다. 본 환자는 고혈당에 의한 임상경과가 매우 짧고 심한 고혈당으로 인한 케톤산증 및 횡문근 융해증 등을 동반한 환자로서 전격성 제 1 형 당뇨병의 진단기준에 부합하였다. 환자는 중환자실에서 인슐린 투여를 포함한 치료 후 모든 증상 및 검사결과들이 호전되어 퇴원하였고 지속적인 인슐린 피하주사로 혈당 조절하는 상태로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S-428

만성신부전이 동반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DPP-4 억제제의 안전성 및 유효성 연구

1광명성애병원, 2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3분당제생병원, 4동국대학교 일산병원, 5가천대 길병원 내분비내과

*이승재1, 이성수2, 신동현3, 김경아4, 박이병5, 박석오1

배경: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30%에서 신기능 이상이 동반되는데, DPP-4 억제제의 일부는 신기능 저하가 있더라도 처방이 가능하다. 이에 중등도 만성신부 전 동반 당뇨병 환자에서 DPP-4 억제제의 안전성 및 혈당조절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경인지역 5개 종합병원에서 2015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 까지 중등도의 만성신부전(eGFR : 15-59 ml/min/1.73m2)이 동반된 40세 이상의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DPP-4 억제제 234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 향적 조사를 하였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 DPP-4 억제제 투여 전 과 투여 6개월 후, 12개월 후의 사구체여과율을 확인하였고, 약제 유지 기간 동안 저혈당, 이상 반응 빈도 등을 조사하였다. 혈당 조절 효과를 보기 위해 당화혈색소 수치 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166명을 제외한 68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남자는 30명(44.1%) 여자 38명(55.9%) 이었다. 평균 나이는 70.4 세, 체질량지수는 26.4 kg/m2 였다. 투여 약제는 zemigliptin 33명 (48.5%), linagliptin 23명 (33.8%), sitagliptin 5명(7.4%), alogliptin 3명 (4.4%), saxagliptin 2명 (2.9%), vildagliptin 2명 (2.9%) 이었다. 투여 기간 동안 저 혈당 발생은 2건 (2.9%, p=0.062) 이 발생하였고 입원은 5건 (7.4%, p=0.401), 응급실 내원은 1건 (1.5%, p=0.857) 이 있었으나 DPP-4 억제제와의 연관 성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구체여과율의 변화는 투여 전 40.1±10.84, 6개월후 41.4±15.45, 12개월후에 40.5±16.62 ml/min/1.73m2 이었다.(p=0.013) 기타 이상반응들은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 수치는 투약 시작시 8.16±2.0 % , 6개월후 7.59±1.69 %, 12개월후에 7.8±1.51 % 로 6개월후 감소되었다가 12 개월 후약간 증가된 수치를 보였으나 시작시점 보다는 감소하였다.(p=0.869) 결론: 중등도 신기능 저하 상태의 당뇨병 환자에서 DPP-4 억 제제는 투여 6개월 후 신기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았다. 기타 이상반응 발생빈도는 매우 낮았으며, 혈당강하 효과를 보였다. 향후 장기투여시 및 병용 약물의 영 향에 대한 추가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참조

관련 문서

8개월 전부터 dapaglipflozin 추가 투여 하였던 환자로 최근 5개월 전부터 간헐적인 저혈당 증상 호소하여 인슐린 감량 중에 있었으며 5개월전에는 매식 전 insulin glulisine 10단위,

- 산소치료 필요 환자가 의사의 산소치료처방전에 의하여 보건복지 가족부장관이 고시하는 방법으로 가정에서 산소치료를 받은 경우 -제1형 당뇨병 환자가 제1형

연자들은 아메리카구충 감염에 의한 만성적이고 심한 철분 결핍성 빈혈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내원 1 개월 전부터 발생한 호흡곤란을 주소로 개인 의원을

즉 비특이적 발진을 동반한 발열성 환자에서 감별진단을 해 야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다.. 환자의 감별진

본 저자들은 독사교상 후 토혈과 혈변이 발생하여 내시경을 시행받은 증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내원 1시간 후 토혈을 하였고 내원 2시간 후 혈변이 발생하여

환자는 내원 당 일 저녁부터 38.6 도의 열이 발생하여 감염성 위장관염 의증으로 세프트리악손 투여를 시작했으며 경과를 지켜보던 중 내원 다음 날 혈변 및 복통이 발생하여

저자들은 급성 담낭염으로 내원하여 Churg-Strauss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미만성폐포출혈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22세 여자가 내원 이틀 전부터 지속되는

저자들은 다량의 난치성 복수를 동반한 다낭성 간질환 환자를 경험하여 보고 한다.55세 여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발생한 복부 팽만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6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