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5)

E. 정신적 웰니스와 업무스트레스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정신적 웰니스 및 업무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련 요인을 알고 간호사들의 건강과 업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2011년 9월1일부터 9 월28일까지 광역시에 위치한 한 종합병원 임상간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업무스트레스, 정 신적웰니스, 우울측정 도구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내용으로는 일반적 특성, 직업관련 특성, 생활 관련 특성, 업무스트레스, 정 신적 웰니스, 우울정도를 알아보았다.

업무스트레스 및 정신적 웰니스를 비롯한 여러 가지 특성과 우울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으로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 는 빈도분석, 일반적 특성과 우울과의 관련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일반적 특성과 정신적 웰니스, 스트레스간의 관련을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 우울&정신적 웰니스& 업무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였고 정신적 웰니스와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다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의 평균점수는 180.17 (25.32)이었으며 우울평균점수는 7.19(5.94)였고 정신적 웰니스의 점수는 32.86(4.62)이었다. 기준에 따른 가벼운 우울상태의 경우가 24.4%(66명), 중한 우울상태 5.2%(14명 ), 심한우울상태가 0.7% (2명)이었다.

그리고 단변 량 분석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던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신 적 웰니스와 스트레스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독립변수의 설명력 의 37.2%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웰니스는 우울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업무과중, 기술부족, 업무 외 스트레스는 우울 에 양(+)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적 웰니스가 높고, 업무과중, 기술부족, 업무 외 스트

레스가 낮을수록 우울은 낮아진다고 볼 수가 있다.

이 밖에 우울과 관련이 있는 변수로는 성별, 근속년수, 수면시간, 일상생활 만족 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스트레스의 하위변수인 업무량 과중,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업무 외 책임 스트레스는 우울 에 영향을 주며 정신적 웰니스가 높 고, 업무량 과중,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업무 외 책임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우울 은 낮아진다고 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업무량 과중과 기술부족 등 업무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업무에 대한 전문성 있는 영역확대가 필요하며 업무수행 시 인력 의 증원이나 적절한 배 치 등을 통한 적정 수준으로의 업무량 조절이 필요하다.

간호사들의 만족감과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근무조건의 개선 및 업무수행을 위 해 지속적인 교육과 자기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대인관계 또한 협력과 이해가 필요하므로 원만한 의사소통 및 친밀감 형성과 정 신적 건강 및 자기관리의 실천이 필요하며 일관성 있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직장 문화조성이 필요하다. 위험 및 사고 예방에 힘써 안전하고 편안한 근무 환경조성 등 의 물리적 환경개선 도 되어야 할 것이며 임상간호사의 우울측정조사 또한 간 헐적으로 이루어져 간호사들의 우울의 주요 원인들을 알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천을 통해 전반적인 우울 경향의 수준을 조정하도록 하는 노력이 지속 적으로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김명남(1988). “정신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의 소진경험에 관한 조사 연구” 연세대학 교 . 석사학위논문.

구미옥, 김매자(1984,1985). “간호사의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 구 개발연구”. 간호학회지,14(2),28-36.임상간호사의업무스트레스에관한분석적연 구, 간호학회지. 15(3),39-49.

김상국(2001). “한국인의 웰니스에 대한 생활양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 체육학회지”

39(4), 963-982.

김상국1996), 웰니스 개념과 적용, 서울: 도서출판21세기교육사, 13-22.

김미란(2008). “정신간호사의 삶의 질과 웰니스의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김정화, 최은선(2000). “간호사의 업무와 주관적 삶의 질”:신생아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를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8, 31-55.

강정삼(199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교육학연구, vol.31, No.3.

김모임(1985). “2000년대의 간호”. 대한간호, 24(5), pp.9-10.

김영자(1995). “정신과 병동간호사의 일반병동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에 대한비교 연구”. 최신의학사. 38(5). pp33-54.

김윤정(2000). “사회적 지지관점으로 본 가족부양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현숙(2002).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건강상태와 직무스트레스 비교연 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유경(2009). “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역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대한스트레스 학회. 17(3), pp227-236.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2008): 정신보건사업안내.

박해웅, 최수찬(2005).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아 존중감. EAPS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복지조사연구, pp.12-22.

박진주(2006).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석 사 학위.

배인숙(1996). “암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양대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정이,서문자(1989). “간호사의업무스트레스에관한연구”. 대한간호협회지, 19(3):259-272.

서영애(1996).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재은(1999).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경림(2001). “한국여성의 우울증상 실태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1(3): 391-400.

이미옥(2004).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보건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자(1933). “지지적 간호행위가 혈액투석환자의 대처방식에 따라 우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이연수(2000).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련성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논문.

이민규,이영호,박세현,손창호,정영조,홍성국,이병관,장필립,윤애리(1995).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Ⅰ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병리학 .4(1), 77-95.

유정민(2004).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 학원석사학위논문.

이순희(1992). “일부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전남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임혜연(2007). “남성생산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보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라(2003). “말기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과 우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양지원(2007). “의료기관 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세진 (2006).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정확성 및 신뢰성 평가와 사업장 시

범적용에 관한 연구”(2차).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조명수(2007). “장애인 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 트레스간의 관계”. 재활과학대학원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조철호, 김미선(2010).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 직무만족, 이직으로에 미 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대한신경학회 추계학술발표대 회 발표논문집. 366-380.

최현숙(1998).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연세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근표(1984). “간호사의 소진경험에 관한 분석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대 학원.

하나선 (1999). “주장훈련이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과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 간호 행정학회지, 5(1)149-166.

한경희(1996). “종합병원 응급실간호사의 업무분석에 대한 조사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외국문헌

American psychitric Association(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tric Association. Washiongton DC .4.

320-327.

Anspaugh D.a.et al(1994), Wellness: concepts and application. St Louis, MI:

Mosby.

Brian. M.self-reported stress and its effects on nurses (Nurses stan:2001).

Beck AT.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a cognitive model: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NewYork: John wiley andsons:1974)

Beck, A.T(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New York: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Cooper CL, In Kalimo R, El-batawi M: Stress-prone behavior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their relation to health Geneva: WHO,1987.

David, L. S .Marshall,J.(1976).“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49,11-28.

Donovan R. “stress in the workplace: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social casework j contemp social work”. 1987(May); 259-266.

Freud,S.(1957). “A General selection from the works of sigmund Freud”. New York: Double day.

Selye,H.(1976).The stress of life 2nd cd, New York; McGraw-Hill.fects. social science in Medicine 15A:639-647.

Lewinsohn, P.H(1974). “A behavioral approach to depression”.Washington DC:

Winston-wiley.

Maloney JP. “Job stress and its consequences a group of intensive care and nonintensive care nurse ”. (Advanced in Nursing science:1982)

Newman,S.J.,&Struyk, R.1990)."Overwhelming olds:care giving and the risk.of institutionalization".Journal of Gerontology,45.5.S173-183.

Norbeck Js."Perceived job stress, job satisfation and psychological symtoms in critical care nursing" Res Nurs Health; 253-259,(1985)

Rosenthal,D.(1969).“Genetic Theory and Abnormal Behavior”.New: McGrawHill.

Schuler RS, "A role and expectancy perception model of participation decision-mac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80)

Schaefor J. Moos RH: " Effects of work stress and work climate on long-term care staff's job morale and functioning" Res Nurs Health, 19: 63-73,(1996) Weissman, M.M. Myers, J.K.(1987).“Affective disorders in a U.S.Urban

community. Arch Gen psychiatry”,35.1304-1301.

Williams CA. " Empathy and burnout in male and female helping professional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9).

부 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