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속가능한 개발과 거버넌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속가능한 개발과 거버넌스"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리 차차 드드 파파 이이 악악 (( RR ii cc hh aa rr dd CC .. FF ee ii oo cc kk ))

김태진 | 국립 충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인터뷰)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센터 책임연구원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정보센터 부 연구위원을 역임하였다. 국립충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초빙교수로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도시정보화 정책분석 및 평가(Analysis and Evaluation of Urban Information Policy), 지리정보체계의 제도 및 정책, 지역혁신이론, 연구방법론 및 행정계량분석 등이다. 대표적인 연구논문 및 저서로는

“Factors Affecting Housing Affordability in U.S. Local Government”(2009, 공저), “도시정부에 필요한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관한 연구”(2006), “수도권 지역의 시가화 확산 결정요인 분석”(2006, 공저), “중장기 차원의 국가 GIS정책 분석 및 발전전략”

(2005), 「지방정부와 혁신정책」(2006, 공저), 「행정계량분석의 이론과 적용」(2006) 등이 있다.

리차드 파이악 석좌교수는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를, 미국 캔자스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와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 다.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정치・행정학과 조교수를 거쳐 1988년부터 플로리다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플로리다정치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지속가능한 에너지 관리 및 거버넌스연구센터 소장(Center for Sustainable Energy &

Governance), DeVoe Moore 지방정부 연구소장,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정치학과 및 도시계획학과 협동과정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2005 년 미국정치학회 최고논문상(Herbert Kaufman Best Paper Award), 2008년 하버드네트워크정치학회 최고논문상(Best Presentation Award)을 수상하였고, 2009년에는 미국 행정학회(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최고논문상과 플로리다 정치학회 최우수학자상을 수상하였다. 「Metropolitan Governance」외 7권의 저서와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파이악 교수는 2007년 미국에서 학술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9번째 교수로 선정되었으며, 최근 지방정부의 거버넌스(local governance), 거래비용 (transaction cost) 등을 연구하고 있다.

-interview

F e i o c k

Richard C.

(2)

김태진

김태진(이하‘김’):한국의 독자들을 위해 본 인터뷰를 허락해주신 것에 감사 드립니다. 본 인터뷰는 최근 한국인들이 관심을 가지는 지방정부 차원의 거버넌 스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이슈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많은 학자들은 파이악 교수님을 지방정부의 거버넌스(local governance), 거래 비용(transaction cost), 그리고 이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정치경제학적 (political economy) 접근법을 적용하는 저명한 학자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 다. 이들 접근방법에 대해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리차드 파이악(이하‘파이악’):이를 두 단어로 짧게 표현하면 정치와 시장입 니다. 제 연구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정치적 시장의 틀은 거버넌스, 거래비용 그 리고 정치경제학적 개념들을 종합하여 발전시킨 것입니다. 정치적 시장의 접근 방법은 정치적 제도가 민간 참여자의 요구들을 수용하고 정책을 집행하는 관료 들의 의지를 조정하는 것과 같이 제도, 정치적 역동성, 그리고 성장 중심의 기제 들에 대한 이론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채택된 특정 정책 은 주민, 사업가, 환경관련 단체, 주택 소유자들이 요구하는 공공수요와 정부 관 료의 성장 관리적 공급요인이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균형상태를 의 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방정부 수준에서 운영되는 제도는 정치적 상호 작 용을 조정하고, 그 게임의 법칙을 결정하며, 인센티브의 창출, 그리고 정책을 변 화시키는 집합적 행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전형적으로 공공재(public goods)의 공급을 지역사회 내에서 정책변화의 공급자와 수요자

지속가능한 개발과 거버넌스

김태진|국립 충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인터뷰)

(3)

Richard C. Feiock: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ocal Governance

Richard C. Feiock

Tae-Jin Kim(‘Kim’): I would like to thank you for accepting this e-

interview for Korean readers. This interview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current issues within the areas of local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local government in which current Koreans are interested.

Every people know and recognize that you are distinguished scholar in research field of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addressing local governance, transaction cost and political economy. Could you explain those approaches in study of local government?

▶▶ Richard Feiock(‘Feiock’): I have a two-word answer-political markets.

The political market framework that I have advanced in my work is a synthesis of the concepts of governance, transaction costs and political economy. The political market approach combines the institutional, local politics, and growth machine traditions as an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political institutions mediate demands of private actors and the willingness of public officials to supply the policies they desire.

Policy choices are represented as an equilibrium resulting from the interplay between the aggregate demand for goods by residents, businesses, environmental interest groups, and homeowners, and the aggregate supply of growth management by government officials. Institutions operating at the

(4)

들 사이의 다양한 계약과정(contracting process)의 결과로 설명합니다. 일반적으로 수 요자들은 사회 내에서 사적인 이해관계이며, 공 급자들은 정부 권한들입니다. 앞서 제가 기술한 것과 같이 정치 제도들의 다양한 유형들은 정책 에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의 정도를 높이거나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의 유형을 뒷받침 해 줍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지방의 정치 제도적 구조는 승리자와 패배자들을 결정짓게 되는 것 입니다.

김:파이악 교수님을 두고 많은 사람들이 제도 (institution) 전문가라고 말하는데 교수님께서 는 제도를 어떠한 관점에 바라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 파이악: 노스(Douglass North), 오스트롬 (Lin Ostrom), 마아치(James March) 등과 같 이 제도를 연구하는 위대한 학자들에 견주어 보 면 저는 제 자신을 제도 전문가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제도의 이론과 분석에서 제가 기여한 분야가 있다면 행정학과 도시정치학 분 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의 기본적인 생각은 개인과 조직 행동에 있어서 제도의 효과가 매우 크다고 생각하지만, 그 제도의 효과는 간접적이 기 때문에 제도의 효과들이 종종 간과된다고 봅 니다. 예를 들면 지방정부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오랜 주요 관심사는 행정관료들이 선출되는 것 과 지명되는 것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었습니다. 선행연구에서는 경제

적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관점들을 통제한 후 분 석한 결과, 선출된 관료와 지명된 관료들 사이 에는 큰 차이점이 없다는 점을 예산 집행과정과 정책 선택의 과정에서 보여주었습니다. 그럼, 왜 선행연구에서는 그것들 사이에 차이점이 없 었을까요? 그 이유에 대해 선행연구에서는 직접 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소홀히 하 였지만 저는 제도(institution)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민주주의 이론에서 정치적 제도는 시민들의 선호가 모여, 조정되고 변화되어 정책 을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이라고 제시하고 있습 니다. 정치적 제도는 공공관료의 동기부여, 인 센티브 그리고 제약조건들을 만들고 인구통계 학 및 경제적 특성이 반영된 시민들의 선호 범 위를 결정합니다. 달리 말하면, 정부정책은 다 른 제도적 배열 아래에서 시민들의 선호도와 연 결되는 정도인 것입니다. 또한 제도들은 어떤 집단들과 함께 관심사들을 확대할 수도 있고, 다른 것의 영향력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 서 정책결정모델은 제도와 선호도 사이의 상호 작용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따라서 비공 식적 정책 네트워크 또한 정치적 제도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최근 소올즈(John Scholz) 교수 와 함께 집필한「Self-Organizing Federalism」

또한 거버넌스의 메커니즘으로 정책 네트워크 의 역할을 탐구한 내용입니다.

김:파이악 교수님의 연구철학과 학자적 태도 에 대해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5)

local level mediate these political exchanges, determine the rules of the game, create incentiv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collective action to bring about policy changes. I typically describe the provision of public goods as the result of a dynamic contracting process between the suppliers and demanders of policy change in a community. Generally, the demanders are the private interests in society, and the suppliers are the government authorities. As I described earlier,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institutions favor different types of interests, either enhancing or reducing the ability of interests to influence policy.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local political institutions determines the winners and losers.

Kim: What are your insights about ‘Institutions’ as many people call you institution expert?

▶▶ Feiock:would not call myself an expert, when there a tremendous scholars like Douglass North, Lin Ostrom, and James March studying institutions. My contributions to institutional theory and analysis are primarily in the urban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fields. My primary insight is that while effects of institution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behavior are powerful, they are also subtle and often overlooked because they are indirect. Let me give an example. In the study of local government scholar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whether it makes a difference if executive offices are elected to office or appointed. The research literature was in agreement that it made no difference whether officials were elected or appointed becau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spending and policy choices after controlling for economic and demographic considerations. Why did they find no difference? It could be that institutions are unimportant but I don't think so. I have argued that the problem is the way the question was asked. Political institutions should not be expected to directly determine policy choices. Democratic theory suggest that political institutions are the mechanisms by which citizen preferences are aggregated, articulated and translated into policy outcomes. Political institutions shape the motivations, incentives and constraints of public officials and thus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citizen preferences, as reflected in 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 decisions. In other words, it is the extent to which government policy matches the preferences of its citizens under different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at matters. Moreover, institutions can magnify the influence of

(6)

▶▶파이악:연구철학과 학자적 태도에 대해서는 늘 생각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의미가 있는 연 구는 중요한 학문적 호기심에서 출발한다고 봅 니다. 중요한 학문적 호기심은 새롭거나, 혁신 적이거나 유행에 맞는 주제일 필요는 없다고 생 각합니다. 다만, 학문적 호기심을 이론적인 측 면, 실용적인 함의와 어떻게 잘 조화시킬 것인 가가 더욱 중요하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혁신 에 대한 지적 호기심은 그 자체에서 오기보다는 지적 호기심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접근방법 에서 다가올 수 있습니다. 학자들은“정치적 제 도가 집합적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또는“누가 관리・통치하는가?”와 같은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봅니 다. 중요한 지적 호기심들을 안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통찰력을 가지는 능력이야말로 가장 위 대한 가치라고 봅니다. 새로운 통찰력을 갖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혁신을 요구합니다. 저는 저 의 학문적 접근에 있어서 둘 이상의 분야에 관 심을 기울이며, 저 자신의 학문적 분야보다 다 른 분야들의 학문적 내용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 를 하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새로운 이론 들은 일필(一筆)로부터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재의 연구분야 내에서 기존의 연구들 을 정리 축적하고, 다른 분야들로부터 개념들을 빌려오거나 적용시키는 것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봅니다. 더 좋은 방법은 다른 학문적 분야나 접 근법들로부터 중요한 통찰들을 종합하고 통합 하는 것이지요. 이것은 일련의 중요한 연구문제

를 잘 정의된 이론적 틀과 결합시키고자 하는 노력에 의해 얻어질 수 있습니다. 저는 정치적 시장, 거래 비용, 연방주의, 경계 변화 그리고 제 도주의적 집합 행동의 이론적 틀을 포함한 다양 한 이론적 틀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어떠한 학자들은 제도를 특정한 이론적 틀에 국한시키 는 것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론적 혁신을 이룰 수 있는 받침들을 세우고, 다른 접 근법들로부터 유도할 수 있는 아이디어나 통찰 력을 조합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 개념들, 그리 고 지적호기심 등을 통해 구체적인 이론적 틀을 찾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다양한 통계적・분 석적 도구들을 섭렵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역량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연구의 의문 점들이나 접근들이 방법론적인 제한이나 선택 에 있어서 제한받지 않아도 되며, 의문점에 대 한 정확한 방법론을 사용함으로써 의문점들에 대한 최선의 결과를 가질 수 있다고 봅니다.

김:교수님은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거래비용, 정치적 경제의 관점에서 제도적 집합 행동 (ICA) 이론의 틀을 구축하셨습니다. ICA 이론 적 틀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겠습니까?

▶▶파이악:정부의 권위 혹은 책임성이 지방정 부의 계층 및 다양한 기관들에 의해 분산될 때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이야기를 시작 하고자 합니다.

분산된 권위는 하나의 권위에 의한 결정들이 다른 것의 결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제도적

(7)

some groups and interests, reduce the influence of others. Thus models of the policy decisions need to include the interactions of institutions and preferences together. Informal policy networks can also function like political institution. In my recent work I have a book with John Scholz titled Self-Organizing Federalism forthcoming from Cambridge that explores the role of policy networks as governance mechanisms that operate like informal institutions by shaping the incentives and constraint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oice.

Kim: What is your research philosophy and attitude?

▶▶ Feiock: That is something I have thought about a bit. Good research starts with asking important questions. Good research questions don't have to be new, innovative or trendy, but they need to hav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novation comes in the approach to answering the questions not the question itself. Scholars should not be afraid to tackle big questions like “how do political institutions influence collective choice,” or “who governs?” The ability to generating new insights into important questions has greatest value in research. To generate these new insights requires theoretical innovation. I am interdisciplinary in my approach and read more work in other fields than in my own discipline. In most cases new theories are not created from scratch; instead, they build of pervious work within a field or borrow and apply concepts from other fields. Even better is to integrate and synthesize insights from multiple disciplines or approaches. This is balanced by working within the confines of a research program or tradition defined by a set of key research question and a unifying theoretical framework. I have worked within or developed several frameworks in my career including the political market, transaction cost, federalism, boundary change and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frameworks. Some scholars feel constrained or limited by working within specific framework. I find it empowering by providing me a common set of question, concepts and mechanism that can be building blocks for theoretical innovation and combined with ideas and insights derived from other approaches. Finally, I believe in developing at least minimal competency with a diverse set of statistical and analytical tools.

Then your research questions and approaches are not limited by your methodological specialization or limitations and you can match particular questions with the research designs

(8)

행위자들에게 딜레마를 만들어냅니다. 이것은 개별적인 정부 권위에 의한 독립적인 결정들이 누구한테도 환영받지 못하는 불충분한 정책 결 과들을 이끌어냅니다. 예를 들면, 지방 정부들 이 서로 협력하지 않고 투자할 경우 과도한 수 용력과 값비싼 서비스 조항들만 만들어내게 되 지요. 즉 한 기관의 규제들은 다른 것의 효과를 상쇄시키고, 한 기관의 프로젝트는 다른 기관의 프로젝트와 경쟁하게 됩니다. 저는 이러한 문제 점을 제도적 집합행동의 딜레마 때문에 발생한 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언급한 그 이론 적 틀은 집합행동 이론을 제도적 집합행동의 딜 레마를 완화시키거나 또는 해결하기 위한 공식 적, 비공식 대안들을 연구하는 데 적용시킵니 다. 정부 간 의사결정을 통합하기 위한 세 가지 메커니즘은 첫째, 제3자 또는 상위 정부가 권위 를 통합하고 제도적 집합 행동을 내면화하는 데 간섭하는 중앙 집권화된 권위이며, 둘째, 개별 정부들이 상호 의존할 수 있도록 법률적으로 규 정하는 계약(contracting)이며, 셋째, 지방정부 간 합의 및 동의가 공식적인 권위보다는 사회 적,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관계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협력하게 하는 네트워크 인베드니스 (Network Embededness)입니다. 중앙 집권적 인 해결방법들은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으며 잘 알려져 있으나, 자발적 동의와 네트워크는 지방 정부가 자체적으로 만들고 조직화하기 때문에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자체 적으로 해결점을 찾아가며, 어떻게 그것들이 진

보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현재, 한국은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에 초점 을 맞추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개발 에 대해 교수님이 제안하실 수 있는 것은 무엇 이며,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해 교수님이 생각하 시는 바를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파이악: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저의 관심 분야는 토지이용과 에너지 관련 이슈들입니다.

지방정부들은 지역 또는 전 세계를 바탕으로 지 속가능한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자신들의 관 할 구역 혹은 다른 정부 및 조직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들은 에너지를 보존하 는 것이 필요하며, 태양 에너지나 풍력에너지와 같은 지속가능한 자원들을 적극 이용하고,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에 미국 정부는 한국정부들의 경험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여기에는 지역적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 또는 주요 대도시를 생성 하는 지역들 내에서 지방정부들 사이의 정부 간 협력이 필요합니다. 문명재 박사(연세대), 박형 준 박사(성균관대)와 함께 한 저의 연구는 단지 소도시나 국가 전체가 아닌 주요 대도시 지역들 이 경제 활동이나 발전에서 기본적 구성단위임 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만약 주요 대도시 지역 들이 전체 경제에 있어서의 중요한 경제단위라 면,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하는 정책은 주요 대도시 지역에서 측정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

(9)

that can provide the strongest evidence to best answer them.

Kim: Regarding the perspective of local governance, transaction cost and political

economy, you have constructed or formalized the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ICA) framework. Could you explain the ICA framework?

▶▶ Feiock: I start with problems that arise when governmental responsibility or authority is

fragmented across multiple units, agencies, or levels of government. Fragmented authority produces dilemmas for institutional actors because decisions by one authority affect the outcomes for the others. This means that independent decisions by each governmental authority can lead to poor policy outcomes not favored by anyone. For example, uncoordinated investments by local governments create excessive capacity and expensive service provisions; one authority’s regulations undermine the effectiveness of another’s; or one agency’s project competes with that of another agency. I refer to these problems as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dilemmas. The framework I advance applies collective action theory to investigate a broad range of formal and informal alternatives to formal institution solve or mitigate these ICA dilemmas. There are three general mechanisms available to integrate decision making across government units: 1) Centralized authority, in which a third party or higher level government intervenes to consolidate authority and internalize ICAs; 2) Contracting, in which fragmented governments legally bind themselves to mutual action; and 3) Network embededness, in which agreements among local units are coordinated and enforced through a network of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hips rather than formal authority. Centralized solutions have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and are well understood.

Voluntary agreements and networks are different because they are self-organizing-they are created by and maintained by the local authorities themselves. We are just beginning to understand how self organized solutions emerge and how they evolve.

Kim: Currently, Korea has been focusing on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What are your suggestions for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or what are your recommendations about roles of local government?

(10)

근 저는 에너지 및 환경정책과 지속가능한 에너 지 경제발전에 영향을 주는 경제적, 합법적 그 리고 정책적 요소들을 분석하는 플로리다주 (Florida State) 산하 지속가능한 에너지 및 거 버넌스연구센터의 소장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플로리다주에서 지속가능한 혁신들이 어떻게 도입되고 확산될 것인지를 연구하는 중입니다.

우리 연구소는 향후 한국에서도 유사한 연구를 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김:최근 몇 년 전부터 교수님은 훌륭한 학문 적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제자들에게 교수님 의 독특한 가르침이나 교육방법이 있으면 말씀 해 주시겠습니까?

▶▶파이악: 제가 자부심을 갖는 것 중 하나는 저 의 제자들이 학문적으로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 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저의 제자들은 박사 과정 시절 권위 있는 국제 및 국내 학회에서 최 고의 논문상을 수상한 경우가 많으며, 현재 미 국이나 한국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제 자들이 성공한 첫째 이유는 플로리다주립대학 (FSU)에 재능이 많은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는 것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교육방법에 있습 니다. 저는 팀을 형성하여 저의 제자들과 협동 적으로 연구합니다. 저는 학생들의 경력이나 관 심분야 내에서 학생들을 선택하여, 그들이 높은 수준의 방법론적 교육을 받도록 지도합니다. 저 의 연구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론적 분석 틀(제도적 거래 비용 이론, 정치 시장 그리고 제

도적 집합 행동)을 기본으로 합니다. 저는 저의 학생들이 이론적 측면을 잘 소화해내며,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들에 대해서도 공부하기를 기대 합니다. 저의 제자들은 본인의 관심 분야 및 적 용할 수 있는 다른 분야들에 대해, 저를 포함한 다른 동료나 선배들과 협력적으로 연구하는 방 법을 배우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자연과학연구의 기본이며, 사회과학연구에서도 예외가 아닙니다. 또한 제자들에게 학회활동에 참여하면서 전문적인 지식의 함양과 동시에 사 회적 활동을 하도록 강조합니다. 우리는 하나의 지방 거버넌스팀으로서 강한 집합적 동일성과 협력적 연구 동료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졸업을 하여 다른 학교나 연구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기 존 제자들도 여전히 학술적 연구활동에 참여하 고 있으며, 선배는 후배들에게 좋은 멘토, 혹은 사회선배로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 한 선후배 관계들은 계속적으로 선순환되고 있 으며, 이러한 훌륭한 제자들과 함께 연구하는 것이 제 생활의 가장 큰 기쁨입니다.

김:교수님, 향후 연구하고 싶은 다른 분야가 있으시면 무엇이고 지방정부나 주 정부가 발전 하는 데 필요한 연구분야가 있다면 무엇인지 말 씀을 부탁드립니다.

▶▶파이악:저는 현재 제도의 변화 그리고 지역 주의와 관련된 몇 개의 프로젝트들을 진행 중입 니다. 저의 새로운 프로젝트들은 지난 20여 년 을 넘어선 지방 거버넌스의 통찰(洞察)들을 통

(11)

▶▶ Feiock: My interests in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 on both land use and energy issues.

Needless to say local governments have a vital role to play both in supporting sustainability in their own jurisdictions and in working with other governments and organizations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n a regional or global basis. Local governments need to conserve energy and rely more on energy from sustainable sources like solar and wind and use alternative fuel vehicles. This is an area in which the U.S. can learn a lot from the experiences of governments in South Korea. There is also a need for intergovernmental collabo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these areas to produce metropolitan or regional climate change policy. My work with M. Jae Moon(Yonsei University) and Hyung Jun Park(SKKU) demonstrates that metropolitan regions are the primary units of economic activity and development-not cities and not nation states. If metropolitan regions are the key economic units in the global economy, then sustainability policy needs to be scaled to that level. I recently became director of Florida State's Center for Sustainable Energy and Governance, a research center that studies issues related to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and analysis of economic, legal and policy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energy economy. We are investigating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sustainability innovations in Florida.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conduct a similar study in South Korea.

Kim: From several years ago to now, your students have made great achievements and

have become good scholars. Do you have any training skills and instructions for your students?

▶▶ Feiock: The success and accomplishments of my students is one of the things I am most

proud of. My doctoral students have won a number of national or international best paper competitions and dissertation awards. Most have landed faculty positions at top research universities in the U.S. or Korea. One reason for this success is that we have been fortunate to attract really talented students at Florida State University. A second reason relate to training. I work collaboratively with my students within a team setting. I select students early in their careers and direct them to advanced methodological training. My research is based in the theoretical frameworks we discussed earlier-institutional transaction cost theory, the political

(12)

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연구는 지 방정부 내에서 경제발전, 에너지, 그리고 토지 정책 분야에서 공식적, 비공식적 정책 네트워크 들의 역할을 탐구하여 왔습니다. 향후 연구는 단일 지방정부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한 정책을 연구하기보다는 다양한 계층의 정부 간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탐색하고 이들 간 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이것은

“who governs”와 같은 큰 연구 주제에 대해 해 답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네트워크나 제 도들에 대해 더욱 일반화된 통찰들을 제공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연구가 기존의 지 식 위에 쌓여갈 때 그 지식은 더욱 커지듯이, 저 의 향후 연구는 단지 새로운 것들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통합하고 발 전시켜 제도와 거버넌스 연구에 통합적인 이론 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연구의 최고 가치는 기존 연구와 새로운 연구가 잘 연결되어 하나의 단독적 분야로 거듭나는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리차드 파이악의 주요 저서 및 논문

Feiock, R, Lubell, M., and E. Ramirez. 2009. “Local Institutions and the Politics of Urban Growth”.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forthcoming).

Feiock, R, Lee, I. W. Park H. J. Lee, K. H., and J. Park. 2009.

“Policy Networks Among Local Elected Officials:

Information, Commitment, and Risk Aversion”. Urban Affairs Review vol. 45, no. 2. (forthcoming)

Feiock, R, Lubell, B., and H. Susan. 2009. “City Adoption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olicies in California’s Central Valle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forthcoming)

Feiock, R, Kwon, M., and F. Berry. 2009. “Strategic Planning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n U. S.

Municipal Government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9. (forthcoming) Feiock, R. and H. Jang. 2009. “The Role of Nonprofits in Local

Service Deliver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0.

Feiock, R, Choi, S. O. Bae, S. S., and S. W. Kwon. 2009.

“County Limits: Policy Types and Expenditure Priori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forthcoming) Feiock, R, Steinacker, A., and Hyung-Jun Park. 2009.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and Joint Ventures for Economic Develop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69.

Feiock, R. 2009. “Metropolitan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Urban Affairs Review vol. 45, no. 3.

Feiock, R. Tavares, A., and M. Lubell. 2008. “Policy Instrument Choices for Growth Management and Land Use Regulation”Policy Studies Journal vol. 36, no. 3.

pp461-480.

Feiock, R. 2008. “Examining Local Government Service Delivery Arrangements over Time”Urban Affairs Review vol. 44, no. 1. pp27-56.

Feiock, R. Clinger, J. McCabe, B., and H. J. Park, 2008. “The Impact of Leadership Turnover on Local Officials Time Horizons: Municipal Borrowing Decisions”.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38, no. 1.

pp380-386.

(13)

market, and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I expect my students work to build upon and advance one or more of these programs. They learn to work collaboratively with others and co-author with me and more senior students but they do so within a defined research program.

This approach is standard in the natural sciences, but much less common in the social sciences.

I also emphasiz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both through social events and encouraging students to attend and present their work at professional association meetings. We have a strong collective identity and reference ourselves as the “local governance team.” This team spirit infuses our intellectual enterprise. Former students remain involved in our collective research projects long after they graduate and become faculty members at other institutions. These former students help mentor, train and socialize current students and the cycle continues. Working with really good students is one of the joys of my life.

Kim: What is your future research area or do you have any other new research fields to

develop the local government and state government?

▶▶ Feiock:I am presently working on several projects related to institutional change and regionalism. My new projects attempt to integrate the insights of the local governance team over the last twenty years. For example previous work has explored roles of formal institutions and informal policy network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energy and environmental/land policy arenas. Instead of studying each policy individually at a single level of government, I now want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s of issues and problems at multiple levels and in multiple policy arenas. This should provide more general insights about institutions and networks and help in formulating answers to big questions like “who governs.” When new research builds off the existing knowledge it is more cumulative. My ambition is not to undertake new things but instead to further develop and integrate the ideas and research areas.

I have studied in the past and to consolidate my theoretical contributions into a unified and coherent theoretical approach to institutions and governance. The capstone to this will probably be a single authored monograph that attempts to fit together my new research with my previous work.

참조

관련 문서

Because of these ownership differences, FERC's regulation of interstate natural gas pipeline companies is for all practical purposes exclu- sive,10 while its

applicant, whose signature and signing authority must be in conformity with the record held in our file. ƒ Inspection Certificate countersigned by the purchaser. ƒ

ü R-G center recombination (or indirect recombination) typically releases thermal energy (heat) or, equivalently, produces lattice vibration.. Near-midgap energy levels

- distributes indexes across multiple computers and/or multiple sites - essential for fast query processing with large numbers of documents - many variations:

라이선스는 광물자원석유청(the Mineral Resources and Petroleum Authority)의 지질광업 등기소(the Office of Geological and Mining Cadaster,

First, one of the coaching factors perceived by superior hurdlers is guidance authority.. The subcategories of guidance authority consisted of

There are various legal grounds about finance bills and the budgetary system. For example, there are some nations of which the authority of the legislature is simply

• Free response has amplitude and phase effected by forcing function.. • Our solution is not defined for ω n = ω because it produ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