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집중투표의무화는 재고되어야 한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집중투표의무화는 재고되어야 한다"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우리나라는 1997년 IMF 구제금융 이후부터 정부주도하에 소위 법제도적 기업지배구 조 개선작업을 단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 개선작업은 외국과는 달리 자본시장육성보다는 투자자보호를 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기업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임의규정보다는 강행규정을 중심으로, 경영투명성 제고와 소수주주 보호 강화에 중점을 두고 법 개정이 이루어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13년 3월 법무부는 지배주주의 부당한 사익추구행위를 견제하고, 소액주주의 이익 을 보호하며 경영 투명성을 높여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기업지배구조 상 법개정위원회”를 발족시켰고, 동 위원회는 최근 이사회 감독 기능 정상화·독립적 사외 이사 제도 구축, 다중대표소송 단계적 도입, 집중투표제 간접적 의무화, 전자투표제 단 계적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상법개정안을 7월에 입법예고하였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소수주주 등이 독립적으로 사외이사를 선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공적 연 기금의 의결권 행사 강화, 집중투표제 의무화 등 기업지배구조개선 공약을 내건 바 있 으며, 그 산물의 일환이 이번 개정안이다.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고 있는 국가는 러시아, 멕시코, 칠레 뿐

집중투표제(cumulative voting)는 소수주주의 이익을 대표할 수 있는 이사의 선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2인 이상 이사의 선임 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 수의 100 분의 3 이상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의 청구가 있는 경우, 1주마다 선임할 이사의 수만 큼의 표(의결권)를 갖도록 하여 이를 이사후보자 1인에게 집중하거나 후보자들에게 분 산하여 이사를 선임하는 방법을 말한다(상법 제382조의2). 집중투표제는 소수자에 대 한 대표선출권부여라는 정치적 이념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시작은 하원의원을 선임하 기 위한 것이었다. 1870년 일리노이(Illinois)주는 주하원의원을 선임하기 위한 투표방 식으로써 집중투표제를 도입하였고, 모든 기업에 집중투표를 강제하는 조항을 두었다.

집중투표의 실시유형에는 이를 강제하는 방식과 강제하지 않고 허용하는 방식이 있 으며, 후자는 집중투표제를 원칙으로 인정하지 않되 정관에 의하여 도입할 수 있도록

집중투표의무화는 재고되어야 한다

박수영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13-08-23

(2)

하는 opt-in 방식과 정관에 아무런 언급이 없으면 집중투표제를 실시하는 것이고, 이 를 배제하기 위하여는 정관에 규정을 두어야 하는 opt-out 방식으로 나뉜다. 우리 상 법은 집중투표제를 도입할 당시부터 ‘opt-out 방식’으로 설계되었고, 이에 많은 기업들 이 정관변경을 통하여 집중투표제를 미리 배제하여 그 제도의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비 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강행규정화하고 의무화하자는 논의가 2000년과 2003년에 있었고, 2004년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외이사제와 집중 투표제 등 내부통제장치를 갖춘 기업에 대해 부당내부거래 직권조사를 3년 간 면제하 는 내용의 ‘직권조사면제기준’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2013년 4월 현재 정관규정으로서 집중투표를 배제하고 있는 상장기업의 수는 722개 사(외국회사 5개사 제외) 중 665개사로서 상장기업 전체의 92.1%에 달하고 있으며,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고 있는 것은 러시아, 멕시코, 칠레 3개국뿐이며, 유럽에서는 이 사선임에 있어 집중투표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집중투표 실시여부는 기업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좋아,

의무화 보다는 현행제도의 범위 안에서 효율적인 운용방안 모색이 필요

개정안은 상장회사의 경우, 그 특례규정인 제542조의7 제3항과 제4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집중투표를 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삭제하여 집중투표를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 인 “정관상 집중투표 배제규정이 없을 것(opt-out 방식)”이라는 요건을 차단하여, 소 수주주가 소수주주권행사를 위한 지분율 요건을 갖추고 행사할 경우 회사가 이를 채택 하도록 간접적으로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집중투표청구를 위한 소수주주 권 지분비율을 현행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상장회사의 경우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 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상 (1%) 인 것을, 자산총액 2조원 미만의 상장회사의 경우 1천분의 10 (1%),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상장회사는 1천분의 5 (0.5%) 이상으 로 하향시키는 내용이다.

이와 함께 개정안은 이사와 감사위원회위원의 일괄선출방식(상법 제542조의12 제2 항)을 개정하여 분리선출방식을 도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분리선출방식은 주주총회 에서 이사를 선임하는 단계부터 감사위원회위원을 분리하여 선출하므로 감사위원회위 원 후보에 대하여서는 3% 의결권제한규정을 적용할 수 있어, 선임단계에서 지배주주 로부터 감사위원회위원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면서 동시에 감사위원회위원의 분리선출이 강제될 경우 감사위원회위원을 선 임하는 때에는 의결권 제한 규정으로 최대주주의 권한 행사가 제한되고, 감사위원회위 원이 아닌 이사를 선임하는 때에는 집중투표제가 활용되면 이사회를 구성함에 있어 최 대주주의 권한이 약해지게 되며, 주주권 등의 재산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3)

2013년 3월 대한상공회의소의 주주총회 관련 기업애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98.1%가 집중투표제의 의무화보다는 현재처럼 기업 자율로 도입 여부를 결정해야 한 다고 답하였다. 이는 집중투표의 실시여부를 기업의 자율에 맡겨달라는 것이다. 집중투 표제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각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추구하는 방향이 있을 것이므로 집중투표제를 실시할 것인지의 여부는 기업의 자 율에 맡기는 것이 좋다. 집중투표제도가 의무화되면 우선적으로 외국의 투기펀드들에 의하여 우리 기업들이 많은 피해를 볼 것이다. 따라서 집중투표제도의 의무화보다는 현행제도의 범위 안에서 효율적인 운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인위적 인 이사회규모의 조정이나 시차임기제를 통하여 집중투표제도의 효용을 감소시키는 방 안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며, 기관투자가를 포함한 소수주주의 활발한 의결권행사를 촉 진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외부필자 기고는 KERI 칼럼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참조

관련 문서

Dyn and Ron [DR] showed that the scheme in [BuDL] can be understood as “an approximation to a uniform mesh approxi- mation scheme.” In both papers, quasi-interpolation

[r]

정하는 주체는 실질적인 투자자들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은 보안, 금융, 의료 분야 등 여러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거론되지만 법으로 열거한 신성장 R&D 기술에 해당되지 않아

This translation is being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nglish language version of this publication.. Should there be any discrepancy between the translation

특허무효심판절차 또는 특허이의신청절차에서 정정청구가 있는 경우 정정의 인정 여 부는 무효심판절차 또는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절차에서 함께 심리되는 것이므로, 독립

또한 수능 4 개 영역 반영대학 뿐 아니라 국민대 세종대 등과 같이 , , 3 개 영역을 지정하여 반영하거나 성신여대 명지대 등과 같이 학생 선택 영역을 반영하는 대학도 있으므로 본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