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2)

2 0 12 년

2 월 석 사 학 위 논 문 종 합 병 원 임 상 간호 사 의 업 무 스 트 레 스 와 정 신 적 웰 니 스 및 우 울 과 의 관 계 양 혜 정

2012년 2월 석사학위논문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니스 및 우울과의 관계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양 혜 정

(3)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니스 및 우울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piritual Wellness,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2012년 2월 24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양 혜 정

(4)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정신적웰니스 및 우울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piritual Wellness,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지도교수 박 상 학

이 논문을 대체의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10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양 혜 정

(5)

양혜정의 대체의학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문 경 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서 재 홍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상 학 (인)

2011년 11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6)

목 차

표 목차 ··· ⅱ ABSTRACT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3

B. 용어의 개념과 정의 ··· 4

Ⅱ. 연구방법 ··· 8

A. 연구의 대상 ··· 8

B.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8

C. 자료 분석방법 ··· 10

Ⅲ. 연구결과 ··· 11

A. 일반적 특성 ··· 11

B. 일반적 특성과 우울의 정도 ··· 17

C. 일반적 생활특성과 정신적웰니스 및 업무스트레스간의 관련성 ··· 23

D. 우울과 정신적웰니스,업무스트레스 변수간의 상관관계 ··· 29

E. 정신적웰니스 와 업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30

Ⅳ. 논의 ··· 32

Ⅴ. 결론 및 제언 ··· 39

참고문헌 ··· 41

부록 ··· 45

(7)

표 목차

표 1. 신뢰도 검증 ··· 10

표 2. 일반적 특성 ··· 11

표 3. 직업특성 ··· 13

표 4. 생활특성 ··· 15

표 5. 영역별 업무스트레스 점수 ··· 16

표 6. 우울점수 ··· 17

표 7. 일반적 특성과 우울의 정도 ··· 18

표 8. 직업적 특성과 우울의 정도 ··· 20

표 9. 생활특성과 우울의 정도 ··· 22

표 10. 일반적 특성과 정신적웰니스 및 스트레스 관련성 ··· 24

표 11. 직업 특성과 정신적웰니스 및 업무 스트레스 관련성 ··· 26

표 12. 생활특성과 정신적웰니스 및 스트레스 관련성 ··· 28

표 13. 우울과 정신적웰니스, 스트레스 변수간의 상관관계 ··· 29

표 14.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 ··· 31

(8)

ABSTRACT

Rel at i onshi pbet ween J ob St r essandSpi r i t ualWel l ness Depr essi on i n Cl i ni calNur sesataGener alHospi t al

Yang,HyeGeong

Advisor:Prof.Park,Sang hag M.D.,Ph.D.

DepartmentofAlternative.Medicine, GraduateSchoolofHealthscience ChosunUniversity

Job stress has physicalpsychologicaleffecton everyone as they experienc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increased demands for quality nursing by patients,new acquisition ofknowledgeandskills,andirregularworkschedules.

Itmaygreatlyreducenursing members'morals,causedifficultiesintheirjob performanceand becomea main causeofmany diseases.Thepurposeofthis study,therefore,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piritualwellnessordepression in clinicalnursesatageneralhospital,Itaims to help nurses maintain their health and job stress by providing basic materialstoimprovejobefficiencyandworkenvironments.

Thedataforthisstudy weregatheredfrom September1toSept28in 2011 and the target populations were 300 clinical nurses serving at,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wangju, Korea. Aft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o the nurses,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Theself-administeredquestionnairesusedinthisstudyconsistedofquestions regarding generalcharacteristics,job stress,spiritualwellness,and depression scale(BDI).This study used the 52-item scale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Bae,Insuk(1990)based on "Nurses'Job Stress Scale"developed by Gu,Miok

(9)

and Kim,Maeja(1984).Then,to examine wellness life style changes,spiritual wellnessfactorswereapplied from Korean WellnessLifeStyleScale(KWLISS) developed by Kim,Sangguk(2001)based on the scale by Anspaugh D.A.et al.(1994).

Forthe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Beck Depression Scale originally developedbyBecketal.(1976)translatedbyLee,Mingyuetal.(1995),wasused afterreliabilityandvaliditytests.

Thisscalewasdevelopedtoevaluatethepresenceandseverity ofdepression in aself-reporttypeand consisted of21factorsincluding cognitive,emotional, motivation,and physicalsymptoms.The findings were as follows.Nurses' mean score ofjob stress was 180.17 (25.32),depression was 7.19(5.94),and spiritualwellnesswas32.86(4.62).

According to the BDI standard,mild depression is 24.4%(n=66),moderate depression 5.2%(n=14),andseveredepression 0.7%(n=2).

1.As regards the job stress score,the totalmean score was 180.17.The mostcommon job stress factor was heavy workload(25.31),followed by role conflict (23.70), unfamiliar situations(19.82), job conflicts(18.22),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17.51), inappropriate treatment and compensation policies(17.37), unsatisfactory relations with coworkers(16.97), psychological burdens on medical limitations(16.57), problems in personal relationships(14.40),andresponsibilitiesoutsidework(10.28).

2.Themeanscoreofspiritual wellnesswas32.86(SD 4.62).

Spiritualwellnesshadanegative(-)effectondepression,andheavyworkload lack of skills, while stress outside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In otherwords, higherspiritual wellness,lighterworkload,more skills, and less stress outside work, are related to lower depression.

Depression-related factors included sex,the length of their service,sleeping time,anddailysatisfaction.

3.The mean score ofdepression was 7.19(5.94)and the score ofspiritual wellnesswas32.86(4.62).

(10)

4.Differences in job characteristics,spiritualwellness,and job stress were analyzed.Job pos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differencein spiritualwellness,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ir position, the higher their spiritual wellness(p<0.001).Thelength oftheirservicerevealeda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ritualwellness,indicating thatthe longerthe length oftheir service,the higher their spiritualwellness(p<0.001).Night shift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differencein spiritualwellnessandthehighestspiritual wellnesswasfoundinnonightshift.

5.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spiritual wellness, and job stress was analyzed.Depression was positively(+)correlated with heavy workload stress, lack of skills stress,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treatment and compensation stress,butnegatively(-)correlated with spiritualhealth.In other words,thehighertheirdepression,thehighertheirstressand thelowertheir spiritualwellness.

Based on the findings,heavy workloads,professionalknowledge and skills, and responsibilitiesoutsidework which weresub-factorsofjob stress-had an adverse effecton depression,where as higheremotionalwellness and lighter workload, mo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less responsibilities outsideworkwereassociatedwithlowerdepression.

Accordingly, work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nurses' satisfactionandmotivationandreducenursing stress.alsocontinuouseducation and self-development are necessary for improving their job performance. Moreover,cooperation,understanding,and active communication are necessary to establish smooth relationship.In addition,a self-care practices should be requiredfornurses'emotionalhealth,aswellaspracticalinterventions suchas thecreation ofacomfortablework environment.Effortstoamelioratethelevel ofthegeneraldepressionshouldbemadecontinuouslyusingtheaforementioned practices.

Keywords:JobStress,SpiritualWellness,Depression

(11)

Ⅰ.서 론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Stress 라는 용어는 19세기에 근원을 두며 물체나 인간 에게 작용하는 힘, 압력, 강한 영향력을 가리키는 뜻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스트 레스 학설을 1936년 처음으로 제창하여 스트레스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Hans Selye은 스트레스를 생체 내에서 비 특이적으로 유발되는 모든 변화들로 구성된 특정증상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정의 했다.

이와 더불어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원에 대한 유기체의 일반적인 반응을 “일반 적응 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 GAS)이라는 개념으로 발표함으로써 (Selye,1976) 스트레스의 객관적 징후와 스트레스 개념의 기초를 과학과 기술의 현저한 발달과 그에 따른 확실성에 대한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의료분야 종사자들은 급격하게 발전하는 의학지식과 기술들 그리고 복잡하고 관 료적인 의료 조직 속에서 예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스트레스 원들에 노출되어 있다.

문화가 다양해지고, 사회변화의 속도가 급격해지고 , 사회구조가 복잡해짐에 따 라 다양한 스트레스원에 노출될 기회가 더 증가하고 있다. 걱정, 압박감, 해결되지 않은 정신적 갈등, 정서적긴장 등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시키는 스트레스는 의료분 야의 경험하는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김정화, 최은선 2000).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생활의 일부분으로 모든 질병의 원인을 스트레스와 연관시킬 만큼 스트레스의 개념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스트레스는 삶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스트레스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고 치료를 위해 만성적인 경과를 밟게 되는 스트레스성 질환들이 늘어나면 서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스트레스는 개인적 자원이나 대처 능력을 초과하거나 부담을 주는 내외적 요구 를 일으키는 광범위한 경험으로 스트레스 중 개인이 담당하는 업무와 관련하여 발 생한다. 업무를 담당하는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업무스트레스로 세분화 한다 (전선희,2005).

(12)

업무스트레스는 개인의 특성과 능력이 직장 및 직무환경의 요구와 부적합한 상 태에서 발생되는 감정으로, 최근 노동환경과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현대 인들은 고용불안과 함께 많은 업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조철호. 김미선, 2010).

간호사는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복잡한 조직의 일원으로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 환자들의 질적 간호요구의 증가, 불규칙한 근무 형태 등 다른 직업에 비해 신체 심리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

간호 업무 상황에서 스트레스는 필연적이며,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역할수행과 개인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만 장기간 지속되는 업무스트레스는 결국 소진 감을 느끼게 되고 신체, 심리적 질병을 초래하게 된다 (Brian.M, 2001).

간호사는 의료의 질적, 양적인 요구의 증가와 여러 직종의 사람들과의 복잡한 인 간관계로 인한 갈등, 자신의 감정의 통제, 과실이나 사고 등에 대한 책임, 환자수의 증가에 따른 업무량과중, 고도의 긴장과 주의력을 기울여야 하는 업무, 직접환자간 호는 물론 각종 문서와 정보 및 전자 시스템의 관리와 행정업무 등으로 업무스트 레스 정도가 훨씬 심각하며 다른 직종에 비해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다 (구미옥 과 김매자, 1984).

임상간호사의 건강은 간호사 자신이 환자에 대한 건강역할 모델로서 직접 간호 제공자, 건강교육자, 건강행위촉진자 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므로 건강증진 행위는 간호사 자신의 건강과 환자들의 바람직한 생활습관형성 및 병원조직에 미 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중요하게 인식된다. 간호사 자신의 직무 및 생활 전반에 대 한 만족도인 삶의 질이 높으면 자신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관리를 포함한 전문적 역할 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김명남, 1988).

현대인의 직장생활은 스트레스의 연속이다. 스트레스는 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 적이든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하루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는 현대 인들은 업무수행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밖에 없다.

업무스트레스로 인한 여러 가지 육체적 정신적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리라 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연수, 2000).

(13)

업무스트레스란 특정업무와 관련된 부정적인 환경요인, 업무량초과, 역할갈등 및 모호성, 물리적으로 좋지 않은 작업조건 등의 잠재적인 스트레스요인과 개인의 특 성간의 상호작용으로 정의된다(Cooper등, 1987). 따라서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이를 둘러싼 환경과 관련하여 발생되며, 간호조직 구성원 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간호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간호사의 능력 발휘에 장애가 되거나 많은 질병의 주요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자신의 신 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간호업무 자체에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즉 스트레스가 심할 때 나타나는 의욕상실과 간호대상자에 대한 무관심, 잦 은 결근은 환자간호의 질과 간호 직에 대한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특히 경력간호사 의 이직은 인력자원의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 된다 (schuler RS 1980, 홍 근표1984).

보건 직 종사자의 업무스트레스의 수준과 업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과로서의 정신 적 건강 수준에 대한 점검과 요인에 대한 분석 및 우울수준의 관련정도를 파악해 야 하겠다. 즉, 간호사의 스트레스요인을 명백히 파악하고, 그 요인을 조절하면 스 트레스에 대한 적응을 도울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스트레스를 잘 인지하고 조절한다면 개인의 건강 및 안녕뿐 아니라 병원 조직체의 성장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aloney JP,1982).

A.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업무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니스 및 우울정도를 파악하 여 간호사들의 건강과 업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근무환경 및 체계의 개선과 업무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업무효율성 및 효과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둘째, 업무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와 일반적 특성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14)

셋째, 업무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단변 량)분석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던 변수들의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업무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니스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한다

B.용어의 개념과 정의

1.업무스트레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란 간호사라는 감성노동자들에게 직업으로 인해 나타나는 개인적 스트레스를 말하며, 간호사가 업무로 인하여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인 장애 를 받을 정도로 부담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Selye,1976).

업무스트레스를 환경적 또는 내적 요구를 충족할 능력정도가 초과 되거나 적응 력이 혹사되어 일어나는 상태라고 하였다 (홍근표,1984).

간호사는 전문 직업인이기 전에 하나의 인간으로서의 건전한 개인생활과 원만한 사회생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간호사 자신이 행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살아야 삶의 질이 높아지고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삶의 질도 높일 수 있는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김명남, 1988).

업무 스트레스는 간호사가 근무하면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인 장애를 받을 정 도로 부담을 느끼는 상태를 의미한다 (김매자와 구미옥 ,1984).

본 연구에서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개발한 “간호사의 근무 중 스트레스 도 구” 를 기초로 배인숙(1996)이 수정, 보완하여 52문항으로 구성한 도구로 측정하 였다.

2.정신적 웰니스

웰니스(Wellness)란 정서적,사회적,지적,신체적,정신적으로 잘 조화된 상태를 말 하며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웰니스 척도(김상국,2001)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웰니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건강(Wellness)이란 개념은 질병을 치료한다거나 예방하는 차원을 넘어서 최적

(15)

의 건강수준(optimal well-being)을 향상시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최 적의 건강(holistic health)이란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수준에서 서 로 밀접한 상호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역동적 관련들이 최적의 상태를 의미한다.

웰니스는 인간이 가능한 한 최적상태가 되기 위하여 매일 노력하는 수행능력이 필요하고, 정기적인 운동, 적절한 영양과 최적의 신체 구성 도를 유지하고, 개인적 인 필요에 대한 자각과 긍정적인 방법으로 이들 필요량을 충족하려는 노력과 총체 적으로 건강한 행동을 수반하는 것을 의미한다. 웰니스의 가장 큰 혜택은 각 개인 이 인생의 가능성을 보고 성취하기 위하여 열중하는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다 (김 상국, 1996).

사람들의 정신적 건강을 객관적으로 평가 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인간은 성장 발달단계에 따라 처해있는 환경조건이나 일상 생활습관이 다르기 때 문에 정신적인 건강에도 차이가 있게 된다. 최근에는 직장인들의 건강문제에 있어 서도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 또한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 어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직장인들은 직무에 대한 부담가중, 업무의 반복성과 단조로움, 직장 내에서 의 상사나 동료 간의 관계, 자신의 역할문제, 보수문제, 업무에 대한 만족도 등과 같은 직무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인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Donovan , 1987).

정신건강의 개념화는 정신질환의 유무를 지칭하기 위한 정신 병리학적인 개념에 서 출발하였으나, 최근에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자아의 기능이나 환경에의 적응, 개 인의 심리적 안녕 (psychological well-being)도 중시하는 경향성을 가진다 (김윤 정, 2000).

최적의 정신은 삶의 기본적인 목적을 발견하고 분명하게 해주어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웰니스의 관점으로 볼 때 정신적 건강은 더욱 우수 한 삶의 질의 추구와 관련이 높다. 정신적 웰니스 는 인간을 결속시키는 어떠한 힘 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힘은 자연, 과학, 종교나 더욱 고귀한 것을 포함 한다.

(16)

모든 사람들은 개인적인 정신적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다. 정신적 요소는 삶의 방 향과 의미를 제공해주며, 성장하고 ,배우고,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웰니스 척도(김상국,2001)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웰니스 가 높음을 의미한다.

3.우울

우울은 사전적의미로 보면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환기가 없음’으로 정의 되고 있다. 심리학적 용어사전 의미로서는 ‘반성과 공상이 따른 가벼운 슬픔, 이라고 정 의된다. 우울이란 정상적인 기분변화로 부터 병적인 기분상태까지의 연속선상에 있 으며 근심, 침울함, 무력감, 무가치함을 나타내는 기분장애를 말한다.

단순하게 슬프거나 우울한 느낌을 가지는 경한 우울에서부터 심한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자살로 까지 가는 심한 우울 에 이르기 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이순 희,1992).우울은 기분이 저조한 상태인 슬픔, 낙심, 실망 및 위기저하라고 불 리우 는 일상생활의 정상적인 기분의 저하상태 이다.

식욕 감퇴, 성욕 감퇴, 체중 저하, 불면증과 같은 신체증상과 더불어 심하게 무력 감에 빠져서 허무 및 자살의도 등을 보이는 정서변화를 말한다고 하였다 (박해웅.

최수찬,2005). 스트레스를 더 이상 감당해 내지 못할 때 정서적, 신체적 소진으로 정서적 탈진 및 심리적 이탈의 현상이 나타난다. 스트레스 현상이 조절, 완화되지 않고 지속적인 현상으로 신체적인 증상이나 증후뿐만이 아니라 우울한 감정으로 우울증 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우울 이란 스트레스에 대한 자연스럽고 기본적인 반응으로 정상적인 기분의 변 화로부터 병적인 상태에 이르기 까지 연속선상에 있으며, 발생요인 또한 다양하고 개인의 적응수준에 따라 우울정도가 다르다 (이숙자, 1933).

우울은 자신의 환경,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 체계에 의해서 일어나고 과도한 스트레스는 곧 우울로 이행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Beck AT,1974).

정신 병리학적 개념으로는 정신질환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의료적 모델 에 입각하여 대부분 미국정신의학회가 발간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 4

(17)

판(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IV) DSM-IV에 의한 분류이다.

다수의 연구에서 정신건강을 평가하는 기준 중 정신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 는 가장 유용한 지표로 우울증을 제시한다 (Newman& Struyk,1990).

DSM-IV에 의하면 우울증의 주요 임상적 증상은 수면부족, 피곤, 식욕상실이나 과식, 무기력감, 주의집중력감소, 생산성의 감소, 사회적 철회, 흥미의 상실 ,활동의 감소, 미래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 죽음이나 자살에 대해 반복적으로 생각하는 것, 우는 횟수가 잦아지는 것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 (신재은, 1999).

간호사 우울은 간호사 개인의 건강문제인 동시에 근무의욕과 업무 수행 능률의 감소, 환자 간호의 질 저하, 간호사의 잦은 결근과 직무불만족, 경험 있는 간호사의 이직현상등과 같은 병원조직의 인력관리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간호 관리자 들이 중요 시 해야 하는 현상이다 (Williams CA, 1989).

본 연구에서는 Beck등 (1976)이 개발한 Beck depression scale을 이민규 등 (1995)이 번역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를 거친 한국판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우울증상의 유무와 증상의 심각성 정도를 평가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자기 보고 형 척도로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 증상 영역을 포함하는 2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18)

Ⅱ.연구방법

A.연구 대상

본 연구는 광역시에 위치한 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특수부서인 수술실과 마취과를 제외한 외래부서, 내과 계 병동, 외과 계 병 동, 산부인과 병동, 소아과병동, 중환자실, 미숙아실, 중앙공급실, 회복실 , 응급실, 보험심사계, 건강관리과 ,건진 센터 등 에 근무하는 수간호사, 주임간호사, 일반간 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300 부의 설문지 중에서 275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연구 자료로 부적절한 5부 제외하고 270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B.자료수집방법

본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9월1일부터 9월28일까지 연구취지에 동의한 간호 사들의 동의로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기 입식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업무스트레스, 정신적웰니스 우울측정 도구 등으로 구 성하였다.

1.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여부, 자녀수, 직위, 근속 년수 현재근무부서, 밤 근무일수 현 근무지 기간, 현 근무지 만족정도, 임상 간호 직 종사할 예정기간, 건강상태, 운동 횟수, 수면시간, 가사분담 주거형태, 현재 생 활 만족 여부 등 과 관련된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업무스트레스

업무스트레스의 측정은 김매자. 구미옥(1984)이 개발한 간호사가 경험하는 스트 레스 측정도구를 기초로 배인숙(1996)이 수정, 보완하여 52문항으로 구성한 도구 를 사용하였다. 이는 업무량 과중 7문항,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5문항, 전문직으

(19)

로서의 역할갈등 7문항, 대인관계상의 문제4문항, 의사와의 대인관계와 업무상의 갈등 5문항, 의료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 5문항,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5문 항, 동료와의 불만스런 관계 5문항, 업무 외 책임3문항, 익숙치않은 상황 6문항으 로 이루어졌다.

본 도구는 5점 척도로 ‘전혀 느끼지 않는다’ 를 1점으로 ‘아주 심하게 느낀다’를 5점으로 측정하며, 점수는 최소 52점에서 최대 26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 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487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9450 이었다.

3.웰니스 측정도구인 정신적웰니스

한국인의 웰니스 척도(김상국,2001)를 사용했으며 웰니스 점수가 높을수록 웰니 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웰니스 생활양식(life style)변화에 대한 검사는 Anspaugh D.A.et al(1994)등이 고안한 것을 김상국(2001)이 개발한 한국인의 웰니스 생활양 식 측정도구(Korean Wellness Life Style Scale: KWLISS)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 는 신체적웰니스 17문항, 사회적웰니스 10문항, 지적웰니스 9문항, 정서적웰니스 10문항, 정신적웰니스 9문항으로 총5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검사지 문항 중에서 정신적웰니스(자아성취력, 신념과 가치, 보람과 사랑) 9문 항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1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당시 각 신뢰도검사결과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값은 모두 .75이상으 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 정신적 웰니스 에 관한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값 은.874이었다.

4.우울 측정도구

우울측정도구는 Beck등 (1976)이 개발한 Beck depression scale을 이민규 등 (1995)이 번역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를 거친 한국판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우울증상의 유무와 증상의 심각성 정도를 평가

(20)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자기 보고 형 척도로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 적, 신체적 증상 영역을 포함하는 2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마다 0점에서 3점으로 채점되며 총점의 범위는 0점에서 63점까지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정 도가 심함을 나타낸다. 측정점수를 이용하여 0-9점은 정상범주, 10점-16점은 가 벼운 우울상태,17점-24점 중등도 우울상태, 25점 이상은 심한 우울상태로 분류 하 였다. 이 도구는 개발당시 신뢰도가 Cronbach's alpha값=.86이었고, 본 연구에서 의 Cronbach's alpha값= .877이었다.

C.자료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 분석은 본 연구에서는 SPSS ver 16.0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표1)

l 일반적 특성에 대해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 하였다.

l 일반적 특성과 우울과의 관련을 교차분석 하였다.

l 일반적 특성과 정신적웰니스, 스트레스간의 관련을 t검증과 분산분석 하였다.

l 우울과 정신적웰니스, 스트레스간의 상관분석 하였다.

l 정신적웰니스 와 스트레스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변수 Cronbach's Alpha

우울

정신적 웰니스

.877 .874

업무 스트레스

업무량 과중 .849

.945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825

역할갈등 .875

대인관계상의 문제 .825

업무갈등 .905

심리적 부담 .828

대우와 보상 .837

동료와 불만스런 관계 .839 업무 외 책임 .709 익숙치 않은 상황 .895

<표1> 신뢰도 검증

(21)

Ⅳ.연구결과

A.일반적 특성

1.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남자1.9%에 비해 여자가 98.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연령은 30대가 39.6%로 많았고, 20대(37%), 40대(18.5%), 50대(4.8%) 의 순이었다. 학력은 대졸이 41.1%(111명), 전문대졸 40.7%(110명)이고, 대학원이 상은 18.1%(49명)이었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52.2%(141명), 기혼 47.8%(129명),이혼은 0% 이었다.

자녀는 없는 사람이 58.9%(159명)로 가장 많고, 2명 이상 30.0%(81명), 자녀1명 이 11.1%(30명)이었다. (표 2)

구 분 N %

성별 여자 265 98.1

남자 5 1.9

연령

20대 100 37.0

30대 107 39.6

40대 50 18.5

50대 13 4.8

학력

전문대졸 110 40.7

대졸 111 41.1

대학원이상 49 18.1

결혼여부

자녀수

미혼 141 52.2

기혼 129 47.8

없음 159 58.9

1명 30 11.1

2명 이상 81 30.0

합계 270 100.0

<표 2> 일반적 특성 (N=명)

(22)

2.직업 특성

직업특성을 보면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6.7%, 책임간호사 7.4%, 수간호사5.9%

이었다. 근속년수는 1-10년 이하가 51.5%로 가장 많았고, 10-20년 이24.4%, 20 년 이상17.4%, 1년 미만6.7% 순 이었다.

근무부서는 내과계 와 외과계가 각 20.0%로 가장 많았고, 외래19.6%, 특수부서 18.5%, 소아과7.0%, 응급실5.9%, 산부인과5.2%, 기타3.7%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 달에 밤 근무를 안 하는 사람이 41.5%였고, 한 달에 1-6일36.7%, 7일 이상 21.9%의 순이었다. 현재 근무부서기간이 2-5년 사이가 44.1%로 가장 많았고, 2 년 이하40.4%, 6년 이상15.6% 순이었다.

현 근무부서에 대한 태도는 만족하다는 반응이 50.4%로 가장 많았고, 보통 이라는 반응은 41.5%, 매우 만족은5.2%, 불만족은 3.0%이었다.

계속해서 이 직종에 근무하고 싶은 기간에 대해서는 적당한 필요기간만 근무 하겠다는 반응이 53.3%, 정년까지 하겠다는 반응은 35.6%, 지금이라도 그만 두고 싶다는 반응은 6.7% 순이었다.(표 3)

(23)

구 분 N %

직위

일반간호사 234 86.7

책임간호사 20 7.4

수간호사 이상 16 5.9

근속년수

1년 미만 18 6.7

1-10년 이하 139 51.5

10-20년 이하 66 24.4

20년 이상 47 17.4

근무부서

내과계 54 20.0

외과계 54 20.0

산부인과 14 5.2

소아과 19 7.0

특수부서 50 18.5

응급실 16 5.9

외래 53 19.6

기타 10 3.7

밤 근무/월

안함 112 41.5

1-6일 99 36.7

7일 이상 59 21.9

현 근무 부서기간

2년 이하 109 40.4

2-5년 이하 119 44.1

6년 이상 42 15.6

현 근무부서 만족도

매우 만족 14 5.2

만족 136 50.4

보통 112 41.5

불만족 8 3.0

임상 간호 직 종사예정

정년 까지 96 35.6

필요한 기간만 144 53.3

그만두고 싶음 18 6.7

기타 12 4.4

합계 270 100.0

<표 3> 직업 특성 (N=명)

(24)

3.생활 특성

생활특성을 보면 건강상태에서는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3.7%, 건강하다 는 50.0%, 보통이다 는 37.8%였고, 건강하지 못하다는 응답은 8.5%이었다. 평소에 운동을 거의 안한다는 응답이 46.7%로 가장 많았고, 1주일(30분-1시간)에 1-2회 운동 을 한다는 사람은 35.2%, 3회 이상은 18.1%이었다. 수면시간은 하 루에7-8시간이 55.2%, 6시간 이하는 29.6%, 9시간 이상은 15.2%이었다.

가사분담은 주로 본인이 담당하는 경우가 54.8%로 가장 많았고, 시댁이나 친정 가족의 도움이 43.0%이었다. 거주형태에서는 부모/가족 동거가 84.4%로 가장 많았으며, 혼자거주(기숙사/자취)가 8.9%, 형제동거 5.9%이었다.

일상생활 만족도는 보통이 47.8%이었고, 만족하다는 응답은 45.2%, 매우만 족은 2.6%, 불만족 응답은 4.4%이었다.(표 4)

(25)

구 분 명 %

건강상태

매우 건강 10 3.7

건강 135 50.0

보통 102 37.8

건강 못함 23 8.5

운동정도/주 (30분-1시간)

안함 126 46.7

1-2회 95 35.2

3회 이상 49 18.1

수면시간

6시간 이하 80 29.6

7-8시간 149 55.2

9시간 이상 41 15.2

가사분담

본인 148 54.8

시댁/친정 116 43.0

타인 고용 4 1.5

기타 2 .7

거주형태

부모/가족 동거 228 84.4

형제동거 16 5.9

혼자거주(기숙사, 자취) 24 8.9

기타 2 .7

일상생활 만족도

매우 만족 7 2.6

만족 122 45.2

보통 129 47.8

불만족 12 4.4

합계 270 100.0

<표 4> 생활 특성

(26)

4.영역별 업무스트레스 점수

간호사의 영역별 업무스트레스 점수를 보면 전체 평균이 180.17이었다.

최소값은 104.00,최대값은 251.00으로 이었다.하위변수들은 업무량 과중의 평균 값은 25.31,전문지식과 기술부족 평균은 17.51,역할갈등이 23.70,대인관계상의 문 제가 14.40,업무갈등이 18.22,의료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16.57,대우와 보상 이 17.37,동료와의 불만스런 관계가 16.97,업무 외 책임의 평균이 10.28,익숙치 않 은 상황이 19.82이었다.(표 5)

구 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표준편차

업무량 과중 270 8.00 35.00 25.31±4.30 전문 지식과

기술 부족 270 10.00 25.00 17.51±3.01 역할갈등 270 12.00 35.00 23.70±4.20 대인관계상의

문제 270 8.00 20.00 14.40±2.68 의사와의

대인관계와 업무상의 갈등

270 10.00 25.00 18.22±3.48 의료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 270 7.00 25.00 16.57±2.96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270 7.00 25.00 17.37±3.49 동료와의

불만스런 관계 270 7.00 25.00 16.97±3.36 업무 외 책임 270 5.00 56.00 10.28±3.48

익숙치않은 상황 270 11.00 47.00 19.82±3.93

스트레스 전체 270 104.00 251.00 180.17±25.32

<표 5> 간호사 영역별 업무스트레스 점수 (N=명)

(27)

5.우울 점수

간호사의 우울 점수 평균은 7.19(5.94)점 이었으며 BDI 로 측정한 우울척도 는 69.6%(188명)가 정상범위였으나 가벼운 우울상태에 있는 사람은 24.4%(66 명),중한우울상태 즉, BDI 16-23점 이상이 5.2%(14명), BDI 24점 이상의 심한 우울상태의 경우도 0.7% (2명)이었다.(표 6)

<표 6> 우울점수 (N=270명)

우울범위 N %

정 상

(0-9점) 188 69.6

가벼운 우울상태

(10-15점) 66 24.4

중한 우울상태

(16-23점) 14 5.2

심한 우울상태

(24-63점) 2 0.7

우울점수(평균±표준편차) 7.19± 5.94

B.일반적 특성과 우울의 정도

1.일반적 특성과 우울의 정도

일반적 특성과 우울의 정도를 보면 간호사중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은 정상이 더 많았으나, 남성은 가벼운 우울상태가 80.0%로 여성에 비해 우울정도가 높았다(p<.01).

연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상 이 더 많았으며, 연령이 낮아질수록 가벼운 우울상태인 경우가 더 많았다.

결혼여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울의 관련성 에서는 미혼과 기혼 모두 정상이 더 많았으나, 미혼83명(58.9%)보다 기혼105명(81.4%) 이 정상상태로 더 많았다. 가벼운 우울정도에서는 기혼19명(14.7%)보다 미혼47

(28)

명 (33.3%)이 더 많았다(p<0.01).

중등도의 우울정도에서도 기혼5명(3.9%)보다 미혼9명(6.4%)이 더 많았고 심 각한 우울에서는 미혼에서 2명(1.4%)의 결과가 나왔다. 자녀수에서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녀가 없는 경우 정상이 96명(60.4%)이었고 가 벼운 우울정도는 51명(32.1%), 중등도의 우울정도는10명(6.3%), 심각한 우울은2 명(1.3%)이었다.

자녀가 1명인 경우 정상이 25명(83.3%)이었고 가벼운 우울정도는4명(13.3%),중 등도의 우울정도는1명(3.3%)이었다. 자녀가 2명 이상 인 경우 정상이67명(82.7%) 이었고 가벼운 우울정도는11명(13.6%),중등도의 우울정도는3명(3.7%)이었다.

자녀가 없는 군보다 자녀가 있는 군에서 정상인 응답이 더 높게 나왔다 (p<0.05). 하지만, 그 외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표 7)

구분 우울정도

전체 χ2

정상 경등 중등 심각

성별 여자 187(70.6) 62(23.4) 14(5.3) 2(.8) 265(100.0)

8.536*

남자 1(20.0) 4(80.0) 0(.0) 0(.0) 5(100.0)

연령

20대 61(61.0) 37(37.0) 2(2.0) 0(.0) 100(100.0)

26.526**

30대 73(68.2) 21(19.6) 11(10.3) 2(1.9) 107(100.0) 40대 43(86.0) 6(12.0) 1(2.0) 0(.0) 50(100.0) 50대 11(84.6) 2(15.4) 0(.0) 0(.0) 13(100.0)

학력

전문대졸 70(63.6) 35(31.8) 4(3.6) 1(.9) 110(100.0)

9.178 대졸 79(71.2) 22(19.8) 9(8.1) 1(.9) 111(100.0)

대학원이상 39(79.6) 9(18.4) 1(2.0) 0(.0) 49(100.0) 결혼여부 미혼 83(58.9) 47(33.3) 9(6.4) 2(1.4) 141(100.0)

17.097**

기혼 105(81.4) 19(14.7) 5(3.9) 0(.0) 129(100.0)

자녀수

0명 96(60.4) 51(32.1) 10(6.3) 2(1.3) 159(100.0)

16.281*

1명 25(83.3) 4(13.3) 1(3.3) 0(.0) 30(100.0) 2명 이상 67(82.7) 11(13.6) 3(3.7) 0(.0) 81(100.0) 전체 188(69.6) 66(24.4) 14(5.2) 2(.7) 270(100.0) * : p<.05, ** : p<.01

<표 7> 일반적 특성과 우울의 정도

(29)

2.직업 특성과 우울의 정도

직업 특성과 우울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근속년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모든 근속년수 군에서 정상이 가장 많았으나, 우 울에 관련하여 근속년수가 길수록 정상인 경우가 더 많았다.

근속년수가 짧고 밤 근무를 많이 할수록 우울(경도이상)하다는 반응이 많았 다. (p<0.05). 하지만, 그 외의 직업 특성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표 8)

(30)

구 분 우울 정도

전체 χ2

정상 경등 중등 심각

직위

일반간호사 158(67.5) 61(26.1) 13(5.6) 2(.9) 234(100.0)

4.511 책임간호사 17(85.0) 2(10.0) 1(5.0) 0(.0) 20(100.0)

수간호사 이상 13(81.3) 3(18.8) 0(.0) 0(.0) 16(100.0)

근속년수

1년 미만 12(66.7) 6(33.3) 0(.0) 0(.0) 18(100.0)

19.933

* 1-10년 이하 86(61.9) 44(31.7) 9(6.5) 0(.0) 139(100.0) 10-20년 이하 51(77.3) 9(13.6) 4(6.1) 2(3.0) 66(100.0) 20년 이상 39(83.0) 7(14.9) 1(2.1) 0(.0) 47(100.0)

근무부서

내과계 32(59.3) 19(35.2) 3(5.6) 0(.0) 54(100.0)

20.704 외과계 38(70.4) 13(24.1) 2(3.7) 1(1.9) 54(100.0)

산부인과 12(85.7) 2(14.3) 0(.0) 0(.0) 14(100.0) 소아과 11(57.9) 7(36.8) 1(5.3) 0(.0) 19(100.0) 특수부서 36(72.0) 9(18.0) 4(8.0) 1(2.0) 50(100.0) 응급실 11(68.8) 2(12.5) 3(18.8) 0(.0) 16(100.0) 외래 40(75.5) 12(22.6) 1(1.9) 0(.0) 53(100.0) 기타 8(80.0) 2(20.0) 0(.0) 0(.0) 10(100.0)

밤 근무

안함 88(78.6) 22(19.6) 2(1.8) 0(.0) 112(100.0)

16.734 1-6일 66(66.7) 22(22.2) 9(9.1) 2(2.0) 99(100.0) *

7일 이상 34(57.6) 22(37.3) 3(5.1) 0(.0) 59(100.0) 현 부서

근무 기간

2년 이하 72(66.1) 32(29.4) 4(3.7) 1(.9) 109(100.0)

6.234 2-6년 이하 84(70.6) 27(22.7) 8(6.7) 0(.0) 119(100.0)

7년 이상 32(76.2) 7(16.7) 2(4.8) 1(2.4) 42(100.0) 현 근무

부서 만족도

매우 만족 11(78.6) 2(14.3) 1(7.1) 0(.0) 14(100.0)

2.852 만족 97(71.3) 31(22.8) 7(5.1) 1(.7) 136(100.0)

보통 75(67.0) 31(27.7) 5(4.5) 1(.9) 112(100.0) 불만족 5(62.5) 2(25.0) 1(12.5) 0(.0) 8(100.0) 임상

간호직 종사예정

퇴직시까지 72(75.0) 21(21.9) 3(3.1) 0(.0) 96(100.0)

12.171 필요한 기간만 94(65.3) 40(27.8) 9(6.3) 1(.7) 144(100.0)

그만두고 싶음 12(66.7) 3(16.7) 2(11.1) 1(5.6) 18(100.0) 기타 10(83.3) 2(16.7) 0(.0) 0(.0) 12(100.0) 전체 188(69.6) 66(24.4) 14(5.2) 2(.7) 270(100.0) * : p<.05

<표 8> 직업 특성과 우울의 정도

(31)

3.생활 특성과 우울의 정도

생활특성과 우울의 정도를 보면 건강상태에서는 자신이 건강하지 못하다고 반응 한 사람에서는 우울척도가 경증 혹은 중등도 이상을 보인경우가 많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수면시간에서는 수면시간이 7-8시간을 자는 사람들의 우울척도가 정상반응인 경 우가 더 많았다(p<0.05).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 만족도에서는 일상생활에 만족 할수록 정상인 경우가 더 많았다. 불만 족인 경우에 중등도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의 생활 특 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표 9)

(32)

구 분

우울척도(B D I)

전체 χ2

정상 경등 중등 심각

건강상태

매우 건강 9(90.0) 1(10.0) 0(.0) 0(.0) 10(100.0)

17.701*

건강 99(73.3) 29(21.5) 7(5.2) 0(.0) 135(100.0) 보통 68(66.7) 30(29.4) 3(2.9) 1(1.0) 102(100.0) 건강 못함 12(52.2) 6(26.1) 4(17.4) 1(4.3) 23(100.0)

운동정도

안함 77(61.1) 36(28.6) 11(8.7) 2(1.6) 126(100.0)

12.128 1-2회 73(76.8) 20(21.1) 2(2.1) 0(.0) 95(100.0)

3회 이상 38(77.6) 10(20.4) 1(2.0) 0(.0) 49(100.0)

수면시간

6시간

이하 54(67.5) 18(22.5) 8(10.0) 0(.0) 80(100.0)

13.006*

7-8시간 111(74.5) 33(22.1) 3(2.0) 2(1.3) 149(100.0) 9시간

이상 23(56.1) 15(36.6) 3(7.3) 0(.0) 41(100.0)

가사분담

본인 110(74.3) 29(19.6) 9(6.1) 0(.0) 148(100.0)

14.955 시댁/친정 74(63.8) 35(30.2) 5(4.3) 2(1.7) 116(100.0)

타인 고용 4(100.0) 0(.0) 0(.0) 0(.0) 4(100.0) 기타 0(.0) 2(100.0) 0(.0) 0(.0) 2(100.0)

거주형태

부모/가족

동거 165(72.4) 51(22.4) 10(4.4) 2(.9) 228(100.0)

9.591 형제동거 8(50.0) 7(43.8) 1(6.3) 0(.0) 16(100.0)

혼자거주 13(54.2) 8(33.3) 3(12.5) 0(.0) 24(100.0) 기타 2(100.0) 0(.0) 0(.0) 0(.0) 2(100.0)

일상생활 만족도

매우 만족 6(85.7) 1(14.3) 0(.0) 0(.0) 7(100.0)

43.893*

**

만족 103(84.4) 17(13.9) 2(1.6) 0(.0) 122(100.0) 보통 74(57.4) 45(34.9) 8(6.2) 2(1.6) 129(100.0) 불만족 5(41.7) 3(25.0) 4(33.3) 0(.0) 12(100.0) 전체 188(69.6) 66(24.4) 14(5.2) 2(.7) 270(100.0) * : p<.05, *** : p<.001

<표 9> 생활 특성과 우울의 정도

(33)

C.일반적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및 업무스트레스의 관련성

1.일반적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및 업무스트레스의 관련성

일반적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많 아질수록 (p<0.001), 학력이 대학원이상일 때 (p<0.001), 미혼보다 기혼일 때 (p<0.001), 자녀가 많을수록 정신적 웰니스 가 높게 평가되었다.(p<0.001).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연령이 많고 대학원이상의 고학력, 기혼, 자녀가 많은 경우 정신적 웰니스 도 더 높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표 10)

(34)

<표 10> 일반적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및 스트레스의 관련성

구 분 정신적

웰니스 t F 스트레스 t F

성 별

여자(N=265) 32.87±4.66

.416 180.18±24.91 .069 남자(N=5) 32.00±1.87 179.40±46.09

연 령

20대(N=100) 31.98±4.22

9.823*

**

182.79±23.73

30대(N=107) 32.16±4.51 179.74±27.28 .753 40대(N=50) 35.08±4.54 176.74±25.66 50대(N=13) 36.76±4.49 176.69±18.25

학 력

전문대졸(N=110) 32.30±4.45

16.346

***

180.59±23.16 대졸(N=111) 31.98±4.26 181.16±26.60 .488 대학원이상(N=49) 36.08±4.46 176.97±27.16 결

혼 여 부

미혼(N=141) 31.93±4.20 -3.500**

* 181.84±23.77 1.136

기혼(N=129) 33.86±4.86 178.34±26.87

자 녀 수

없음(N=159) 31.83±4.19 182.00±23.75

1명(N=30) 33.26±4.75

11.345**

*

183.10±29.82 2.013

2명 이상(N=81) 34.71±4.82 175.49±26.18

합계 32.85±4.62 180.17±25.31

*** : p<.001(유의수준)낮을수록 정확도 높다.

(35)

2.직업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업무스트레스의 관련성

직업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업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위가 높아질수록 , 근속년수가 길수록 ,밤 근무를 안 할 때, 근무부서에 만족할수록 정신적 웰니스 가 높게 나왔다.

임상 간호직 종사예정의 경우 정신적 웰니스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년 때 까지 근무하겠다는 사람은 정신적 웰니스 점수가 높고 그만두고 싶다는 군에서는 정신적 웰니스 가 가장 낮게 나왔다.

스트레스와 직업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표 11)

(36)

구 분 정신적 웰니스 F 스트레스 F

직위

일반간호사(N=234) 32.44±4.51

8.814***

181.23±25.03

2.789 책임간호사(N=20) 34.55±3.95 167.40±23.73

수간호사

이상(N=16) 36.87±4.75 180.62±28.47

근속 년수

1년 미만(N=18) 31.88±4.15

7.584***

170.11±15.02

2.325 1-10년

이하(N=139) 31.90±4.17 182.80±24.15 10-20년

이하(N=66) 33.34±5.09 181.40±28.64 20년 이상(N=47) 35.36±4.45 174.48±25.66

근무 부서

내과계(N=54) 32.85±5.49

1.752

184.35±22.76

.433 외과계(N=54) 33.44±4.13 177.00±24.02

산부인과(N=14) 33.14±4.22 184.07±38.50 소아과(N=19) 31.78±4.06 178.68±22.64 특수부서(N=50) 31.90±4.34 179.10±27.35 응급실(N=16) 30.68±4.75 180.43±20.02 외래(N=53) 34.18±4.64 178.98±24.47 기타(N=10) 32.60±2.83 183.30±33.40 밤

근무

안함(N=112) 33.99±4.57

5.952**

177.44±26.54

1.178 1-6일(N=99) 32.02±4.87 182.67±23.51

7일 이상(N=59) 32.11±3.83 181.13±25.76 현

근무 부서 기간

2년 이하(N=109) 32.86±4.25

.007

178.77±24.76 2-6년 이하(N=119) 32.88±4.73 180.82±27.27 .309 7년 이상(N=42) 32.78±5.30 181.95±20.92 현

근무 부서 만족 도

매우 만족(N=14) 35.71±3.31

5.726**

172.78±27.48

1.612 만족(N=136) 33.48±4.64 177.86±26.72

보통(N=112) 31.99±4.51 183.36±23.03 불만족(N=8) 29.37±3.62 187.62±24.44 임상

간호 직 종사 예정

정년 시까지(N=96) 34.94±4.11

11.716**

*

178.08±25.29

1.210 필요한

기간만(N=144) 31.75±4.56 181.20±25.40 그만두고

싶음(N=18) 30.83±4.51 187.94±27.05 기타(N=12) 32.50±3.70 172.75±20.44 합계 32.85±4.62 180.17±25.31 ** : p<.01, *** : p<.001

<표 11> 직업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업무스트레스의 관련성

(37)

3.생활특성과 정신적 웰니스,업무스트레스의 관련성

생활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업무스트레스의 관련성을 보면 건강상태의 경우 정 신적 웰니스 와 스트레스, 운동정도, 수면시간, 가사분담, 일상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운동하는 횟수가 많을 때 , 가사를 도와주는 사람을 고 용하는 경우, 일상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신적 웰니스 는 높으며(p<0.001) 스트레스는 낮았다(p<0.01).

수면시간의 경우 9시간 이상 잘 때 정신적 웰니스가 가장 낮았다(p<0.01)일 상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는 높았다.(p<0.01).(표12)

(38)

구 분 정신적 웰니스 F 업무스트레스 F 건

강 상 태

매우 건강(N=10) 34.60±2.79

10.490***

163.70±25.24

4.277**

건강(N=135) 33.83±4.46 179.40±24.80 보통(N=102) 32.36±4.46 179.44±23.78 건강 못함(N=23) 28.56±4.18 195.04±29.50 운

동 정 도

안함(N=126) 31.28±4.42

15.602***

179.74±24.97 1-2회(N=95) 33.98±4.59 181.51±24.35 .239 3회 이상(N=49) 34.71±3.87 178.65±28.25 수

면 시 간

6시간 이하(N=80) 33.37±4.69

4.976**

179.02±24.48 7-8시간(N=149) 33.14±4.49 180.25±27.03 .200 9시간 이상(N=41) 30.80±4.51 182.09±20.38 가

사 분 담

본인(N=148) 33.35±4.80

3.691*

178.33±25.33 시댁/친정(N=116) 32.07±4.19 182.46±25.51 .629 타인 고용(N=4) 38.25±5.85 184.00±25.49 기타(N=2) 31.00±.00 175.50±9.19 거

주 형 태

부모/가족

동거(N=228) 32.93±4.77

.714

180.08±25.77 형제동거(N=16) 31.37±2.89 177.12±25.95 .545 혼자거주(N=24) 32.95±4.20 182.45±21.91 기타(N=2) 35.00±1.41 187.00±8.48 일

상 생 활 만 족 도

매우 만족(N=7) 38.85±5.08

26.819***

172.42±34.28

4.224**

만족(N=122) 34.67±4.23 177.13±26.73 보통(N=129) 31.34±3.85 181.35±22.02

불만족(N=12) 27.16±4.15 202.75±28.46

합계 32.85±4.62 180.17±25.31 * : p<.05, ** : p<.01, *** : p<.001

<표 12> 생활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업무스트레스의 관련성

(39)

D.우울과 정신적 웰니스,업무스트레스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우울, 정신적 웰니스, 업무스트레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울은 업 무과중 스트레스, 기술부족 스트레스, 대인문제 스트레스, 대우보상 스트레스와 양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적 웰니스 와는 음(-)의 상관관계였다. 즉, 우울 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도 높 아지나, 정신적 웰니스 는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표 13)

구 분

업무 과중

기술 부족

역할 갈등

대인 문제

업무 갈등

심리 부담

대우 보상

동료 관계

업무 외 책임

익숙 치 않은 상황

정신적 웰니스

우 울

상 관 계 수

.212*** .152* .052 .165** .036 .001 .131* .096 .009 .016 -.391***

p .000 .012 .395 .007 .554 .991 .031 .116 .885 .795 .000 * : p<.05, ** : p<.01, *** : p<.001

<표 13> 우울, 정신적 웰니스, 업무스트레스 변수간의 상관관계

(40)

E.정신적 웰니스와 업무스트레스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단변 량 분석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던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신적 웰니스와 스트레스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설명력의

37.2%이었다.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왔다.

정신적 웰니스는 우울 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며,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업무과중, 기술부족, 업무 외 스트레스는 우울 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즉, 정신적 웰니스가 높고, 업무과중, 기술부족, 업무 외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우울은 낮아진다고 볼 수가 있을 것이다. 이 밖에

우울과 관련이 있는 변수로는 성별, 근속년수, 수면시간, 일상생활 만족도가 있었다. (표 14)

(41)

구 분 B 베타 R Square F t

(상수) 2.320

.372 7.372***

.457

일반적 특성

성별 4.998 .114 2.041*

연령 -.808 -.117 -1.120

결혼여부 -1.842 -.155 -1.617

자녀수 -.452 -.068 -.657

근속년수 -2.200 -.317 -3.097**

밤 근무 .708 .092 1.455

건강상태 .491 .058 .997

수면시간 -1.314 -.145 -2.601*

일상생활

만족도 -2.230 -.235 -3.565***

정신적웰니스 -.344 -.268 -4.344***

업무 스트레스

업무과중 .229 .166 2.482*

기술부족 .282 .143 2.065*

역할갈등 -.144 -.102 -1.171

대인문제 .202 .091 1.090

업무갈등 -.255 -.149 -1.933

심리부담 -.134 -.067 -.904

대우보상 .256 .150 1.866

동료관계 .094 .053 .641

업무 외 책임 .220 .129 2.068*

익숙치 않은

상황 -.105 -.069 -.967

* : p<.05, ** : p<.01, *** : p<.001

<표 14> 우울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

Ⅴ.논 의

스트레스는 여러 개념이 복합적으로 내포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불안, 두려움, 불 편감, 정서적 긴장 등의 의미를 상징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유기체 소모반응 인 비 특이적 반응으로 업무와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Selye,1976).업무스트레스는 조직의 요구와 개인의 반응 능력간의 근본적인 불균 형 지각으로서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환경요구(업무)가 개인의 반응 능 력을 초과하든지, 개인의 반응 능력이 환경요구를 초과하든지,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로 정의했다 (강정삼,1993).

업무스트레스란 조직의 구성원이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원천과 상호작용하여 생리적 심리적, 행동적 조건을 변화시켜 정상적인 기능으로부터 이탈하는 상태로써 조직의 구성원과 업무환경과의 부적합 상태이다. 업무스트레스는 업무 수행과정에 서 지각되는 스트레스와 심리적, 생리적, 증후로 지각되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이러 한 업무스트레스는 직장 생활을 하는 당사자가 지각하는 상황과 조건에 따라 상이 하게 발생 한다 (유정민, 2004).

간호 업무스트레스란 간호사라는 전문 직업인들에게서 직업으로 인하여 나타나 는 개인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인 장애를 받을 정도로 부담을 느끼는 상태이다.

복잡한 의료조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그들이 책임을 지고 맡고 있는 환자의 질 병이나 상처에서 위험이 올수 있으며 약물오류의 결과로 오는 위험과 환자의 상태 에 관한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정보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을 경험할 수 있다.

주의해서 돌보아야 하는 환자와 부족한 시간, 환자에게 기울여야 할 관심의 내용 을 결정해야만 하는데서 오는 압박, 분명한 지침이 없는 새로운 의료나 새로운 정 책, 개인자신의 수행이나 간호 직을 수행하는데 윤리적문제등이 간호사에게 스트레 스 요인이 된다(박진주,2006).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보유율은 95%로 40%인 미국과 61%인 일본을 크게 앞서며 세계최고수준이라고 발표한바 있다.

또한 주요10개국 스트레스 조사결과 우리나라는 81%로 1위이며, 행복지수는 178

(43)

개국 중 102위(영국 신경제 재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6년 한국산업안전공단조사결과 직장인의 정신건강문제 및 서비스 요구순위는 1위 업무스트레스예방관리, 2위 정신건강관리로 나타나 직장인들이 업무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보건복지부,2008).

하지만 이러한 당면 과제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책임이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로 업무상 스트레스로 발생한 질병이 산업재해로 인정된 것 외에는 대부분 개인이 감당해야 하는 문제이다.

업무스트레스는 어느 한 직종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직종의 근 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전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업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사를 실 시한바 있는데 이 조사는 전국 규모로 대표성 있게 3개 권역, 총 30146명을 표준 사업 분류에 따라 실시하였는데, 주목할 것은 이 조사에서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종 사자의 업무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세진 등, 2006).

보건 및 사회복지분야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및 기타 의료직 종 사자와 행정직 종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각기 다른 이론적 배경과 전문지식을 가지고 동일한 대상과 목적을 위해 협력적으 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조명수 ,2007).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원인과 반응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원인은 개인생활 사건에 비해 조절하기가 더욱 어렵고, 대상자들이 지각 하는 업무스트레스 원인의 심각도가 증가 할수록 스트레스 반응도 증가되는 것으 로 이해된다. 간호개념이 질병 중심에서 전인간호 개념으로 변화됨에 따라 양질의 간호제공을 위한 숙련된 간호 인력의 확보는 불가피한 실정이며 의료 환경의 변화 로 인해 모든 전문분야가 세분화 되어 간호사의 역할은 더욱 복잡해지고 간호수혜 자의 양질의 간호 요구로 다양한 간호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김모임,1985).

이상으로 살펴볼 때 업무스트레스는 조직 구성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직 무환경 요소와 개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오는 불일치로 인해 느끼는 생리적, 심리적 불균형 상태라고 정의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업무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업무량 과 중,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 대인관계상의 문제, 의사와

(44)

의 대인관계와 업무상의 갈등, 의료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동료와의 불만스런 관계, 업무 외 책임, 익숙치않은 상황 순으로 근무 중에 경험하는 업무스트레스의 평균점수는 180.17 (표준편차 25.32)이었다.

영역별 업무스트레스정도를 보면 업무량과중이 25.31(4.30)점으로 업무스트레스 중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2004년 이미옥의 연구결과에서도 업무량 과중의 평균점수가 23.86(표준편차 3.79)으로 간호사의 업무 중 가장 큰 스트레 스 요인이었다. 그러나 김매자와 구미옥(1984), 서영애(1996), 김현숙(2002)등의 연구결과는 의사와의 대인관계 및 업무상 갈등(25.31)이 직무수행에 가장 큰 스트 레스 요인이라고 하였다.

그 외에도 높은 점수 순서로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 (23.70), 익숙치않은 상황 (19.82), 의사와의 대인관계와 업무상의 갈등(18.22),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17.51),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17.37), 동료와의 불만스런 관계(16.97), 의료의 한 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16.57), 대인관계상의 문제(14.40), 업무 외 책임(10.28) 순 으로 업무스트레스 점수가 나왔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다른 전문분야에 비해 그 정도가 심각하여 특히 업무 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개인 생활사건에 비해 조절하기 어렵고, 업무와 관련된 스트 레스원의 심각도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반응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스트레스원에 노출이 길어질수록 상황조절능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자신의 직업에 대한 불만 족을 야기 시켜 이직현상이 증가된다. 이러한 현상은 환자간호에 까지 영향을 미치 게 되므로 간호사의 스트레스정도와 요인을 파악하여 조절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나선,1999).

홍근표의 연구(1984)에 의하면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영역을 9개로 분류했는 데 간호사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봉급문제이며, 다음은 지 각된 자율성, 병원의 규칙 및 행정, 의사의 업무 위임, 지식 및 기술, 수간호사에 대한 태도, 업무스케줄의 순서로 나타났다.

2004년 9월부터10월까지 서울지역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180명의 일반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영역에 따른 정도를 탐색한 고유경 (2009)연구결과 에서는 간호사가

참조

관련 문서

자신이 채보한 원주민 음악을 남김으로 미국의 음악적 정체성을 표현하려는 수많은 작곡가 들의 손에 의해 재생산됨.. * MacDowell의 인디언 모음곡/ Aaron Copland의

◦ 전반적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DDs)라는 범주 안에 “유아자폐증”(Early Infantile.. Auti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 The specialt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physical therapy was approved and board certified in 1982 by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APTA) House of

Asian Pacific Cancer Congress(APCC)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ASCO)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ASH) European Hamatology Association(EHA) European

 Students nee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grading policies and procedures should meet with their faculty advisor, Executive Director/Chairperson or a

Asian Pacific Cancer Congress(APCC),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ASCO),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ASH), European Hamatology Association(EHA),

Music therapy was used in this study and participants were diagnosed with de- pressive disorder, according to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 th

3) ACC/AHA/ESC 2006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