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후변화 취약계층을 위한 녹색도시정책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기후변화 취약계층을 위한 녹색도시정책 연구 "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42

K R I H S 보 고 서

소통과 배려로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도시공간 조성방안 제시

이주일 |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최근 우리나라의 이상기후에 대해서는 TV와 신문 등의 뉴스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보도되고 있기 때문 에 어느 누구에게도 새로운 소식이 아닐 것이다. 또 한 기상이변으로 인해서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한 피 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도 모두가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피해는 주로 누구에게, 어 디에서, 왜 발생하는가?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것이 이 연구가 지향하는 방향이 될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책은 주로 기후변 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하여 지구 온난화의 진행을 막으려는 대응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반면, 기후변화와 그에 동반하는 기온·해수 면의 상승 등에 대해 사람과 사회, 경제시스템을 조 절하여 영향을 경감시키려는 적응에 관해서는 폭

우 등 특별히 관심을 가지는 분야를 제외하면 아직 초기 단계인 상황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 지적하였 듯이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른 취약성에 노출되어 개 인능력으로는 이를 극복할 수 없는 취약계층에 대한 연구와 대책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한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이 분야에 대한 초기 단계의 연구지만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정의에서부터 취약계층을 위 한 도시정책의 방향까지를 국내외 사례분석, 사례지 역의 방문을 통한 심층현황조사 및 설문·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폭넓게 제시하고 있다.

취약성의 개념은 통일된 정의가 없고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가장 단순하게는 사람이 기후변화의 영 향이나 쇼크에 노출된 정도, 즉 기후노출(exposure) 로 정의할 수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기후노출만

기후변화 취약계층을 위한 녹색도시정책 연구

A Study on Urban Policy for the Vulnerable-classes to Climate Change

왕광익·정윤희·이진희·박근현

지음

(2)

143

이 아니고 보다 넓은 의미에서 쇼크에 대한 민감도 (sensitivity)와 적응능력을 추가하여 지역의 취약성 을 평가하고 있다. 사례지역을 선정함에 있어서 연구 자의 임의적 판단에 기대거나 예전의 피해사례에 국 한하지 않고, 취약성 지표에 근거한 과학적이고 객관 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이 연구의 신뢰 성을 높이고 있다.

참고로 여기에 회복력(resilience)을 추가하면 어 떨까 한다. 회복력이란 피해로부터의 복원력, 원상 으로 돌아가는 힘을 의미한다. 취약성의 정도는 집 단이나 계층에 따라 다르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지적 되고 있는 사항이다. 집단과 계층에 따라서 피해로부 터 회복되는 능력 또한 다르지 않을까?

이 연구에서 정의하는 기후변화 취약계층은 기 후변화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이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누구인가? 이 연구에서 명 확하게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아마도 빈곤층, 고령 자, 이동장애자 등일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 정보 및 의사결정 구조에서 배제된 사람이나 집단도 여기에 포함될 것이다. 기존의 기후변화 대응대책이나 적응 대책은 이러한 취약계층과 아무런 관계가 없거나 오 히려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 연탄 한 장을 제대로 태우지 못하는 빈민지역의 노인들에게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에너 지 절약은 애초부터 관심을 가질 수 없는 정책이다.

만약 에너지 가격이 더 올라간다면 여름철에 선풍기 조차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들이 기후변화 시 대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해답을 복지나 환경 차 원이 아닌 도시정책적 차원에서 찾고 있다. 도시 차 원의 기후변화 대책은 단순히 온실가스의 저감을 지

향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포함한 지속가능한 생활 공간, 도시공간의 재구축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 연 구에서는 이러한 대책의 하나로 도시재생을 중심으 로 한 미래지향적 생활환경 개선을 제안하고 있다.

상·하수도 및 에너지시설 등의 기반시설을 확충하 거나, 녹지율 향상과 주택시설 개량 등을 통하여 기 후노출과 민감도를 낮추자는 것이다. 또한 생활권 단 위에서 기후변화 취약지역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원 정책, 종합적인 통합전략의 수립 등이 필요함을 제 안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민관협동에 의한 추진이 필수 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법령 정비, 전문인력 확충 등과 더불어 기업의 이익 을 사회에 환원하는 차원에서의 재정지원, 사회통합 을 통한 상부상조 등의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 있 다. 특히, 우리나라 기후변화 취약계층은 도시공간 으로도 사회적으로도 계층별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 다. 사회통합을 통한 취약계층 간, 또는 기후변화 적 응력이 높은 계층과의 연계로 기후노출과 민감도의 위험성을 줄이고 물리적·사회적 적응능력과 회복 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책들이 실현된다 면 이 연구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물리적 환경개 선을 통하여 기후변화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사회계 층 통합을 통하여 경제기반과 사회적 적응능력을 공 유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관련 데이터가 매우 부족함에도 불구하 고 연구진의 노력으로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대한 연 구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 결과가 기초가 되 어 앞으로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도시환경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

참조

관련 문서

앞서 언급한 EU 기후변화 적응 전략에 따르면 , 대부분의 지역 개발 프로그램이 기후변화 적응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반면 , 구체적인 프로그램 이행을 위한 수단을

기후변화 대응 병아리콩 연구(Feed the Future Innovation Lab for Climate-Resilient Chickpea) 기후변화 대응 기장 연구(Feed the Future Innovation Lab for

이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유럽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정책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농업부문의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분석 결과 도시화된 지역으로 도로 면적 비율이 넓고, 인구수와 인 구밀도가 많으며, 녹지면적 비율이 낮은 지역들 이 기후변화 리스크의 지역 불평등 지역으로 나 타났으며,

- 대응 및 적응 방안은 기후변화 리스크의 영향과 대응방안의 경제성 등을 비교하여 단기적 추진방안과 장기적 추진방안으로 구분하여 마련하는 것 이 효과적일

기후변화 대응을 실천하고 홍보하기 위한 일을 알아보아요 ...

고해상도 동아시아 기후변화 시나리오 주요결과 2.. 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이러 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UN 기후정상회의, IPCC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 응 방안 논의 확산과 생존을 위한 지구인의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알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