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의 어제와 오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의 어제와 오늘"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차시 단어는 어떻게 변했나

6 : ?

--- 어휘 변천의 경향

1.

생각해 보기

*

부리나케 열불나게

- ‘ ,

부랴부랴 - ‘

열 받는다 열딱지 난다

- “ , .”

얼간이 얼뜨기

- ‘ ,

경음화와 격음화

- :

예 번하다) > 뻔하다

예 갈 고 지다) , , > 칼 코 찌르다, ,

예 불무질 불상다 불휘 붓그립다) , , , > 풀무질 불쌍하다 뿌리 부끄럽다, , ,

(2)

늘어나는 말도 많았지만 반면에 없어지는 말들도 많다 물속걸음 물구븨 볼골

- . “ (水泳), ( ),灣

모습 슬픐업시 애긋브다 등은 소멸되어 버렸다 언어는 정신의 아름다운 보존일진대 이

( ), , . ,

러한 아름다운 우리말들이 사라지는 것은 밖에서 밀려들어와 귀에 익은 편한 말을 선호하는 안일함 때문일 것이다 그동안 주체성에 대한 인식이 희박한 상태에서 밀려들어오는 외래어. 들을 안일하게 받아들인 결과 현대 국어는 서구어가 판을 치고 많은 수의 우리 고유어가 한, 자어에 의해 사라지게 되었다. ‘쌍무지개 가 션 므지게 를 몰아내고’ , ‘비교하다 가 가비’ 다 를’ , ‘강렬하다 가 거븟지다 를’ ’ , ‘합승하다 는 어울다 를 내몰았다’ . ‘세상 이 누리 를 몰아’ 내고, ‘ ’강 과 산 이 가람 과 뫼 를 몰아냈다‘ ’ ‘ ’ .

단어 형태의 변화 양상 2.

단어 형태의 변화는 우선 단어를 만드는 방법상의 문제와 단어 외형상의 문제로 나누어 -

살피기로 한다.

(3)

조어법의 변화 2.1.

합성법 어근 어간 단어 같은 실질형태소들끼리 결합시켜서 합성어를 만드는 방법

- : , ,

파생법 실질형태소에 접미사 같은 형식형태소를 결합시켜 파생어를 만드는 방법

- :

중세국어 자료에 많은 합성어와 파생어들이 나온다 예나 지금이나 기존의 단어들을 합해

- .

새 단어를 만드는 생산적인 방식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방식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고 보인다 다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차이점을 지적할 수 있다. .

동사 형성 합성법에서 중세국어에서는 어간과 어간 또는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는 비통사

(1) ,

적 합성법이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나솟다 뮈다 딕먹다 빌먹다 섯버믈다 나들다 죽살다 여위다 듣보다 됴

< 1> , , , , , , , , ,

쿶다 비리누리다 질긔궂다 거느리치다 걷곳다, , , , ,

이러한 비통사적 합성법은 현대국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런데 먹거리 같은 조

- .

(4)

어가 되어 하나의 명사로 쓰이게 되면서 과거의 방식이 부활되기도 한다, .

명사 형성 합성법에서 관형격 조사 의 과 사이시옷이 명사 사이에 들어가 합성어를 만드

(2) ‘ ’

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알  버릐집 고부레 믌새 솑바당 믌거픔 믌고기 믓고기 밠가락

< 2> , , , , , , , / , ,

집앉사람  저욼대, ,

관형격 조사 의 가 들어가는 파생법은 현대어에도 간혹 사용된다 예 도둑놈의갈고리 범의

- ‘ ’ ( : ,

귀). 현대국어에서는 사이시옷은 앞 말에 받침이 없을 때만 표기해 주므로 위의 예와 같이 표기하지 않는다 이는 합성법의 변화라기보다는 표기방식의 변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

파생법에서는 접미사가 현대국어와는 다른 것에서 차이가 있다

(3) .

니르다 기우리혀다 도혀다 드위혀다

< 3> , , ,

파생법에서 생산적이지는 않으나 형용사에 접미사 이 를 붙여서 동사를 파생하거나 동

(4) ‘-

(5)

사에 ‘-이 를 붙여 사동이나 타동의 뜻을 더하는 방법이 있다 현대국어 같으면’ . ‘-게 하-’ 라는 문법적 표현을 쓸 것이다.

더러다 더러이다 어두이다 놀래다 닐위이다 지이다 외오이다

< 4> / , , , , ,

더러이다 는 더럽히다 라는 타동사의 뜻과 더럽혀지다 라는 피동의 뜻으로 쓰였다 놀래

- ‘ . ‘

다 는 놀라게 하다 의 뜻인데 이 음은 당시에 이중모음으로’ , [놀라이다 로 발음되었을 것이] 다. ‘지이다 는 빠뜨리다 라는 타동의 뜻이 있다’ . ‘외오이다 는 벗어나게 하다 라는 사동의’ 뜻이 있다.

단어 외형상의 변화 2.2.

음운의 변화에 의한 단어 형태의 변화 (1)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구개음화 원순음화 단모음화 경음화 비음화 전설모음화 음성

- , , , , , ,

모음화 역구개음화와 같은 음운 현상에 의한 것이 있다, .

(6)

< 1>

구개음화 딜그릇 질그릇 딘다 진하다 딕킈다 지키다 디니다 지니다: > , > , > , >

원순음화 거픔 거품 논드렁 논두렁 블다 불다 믈 물 블 불 플 풀: > , > , > , > , > , >

단모음화 보죠개 보조개 봉션화 봉선화 셩급다 성급하다 셩나다 성나다: > , > , > , >

경음화 골독이 꼴뚜기 곳갈 고깔 곳고리 꾀꼬리 곳 곷 꽃 곳곳이 꼿꼿이 구지람: > , > , > , , > , > , >

꾸지람,

격음화 솑돕 손톱 바회 바퀴: > , > ,

비음화 내다 뽐내다: > , (손 솜씨 싯나모 신나무 잠개 쟁기 품기다 풍기다> , > , > , > )

전설모음화 거즛말 거짓말 승겁다 싱겁다 슺다 씻다: > , > , > ,

움라우트 고롭다 괴롭다 굼벙이 굼뱅이 안방이 앉은뱅이: > , > , > ,

역움라우트 쇠나기 소나기 스싀로 스스로 시름곕다 시름겹다 외히려 오히려: > , > , > , >

음성모음화 개고리 개구리 거복 거북 견조다 견주다 계오 겨우: > , > , > , > , 고려> 구려 ,

나모 뽕나무>

역구개음화 질경이 길경이: >

이화 현상 거붑 거북 쇠붑 쇠북 브 부엌 종용 조용: > , > , > , >

강화 현상 새볘 새벽 브으름 부스럼 더디다 던지다 초다 감추다 가 가랑비: > , > , > , > , >

(7)

도치 시혹 혹시: > , 단어 길이 줄어들기 (2)

중세국어에서 현대국어로 오면서 음절수가 줄어든 예들이 있다

- .

가야미 개미 거우루 거울 얌 뱀 보외다 보배롭다 소옴 솜 슬지 실컷

< 2> > , > , > , > , > , > , 장구버러지 장구벌레>

단어 길이 늘어나기 (3)

중세국어에서 현대국어로 오면서 음절수가 늘어난 예들이 있다

- .

갗 가죽 별 벼랑 슫다 스치다 물 무리 엇 어 어버이 올창 올챙이  파

< 3> > , ㅎ> , > , > , > > , > , >

리 다다 다다르다, >

이밖에 애슬피 애달프게 알피티다 아프게 쏘다 의심다 의심젓다 의심스럽다 저

- > , > , , > ,

다 절하옵다 같은 예는 엄밀히 분석하면 직접적으로 바뀐 예라기보다는 표현방식이 달라지> 면서 결과적으로는 낱말의 길이가 길어진 예들이다.

(8)

단어 의미의 변화 양상 3.

단어의 의미도 많은 변화를 겪는다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에 의해 단어의 뜻도 바뀌게 된다

- . .

의미 변화의 요인 3.1.

언어적 원인 (1)

두 낱말이 함께 쓰이다가 한쪽 의미가 다른 쪽에 영향을 받게 되어 마침내 어느 한 부분이 전체의 의미 -

를 갖게 된다.

아침 아침밥 머리 머리털 꽁초 담배 꽁초 교회 예수교회

< 4> ( ), ( ), ( ), ( ) 역사적 원인

(2)

사물이나 관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뀌게 됨으로써 언어 의미의 변화가 일어난다

- .

솔 본래 소나무 솔잎으로 만들어졌으나 요즘은 그 재료가 짐승의 털이나 인조섬유로 대체됨 솔

< 5> ‘ ’ ( .

(9)

잎 묶은 것 때나 먼지를 없앨 때 김에 참기름을 바를 때 쓰는 기구 옷솔 김솔> , , , 원자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의 최소단위라는 의미가 과학의 발전에 의해 소멸됨

’ ( )

동무 북한에서 특정하게 사용되면서 일상적인 친구 의 의미를 상실함

’ ( )

사회적 원인 (3)

언어가 서로 다른 사회 계층에서 쓰임으로써 의미가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경우이다

- .

복음 부활 특수화 포석 안타 일반화

< 6> , ( ), , ( ) 심리적 원인

(4)

인간의 인지 능력으로 낱말의 쓰임을 확장시킴으로써 의미가 달라진다 인접성 인지 능력 환유 에 의한

- . ( )

것과 수사법상의 환유에 의한 것 그리고 유사성의 인지 능력에 의한 것이 있다, . 지치다 설사하다 피곤하다

< 7> ( > )

간호사 : 백의의 천사 장성, : 밝다 색 표정 분위기 눈귀 사리

< 8> ( → ․ → )

(10)

짧다 공간 시간 추상( )

예 는 유사성의 인지 능력에 의한 은유적인 의미 확장의 예이다 밝다 라는 것이 색상 표정 분위기

- < 8> . ‘ , , ,

눈이나 귀 사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은유적인 확장은 공시적으로 일어나고 있지만 그 의미의 획득, . 은 통시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한다.

의미 변화의 양상 3.2.

의미 폭의 변화 (1)

의미 폭의 관점에서 보면 의미의 확대 또는 일반화 와 의미의 축소 - , (extension) (generalization)

또는 특수화 의 경우가 있다 (narrowing) (specialization) .

의미의 확대 겨레 친척 민족 온 백 전체

< 9> : ( > ), ( > ) 의미의 축소 얼굴 형체 낯: ( > ). 사랑하다( ,思 憶 愛> ) 의미 가치의 변화

(2)

의미 가치의 관점에서 보면 의미의 향상 과 의미의 타락 의 경우가 있다

- , (amelioration) (degeneration) .

(11)

의미의 향상 하인 기사 배우 광대 스타

< 10> : knight( ), ( )

의미의 타락: villain(농부 농노 악한→ , ), 겨집 여자( 여성비칭)

이러한 언어의 변화를 긴 세월을 놓고 보면 언어 변천의 전반적인 경향과 함께 그 속에는

- ,

인간 의식의 변천 경향이 반영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 언어 변화는 그 시대의. 문물이나 사회 정치 구조의 변화 등 물리적인 것에 대한 대응어의 생성에 그 원인이 있겠지만, , 한편으로는 현대 사회로 오면서 변화한 우리들 인식의 변천에 따른 언어의 변화도 짚어 볼 수 있다.

문법화 현상 4.

문법화 는 어휘의 의미를 가진 자립의 형태소가 의미가 확장

- (文法化, grammaticalization)

되면서 자립성을 상실하여 문법기능을 하는 것 으로 또는 문법기능을 하는 꼴의 일부로 되’ , 는 것 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주로 어휘적 기능을 하던 것이 문법적인 기능을 하거나 문’ . , 법적 기능을 하는 형태의 일부로 되는 것 또 덜 문법적인 기능을 하던 것이 더 문법적인 기,

(12)

능을 하는 것으로 바뀌는 현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 문법화 관점이 우리말의 단어 기능. 의 변화에 대해 많은 설명력을 제공한다.

국어에는 문법적 기능을 하고 있지만 자립어휘소 와 유연관계가 느껴지는 형

- (lexical word)

태들을 많이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미나 조사의 기능을 하고 있지만 어휘의미도 어느. . 정도 지니고 있는 것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어휘의미와 문법의미 사이에 늘 역동적인 움직임. 이 존재하는데 모든 언어적인 요소는 어휘의미 와 문법의미 를 어느 정도 함께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어휘의미를 주로 가진 것은 자립적으로 쓰이는 어휘소이며 문법의미를 주로 가진. , 것은 어미 조사 접미사 등과 같은 문법소이다 그런데 이 어휘의미를 가진 형태소와 문법・ . 의미를 가진 형태소는 항상 분명한 경계를 짓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휘의미를 가진 것이 어, 느 정도 문법의미도 지닐 수 있으며 문법의미를 가진 것도 어느 정도의 어휘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음 문장의 예들은 어휘적 의미 에서부터 문법적 의미 로 진행된 추이를 보여준다

- ( )ㄱ ( )ㅁ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연구 한국문화사

( , 1997, , ).

문장 한 가지

(1) ㄱ. 보고 앞으로 논문을 쓸지 못쓸지 알 수 있다.

(13)

그는 우리아버지 .

보고 나를 입사시켜 주었다.

지현이는 나 .

보고 손짓했다.

범석이는 나 .

보고 바보라고 했다.

선생님께서는 나 .

보고 그를 도와주라고 부탁했다.

(2) ㄱ 법을 준수해야 한다..

남자용 여자용에 따라 짓는 .

법이 다르다.

유독 내가 바윗돌에 깔려 죽으란 .

법이 어디 있담.

계집에게 미치면 곰보딱지도 절세미인으로 보이는 .

법이랍니다.

아무래도 이익이 실팍한 쪽으로만 마음이 기울 수밖에 없을 .

법했다.

학교 가는 길은 어느 길이죠

(3) ㄱ. ?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찾아보았다

. .

지갑을 찾을 길이 없었다

. .

지금 나가는 길이에요

. .

그를 기다리던 길이었다

. .

(14)

문법화에 의한 의미 확장의 설명은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설명 방식으로서 많은 연구가

- ,

진행되고 있다. ‘ ,터 모양 님 같은 단어도 위와 같은 은유적 추이를 가진 예들이다 특히 문, . 법화 이론은 외국의 많은 언어학자들이 이를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 인 언어 이론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상 참고문헌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 제이엔씨

< , : (2012), , >

참조

관련 문서

【보기】 cuplike[kʌplaik] 컵라이크 bookend[bukend] 북엔드 headlight[hedlait] 헤드라이트 touchwood[tʌʧwud] 터치우드 sit-in[sitin] 싯인 bookmaker[bukmeikə]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너희는 내 이름 때문에 미움을 받을 것이다.”라고 박해를 받을 제자들의 모습을 미리 말씀해 주셨습니다.. 한국성직자들의 수호자이신 성 김대건 안드

이러한 경미한 증상을 보인 환자들을 1년간 추적 관찰해 보았을 때, 경미한 증상을 보인 환자들 중 혈관 이 심하게 손상되어 있는 경우는 1년 내에 뇌졸중이 재발될 확률이 매우

학생의 관점에서 보면 이 밴드에 있는 학생들의 경우 경고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다시 한번 해 보고자 하는 의지를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정책이 모든 학생에

: 심리적인 정의는 여가에 대한 정의를 시간적 및 활 동적 관점에서 찾는 것이 아닌 여가활동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상태에서 찾는 것이다.. Ex) 노동에 지친 이에게는

담보물권의 가치권성이 희박한 유치권에는 물상대위권이

담보물권의 가치권성이 희박한 유치권에는 물상대위권이 인정되지 않음.. 소유권이전형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