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음운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음운론"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어음운론

[제13주] 국어의 음운 현상(5)

음운 현상에는 하나의 분절음이 다른 분절음으로 대치되는 현상 외에 분절음이 탈락하거나 삽입되는 현상도 있다.

2010년 1학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2)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9-1)

자료

넋, 넋도, 넋만

앉다, 앉고 많네, 많소

흙, 흙도 ㅣ 맑다, 맑지, 맑네 / 맑게, 맑고 삶다, 삶네

넓다, 넓고, 넓네 / 밟다, 밟네 외곬

핥고, 핥네 읊고, 읊네 뚫네

값, 값도, 값만

(3)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9-2)

분석[1]

ㄳ → ㄱ ㄵ → ㄴ

ㄶ → ㄴ ㄺ → ㄹ∼ㄱ ㄻ → ㅁ ㄼ → ㄹ ∼ㅂ ㄽ → ㄹ ㄾ → ㄹ

ㄿ → ㅍ ㅀ → ㄹ ㅄ → ㅂ

(4)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9-3)

분석[2]

ㄱ) ㄳ → ㄱ ㄴ) ㄵ → ㄴ ㅄ → ㅂ ㄶ → ㄴ ㄺ → ㄱ ㄺ → ㄹ ㄼ → ㅂ ㄼ → ㄹ ㄻ → ㅁ ㄽ → ㄹ

ㄿ → ㅍ ㄾ → ㄹ ㅀ → ㄹ

(5)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9-4)

분석[3]

ㄱ) 치경음 + 비치경음

→ 치경음 탈락

ㄴ) 공명음 + 비공명음

→ 비공명음 탈락

(6)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9-5)

분석[4]:

자음군 단순화

ㄱ) [+자음성, +설정성] → ø

/ [% [+자음성, -설정성] ]X ([ [+자음성] ]Y)

ㄴ) [-공명성] → ø

/ [ [+자음성, +공명성] ___ ]X ([ [+자음성] ]Y)

(X=어휘 형태, Y=문법 형태)

(7)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9-6)

‘읽다’, ‘읽거나’, ‘읽네’ 읽기

표준 발음: [익따], [일꺼나], [잉네]

경상 방언: [일따], [일꺼나], [일레]

전라 방언: [익따], [익꺼나], [잉네]

(8)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10-1)

자료

솜이불, 봄여름 / 직행열차, 백여우

막일, 맨입, 짓이기다 / 휘발유, 학생용 한 일, 옷 입다, 서른 여섯, 청색 유니폼 cf. 금융, 검열 / 몰인정, 은행이자, 개강일

(9)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10-2)

분석[1]

1) ‘ㄴ’이 첨가됨

2) 선행 음절이 모두 종성을 가짐 3) 후행 모음이 ‘이’ 또는 활음 ‘j’

4) 수의적인 예들이 존재함

5) ‘이’로 시작되는 한자어의 경우 예외

(10)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10-3)

분석[2]

- 변화 내용: ø → /ㄴ/

► [+공명성, +설정성, -설측성]

- 변화 환경: 자음. ___/i, j/

► [+고설성, -후설성, -원순성]

(11)

국어 음운 현상의 기술(10-4)

분석[3]: ‘ㄴ’삽입 현상

ø → [+공명성, +설정성, -설측성]

/ [+자음성]. ___ [+고설성, -후설성, -원순성]

(적용 영역: 복합어 내부 및 휴지 없는 단어 사 이)

(12)

참고 문헌

김유범/박선우/안병섭/이봉원. 2002. “’ㄴ’삽입 현상의 연구사적 검토.” [어문논집] 46, 민족어문학회, 41-71.

신지영∙차재은. 2003.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오정란. 1997. [현대 국어음운론](개정판) 형설출판사.

Hyman, L. M. 1975. Phonology: Theory And Analysis. Holt, Rinehart and Winston, New York.

참조

관련 문서

오디션프로그램(박진영); 공기 반/소리 반의 의미 발성에도 공기와 소리의

소리의 압력을 근거로 데시벨을 계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그 방법이 소리의 강도를 계산하는 것으로부터 무엇이 다른 것인지를 보여준다... dB SPL를 계산하는데 있어 기준

산정된 투입공수에 평균 임금(기존 ‘기술자 노임단가’)을 고려하여 소프트웨어 유지관리 및 운영사업의 대가를 산정한다. 이 방식은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기준의

기능점수와 투입공수

기능점수와 투입공수

베르게 (Pierre van den Berghe)는 인간의 행동이 다른 특 질을 갖고 있는 개별 인종으로부터 비롯되며 또 그것이 다 른 인종과 우열관계에 있는 안정적 유전적 성격에

또한 홍세화씨의 첫 번째 정의는 굳이 ‘똘레랑스’라는 거창한 개념에 의지하지 않 더라도,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정신인 토론과 합의의 정신을 통해 충분히 실현될 수 있고 또

예컨대 die Kranke/der Kranke(여성 환자/남성 환자), die Vorsitzende/der Vorsitzende(여성 의장/남성 의장), eine Angestellte/ein Angestellter(여자 직원/남자 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