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Character of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for Thuja koraiensis Nakai, South Kore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Character of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for Thuja koraiensis Nakai, South Korea"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언

측백나무과(Cupressaceae Bartling)는 약 20속 125분류군 이 전세계 냉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눈측백속(Thuja L.)은 극동아시아(한국, 중국, 일본)와 북아메리카에 5분류군이 자생 한다(Page, 1990; Farjon, 2005). 우리나라에는 눈측백(Thuja koraiensis Nakai),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 2분류군이 보고되어있다(Lee, 1996).

눈측백은 IUCN (2015)의 적색목록 범주와 기준으로 VU (Vulnerable)등급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중 국에서도 눈측백을 VU등급(Fu and Jin, 1992;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Wang and Xie, 2004)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식물구 계학적 특정식물 Ⅴ등급(Kim, 2000), 지구온난화에 민감한 지 표식물(Kong, 2005) 및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30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으로 지정되었다.

최근의 기온 상승은 가뭄, 홍수 등 극한 기상현상의 발생 증 가와 빙하면적의 감소로 인한 해수면 상승 등을 야기한다. 이러 한 지구 물리적환경 변화는 자연생태계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 을 끼치고 있다(IPCC, 2007). 식물종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 겠지만 그렇지 못한 식물들은 멸종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 다(Tellez et al., 2007). 또한, 온대성 식물의 분포는 확산되는 반면 한대성 식물의 분포는 축소되어 저지대 식물이 고산지대 로 이동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Kullman, 2002; Meshinev et al., 2000; Moiseev and Shiyatov, 2003).

따라서 지구온난화 영향에 따른 생물종의 분포, 환경요인 등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Woodward, 1987),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을 대상으로 정량적 분석을 통한 종 보전 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연구가 이루 어지고 있다(Ghazaly, 2007; Golicher et al., 2008; Newton, 2007).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왕제비꽃(Song et al., 2010), 줄댕강

눈측백의 군집구조와 분포특성

변준기

1

, 천광일

2

, 이동혁

1

, 허태임

1

, 이준우

1

, 김지동

1

, 박병주

1

*

1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연구원,

2

국립생태원, 연구원

The Character of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for Thuja koraiensis Nakai, South Korea

Jun-Gi Byeon

1

, KwangIl Cheon

2

, Dong-Hyuk Lee

1

, Tae-Im Heo

1

, Jun-Woo Lee

1

, Ji-Dong Kim

1

and Byeong-Joo Park

1

*

1

Researcher, Baekdudaegan Biodiversity Conservation Divis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Bonghwa 36209, Korea

2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33657, Korea

Abstract - The study was investigated in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uja koraiensis habitats where provided for ecological evidenc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udy plots were located at altitudes of 1,000∼1,588 m with inclinations of 10∼30°. A total of 150 taxa was identified 22 quadrates in 6 study sites. The highest basal area was analyzed in Mt. Gariwangsan 49.98 ㎡/㏊ with the lowest Mt. Hwaaksan 3.46 ㎡/㏊. Thuja koraiensis forest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Abeis nephrolepis-Taxus cuspidata community, Betula ermanii-Thuja koraiensis community. As a result of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te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mmunities.

Key words –

Cluster analysis, Conservation Ecology, NMS ordination, Rare plant

*교신저자: E-mail bzpark@kiam.or.kr Tel. +82-54-679-0616

ⓒ 본 학회지의 저작권은 (사)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있으며, 이의 무단전재나 복제를 금합니다.

Original Research Article

(2)

나무(Kim et al., 2010) 금강제비꽃(Seo and Yoo, 2011), 호랑가 시나무(Kwon et al., 2011), 섬잣나무-솔송나무(Cho et al., 2011), 너도밤나무(Cheon et al., 2012), 자란(So and Song, 2012), 애기송이풀(Byun et al., 2013), 갯금불초(Kim et al., 2013)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눈측백에 대한 선행연구는 I-SSR표지자에 의한 유전변이 연 구(Yang et al., 2009), 삽목번식에 관한 연구(Song et al., 2006), 생물 지리적으로 한반도 고산식물 분포(Kong, 2002), 침엽수종 분포(Kong, 2004) 등 분포학적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생태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희귀식물인 눈측백에 대한 군집구조 및 생 육환경과의 관계를 밝히고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의 생태적 증 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 및 현지조사

가리왕산(4개소), 계방산(3개소), 장산(3개소), 태백산(2개 소), 화악산(2개소), 설악산(8개소)의 눈측백 자생지의 층위별 식생구조 분석을 위해 10 m × 10 m, 15 m × 15 m의 방형구 22 개소를 설치하였다(Fig. 1). 현지조사는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눈측백의 생육특성을 감안하여 방형구 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하층 식생 조사구 2개(2 m × 2 m)를 설치하여 개체수 와 피도값을 조사하였다.

식생조사는 수관의 위치에 따라 교목․아교목․관목층으로 구 분하여 Braun-Blanquet (1965)의 통합우점도를 이용하였으 며, 임분구조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1 ㎝이상 개체목의 흉고직 경(DBH)을 측정하였다.

식물동정은 Lee (1996, 2006a, 2006b), Lee (1980, 2003a, 2003b), Park (2009), Korean Fern Society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을 이용하였다. 학명 및 국명은 국가 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5)에 준하였다.

자료분석 프로그램은 종간 상관 분석은 SPSS PASW Statis- tics (ver. 18.0), 유집분석, NMS 분석, 지표종 분석은 McCune and Mefford (2006) PC-ORD (ver. 5.17)를 이용하였다.

유집분석의 경우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흉고단면적(Basal area)을 이용하였고, 각 조사구의 거리 척도는 Euclidean (Pythagorean)으로 군집분류는 Ward’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종간 상관분석을 위하여 각 조사구의 식생조사 자료를 이용 하였다. 층위별 우점종 분석 및 종간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기 위

하여 Curtis and McIntosh (1951)의 중요치(I.V.: Importance Value)를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Brower and Zar, 1987) 를 상층(교목․아교목층)과 하층(관목․초본층)으로 구분하여 분 석하였다.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는 (상대밀도+

상대피도+상대빈도) / 3으로 계산하였으며, 상대밀도는 개체 수 자료를 이용하였고, 상대피도는 흉고단면적을 이용하였다.

NMS 분석(다차원척도법: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의 경우 식생조사 자료와 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 차원 상에 배열하였다. 유집분석으로 분류된 군집에 대해 MRPP검정(다수응답순열절차: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을 하였다. MRPP 검정은 집단 분포의 정규성, 동질 성 가정을 피할 수 있는 생태학적 자료에 적합한 비모수 분석방 법으로 각 집단 간 종조성의 차이를 검증 할 수 있다(McCune and Grace, 2002; McCune and Mefford, 2006).

상층 식생의 흉고단면적과 하층 식생의 조사구별 출현종 통 합우점도 계급(피도범위 중앙치로 변환 후 출현종 상대값 합을 100으로 환산)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지표종 분석(indicator species analysis)은 상층 및 하층 식

Fig. 1. Map of studied area (1. Mt. Hwaaksan, 2. Mt.

Seoraksan, 3. Mt. Gyebangsan 4. Mt. Gariwangsan, 5. Mt.

Jangsan, 6. Mt. Taebaeksan).

(3)

생으로 구분하여 군집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종을 분석하였으 며, 환경요인은 고도, 경사, 노암율, 토양 유기물, 낙엽층 깊이 와 흉고단면적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및 환경요인

22개의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상은 총 51과 101속 136종 1아종 11변종 2품종으로 총 150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은 6과 10속 19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5 속 6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37과 70속 99분류군, 단 자엽식물은 5과 16속 26분류군이다. 설악산지역 방형구 내에서 87분류군으로 종풍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장 산 51분류군, 가리왕산 41분류군, 계방산 40분류군, 태백산 31 분류군, 화악산 21분류군 순으로 조사되었다.

방형구 내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은 CR (멸종위기종: Critically Endangered)의 눈잣나무(Pinus pumila (Pall.) Regel), 이삭단엽란(Microstylis monophyllos (L.) Lindl.) 2분류군, EN (위기종: Endangered Species)의 땃 두릅나무(Oplopanax elatus (Nakai) Nakai), 만주송이풀 (Pedicularis mandshurica Maxim.) 2분류군, VU(취약종:

Vulnerble)의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ère), 주목(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댕댕이나 무(Lonicera caerulea var. edulis Turcz. ex Herder), 금강초롱 꽃(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나도옥잠화(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 자주솜대(Smilacina bicolor Nakai) 6분류군, LC (약관심종: Least Concern)의 개석송 (Lycopodium annotinum L.), 세잎종덩굴(Clematis koreana Kom.),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태백제비 꽃(Viola albida Palib. ),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Table 1. Environmental factors in study area

Study area Aspect

(°) Altitude

(m) Slope

(°) Bare rock

(%) Organic matter

layer depth (㎝) Litter layer depth (㎝)

Gariwangsan_1 330 1,109 10 80 3.0 1.0

Gariwangsan_2 320 1,117 15 80 1.0 1.0

Gariwangsan_3 320 1,114 10 50 1.0 1.0

Gariwangsan_4 280 1,000 20 50 2.0 2.0

Gyebangsan_1 10 1,362 20 30 9.0 4.0

Gyebangsan_2 8 1,549 25 50 3.0 3.0

Gyebangsan_3 10 1,540 20 40 3.0 3.0

Jangsan_1 30 1,264 15 70 3.0 1.0

Jangsan_2 30 1,318 15 30 3.0 2.0

Jangsan_3 30 1,383 15 30 4.0 3.0

Taebaeksan_1 70 1,000 10 90 3.0 1.0

Taebaeksan_2 348 1,066 20 80 3.0 1.0

Hwaaksan_1 47 1,248 30 80 1.0 1.0

Hwaaksan_2 50 1,230 30 60 1.0 1.0

Seoraksan_1 35 1,339 10 10 3.0 2.0

Seoraksan_2 295 1,357 15 20 3.0 3.0

Seoraksan_3 77 1,355 20 50 3.0 1.0

Seoraksan_4 19 1,333 30 40 2.0 0.2

Seoraksan_5 27 1,373 20 80 3.0 1.0

Seoraksan_6 48 1,432 10 30 3.0 1.0

Seoraksan_7 128 1,588 30 30 3.0 2.0

Seoraksan_8 60 1,586 35 50 2.0 1.0

(4)

D.Don ex G.Don), 정향나무(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K.Kim), 꽃개회나무(Syringa wolfii C.K.Schneid.), 과남풀(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 Hara), 덩 굴꽃마리(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금마타리 (Patrinia saniculaefolia Hemsl.), 게박쥐나물(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Koyama), 귀 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a (DC.) H.Koyama), 금강애 기나리(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13분 류군으로 총 2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식물 571분류군의 4.1%에 해당된다.

방형구 내 특산식물(Chung et al., 2017)은 금강초롱꽃, 자주 솜대,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청괴불나무(Lonicera subsessilis Rehder),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한 라사초(Carex erythrobasis H.Lev. & Vaniot) 7분류군으로 확 인되었다.

눈측백의 수직적 분포범위는 1,000∼1,600 m로 조사되었으 며, 높은 고도에 분포하는 지역은 설악산이며, 가리왕산과 태백산 이 가장 낮은 고도인 1,000 m 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악산의 눈측백은 주로 1,000 m 이상에서 경사가 급하거나 북사면에 발달한 암괴원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1,645∼

1,650 m의 북사면에 주로 눈측백이 군락을 이루고 분포한다고 보고하였다(Kwon et al., 2010). 본 조사에서는 기존 보고된 눈 측백의 수직적 분포 범위보다 광범위한 수직적 분포로 나타났 다. 지형적 특성은 대부분 암석지 또는 전석지이며 낙엽층과 부 엽층의 발달이 저조하고 사면경사는 10∼30°로 사면 상부와 능 선부에 대부분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군집 분류

흉고직경 1 ㎝ 이상에 대해 매목조사를 실시하여 흉고단면적 분석 결과, 가리왕산이 49.98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하는 주요 종은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14.42 ㎡/㏊, 주목 16.03 ㎡/㏊, 사스래나무(Betula ermanii Cham.) 10.14 ㎡/㏊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리왕산 에서 눈측백의 흉고단면적이 2.38 ㎡/㏊로 조사지역 중 가장 높 게 나타났다.

계방산의 흉고단면적은 20.96 ㎡/㏊으로 나타났으며, 가문 비나무 4.73 ㎡/㏊, 사스래나무 10.14 ㎡/㏊, 복장나무(Acer mandshuricum Maxim.) 2.68 ㎡/㏊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설악산의 흉고단면적은 11.20 ㎡/㏊로 우점하는 수종은 사스 래나무 2.50 ㎡/㏊,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1.79 ㎡/㏊, 주목 1.42 ㎡/㏊ 등이 우점하였다.

장산의 흉고단면적은 18.64 ㎡/㏊로 주요 우점하는 수종은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4.73 ㎡/㏊, 신갈나 무 3.30 ㎡/㏊, 주목 1.39 ㎡/㏊ 등으로 조사되었다.

태백산의 흉고단면적은 33.24 ㎡/㏊로 주요 우점하는 수종은 귀룽나무(Prunus padus L.) 17.07 ㎡/㏊, 분비나무 7.27 ㎡/㏊,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 4.56 ㎡/㏊ 등이 출현하였다.

화악산은 흉고단면적이 3.46 ㎡/㏊으로 조사지역 중 가장 낮 게 나타났으며, 주요 수종은 사스래나무 1.37 ㎡/㏊, 분비나무 0.67 ㎡/㏊ 등으로 분석되었다(Table 2).

본 조사지역을 바탕으로 군집분류를 실시한 결과 2개 군집으 로 분류되었다(Fig. 2). 군집 A (분비나무-주목군집)는 가리왕 산(4개), 태백산(2개) 계방산(1개), 설악산(1개)으로 총 8개 방 형구가 포함하고 있으며, 분비나무와 주목 등 침엽수종이 우점 하고 있는 분비나무-주목군집이다. 또한, 군집 B (사스래나무- 눈측백군집)는 계방산(2개소), 설악산(7개소), 장산(3개소), 화 악산(2개소)지역으로 총 14개의 방형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활 엽수종이 주로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류 된 두 집 단의 목본식생 종조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MRPP검정을 실 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군집의 종조성의 차이에 대한 통계값이 유의성 있게 나타나 (p < 0.0001, Chance-corrected within- group agreement, A=0.192) 각 군집 종조성의 차이로 인한 적 절한 분류로 판단하였다. 일반적으로 군집생태에서 A값은 1에 가까울수록 같은 군집 내 조사구에서 종조성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Mielke and Berry, 1982), A값이 0.192로 분석되어 두 군집이 이질적인 종조성이라고 판단된다.

중요치 분석

상층 식생의 중요치 분석 결과 군집 A (분비나무-주목군집) 는 분비나무 17.22%, 주목 16.00%이 우점하는 군집으로 가리왕 산, 태백산의 방형구가 포함되어 있다. 군집 B(사스래나무-눈 측백군집)는 계방산, 장산, 화악산, 설악산의 방형구를 포함한 사스래나무 14.73%가 우점하는 군집으로 눈측백 9.61%, 잣나 무 8.62%, 신갈나무 8.56%가 우점하며, 군집 A에 출현하지 않 는 신갈나무, 복장나무,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등으로 분석되었다(Table 3).

(5)

워터마크(Table 2)

Ta bl e 2 . M ea ns o f B H A (㎡ /㏊ ) i n stu dy are a (± SE ) Sci ent ifi c na m e and K or ean nam e Ga riwa ng sa n G ye ban gs an Ja ng sa n Taeb aek sa n H w aak sa n Seo rak sa n Abi es ne ph ro lep is ( Tr au tv .) M axi m . 분 비나무 1 4. 42 ± 0 .8 4 - 0 .6 2 ± 0 .1 2 7 .2 7 ± 1 .3 6 0 .6 7 ± 0 .0 7 1 .2 4 ± 0 .1 4 Pi ce a jezo en sis ( Si ebo ld & Z ucc. ) Car riér e 가문비 나무 - 4 .7 3 ± 2 .2 0 - - - - Pin us k ora ie nsis S ie bo ld & Z uc c. 잣나 무 0 .8 7 ± 0 .0 00 1 - 4 .7 3 ± 0 .4 4 - 0 .5 8 ± 0 .2 7 1 .2 2 ± 0 .3 4 Pi nu s pu m ila ( Pa ll. ) R eg el 눈잣나 무 - - - - - 0 .0 6 ± 0 .0 00 1 Thu ja kor ai ens is N ak ai 눈측백 2 .3 8 ± 0 .2 8 0 .1 1 ± 0 .0 1 - 0 .4 9 ± 0 .0 3 0 .5 6 ± 0 .0 3 0 .6 3 ± 0 .0 1 Tax us cu sp ida ta S ie bo ld & Z uc c. 주목 1 6. 03 ± 1 .4 8 3 .9 5 ± 1 .2 9 1 .3 9 ± 0 .5 8 - - 1 .4 2 ± 0 .0 00 1 Sal ix ca pr ea L . 호랑버 들 - - - - - 0 .0 4 ± 0 .0 1 Be tu la e rm an ii C ha m . 사스 래나무 1 0. 14 ± 1 .6 4 3 .8 0 ± 0 .2 7 0 .4 2 ± 0 .1 3 0 .1 6 ± 0 .0 00 1 1 .3 7 ± 0 .1 4 2 .5 ± 0 .1 9 Be tu la s ch m id tii R eg el 박 달나무 - - - 0 .1 2 ± 0 .0 2 - - Q uer cu s m ong ol ica Fi sch. ex Lede b. 신갈 나무 - - 3 .3 0 ± 0 .4 5 - - 1 .7 9 ± 0 .2 7 M ag no lia s ie bo ld ii K .K oc h 함박꽃 나무 0 .2 4 ± 0 .0 00 1 0 .4 4 ± 0 .0 5 0 .4 9 ± 0 .0 4 0 .9 0 ± 0 .0 4 - 0 .2 1 ± 0 .0 3 Pr unu s m aa ck ii R up r. 개벚지 나무 - - 1 .3 1 ± 0 .0 8 0 .1 6 ± 0 .0 00 1 - - Pr unu s pa du s L . 귀 룽나무 0 .3 6 ± 0 .0 8 0 .2 4 ± 0 .0 2 - 1 7. 07 ± 0 .3 9 - - So rb us al ni fo lia ( Si eb ol d & Z uc c. ) K. Ko ch 팥배나 무 - - 0 .5 9 ± 0 .0 00 1 - - - So rb us co m m ixt a H edl und 마가 목 1 .3 9 ± 0 .0 00 1 1 .9 0 ± 0 .3 6 0 .9 1 ± 0 .0 6 4 .5 6 ± 0 .2 6 0 .0 5 ± 0 .0 1 0 .6 ± 0 .0 5 Ac er barbi nerve M axi m . 청시닥 나무 2 .5 4 ± 0 .1 5 0 .6 4 ± 0 .0 6 - - - 0 .1 9 ± 0 .0 00 1 Ace r kom ar ovi i Poj ar k 시닥 나무 - 1 .2 1 ± 0 .0 6 1 .9 8 ± 0 .1 4 - - 0 .0 2 ± 0 .0 00 1 Ace r m and sh ur icum M axi m . 복장 나무 - 2 .6 8 ± 0 .0 01 - - - - Ac er p ic tu m s ub sp . m ono ( M axi m .) O ha sh i 고 로쇠나 무 - - - - - 0 .1 4 ± 0 .0 00 1 Ac er p se ud osie bo ld ia nu m ( Pa x) Ko m. 당 단풍나 무 - 0 .2 4 ± 0 .0 3 0 .9 6 ± 0 .0 7 - - 0 .0 4 ± 0 .0 1 Ace r uku ru ndu en se T ra ut v. & C .A .M ey . 부 게꽃나 무 1 .6 0 ± 0 .1 2 0 .7 7 ± 0 .0 4 0 .4 5 ± 0 .0 3 2 .3 2 ± 0 .1 9 0 .1 0 ± 0 .0 00 1 0 .9 3 ± 0 .0 5 Euon ym us m acr op ter us R up r. 나 래회나 무 - 0 .2 4 ± 0 .0 2 - 0 .0 9 ± 0 .0 1 - 0 .0 1 ± 0 .0 00 1 Euon ym us o xyp hy llu s M iq . 참회 나무 - - 0 .3 5 ± 0 .0 3 - - - Ara lia e la ta ( M iq .) S ee m . 두릅 나무 - - 0 .2 4 ± 0 .0 00 1 - - - Rhod ode nd ron br achy ca rpum D .D on e x G .D on 만병초 - - 0 .1 3 ± 0 .0 2 - - - Rhod ode nd ron m ucr onu la tum v ar . cilia tu m N ak ai 털진 달래 - - 0 .3 8 ± 0 .0 1 0 .1 2 ± 0 .0 1 0 .0 9 ± 0 .0 00 1 0 .1 1 ± 0 .0 00 1 Rhod ode nd ron sch lipp enb ach ii M axi m . 철쭉 - - 0 .3 2 ± 0 .0 3 - - - Syr ing a pa tu la ( Pa lib .) N ak ai 털개회 나무 - - - - 0 .0 3 ± 0 .0 00 1 - Syr ing a pa tu la v ar . ka m iba yshi i ( N ak ai ) K . K im 정향 나무 - - - - - 0. 003 ± 0. 0001 Syr ing a wol fii C .K .S ch ne id . 꽃개회 나무 - - - - - 0 .0 4 ± 0 .0 1 Lo ni cera su bses sil is R eh de r 청 괴불나 무 - - - - - 0 .0 1 ± 0 .0 00 1 To ta l 4 9. 98 ± 1 .0 8 2 0. 96 ± 0 .6 5 1 8. 60 ± 0 .2 6 3 3. 24 ± 0 .5 4 3 .4 6 ± 0 .1 3 1 1. 2 ± 0 .1 6

(6)

Fig. 2. Dendrogram of stand classification of 22 plots in study area.

Table 3. Upper layer species importance percentage each community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Community A Community B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17.22 4.07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ére 가문비나무 2.45 0.30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1.27 8.62

Pinus pumila (Pall.) Regel 눈잣나무 - 1.68

Thuja koraiensis Nakai 눈측백 8.25 9.61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16.00 2.56

Salix caprea L. 호랑버들 - 0.35

Betula ermanii Cham. 사스래나무 9.03 14.73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0.53 -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 8.56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1.65 3.90

Prunus maackii Rupr. 개벚지나무 0.29 2.73

Prunus padus L. 귀룽나무 15.94 -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팥배나무 - 0.67

Sorbus commixta Hedlund 마가목 8.34 7.28

Acer barbinerve Maxim. 청시닥나무 4.52 1.44

Acer komarovii Pojark. 시닥나무 0.56 7.02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 2.59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고로쇠나무 - 0.47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 4.38

Acer ukurunduense Trautv. & C.A.Mey. 부게꽃나무 10.94 4.04

Euonymus macropterus Rupr. 나래회나무 1.00 1.90

Euonymus oxyphyllus Miq. 참회나무 - 1.84

Aralia elata (Miq.) Seem. 두릅나무 - 0.60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만병초 - 0.75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Nakai 털진달래 1.99 7.02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 1.57

Syringa patula (Palib.) Nakai 털개회나무 - 0.27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K. Kim 정향나무 - 0.14

Syringa wolfii C.K.Schneid. 꽃개회나무 - 0.74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 0.15

Total 100.0 100.0

(7)

군집 A에서 생육하고 있는 눈측백의 경우 직립하여 자라는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생육경향의 원인은 분비나무 등 이 우점하는 상층 식생의 피도가 높아 바람의 영향이 적고 임내 광량이 충분하지 않아 광 경쟁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군집 B와 같이 관목층의 발달이 높은 지역에서는 눈측백이 포복 성으로 자라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집 B가 군집 A보다 상층 식생의 피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임내 광환경이 양호하여 눈측백을 포함한관목층 내 자원경쟁에 있어 풍부한 광량보다는 토양 내 양분가용을 위한 생육수단에 의하여 포복성의 개체가 많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군집 B는 낮은 상층 식생 의 피도로 바람의 영향에 의하여 눈측백의 수고성장에 방해를 준 것으로 판단하였다.

하층 식생의 중요치 분석결과, 군집 A는 눈측백 11.92%, 분비 나무 9.14%의 치수발생이 높았으며, 퍼진고사리(Dryopteris expansa (C.Presl) Fraser-Jenk. & A.C. Jermy) 7.43%, 마가 목 4.42%, 주목 3.36%,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2.76%, 뱀톱(Lycopodium serratum Thunb.) 2.52%, 좀나도히 초미(Polystichum braunii (Spenn.) Fée) 2.46%, 애기괭이밥 (Oxalis acetosella L.) 2.28%, 만년석송(Lycopodium obscurum L.) 2.13% 등이 우점하고 있으며, 군집 B에 출현하지 않는 찰피 나무(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1.34%, 산겨릅나무 (Acer tegmentosum Maxim.) 1.18%, 박달나무(Betula schmidtii Regel) 1.18%, 지렁쿠나무(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Nakai) Hara) 0.94% 등을 포함하는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군집 B는 눈측백 9.63%, 사스래나무 4.07% 등 치수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퍼진고사리 4.86%, 미역줄나무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4.06%, 잣나무 2.88%, 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 L.) 2.05% 등이 우점하 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집 A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던 두루 미꽃(Maianthemum bifolium (L.) F.W.Schmidt) 2.49%, 꽃개 회나무(Syringa wolfii C.K.Schneid.) 1.70%, 신갈나무 1.61%, 당단풍나무 1.53% 등을 포함하는 군집이다(Table 4).

하층 식생의 중요치를 살펴보면 군집 A는 군집 B에 비해 양치 식물류가 높게 분석되었다. 양치식물류는 습윤 한랭한 지역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보아 군집 A는 군집 B와 비교하여 임분 내 식물종들의 수분스트레스가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분 비나무, 눈측백 등 상층 식생의 고사로 인하여 군집 A에서 천이 및 임분동태가 유동적인 경향을 보일 것으로 판단되며, 눈측백 의 천이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층 식생의 장기모니터링이 요구된다(Park et al. 2019).

종간 상관관계

식물 군집 내에서 종간 상관관계는 각 식물이 생육하는 환경 요인의 이질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Ludwig and Reynolds, 1988). Table 5는 우점하는 상층 식생 15종에 대한 수 종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눈측백과 상관관계 의 유의성이 인정되는 수종은 분비나무, 주목, 청시닥나무 (Acer barbinerve Maxim.), 사스래나무로 나타났다. 그 밖에 신갈나무와 잣나무, 개벚지나무(Prunus maackii Rupr.)와 신 갈나무, 귀룽나무와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Koch), 당단풍나무와 잣나무, 당단풍나무와 신갈나무, 부게꽃나무 (Acer ukurunduense Trautv. & C.A.Mey.)와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und)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5).

또한 사스래나무와 주목, 개벚지나무와 잣나무, 마가목과 함 박꽃나무, 마가목과 귀룽나무, 청시닥나무와 주목, 청시닥나무 와 사스래나무, 복장나무와 가문비나무, 당단풍나무와 개벚지 나무, 당단풍나무와 시닥나무(Acer komarovii Pojark.)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Acer 속에 속하는 당단풍나 무, 부게꽃나무, 시닥나무는 높은 내한성 수종으로(Cho, 1990) 국내 아고산·고산 생태계에서 주로 우점하고 있는 대표적인 활 엽수종으로 본 연구분석에도 Acer속 간 생육환경의 유사한 정 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NMS 분석

상층 식생의 NMS 분석 결과 높은 설명력을 갖는 2축과 3축을 사용하였으며, 2축의 설명력은 27.9%, 3축의 설명력은 21.8%로 전체 설명력은 49.7%로 분석되었다(Fig. 3). 환경요인은 흉고단 면적, 고도, 노암율, 경사가 다른 환경요인에 비해 높은 설명력 을 나타났다(cut off R2=0.3). 흉고단면적과 고도는 상반되는 환 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군집 A는 상대적으로 흉고단면적이 높 으며, 군집 B는 상대적으로 고도와 경사가 높은 수치로 분석되었 다. 군집 A의 경우 대경목 단목형태의 침엽수종인 분비나무 및 주목이 다수 생육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상층 식 생에서 군집 B는 군집 A에 비해 흉고단면적이 낮으며, 참회나무, 두릅나무, 털진달래, 철쭉, 청괴불나무 등 관목성 수종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눈측백과 비슷한 층위에 경쟁수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NMS를 통한 종조성의 분포역을 살펴보 면 두 군집간의 종조성의 분포역이 매우 이질적인 것으로 분석되 었다. 상층 식생의 경우 군집 A의 경우 군집 B에 비하여 좁은 종 조성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어 군집 B의 종조성이 군집 A에 비하 여 광범위하고 복잡한 종조성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8)

Table 4. Low layer species importance percentage each community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Community A Community B

Lycopodium obscurum L. 만년석송 2.13 0.21

Lycopodium serratum Thunb. 뱀톱 2.52 0.84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2.76 1.85

Dryopteris expansa (C.Presl) Fraser-Jenk. & A.C. Jermy 퍼진고사리 7.43 4.86

Polystichum braunii (Spenn.) Fée 좀나도히초미 2.46 0.21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 Presl 십자고사리 0.79 0.37

Athyrium yokoscense (Franch. & Sav.) Christ 뱀고사리 0.79 0.63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9.14 4.79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0.94 2.88

Thuja koraiensis Nakai 눈측백 11.92 9.63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3.60 1.12

Betula ermanii Cham. 사스래나무 2.20 4.07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 1. 61

Magnolia sieboldii K. Koch 함박꽃나무 1.34 1.75

Astilbe rubra Hook.f. & Thomas ex Hook.f. 노루오줌 0.70 0.58

Prunus maackii Rupr. 개벚지나무 0.55 0.80

Prunus padus L. 귀룽나무 4.28 0.30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쉬땅나무 0.94 0.30

Sorbus commixta Hedlund 마가목 4.42 4.06

Oxalis acetosella L. 애기괭이밥 2.28 0.63

Acer barbinerve Maxim. 청시닥나무 3.10 1.11

Acer komarovii Pojark. 시닥나무 1.50 1.33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 1. 53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 1.18 -

Acer ukurunduense Trautv. & C.A.Mey. 부게꽃나무 2.90 1.83

Euonymus macropterus Rupr. 나래회나무 2.92 1.45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0.94 3.97

Tilia manshurica Rupr. & Maxim. 찰피나무 1.34 -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만병초 1.34 1.05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Nakai 털진달래 2.64 2.64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0.55 1.01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0.39 2.25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K. Kim 정향나무 0.79 0.84

Syringa wolfii C. K. Schneid. 꽃개회나무 - 1. 70

Isodon inflexus (Thunb.) Kudô 산박하 0.55 0.72

Pedicularis resupinata L. 송이풀 1.18 2.05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0.55 0.63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Makino) J.H.Pak & Kawano 까치고들빼기 0.39 1.26

Maianthemum bifolium (L.) F.W.Schmidt 두루미꽃 - 2. 49

other species 16.52 30.63

Total 100 100

(9)

눈측백 자생지 내 하층 식생의 NMS 분석결과 Fig. 4와 같다.

좌측은 하층 식생 조사지의 종조성 분포이며, 우측은 하층 식생 에 나타난 식물종의 분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1축의 설명력은 27.0%, 2축의 설명력은 25.4%로 전체 설명력은 42.4%로 나타 났으며, 종조성 및 식물종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 인은 상층 및 하층 식생의 종풍부도와 낙엽층 깊이가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cut off R2=0.25). 눈측백 개체군 내 종 조성의 분포는 상층 식생에 비하여 군집 A와 B에서는 뚜렷한 차 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군집 B가 군집 A보다 종조성의 다양성 및 분포영역이 광범위하여 상층 식생의 경향과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하층 식생에 자생하는 주요 식물종의 분포를 살펴보 면 는쟁이냉이, 가문비나무, 도깨비부채, 산겨릅나무, 진달래, 개다래, 털개회나무, 병꽃나무 등은 타 식물종과 상대적으로 상 층 및 하층 식생의 종풍부도와 낙엽층 깊이가 낮은 곳에 생육하 는 종으로 분석되었다. 상층과 하층 식생의 종풍부도가 높고 낙 엽층 깊이가 깊은 곳에 생육하는 종은 좀나도히초미, 바늘사초, 두루미꽃, 철쭉으로 분석되었다. 단풍취, 청괴불나무, 큰꼭두 Table 5. Correlations between all pair-wise combination of major Upper layer species

sp.2z sp.3 sp.4 sp.5 sp.6 sp.7 sp.8 sp.9 sp.10 sp.11 sp.12 sp.13 sp.14 sp.15 sp.1z -.344 -.244 -.238 .894* .800 .724 -.405 .291 .360 .808 -.475 -.344 -.398 .711

sp.2 - -.340 -.200 -.332 .012 .097 -.297 -.191 .102 .038 .386 1.00** .043 -.157 sp.3 - - -.004 -.258 -.107 -.243 .926** -.349 -.375 -.193 .713 -.340 .904* -.403 sp.4 - - - -.037 -.189 -.074 .330 -.208 -.297 -.182 -.295 -.200 -.214 -.060 sp.5 - - - - .888* .883* -.399 -.101 -.055 .901* -.564 -.332 -.493 .396 sp.6 - - - - - .975** -.283 -.283 -.078 .996** -.176 .012 -.202 .289 sp.7 - - - - - - -.374 -.364 -.163 .985** -.274 .097 -.337 .217 sp.8 - - - - - - - -.310 -.350 -.360 .642 -.297 .822* -.369

sp.9 - - - - - - - - .924** -.256 -.309 -.191 -.273 .793

sp.10 - - - - - - - - - -.053 -.135 .102 -.194 .861*

sp.11 - - - - - - - - - - -.239 .038 -.281 .314

sp.12 - - - - - - - - - - - .386 .938** -.422

sp.13 - - - - - - - - - - - - .043 -.157

sp.14 - - - - - - - - - - - - - -.404

*: significant at 5% level, **: significant at 1% level.

z(sp.1-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sp.2-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ere; sp.3-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sp.4-Pinus pumila (Pall.) Regel; sp.5-Thuja koraiensis Nakai; sp.5-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sp.7-Betula ermanii Cham.; sp.8-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sp.9-Prunus padus L.; sp.10-Sorbus commixta Hedl.; sp.11-Acer barbinerve Maxim.; sp.12-Acer komarovii Pojark.; sp.13-Acer mandshuricum Maxim.; sp.14-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sp.15-Acer ukurunduense Trautv. & C.A.Mey.).

Fig. 3. NMS distribution of study area (Upper layer species, cut off R2=0.3).

(10)

Fig. 4. NMS distribution of study area(Low layer species, cut off R2=0.25). *minor species was omitted : sp.1-Polystichum braunii;

sp.2-Dryopteris expansa; sp.3-Maianthemum bifolium; sp.4-Oxalis acetosella; sp.5-Deparia pycnosora; sp.6-Parasenecio adenostyloidesa; sp.7-Athyrium brevifrons; sp.8-Sasa borealis; sp.9-Magnolia sieboldii; sp.10-Pinus koraiensis; sp.11-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sp.12-Rhododendron mucronulatum; sp.13-Cirsium setidens; sp.14-Clintonia udensis; sp.15-Acer pseudosieboldianum; sp.16-Acer komarovii; sp.17-Actinidia polygama; sp.18-Taxus cuspidata; sp.19-Tilia mandshurica;

sp.20-Sedum polytrichoides; sp.21-Cardamine komarovii; sp.22-Picea jezoensis; sp.23-Rodgersia podophylla; sp.24-Acer tegmentosum; sp.25-Actaea asiatica; sp.26-Polystichum tripteron; sp.27-Trigonotis icumae; sp.28-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p.29-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sp.30-Paris verticillata; sp.31-Thuja koraiensis; sp.32-Acer barbinerve; sp.33-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sp.34-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p.35-Rhododendron brachycarpum; sp.36-Carex onoei; sp.37- Abies nephrolepis; sp.38-Betula ermanii; sp.39-Primula jesoana; sp.40-Lycopodium annotinum; sp.41-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sp.42-Patrinia saniculaefolia; sp.43-Parasenecio auriculata; sp.44-Prunus maackii; sp.45-Isodon inflexus; sp.46-Prunus padus;

sp.47-Euonymus macropterus; sp.48-Astilbe rubra; sp.49-Trigonotis icumae; sp.50-Festuca ovina; sp.51-Asplenium incisum;

sp.52-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sp.53-Pinus pumila; sp.54-Syringa wolfii; sp.55-Ainsliaea acerifolia; sp.56-Lonicera subsessilis; sp.57-Rubia chinensis; sp.58-Tripterygium regelii; sp.59-Rosa davurica; sp.60-Dendranthema zawadskii; sp.61- Calamagrostis langsdorfii; sp.62-Pedicularis resupinata.

Table 6. Indicator species in study area

Layer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Indicator Value (%) p Max group

Upper layer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82.4 0.0028

Community A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59.8 0.0062

Prunus padus L. 귀룽나무 50.0 0.0094

Low layer

Polystichum braunii (Spenn.) Fee 좀나도히초미 59.2 0.0058

Lycopodium obscurum L. 만년석송 55.6 0.0106

Oxalis acetosella L. 애기괭이밥 51.8 0.0174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찰피나무 37.5 0.0338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 37.5 0.0368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49.4 0.0400 Table 6. Indicator species in study area

Layer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Indicator Value (%) p Max group

Upper layer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82.4 0.0028

Community A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59.8 0.0062

Prunus padus L. 귀룽나무 50.0 0.0094

Low layer

Polystichum braunii (Spenn.) Fee 좀나도히초미 59.2 0.0058

Lycopodium obscurum L. 만년석송 55.6 0.0106

Oxalis acetosella L. 애기괭이밥 51.8 0.0174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찰피나무 37.5 0.0338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 37.5 0.0368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49.4 0.0400

(11)

서니, 선포아풀, 생열귀나무, 산구절초, 산새풀, 송이풀은 상층 과 하층 식생의 종풍부도는 높으나 낙엽층깊이가 낮은 곳에 주 로 생육하는 종으로 분석되었다.

지표종 분석

지표종 분석은 확률화 검정(randomization test)을 통한 각 군집 내 종들에 대한 지표값을 나타내며, 높은 값의 지표종은 군 집간의 오차가 거의 없는 현재 지역에서 현존하는 종(Dufrene and Legendre, 1997)이다.

지표종 분석결과, 유의차(p < 0.05) 있는 지표종 분석은 상층 식생에서 3분류군, 하층 식생에서 6분류군이 분석되었다(Table 6). 상층 식생에서 분비나무, 주목, 귀룽나무가 지표종으로 분 석되었으며, 하층 식생에서 좀나도히초미, 만년석송, 애기괭이 밥, 찰피나무, 산겨릅나무, 주목 등 6분류군으로 총 8분류군이 지표종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8분류군의 지표종은 눈측백 자 생지 보전과 복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 된다.

고 찰

본 연구는 눈측백 자생지의 식생과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향 후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눈 측백은 해발고도 1,000∼1,588 m에 자생하고 있으며, 경사는 10∼30°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6개 지역 내 22개 방형구에서 150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 눈측백 자생지의 흉고단면적은 가리왕산지역이 49.98 ㎡/㏊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화악산지역이 3.46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다. 군집분석에 의해 2개의 군집(분비나무-주목군집, 사스래 나무-눈측백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RPP 검정 결과 군집은 유의성 있게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종 분석은 분비나 무-주목군집에서만 나타났으며, 유의한 종으로는 분비나무, 주목, 귀룽나무, 좀나도히초미, 만년석송, 애기괭이밥 등 총 8 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국내에서 지구환경변화로 인한 눈측백의 분포역 변화 를 예상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Kong, 2005), 본 연구를 통 하여 눈측백 개체군 고사가 다수 확인되어 눈측백의 현지내·외 보전방안이 요구된다. 현지내 보전(in situ)을 위한 활동은 보호 구역을 설정하여 보호 및 보전대책을 강구하는 방법이 있다. 멸 종위기에 처한 식물에 대한 보전대책으로 IUCN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현지내 보전전략으로 보호구역을 설정을 제안하고

있으며(IUCN, 2020), 국제보전협회(CI: Conservation Inter- national)에서는 생물다양성 핵심지역(Biodiversity Hotspot) 으로 지정 및 보전되고 있다.

대부분의 눈측백 자생지는 국립공원, 군사보호지역, 도립공 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등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 고 있으나 장산은 산 정상부만 보호구역으로 국한되어 눈측백 을 포함한 희귀식물 보전을 위해서는 보호구역 지정면적을 확 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눈측백 개체군이 자생한 분비나무-주목이 우점하였던 군집 A의 식생유형은 남한 내 유적군락(remnant vegetation) 으로 식생학적 가치가 높으며, 습윤 침엽수림 지역에서서 제한 적으로 존재하는 남한 내 희귀식생 유형으로 판단된다. 또한, 눈측백이 수고 10 m 이상의 개체를 다수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직립형 개체목의 고사현상이 두드러져 눈측백의 개체군 동태파 악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 B에서는 직립형 눈측백이 1 m 이상으로 생육하고 있었 으나, 대부분 고사하였으나 주변으로 치수가 발생하여 포복성 으로 자생하고 있었다. 눈측백 치수는 수관열림 등에 따른 광환 경, 수분스트레스, 타 관목류(참회나무, 두릅나무, 털진달래, 철쭉)간 종간 경쟁에 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눈측백 집 단 내 쇠퇴 원인과 우선적 보존지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눈측백 개체군의 유전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Milligan et al., 1994).

눈측백 자생지를 대상으로 현지내 보전(in situ)만으로는 한 계가 있으며, 현지외 보전(ex situ)도 동시에 추진되어 할 것으 로 판단된다. 현지외 보전원은 생체 수집으로 보존원 조성, 종 자은행(seed bank) 및 채종원 구축을 통하여 눈측백 개체군의 보전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정한 보전전략이 필요하다. 향 후 눈측백 등 개체군에 대한 보전방안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후, 눈측백 자생지의 산림 생태계 전반에 대한 보전대책이 수립되 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눈측백 자생지의 식생과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향 후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눈 측백은 해발고도 1,000∼1,588 m에 자생하고 있으며, 경사는 10∼30°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6개 지역 내 22개 방형구에서 150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 눈측 백자생지의 흉고단면적은 가리왕산지역이 49.98 ㎡/㏊로 가장

(12)

높게 나타났으며, 화악산지역이 3.46 ㎡/㏊으로 가장 낮게 나타 났다. 군집분석에 의해 2개의 군집(분비나무-주목군집, 사스 래나무-눈측백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RPP 검정 결과 군집 은 유의성 있게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종 분석은 분비 나무-주목군집에서만 나타났으며, 유의한 종으로는 분비나무, 주목, 귀룽나무, 좀나도히초미, 만년석송, 애기괭이밥 등 총 8 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References

Braun-B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In Fuller, G.D. and H.S. Conard (Transl.), (eds.), The study of the Plant Communities. N.Y., USA. p. 439.

Brower, J.E. and J.H. Zar. 198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Iowa, USA.

p. 194.

Byun, J.K., K.I. Cheon, S.H. Oh, Y.M. Lee, W.J. Jang and S.H.

Joo. 2013. Vegetation structure of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s. Korean J.

Plant Res. 26(2):214-226 (in Korean).

Cheon, K.I., S.C. Jung, C.W. Lee, J.G. Byun, S.H. Joo, J.H.

You, S.G. Lee, C.H. Choi and I.H. Park. 2012. Community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J. Korean Env. Res.

Tech. 15(4):81-95 (in Korean).

Cho, M.Y. 1990. Coloured Woody Plants of Korea. Academy press, Seoul, Korea. p. 315.

Cho, Y.C., J.K. Hong, H.J. Cho, K.H. Bae and J.S. Kim. 2011.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Jour.

Korean For. Soc. 100(1):34-41 (in Korean).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476-496.

Dufrene, M. and P. Legendre.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345-366.

Farjon, A. 2005. A Monograph of Cupressaceae and Sciadopitys.

Kew plants people possibilities. Royal Botanic Gardens, Kew, UK. p. 648.

Fu, L.K. and J.M. Jin. 1992. China Plant Red book-Rare and Endangered Plants 1.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 741.

Ghazaly, U. 2007. Effect of Climatic Change on the Endangered Darcaena Ombet Tree in the Gabel Elba Protected Area in Eqypt. Mountain Forum Bulletin 8(1):11-12.

Golicher, D., L. Cayuela, R. Alkemade, M. Gonzlez-Espinosa and N. Ramirez-Marcial. 2008. Applying climatically associated species pools to the modeling of compositional change in tropica montane forest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7:262-273.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Ⅰ,Ⅱ, and Ⅲ to the fourth assessme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n Core writing team, Pachauri, R.K and A. Reising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IUCN. 2020. IUCN Guidelines for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Version 2020. 1. (www.iucn.org)

_______________. 2015.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5. 12. (www.iucnredlist.org)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Kim, K.A., S.K. Jang, K.S. Cheon, W.B. Seo and K.O. Yoo.

2010.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bitats of Abelia tyaihyoni Nakai. Korean J. Pl. Taxon.

40(3):135-144 (in Korean).

Kim, K.A., J.S. Han, K.S. Cheon and K.O. Yoo. 2013.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edelia prostrata Hemsl.

habitats in Jeju‐do. Korean J. Environ. Ecol. 27(1):1-10 (in Korean).

Kong, W.S.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4):357-370 (in Korean).

_______________.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4):528-543 (in Korean).

_______________. 2005. Selection of vulnerable indicator plants by global warming.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1(2-1):263-273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_______________.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 492 (in Korean).

_______________.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00 (in Korean).

_______________. 2015.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3)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 399 (in Korean).

Kullman, L. 2002. Rapid recent range-margins rise of tree and shrub species in the Swedish Scandes. Journal of Ecology 90:68-77.

Kwon, H.J., J.H. Kwon, K.S. Han, M.Y. Kim and H.K. Song.

2010. Subalpine forest vegetation of Daecheongbong area, Mt. Seoraksan. Kor. J. Env. Eco. 24(2):194-201 (in Korean).

Kwon, H.J., J.H. Lee, M.Y. Kim, J.H. Lee and H.K. Song. 2011.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Ilex cornuta population in Jeju Island. Kor. J. Env. Eco. 25(1):10-16 (in Korean).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nsa Pu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_______________.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umes.

Hyangmonsa Pu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_______________.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umes.

Hyangmonsa Pulishing Co., Seoul, Korea. pp. 910 (in Korean).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688 (in Korean).

_______________. 2006a. New flora of Korea(Ⅰ).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75 (in Korean).

_______________. 2006b. New Flora of Korea(Ⅱ).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885 (in Korean).

Ludwig, J.A. and J.F. Reynolds. 1988. Statistical ecology –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John Wiley & Sons Publication, NewYork, USA. p. 337.

McCune, B. and J.B. Grace.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 (USA). p. 300.

McCune, B. and M. J. Mefford.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 (USA). p. 162.

Meshinev, T., I. Apostolova and E.S. Koleva. 2000. Influence of warming on timberling rising: a case study on Pinus peuce Griseb. in Bulgaria. Phytocoenologia 30:431-438.

Mielke, P.W. Jr. and K.J. Berry. 1982. An extended class of permutation techniques for matched pairs. Communities.

Statist.-Theor. Meth. 11:1197-1207.

Milligan, B.G., J. Leebens-Mack and A.E. Strand. 1994.

Conservation genetics beyond the maintenance of marker diverstity. Molecular Ecology 3:423-435.

Moiseev, P.A. and S.G. Shiyatov. 2003. Vegetation dynamics

at the treeline ecotone in the Ural highlands. Russia. in alpine biodiversity in Europe. Ecol. Stud. 167:423-43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p. 390 (in Korean).

Newton, A.C. 2007. Forest ecology and conservation: A Handbook of Technique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York, USA. p. 454.

Page, C.N. 1990. Cupressaceae: In Kubitzki, K., K.U. Kramer and P.S. Green (eds.),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ume I Pteridophytes and Gymnosperms. Springer- Verlag, Berlin, Germany. pp. 302-316.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lishing Co., Korea.

p. 559 (in Korean).

Park, B.J., J.G. Byeon and K. Cheon. 2019. Study of ecological niche and indicator species by landforms and altitude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bong. Korean J. Plant Res.

32(4):325-337 (in Korean).

Seo, W.B. and K.O. Yoo. 201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hanitats of Viola diamantiaca Nakai and its RAPD Analysis. Korean J. Pl. Taxon. 41(1):66-80 (in Korean).

So, S.K and H.K. Song. 2012.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Korean J.

Environ. Ecol. 26(2):210-218 (in Korean).

Song, J.H., J.J. Lee, Y.B. Koo, K.Y. Lee, S.D. Han and B.H.

Yang. 2006. Propagation by cutting method of Korea rare endemic Thuja koraiensis Nak. J. Korean For. Soc. Sci.

95(4):393-397 (in Korean).

Song, J.M., G.Y. Lee, N.Y. Kim and J.S. Yi.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environment of natural habitat of an endangered plant, Viola websteri. J. Korean For. Soc. Sci.

99(3):267-276 (in Korean).

Tellez, O., P. Davila, M. Ayala, K. Gutierrez and I. Melchor.

2007. Case studies on the effect of climate chang on the flora of Mexico. Bgjourna 4(2):17-21.

Wang, S. and Y. Xie. 2004. China Species Red List: Vol. 1 Red List. Higher Education Press, Beijing, China. p. 224.

Woodward, F.I.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 188.

Yang, B.H., J.H. Song, J.J. Lee, S.D. Hur and Y.P. Hong. 2009.

Genetic variation and structure of the relict populations of Korean Arborvitae (Thuja koraiensis Nakai) in South Korea, employing I-SSR marker. J. Korean For. Soc. Sci. 98(1):1-7 (in Korean).

(Received 16 January 2020 ; Revised 19 February 2020 ; Accepted 20 February 2020)

수치

Fig.  1.  Map  of  studied  area  (1.  Mt.  Hwaaksan,  2.  Mt.
Table 1. Environmental factors in study area
Table 2. Means of BHA (㎡/㏊) in study area (±S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GariwangsanGyebangsanJangsanTaebaeksanHwaaksanSeoraksan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Fig. 2. Dendrogram of stand classification of 22 plots in study area.
+4

참조

관련 문서

 Gram-Schmidt 과정은 선형독립인 k개의 벡터로 부터 k개의 직교 벡터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 Ax = b의 최소제곱해는 A의

특히 대용량 데이터에 대해서는 개개의 관찰치를 요약하는 것보다는 전체를 유사한 관 찰치들의 군집(cluster)으로 구분하여, 복잡한 전체보다는 그들을 잘 대표하는

예약시 중국인 신분증이 필요하여 외국인은 예약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대형병원 및 의사별 전문분야와 외래시간을 미리 파악할 수 있으니

이 경우, TFP가 자본스톡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한 경우 1970년 이후 경제성장에 있어 TFP의 역할이 확대되어 요소투입보다 성장기 여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면골 상 응력분포의 경우 협설절단면의 경우에는 협설간 응력분포 형태에 유 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삼각 나사산의 경우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

This study selected Korea University for South Korean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the University of Chicago, US for foreign

이 높은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高연비의 경₩소형급 수출이 이미 호조를 나타내고 있 다. 조선 산업의 경우 에너지 관련 선박의 발주 증가

1) 꿀벌 군집 붕괴 현상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한다.. 꿀벌이 좋아하는 보금자리_ 코딩으로 애니메이션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