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을 이용한 유가상승 파급효과 추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을 이용한 유가상승 파급효과 추정"

Copied!
2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차 례

에너지경제연구 제7권 제1호

학술 논문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을 이용한 유가상승 파급효과 추정

양준모․김영덕․유정식․이동우 ··· 1

석유제품 선물거래 도입의 후생효과 분석

윤 원 철 ··· 43

EU 배출권거래가격과 화석연료가격 간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김 수 이 ··· 65

바이오디젤의 경제성 예측에 관한 연구

배 정 환 ··· 101

수송용 바이오에탄올 도입의 경제성 평가 및 CDM 사업 타당성 분석 민은주․김수덕 ··· 133

선택적 수정항을 적용한 운행거리에 대한 연구

김형건․원두환 ··· 155

정책 연구

비철 및 희소 금속의 비축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의성․이용길․송용일 ··· 175

(5)

Volume 7, Number 1, June 2008 : pp. 1~41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을 이용한 유가상승 파급효과 추정

*

양준모**․김영덕***․유정식****․이동우*****

<차 례>

Ⅰ. 서 론

Ⅱ.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의 특징

Ⅲ. 유가변동의 파급효과 분석

Ⅳ. 결 론

* 본 논문은 연세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2006)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수정․보완한 논문입니다. 동 보고서를 이용할 수 있게 허락해 주신 에너지경제연구원에게도 감사드립 니다. 또한 본 논문의 개선을 위해서 많은 조언을 하여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부산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부산대학교 경제학과, 박사 과정.

(6)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요 약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은 에너지 관련 정책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예측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며 평가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한 정책도구이다. 본 연구는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을 구축하여 유가의 변동이 거시경제변수 및 산업생산, 그 리고 에너지 수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유가상승에 따른 제 변수의 변동을 예측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준모형 기반의 각 변수 예측 결과에서 고유가 발생시,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서 산업생산 증가 율 둔화 현상이 여타 산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가와 직접적인 관 계에 있는 석유제품의 사용량 둔화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특히, 등유는 전년 대 비 사용량이 감소함을 보였는데, 이는 난방 원료의 대체 수단인 도시가스와 무 연탄으로의 수요 이동을 의미한다. 파급효과 분석 결과, 에너지관련 변수를 제 외한 변수들 중 유가의 파급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 변수는 소비자물가 지수이며, 경상수지에 대한 유가상승의 파급효과가 가장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단어:유가상승, 파급효과

경제학문헌목록 주제분류:Q43, C13, C53

Ⅰ. 서 론

에너지경제모형은 에너지관련 정책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예측하고, 관 련 정책을 수립․평가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한 정책도구이다. 특히 유가변화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거시경제에서 경제정책 및 경제전망과 관련한 중요한 이 슈이다. 이러한 인식 하에 Balke et al. (2002), Bernanke et al. (1997), Bohi (1989, 1991), Brown and Yűcel (1999), Darby(1982), Dohner(1981), Ferderer (1996), Gisser and Goodwin(1986), Hamilton(1983, 1996, 2000), Hamilton and Herrera(1999, 2001), Jones and Leiby(1996), Lee et al. (1995), Lee and

(7)

Ni(2002), Mork(1989), Mork and Hall (1980), Tatom(1988) 등의 해외 연구에 서는 유가변화의 거시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국내에서는 손 양훈(1999), 김성현 외(1999), 김영덕(2002, 2003), 나인강(2001), 손양훈․나인 강(2002) 등에 의해서 원유가격 변동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 으며, 2005년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에너지 중심의 거시계량모형 수립이 시 도되었다. 이 2005년 모형을 확장하여 에너지-거시계량모형을 구축하게 되었 다.1) 본고는 이와 같이 구축된 에너지-거시모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를 실 제 운용하여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거시경제와 에너지 부문의 파급효과를 예 측한 결과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에너지경제모형을 구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문 헌 검토 및 자료수집 등 역사적인 접근 분석을 통하여 유가변동(또는 유가충 격)에 대한 변수를 측정 또는 선정한다. 둘째, 국내 거시경제를 구성하는 부문 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활용하여 거시경제부문을 설정한다. 셋째, 에너지부 문에서 집중적인 관심을 받는 에너지 다소비산업(석유화학, 철강, 비금속 산 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부문을 구성한다. 넷째, 국제유가의 변동이 국내 석유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석유산업에서의 석유가격변동모형을 설정하 며, 석유시장에서 유가변동이 국내 석유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석유 소비부문을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수출입과 재고 등 가격 이외의 공급 결정 요인을 명시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에너지간 수요이동을 포착할 수 있는 모형 을 구축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Ⅱ장에서는 에너지-거시계량모형을 개 관하고, 제Ⅲ장에서는 에너지-거시모형을 이용하여 유가상승의 파급효과를 분 석하고, 제Ⅳ장에서는 결론을 도출한다.

1) 에너지-거시계량모형 구축에 관해서는 연세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2006)에 자세한 내용 이 수록되어 있다.

(8)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Ⅱ.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의 특징

거시계량모형의 구축은 Tinbergen이나 Frisch 등으로부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1960년에는 거시계량모형이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학문분야로 자리 잡았으며, 1970년대 말까지 이론적 인 측면에서나 실무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이론이 제기되었다. 특히 미시적 근거의 부족, 식별의 문제, 단위근의 처리 문제, 그리고 경제예측에 사용될 경 우의 문제점 등이 주로 거론되었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고 정책적 수요에 부응하면서 거시계량모형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이론 등을 수용한 실용적 정책도구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제 현상 예측에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동태적․확률적 일반균형모형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 DSGE)에 관해 Pagan은 2003 년의 Bank of England Quarterly Bulletin에 발표된󰡒Report on Modelling and Forecasting at the Bank of England󰡓라는 논문에서 DSGE 모형이 가장 최신의 모형기법임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기법이 과연 실제 적으로 모형의 성과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관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거시계량모형의 구축을 위해서는 우선 우리나라 거시경제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경제는 1962년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시점으로 비약 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러한 급속한 성장과정에서 우리나라 경제는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1970년대의 중화학공업 육성으로 경공업 중심에서 중공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개편되었고, 1980년 경제자율화를 통하여 관주도 에서 민간주도의 경제로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1990년대에는 자본자유화 를 추진하는 등 경제선진화를 도모하였으며, 외환위기 이후 구조개혁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 때문에 대상기간의 선택에 따라 결과

(9)

가 민감하게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연구의 분석대상을 어느 기 간으로 삼아야 하는 가는 매우 어려운 질문이다. 본고에서는 대체로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행태방정식을 추정하였으며, 모형의 의태분석 대상기간은 1992년 1/4분기에서 2004년 4/4분기로 국한하여 분석하였다. 동 기간에 외환 위기가 포함되었기 때문에 구조적 변화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모형이 외환 위기 기간을 비교적 큰 오차 없이 설명하고 있어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비약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서는 소규모 개방경제 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다. 우리나라의 경제규모(2004년 국내총생산기준)는 OECD국가 중 네덜란드, 멕시코와 비슷한 수준이며, 우리나라보다 규모가 큰 나라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정도이다. 또한 무역 규모도 경제규모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11위의 경제 규모, 12위의 수출규모, 세계 5위권 내외의 주력산업 경쟁력 등 세계적인 위 상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소규모 개방경제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밝혀진 해외 금리와 우리나라 금리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때, 아직 우리나라를 소규모 개방경제로 보아도 무방할 것 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소규모 개방경제를 전제로 해외부분은 외생변수로 처리하였다.

우리나라 거시경제모형의 현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한국 은행은 다모형 접근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한 모형과 금융부분이 강조된 거시 경제모형을 가지고 있으며, 초단기모형, 연간거시경제모형, 분기거시계량모형 등을 필요에 따라서 이용하고 있다. BOK04 모형은 케인지안 체계에 바탕을 둔 일반균형개념의 중규모 모형으로 내생변수가 81개, 외생변수가 26개이며, 48개의 행태방정식과 33개의 정의식을 포함하는 총 81개의 연립방정식 체계 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한국개발연구원의 1995년 모형은 행태방정식 27개, 정의식 25개 등 총 52개의 내생방정식과 22개의 외생변수로 구성된 소규모 분기거시계량모형이다. 공급, 총수요, 물가의 3대 부문 외에 국제수지, 통화공 급과 재정을 나타내는 부문 등 총 6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10)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것으로 CGE 모형 및 부분모형 등 에너지 수급과 석유가 격의 변화에 따른 파급효과를 연구하는 모형들이 있다.

기존 거시경제모형이 항상 최적의 예측치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현실적 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거시경제모형은 루카스의 비판을 비켜 갈 수 가 없다는 점에서 학계에서 많은 비판을 받아왔으나, 최근 Linde(2001)는 루 카스의 비판이 옳다고 하더라도 경험적으로는 기존의 접근 방식이 여전히 유 효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거시경제모형을 사용하는 데 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예측에서는 시계열의 비정상성 (nonstationarity)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Granger에 의하여 대부분의 거시경 제변수는 단위근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단위근이 존재할 때, 공적분관 계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거시경제변수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기 때문 에 기존의 행태방정식의 추정은 여전히 유효하다. 단지, t값을 이용할 때, 분 포의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만 유의하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방정식의 상수항을 변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비정상성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 에너지경제모형의 구조

본고에서 사용한 모형은 독립적인 3개의 블록과 141개의 방정식으로 구성 되었다. 즉, 모형은 세 부문으로 나뉘고, 거시경제부문의 제 변수들은 상호작 용을 통해서 동시적으로 결정되며, 이를 반영하여 에너지가격과 생산부문이 결정되고, 거시경제변수, 생산지수 및 에너지가격이 에너지수요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개념화 한 것이다.

모형의 개념도에서 정책변수와 경제환경변수가 결정되면 국민계정의 제 변수 와 가격변수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값이 결정되도록 구축되어 있고, 이러한 상 호작용을 통해서 계산되어진 값이 산업생산과 에너지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 으로 구축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11)

<그 림 1> 모 형의 개 념도

축차적 결정과정 정책변수

콜금리

경제환경변수 원달러환율 엔달러환율 두바이유가 날 씨 경제선행지수

주식시장

동시결정과정

산업생산

에너지변수 수 요 가 격 국민계정

국내총생산 설비투자 건설투자 수 출 입

가격변수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임 금 이 자 율

또한, 세분화된 각 변수간의 관계를 다소 간소화하여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은 개별변수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림 2> 모형의 흐름도는 화살표를 따라가게 되면 각 변수들의 상호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안되었다.

대규모 거시계량모형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여 기에서는 예측된 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변화율로 구하고, 제곱의 평균을 이용 하여 제곱근을 구한 후, 이를 백분율화하여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통상적으로 평균제곱근퍼센트오차(root mean squared percetage errors : RMSPE)라고 불리며, 공식은 다음과 같다.

RMSPE =

n

t = 1

(

FXXt- Xt t

)

2

n

0.5

× 100

단, FXt는 예측값, Xt는 실제값, 그리고 n은 평가기간의 수임.

(12)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그 림 2> 모 형 의 흐 름 도

(13)

실제 자료를 가지고 검증이 가능한 기간인 1998년 1/4분기부터 2005년 4/4 분기까지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 대부분의 내생변수에서 RMSPE가 10%

이내로 결정되어 비교적 양호한 예측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2)

2. 에너지경제모형의 검토

3)

1) 에너지가격모형의 검토

국제유가의 변동은 우선 국내에 도입되는 원유가격의 단가를 변동시킨다.

여기서는 장기적으로 국제유가의 장기적 상승은 도입단가의 장기적 상승을 유발하며, 국제유가 1% 변동은 도입단가 1% 변동을 가져온다고 가정한다. 따 라서 국제유가 변화는 국내석유가격의 원재료 가격변화로 직접 연결되므로 국내석유가격의 변동요인으로 국제유가를 직접 가격함수에 포함시킬 수 있다.

국내석유제품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원재료인 원유의 도입가격, 환율, 유전 스(usance)비용, 국내 정제비용, 유통비용 등의 제비용과 세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세금 및 부과금은 외생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였고, 생 산비용에 외생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율과 국제유가를 국내석유가격식에 포 함하였다. 국제유가의 변화가 국내 유종별 석유가격을 변화시키는 과정은 ‘국 제유가 ⇒ 국내도입단가와 환율 ⇒ 생산비 ⇒ 국내유가’와 같이 공급 측면에서의 가격변동 과정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반영하여 국내석유가격을 결정 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상정하였다.

CPi= PATi (1+m + τm) = PBTi (1+ τ )( 1 + m + τm) (1)

여기서 CPii석유제품의 소비자가격을, PATi 는 세후가격, PBTi 는 세전가

2) 변수별 RMSPE값은 <부록 1>에 수록되어 있다.

3) 에너지가격과 수요모형, 그리고 산업생산의 주요 변수에 대한 회귀분석 추정치를 <부록 2>

에 수록하였다.

(14)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격, τ는 정제 후 도매단계의 세금, m은 소매마진, τm은 소매단계의 부가가 치세를 의미한다. 국내정유사 세전가격은 국제유가와 환율의 변동에 대하여 로그선형관계를 가지고 변동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 다. 각 식에서 ai, bi( i = 0, 1, 2, 3,…) 등으로 표현된 것은 각 식에서만 유 효하며 다른 식에서도 동일한 계수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ln ( PBTi ) = f ( ln ( dubai ), ln ( erav ), …) = a0+ a1ln ( dubai ) + a2ln ( erav ) (2)

이를 상기의 소비자가격, 세금, 세전가격의 관계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추정식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세전가격과 세후가격의 관계를 이용하면 다음 과 같이 세후가격식을 추정할 수 있다.

ln ( PATi ) = ln ( 1 + τ ) + ln ( PBTi )

= ln ( 1 + τ ) +a0+ a1ln ( dubai ) + a2ln ( erav ) (3)

ln ( CP i) = ln ( 1 + τ ) + ln ( 1 + τm+ m ) + ln ( PBTi ) = ln ( 1 + τ ) + ln ( 1 + τm+m )

+ a0+ a1ln ( dubai ) + a2ln ( erav ) (4)

이때, PATi = PBTi (1+ τ )는 국내정유사 세후가격, PBTi 는 국내정유사 세전가 격, CPi는 국내소비자가격, i는 휘발유, 등유, 경유, BC유, 프로판, 부탄을 나타내며, dubai는 두바이 국제유가, erav는 대미불환율이다. 여기서 정제단 계(또는 도매단계)에서의 세금 합계와 소매단계에서의 세금 합계를 가장 최근 의 자료로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표본기간 최종시점에서 τ, τm, m을 계산 할 수 있다. 이러한 값을 식에 대입하면, a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15)

로부터 추정치를 이용하면, 세금 또는 세율이 변화하는 경우 석유류 가격의 변동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 1> 국 내 석 유 가 격 추 정 식

유 종 변수명( CPi) 추정식

휘발유 cpgaso f(dubai, erav)

등 유 cpkero f(dubai, erav)

경 유 cpdies f(dubai, erav)

BC유 ppbc f(dubai, erav)

프로판 cpprop f(dubai, erav)

부 탄 cpbutan f(dubai, erav)

국내석유제품 소비자가격의 추정식을 <표 1>과 같이 구성한다. <표 1>에 서 제시한 추정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ln ( CP i) = a0+ a1ln ( dubai ) + a2ln ( erav ) (5)

여기서 i는 cpgaso, cpkero, cpdies, ppbc, cpprop, cpbutan이다.

<표 2>의 도시가스가격은 천연가스의 명목가격으로 추정하였으며, 천연가 스가격은 국제유가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석유제품과 같이 일반적인 가격함수 로서 국제유가와 환율의 식으로 설정하였다.

<표 2> 도 시 가 스 가 격 추 정 식

(16)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유 종 변수명( CPi) 추정식

산업용 도시가스 pr_ind f(dubai, erav)

가정용 도시가스 pr_res f(dubai, erav)

상업용 도시가스 pr_com f(dubai, erav)

<표 3> 전 력 가 격 추 정 식

유 종 변수명( CPi) 추정식

산업용 전력 elipp f(dubai, erav)

상업용 전력 elcpp f(dubai, erav)

가정용 전력 elrcp f(dubai, erav)

같은 방식으로 설정한 전력가격의 추정식은 <표 3>과 같다. 전력가격을 추 정함에 있어서 석유 및 천연가스발전 비중이 22%에 불과한 현실에서 두바이 원유와 환율에만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한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주장이 있 을 수 있다. 하지만 기저전력 생산은 변동성이 크지 않으며, 유가의 파급효과 를 측정하는데 있어 이 두 변수가 대리변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 고 판단된다.

2) 에너지수요모형의 검토

우선 석유수요모형에서는 궁극적으로 국제유가의 변동이 석유소비에 미치 는 영향을 추정한다. 가정, 상업, 산업, 수송의 4개 부문과 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BC), 프로판, 부탄 등 6개 석유제품을 대상으로 추정하였으며, 에너지가 격 모형에서 추정된 명목가격을 상대가격으로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모형 분 석에서 필요한 거시변수는 gdp(국내총생산), cpi(소비자물가지수), ppi(생산자

(17)

물가지수), pcp(가계소비지출), ime(설비투자), ic(건설투자) 등이다.

석유수요모형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가스와 전력의 산업용, 상업용, 가정 용 등 용도별로 수요식을 추정하였다. 추정식은 <표 5>와 <표 6>에 각각 정 리되어 있다. 추정식에서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정된 것은 이론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수는 경제활동을 대변 하는 대리변수로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 값들의 유의성들이 높다는 점에서 이들 변수들이 실증적으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표 4> 유 종 별 ․용 도 별 석 유 소 비 추 정 식

유 종 용 도 변수명

휘발유 수송 dgaso f(cpgaso/cpi, pcp)

등 유

합계 dkero dikero+drkero

산업 dikero f(cpkero/ppi, pcp, ime)

가정 drkero f(cpkero/cpi, pcp)

경 유

합계 ddies didies+dtdies+drdies

산업 didies f(cpdies/ppi, pcp, ic) 수송 dtdies f(cpdies/cpi, pcp, ic)

가정 drdies f(cpdies/cpi, pcp)

BC유

합계 dbc dibc+dtbc+drbc

산업 dibc f(cpbc/ppi, ime, ic)

수송 dtbc f(cpbc/ppi, gdp)

가정 drbc f(cpbc/cpi, pcp)

LPG

합계 dlpg dilpg+drlpg+dtlpg

산업 dilpg f(cpprop/ppi, pcp, ic)

가정 drlpg f(cpprop/cpi, pcp)

수송 dtlpg f(cpbutan/ppi, pcp)

(18)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표 5> 용 도 별 도 시 가 스 소 비 추 정 식

변수명

도시가스 계 citytot res+com+ind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 ind f(pr_ind/ppi, ime, pcp)

상업용 도시가스 소비 com f(pr_com.ppi, pcp)

가정용 도시가스 소비 res f(pr_res/cpi, pcp)

<표 6> 용 도 별 전 력 소 비 추 정 식

변수명

전력 합계 tot_elec res_elec+com_elec+ind_elec 산업용 전력 소비 ind_elec f(elipp/ppi, ime, pcp) 상업용 전력 소비 com_elec f(elcpp/ppi, ic, pcp)

가정용 전력 소비 res_elec f(elrcp/cpi, pcp)

3) 국제유가와 산업생산 관계의 검토

국제유가가 변동하였을 때 산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digit 분류로 광업, 제조업, 전기가스업을 분석대상으로 산업생산식을 추정 한다. 특히 중심적으로 분석 대상이 되는 산업은 에너지집약산업으로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이다.

국제유가의 변동시 유발될 수 있는 산업활동에 대한 영향은 다음과 같은 경로로 파급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첫째, 국제유가의 변동은 국내에너지가 격을 변동시키고 이는 산업의 생산비를 자극하며, 생산비용은 결국 산업생산 을 변동시키는 공급경로를 고려할 수 있으며, 둘째, 국제유가의 변동은 가계 의 지출을 변동시키고, 이는 수요를 자극하여 산업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 경로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9)

ⅰ) 국제유가 ⇒ 국내에너지가격 ⇒ 생산비 ⇒ 산업생산

ⅱ) 국제유가 ⇒ 총수요 ⇒ 산업생산

여기서는 단순하게 국제유가 변동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상기의 두 가지 효과를 대상으로 분석한다. 우선, 국제유가가 산업이 체감하는 에너 지비용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하여 다음의 추정식을 이용한다.

<표 7> 산 업 별 산 업 생 산 추 정 식

(20)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산 업 변수

석탄, 원유 및 우라늄 광업 pd10 f(epp, gdp)

금속 광업 pd11 f(epp, gdp)

비금속 광물 광업 : 연료용 제외 pd12 f(epp, gdp)

음․식료품 제조업 pd15 f(epp, pcp)

담배 제조업 pd16 f(epp, pcp)

섬유제품 제조업 : 봉제의복 제외 pd17 f(epp, pcp, erav)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pd18 f(epp, pcp, erav)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pd19 f(epp, pcp, erav)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 가구 제외 pd20 f(epp, ime, erav)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pd21 f(epp, pcp)

출판,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pd22 f(epp, pcp)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 pd23 f(dubai, pcp, ime, erav)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pd24 f(epp, pcp, erav)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pd25 f(epp, pcp, erav)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pd26 f(epp, erav, pcp, ic)

제1차 금속산업 pd27 f(epp, ime, ic, erav)

조립금속제품 제조업 : 기계 및 가구 제외 pd28 f(epp, ime, erav)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pd29 f(epp, ime, erav)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 제조업 pd30 f(epp, pcp, erav) 기타 전기기계 및 전기변환장치 제조업 pd31 f(epp, erav, ime)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pd32 f(epp, pcp, erav)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pd33 f(epp, pcp, erav)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pd34 f(epp, pcp, erav)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pd35 f(epp, pcp, erav)

가구 및 기타 제품 제조업 pd36 f(epp, erav, ime)

전기, 가스 및 증기업 pd40 f(epp, pcp)

(21)

ln ( e p ( t )) = a0+ a1 ln ( e p ( t - 1))+ a4ln ( e p ( t - 4)) + b 1 ln ( dubai ( t )) + b2 ln ( dubai ( t - 1))

+ b3 ln ( erav ( t )) + b4 ln ( erav ( t - 1)) (6)

여기서 ep는 에너지생산자물가지수이다. 이제 각 산업의 산업생산은 다음과 같은 식을 기준으로 추정된다.

ln ( pdi( t )) = a0+ a1ln ( pdi( t - 1))+ a2ln ( pdi( t - 4)) + b1 ln ( e pp ( t )) + b2 ln ( e pp ( t - 1))

+ b3 ln ( gdp ( t )) + b4 ln ( gd p ( t - 1)) (7)

여기서 epp = ep /pp i이며, 상기의 기준식에 더하여 산업특성이 요구되는 변 수를 포함시킬 수 있다.

산업별 산업생산 추정은 <표 7>에 정리되어 있다. 추정식에서 산업별로 상 이한 에너지가격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이론적으로 옳은 지적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동일한 실질가격을 사용하더라고 개별 에너지가격이 epp와 연결되어 있고, 각 추정식에서 그 효과가 일정 부분 추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증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 더욱이 모형의 단순성 (parsimony)을 위해서 epp를 사용하는 것이 이론적 엄밀성을 추구하는 것보 다 실증적으로는 더 도움이 된다.

Ⅲ. 유가변동의 파급효과 분석

앞서 설명한 거시모형, 에너지가격과 수요의 에너지모형, 산업생산모형을 추정하여 국제유가 변동시 거시경제, 에너지가격, 에너지수요, 산업생산에 미 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제석유가격의 기준안을 전망

(22)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유가가 기준안보다 상승할 때와 하락할 때의 시나리 오로부터 국제유가변동이 경제 및 에너지 부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 한다. 먼저 국제유가를 전망하는 것으로부터 파급효과 분석을 시작한다.

1. 석유가격 동향과 전망

최근의 국제유가 추이를 살펴보면, 1998년 이후의 국제유가는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2003년부터 급격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1998년 2 월의 국제유가는 매우 낮았으며 국제유가가 배럴당 10달러를 하회하는 모습 을 나타내기도 하였는데, 이는 1997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로 촉발된 세계 경기 의 위축에 의한 것이다.

이에 1999년 3월 OPEC의 회원국들은 감산에 합의하고 이후의 국제유가는 상승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금융위기에 따른 저이자율정책등으로 세계 경기가 호조세로 전환되면서 석유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중국

<그 림 3> 국 제 유 가 의 변 동 추 이 (1998~ 2005) (단위 : 달러/배럴) 70

60 50 40 30 20 10 0

98/1q 99/1q 00/1q 01/1q 02/1q 03/1q 04/1q 05/1q Dubai WTI

자료 : 한국석유공사 데이터베이스.

(23)

<표 8> 시 기 별 유 가 수 준

시 기 1972~1978 1979~1986 1987~1998 1999~2003 2004 이후

특 징 고유가진입 고유가시대 저유가시대 고유가진입 고유가시대

유가수준($/bbl) 2~20 30 10 20 30~50

과 인도 등의 석유소비 증가로 세계 석유시장의 가격은 상승을 지속하고 있 다. 여기에 세계 석유공급의 한계와 미국의 정유시설 투자위축 및 국제정세의 불안 등이 이어지면서 등락을 거듭하고는 있지만 국제유가는 상승추세를 계 속 이어가고 있다.

1970년 이후의 명목유가 변동에 대한 시기별 특성은 <표 8>로 설명할 수 있다. <표 8>로부터 국제유가의 시기적 특성과 장기적인 움직임을 잘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국제유가 전망에서 필요한 정보이다.

장기적인 유가추세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의 저유가시대에서 점차 벗어 나 2000년대 세계 경기의 호조에 따른 석유수요 증대에 힘입어 고유가시대에

<표 9> 유 가 상 승 이 세 계 경 제 에 미 치 는 영 향

(단위 : %p)

GDP 인플레이션

IEA (2004)

HSBC (2004)

IMF (2005)

IEA (2004)

HSBC (2004)

IMF (2005) 유가 10$

추가 상승

유가 15$

추가 상승

유가 80$

까지 상승

유가 10$

추가 상승

유가 15$

추가 상승

유가 80$

까지 상승

미 국 0.3 0.9 0.8 0.5 2.4 1.3

E U 0.5 0.6 0.6 0.5 2.1 0.9

일 본 0.4 0.3 0.7 0.3 0.9 0.9

개도국 전체 NA 0.3 0.8 NA NA NA

아시아개도국 0.8 NA 0.8 1.4 NA NA

(24)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머물러 있다. 이와 같이 세계 경기의 호조와 함께 고유가가 형성된 것이기 때 문에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예전 1970년대의 충격보다는 약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주요 기간별 유가상승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표 9>

와 같이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두바이유 기준으로 58달러를 기준유가로 예측하고 저유가(52달러, 기준유가 대비 10% 하락)와 고유가(65달러, 기준유가 대비 12% 상승)의 시나리오에 대해서 분석한다.

2. 기준모형 기반의 예측 결과

상기의 국제유가 전망을 바탕으로 모형을 운용하여 얻어진 주요 거시변수 의 예측 결과를 보면, 타기관(A와 B)과의 전망치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표 10> 주 요 거 시 변 수 의 예 측 비 교

(단위 : 전년동기비, %) 본 모 형

A B

기준유가 저유가

(10% 하락)

고유가 (12% 상승)

경제성장률 4.47 4.76 4.18 4.3 4.3

민간소비 2.07 2.24 1.89 3.8 3.7

설비투자 6.13 6.42 5.82 7.0 5.7

건설투자 6.20 7.10 5.40 2.3 0.9

상품수출 9.60 9.60 9.70 11.0 8.4

상품수입 11.60 11.30 11.90 12.2 9.7

소비자물가 1.88 1.84 1.92 2.8 2.8

생산자물가 1.22 1.02 1.42 - -

경상수지(억 달러) -86.8 -64.6 -112.7 -14 -46

(25)

<표 11> 가 중 평 균 산 업 분 류

(단위 : 전년동기비, %)

산업변수명 산 업 기준유가 저유가 고유가

ENERGYPD1 광 업 1.67 1.22 2.14

ENERGYPD2 식품․담배업 0.50 0.54 0.46

ENERGYPD3 섬유제품업 -1.19 -0.94 -1.44

ENERGYPD4 목 재 업 3.10 3.21 2.98

ENERGYPD5 제지․인쇄업 2.15 2.23 2.06

ENERGYPD6 석유화학제품업 3.11 3.58 2.63

ENERGYPD7 요 업 5.06 5.98 4.10

ENERGYPD8 제1차 금속산업 4.29 4.73 3.82

ENERGYPD9 기계조립업 9.19 9.20 9.18

ENERGYPD10 수송장비업 4.61 4.90 4.31

ENERGYPD11 기타 제조업 -0.17 -0.18 -0.15

ENERGYPD_ALL 전 체 6.86 6.98 6.73

주 : 가중치는 2005년의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되었음.

있다. 하지만 건설투자 부문과 경상수지 부문에서는 유가의 등락과 관계없이 본 모형에서 과대하게 예측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반면 민간소비는 타기관에 비하여 작게 예측되었고, 소비자물가도 낮게 예측되었다.

산업생산에서는 고유가 상황이 발생하면,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산업인 수송장비업, 석유화학제품업, 요업, 제1차 금속산업 등의 부문에서 산업생산 증가율 둔화 현상이 여타 산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가 상황에서 타 산업부문과는 달리, 광업의 산업생산이 증가하는 이유는 값싼 에너지인 무연 탄으로의 대체 현상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조립업과 수송장비업에서 유가의 상황과 관계없이 일정한 산업생산율을 달성하는 이유는 생산을 위한

(26)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표 12> 에 너 지 관 련 변 화 율 예 측

(단위 : 전년동기비, %)

변수 (TOE) 합계 기준유가 저유가 고유가

석유제품 3.26 4.55 1.94

휘발유 6.84 9.70 3.98

경유 4.68 5.97 3.35

등유 3.50 7.50 -0.38

LPG 2.12 1.78 2.49

석탄 1.79 1.24 2.37

전력 5.77 5.82 5.72

최종에너지 4.06 4.64 3.46

기본적인 에너지 소비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성장 사양산업인 섬 유제품업과 기타제조업의 경우는 유가변동과 관계없이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 내고 있다.

에너지 소비량 변화에 대한 예측치를 살펴보면, 고유가 상황에서는 유가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석유제품의 소비둔화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특히, 등유 는 소비 감소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가정용 난방원료의 대체수단인 도시가 스의 소비 증가와 관계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석탄(무연탄)소비의 증가는 에너지 빈곤층의 값싼 원료로의 수요이동을 의미한다. 즉, 석유제품인 등유와 도시가스 및 석탄(무연탄) 간에는 대체관계가 존재하며, 고유가가 진행될수록 이들간 대체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3. 유가상승의 파급효과 분석

유가상승의 파급효과 분석은 분기자료를 바탕으로 현재부터 미래 40기까지 동태적 의태분석을 실시하였다. 4기까지는 5기 이후의 장기전망치를 예측하기

(27)

위한 현재 시점의 기준값이다. 기준유가 대비 고유가는 기준유가가 12% 상승 했을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그림 4>~<그림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민총생산, 설비투자 및 건설투 자 등 일부부문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효과가 나타났다. 유가상승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의 영향으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지만 유가상승 영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에서 흡수․소멸되면서 미래에 대한 기대심리 효과에 의해 점차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에너지관련 변수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요 거시경제변수들은 유가상승 초기에는 충격에 의해 큰 폭의 변동 을 보이지만, 20기 전후 시점부터는 유가변화에 따른 파급효과가 사라짐을 알 수 있다.

파급효과 분석 결과, 에너지관련 변수를 제외한 변수들 중 유가의 파급효과 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 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이며, 상품수출부문에서 가 장 작은 파급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경상수지에 대한 유가변동의 파급효과가 가장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간소비부문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림 4> 실 질 국 민 총 생 산

(단위 : %) 0.1

0.05 0 -0.05 -0.1 -0.15 -0.2 -0.25 -0.3 -0.35 -0.4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28)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그 림 5> 설 비 투 자

(단위 : %) 0.1

0

-0.1

-0.2

-0.3

-0.4

-0.5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그 림 6> 건 설 투 자

(단위 : %) 0.2

0.1 0 -0.1 -0.2 -0.3 -0.4 -0.5 -0.6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29)

실질국민총생산은 유가상승의 여파로 마이너스 효과가 나타나지만 12기부 터 회복세로 돌아선다. 이는 경제참여자들의 미래에 대한 기대심리와 유가상 승 효과의 시장소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주요 경기지표라 할 수 있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실질국민총생산과 유사 한 형태의 파급효과를 가진다. 국제유가가 기준에서 벗어나 상승하는 경우, 설 비투자와 건설투자는 11기까지 음의 반응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국내총생산 의 반응과 매우 유사하다. 국제유가상승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가 투자에 대 한 의사결정을 지연시키는 것과 동시에 가계부문의 소비지출의 둔화 역시 총 수요 둔화를 가져오고 이는 다시 투자의사결정을 위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림 7>에서 보는 민간소비부문은 상품수출 다음으로 작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격 초기에 감소세를 보이다가 회복세로 전환되어 14기 에 플러스 성장을 보인 후 파급효과는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민 간소비의 상대적인 충격 약화는 석유제품의 가격상승이 소비를 크게 위축시 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가계지출에서 석유제품의 소비가 차지하 는 비중이 점점 작아지는 추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림 7> 민 간 소 비

(단위 : %) 0.05

0

-0.05

-0.1

-0.15 -0.2

-0.25 -0.3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30)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그 림 8> 소 비 자 물 가 지 수

(단위 : %) 0.08

0.07 0.06 0.05 0.04 0.03 0.02 0.01 0 -0.01 -0.02 -0.03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그 림 9> 생 산 자 물 가 지 수

(단위 : %) 0.35

0.3 0.25 0.2 0.15 0.1 0.05 0 -0.05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31)

<그 림 10> 경 상 수 지

(단위 : %) 1,000

800 600 400 200 0 -200 -400 -600 -80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그림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비자물가지수의 파급효과가 가장 큰 것은 개인과 가정에서 직접 소비하는 석유제품의 상승 영향과 산업생산자가 부담 해야 하는 유가 변동분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가 소비자에게 전가된 결과로 보인다.

유가상승이 원가부담으로 나타나 제품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지만, 기술 혁신에 따른 에너지 고효율화의 영향과 에너지 다소비산업이었던 전통적 굴 뚝산업에서 첨단 고부가가치산업으로의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소비자물가지 수와는 달리 유가상승에 대한 영향의 크기는 작고 지속기간도 짧게 나타났다.

<그림 10>의 경상수지는 유가변동의 파급효과가 가장 오랫동안 영향을 미 치며, 그림에서는 뚜렷하지 않지만 34기까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수지는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처음에는 적자를 나타내다가 급격히 흑자 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상수지 적자는 국제유가의 상승에 따른 수입대금의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 경상수지 흑자 전환은 세계 경제의 우리나 라 재화에 대한 수입수요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우리 재화 에 대한 수출수요는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우리 수출재의 경쟁력 강화와 관

(32)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그 림 11> 상 품 수 출

(단위 : %) 0.2

0.15

0.1

0.05

0

-0.05

-0.1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그 림 12> 상 품 수 입

(단위 : %) 0.4

0.35 0.3 0.25 0.2 0.15 0.1 0.05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33)

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수입대금 증가에 따른 경상수지 적자 기대 로 환율이 평가절하되어 수출가격이 하락되었을 가능성을 반영한다고 하겠다.

이는 <그림 11>의 상품수출의 증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의 상품수출은 분석대상 변수 중에서 유가변동에 의한 영향의 크기가 가장 작았지만 비교적 오랫동안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품수출은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가격경쟁력과 환율의 영향으로 단기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가상승은 상품수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으며, 수입되는 에 너지는 대체로 국제유가에 가격이 연동되어 있다. 따라서 국제유가가 상승하 게 되면 수입에너지의 가격이 상승하고 에너지수요가 비탄력적이므로 수입대 금은 증가하게 된다. 이의 영향으로 상품수입은 유가상승 초기에 급격하게 증 가하게 된다.

<그림 13>의 에너지제품가격은 초기 유가상승의 충격으로 급격히 상승했 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안정화되어 가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가격

<그 림 13> 에 너 지 가 격 지 수

(단위 : %) 3

2.5

2

1.5 1

0.5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34)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그 림 14> 최 종 에 너 지

(단위 : %) 0

-0.1

-0.2

-0.3

-0.4 -0.5

-0.6 -0.7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기

의 장기적 안정화 추세는 에너지소비자들이 가격상승에 대하여 장기적으로 수요를 줄이는 반응을 나타내고, 이 수요반응이 에너지가격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가상승에 따라 초기에 큰 폭의 에너지수요변화가 발생하지만 점차 안정 화되어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유가상승에 따라 소비를 줄이게 되고 점 차 기술변화 등 장기적인 반응이 나타나 장기적으로 유가상승에 대하여 장기 적인 에너지 수요감소를 나타내게 된다.

Ⅳ. 결 론

본고는 거시경제모형을 구축하여 유가의 변동이 거시경제변수 및 산업생산, 그리고 에너지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축한 에너지-거시경제모형은 모두 141개의 방정식으로 구축된 중형모

(35)

형이며,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시부문의 경우는 동시결정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외생변수등이 거시부문에 연결되는 가교 역할을 하는 부문 과 에너지부문 및 생산부문은 축차적 결정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준모형 기반의 변수 예측 결과를 보면, 국내총생산등의 거시변수들은 대 체로 타기관에서 예측한 결과와 유사하게 추정된 반면, 건설투자부문과 경상수 지부문에서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고유가 발생시, 에너지를 많 이 소비하는 산업인 석유화학제품업, 요업, 제1차 금속산업 등의 부문에서 산 업생산 증가율 둔화 현상이 여타 산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유가 로 인하여 수송장비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서 수송장비업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에너지 소비량변화에 대한 예측치를 살펴보면, 고유가 상황에서는 유가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석유제품의 사용량 둔화가 현저하 게 나타났다. 특히, 등유는 전년 대비 사용량이 감소함을 보였는데, 이는 가정 용 난방원료의 대체수단인 도시가스의 사용량 증가와 관계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급효과 분석에서는 분기자료를 바탕으로 현재부터 미래 40기까지 동태적 의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에너지관련 변수를 제외한 변수들 중 유가의 파급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 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이며, 상품수출부문 에서 가장 작은 파급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경상수지에 대한 유가변동의 파 급효과가 가장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민간소비부문이 가장 짧은 것 으로 나타났다.

유가의 변동에 따른 거시경제변수의 변동과 에너지수급의 변화를 체계적으 로 이해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 모형을 바탕으로 유가상승에 따 른 파급효과의 차이를 추정하고 미래 장기예측을 실시하였다. 본고에서 도출 된 모형은 우리나라 거시계량모형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고 조세정책 등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 완성된 형태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향후 본 모형을 바탕으로 이러한 정책도구로서의 역량을 가진 모 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6)

에너지경제연구 제 7 권 제 1 호

<부록 1>

<부 표 1> 변 수 별 RM SPE

변 수 명 설 명 RMSPE (%)

ANTH 무연탄 소비 14.91

BITU 유연탄 소비 4.16

CB 경상수지 113.98

COM 상업용(일반용) 도시가스 소비량 8.61

CPBC BC유 가격(명목) 13.92

CPBUTAN 부탄 가격(명목) 20.83

CPDIES 경유 가격(명목) 14.34

CPGASO 휘발유 가격(명목) 9.50

CPI 소비자물가지수 0.60

CPKERO 등유 가격(명목) 12.06

CPPROP 프로판 가격(명목) 18.61

DBC BC유 소비량 7.75

DD 내수(PCPIME + IC + GC) 7.55

DDIES 경유 소비량 8.21

DGASO 휘발유 소비량 305.10

DIBC 산업용 BC유 소비량 8.74

DIDIES 산업용 경유 소비량 10.76

DIKERO 산업용 등유 소비량 24.37

DILPG 산업용 LPG 소비량 20.75

DKERO 등유 소비량 합계 = dikero + drkero 16.07

DLPG LPG 소비량 합계 = dilpg + drlpg + dtlpg 7.13

DRBC 가정용 중유 소비량 11.95

DRDIES 가정용 경유 소비량 32.40

DRKERO 가정용 등유 소비량 18.48

DRLPG 가정용 LPG 소비량 9.37

(37)

(계속)

변 수 명 설 명 RMSPE (%)

DRKERO 가정용 등유 소비량 8.17

DTDIES 수송용 경유 소비량 7.08

DTLPG 수송용 LPG 소비량 9.66

ELCPP 소비자 전력가격지수 : 상업용전력가격(명목) 7.11

ELIPP 산업용 전력가격(명목) 3.17

ELRCP 가정용 전력가격(명목) 3.68

EP 에너지생산자물가지수 3.76

EPP (ep/ppi) 3.27

GAS_NAPHTHA 납사소비량 13.86

GAS_TOE 휘발유 소비량(TOE환산) 4.66

GC 정부소비지출 9.17

GMC 상품수입 6.75

GMS 서비스수입 5.78

GXC 재화수출 6.56

GXS 서비스수출 6.38

HPIP 주택매매가격지수 2.15

IC 건설투자 19.33

ICHOUSE 건물건설투자 중 주거용건물 16.84

ICNHOUSE 건물건설투자 중 비주거용건물 14.58

ICSOC 건설투자 중 SOC 투자 30.25

IME 설비투자 11.23

IND 산업용 도시가스 소비량 9.83

IND_ELEC 산업용 전력 수요 3.98

M3 총통화 2.21

NBTT 교역조건 2.99

NX 순수출 21.37

OPRATE 제조업 평균가동률 3.26

PCP 민간소비 3.32

PD10 석탄, 원유 및 우라늄 광업 4.99

참조

관련 문서

In this study, using concept mapping of a variety of learning techniques in the area of science, especially bi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he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critically examined existing schema presented using the schema theory and presented specific reading education methods

In this study, empirical method using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to look through the expected effect of LOHAS certification on business management

Directed Energy Deposition (DED) processes selectively dissolve and solidify the material using a high density energy source to produce a desired product. In

Study of diabetes and the nutri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Findings from a six-year longitudinal study which examined the effects over time of using the William and Mary language arts for gifted learners in a

The estimated capital cost for a chemical plant using the study estimate method (Class 4) was calculated to be $2 million.. If the plant were to be built, over what range

In this study, the mercury in exhaust gas was measured from three large coal-fired power plants in Korea using the continuous emission monitor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