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십이지장운동과 위전기적 활성도에 대한 식이 온도의 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위·십이지장운동과 위전기적 활성도에 대한 식이 온도의 효과"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0;35:413 - 421

위・십이지장운동과 위전기적 활성도에 대한 식이 온도의 효과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연구소

홍수진・문종호・조영덕・김진오・조주영・이준성・이문성・심찬섭

E ffe c t o f Me a l Te m p e r a t u r e o n An t r o d u o d e n a l Mo t i li t y a n d G a s t r i c E l e c t r i c a l Ac t i v i t y

S u J in Ho n g , M.D., J o n g H o Mo o n , M.D., Yo u n g D e o k Ch o, M.D., J i n Oh Ki m , M.D., J oo Yo u n g Ch o, M.D., J o o n S e o n g Le e , M.D.,

Mo o n S u n g Le e , M.D. a nd Ch a n S u p S h im ,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stitute for Digestive Research, Soon Chun 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eal temperature on

gastroduodenal motility and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For eight healthy volunteers, we performed antroduodenal manometry and electrogastrography after ingestion of either a cold or a warm test meal.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8 healthy male volunteers aged 21-35 years, who had no history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or taking medication. On each study day, the subjects under- went simultaneous antroduodenal manometry and cutaneous electrogastrography (EGG). The test meal (516 kcal, 4℃ or 50℃) consisted of 20.0 gm protein, 20.8 gm fat, and 62.3 gm carbohydrate, and was given on phase I of the migrating motor complex. The each test meal was consumed within ten minutes. Results: Differences in the power ratio and the number of dysrhythmias on EGG findings were not found between the 4℃ and 50℃ meals. During the first postprandial 10 min, the peak frequency (cpm) was higher after the ingestion of the 50℃ meal (3.4±0.3) than after the ingestion of the 4℃ meal (2.7±0.2)(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4℃ meal and 50℃ meal in the frequency, amplitude, and motility indices of the antral and duodenal contractions.

Conclusions: The meal temperature affected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by postprandial transient

shift in frequency. However, differences in antroduodenal motility were not associated with meal temperature. (Kor J Gastroenterol 2000;35:413 - 421)

Key Words: Meal temperature, Antroduodenal manometry, Electrogastrography

접수: 1999년 8월 10일, 승인: 2000년 2월 3일

연락처: 심찬섭, 140-743,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657번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연구소 Tel: (02) 709-9202, Fax: (02) 749-1968

(2)

414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5 권 제 4 호 2000

서 론

인간이 섭취하는 음식물의 온도는 다양하지만 위 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 의 없다. 음식물의 온도는 음식물이 위내로 들어온 다음 체온과 동일한 온도가 될 때까지의 기간 및 그 정도에 따라 위의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 로 여겨지고 있다. 이런 음식물의 온도에 따른 위 기능에 대한 이전의 보고들에서는 검사식이로서 유 동식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음식물의 온도 차이에 의한 영향이 보다 장기적일 것으로 생각되는 고형 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1-3 이에 저자 들은 고형식에서의 온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사식이로서 고형식이 포함된 혼합식을 정해진 온 도(4℃ 또는 50℃)로 섭취하게 한 다음 식후 위・십 이지장의 운동과 전기적 활성도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십이지장내압검사와 위전도검사를 시행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8명의 정상인(남자 8명, 평균 연령 24세, 연령 범 위 21-35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은 전신성 또는 위장질환의 기왕력이 없으며, 위장운동 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투여가 없는 경우에만 선정 되었고 흡연자의 경우 검사 전날 저녁부터 금연하 도록 하였다.

2. 방 법

1) 공복시 위・십이지장내압검사

8명의 건강 자원자는 검사 전날 밤부터 최소한 8 시간을 금식시킨 후 전처치 없이 오전 10시경에 검 사를 시작하였다. 위・소장내압검사용 도관의 삽관 을 위해 대상을 좌측와위로 눕힌 후 X선 투시하에 내시경을 십이지장 제2부까지 진행한 다음 유도선 (guide-wire)을 삽입하였고 이어 내시경을 제거한 후 내압 측정용 도관을 입을 통해 삽입하였다. 사용된 내압 측정용 도관은 총길이 240 cm, 외경이 4.5 mm

었고 말단부의 3 cm 상방에서부터 10 cm 간격으로 3개의 측공이 120°방향으로 배열되어있고 그 상방 으로 다시 1 cm 간격으로 4개의 측공이 60°방향으 로 배열된 총 8개의 측공을 가진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도관이었다. 도관의 위치는 1 cm 간 격으로 배열된 측공들 사이에 위의 유문부가 위치 하도록 X선 투시하에 조절하여 고정하였다. 사용된 기체수압주입장치는 Arndorfer Medical Specialities 사의 low compliance pneumohydraulic capillary infusion system 이었고, 주입장치에 사용한 탈기수 의 주입속도는 분당 0.25 ml로 하였다. 측정된 내압 의 기록은 컴퓨터시스템(PC polygraf, Synetics Me- dical, Stockholm, Sweden)을 이용하였으며 45°로 상체를 기댄 자세로 침대에 눕힌 후 시행되었다.

2) 식후의 위・십이지장내압검사

공복시 위・십이지장내압검사 기록을 관찰하다 가 MMC phase I에서 식후의 위・소장내압을 측정 하기 위하여 규정된 검사식이를 공급하였다. 검사식 이는 총 516 kcal로 단백질 20.0 gm, 지질 20.8 gm, 탄수화물 62.3 gm이었고 고형식 및 유동식을 포함 한 혼합식이었다. 찬 음식과 더운 음식의 섭취에 따 른 식후 위・십이지장운동의 측정을 위해 이틀 중 하루는 4℃의 검사식이를, 또다른 하루는 50℃로 검 사식이를 각각 공급하였으며 10분 이내에 식사를 마치도록하였다. 식후 위・소장내압검사는 120분간 기록한 후 분석하였다.

3) 위・십이지장내압검사의 분석

기록된 위상파 수축은 10 mmHg 이상의 진폭을 갖는 경우로 최소한 2개 이상의 측공에서 순차적으 로 관찰되는 경우로 판정하고 식후 10분 간격으로 위상파의 횟수, 진폭을 분석하였다. 또한, 운동지수 (motility index)는 Synetics software를 이용하여 산 출하였다.

MI=loge

[∑ contraction amplitudes (mmHg)×contraction durations (sec)]

test interval duration

(3)

홍수진 외 7인. 위・십이지장 운동과 위전기적 활성도에 대한 식이 온도의 효과 415

4) 위전도검사

위전도검사는 위・십이지장내압검사와 마찬가지 로 이틀에 걸쳐 4℃의 검사식이와 50℃의 검사식이 에 대해 각각 공복시와 식후 1시간에 걸쳐 위・십이 지장내압검사와 동시에 기록되었다. 공복시의 위전 도검사는 위・십이지장내압검사의 관찰도중 MMC phase III가 종료된 후 시작하여 MMC phase I동안 기록하였다. 위전도는 Synetics사제 Digitrapper EGG 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피부전극을 부착할 부위의 복부는 면도 후 샌드페이퍼로 문지르고 전극크림을 바른 다음 Ag-AgCl solid gel전극을 부착하였다. 피 부전극은 검상돌기와 제대 연결선과의 중앙점에서 평행하게 우측으로 5 cm, 좌측 상방 45°로 5 cm에 위치시켰고 위전도를 위하여 특수하게 고안된 EGG electrode set를 이용하여 Digitrapper EGG에 연결하 였다. Digitrapper EGG에 입력된 위전도가 software 로 전송되면 먼저 위전도 파형을 보아서 허상 (artifact)을 삭제한 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위전도 기록시 sampling frequency는 4 Hz, low cut off frequency는 0 cpm (cycle per min), high cut off frequency는 15 cpm으로 하였고 power spectral analysis, running spectrum analysis를 이용하여 측정 한 위전도 지표(parameter)로는 식전, 식후의 빈도, 식전, 식후의 주주파수(dominant frequency)의 진폭 률(power ratio)로 평가하였다. 식전 식후의 빈도는 2.4-3.7 cpm을 정상 서파(normal slow wave), 0에서 2.4 cpm 미만을 위서맥(bradygastria), 3.7 cpm이 넘 고 10 cpm 미만인 경우를 위빈맥(tachygastria), 10 cpm 이상 15 cpm 미만을 호흡 및 소장에 의한 잡파 (noise)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전 연구들에서 관찰되 었던 식후 위전도 측정시 주주파수의 일시적인 감 소가 음식물의 온도에 의해 나타난다고 제시되었으 므로1,4 이의 확인을 위해 식후 10분 간격으로 측정 한 주주파수의 최고 진폭시의 주파수(frequency)를

‘최고 주파수(peak frequency)' 로 하여 그 변화를 관 찰하였다. 위의 수축력을 반영하는 식전, 식후의 주 주파수의 진폭률은 식후의 진폭을 공복시의 진폭으 로 나누어 구하였다.

5) 통계학적 분석

기록된 자료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음 식의 온도에 따른 기록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Friedman test로 음식 섭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값 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두 온도군(4℃ 음식과 50℃

음식)간의 값의 차이는 비모수적 검정법중 Wil- 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value <0.05인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결 과

1. 위전도검사

식전 위전도검사에서 정상 서파 및 위빈맥과 위 서맥의 출현, 주주파수의 진폭률(power ratio)은 차 이가 관찰되지 않아 독립된 이틀간의 검사의 비교 가 가능하였다. 총 1시간 동안의 식후 위전도검사에 서 정상 서파의 최고 주파수는 4℃ 음식 섭취 후 3.1±0.3 cpm, 50℃ 음식 섭취 후 3.3±0.1 cpm으로 나타났으며 위빈맥은 4℃ 음식 섭취 후 8.9±6.6%, 50℃ 음식 섭취 후 10.4±5.9%으로, 위서맥은 4℃

음식 섭취 후 4.5±5.0%, 50℃ 음식 섭취 후 5.1±

5.1%였다. 또한 위의 수축력을 반영하는 식전, 식후 의 주주파수의 진폭률은 4℃ 음식에서 5.5±3.6, 5 0℃ 음식에서 6.9±6.1였으며, 비교된 값들 모두에 서 통계학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Table 1).

그러나 위전도검사상 주주파수를 식후 10분 간격 으로 비교하였을 때 식후 첫 10분에서 4℃ 음식 섭 취 후는 2.7±0.2 cpm, 50℃ 음식 섭취 후는 3.4±

0.3 cpm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식후 10분 이후부터는 두 군 사이의 차이 를 관찰할 수 없었다(Fig. 1).

2. 위・십이지장내압검사

4℃ 음식군과 50℃ 음식군의 식전 전정부 및 십 이지장의 위상파의 횟수, 진폭, 운동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식후 2시간 동안의 전정부의 위상파 횟수는 4℃ 음식 섭취 후 평균 23.1±4.5/10 min으로, 50℃

음식 섭취 후 24.0±6.6/10 min으로 나타났으며 위 상파의 진폭은 4℃ 음식 섭취 후 31.2±11.4 mmHg,

(4)

41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5, No. 4, 2000

50℃ 음식 섭취 후 26.5±6.5 mmHg로, 운동지수는 4℃ 음식 섭취 후 4.2±0.3, 50℃ 음식 섭취 후 4.0±

0.9로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Table 2).

식후 2시간 동안의 십이지장의 위상파 횟수는 4℃ 음식 섭취 후 평균 67.2±8.3/10 min으로, 50℃

음식 섭취 후 68.3±9.3/10 min으로 나타났으며 위상 파의 진폭은 4℃ 음식 섭취 후 27.8±5.5 mmHg, 5 0℃ 음식 섭취 후 28.3±8.8 mmHg로, 운동지수는

4℃ 음식 섭취 후 5.9±0.5, 50℃ 음식 섭취 후 6.1±

0.5로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Table 2).

10분 간격으로 식후 2시간 동안의 위 및 십이지 장의 위상파 횟수, 진폭, 운동지수를 비교하여 보았 을 때에도 각 시간대별로 음식의 온도 차이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2, 3).

Fig. 1. The peak frequency of 3 cpm in each 10 minute period after meal ingestion. There was higher peak frequency (cpm) after 50℃ meal ingestion than after 4℃ meal ingestion for the first postprandial 10 minutes (*p<0.05).

Table 1. Electrogastrographic Findings

Meal temperature

p value

4℃ 50℃

Fasting

Peak frequency (cpm) Tachygastria (%) Bradygastria (%) Postprandial

Peak frequency (cpm) Tachygastria (%) Bradygastria (%) Power ratio

2.8±0.2 9.3±9.9 2.1±1.8 3.1±0.3 8.9±6.6 4.5±5.0 5.5±3.6

2.9±0.1 6.2±3.5 5.0±5.3 3.3±0.1 10.4±5.9

5.1±5.1 6.9±6.1

NS NS NS NS NS NS NS Mean±SD.

NS, not significant.

(5)

Hong, et al. Effect of Meal Temperature on Antroduodenal Motility and Gastric Electrical Activity 417

고 찰

위전정부와 십이지장에는 온도감각수용체(ther-

moreceptor)가 존재하며5 이들 온도감각수용체를 통 한 음식 온도의 효과가 위 및 십이지장의 운동과 어 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초기의 연구들은 주 Table 2. Antroduodenal Manometric Findings during the Two Hours after Ingestion of the Test Meal

Meal temperature

p value

4℃ 50℃

Antrum

Mean frequency (contractions/10 min) Mean amplitude (mmHg)

Motility index Duodenum

Mean frequency (contactions/10 min) Mean amplitude (mmHg)

Motility index

23.1±4.5 31.2±11.4

4.2±0.3 67.2±8.3 27.8±5.5 5.9±0.5

24.0±6.6 26.5±6.5 4.0±0.9 68.3±9.3 28.3±8.8 6.1±0.5

NS NS NS NS NS NS Mean±SD.

NS, not significant.

(6)

41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5 권 제 4 호 2000

로 동물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개에게 citrate나 citrate-fat meals를 온도를 변화하여 주었을 때 음식 물의 위배출이 온도 증가에 따라 같이 증가하였고,6 이에 반하여 쥐에게 5, 25, 45℃의 phenol red solution을 준 후 위배출능을 보았을 때는 온도가 상 승하면 위배출능이 오히려 감소되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7

이후 사람에서 진행된 연구들에 의하면 유아들에 서 찬 우유와 따뜻한 우유에 대한 위배출을 비교시 우유의 온도는 위배출과 무관하였다.8,9 또한 6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비위관을 통한 음식물 공급 시 8-11, 23-26, 36-39℃로 온도의 차이를 주고 위 운동, 총 위장통과시간, 설사 및 주관적 감각 등을 관찰하였을 때 역시 위운동과 총 위장통과시간 등 에 있어 온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2명 에서 찬 음식물 공급시 급격한 복통과 설사가 있었 으며 더운 음식에서는 이러한 반응은 관찰되지 않 았다.10

음식물의 온도가 인체의 위장에 얼마의 기간 동 안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찰로서, 건강자원자에 게 4, 37, 50℃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오렌지 쥬스를 마시게 한 후 위배출을 측정함과 동시에 섭 취된 오렌지 쥬스의 위내 온도변화를 본 연구에서, 4℃ 오렌지 쥬스는 마신 후 45초 후에 21.2℃, 50℃

오렌지 쥬스는 60초만에 43.0℃로 측정되었고 이러 한 온도 차이는 체온과 1℃ 이내로 차이가 좁아지기 까지 50℃ 오렌지 쥬스가 약 20분, 4℃ 오렌지 쥬스 는 약 30분이 소요되었다.1 본 연구에서도 실제 위 내 음식물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지는 못하였지만 실제 인체의 체온과 동일한 37℃의 수조에서 검사 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검사식이의 시간별 온도 변 화를 측정한 결과 4℃의 검사식은 37℃로 온도가 상승하는 데 약 90분, 50℃의 검사식은 37℃로 온도 가 하강하는 데 약 60분이 소요되었다. 그러므로 온 도 차이에 의한 위의 생리적 효과의 측정을 위한 검 사 시간을 120분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위내 온도

(7)

홍수진 외 7인. 위・십이지장 운동과 위전기적 활성도에 대한 식이 온도의 효과 419

변화를 측정한 상기 연구의 위배출검사 결과에서는 체온과 동일한 37℃ 오렌지 쥬스보다 4℃와 50℃의 오렌지 쥬스를 마셨을 때 위배출의 지연 경향이 있 었고, 특히 초기 10분간에서 4℃ 오렌지 쥬스의 경 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위배출의 지연이 관찰 되었으며 오렌지 쥬스 섭취 후 10분까지가 온도에 의한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시간으로 생각되었다.1 이는 고양이의 십이지장 내로 따뜻한 용액(46-49℃) 과 찬 용액(10-12℃)을 공급하여 위전정부 수축이 감소한 것을 보고하였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 다.5

그러나 이런 연구에서 이용된 유동식들은 위내에 서의 열전도율이 높아 온도에 의한 효과가 빠르게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반유동식이나 고형 식 등을 사용할 경우 온도의 효과에 대한 위운동 및 위배출능의 변화를 보다 더 확실히 볼 수 있지 않을 까하는 추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고 형식 등을 이용한 연구는 시행하기 힘든 단점이 있 어 고형식의 온도 변화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 았다. 또한 흔히 연구되어온 유동식의 배출은 근위 부 위의 기능을 주로 반영하는 반면, 고형식의 배출 에는 원위부 위인 전정부의 수축이 직접적으로 영 향을 주므로11,12 통상적으로 우리가 섭취하는 고형 식에서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위의 생리적 기능을 아는 것은 중요하리라 여겨진다.

위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위배출능의 비 교 이외에 위 및 십이지장내압검사와 위전도검사가 있으며 최근 널리 시행되고 있다. 위전도검사에서 나타나는 위 전기적 활성도의 변화는 위배출능에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 배출시간의 지연이 위전도검사상 어떻게 나타나는 지 또 위 전기적 활성도의 변화가 위배출시간에 어 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서 비정상적인 위전도 소견을 보인 8명의 환자는 위배출시간이 모 두 지연되었으며, 반면 정상적인 위전도 소견을 보 인 13명의 환자중 10명은 정상 위배출능을 보였고 3명은 위배출시간의 지연이 관찰되었으나 이들 3명 의 환자에서는 위 전기적 활성도 이외의 다른 원인 에 의해서 위배출시간이 지연되었다.13

위・십이지장내압검사는 최근 들어 학술 연구 목

적으로 시행되던 것에서 기질적 장질환 없이 상부 위장관증상이 있는 환자들에게 유용한 검사 방법으 로 인정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경 이상과 근육 이 상으로 크게 구분되는 운동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 으로 유용하나 진단 후 최선의 치료책이 아직까지 미흡하다는 것이 제한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위・십이지장내압검사는 진단 목적 이외에도 생리 적인 위장관운동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약제가 위 장관에 미치는 영향, 또는 증상 및 위장관운동을 개 선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에 유용하 게 이용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 기능 평가의 방법으로 최근 널 리 시행되는 위・십이지장내압검사를 포함시켜 실 제 위・십이지장 운동지수들을 위전도검사와 비교 하고자 하였다. 앞서의 여러 연구들은 유동식을 통 한 온도의 변화를 관찰함에 있어 비교적 총 열량이 적은 오렌지 쥬스 등을 선택하여 위배출시간을 되 도록 적게 만들어 하루 내에 여러 온도에서의 위・

십이지장의 변화를 모두 보거나 또는 위전도검사나 동위원소를 이용한 위배출검사 같은 비침습적 검사 방법을 선택하여 수일에 걸쳐 검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위・십이지장내압검사는 내시경을 통하여 도관을 삽입하여야 하는 침습적인 검사법으로 건강 자원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음에도 수 차례의 검사 반복은 대상자에게 큰 부담이 되었 다. 더욱이 고형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위배 출시간 등을 고려하였을 때 하루 중 여러 온도의 음 식을 가지고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에 연속된 이틀간에 걸쳐 동일한 시간에 위・십이지장 내압검사와 위전도검사를 시행하고 이 중 하루는 4℃의 음식을, 또 다른 하루는 50℃의 음식을 주어 찬 음식과 더운 음식에서의 검사 결과만을 비교하 기로 하였다.

음식물 섭취 후 위전도검사상에 일시적인 변화가 나타난다는 여러 연구가 보고되었지만 이들 연구에 서는 음식물의 온도의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 다가4,14,15 최근 한 연구에서 위전도검사상 음식물의 온도에 따른 위 전기적 활성도의 관찰을 위해 유동 식을 가지고 12명의 건강 자원자에서 위전도검사 와 전정부 및 유문부의 내압 측정을 동시에 시행한

(8)

42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5, No. 4, 2000

결과, 본 연구의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지만 4℃와 50℃의 음료는 37℃의 음료와 비교시 위전도 검사 에서 평균 주파수(mean frequency)가 증가되었으며, 위내압검사상에서는 전정부의 위상파 빈도가 감소 하고 전정부와 유문부의 협조에 변화가 발생하며 독립성 유문부 수축파(isolated pyloric pressure wa- ves)의 빈도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2 이러한 변화 는 50℃에서보다 4℃의 음료에서 식후 첫 30분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체온과의 온도 차이가 50℃보다 4℃에서 각각 13℃와 33℃로 다르므로 나타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체 온과 다른 음식물의 온도는 위운동에 변화를 초래 하여 위배출이 지연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또한 이런 위의 생리적 기능의 변화는 위전도검사에도 반영됨을 알 수 있다. 음식의 온도에 따른 위전도 검사를 적용한 또다른 연구에서는 4, 37, 55℃의 유 동식을 주었을 때 위부정맥이나 식전, 식후의 주주 파수의 진폭률 등에서는 모두 차이가 없었고, 식후 주주파수의 최고 진폭의 빈도수인 최고 주파수의 감소가 4℃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37℃ 및 5 5℃와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16

저자들은 현재까지의 연구들과는 달리 고형식을 포함한 혼합식을 4℃와 50℃의 온도로 공급한 후 위전도검사와 위・십이지장내압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고형식에서도 앞서의 연구들 중 일부와 마 찬가지로 찬 음식과 더운 음식간의 식후 위운동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위전도검사상에서도 위 빈맥 및 위서맥의 출현 및 평균 빈도의 차이는 보이 지 않았다. 다만 식후 첫 10분간의 최고 주파수에서 만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음 식의 온도에 따른 위전도의 변화를 비교한 연구에 서 보고한 바로는 사람의 체온과 동일한 37℃에서 식전의 위전도 소견과 가장 유사한 평균 주파수를 나타내며 찬 음식이나 더운 음식에서는 모두 평균 주파수의 증가를 보였기 때문에2 본 연구에서 찬 음 식과 더운 음식만을 비교한 결과로는 이들 음식 섭 취 후 위전도의 평균 주파수의 차이를 볼 수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다른 온도 의 음식을 섭취한 후 뚜렷한 평균 주파수와 위부정 맥의 차이를 증명하지 못했던 연구에서, 최고 주파

수의 일시적인 감소가 4℃에서 37℃와 비교하여 뚜 렷하게 나타남을 관찰하여 이전의 연구들에서 보여 졌던 위전도상의 식후 일시적인 주주파수의 감소가 음식물의 온도와 관련이 있음을 제시한 바 있었 다.1,4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찬 음식과 더운 음식의 비교시 일정 기간 동안 위전도상의 최고 주 파수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나 나머지 대부분의 측 정 항목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위・십이지장내압 검사상에서도 위・십이지장운동의 차이가 동반되지 않으므로 찬 음식과 더운 음식간에 일시적으로 관 찰되는 위 전기적 활성도의 차이가 위・십이지장운 동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 다. 물론 이 결과는 건강자원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 이므로 정상인과는 여러 가지 조건이 다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경우, 위・십이지장 운동에 영향 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더 연구가 필요하리 라 생각한다.

요 약

목적: 음식의 온도 차이에 의한 식후 위・십이지 장의 운동과 전기적 활성도의 효과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특히 고형식에서의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찬 음식과 더운 음식에 대한 식후 위・십이지장의 운동과 전기적 활성도의 반응을 알 아보기 위하여 위・십이지장내압검사와 위전도검사 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8명의 정상인(남자 8 명, 평균 연령 24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고 이들은 모두 이전에 위장질환이나 약물의 투여 경 력이 없는 자원자였다. 위・십이지장내압검사는 X 선 투시하에 내시경을 십이지장 제2부까지 진행한 다음 유도선(guide-wire)을 이용하여 총길이 240 cm 의 8개의 측공을 가진 내압측정 도관을 삽입하고 식 전의 위・십이지장운동을 기록하였으며 동시에 위 전도검사를 시행하였다. 찬 음식과 더운 음식의 섭 취에 따른 식후 위・십이지장운동의 측정을 위해 이틀 중 하루는 4℃의 검사식이를, 또다른 하루는 50℃의 검사식이를 공급하였다. 검사식이는 총 516 kcal로 단백질 20.0 gm, 지질 20.8 gm, 탄수화물

(9)

Hong, et al. Effect of Meal Temperature on Antroduodenal Motility and Gastric Electrical Activity 421

62.3 gm이었고 고형식 및 유동식을 포함한 혼합식 이었다. 검사식이는 위・십이지장내압검사 중 phase I에 공급되었으며, 10분 이내에 식사를 마치도록 하 였다. 결과: 위전도검사상 식후 위빈맥과 위서맥의 출현, 평균 빈도, 주주파수의 진폭률은 4℃ 음식과 50℃ 음식을 비교시 차이가 없었다. 위전도검사상 정상 위서파의 최고 주파수는 음식 섭취 후 10분간 을 비교시 4℃ 음식군에서 2.7±0.2 cpm, 50℃ 음식 군에서 3.4±0.3 cpm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러나 식후 10분 이후에는 두 군 사이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위・십이지장내압 검사상 4℃ 음식군과 50℃ 음식군의 식후 전정부 및 십이지장의 위상파의 빈도, 수축압, 운동지수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4℃와 50℃의 혼합 식 섭취 후 10분 동안 위 전기적 활성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위・십이지장내압검사상의 차이는 동 반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나 앞으로 이에 대한 증 례 수를 보강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색인단어: 음식의 온도, 위・십이지장내압검사, 위 전도검사

참 고 문 헌

1. Sun WM, Houghton LA, Read NW, Grundy DG, Johnson AG. Effect of meal temperature on gastric emptying of liquids in man. Gut 1988;29:302-305.

2. Sun WM, Penagini R, Hebbard G, et al. Effect of drink temperature on antropyloroduodenal motility and gastric electrical activity in humans. Gut 1995;37:329-334.

3. Bateman DN. Effects of meal temperature and volume on the emptying of liquid from the human stomach. J Physiol 1982;331:461-467.

4. Jebbink RJ, Samsom M, Bruijs PP, et al. Hyper- glycemia induces abnormalities of gastric myoelec- tr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type I diabetes mellitus. Gastroenterology 1994;107:1390-1397.

5. El Ouazzani T, Mei N. Vagal thermoreceptors in the gastro-intestinal area. Their role in the regula-

tion of the digestive motility. Exp Brain Res 1979;34:419-434.

6. Teeter BC, Bass P. Gastric emptying of liquid test meals of various temperatures in the dog. Proc Soc Exp Biol Med 1982;169:527-531.

7. Erni W, Ritschel WA. Effect of temperature of perorally administered phenol red solution on gastric emptying in the rat. Arzneimittelforschung 1977;27:1043-1045.

8. Costalos C, Ross I, Campbell AG, Sofi M. Is it necessary to warm infants' feeds? Arch Dis Child 1979;54:899-901.

9. Blumenthal I, Lealman GT, Shoesmith DR. Effect of feed temperature and phototherapy on gastric emptying in the neonate. Arch Dis Child 1980;55:

562-564.

10. Kagawa-Busby KS, Heitkemper MM, Hansen BC, Hanson RL, Vanderburg VV. Effects of diet temperature on tolerance of enteral feedings. Nurs Res 1980;29:276-280.

11. Kelly KA. Gastric emptying of liquids and solids:

roles of proximal and distal stomach. Am J Physiol 1980;239:G71-G76.

12. Collins PJ, Houghton LA, Read NW et al. Role of the proximal and distal stomach in mixed solid and liquid meal emptying. Gut 1991;32:615-619.

13. Chen J, McCallum RW. Electrogastrography:

measurement, analysis and prospective applications.

Med Biol Eng Comput 1991;29:339-350.

14. Lindberg G, Iwarzon M, Hammarlund B. 24-hour ambulatory electrogastrography in healthy volun- teers. Scand J Gastroenterol 1996;31:658-664.

15. Geldof H, vander Schee EJ, van Blankenstein M, Grashuis JL. Electrogastrographic study of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unexplaained nausea and vomiting. Gut 1986;27:799-808.

16. Verhagen MA, Luijk HD, Samsom M, Smout AJ.

Effect of meal temperature on the frequency of gastric myoelectical activity. Neurogastroenterol Motil 1998;10:175-181.

수치

Fig. 1. The peak frequency of 3 cpm in each 10 minute period after meal ingestion. There was higher peak frequency (cpm) after 50℃ meal ingestion than after 4℃ meal ingestion for the first postprandial 10 minutes (*p&lt;0.05).

참조

관련 문서

기계적 적용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 미세 세포구조물(microscopic cell

영에 대한 관리감독의 강도를 높이고 농약의 질에 대한 표본조사를 실시하며 법규를 위 , , 반한 생산경영단위에 대해 법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고 면허가 없는

담배회사들은 새로운 담배 제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더 많이 창출하기 위해 지리학적으로 새로운 위 치에 신규 제조 기지를 설치하고 있다. 담배의 건강 위해성에 대한

수출 증가는 주로 유기농 및 다른 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른 것으로 특히 이러한 추세는 음용유와 요구르트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 가정 내

이와 같은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인지적 유연성 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취목표지향성 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인지적 유연성이 성취목표지향성에 영향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prosthesis using wide two implant versus standard three implant on mandibular

구강 내에 위치하는 치아는 음식물을 절단하는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음식물의 섭치와 소화와 관련하여 필수적인 생체 장기에 해당한다.그러나 치아 관리가 잘못

또한, 에너지의 종류와 전환 즉 운동 에너지가 발전기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전환, 근육의 화학 에너지가 페달을 움직여서 발전기를 돌리는 운동에너지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