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건축"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과학과 기술로 본 건축역사(10)

-설비와 건축-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한 동 수

dsharn@hanyang.ac.kr http://fahl.hanyang.ac.kr

(2)

설비와

건축

: 온돌

(3)

주거건축:

건축행위의 시작과 끝

주거의 유형분류

계층 하류(서민)/중류(중인)/상류(사대부)

가랍(호지)/민가(民家, 여염)/ 반가(班家, 양반) 평면 겹집(양통집)/홑집/툇집

ㅡ字/ㄱ字(고패집)/ㄷ字/ㅁ字(맞고패집)/튼ㅁ字 日字/工字/用字/乙字/도토말이

재료 기와집/초가집/샛집(억새풀)/너와집(나무판재)/청석집(돌기와) 굴피집(나무껍질)/함석/양철/겨릅/슬레이트

귀틀(방틀, 윤판, 투막, 투방, 틀목, 목채)/토담(담집)/토벽 형태 까치구멍/또아리(똬리)

(4)

주거의 유형분류

부재 민도리/굴도리/납도리/소로수장/장여수장/ 익공/백골 정간식/대량식(가구식)/천두식/3량가/5량가 등

마당 뜰집/뙷집(뙤새집)

지역 충청/호남/경기/전라/평안/제주/강원/함경/황해/울릉

호남/호서/영동/영남/강원/기호(경기. 황해도 남부, 충청북부) 남부/중부/북부/절충

함경도 田字型 / 평안도 一字形(대청마루없음) / 중부형 ㄱ자형 남부형 一字型(대청마루 있음) / 서울 ㄷ자형

주거건축:

건축행위의 시작과 끝

(5)

주거와 관련된 한자어

저택의 의미 邸宅/第舍/第室/宅第/宅宇/府邸/居第

주택의 의미 住房/住家/住宅/住宇/家舍/居室/宅房/宅舍/宅子/家宅 거처의 의미 敞舍/寒舍/舍下/小屋/舍居/寓居(누추한 거처)

관료의 큰 저택

비교적 큰 집, 주택, 거처

가축의 우리 또는 축사, 누추한 집고관의 큰 집, 내조한 제후가 묵는 집

일반적으로 몸채, 안채, 전각, 사당에 붙이는 말서재나 찻집, 문방사우를 파는 상점에 붙이는 말서재, 숙소에 붙이는 말

주거건축:

건축행위의 시작과 끝

(6)

주거의 기능

초기의 주거는 방어적인 목적(적, 맹수, 자연재해)이 강하고 안전한 삶을 영위 하기 위한 장소

주거의 조건

산곡에 의지하여 집을 짓고 지붕은 띠와 풀로 덮은 초가였으나 왕궁과 관아, 절, 묘우 등은 기와였다. 가난한 사람은 장갱을 만들고 그 밑에 불을 때서 따 뜻함을 얻었다.

居深谷. 居依山에 의거한 背山臨水, 安居樂業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공간개념 을 형성

주거건축:

건축행위의 시작과 끝

(7)
(8)
(9)

온돌의 변천과정

(10)

고구려의 부엌시설

고분벽화

(11)

고구려의 온돌시설

오녀산성

(12)

발해의 온돌유적

연해주 지역

(13)

온돌의 구조와 구들의 유형

(14)
(15)

구들의 분류

아궁이 기능에 따르는 분류

한 아궁이(또는 두 아궁이) 한 방 구들(외방구들) 한 아궁이 여러 방 구들

여러 아궁이 여러 방 구들(쌍통집 구들, 통고래 구들)

고래의 형태에 의한 분류

고래 구들: 곧은 고래, 부채 고래, 굽은 고래, 대각 고래, 되돈 고래 허튼 고래 구들

구들개자리에 의한 분류 구들개자리 구들

함실 구들: 부넘기, 구들 개자리가 없고 불을 피우는 함실 또는 숯불을 담아 넣는 함실이 아궁이에 붙어 있음

아궁이 위치에 의한 분류

곁방에 아궁이가 있는 구들(부엌 등)

같은 방에 아궁이가 있는 구들(부엌과 방 사이 벽이 없는 구들) 방밖에 아궁이가 있는 구들(건너방, 사랑채 등)

(16)

구들의 특징

많은 열 에너지를 구들에 축열, 저장이 가능 인체의 하부에서 직접 인체 및 방을 가열

전체 바닥면에서 저온으로 자연히 방열하며 원적외선이 방사

실내공기의 대류를 억제하고 수직 및 수평온도 분포가 균등하게 함 구들에서의 열전달이 전도, 복사 및 대류의 복합적인 작용

방안에는 불 또는 연기가 없어 실내공기가 늘 청결 4계절 연중 인체에 유익한 효소가 실내에 공급

아랫목, 윗목 등 노약자 보호 및 장유유서의 전통적 윤리사상과 가족 애의 집단의식이 고양

(17)
(18)
(19)
(20)

길림 동경성 상경용천부 내 조선족 주거

(21)

칠불암 아자방

(22)

칠불암 아자방

경남 하동군 화개면 법왕리 지리산 반야봉(般若峰) 남쪽에 있는 쌍계 사(雙磎寺)의 말사(末寺).

가락국 수로왕의 7왕자가 창건하였다는 전설이 있으며 1568년(선조 1 년) 부휴(浮休)가 중창하였고, 1830년(순조 30년) 김담(金潭)과 그 제자 대은(大隱)이 중창.

1948년 여수 순천사건으로 완전 소실되었다가 오랫동안 재건되지 못 하고 1964년 문수전(文殊殿)·보광전(普光殿)·선원(禪院) 등이 중창되었 으며, 1982년에 아자방(亞字房)이 복원됨.

아자방은 경남유형문화재 제144호로, 신라 효공왕 때 담공선사(曇空禪 師)가 만들었다고 하는데, 오랜 세월 동안 한 번도 고치지 않았지만 한 번 불을 지피면 49일 동안 따뜻하였다고 전함.

(23)
(24)
(25)
(26)
(27)

달알이족 민가

(28)

달알이족 민가모습

제제합이시 매리사 달알이족 민속촌

(29)
(30)
(31)

참조

관련 문서

q 예를 들면, 높은 농도의 표적 장기 호르몬이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에 작용하여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분비를 억제하고, 표적 장기 호르몬 이 낮을 경우에는 뇌하수체

강제유동 : 외부요인에 의하여 유체가 강제로 흐르는 유체운동 정상유동 :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유체운동.. 비정상 유동 :

[r]

동포입증서류 (호구부 또는 사망증명서 또는 호구말소증명서) 원본

○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운영예비력 및 보상제도에 대한 개선방향과 배터리 전력저장장치의 활용적합성에 대해

이에 대한 객의 대답은 궁색하다.“ 향은 향 연기가 되고 담배는 담배 연기 가 된다.연기가 비록 같지 않지만 연기로서는 같은 것이다.물건이 변하여 연기가

내부마감 또는 인테리어에 관련된 부분에서도 단순히 고가의 가구 및 마감재 의 선정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주부의 동선 및 가사노동을 고려한 주방가구의 도 입

로 개방하거나 기계식 환기설비를 수 시로 가동하여 충분한 환기량이 유입 되거나 배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학원 안으로 들어오는 공기의 분포를.. 균등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