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삼 국 시 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삼 국 시 대"

Copied!
1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삼 국 시 대

[ 한국의 고대국가 : 고고학적으로 언제 형성되었고, 그 지 표는 무엇일까?]

1. 국가 형성의 고고학적 지표 1) 고총 고분의 출현

2) 토기양식의 통일 3) 도성과 성곽의 출현 4) 위세품의 제작과 분여

5) 원거리 교역권의 독점과 분배

[ 한국의 고대국가 : 고고학적으로 언제 형성되었고, 그 지 표는 무엇일까?]

1. 국가 형성의 고고학적 지표 1) 고총 고분의 출현

2) 토기양식의 통일 3) 도성과 성곽의 출현 4) 위세품의 제작과 분여

5) 원거리 교역권의 독점과 분배

(2)

[ 고분 ( 古墳 ) 이란 무엇일까 ?]

1. 일반적 정의 : 문자 그대로라면 옛(古) 무덤(墳) 을 모두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것

2. 고고학적 정의 : 특정시기 대략 삼국시대를 전후한 고대국가 성립단계의 커다란 무 덤으로서 지배권력의 표상이자 사회상을 반영하는 무덤

1) 다른 무덤보다 도드라진 위치에 입지하고 있어 입지상으로 탁월

2) 매장 주체부의 규모가 대형화

3) 무기와 위세품 등이 집중

=> 4~5 세기 무렵 삼국 모두 규모가 대단히 큰 고총고분들이 등장

1. 일반적 정의 : 문자 그대로라면 옛(古) 무덤(墳) 을 모두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것

2. 고고학적 정의 : 특정시기 대략 삼국시대를 전후한 고대국가 성립단계의 커다란 무 덤으로서 지배권력의 표상이자 사회상을 반영하는 무덤

1) 다른 무덤보다 도드라진 위치에 입지하고 있어 입지상으로 탁월

2) 매장 주체부의 규모가 대형화

3) 무기와 위세품 등이 집중

=> 4~5 세기 무렵 삼국 모두 규모가 대단히 큰 고총고분들이 등장

(3)

2. 구조

1) 내부주체

(1) 棺 : 시신을 안치하기 위한 것 ( 목관, 석관, 옹관 등)

(2) 槨 : 관을 보호하고 부장품을 많이 매납하기 위한 시설( 목곽, 석곽) (3) 室 : 생전의 공간을 사후세계로 옮겨놓은 방의 개념,

추가장 용이 ( 석실, 전실) 2) 외부구조

(1) 봉토묘 계열 : 매장 시설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흙이나 돌 등으로 덮은 것

(2) 분구분 계열 : 분구를 먼저 만든 다음, 그 안에 계속해서 매장시설 을 만든 것

2. 구조

1) 내부주체

(1) 棺 : 시신을 안치하기 위한 것 ( 목관, 석관, 옹관 등)

(2) 槨 : 관을 보호하고 부장품을 많이 매납하기 위한 시설( 목곽, 석곽) (3) 室 : 생전의 공간을 사후세계로 옮겨놓은 방의 개념,

추가장 용이 ( 석실, 전실) 2) 외부구조

(1) 봉토묘 계열 : 매장 시설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흙이나 돌 등으로 덮은 것

(2) 분구분 계열 : 분구를 먼저 만든 다음, 그 안에 계속해서 매장시설

을 만든 것

(4)

[ 우리가 알고 싶은 것들 :

무덤을 통해 떠나는 백제로의 여행]

1. 무덤은 과연 전통적이며 변하지 않는 것일까?

2. 백제에서 고분의 출현시기는 언제일까?

3. 백제 무덤은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해갔으며, 다른 나라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4. 백제 인들은 무덤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 싶었을까 1. 무덤은 과연 전통적이며 변하지 않는 것일까?

2. 백제에서 고분의 출현시기는 언제일까?

3. 백제 무덤은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해갔으며, 다른 나라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4. 백제 인들은 무덤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 싶었을까

(5)

[ 백제 이전의 마한 단계 무덤 모습 :

무덤 주위에 구를 돌린 토광묘 위주]

(6)

연기응암리유적 천안두정동2-1호(목곽I 형)

공주하봉리8호 (목관+목곽V형)

아산천안밖지므레 17청당동 주구토광묘 (목곽ⅡI형)

[ 주구토광묘]

(7)

[[ 주구묘 주구묘]]

-- 익산 익산 영등동 영등동

-- 보령 보령 관창리 관창리

(8)

[ 백제 한성기 (BC18 ~ AD475 년) 고분의 모습]

1. 서울지역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 분구묘, 적석묘,

기단식 적석총,

1) 서울 석촌동고분군 : 사적 243 호 ( 송파구 석촌동 66)

- 석촌동3 호분 : 기단식 적석총, 동서길이 49.6m, 남북 길이 43.7m, 높이 4m, 3 단 2) 서울 우면동고분군 : 석실묘

2. 경기이남~ 금강유역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 분구묘

1) 오산 수청동, 화성 마하리고분군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 2) 천안 용원리고분군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1 기)

3) 청주 신봉동고분군 : 토광묘, 석실묘

4) 공주 수촌리고분군 : 목곽묘 , 석곽묘, 석실묘 5) 연기 송원리고분군 : 토광묘, 석실묘

6) 익산 입점리고분군 : 석곽묘, 석실묘

1. 서울지역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 분구묘, 적석묘,

기단식 적석총,

1) 서울 석촌동고분군 : 사적 243 호 ( 송파구 석촌동 66)

- 석촌동3 호분 : 기단식 적석총, 동서길이 49.6m, 남북 길이 43.7m, 높이 4m, 3 단 2) 서울 우면동고분군 : 석실묘

2. 경기이남~ 금강유역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 분구묘

1) 오산 수청동, 화성 마하리고분군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 2) 천안 용원리고분군 :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1 기)

3) 청주 신봉동고분군 : 토광묘, 석실묘

4) 공주 수촌리고분군 : 목곽묘 , 석곽묘, 석실묘 5) 연기 송원리고분군 : 토광묘, 석실묘

6) 익산 입점리고분군 : 석곽묘, 석실묘

(9)

한성기(BC18~AD475 년) 왕실과 귀족의 무덤 : 서울 석촌동고분군

풍납토성

몽촌토성 몽촌토성

방이동고분

석촌동고분군

(10)
(11)
(12)
(13)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 컴퓨터 메모리가 부족하여 이미지를 열 수 없거나 이미지가 손상되었습니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 후 파일을 다시 여십시오 . 여전히 빨간색 x가 나타나면 이미지를 삭제한 다음 다시 삽입해야 합니다.

(14)

— 대형토광묘 : 3 세기

(15)

서울 가락동 2 호분 : 분구묘, 4 세기 전반

(16)

석촌동3호분 : 순수적석 적석총(1983)

(17)

집안 장군총

(18)

석촌동4 호분 : 주체부 석실?)

(19)

석촌동 2 호분 ( 외부 적석 기단 + 내부 점토 충전)

(20)

석촌동출토

유물

(21)

87-1 호 석곽묘

87-2호 석곽묘

* 석촌동 적석총의 종류는 ?

1) 순수 적석 적석총 :

2) 토축 + 적석 적석총 : 동시 축조 / 토축 후 기단 적석

* 적석총은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 : 고구려와의 경쟁의식?

1) 3세기설 2) 4세기설

(22)

임진강과 한강 상류의 적석묘

(23)

연천 학곡리 : 재지수장 ? 백제관인료 ?

(24)

한성기 지방세 력의 무덤

: 용인두창리

(25)

화성 마하리고분군

화성 마하리고분군

(26)

천안 용원리고분군 : 4~5세기천안지역의 핵심세력(목관묘 / 수혈식석곽묘 / 횡혈식석실묘)

(27)

72 호토광묘

(28)

천안용원리9호석곽묘

(29)

공주 수촌리고분군 :

5 세기 공주지역의 핵심세력

(30)
(31)

3 횡구식석실 4 횡구식석실

1 목곽 2 목곽

(32)

공주 水村里1號墳 石村洞86-8號墳 익산 笠店里86-1號墳 武寧王陵

433年

298年 358 年 393年

5 世紀後半

수촌리 4號석실 용원리 9號石槨

(33)

367年 368年

366年 368年

361年

416年

364年 370年

341年

龍院里 9號石槨

421年

461年 421年

421年

435年

水村里4號墳

406年

447年

水村里 4號石室 461年

368年

(34)

420 년

510 년

433 년

(35)
(36)

327 년 393 년

351 년

359 년

(37)

익산입점리1호분 용원리9호석곽묘 공주수촌리4호분금동관모

일본구주에다후나야마고분 나주신촌리9호분 공주수촌리3호분

금동신발

(38)

羅州 新村里9號墳乙棺 益山 笠店里1號墳

武寧王妃 일본 九州 江田船山古墳

(39)

청주 신봉동고분군

청주 신봉동고분군

(40)
(41)

93-1,2호분

논산 모촌리고분군

93-4호분

논산 모촌리고분군

(42)

대산명지부락

당진채운리

분구묘

서산부장리

서산여미리

(43)

완주 상운리분구묘

(44)

서산 부장리 분구묘

(45)

하남광암동 성남판교

연기송원리

연기부강리

청원주성리

공주수촌리4

[ 한성기 횡혈식 석실묘 ]

(46)

[ 웅진기 (475~538 년) : 국가적 혼돈을 극복하는 시기]

1. 석곽묘, 석실묘, 전축묘, 횡혈묘 : 횡혈식석실묘를왕실까지채용

2. 공주송산리고분군 : 사적 13호, 석실묘, 전축묘(무녕왕릉, 송산리 6호분:벽화) 3. 횡혈묘 : 산사면을동굴처럼파고안에무덤만든것 (공주 단지리고분군)

* 문주왕, 삼근왕,동성왕이신하에 의해차례로 살해되고무녕왕(501~523)이등장

[ 사비기(538~660 년) : 새로운 국가적 발전을 추구]

1. 석곽묘, 석실묘, 횡혈묘, 화장묘 : 무덤의축조를국가적율령에의해규제 2. 부여능산리고분군 : 사적 14호, 단면 6각형의판석으로만든석실

[ 웅진기 (475~538 년) : 국가적 혼돈을 극복하는 시기]

1. 석곽묘, 석실묘, 전축묘, 횡혈묘 : 횡혈식석실묘를왕실까지채용

2. 공주송산리고분군 : 사적 13호, 석실묘, 전축묘(무녕왕릉, 송산리 6호분:벽화) 3. 횡혈묘 : 산사면을동굴처럼파고안에무덤만든것 (공주 단지리고분군)

* 문주왕, 삼근왕,동성왕이신하에 의해차례로 살해되고무녕왕(501~523)이등장

[ 사비기(538~660 년) : 새로운 국가적 발전을 추구]

1. 석곽묘, 석실묘, 횡혈묘, 화장묘 : 무덤의축조를국가적율령에의해규제 2. 부여능산리고분군 : 사적 14호, 단면 6각형의판석으로만든석실

(47)
(48)

공주금학동1호 공주금학동2호

(49)

1 2

5

4

무녕왕릉

6

3

우연한 세기적발견 :

무령왕릉을 통해 보는

백제의 역사

(50)

백제는왜갑자기벽돌무덤을만들었을까?

세기적발견그러나발굴당시의대비극!!

무녕왕(斯麻隆) 523년 死→525년 /왕비 527년 死→ 529

[梁職貢圖]

(51)

송산리6 호분 : 전축묘, 동성왕? 무령왕비? 순타태자 ?)

(52)

중국 낙양 고묘박물관

벽돌무덤들

(53)
(54)

왕과 왕비의 殯殿 과연 어디에 있었을까?

寧東大將軍百濟斯 麻王 年六十二歲 卯年五月丙戌朔七 日壬辰崩 到乙巳年八月 癸酉朔十二日甲申 安厝 登冠大墓 立志如左 [← 王 墓誌石]

[王 墓誌石뒷면의간지도]

丙午年十二月 百濟國王大妃壽 居喪在酉地己酉年二月癸 未朔十二日甲午 改葬還大墓 立 志如左 [王妃 墓誌石 →]

錢一万文 右一件

乙巳年八月十二日 寧東大將軍 百濟斯麻王 以前件錢 詢土王 土伯土父母上下衆官二千石 買申地爲墓故立券爲明 不從律令[← 買地券 : 王妃 墓誌石 뒷면]

(55)
(56)

정지산유적 (무녕왕빈전?)

무녕왕릉과 송산리고분군

공산성

(57)

[ 무녕왕 목관의 비밀]

무녕왕이 왜 일본에서 출생을 ? 무녕왕과 倭 의 繼體天皇(507~531 년)

5年(461년) 夏4月백제加須里君[개로왕]동생 軍君[昆支]에게일본으로가서천황을섬기라고하자, 軍君 왕의부인과함께보내달라고청하였다. 이에加須里君임신한부인을軍君에게딸려보내면서만일 도중에출산하게되면배에태워돌려보내라이르고파견하였다. 6월 1加須里君말대로부인이筑紫 各羅島에서출산하여, 이에아이이름을 嶋君이라하였다. 이에軍君척을마련하여嶋君백제로 돌려보냈으니, 이가바로무령왕이다. 백제인들은섬을主嶋불렀다.[日本書紀 雄略天皇]

(58)

[ 무녕왕의 탄생지 : 加唐島]

(59)
(60)

大阪 羽曵野市 아스카마을의

아스카베신사 : 곤지신사

(61)

橫穴墓 : 웅진~ 사비기

倭人군사들의무덤? 동성왕을호위한왜인 병사 500명의존재

(62)
(63)

[사비기(538~660년) 王家 무덤 : 부여 능산리고분군]

(64)
(65)

부여 염창리고분군

(66)

[2-19호분]

[3-87호분]

[4-8호분]

[3-62호분]

[부여 염창리유적]

(67)
(68)

[ 백제 고분의 특징]

1. 구조 및 매장관념과 장제의 변화

1) 한성기 다양성 : 무덤 형태 다양, 수혈식과 횡혈식 혼재

2) 웅진 사비기 : 횡혈식의 석실묘(전축묘)로 통일, 무덤 축조에 국가적 규제가 강하게 작용, 두 향(무녕왕릉 두향 입구쪽) => 무덤 형태는 필요에 따라 갑자기 바뀔 수도 있음

2. 입지의 변화와 지역적 차이 : 평지+사면+능선 상부 -> 남향사면 (풍수지리?) 3. 백제 고분의 특징과 정체성

1) 주변지역과의 차이 : 고구려(능원), 신라(대형화, 신성성), 가야(대형화, 무장적 상징성), 영 산강(집단묘), 일본(대형화, 외부 조망 용이)

2) 상대적으로 조그만 봉토 규모 : 고총 출현 억제

3) 비군사적, 비신성성, 순장이 없슴 => 현실적, 세속적 관료제, 율령적 지배

[倭고분 : 大阪 百舌鳥고분군과 仁德天皇陵 (길이 800m)]

[신라고총 : 경주대릉원]

[ 백제 고분의 특징]

1. 구조 및 매장관념과 장제의 변화

1) 한성기 다양성 : 무덤 형태 다양, 수혈식과 횡혈식 혼재

2) 웅진 사비기 : 횡혈식의 석실묘(전축묘)로 통일, 무덤 축조에 국가적 규제가 강하게 작용, 두 향(무녕왕릉 두향 입구쪽) => 무덤 형태는 필요에 따라 갑자기 바뀔 수도 있음

2. 입지의 변화와 지역적 차이 : 평지+사면+능선 상부 -> 남향사면 (풍수지리?) 3. 백제 고분의 특징과 정체성

1) 주변지역과의 차이 : 고구려(능원), 신라(대형화, 신성성), 가야(대형화, 무장적 상징성), 영 산강(집단묘), 일본(대형화, 외부 조망 용이)

2) 상대적으로 조그만 봉토 규모 : 고총 출현 억제

3) 비군사적, 비신성성, 순장이 없슴 => 현실적, 세속적 관료제, 율령적 지배

(69)

나주 복암리 3 호분

(70)
(71)

복암리3 호분

’97 석실

(72)

羅州 新村里9號墳 乙棺

(73)
(74)

고구려 고분문화

(75)

[ 고구려인의 천하관과 계승의식]

1) 廣開土好太王碑 : 惟昔始祖鄒牟王之創基也, 出自北夫餘, 天帝之子, 母河伯女郞. 剖卵降 世, 生[而*]有聖□□□□□. □命駕,? 巡幸南下, 路由夫餘奄利大水. 王臨津言曰, 我是皇天 之子, 母河伯女郞, 鄒牟王, 爲我連?浮龜. 應聲卽爲?連?浮龜. 然後造渡, 於沸流谷, 忽本西, 城山上而建都焉. 不樂世位, 因遣黃龍來下迎王. 王於忽本東?, [履*]?龍頁昇天.

2) 牟頭婁墓

1 大 使 者 牟 頭 婁 --- 2 △ ---

3 河 泊 之 孫 日 月 之 子 鄒* 牟*

4 聖 王 元 出 北 夫 餘 天 下 四*

5 方 知 此 國 郡* 最 聖 個 □ □ 6 治 此 郡* 之 嗣 治* □ □ □ 聖*

7 王 奴 客 祖 先* □ □ □ 北 夫 8 餘 隨 聖 王 來 奴 客 △ □ △ 9 之 故* △ □ □ □ □ □ □ □ 10 世 遭 官 恩* □ □ □ △ * 上*

11 聖 太 王 之 世 △ □ □ □ △

[ 고구려인의 천하관과 계승의식]

1) 廣開土好太王碑 : 惟昔始祖鄒牟王之創基也, 出自北夫餘, 天帝之子, 母河伯女郞. 剖卵降 世, 生[而*]有聖□□□□□. □命駕,? 巡幸南下, 路由夫餘奄利大水. 王臨津言曰, 我是皇天 之子, 母河伯女郞, 鄒牟王, 爲我連?浮龜. 應聲卽爲?連?浮龜. 然後造渡, 於沸流谷, 忽本西, 城山上而建都焉. 不樂世位, 因遣黃龍來下迎王. 王於忽本東?, [履*]?龍頁昇天.

2) 牟頭婁墓

1 大 使 者 牟 頭 婁 --- 2 △ ---

3 河 泊 之 孫 日 月 之 子 鄒* 牟*

4 聖 王 元 出 北 夫 餘 天 下 四*

5 方 知 此 國 郡* 最 聖 個 □ □ 6 治 此 郡* 之 嗣 治* □ □ □ 聖*

7 王 奴 客 祖 先* □ □ □ 北 夫 8 餘 隨 聖 王 來 奴 客 △ □ △ 9 之 故* △ □ □ □ □ □ □ □ 10 世 遭 官 恩* □ □ □ △ * 上*

11 聖 太 王 之 世 △ □ □ □ △

(76)
(77)

1. 輯安 지역

1) 적석묘 : 무기단식 적석총, 기단식 ( 석실) 적석총 2) 석실묘 ( 벽화)

- 우산하고분군 : 장군총 ( 기단식적석총 기단 1 변 길이 약 33m, 높이 약 13m, 7 단, 4~5 단에 석실 시설) , 태왕릉

- 산성하고분군, 칠성산고분군, 마선구고분군 등 3) 적석묘 기원

(1) 지석묘 : 황해도 침촌리형 적석부가 지석묘

(2) 요령성 요동반도 남단의 요령식 동검 부장 적석묘

(3) 천산산맥 이동∼ 집안 지역 BC 4∼3 세기 적석묘 유래 : 吾道領溝文 (階墻式 적 석묘, 구조· 재료· 매장방식· 위치 등에서 고구려 초기 적석총의 기원형으로 봄) 1. 輯安 지역

1) 적석묘 : 무기단식 적석총, 기단식 ( 석실) 적석총 2) 석실묘 ( 벽화)

- 우산하고분군 : 장군총 ( 기단식적석총 기단 1 변 길이 약 33m, 높이 약 13m, 7 단, 4~5 단에 석실 시설) , 태왕릉

- 산성하고분군, 칠성산고분군, 마선구고분군 등 3) 적석묘 기원

(1) 지석묘 : 황해도 침촌리형 적석부가 지석묘

(2) 요령성 요동반도 남단의 요령식 동검 부장 적석묘

(3) 천산산맥 이동∼ 집안 지역 BC 4∼3 세기 적석묘 유래 : 吾道領溝文 (階墻式 적

석묘, 구조· 재료· 매장방식· 위치 등에서 고구려 초기 적석총의 기원형으로 봄)

(78)

魏存誠(1987)의적석묘분류

(1) 無壇石壙墓 : 강자갈이나석괴로지표 위에방형이나 장방형모양 墓基를쌓고 중 간에 石壙(石槨) 만든것, 곽바닥은 대부분지표와평행하지만높은 것도 있으며, 곽 윗면은잔돌로 메꿈, BC 1C∼AD 5C(集安 良民 M168, 集安 上活龍 3기, 下活龍34기) (2) 方壇石壙墓 : 내부구조는 無壇石壙墓와동일, 단외부 적석네 주위에대형 석괴 혹

은돌로 1층 方壇 쌓은것 (集安 良民 M73, 集安 七星山 M879)

(3) 方壇階段石壙墓 : 내부구조 方壇石壙墓와동일, 외부 방단 위에또 방단, 보통 계단 상의 3층으로되어있음 (환인 M11·15·19·23, 集安 萬寶汀 M242 등)

(4) 方壇石室墓 : 네주위방단 구조묘실은 방단중앙 지표에위치, 석실은괴석이나 할 석또는 판석, 대부분 평천정, 말각조정 일부, 연도 치우친것이 많음 (환인 M1, 집안 유림하 M21등)

(5) 方壇階梯石室墓 : 외부가 方壇階梯에기본구조는 方壇石室墓, AD 3C말∼5C(만보정 M242-2,3,4호환인 M21호, 칠성산 M96호, 태왕릉, 장군총

魏存誠(1987)의적석묘분류

(1) 無壇石壙墓 : 강자갈이나석괴로지표 위에방형이나 장방형모양 墓基를쌓고 중 간에 石壙(石槨) 만든것, 곽바닥은 대부분지표와평행하지만높은 것도 있으며, 곽 윗면은잔돌로 메꿈, BC 1C∼AD 5C(集安 良民 M168, 集安 上活龍 3기, 下活龍34기) (2) 方壇石壙墓 : 내부구조는 無壇石壙墓와동일, 단외부 적석네 주위에대형 석괴 혹

은돌로 1층 方壇 쌓은것 (集安 良民 M73, 集安 七星山 M879)

(3) 方壇階段石壙墓 : 내부구조 方壇石壙墓와동일, 외부 방단 위에또 방단, 보통 계단 상의 3층으로되어있음 (환인 M11·15·19·23, 集安 萬寶汀 M242 등)

(4) 方壇石室墓 : 네주위방단 구조묘실은 방단중앙 지표에위치, 석실은괴석이나 할 석또는 판석, 대부분 평천정, 말각조정 일부, 연도 치우친것이 많음 (환인 M1, 집안 유림하 M21등)

(5) 方壇階梯石室墓 : 외부가 方壇階梯에기본구조는 方壇石室墓, AD 3C말∼5C(만보정 M242-2,3,4호환인 M21호, 칠성산 M96호, 태왕릉, 장군총

(79)

2. 평양일대 : 목곽 -귀틀무덤 -전축묘 –전석혼축묘-석실묘(벽화) 3. 봉토석실묘와 벽화분

1) 분구 : 방대형다수, 소형분은반구형도,

2) 분구분류 : 토축분구 / 분구 기저부에돌 기단두른것

3) 기단봉토석실묘 : 적석총→분구묘변화하는 과도기적묘제, 4∼5세기 석실적석묘와 봉 토석실묘병존 ⇒ 봉토석실묘에 벽화

4) 봉토석실벽화묘 : 벽면에백회바르고채색, 천정에는해·달·별등 하늘세계표현, 생활풍 속·장식무늬 → 사신

5) 기원 : 요양지역벽화분(석실구조와 화면처리·화면구성 등에서차이, (단 요동성총은요 양지역벽화분과 유사), 안악 3호분과 유사구조 (요동반도남단대련 영성자벽화분), 안악 3호분·덕흥리고분초상화 : 요녕 조양원태자벽화분과 비슷 (⇒ 한지역특정 곤란)

* 安岳 3호분(동수묘) : 북한국보 28호, 황해도안악군 용순면유순리, 영화13년(357), 동수미 천왕 27년(326) 요동에서고구려로 망명, 最古석실 벽화고분, 방대형봉토 (높이 7m, 남북 길이 33m, 동서 길이약 30m), 북한미천왕릉/고국원왕설주장

2. 평양일대 : 목곽 -귀틀무덤 -전축묘 –전석혼축묘-석실묘(벽화) 3. 봉토석실묘와 벽화분

1) 분구 : 방대형다수, 소형분은반구형도,

2) 분구분류 : 토축분구 / 분구 기저부에돌 기단두른것

3) 기단봉토석실묘 : 적석총→분구묘변화하는 과도기적묘제, 4∼5세기 석실적석묘와 봉 토석실묘병존 ⇒ 봉토석실묘에 벽화

4) 봉토석실벽화묘 : 벽면에백회바르고채색, 천정에는해·달·별등 하늘세계표현, 생활풍 속·장식무늬 → 사신

5) 기원 : 요양지역벽화분(석실구조와 화면처리·화면구성 등에서차이, (단 요동성총은요 양지역벽화분과 유사), 안악 3호분과 유사구조 (요동반도남단대련 영성자벽화분), 안악 3호분·덕흥리고분초상화 : 요녕 조양원태자벽화분과 비슷 (⇒ 한지역특정 곤란)

* 安岳 3호분(동수묘) : 북한국보 28호, 황해도안악군 용순면유순리, 영화13년(357), 동수미 천왕 27년(326) 요동에서고구려로 망명, 最古석실 벽화고분, 방대형봉토 (높이 7m, 남북 길이 33m, 동서 길이약 30m), 북한미천왕릉/고국원왕설주장

(80)

하활용8 호, 칠성산879 호, 장군총 하활용8 호, 칠성산879 호, 장군총

강서대묘, 약수리고분, 요동성총

(81)
(82)

자강도 초산군 운평리고분군

4 지구 8 호분( 주부곽)

(83)

로남리 南坡洞 ( 자강도시중군)

(84)

남파동 33 호분

(85)

송암동 45 호분 ( 자강도 자성군)

(86)

송암동 45 호분 평면도

(87)

장군총 ( 우산하고분군)

(88)

집안 장군총

(89)
(90)
(91)
(92)

집안유적분포 : 광대토대왕 무덤 과연

어디인가? 태왕릉? 장군총?

(93)

장군총과 태왕릉,

광대토대왕비의

방향

(94)
(95)

禹山下古墳群 과 太王陵

(96)
(97)

태왕릉

(98)

廣開土好太王碑 와 태왕릉

(99)
(100)

동쪽 祭台

(101)
(102)

銅鈴 : 好大王 辛卯年 九十六 □造銅 (391年 : 광개토왕 즉위 永樂1년)

(103)
(104)
(105)
(106)

삼실총 벽화 ( 우산하고분군)

(107)

역사도 얹은머리 푼기명머리

(108)

모두루묘

(109)

환인미창구 장군묘

(110)

[안악3호분] 永和十三年十月戊子朔卄六日

癸[丑]1)使持節都督諸軍事 平東將軍護撫夷校尉樂浪 [相]昌黎玄토帶方太守都 鄕侯幽州遼東平郭 都鄕敬上里冬壽字

□安年六十九薨官

[덕흥리벽화분] □□郡信都[縣]都鄕[中]甘里 釋加文佛弟子□□氏鎭仕 位建威將軍[國]小大兄左將軍 양將軍遼東太守使持

節東[夷]校尉幽州刺史鎭 年七十七薨[焉]1)永樂十八年 太歲在戊申十二月辛酉朔卄五日 乙酉成遷移玉柩周公相地

孔子擇日武王[選]時歲使一 良葬送之[後]富2)及七世子孫 番昌仕宦日遷位至侯王 造欌萬功日煞3)牛羊酒 米粲 不可盡[掃]旦食鹽[豆 ]食一記 [之][後]世寓寄4)無疆

[안악3호분] 永和十三年十月戊子朔卄六日

癸[丑]1)使持節都督諸軍事 平東將軍護撫夷校尉樂浪 [相]昌黎玄토帶方太守都 鄕侯幽州遼東平郭 都鄕敬上里冬壽字

□安年六十九薨官

[덕흥리벽화분] □□郡信都[縣]都鄕[中]甘里 釋加文佛弟子□□氏鎭仕 位建威將軍[國]小大兄左將軍 양將軍遼東太守使持

節東[夷]校尉幽州刺史鎭 年七十七薨[焉]1)永樂十八年 太歲在戊申十二月辛酉朔卄五日 乙酉成遷移玉柩周公相地

孔子擇日武王[選]時歲使一 良葬送之[後]富2)及七世子孫 番昌仕宦日遷位至侯王 造欌萬功日煞3)牛羊酒 米粲 不可盡[掃]旦食鹽[豆 ]食一記 [之][後]世寓寄4)無疆

(111)

황해도 안악 3 호분

(112)
(113)

행렬도

(114)
(115)

남포 강서 삼묘

(116)

남포

강서大墓

(117)
(118)

강서 小墓

(119)

참조

관련 문서

[r]

컴팩

포장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구리테이프를 연결하면서 접착면의 방향을 바꾸어줍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

燕王盧綰反, 入匈奴, 滿亡命, 聚黨千餘人, 魋結蠻夷服而東走出塞, 渡浿水, 居秦故空地上下鄣..

뛰어난 궁술 실력을 지닌 로빈 후드(러셀 크로)는 리처드 왕의 용병으로 프랑스 전투 에서 대활약을 펼친다.. 존 왕의 최측근인 고프리(마크

그러나 이는 어디까 지나 분량이 짧다는 것이지 작품이 간직한 세계의 깊이가 결코 작거나 적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단형의 분량에

마한 小國(54 개) : 有爰襄國 牟水國 桑外國 小石索國 大石索國 優休牟涿國 臣濆沽國 伯濟國 速盧 不斯國 日華國 古誕者國 古離國 怒藍國 月支國 咨離牟盧國 素謂乾國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출토 경판 및 경판함... 익산 왕궁리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