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복강경 담낭절제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복강경 담낭절제술"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541 - 547

12)

담낭서 론

질환은 흔한 소화기질환 중의 하나이며, 1882년 개복 담낭절제술을 시작한 이후로 담낭절제술은 충

접수: 1998년 4월 30일, 승인: 1998년 9월 27일 연락처: 신준호, 100-634,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 108

강북삼성병원 일반외과

Tel: (02) 739-3211, Fax: (02) 736-2187

수절제술과 더불어 흔히 시행되어온 복부 외과 수 술이다. 1987년 Mouret에 의해 소개된 복강경 담낭 절제술(laparoscopic cholecystectomy)은 개복 담낭절 제술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며 현재 담낭담 석 치료에 최상의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복 강경을 이용한 복부 수술이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 이는데 예를 들면 충수돌기절제술, 복강 내 장유착

복강경 담낭절제술 50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일반외과학교실

김상래・신동하・박용래・신준호・김흥대・김용신・한원곤・배원길

Cli n i c a l R e v i e w o f 5 0 0 Ca s e s o f La p a r o s c o p i c Ch o le c y s t e c t o m y

S an g Ra e Kim , M.D., D o n g H a S h i n , M.D., Yon g La e P a r k , M.D., J un Ho S hi n , M.D., He u n g Da e Ki m , M.D., Yon g S hi n Kim , M.D.,

Wo n Kon Ha n , M.D. a nd Wo n Ki l P a e , M.D.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 Kyun K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Aims: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hich brought on innovative progress in the field

of gallbladder surgery, has been widely employed. We analyzed the outcome of laparoscopic chole cystectomy to assess its clinical importan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500 cases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performed at our department from November, 1991 through June, 1997

Results: The mean age was 49.5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1:1.4. Nineteen percent o

the patients had a history of previous abdominal surgery. The mean operation time was 69.8 minutes Conversion to open cholecystectomy was necessary in seven patients (1.9%) of mild wall-thickening group (378 cases) and twelve patients (11.7%) of severe wall-thickening group (103 cas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most common pathologic diagnosis was chronic cholecystitis. Conclusions: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has become the‘gold standard’fo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gallstones and chronic cholecystitis. However, understanding the method of open cholecystectomy is essential because conversion to open cholecystectomy is necessary for some cases with severe gallbladder wall thickening. (Kor J Gastroenterol 1999;33:541 - 547)

Key Words: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Open cholecystectomy, Chronic cholecystitis

(2)

김상래 외 7인. 복강경 담낭절제술 50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543

박리술, 탈장복원술, 대장 및 직장절제술, 간낭종흡 입술, 비장절제술, 위궤양 및 조기위암절제술 등 여 러 분야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복강경 담낭절 제술의 장점은 개복을 피한다는 데에 있는데 최소 한의 침습성, 입원 기간의 단축, 수술 후 창상의 미 용 효과 및 수술 후 동통의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저자들은 본 병원 일반외과에서 1991년 1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은 5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 및 임상 결 과를 분석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저자들은 1991년 1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본원 일반외과에서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았던 환 자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원의 복강경 담낭절 제술의 적응증은 시술 초창기에는 상복부 압통이 심 하지 않으며 복부 초음파검사에서 담낭벽의 비후와 담도의 확장이 없고 상복부 수술을 시행받은 병력이 없었던 담낭담석 등 만성 담낭염에만 한정하였다.

시술자의 경험이 쌓이고 숙련도가 향상되면서 금기 증이었던 급성 및 화농성 담낭염도 복강경 담낭절제 술의 적응증에 포함시켰다.

2. 방 법

성별 및 연령 분포, 임상 증상, 진단 방법, 수술 시 간, 술후 합병증, 개복술로의 전환율 및 원인, 술후 경구섭취 시기, 병리 조직학적 소견 및 담낭벽 두께, 입원 기간 등을 입원기록지 및 외래기록지를 참고하 여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통계프로 그램 SPSS를 이용하여 시술 예의 축적과 수술 시간 과의 관계는 ANOVA로, 개복술로의 전환과 담낭벽 두께와의 관계는 chi-square test로 검정하였고 p값이 0.05 이하일 때 유의한 것으로 정하였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개복 담낭절제술처럼 전신 마취가 반드시 필요하다. 복강경 담낭절제술 도중에 개복술로의 전환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므로 준비는 개복 담낭절제술에 준하였다. 시술 초기에는 도뇨관 과 비위관을 삽입하였고 약 150예 수술 후에는 경험

이 축적되면서 수술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가급적 이면 도뇨관과 비위관을 삽입하지 않았다.

수술 방법은 일반적인 복부 수술과 같은 방법으 로 준비한 후 우선 제대하방에 약 1 cm 정도 피부 절개를 넣고 veress침을 복강 내로 넣은 후 이산화탄 소를 주입하여 복강 내 압력이 약 13-15 mmHg가 되 면 10 mm 투관구(trocar)를 삽입하였다. 복강경을 이 투관구로 복강 내로 넣은 후 복강 내 전 부분을 관찰 하고 심와부의 적당한 위치에 10 mm 투관구를 하나 더 삽입하였다. 3번째로 우상복부에 5 mm 투관구를 삽입하고 복강경으로 담낭과 그 주위 및 복강 내 전 체를 관찰하였다. 술자는 양손으로 복강경용 각종 기구를 사용하여 담낭을 여러 방향으로 거상 또는 견인하면서 담낭관 및 담낭동맥 부위를 박리하고 복 강경용 결찰 기구를 이용하여 결찰 및 절단한 후 담 낭을 절제하고 출혈 여부를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 면 배액관을 넣고 수술을 종료하였다.

결 과

1. 임상적 특성

남녀의 성비는 1:1.4이었고 환자의 나이는 16세부 터 71세까지로 평균 49.5세였는데 50대와 40대가 각 각 144예(28.8%), 119예(23.8%)로 가장 흔하였다 (Table 1). 환자의 주증상은 상복부 동통이 445예 (8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무증상인 경우도 77예(15.4%)에서 있었다. 증상 발현 후 내원하여 수 술을 받을 때까지의 기간은 1개월 미만이 109예 (21.8%), 1개월에서 6개월 사이가 67예(13.4%), 6개 월에서 12개월 사이가 88예(17.6%), 1년 이상이 159 예(31.8%)였다.

과거에 복부 수술 경험이 있는 경우 시술 초기에 는 가급적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피했으나 술자의 경 험과 숙련도가 향상됨에 따라 점차 복강경 담낭절제 술을 시도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과거에 복부 수 술을 받았던 환자는 95예(19.0%)였고 충수절제술 44 예(46.3%), 제왕절개술 21예(22.1%), 자궁절제술 17 예(17.9%), 자궁외 임신으로 인한 개복술 6예(6.3%), 장폐색증으로 인한 개복술 3예(3.2%), 기타 5예 (5.3%) 등의 순이었다.

(3)

544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4 호 1999

동반 질환은 총 111예(22.2%)에서 있었는데 고혈 압 61예(54.9%), 당뇨병 21예(18.9%), 간염 12예 (10.8%), 폐결핵 3예(2.8%), 심장질환 3예(2.8%) 등 의 순이었다.

2. 수술 전 영상검사

수술 전 영상검사는 복부 초음파, 복부 전산화단 층촬영 및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 등을 시행 하였다. 복부 초음파와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두 가 지 모두 시행한 경우는 329예(65.8%), 복부 초음파 만 시행한 경우는 70예(14.0%), 복부 전산화단층촬 영만 시행한 경우는 38예(7.6%), 복부 전산화단층촬 영, 복부 초음파,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 모 두 시행한 경우는 34예(6.8%)였다.

3. 수술 중 담관조영술 및 담관절개술 수술 중 담관조영술은 심한 염증으로 해부학적 구조가 불분명한 환자나 수술 전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에 실패한 환자 또는 수술 전 복부 전 산화단층촬영에서 담관에 담석이 없이 담관이 확장 되어있는 경우 등 36예의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담낭 관을 통한 담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담낭관의 폐쇄 로 인해 도관 삽입이 잘 안되었던 경우가 3예였고, 2 예는 조영제의 유출로 실패하였으며, 31예는 성공적 으로 담관 촬영을 할 수 있었다. 이 중 5예에서 담관 담석이 있었으며, 3예는 복강경 담관절개술을 시행 하여 담관담석을 제거하였고 나머지 2예는 수술 후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로 담관담석을 제거하

였다. 담관조영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 시간은 평균 146분이었다.

4. 수술 시간

수술 시간은 제1투관침 삽입부터 창상 봉합까지 의 시간을 산정하였으며 개복술로 전환한 19예는 제 외하였다. 수술 시간은 평균 69.8분이었으며, 30분 이내가 57예(11.8%), 31분에서 60분 사이가 263예 (54.6%)로 가장 많았고 61분에서 90분 사이가 75예 (15.6%), 91분에서 120분 사이가 61예(12.7%), 121 분 이상 소요된 경우가 35예(7.2%)였다. 수술 수기 가 익숙해지고 경험이 축적되면서 평균 수술 시간이 단축되었다(Table 2).

5. 술후 합병증

수술 후 합병증은 25예(5.0%)에서 발생하였으며, 출혈이 13예(2.6%)로 가장 많았고, 담즙 유출이 5예 (1.0%), 창상 감염 4예(0.8%), 담관 손상 2예(0.4%) 그리고 장관 손상 1예(0.2%)가 있었다.

6. 개복술로의 전환

복강경 담낭절제술 중 개복술로 전환된 경우는 19예(3.8%)였으며 원인은 출혈이 7예로 가장 많았 고, 이 중에는 수술 후 회복 중 출혈이 발생한 경우 가 2예 있었다. 그 외 과거 복부 수술로 인한 심한 장 유착 5예, 화농성 담낭염 3예, 담관 손상 2예, 장 관손상 1예, 담낭암 1예 순이었다. 개복술로의 전환 에서 복강경 담낭절제술 도중 불가항력적인 요인으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Age (years)

Sex

Total (%) Male (%) Female (%)

Less than 20 20-29 30-39 40-49 50-59 60-69 More than 70 Total

1 ( 0.2) 9 ( 1.8) 63 (12.6) 51 ( 0.2) 54 (10.8) 31 ( 6.2) 4 ( 0.8) 213 (42.6)

1 ( 0.2) 18 ( 3.6) 47 ( 9.4) 68 (13.6) 90 (18.0) 47 ( 9.4) 16 ( 3.2) 287 (57.4)

2 ( 0.4) 27 ( 5.4) 110 (22.0) 119 (23.8) 144 (28.8) 78 (15.6) 20 ( 4.0) 500 (100)

(4)

Kim et al. Clinical Review of 500 Cases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545

로 개복술로 전환하게 되는 강제 전환(enforced con- version)의 원인으로는 출혈, 담관 손상, 장관 손상, 담낭암 등 11예였다. 수술 시작 단계에서 개복술을 미리 예상하고 수술 중에 염증이나 유착 정도를 보 아서 개복술로 전환하는 정규 전환(elective con- version)은 과거 수술로 인한 유착, 화농성 담낭염 등 8예였다(Table 3).

7. 개복술로의 전환과 담낭벽 두께와의 상관 관계

담낭의 조직표본에서 측정한 담낭벽의 두께는 평 균 4.6 mm이었는데 5 mm 이하이면 경미, 6 mm 이 상을 비후가 심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경미했던 군 378예 중 7예(1.9%), 심했던 군 103예 중 12예 (11.7%)에서 개복술로 전환되어 담낭벽의 비후가 심 했던 군에서 유의하게 개복술로의 전환율이 높았다 (p<0.05).

8. 병리조직학적 소견

술후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만성 담낭염이 441 예(88.2%), 급성 담낭염이 35예(7.0%), 담낭 용종이 22예(4.4%), 담낭암이 2예(0.4%)였다(Table 4).

9. 술후 경과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연식(soft diet)의 섭취 시기 는 수술 후 1일째가 342예(68.4%)로 가장 많았고 평 균 1.4일이었으며, 개복술로 전환한 경우에서는 대 개 수술 후 3-4일째부터 섭취가 시작되었다.

수술 후 입원 기간은 3일 이하가 11예(2.2%), 3-6 일이 397예(79.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7-10일이 63예(12.6%), 11-14일이 17예(3.4%), 14일 이상 입원 기간이 12예(2.4%)였으며 개복술로 전환한 19예를 제외한 수술 후 평균 입원 기간은 3.8일이었고 개복 술로 전환된 19예의 평균 입원 기간은 14.2일이었다.

고 찰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1987년 프랑스 Mouret가 처 음 시술한 이후1-4 저침습 시술이라는 점과 짧은 입 원 기간, 일상 생활의 조기 복귀 및 미용상의 이점

등의 장점을 가진 술식으로 인식되면서3,5-7 이제는 담낭절제술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8 복강경 담낭절 제술은 창상의 동통과 장관 마비를 피할 수 있고 수 술 당일부터 음식 투여가 가능하므로 입원 기간이 Table 2. Operation Time according to Surgeon' s Experience (excluding 19 cases of converted cases)

Case Mean operation time (minute) 1 - 150

151 - 350 351 - 481 Total

91.1*

61.6†

57.9†

69.8

* p<0.05 vs †.

Table 3. Reasons for Conversion to Open Chole- cystectomy

No. of case (%) Bleeding

Adhesion due to previous operation GB empyema

Bile duct injury Bowel injury GB cancer Total

7 (1.4) 5 (1.0) 3 (0.6) 2 (0.4) 1 (0.2) 1 (0.2) 19 (3.8) GB, gallbladder.

Table 4. Pathological Diagnosis

Diagnosis No. of case (%) Chronic cholecystitis

Acute cholecystitis

Chronic cholecystitis with polyp Chronic cholecystitis with choles-

terolosis

Chronic cholecystitis with tubular adenoma

GB cancer Total

441 (88.2) 35 ( 7.0) 12 ( 2.4) 7 ( 1.4) 3 ( 0.6) 2 ( 0.4) 500 ( 100) GB, gallbladder.

(5)

54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4, 1999

3-4일로 짧고 상흔이 거의 남지 않으므로 미용면에 서 효과가 크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적응증은 담낭담석, 담낭용 종, 석회화된 담낭벽, 만성 담낭염 등9이 있으며, 수 술자의 경험이 적응증의 범위를 좌우하게 된다. 과 거에 금기증이었던 급성 담낭염, 복부 대수술 과거 력, 담관담석 등은 외과 팀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복강경을 이용한 시술이 점차 가능해지고 있으며 외 국에서의 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복강경 담 낭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 다.10-12 저자들은 환자의 과거력, 신체검진 및 검사실 소견과 복부 초음파검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등을 통하여 술전에 전신 질환의 동반 여부, 염증 정도와 담관담석의 유무 등을 확인하여 금기증이면 선택적 으로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담 석증의 호발 나이는 외국에서의 보고13처럼 50대에 서 144예(28.8%)로 가장 많았고 평균 나이는 49.5세 였다.

수술 전 환자의 주증상은 상복부 동통이 445예 (89.0%)로 가장 많았고, 무증상인 경우도 77예 (15.4%)가 있었다. 일부 연구에 의하면 무증상 담낭 담석의 경우 매년 증상 및 합병증의 발현율이 1-4%

가 된다고 하였으며, 특히 석회화된 담낭을 가진 환 자는 담낭 악성종양과의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25%)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하였다.14

증상 발현 후 수술하기까지의 기간이 1개월 미만 인 경우가 109예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주로 심한 복통을 주소로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 받았다. 증상 이 1년 이상된 경우가 159예에서 관찰되는데 이는 증상이 경미하여 위염 혹은 십이지장 궤양으로 진단 받고 보존적 치료를 해오다 신체검사에서 담낭 담석 이 발견되어 수술을 시행받았다. 동반 질환은 고혈 압, 당뇨병, 폐결핵, 간염 등의 과거력이 있었는데 대부분 전신 마취시 쇼크나 수술 후 합병증이 생기 지 않을 정도로 보존적 치료를 한 후 수술을 시행하 였다. 수술 전 영상검사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 낭 내에만 담석이 국한되어 있었다. 담관 내 담석이 의심되는 환자는 수술 전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 영술을 시행하여 담관 내 담석이 발견되면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개술을 시행하여 담석을 제거하였다.

복강경 담관절개술은 수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담관에 대한 술식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기부터는 복강경 담관절개술 을 피하고 수술 전에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개술로 담관담석을 제거한 경우에만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31예에서 선택적으로 수술 중 담관 촬영을 하였다. 담관 촬영에 근거하여 개복술 로 전환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는데, 이는 수술 전에 담관담석이나 간내 결석의 진단이 과거보다 정확하 여 발견 못하는 오류가 없었기 때문이다. 복강경 담 낭절제술 초기에 수술 전 검사 미비로 인해 수술 중 에 발견되었던 총수담관담석은 5예였다. 외국에서의 한 연구는 복강경 담낭절제술 중 담관조영술을 415 예에서 시행하여 90%의 성공률을 보고하였는데,15 저자들은 36예 중에서 31예 성공하여 86.1%의 성공 률을 보였다. 수술 중 담관조영술을 하기 위해 담관 을 박리하는 도중에 담관 손상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수술 시간이 연장되는 단점이 있다.16-18

평균 수술 시간은 69.8분이었으며, 31분에서 60분 사이가 263예(54.6%)였다. 외국의 시술 초기의 보고 들을 살펴보면 평균 81분 및 98분이었고,7,19 복강경 담낭절제술 초기 100예의 평균 수술 시간은 약 110 분이었다는 보고도 있다.20 국내의 경우 경험이 축적 된 후 28분 및 46분 등 짧은 시간을 보고하였다.21,22 저자들의 경우 첫 150예까지의 평균 수술 시간은 91.1분이었지만 이후 350예, 481예까지 각각 61.6분, 57.9분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p<0.05).

합병증에서 가장 위험스러운 것은 혈관 손상이며 늦게 인식되면 사망할 수도 있다.23 출혈은 담낭동맥 또는 간동맥의 손상, 간 기저 부위의 손상, 투관침 삽입과 관련된 출혈 등이 있다. 심한 출혈이 발생하 거나 출혈 부위 노출이 부적절하다면 즉시 개복술을 하여야 한다.14 저자들은 수술 중 또는 후 출혈이 심 한 7예를 개복하였다. 담즙 유출은 담낭관의 불완전 한 결찰, 발견되지 않은 담관 손상, 간 손상과 복강 경용 결찰기구의 결함 등이 원인이 되며, 2% 이하의 빈도를 보이고 있다.20 담즙이 유출되면 복부 동통, 황달, 발열 및 백혈구 증가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고21 지속적으로 유출되면 패혈증 방지를 위해 개

(6)

김상래 외 7인. 복강경 담낭절제술 50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547

복술을 고려해야 한다. 담관 손상은 약 1%의 빈도 로 발생한다고 하였다.13 담낭 주위의 염증이 심하여 담낭관과 담관의 구별이 잘 안되는 경우, 부적절한 기구 조작, 부주의, 경험 부족 등이 원인이 되며, 수 술 중 담관 손상이 인지되면 개복술로 전환해야 한 다. 저자들의 경우 2예에서 담관 손상이 발생하여 개복술로 전환하였는데, 1예는 담관의 기형으로 인 하여 총수담관이 담낭관으로 오인되어 담관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1예는 우측 간내담관(Right hepatic duct) 손상이 있어 Roux-en-Y 담관공장문합술을 시 행하였다. 장관손상 1예는 투관침 삽입 시 소장이 천공되어 개복하여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외국 에서의 연구는 418명 중 22명(5%)에서 담관 손상, 급성 염증, 심한 유착, 부정확한 해부학적 구조에 의 해 개복수술을 하였다고 보고하였다.15

병리 조직학적 소견을 보면 보고자에 따라 다양 하며 복강경 담낭절제술 초기에는 환자 선택을 신중 하게 하다가 수술 예가 많아지고 경험이 많아지면서 선택 범위가 넓고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다.21 정상 담낭벽의 두께는 약 1-2 mm 정도이며 급성 또는 만 성 염증이 진행될수록 두꺼워지는데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 담낭벽 두께를 측정한 결과 평균 4.6 mm 이었다. 5 mm 이하로서 비후가 경미했던 군에서 7 예(1.9%), 6 mm 이상의 비후가 심했던 군은 12예 (11.7%)에서 개복술로 전환되어 비후가 심했던 군에 서 유의하게 개복술로의 전환율이 높았다(p<0.05).

이는 급성 또는 만성 염증으로 인한 담낭벽 비후와 주위 조직과의 유착이 심할 경우 개복술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수술 전 초음파 상에서 담낭벽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개복술로의 전 환 가능성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수술 후 입원 기간에 대하여 국내에서는 3.2일, 3.9일 및 7일로 보고하였고,22-24 외국에서는 1.9일로 보고하였다.7 저자들의 경우 수술 후 평균 입원 기간 은 3.8일이었다.

결론적으로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양성 담낭질환 에 대해 조기 회복, 짧은 입원 기간 등의 장점을 가 진 술식이 될 수 있지만 심한 담낭벽의 비후, 합병증 의 발생 등의 상황에서는 개복술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개복 담낭절제술의 술기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요 약

목적: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500명의 환자 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을 관찰하고 수술 성적을 분석하여 본 수술의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 상 및 방법: 1991년 1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담낭 질환으로 입원하여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은 5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기록을 기초 로 임상적 특성, 진단 방법, 수술 방법, 수술 시간, 술후 합병증, 개복술로의 전환율 및 원인, 병리 조직 학적 소견 및 진단, 술후 경과 등에 대해 임상 분석 을 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49.5세였고 남녀의 성 비는 1:1.4이었다. 수술 받기 전 주증상은 상복부 동 통이 445예(89.0%)로 가장 많았고 무증상인 경우는 77예(15.4%)였다. 증상 발현 후 내원하여 수술받을 때까지의 기간은 대부분(62.4%) 1년 미만이었다. 선 행된 복부 수술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95예(19.0%) 였으며 가장 많이 시행받은 수술은 충수절제술로서 44예이었다. 동반 질환은 고혈압이 111예(22.2%)로 가장 많았다. 평균 수술 시간은 69.8분이었고, 시술 예가 증가하면서 수술 시간이 단축되었다(p<0.05).

수술 후 합병증은 25예(5%)에서 보였으며 출혈이 13예로 가장 많았다. 개복술로의 전환은 총 19예 (3.8%)로 원인은 출혈이 7예, 과거 수술로 인한 심한 복강 내 유착이 5예 등의 순이었고 담낭벽의 비후가 심했던 군에서 개복술로의 전환율이 유의하게 높았 다(p<0.05). 병리 조직검사에서 만성 담낭염이 441 예(88.2%)로 가장 많았다. 술후 평균 입원 기간은 3.8일이었다. 결론: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담낭담석 과 만성 담낭염의 표준 술식으로 인식되며, 특히 담 낭벽의 비후가 심하면 개복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 므로 개복 담낭절제술의 술기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 다.

색인단어: 복강경 담낭절제술, 만성 담낭염, 개복 담낭절제술

(7)

54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4 호 1999

참 고 문 헌

1. Cuschieri A, Dubois F, Mouiel J, et al. The Euro pean experience with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m J Surg 1991;161:385-387.

2. Dubios F, Icard P, Berthelot G, Levard H. Coelios copic cholecystectomy. Preliminary report of 36 cases. Ann Surg 1990;211:60-62.

3. Peters JH, Ellison EC, Innes JT,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 prospec tive analysis of 100 initial patients. Ann Surg 1991;213:3-12.

4. Schirmer BD, Dix J, Edge SB, Hyser MJ, Hanks JB Aguilar M.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n the obese patient. Ann Surg 1992;216:146-152.

5. Cuschieri A, Berci G, McSherry CK.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m J Surg 1990;159:273.

6. Sackier JM, Berci G, Paz-Partlow M. Elective diagnostic laparoscopy. Am J Surg 1991;161:326- 331.

7. Reddick EJ, Olsen DO. Laparoscopic laser cholecys tectomy: a comparison with minilap cholecystec tomy. Surg Endosc 1989;3:131-133.

8. Lai PB, Kwong KH, Leung KL, et al. Randomized trial of early versus delayed laparoscopic cholecys tectomy for acute cholecystitis. Br J Surg 1998;85 764-767.

9. Prystowsky JB, Nahrwold DL.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or biliary stones. Surg Clin North Am 1990;70:1231-1248.

10. Lujan JA, Parrilla P, Robles R, et al.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n the treatment of acute chole cystitis. J Am Coll Surg 1995;181:75-77.

11. Rattner DW, Ferguson C, Warshaw AL.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laparoscopic cholecystec tomy for acute cholecystitis. Ann Surg 1993;217 233-236.

12. Unger SW, Rosenbaum G, Unger HM, Edelman DS. A comparison of laparoscopic and open treatment of acute cholecystitis. Surg Endosc 1993;7:408-411.

13. Gadacz TR, Talamini MA, Lillemoe KD, Yeo CJ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Surg Clin North Am 1990;70:1249-1262.

14. Friedman GD. Natural history of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gallstones. Am J Surg 1993;165:399- 404.

15. Berci G, Sackier JM. The Los Angeles experience with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m J Surg 1991;161:382-384.

16. Brodish RJ, Fink AS. ERCP, cholangiography, and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The SAGES opinion survey. Surg Endosc 1993;7:3-8.

17. Moossa AR, Easter DW, van Sonnenberg E, Casola G, D' Agostino H. Laparoscopic injuries to the bile duct. A cause for concern. Ann Surg 1992;215:203 208.

18. Larson GM, Vitale GC, Casey J, et al. Multipractice analysis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n 1,983 patients. Am J Surg 1992;163:221-226.

19. Zucker KA, Bailey RW, Gadacz TR, Imbembo AL Laparoscopic guide cholecystectomy. Am J Surg 1991;161:36-42.

20. Goodman GR, Hunter JG. Results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n a university hospital. Am J Surg 1991;162:576- 579.

21. 오정식, 박용검, 지경천, 이정효, 장인택, 김상준. 복강 경 담낭절제술 1,500예의 임상적 고찰. 대한외과학회 지 1995;48:508-517.

22. 이승배, 박주승. 복강경 담낭절제술 500예에 대한 임 상분석 및 고찰. 대한외과학회지 1995;49:258-267.

23. 정해룡, 김상운, 김홍진, 심민철. 권굉보. 복강경 담낭 절제술 1000예. 대한외과학회지 1996;51:682-689.

24. 김찬철, 송영식, 허경열, 이문수. 복강경 담낭절제술.

대한소화기학회지 1994;26:971-980.

수치

Table 4. Pathological Diagnosis

참조

관련 문서

증상조절을 위해 부정맥 치료제, 항경련제, steroid 투여 기형과 경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이완 수술 실시. 운동기능

[r]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and reproductive outcome using interceed ® after ovarian surgery: a randomized trial in the rabbit model.. Adhesion reformation

문합부 누출은 위암 수술 후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에 하나이며 그 중 상부 위암 치료를 위한 위 전절제술에 따른 식도-공장 문합부의 누출은 타 장간

수술 다음날부터 질정을 삽입하였고 요도카테터를 제거하였으며 제거 후 잔뇨량을 측 정하여 100cc이상일때 다시 삽입하였다.수술후 1주일과 1개월 후 내원하여 수술과

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수행도와 관련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 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인식도,수술 전 감염 여부 확인 후

대부분의 난소종양은 초음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일부 연구자들은 초음파의 형태학적 지수를 통해 난소종양에서 악성의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 자 하였다. 15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 노인환자를 위해 초기 운동교육 동영상을 개발하고,동 영상을 이용한 수술 후 초기 운동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슬관절 전치환술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