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 6 라플라스 변환 ( Laplace Transform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Ch. 6 라플라스 변환 ( Laplace Transforms) "

Copied!
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 6 라플라스 변환

Ch. 6 라플라스 변환 ( Laplace Transforms)

z 제어 시스템 해석, 설계 등 미분방정식을 풀 수 있는 도구로 공학전반에 널리 이용

z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방법

• 상미분방정식을 라플라스 변환하여 보조방정식으로 변환

• 대수적인 연산을 통하여 보조방정식을 푼다.

• 보조방정식의 해를 역변환하여 상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한다.

z

장점

• 비제차 상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제차 상미분방정식의 일반해를 따로 구할 필요가 없다.

• 초기값은 보조방정식을 만드는 과정 중에서 자동적으로 고려된다.

• 불연속성, 순간적인 충격량, 또는 복잡한 주기함수를 입력으로 갖는 상미분방정식도 쉽게 해를 찾을 수 있다.

(2)

Ch. 6 라플라스 변환

< Time domain과 s-Domain과의 관계>

(3)

Ch. 6 라플라스 변환 6.1 라플라스 변환. 역변환. 선형성 그리고 s-이동

z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z

역변환(Inverse Transform) :

6.1 라플라스 변환. 역변환. 선형성 그리고 s-이동

(Laplace Transform. Inverse Transform. Linearity. s-Shifting)

( ) s ( ) f e f ( ) t dt F = =

st

0

L

( ) F = f ( ) t

L−1

Ex.1 일 때t≥0 f

( )

t =1 이라 하자. 를F

( )

s 구하라.

( ) ( )

1 1

(

0

)

1

0 0

>

=

=

=

=

e dt se s s

f L st st

L

Ex.2 일 때t0 f

( )

t =eat 이라 하자. 를L

( )

f 구하라.

( )

1 ( ) 1

0 e 0 s a

s dt a

e e

eat st at s at

= −

= −

=

L

(4)

Ch. 6 라플라스 변환 6.1 라플라스 변환. 역변환. 선형성 그리고 s-이동

z 라플라스 변환의 선형성 : 라플라스 변환은 선형연산이다.

( ) ( )

( af t bg t ) a L ( f ( ) t ) b L ( ) g ( ) t

L + = +

Ex.3 쌍곡선 함수 coshatsinhat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라.

(

eat e at

)

at

(

eat e at

)

at= + = −

2 sinh 1 2 ,

cosh 1

( ) ( )

a e s

a,

eat s at

= +

= − 1

1 L L

( ) [ ( ) ( ) ]

( ) [ ( ) ( ) ]

2 2

2 2

1 1

2 1 2

sinh 1

1 1

2 1 2

cosh 1

a s

a a

s a e s

e at

a s

s a

s a e s

e at

at at

at at

= −

⎟⎠

⎜ ⎞

− +

= −

=

= −

⎟⎠

⎜ ⎞

+ +

= − +

=

L L

L

L L

L

(5)

Ch. 6 라플라스 변환

z 제 1이동정리(First Shifting Theorem), s-이동

( )

(

f t

)

=F

( )

sL

(

eatf

( )

t

)

=F

(

sa

)

, eatf

( )

t =L-1

{

F

(

sa

) }

L

Ex.3

위의 관계식을 사용하여, 다음 식에 대한 라플라스 역변환을 구하라.

(

cos

)

2 2

(

cos

) ( )

2 2

ω ω ω ω

+

= − + ⇒

= s a

a t s

s e

t s L at

L

(

sin

)

2 2

(

sin

) ( )

2 2

ω ω ω

ω ω ω

+

= − + ⇒

=

a s t s e

t L at

L

( )

2 401

137 3

2+ +

= −

s s f s L

( )

( ) ( ) ( )

e

(

t t

)

s s

s s

f s t 3cos20 7sin20

400 1

7 20 400 1

3 1 400 1

140 1 3

2 1

2 1

2

1 ⎟⎟= −

⎜⎜ ⎞

+

− +

⎟⎟⎠

⎜⎜ ⎞

+ +

= +

⎟⎟⎠

⎜⎜ ⎞

+ +

=L + L L

6.1 라플라스 변환. 역변환. 선형성 그리고 s-이동

(6)

Ch. 6 라플라스 변환 6.1 라플라스 변환. 역변환. 선형성 그리고 s-이동

z 라플라스 변환의 존재정리

함수 가 영역 상의 모든 유한구간에서 구분적 연속인 함수.

어떤 상수 와 에 대해

모든 에 대해 의 라플라스 변환 가 존재

( ) t Me

kt

f

( ) t

f t0

k M

s > k f ( ) t L ( ) f

(7)

Ch. 6 라플라스 변환

6.2 도함수와 적분의 변환. 상미분방정식

(Transform of Derivatives and Integrals. ODEs)

z 도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 L ( ) f ' = s L ( ) ( ) ff 0 , L ( ) f '' = s

2

L ( ) fsf ( ) 0 − f ' ( ) 0

( ) f

( )n

= s

n

L ( ) fs

n1

f ( ) 0 − s

n2

f ' ( ) 0 − L − f

(n1)

( ) 0 L

Ex.1 라 하자. 의 변환f

( )

t =tsinωt f

( )

t L

( )

f 을 구하라.

( )

f

( )

t t t t f

( )

f

( )

t t t t

f 0 =0, ' =sinω +ω cosω , ' 0 =0, '' =2ωcosω −ω2 sinω

( ) ( ) ( ) ( ) ( )

(

2 2

)

2

2 2

2 2

sin 2

2

''

ω

ω ω ω ω

ω − = ⇒ = = +

= +

s t s t f

f s s f

f s L L L L

L

6.2 도함수와 적분의 변환. 상미분방정식

(8)

Ch. 6 라플라스 변환 6.2 도함수와 적분의 변환. 상미분방정식

z 적분의 라플라스 변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 sf d s F x , f d s F x

t

f

-

t

t

1 1

1

0 0

L L

L

τ τ τ τ

Ex.3 과s

(

s21+ω2

)

의 역변환을 구하라.

(

s

)

d

(

t

)

t s s

t ω

τ ω ω

ωτ ω ω

ω

ω 1 cos

1 sin

1 1sin

1

2 0

2 2 1 2

2

1 ⎟⎟⎠= = −

⎜⎜ ⎞

⇒ +

⎟=

⎜ ⎞

+

L

L

(

2 2

)

2

1 ω + s s

(

2 2

)

2 0

( )

2 3

2

1 sin

cos 1 1

1

ω ω τ ω

ω ωτ ω

t d t

s s

t

=

⎟⎟=

⎜⎜ ⎞

+

L

(9)

Ch. 6 라플라스 변환 6.2 도함수와 적분의 변환. 상미분방정식

z 미분방정식, 초기값 문제

1단계 보조방정식(Subsidiary Equation)의 도출 : 로 표기

2단계 대수학적인 방법에 의한 보조방정식의 풀이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

보조방정식의 해 :

3단계 역변환하여 해 구하기

( ) , ( ) 0

0

, ' ( ) 0

1

'

'' ay by r t y K y K

y + + = = =

( ) y R ( ) r Y =

L

, =

L

( ) ( )

[ s

2

Ysy 0 − y ' 0 ] + a [ sYy ( ) 0 ] + bY = R ( ) s

( s

2

+ as + b ) Y = ( s + a ) ( ) y 0 + y ' ( ) ( ) 0 + R s

( )

2 2 2

4 1 2

1 1 1

a b a b s

as s s

Q

⎟ +

⎜ ⎞

⎝ ⎛ + + =

= +

( ) ( s [ s a ) ( ) y y ( ) ] Q ( ) ( ) ( ) s R s Q s

Y = + 0 + ' 0 +

(10)

Ch. 6 라플라스 변환 6.2 도함수와 적분의 변환. 상미분방정식

Ex. 4 다음 초기값 문제를 풀어라.

Step 1 보조방정식

Step 2 전달함수

Step 3 역변환

( )

0 1, '

( )

0 1

,

''−y=t y = y = y

( ) ( )

2

( )

2 2

2 1

1 1

1 0

'

0 s Y s s

Y s y sy Y

s − − − = ⇒ − = + +

1 1

2

= s Q

( ) ( )

⎜ ⎞

⎛ −

+ −

= − + −

= + +

+

= 2 2 2 2 2 12

1 1 1

1 1 1 1

1 1 1

s s

s s

s s

Q s Q s

s Y

( ) ( )

e t t

s s

Y s t

y ⎟= t + −

⎜ ⎞

− ⎛

⎟⎠

⎜ ⎞

⎛ + −

⎟⎠

⎜ ⎞

= −

= 1 sinh

1 1 1

1

2 1 2

1 1

1 L L L

L

(11)

Ch. 6 라플라스 변환 6.3 단위계단함수. t-이동

6.3 단위계단함수. t-이동(Unit Step Function. t-Shifting)

z 단위계단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단위계단함수( Heaviside 함수) :

단위계단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

( ) ( )

( )

⎩ ⎨

>

= <

t a

a a t

t

u 1

0

( )

{ }

s a e

t u

as

=

L

z 제 2이동정리( Second Shifting Theorem ), t -이동

( )

( f t ) = F ( ) s L ( f ( t a ) ( u t a ) ) = e

as

F ( ) s , f ( t a ) ( u t a ) = L

-1

{ e

as

F ( ) s }

L

(12)

Ch. 6 라플라스 변환 6.3 단위계단함수. t-이동

Ex.1 아래의 식으로 정의된 함수 를 단위계단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그 변환을 구하라.

Step 1 단위계단함수의 식 : Step 2 항별 라플라스 변환

( )

t f

( ) ( )

( )

(

2

)

cos

1 2 2

1 0 2

2

⎪⎪

⎪⎪⎨

>

<

<

<

<

=

π π t

t t t

t t

f

( ) ( ( ) ) ( ) ( )

⎜ ⎞

⎝⎛ −

⎟⎟+

⎜⎜ ⎞

⎛ ⎟

⎜ ⎞

⎝⎛ −

− +

= π π

2 cos 1

2 1 1

2 1 1 1

2 u t t2 u t u t t u t

t f

( ) ( ) ( ) ( )

( )

2 2

2 2 2 3 2 2

2

2 3 2 2

0 1 2

1 2

sin 1 2

cos 1

2 8 1 2

1 8

2 1 2 2

1 2 1 2

1 2

1

2 1 1 1 1

2 1 1 2 1

1 1 2

1

s

s s

s e t

u t

t u t

s e s t s

u t

t t

u t

s e s t s

u t

t t

u t

π

π

π π

π

π π π

π π π π

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 L

L L

L L

( )

3 2 3 2 2 2 2 2

0 1 8

2 1 2

1 1 1 2

2 s s s e s

e s s s e s

s s e s

s f s

L π π π π

− +

⎟⎟⎠

⎜⎜ ⎞

⎛ + +

⎟ −

⎜ ⎞

⎛ + +

+

=

(13)

Ch. 6 라플라스 변환

Ex. 2 다음의 라플라스 역변환 를 구하여라.

( ) ( )

2

3 2

2 2 2

2 + +2

+ +

= +

s e s

e s

s e F

s s

s

π π

( )

t 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t 3

3 t 2 0

2 t 1 sin

1 t 0 0

3 3

2 2

1sin 1 1

1sin

3 2

3 2

t

t

e t

t

t u e t t

u t t

u t t

f

π π

π π π π

π π π

t s

sin 1

2 2

1 ⎟=

⎜ ⎞

⎛ + L

(

s

)

te t

s t

2 2

1 2

1

2 1

1

⎟⎟⎠=

⎜⎜ ⎞

⇒ +

⎟=

⎜ ⎞

L

L (제 1이동정리)

6.3 단위계단함수. t-이동

(14)

Ch. 6 라플라스 변환 6.4 짧은 충격(Short Impulse). Dirac의 델타함수

6.4 짧은 충격. Dirac의 델타함수

(Short Impulses. Dirac’s Delta Function. Partial Fractions)

z Dirac 의 델타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Dirac 의 델타함수 또는 단위충격함수 :

Dirac 델타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

( ) ( )

( )

⎩ ⎨

⎧ ∞ =

=

− 0 그 밖의 경우

a a t

δ t

( ) ( )

( a t a k ) ( t a ) f ( t a )

a k t

f

k

k

⇒ − =

k

⎩ ⎨

⎧ ≤ ≤ +

=

− lim

→ 0

0

1 δ

경우 밖의 그

( ) 1 1 ( ) 1

0 0

=

=

=

− ∫ ∫

+

dt a t k dt

dt a t f

k a

a

k

δ

( ) [ ( ) ( ( ) ) ]

( )

(

k

) [

as (a k)s

]

as ks

{ ( ) }

as

k

e a ks t

e e e

ks e a

t f

k a t u a t k u a t f

+

− = − ⇒ − =

=

+

=

L

δ

L

1 1

1

(15)

Ch. 6 라플라스 변환 6.4 짧은 충격(Short Impulse). Dirac의 델타함수

Ex. 2. 단일 구형파 대신 에서 단위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응답을 구하라.

상미분방정식 :

보조방정식 :

=1 t

( )

1,

( )

0 0, '

( )

0 0 2

' 3

''+ y+ y= ty = y =

y δ

e s

Y sY Y

s2 +3 +2 =

( ) ( )( )

s s e ss s s e s

Y

⎜ ⎞

− +

= + +

= +

2 1 1 1 2

1

( ) ( ) ( )

( ) ( )

( )

⎩⎨

>

<

= <

=

1 t

1 t 0 0

1 2 1 1

t

t e

Y e t

y L

(16)

Ch. 6 라플라스 변환 6.5 합성곱. 적분방정식

6.5 합성곱. 적분방정식(Convolution. Integral Equations)

z 합성곱(Convolution):

z

합성곱의 성질

교환법칙 :

분배법칙 :

결합법칙 :

합성곱의 특이성질 :

z

합성곱 정리 :

(

f g

)( )

t f

( ) (

τ g t τ

)

dτ

t

=

0

( f g )

L

( ) ( ) f

L

g

L

∗ =

Ex. 1 에 대한 역변환 를 구하여라.

f g g

f ∗ = ∗

(

g1 g2

)

f g1 f g2

f ∗ + = ∗ + ∗

(

fg

)

v= f

(

gv

)

0 0

0= ∗ =

f f

f f ∗1≠

( )

s

[ (

s a

)

s

]

H = 1 − h

( )

t

( )

1 1 1

(

1

)

1 1

1 ,

0 1

1 ⎟= ⇒ = ∗ = • = −

⎜ ⎞

= ⎛

⎟⎠

⎜ ⎞

at

t a at

at e

d a e e

t s h

a e

s L τ τ

L

(17)

Ch. 6 라플라스 변환 6.5 합성곱. 적분방정식

z 적분방정식(Integral Equation)

Ex.6 제 2종 Volterra 적분방정식을 풀어라.

합성곱을 이용

라플라스 변환

( )

t y

( ) (

t

)

d t y

t

=

τ sin τ τ

0

t t y

y− ∗sin =

( ) ( )

2 12

1 1

s s s

Y s

Y =

− +

( ) ( )

6 1 1

1 3

4 2 4

2 t

t t s y

s s s s

Y = + = + ⇒ = +

(18)

Ch. 6 라플라스 변환 6.6 변환의 미분과 적분. 변수계수의 상미분방정식

z

변환의 미분 :

6.6 변환의 미분과 적분. 변수계수의 상미분방정식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of Transforms.

ODEs with Variable Coefficients)

( ) = ( ) ( ) =

( ) ( ) = =

( ) = ( )

0 0

'

e tf t dt tf ds

s dF F dt

t f e t f s

F

L st st L

( )

( tf t ) = − F ( ) s { F ( ) s } = − tf ( ) t

L

' ,

L1

'

(19)

Ch. 6 라플라스 변환

Ex.1 세 개의 공식을 유도해 보자.

6.6 변환의 미분과 적분. 변수계수의 상미분방정식

( )

f

L f

( )

t

(

s2 +1β2

)

2 2β13

(

sinβtβtcosβt

) (

s2 +sβ2

)

2 2tβsinβt

(

2 2

)

2

2

β + s

s

(

βt βt βt

)

β sin cos 2

1 +

(

sin

)

2 2

β β β

= + t s

L

( )

(

22 2

)

2

sin β

β β

= + s t s L t

미분에 의하여

(

2 2

)

2

2 sinβ β

β ⎟⎟= +

⎜⎜ ⎞

s t s L t

(

cos

)

2 2

β β

= + s t s

L 미분에 의하여

( ) ( )

( ) (

2 2

)

2

2 2 2 2

2

2 2

2 2

cos β

β β

β β

+

= − +

− +

=

s s s

s t s

L t

( ) ( ) ( )

(

2 2

)

2

2 2 2 2 2 2 2 2 2

2

2 1

1sin

cos β

β β

β β β β

β β

+ +

±

= −

± + +

= −

⎟⎟⎠

⎜⎜ ⎞

⎛ ±

s s s

s s t s t

L t

(20)

Ch. 6 라플라스 변환 6.6 변환의 미분과 적분. 변수계수의 상미분방정식

( ) ( ) ( ) ( )

t t s f

d s F s

d s t F

t f

s s

⎭ =

⎬ ⎫

⎩ ⎨

⇒ ⎧

⎭ =

⎬ ⎫

⎩ ⎨

~ ~

L1

~ ~

L

Ex.2 제 함수 의 역변환을 구하라.

Case 1) 변환의 미분이용

Case 2) 적분이용

z

변환의 적분 :

2 2 2 2

2

ln 1

ln s

s s

ω ω ⎟⎟⎠= +

⎜⎜⎝

⎛ +

( )

(

ln 2 2 ln 2

)

22 2 22

s s s

s s ds s

d

= +

+ω ω

( ) ( ) ( ( ) )

t tf

( )

t

s s s

s s s F

f s

F ⎟= − =−

⎜ ⎞

⎛ −

= +

⎟⎟ ⇒

⎜⎜ ⎞

⎛ +

=

= 2 2 2cos 2

' 1

ln 2 1 1 2 2 2

2 ω

ω

ω L L

L

( )

t

t t

f

= −

∴ 2cos 2

ω

2 2 2 2

2

ln 1

ln s

s s

ω ω ⎟⎟⎠= +

⎜⎜ ⎞

⎛ + 미분

( )

2 2

( )

1

( ) (

2 cos 1

)

2

2 − ⇒ = = −

= + g t G t

s s

s s

G ω

ω L

( ) ( ) (

t

)

t t

t s g

d s

s sG ω

ω ~ ~ 2 1 cos

1

ln 2 1

2

1 ⎟⎟=− = −

⎜⎜

= ⎛

⎟⎟

⎜⎜

⎟⎟⎠

⎜⎜ ⎞

⎛ +

L

L

(21)

Ch. 6 라플라스 변환 6.6 변환의 미분과 적분. 변수계수의 상미분방정식

z

변수계수(Variable Coefficient)를 가진 상미분방정식

( ) [ ( ) ]

( ) '' [ ( ) 0 ' ( ) 0 ] 2 ( ) 0

0 '

2

2

y

ds s dY sY y

sy Y ds s ty d

ds s dY Y y

ds sY ty d

+

=

=

=

=

L L

Ex.3 Laguerre의 상미분방정식, Laguerre 다항식

( )

t y ny

(

n , , , L

)

ty''+1− '+ =0 =0 1 2

( ) ( ) ( ) ( )

( )

1 2

2 2

1 1

1 1

0 1

0 0

0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n

s Y s s ds

n s

ds n s-s

s n Y dY

Y s ds n

s-s dY ds nY

sdY Y y

sY ds y

s dY sY

( )

=

( )

=⎪⎩

( )

, ==1, 2, L

!

0 1

1

n e dt t

d n e

n , Y

t

l n t

n n t

n L

(22)

Ch. 6 라플라스 변환 6.7 연립상미분방정식

6.7 연립상미분방정식(Systems of ODEs)

Ex.3 용수철에 달린 두 물체의 모델

물체의 질량은 각각 1이고, 용수철 자체의 질량은 무시할 수 있으며, 용수철상수는 모두 k이다.

( )

(

2 1

)

2

2 2

1 2 1 1

2

3 3

kY Y Y k k s Y s

Y Y k kY k s Y s

= +

− +

=

( )

(

2 1

)

2

2

1 2 1 1

'' ''

ky y y k y

y y k ky y

=

− +

=

( ) ( )

( )

k y

( )

k

y

y y

3 0

, 3 0 '

, 1 0 , 1 0

2 1

2 1

=

=

=

=

라플라스 변환

( ) ( ) ( )

( )

( ) ( ) ( )

(

ss kk

)

kk s k s s k s kk

k Y s

k s

k k

s s k

k s

k s k k s k Y s

3 3 2

3 2

3

3 3 2

3 2

3

2 2 2

2 2 2 2

2 2 2

2 2 2 1

− +

= +

− +

− + +

= −

+ +

= +

− +

− + +

= + 지배방정식 :

초기조건 :

Cramer의 법칙 또는 소거법 적용

( ) ( )

( )

t

( )

Y kt kt

y

t k t

k Y

t y

3 sin cos

3 sin cos

2 1 2

1 1 1

=

=

+

=

=

L

L 역변환

참조

관련 문서

지구의의 위치에 따라 태양의 남중 고도가 달라지는 경우를 골라 기호를 썼지만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계 절이 변하는 까닭을 쓰지 못했다.. 하 알맞은 그래프의 형태를

to be damaged by large deflections occurring after attachment of the nonstructural elements (sum of the long-time deflection due to all sustained loads and the immediate

http://blog.naver.com/op2330

㈑ 계젃별로 별자리가 달라짐을 알고, 계젃별로 나타나는 대표적읶 별자리를 찾을 수

- Capacitor 내부의 전기장에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 도록 고안된 전기소자..

[r]

채점 기준 민영이가 추론한 방법을 잘 파악하여 자신의 경험을 떠올렸다는 내용으로 썼으면 정답으로 합니다... 5 첫 번째 문단에 글쓴이의

 행렬식은 Laplace 공식 (Laplace expansion formula)를 사용하여 행 또는 열의 원소와 대응하는 여인수의 곱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 행에 스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