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호주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및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호주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및 전망"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호주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및 전망

(2019.5.1. 주호주대사관)

□ 주요내용

ㅇ 2018년 기준, 호주 총 전력생산량(48,279 GWh)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1.3%로 수력 7.5%(17,002 GWh), 풍력 7.1%(16,171 GWh), 태양광 5.2%(11,694 GWh), 바이오 에너지 1.5%(3,412 GWh) 등으로 구성됨.

- 2018년 한 해 소형 및 대형 태양광(각 1.55 GW, 1.4 GW), 풍력(0.87 GW) 발전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향후 수년 내 대형 태양광(최대 8 GW)과 풍력(최대 5.7 GW) 발전설비 준공 예상

※ [참고] 신고리 2호기(경수로) 설비용량 : 1 GW

- 동 기간, 대다수 지역의 전체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이 두 자리 수를 기록했으며 타즈마니아주(TAS)는 가까운 미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100% 도달 가능 전망

*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 [타즈마니아] 95.9%, [남호주] 53%, [빅토리아] 20.6%, [서부호주] 16.2%, [뉴사우스웨일즈] 15%, [퀸즐랜드] 9.5%

ㅇ 호주의 대표적 신재생에너지원인 수력(양수 포함), 풍력, 태양광 발전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 중 비중은 각각 35.2%, 33.5%, 24.3%이며 바이오에너지가 약 7%를 기록함.

ㅇ 호주의 지역별 건설 중 또는 투자결정 완료 단계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규모 (대형 태양광 : 최대 8 GW, 풍력 : 최대 5.7 GW)와 준공 시점 (1~7년 이내) 등을 감안 시, 2020년 초중반까지 동 분야는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대형 태양광·풍력 발전사업은 꾸준한 사업개발 및 발전비용 하락과 함께 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 지원 기조 유지 시 2023∼24년 무렵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9% 도달 전망

- 총선(5.18)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50% 목표를 가진 노동당(제1 야당) 승리 시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 지원 확대 예상

- 태양광·풍력 대비 안정적(reliable) 전력공급과 급전(dispatchable)이 가능한 수력·양수발전 분야 또한 성장 기대

ㅇ 그러나 호주에너지시장기구(AEMO)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전력망 과부하 발생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발전사에 대안을 마련토록 조치 중으로 이는 신규 발전의 전력망 연결 지연과 추가 비용 발생을 초래하고 있음.

지역 전력생산량

(GWh) 재생발전량

(GWh) 전체 발전량 중

비중

타즈마니아 (TAS) 12,083 11,584 95.9%

남호주 (SA) 13,506 7,152 53%

빅토리아 (VIC) 48,014 9,908 20.6%

서부호주 (WA) 18,950 3,073 16.2%

뉴사우스웨일즈 (NSW*) 69,085 10,355 15%

퀸즐랜드 (QLD) 65,066 6,206 9.5%

총 계 48,279 100% 21.3%

- AEMO는 건설 후 운영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전력 인터커넥터 신설 및 송전망 용량 증대 등을 계획 중이나 단기 조치가 반복·장기화되고 전력망 과밀 지역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지연 될수록 신재생에너지 분야 성장 저해 가능성 증가 예상

□ 상세내용 가. 개요

ㅇ 2018년 기준, 호주 전체 전력생산량(48,279 GWh)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1.3%로 수력 7.5%(17,002 GWh), 풍력 7.1%(16,171 GWh), 태양광 5.2%(11,694 GWh), 바이오 에너지 1.5%(3,412 GWh) 등으로 구성됨.

- 동 해 기준, 소형 및 대형 태양광(각 1.55 GW, 1.4 GW), 풍력(0.87 GW) 발전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향후 수년 내 대형 태양광(최대 8 GW)과 풍력(최대 5.7 GW) 발전설비 준공 예상

<2018년 호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재생에너지 유형 전력생산량

(GWh) 재생발전량 중

비중 전체 발전량 중

비중

수력 17,002 35.2% 7.5%

풍력 16,171 33.5% 7.1%

소형 태양광(<100KW) 9,452 19.6% 4.2%

중형 태양광(100KW∼5MW) 367 0.8% 0.2%

대형 태양광(>5MW) 1,875 3.9% 0.8%

바이오에너지 3,412 7.1% 1.5%

총 계 48,279 100% 21.3%

(자료: Clean Energy Council) * 태양열(solar thermal) 16GWh, 지열(Geothermal) 1GWh in 2017 - 대다수 지역의 전체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이 두 자리 수를 기록했으며

타즈마니아주는 가까운 미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100% 도달 가능 전망

<2018년 호주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자료: Green Energy Markets) * NSW : 수도자치준주(ACT) 포함, * 북부준주(NT) 자료 미가용

(2)

3/9

나. 신재생에너지 종류별 현황 (수력·양수)

ㅇ 수력·양수발전은 호주의 대표적 신재생에너지원으로 2018년 약 17,000 GWh 전력을 생산하며 총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35.2%, 호주 총 전력생산의 약 7.5%를 차지함.

- 약 100여개의 수력 발전소가 뉴사우스웨일즈주 Snowy Mountains, 빅토리아주 북동부, 타즈마니아주, 퀸즐랜드주, 서부호주 Ord 강 인근에서 운영 중이며, 이 중 뉴사우스웨일즈주와 타즈마니아주 소재 발전소가 대부분의 발전 담당 - 호주 연방정부는 Snowy Mountains 소재 Snowy Hydro 수력발전 개량 및 용량 증대

목적의 Snowy 2.0* 사업을 추진 중이며 뉴사우스웨일즈 주정부는 잠재적 양수발전 사업 24개 선별 후 검토 중

* 기존 Snowy Hydro 수력발전을 양수발전(pumped-hydro)로 개량하여 설비용량 50% 증강 (4,100MW→6,100MW), ‘19년 중 금융종료(financial close)와 ‘20년 중 본 공사 착공 계획 - 타즈마니아 주정부는 양수발전 잠재 사업지 14곳을 조사 후 이를 풍력 발전사업과

병행 추진하여 2,500 MW 신규 발전원을 확보할 계획이며 호주재생에너지청 (ARENA)은 동 사업에 5백만 호불 지원

- 호주 수력발전량은 댐 설치지역의 장기간 가뭄 발생 시 전력생산량이 크게 감소 하는 패턴을 보이며 지난 5년간 13,300∼17,000 GWh 전력생산량을 기록

<호주 수력 발전량 추이>

연도 전력생산량(GWh) 재생에너지 비중 전체 전력생산 비중

2013 19,243 55.4% 8.2%

2014 14,555 45.9% 6.2%

2015 14,046 40.1% 5.9%

2016 17,747 42.3% 7.3%

2017 13,331 34.6% 5.9%

2018 17,002 35.2% 7.5%

(자료: Clean Energy Council) (풍력)

ㅇ 풍력은 2018년 호주 전체 발전량의 7.1% 차지하는 한편, 호주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에서 수력 다음으로 높은 비중(33.5%)을 차지하였으며 동 기간 9개 사업 (약 870 MW) 신규 설비용량이 전력계통에 연결됨.

- 2018년 말 24개 풍력 발전사업(약 5.7 GW)가 건설 중 또는 투자결정 완료 단계로, 이 중 건설 중 사업은 빅토리아주 11개, 뉴사우스웨일즈주 7개, 퀸즐랜드주 3개, 타즈마니아주 2개, 남호주 1개 분포

4/9

지역 총 풍력 발전량

(GWh) 풍력 발전량

(GWh) 전체 풍력발전 중

비중 남호주 (SA)

16,171

5,692 35.2%

빅토리아 (VIC) 4,528 28.0%

뉴사우스웨일즈 (NSW) 3,124 19.3%

서부호주 (WA) 1,594 9.9%

타즈마니아 (TAS) 1,093 6.8%

퀸즐랜드 (QLD) 141 0.9%

- 2018년 기준, 남호주와 빅토리아주 지역 풍력발전소가 호주 전체 풍력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하였으며 뉴사우스웨일즈주, 서부호주, 타즈마니아주 3개 지역이 36% 가량 차지

<2018년 호주 지역별 풍력 발전량>

(자료: Green Energy Markets)

- 2018년 풍력발전 누적 설치용량은 2012년 대비 90% 가까이 증가(3,009.8 MW→

5,678.7 MW) 하였으며 연간 설치용량은 2014∼16년 감소세(727.8 MW→143 MW)를 보이다 2017년 반등 후 2018년 상승세 유지

<호주 풍력발전 누적 설치용량 추이>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설치용량 (MW) 3009.8 3234.4 3962.1 4181.7 4324.7 4812.2 5678.7 (자료: Green Energy Markets, Clean Energy Council)

<호주 풍력발전 연간 설치용량 추이>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설치용량 (MW) 768.3 224.6 727.8 219.6 143.0 487.6 866.5 (자료: Green Energy Markets, Clean Energy Council)

(태양광)

ㅇ 2018년 소형 태양광 발전(>100 KW, 가정용 PV 시스템 위주)은 호주 전체 발전량의 4.2%를 차지하였으며, 연간 소형 태양광 발전 설치용량은 2015년 706 MW 기록 후 2018년 1,556 MW로 2배 이상 증가함.

- 가정용 PV 시스템 평균 설치용량 또한 2009년 1.34 KW을 시작으로 2012년 3 KW를 넘어선 후 2017년 7.13KW를 기록하며 지속 증가 중

<호주 소형 태양광 발전 연간 설치용량 추이>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설치용량 (MW) 1,036 792 800 706 748 1,116 1,556 (자료: Clean Energy Council)

(3)

<호주 소형 태양광 발전 평균 설치용량 추이>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설치용량 (KW) 3.02 3.95 4.44 4.99 5.64 6.39 7.13 (자료: Clean Energy Regulator)

ㅇ 같은 해 중형 태양광 발전(100 KW∼5 MW)은 호주 전체 발전량의 0.2%를 차지하였으며 2013년 약 20 MW(누적 설치용량)에서 2018년 230 MW를 기록하며 10배 이상 성장함.

- 특히, 2016년 이후 3년간 연속 연간 설치용량이 매년 2배가량 증가 중이며 농업, 유통·물류, 교육기관, 지역사회 등 발전사업자 유형 다양화 진행 중

<호주 중형 태양광 발전 누적 설치용량 추이>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설치용량 (MW) 18 20 30 52 75 128 230

(자료: Clean Energy Regulator, Green Energy Markets)

ㅇ 대형 태양광 발전(>5 MW) 프로젝트는 2018년 한 해 호주 전체 발전량의 0.8%를 차지하였고 동 기간 59개(약 8 GW)가 건설 중 또는 투자결정 완료 단계이며, 28개 신규 발전사업(약 1.4 GW)*이 전력계통에 연결됨.

* 지역별 전력계통 연결 신규 발전사업 (개수/설비용량) : [퀸즐랜드] (14, 755 MW), [뉴사우스 웨일즈] (6, 347 MW), [빅토리아] (4, 299 MW), [서부호주] (2, 30 MW), [남호주] (2, 11 MW) - 현재 건설 중 사업은 퀸즐랜드주 23개, 뉴사우스웨일즈주 17개, 남호주 7개,

빅토리아주 8개, 서부호주 3개, 북부준주 1개 분포

- 대형 태양광 발전 누적 설치용량은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중으로 특히 2018년 약 1.4 GW 설치용량이 새로 추가(전년 대비 400% 가량 증가) 되었고 향후 수년 내 10 GW에 이를 것으로 전망

<호주 대형 태양광 발전 누적 설치용량 추이>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설치용량 (MW) 10 10 30 185 275 382 1,824

(자료: Green Energy Markets, Clean Energy Council) (바이오에너지)

ㅇ 2018년 바이오에너지를 이용한 호주의 전력 생산량은 3,412 GWh로 호주 전체 전력 생산량의 1.5%, 총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7.1.%를 차지함.

- 퀸즐랜드주, 뉴사우스웨일즈주, 빅토리아주 3개 지역 소재 바이오에너지 발전소가 총 바이오에너지 발전량의 90% 가량 차지

<2018년 호주 지역별 바이오에너지 발전량>

용량/지역 퀸즐랜드

(QLD)

뉴사우스웨일즈 (NSW)

빅토리아(VIC) 서부호주

(WA) 남호주

(SA) 타즈마니아 (TAS)

발전량 (GWh) 1,389 1,076 677 133 106 31

(자료: Clean Energy Council)

- 2018년 5개 바이오에너지 발전소가 준공되어 총 222개 바이오에너지 발전소가 운영 중이며, 건설 중인 발전소가 17개, 예비조사 단계가 38개로 집계

<2018년 호주 바이오에너지 준공 프로젝트>

프로젝트 소재지 설치용량 (MW) 바이오에너지 유형

Tableland Suga Mill QLD 24.0 Bagasse

Select Harvest Carina West

Cogeneration Plant VIC 3.1 Landfill Gas Caboolture Landfill QLD 2.1 Food processing waste Goulburn Bioenergy Project NSW 1.6 Food processing waste Orora Botany Mill Power Station 1 NSW 1.5 Waste from paper

processing (자료: Clean Energy Council)

- 바이오에너지원 전력생산은 좋은 폐기물·부산물 재활용 방법으로 청정에너지금융 공사(CEFC)는 동 분야 잠재적 투자 기회 규모를 35∼50억 호불로 추산

<호주 바이오 에너지 종류>

원료 설명

농업잔류물 농업 폐기물로 분류가 될 수 있는데, 가축분뇨, 농작물찌꺼기, 음식부산물 등에서 추출한 메탄가스를 발전원료로 사용

에너지 작물

(Energy Crops) 발전원료용 단기재배 작물 등을 발전원료로 사용(갈대 등)

(Landfill Gas)매립가스 매립지에서 분출되는 메탄가스를 사용하여 발전. 일반적으로 가정용 쓰레기, 산업용 폐기물 등을 원료로 사용

하수도 가스

(Sewage Gas) 하수종말 처리장에서 추출된 메탄가스를 원료로 사용

(Bagasse)사탕수수 사탕수수찌꺼기를 원료로 사용. 수확 후 버려지는 꼭지 및 잎사귀, 가공 후 발생되는 찌꺼기(일명 Fibre) 등을 원료로 사용

목재 부산물

(Wood Wastes) 가공 후 남은 목재부산물을 태워 전기 생산

(지열)

ㅇ 호주의 지열 에너지 개발은 대체로 남호주와 타즈마니아주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 되며 호주재생에너지청(ARENA)은 지열발전 관련기술 연구·개발 및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지원 중임.

(4)

7/9

- 약 30여개 기업들이 지열 탐사를 수행 중이며 호주재생에너지청(ARENA)은 8개 지열 관련 프로젝트(총 프로젝트 규모 : 약 1.6억 호불)에 41백만 호불 지원

<호주 해양에너지 진행 프로젝트 현황>

프로젝트 수행기관 소재지

(주)

지원액 (천 호불)

프로젝트 규모 (천 호불) Residential Heat Pump Study Climate-KIC Australia 블랙타운

(NSW) 500 1,700

Cooper Basin Enhanced Geothermal System Heat and

Power Development Geodynamics Limited 남호주

(SA) 32,750 144,220 Geothermal structural

permeability map University of Adelaide 애들레이드(SA) 450 1,615 Construction of 7 MW

Engineered Geothermal

System (EGS) Project Petratherm Limited 남호주

(SA) N/A N/A

Paralana Engineered

Geothermal Systems Project Petratherm Limited 남호주

(SA) N/A N/A

Data fusion and machine learning for geothermal target

exploration and characterisation

National ICT

Australia (NICTA) 시드니

(NSW) 1,878 6,594 Reservoir quality in

sedimentary geothermal resources

SACGER and the University of

Adelaide

애들레이드

(SA) 1,250 3,540 Demonstration of geothermal

heat exchanger in hot

sedimentary rocks Petratherm Limited 남호주

(SA) 4,200 4,200

총 계 41,028 161,869

(자료 : 호주재생에너지청(ARENA))

(해양)

ㅇ 호주의 해양(파동·파도·해양열) 관련 에너지 기술은 초기 발전단계로 서부호주의 가든섬(Garden Island)에 240 KW, 빅토리아주의 페어리항(Port Fairy)에 250 KW 규모 발전소가 운영 중임.

- 지난 2016년 서부호주의 가든섬에서 720 KW 파력발전을 시범 운영한 바 있으며 퀸즐랜즈주의 글래드스톤항만사(Gladstone Ports Corporation)는 현재 추진 중인 파도 에너지 시범사업 규모 확장 검토 중

ㅇ 호주재생에너지청은 현재 4개 해양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총 프로젝트 규모 : 약 18백만 호불)에 7.6백만 호불 규모 자금을 지원 중임.

<호주 해양에너지 진행 프로젝트 현황>

8/9

프로젝트 수행기관 소재지

(주)

지원액 (천 호불)

프로젝트 규모 (천 호불) Tidal Energy In Australia –

Assessing Resource and Feasibility to Australia’s

Future Energy Mix

The University of

Tasmania 타즈마니아

(TAS) 2,495 5,804 Wave energy cost reduction

through location and configuration optimisation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퍼스

(WA) 994 3,600

Energy cost study for

Bombora Wave Energy Converter Bombora Wave Power 퍼스

(WA) 210 420

Ocean 1MW Commercial

Wave Energy Demonstrator Oceanlinx 멕도넬항

(SA) 3,942 8,018

총 계 7,641 17,842

(자료 : 호주재생에너지청(ARENA))

□ 관찰 및 전망

ㅇ 호주의 지역별 건설 중 또는 투자결정 완료 단계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규모 (대형 태양광 : 최대 8 GW, 풍력 : 최대 5.7 GW)와 준공 시점 (1~7년 이내) 등을 감안 시, 2020년 초중반까지 동 분야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 호주의 전력계통 연결 대형 태양광·풍력 발전사업은 꾸준한 사업개발 및 발전 비용 하락과 함께 현 호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지원 기조* 유지 시 2023

∼24년 무렵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29% 도달 전망

* 호주재생에너지청 (ARENA)과 청정에너지금융공사(CEFC)의 통합형 신재생에너지 사업 지원 증가 추세(연호 : 주호주-4233, 2018.07.18, 연호 : 주호주-7122, 2018.11.21)

- ‘19년 총선(5.18) 승리가 유력시 되는 노동당(제1야당)은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50% 달성 계획으로 노동당 집권 시 신재생에너지 지원 수단과 규모 모두 증가 예상(연호 : 주호주-7296.2018.11.28)

- 더불어 현재 연방에너지위원회(COAG Energy Council)에서 검토 중인 호주에너지 시장기구(AEMO)의 2040년 국가전력시장(NEM) 신재생에너지지구(REZ, renewable energy zones) 조성 등의 정책 제언* 수용 시, 추가 성장 동력 제공 예상

* AEMO 2040년 국가전력시장 내 신재생에너지 수요 중립 시나리오 : [태양광] 28 GW, [풍력] 10.5 GW. [에너지저장시스템(ESS)] 90 GWh

ㅇ 덧붙여, 연방 및 주정부 등이 투자 결정 및 사업성 검토 중인 수력·양수발전 분야 또한 태양광·풍력 발전 분야와 함께 성장할 가능성이 높음.

- Snowy 2.0 사업을 비롯해 뉴사우스웨일즈, 퀸즐랜드, 타즈마니아 주정부는 잠재적 수력·양수발전 입지 조사 등 사업성 검토를 진행 중으로, 특히 급전 가능 (dispatchable)하고 안정적(reliable) 전력 공급원인 양수발전 성장 기대

(5)

ㅇ 한편, 호주의 에너지시장 관리·운영 담당기관인 호주에너지시장기구(AEMO)는 불규칙한 발전 패턴을 가진 신재생에너지의 전력공급량 증가로 전력망 과부하 발생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발전사에 대안을 마련토록 조치* 중임.

- 동 기관은 전력망 과부하를 유발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에 동기콘덴서 (synchronous condenser)를 도입토록 요구하며 단기적인 전력망 보호 조치를 시행 중으로 이는 신규 발전의 전력망 연결 지연과 추가 비용 발생 초래

- AEMO는 건설 후 운영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전력 인터커넥터 신설 및 송전망 용량 증대 등을 계획 중이나 단기 조치가 반복·장기화되고 전력망 과밀 지역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지연 될수록 신재생에너지 분야 성장 저해 가능성 상승 전망

* AEMO는 Broken Hill 태양광 발전소(빅토리아주), Silverton 풍력 발전소(뉴사우스웨일즈주) 등에 전력망 보호용 동기콘덴서 도입 요구, 발전용량 절감 조치 시행

참조

관련 문서

l 후반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윤한영, 이재룡, 조형규, 박익규 박사의 발표 에서는 교과부의 원자력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 중인 고정밀 열수력 해석 코드 CUPID1.6의 개발

- 송진호 회원은 중대사고 종합/개별현상 해석코드의 특징 및 현황, 원자 력연구원에서 수행하는 관련 연구(MIDAS, LILAC, GASFLOW해석, MCCI Phenomenon,

에너지 수요 전망(기준안) 에너지 소비 추이..

• 대체에너지개발, 에너지 효율화, 탄소저감기술의 개발, 탄소포집 및 저장, 탄소를 원재료로 이용하는 기술 개발 등에 지원하는

 요소기술의 통합적인 연구 및 적용을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자립화 가능...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II...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고성능 에너지 흡수체 개발 고효율 베타전지 모듈. 고밴드갭 SiC 흡수체 상용화 고집적화

○ 참여자 관점에서 수요반응 참여를 위한 기기 설치에 따른 참여자 자본비용과 편익 항목으로는 계통 피크 감축으로 인한 발전소 및 송배전 건설 회피 편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