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2년 8월 교육학석사(영어교육)학위논문

영어 구동사 구조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김 옥 선

(3)

영어 구동사 구조에 관한 연구

2012년 8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김 옥 선

(4)

영어 구동사 구조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이 남 근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영어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4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김 옥 선

(5)

김옥선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최영주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경자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이남근 인

2012년 6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목 차 ABSTRACT

Ⅰ. 서론 ‧‧‧‧‧‧‧‧‧‧‧‧‧‧‧‧‧‧‧‧‧‧‧‧‧‧‧‧‧‧‧‧‧‧‧‧‧‧‧‧‧‧‧‧‧‧‧‧‧‧‧‧‧‧‧‧‧‧‧‧‧‧‧‧‧‧‧‧‧

1

Ⅱ. 구동사의 통사적 특성 과 분류 ‧‧‧‧‧‧‧‧‧‧‧‧‧‧‧‧‧‧‧‧‧‧‧‧‧‧‧‧‧‧‧‧‧‧‧‧‧

3

A. 구동사의 정의‧‧‧‧‧‧‧‧‧‧‧‧‧‧‧‧‧‧‧‧‧‧‧‧‧‧‧‧‧‧‧‧‧‧‧‧‧‧‧‧‧‧‧‧‧‧‧‧‧‧‧‧‧‧‧‧‧‧‧‧‧‧‧‧‧‧‧‧

3

B. 구동사의 통사적 특성‧‧‧‧‧‧‧‧‧‧‧‧‧‧‧‧‧‧‧‧‧‧‧‧‧‧‧‧‧‧‧‧‧‧‧‧‧‧‧‧‧‧‧‧‧‧‧‧‧‧‧‧‧‧‧‧‧

8

C. 구동사의 분류‧‧‧‧‧‧‧‧‧‧‧‧‧‧‧‧‧‧‧‧‧‧‧‧‧‧‧‧‧‧‧‧‧‧‧‧‧‧‧‧‧‧‧‧‧‧‧‧‧‧‧‧‧‧‧‧‧‧‧‧‧‧‧‧‧‧

22

1. 자구동사 ‧‧‧‧‧‧‧‧‧‧‧‧‧‧‧‧‧‧‧‧‧‧‧‧‧‧‧‧‧‧‧‧‧‧‧‧‧‧‧‧‧‧‧‧‧‧‧‧‧‧‧‧‧‧‧‧‧‧‧‧‧‧‧‧‧‧‧‧‧‧‧‧‧

23

2. 타구동사 ‧‧‧‧‧‧‧‧‧‧‧‧‧‧‧‧‧‧‧‧‧‧‧‧‧‧‧‧‧‧‧‧‧‧‧‧‧‧‧‧‧‧‧‧‧‧‧‧‧‧‧‧‧‧‧‧‧‧‧‧‧‧‧‧‧‧‧‧‧‧‧‧‧

25

3. 전치사적 동사 ‧‧‧‧‧‧‧‧‧‧‧‧‧‧‧‧‧‧‧‧‧‧‧‧‧‧‧‧‧‧‧‧‧‧‧‧‧‧‧‧‧‧‧‧‧‧‧‧‧‧‧‧‧‧‧‧‧‧‧‧‧‧‧‧‧

31

Ⅲ. 고등학교 교과서 구동사 현황 ‧‧‧‧‧‧‧‧‧‧‧‧‧‧‧‧‧‧‧‧‧‧‧‧‧‧‧‧‧‧‧‧‧‧‧‧‧‧

33

A. 출판사별 유형별 분석‧‧‧‧‧‧‧‧‧‧‧‧‧‧‧‧‧‧‧‧‧‧‧‧‧‧‧‧‧‧‧‧‧‧‧‧‧‧‧‧‧‧‧‧‧‧‧‧‧‧‧‧‧‧‧

33

1. 디딤돌 ‧‧‧‧‧‧‧‧‧‧‧‧‧‧‧‧‧‧‧‧‧‧‧‧‧‧‧‧‧‧‧‧‧‧‧‧‧‧‧‧‧‧‧‧‧‧‧‧‧‧‧‧‧‧‧‧‧‧‧‧‧‧‧‧‧‧‧‧‧‧‧‧‧‧‧‧‧

34

2. 두산동아 ‧‧‧‧‧‧‧‧‧‧‧‧‧‧‧‧‧‧‧‧‧‧‧‧‧‧‧‧‧‧‧‧‧‧‧‧‧‧‧‧‧‧‧‧‧‧‧‧‧‧‧‧‧‧‧‧‧‧‧‧‧‧‧‧‧‧‧‧‧‧‧‧‧

38

3. 천재교육 ‧‧‧‧‧‧‧‧‧‧‧‧‧‧‧‧‧‧‧‧‧‧‧‧‧‧‧‧‧‧‧‧‧‧‧‧‧‧‧‧‧‧‧‧‧‧‧‧‧‧‧‧‧‧‧‧‧‧‧‧‧‧‧‧‧‧‧‧‧‧‧‧‧‧

42

B. 비교분석 ‧‧‧‧‧‧‧‧‧‧‧‧‧‧‧‧‧‧‧‧‧‧‧‧‧‧‧‧‧‧‧‧‧‧‧‧‧‧‧‧‧‧‧‧‧‧‧‧‧‧‧‧‧‧‧‧‧‧‧‧‧‧‧‧‧‧

46

Ⅳ. 결론‧‧‧‧‧‧‧‧‧‧‧‧‧‧‧‧‧‧‧‧‧‧‧‧‧‧‧‧‧‧‧‧‧‧‧‧‧‧‧‧‧‧‧‧‧‧‧‧‧‧‧‧‧‧‧‧‧‧‧‧‧‧‧‧‧‧‧‧‧‧‧

49

참고문헌 ‧‧‧‧‧‧‧‧‧‧‧‧‧‧‧‧‧‧‧‧‧‧‧‧‧‧‧‧‧‧‧‧‧‧‧‧‧‧‧‧‧‧‧‧‧‧‧‧‧‧‧‧‧‧‧‧‧‧‧‧‧‧‧‧‧‧‧‧‧‧‧‧‧

52

(7)

ABSTRACT

A Study on the English Phrasal Verb Constructions

Kim Ok-sun

Advisor : Prof. Namgeun Lee Ph.D.

Major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features of English phrasal verbs by classifying them syntactically. In addition, current trends with phrasal verbs in use are analyzed by referring English text books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thesi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rasal verbs are examined thorough comparison analysis to prepositional verbs. The phrasal verbs are connected with preceding verbs, but NP follows for prepositional verbs. The phrasal verbs can be characterized by their passivization, particle movement rule, action nominalization, substitution of verb-article into a single-word and so on. NP can be inserted between verbs and particles selectively but obligatorily between pronominals. Distinguishing characters of prepositional verbs include insertion of adverb between verb and preposition, preposition-fronting, pied-piping, verb-gapping etc. With the above characterizations, Verb phrases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phrasal verbs and prepositional verbs. The phrasal verbs are composed of

(8)

divided into separable transitive phrasal verbs and inseparable transitive phrasal verbs.

Based on the described studies, the phrasal verbs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were classified. It showed that entire number of verb phrases was 263 and those of phrasal verbs and prepositional verbs were 166 and 87 respectively. The phrasal verbs include 74 intransitive phrasal verbs and 92 transitive phrasal verbs that comprise 77 separable transitive phrasal verbs and 15 inseparable transitive phrasal verbs. These data indicate that phrasal verbs are used more frequently than prepositional verbs and transitive phrasal verbs were used more often than intransitive phrasal verbs.

This study can be good informa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ho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phrasal verbs.

(9)

. 서 론

우리는 영어 교육에 많은 시간과 돈과 노력을 투자하지만, 국제화 시대에 맞는 언 어소통 능력과 투자에 비례한 영어 능력을 갖추게 되는지 알고 싶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의 영어 교육의 목표는 대학입시를 위한 교육에 초점이 맞춰졌고 저학년은 음성 언어 교육에 중 고등학교이상 부터는 문법 교육에 치중했던 것이 사실이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우리 영어 교육과정은 영어로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왔고, 2009년부터 시행된 제 7차 개정교육과정 외국어 영역 부분은 학생의 적성과 진도를 고려한 실용영어 중심으로 영어회화, 독해, 작문 부분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고 학교 현장에서 많은 수업시간을 할애하고 있지만 실생활에서 학생들이 자 유롭게 외국인과 대화 할 수 있는 지는 의문이다. 많은 학생들이 원어민과의 대화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환경적, 심리적, 실력 등의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한 단어가 아니라 두 단어의 결합으로 형성된 Phrasal Verb(구동사)에 대한 이해 부족 도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어민들은 우리가 초등학교 때부터 배워왔던 쉬운 동사에 전치사나 부사와 같은 것을 더하여, 하나의 의미가 되는, 구동사가 들어간 표 현들을 즐겨 사용한다. 구동사는 동사와 결합되는 첨사(Particle) 또는 불변화사에 따 라 그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완전히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 배우고 쓰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점 때문에 구동사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여러 학 자들에 의해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그런 학자들 중 Bolinger(1971), Danielson &

Hayden(1973), Palmer(1974), Fraser(1974), Hook(1981), Linder(1981), Quirk et al.(1985) 의 구동사에 대해 연구한 분분을 살펴보고 그 연구들을 중심으로 구동사에 대한 통사적인 특징들을 구분해보고자 한다. 그 특징들로 구동사를 분류한 다음 우 리나라에서 출판된 교과서에 나온 구동사들을 유형별로 분류하려고 한다.

본 논문의 분석 자료는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3종으로 두산출판사, 디딤돌, 천재 교육에서 발행된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본문을 중심으로 동사와 첨사(Particle)

(10)

냐에 따라 전치사적 동사(Prepositional Verb)와 구동사(Phrasal verb)로 분류하고, 구동사(Phrasal Verb)는 다시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 타동사적 구동사(Transitive Phrasal Verb)와 자동사적 구동사(Intransitive Phrasal Verb)로 구분해서, 통사적인 유형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 습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영어의 구 동사의 통사적 특징을 밝히고 이에 따르는 유형을 분류하고,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의 구동사의 실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Ⅰ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고, Ⅱ장은 기존의 학자들 의 구동사(Phrasal Verb)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구동사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구동사 (Phrasal Verb)의 특징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통사적인 특징까지 다루어 보고자 한 다. Ⅲ장에서는 현재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교과서를 구동사의 유형과 사용빈도를 분 류하고, 미국 교과서 안에서의 구동사와 비교 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Ⅳ장에는 거 론된 내용들을 요약하고 결론을 내고자한다.

(11)

Ⅱ. 구동사의 통사적 특성과 분류

이번 장에는 동사-첨사(Particle)의 구조로 이루어진 구동사(Phrasal Verb)에 관한 특성들을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구동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내려 보고 구 동사의 특성 부분에서는 구동사와 유사한 형태인 전치사적 동사와의 차이점을 통해 구동사만이 가지는 통사적 특징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로 구동사를 유 형별로 구분해보고자 한다.

A. 구동사의 정의

구동사1)는 동사-첨사2)의 형태로 구성 되어 있으며 첨사가 구동사의 일부분으로 쓰일 때는 전치사나 부사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구동사의 의미는 동사- 첨사의 형태 에서 동사가 가지고 있는 뜻과 첨사가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요소들의 의미로부터 구 동사의 의미를 추측 할 수 없을 때도 있다. 예를 들어 rule out은 rule과 out의 부분 적인 의미의 조합으로 뜻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뜻인 eliminate로 해석이 된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구동사를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겪 고 있다. 이런 어려움 때문에 많은 학자들에 의해 구동사는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해오 고 있다. 이런 학자들은 구동사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아래와 같이 기술해 보았 다.

1) 구동사는 학자들에 따라 Sweet (1891): Group Verb, Kennedy(1920): Verb-Adverb Combination, Aikin(1933): Merged Verb, Robort(1936): Verb-Adverb Locution, Stevick(1950): Poly-word Verb, Taha(1958): Two-Word Verb, Live(1965): Discontinuous Verb. Palmer(1965): Compound Verb, Fraser(1965): Verb-Particle Combination, Quirk et al.(1985): Multi-Word Verb 등으로 명칭을 달리하고 있다.

2) 첨사는 across, after, along, about, at, away 등과 같은 형태에 있어서 대부분 작고 형태적 변화가 없기 때문에 불변화사라고도 번역되지만 본 논문에서는 첨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 다. 본래 첨사라는 용어는 about, in, out, back등과 같은 단어 들이 부사로도 쓰이고, 전치사

(12)

Danielson 과 Hayden (1973)은 구동사를 2단어 동사(two-word verbs)라 불렀 다. 그는 구동사를 분리가능 구조(separable structure)와 비분리 구조(non- separable structure)로 나누어서 보았다. 다음 (1)과(2)의 예문을 보자.

(1) a. He called up his friends.

b. He called his friends up.

(2) a. He called on his friends.

b. *He called his friends on.

(1a)의 문장은 (1b)와 같이 목적어 his friend가 동사 called와 첨사 up 사이에 나타 날 수 있는 경우이고, (2)의 경우는 목적어 his friend가 첨사 on 앞에 나올 수 없다.

따라서 Danielson 과 Hayden 은 (1b)의 구조를 분리가능 구동사라고 하고 (2b)를 비분리 구동사라고 했다.

Palmer(1974)는 동사-첨사 구조를 복합동사(compound verb)라고 부르고, 첨사의 기능에 따라 구동사(phrasal verb), 전치사적 동사(prepositional verb), 구-전치사적 동사(phrasal -prepositional verb)이렇게 세 가지로 나눈다.

(3) He pulled the rope up.

(4) He ran the flag up the pole.

(5) I can't put up with that woman.

위의 예문을 통해서 보면 (3)과 같이 복합동사 pulled up의 첨사 up이 목적어 the rope 뒤에 위치하는 구조를 구동사로, (4)와 같이 동사 ran 뒤에 전치사 up이 붙는 경우를 전치사적 동사, 그리고 (5)에서와 같이 동사 put 뒤, 첨사 up과, 전치사with

(13)

둘 다 붙어 한 의미를 이루는 것을 구-전치사적 동사로 보았다.

Fraser(1974)는 구동사를 관용적 결합에 한정시키고, 이 관용적 결합의 구동사를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6) a. He threw up the ball.

b. Jones pulled off the tablecloth.

(7) a. He sped up the pole.

b. She ran off the stage.

(8) a. He threw up his dinner.

b. Jones pulled off the deal.

Fraser는 (6)과 같이 동사 threw, pull 이 부사 up, off의 결합인 동사-부사 결합 (verb-adverb combination)과 (7)의 예와 같이 동사 sped, ran, 그리고 전치사 up, stage의 조합을 동사-전치사 결합(verb-preposition combination)으로 구분하고 구 동사의 경우는 (8)과 같이 동사-첨사 결합(verb-particle combination)이 관용적으로 쓰일 때를 구동사라고 하고 있다. (8)에서 threw up은 vomit 라는 뜻으로, pull up 은 succeed라는 관용적인 뜻으로 사용 되고 있다.

Hook(1981)는 Danielson 과 Hayden처럼 동사-첨사 구조를 2단어동사 (two-word verbs)라 하고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동사와 결합한 첨사 구조를 가지며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적 동사(intransitive verb), 동사 뒤 목적어가 오고 그 다음 첨 사가 오는 분리가능 타동사적 동사(separable transitive verb), 그리고 동사와 첨사 목적어가 순서대로 와야 하는 분리불가능 타동사적 동사(inseparable transitive verb) 이렇게 세 개로 구분했다.

(14)

(9) The tire suddenly blew up.

(10) a. Tom took the wheel off. b. Tom took off the wheel.

(11) a. The family slowly got into the car.

b. * The family slowly got the car into.

먼저 자동사적 동사의 예인 (9)에서는 동사 blew 와 결합한 첨사 up만 있고 목적어는 없는 형태이다. (9)의 구조를 동사-전치사 구조로 보고 전치사는 그것의 구성성분으로 서 명사구를 취하고, 동사와 분리되면 비문이 된다. 분리가능 타동사적 동사의 예인 (10)에서는 동사took 뒤에 목적어 the wheel이 오고 첨사 off는 그 목적어 뒤에 오 는 구조다. 즉 목적어에 의해 동사 took와 첨사 off가 분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 리불가능 타동사적 동사의 구조는 예(11)에서와 같이 동사 got, 첨사 into, 뒤에 목 적어 the car이 순서대로 오는 구조로 (11b)와 같이 첨사 into가 목적어 the car 뒤 로 가서 동사와 분리되면 비문이 된다.

Linder(1981: 20)는 동사-첨사 구조(Verb Particle Constructions (VPC))를 다음 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문자적인 결합과 관용적 의미의 결합이 통사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둘 모두를 VPC 로 본다고 정의했고, 1983년에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구별하였다. 그는 크게 동사-첨사 구조(verb -particle constructions) 와 동 사-전치사구(verb- prepositional phrase constructions) 구조로 보았고, 동사-첨사 구조는 다시 자동사적 복합동사(intransitive complex verbs)와 타동사적 복합동사 (transitive complex verbs), 문자적인 결합(literal combinations), 관용적인 결합 (idiomatic combinations) 이렇게 넷으로 구분하고, 동사-전치사구 구조는 문자적인 조합(literal combinations)과 관용적인 조합(idiomatic combinations), 두 개로 나 누었다.

(15)

(12) a. The kite floated up. b. John fell and threw up.

c. John tossed the cat out before going to bed.

d. John ran up a bill.

(13) a. He slept on the couch.

b. You may rely on me.

c. Fred laughed at me.

d. John ran up a hill.

(12) (13)의 예들을 위의 기준으로 구분해보면 (12)는 동사-첨사 구조이고, (13)는 동 사-전치사구 구조이다. (12a)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적 복합동사이면서 동사 floated와 첨사up의 결합은 문자적 결합이다. (12b)의 경우에는 자동사적 복합동사이 면서 관용적 결합, (12c)는 타동사적 복합동사이면서 문자적 결합, (12d)는 타동사적 복합동사이면서 관용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13)은 동사-전치사구 구 조로 (13a)와 (13d)는 문자적 결합, (13b),(13c)는 관용적으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 다. Linder는 문자적인 결합과 관용적인 결합 모두 동사-첨사 구조(VPC)안에 포함된 다고 보았다.

Quirk et al.(1985)은 동사-첨사 구조를 다어 동사(multi-word verbs)라 부르고 첨사의 기능에 따라 구동사(phrasal verb), 전치사적 동사(prepositional verb), 구- 전치사적 동사(phrasal-prepositional verb) 이렇게 세 가지로 분류하고 하위범주로 동사가 직접목적어를 취하는지 여부에 따라 TypeⅠ자동사적(intransitive), TypeⅡ타 동사적(transitive) 로 나누었다.

(14) a. The plane has just touched down. b. We will set up a new unit.

(16)

(15) a. Look at these pictures.

b. The gang robbed her of her necklace.

(16) a. The death penalty has been recently done away with.

b. Don't take it out on me.

위의 구분대로 예문을 분류해보면 (14)는 구동사, (15)는 전치사적 동사, (16)은 구-전 치사적 동사로 나눌 수 있다. 목적어를 취할 수 있는 여부에 따라 다시 나눠 보면 (14a), (15a), (16a) 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적 이고, (14b), (15b), (16b)는 각각 목적어 a new unit, her, 그리고 it를 목적어를 갖는 타동사적이라고 구분 지을 수 있다.

Radford(1988)에 따르면 동사는 독특하고 관용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hand out은 distribute, take away는 remove 처럼 문자적인 구동사는 뜻을 어느 정도 예 측 할 수 있지만, clear up은 solve, lay aside는 save로 바꿔 쓸 수 있는 구동사는 동사와 첨사로 뜻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고, 대부분의 구동사는 한 개의 부분으로 뜻 을 유추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즉 구동사는 동사와 첨사라는 두 단어로 이루어져 있 으며 동사나 첨사 한 부분만으로 뜻을 찾거나 유추하기는 어렵고 두 단어가 한 단어 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구동사를 부르는 명칭들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지만 동사와 첨사로 구성되어 있으 며 첨사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동사와 분리되어 목적어 앞이나 뒤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한 단어(single word)와처럼 자동사적인 기능과 타동사적인 기능을 할 수 있 고, 한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 구동사의 통사적 특성

구동사는 동사와 첨사의 결합으로 다른 동사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구동사의 특 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형태가 비슷한 전치사적 동사와 연결되어 설명 할 수밖에 없

(17)

다. 전치사적 동사는 동사 뒤에 첨사가 아닌 전치사가 오고 반드시 명사구와 같이 쓰 여야 한다. 그러나 첨사의 특성상 전치사로도 사용되는 경우들이 있어 전치사적 동사 와 구별되기 어렵기 때문에 구동사의 특징을 열거함으로써 전치사적 동사와도 구별되 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구동사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기술해 보았다.

첫째, Bolinger(1971)에 따르면 구동사는 단일 동사로 대체 가능하다 .

(17) a. Don't egg on the protestors.

b. Come me out.

(17a) 에서와 같이 구동사 egg on은 incite로, (17b)의 come out은 단일동사 exclude로 바꿔 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사는 단일 동사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둘째, 첨사이동규칙은 분리 가능한 타동사적 구동사 에서만 가능하다.

Bolinger(1971)는 “구동사가 타동사라면 첨사는 명사 목적어 앞, 뒤에 올 수 있다,”

라고 했다.

(18) a. He looked up his friends.

b. He looked his friends up.

(19) a. They bought out their competitors.

b. They bought their competitors out

(20) a. John turned off the road.

b. *John turned the roan off. c. John turned off the light.

d. John turned the light off.

(18)

예문 (18)에서처럼 첨사 up은 목적어 his friends 앞에 위치 할 수 있고, 목적어 뒤 에 위치해도 문법적으로 틀리지 않다. (19)의 첨사 out도 목적어 their competitors 의 앞에 위치하거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20a)의 off는 전치사고, (20b)의 off는 첨 사다. (20a) 는 뒤에 따라 오는 명사구 the road와 함께 constituent를 형성해서 off 가 목적어 뒤로 이동하면 비문법적이 되고 (20b)의 off는 동사 turn과 함께 명사구 the light를 목적어로 취하고 목적어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셋째, 구동사가 타동사이면 대명사는 대개 첨사 보다 앞에 위치한다.

(21) a. How did you find that out? b. ?3) How did you find out that?

(22) a. You're putting him on! b. *You're putting on him!

(21),(22)번의 구동사 find out 과 put on의 목적어는 대명사 that, him이다. 목적어 가 대명사일 때는 첨사는 (21a) 와 (22a)와 같이 목적어 뒤에 위치해야한다. (22b)와 같이 목적어가 대명사 him인데도 첨사가 목적어 뒤로 이동하지 않으면 비문이 된다.

넷째, 동사와 첨사 사이에 부사 삽입은 가능하지 않다. Bolinger(1971)는 구동사에 서 부사는 동사와 첨사 사이에 위치할 수 없다. 단 첨사가 가지고 있는 뜻이 글자 그 대로의 의미로 쓰일 때는 예외로 한다고 했다. (23a)의 drew out의 뜻은 ‘넘겨짚어 입을 열게 하다’라는 뜻으로 동사 drew와 첨사 out사이에 부사가 삽입되면 문법적으 로 틀리고, (23b) 의 drew out는 ‘뽑아내다’라는 글자 그대로의 뜻으로 부사가 삽입 되어도 틀리지 않는다. Dixon(1982)에 따르면 부사는 동사와 전치사사이에 자유롭게 위치 할 수 있다고 한다. (25)예에서와 같이 동사 take, came, take 와 전치사 after, by, to 사이에 부사 exactly, slyly, quickly 가 위치해도 문법적으로 오류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25)에서와 같이 동사와 첨사 사이에 부사는 삽입될 수 없다.

3) ? or ?? 표시는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받아들여지는 용인가능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19)

동사 turn 과 첨사 off사이에 부사quickly가 오면 비문이 되고 구동사 turn off와 명 사구 the light사이에도 부사는 올 수 없다. Emonds (1973)는 구동사의 구조가 동사 -첨사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있을 때 부사는 첨사를 수식할 수 없지만 아래 (26)의 예 에서와 같이 첨사가 동사-첨사의 순서가 아닐 때는 다를 수 있다고 했다.

Dixon(1982)은 동사-첨사의 구조에서 부사는 동사와 명사구 사이에 발생할 수 없 고, 부사는 첨사가 명사구 왼쪽으로 이동할 때도 부사는 따라서 움직이지 않는다고 했다. 즉 부사는 일반적으로 동사와 명사구 사이에 들어갈 수 없다. (26)의 예문처럼 구동사 turn off가 분리되어 명사구 the light 가 동사 turn과 첨사 off 사이에 위치 하게 될 때 부사 quickly는 (26a) 와 같이 동사turn 앞에 위치하거나 (26c)처럼 명사 구 the light 와 첨사 off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26b) 와 같이 동사 turn 과 명사구 the light 사이에 오면 비문이 된다.

(23) a. * The debater drew his opponent only part-way out. b. The debater drew the lucky number only part-way out.

(24) a. John takes exactly after his father.

b. He came slyly by a great amount of money.

c. John's mother has taken quickly to his new wife.

(25) a. John quickly turned off the light.

b. *John turned quickly off the light.

c. *John turned off quickly the light.

(26) a. John quickly turned the light off. b. *John turned quickly the light off.

c. John turned the light quickly off (Dixon 1982)

(20)

아래 (27a) 의 예를 보면 부사 happily 동사 get 과 off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러나 (27b)는 가능하지 않다. 왜냐하면 동사 put과 off는 하나의 의미적 단위로서 구 성되기 때문에 부사 happily가 동사 put과 off 사이에 위치하면 비문이 된다. 즉 (27a) 의 off 는 명사구 the train과 연결되어 전치사라는 것을 알 수 있고, (27b) 의 off는 동사 put 과 하나의 unit 이기 때문에 첨사라는 것을 알 수 있어서 그 사이에 는 부사가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짧은 부사구의 경우에는 첨사와 명사구는 분리될 수 있지만 동사- 전치사 구조에서는 전치사와 명사구는 부사에 의해 분리 될 수 없 다.

(27) a. Girls would get happily off the train.

b. *Girls would put happily off the conference.

부사구 pell-mell, without a reply, a broad grin on his face는 (28)에서와 같이 동사-첨사 구조에서 첨사는 의미적으로 동사와 연결되기 때문에 첨사와 명사구 사이 에 삽입은 가능하다. 하지만 (29)에서와 같이 동사-전치사 사이에서는 명사구와 하나 의 unit을 이루는 전치사의 특성상 명사구 앞에 부사구는 들어갈 수 없다.

(28) a. He ran up, pell-mell, the first hill he saw.

b. She looked up, without a reply, the information which I requested.

c. The fisherman reeled in, a broad grin on his face, the line from which a shark dangled.

(29) a. *He ran towards, pell-mell, the first hill he saw.

b. *She looked at, without a reply, the table.

c. *He talked about, a broad grin on his face, the situation.

Fraser (1976)는 right, the heck, completely, etc와 같은 정도부사는 동사-첨사

(21)

순서일 때 첨사를 수식할 수 없지만 동사와 첨사의 관계가 불연속적일 때 첨사는 수 식될 수 있다고 했다.

(30) a. * Mary turned {right/the heck/ completely} off the light.

b. Mary turned the light {right/the heck/ completely} off.

(30a)의 예에서와 같이 동사 turn 과 첨사 off 사이에 정도부사 right, the heck, completely는 위치할 수 없지만 (30b)처럼 동사 turn과 첨사 off가 연속적으로 위치 하지 않고 첨사 이동규칙이 적용될 때에는 명사구 the light와 첨사 off 사이에 정도 부사가 자리 할 수 있다고 Fraser는 말했다.

다섯째, 관계절 문장에서 첨사는 관계대명사 앞으로 이동 할 수 없다

(31) a. The man that they were waiting for was late.

b. The man for whom they were waiting was late.

(32) a. The dress, which she tried on, didn't fit her.

b. *The dress, on which she tried, didn't fit her.

(33) a. The person who he depend on the most is his brother.

b. The person on whom he depends the most is his brother.

관계대명사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는 관계절은 (31)와 같은 두 가지 형식을 보여준 다. 전치사 for는 (31a)에서는 관계절 끝에 위치하고 (31b)에서는 관계대명사 whom 앞에 위치하고 있다. (31a)와 같은 형식은 오직 전치사적 동사에서만 나타나고 구동사 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 아래 (32)의 on은 관계대명사 앞에 나갈 수 없는 구동사이

(22)

여섯째, 수동화는 구동사에서만 가능하다.

(35) a. They stared the man down b. The man was stared down.

(36) a. They called up the girl.

b. The girl was called up.

(37) a. He looked after his aged father.

b. His aged father was whole story.

(38) a. She made up the whole story.

b. The whole story was made up.

(39) a. He turned off the light.

b. The light was turned off.

Bolinger(1971)는 “구동사가 타동사이면 수동화가 가능하다”고 했다. 예문(34a)에서 구동사 stared down은 목적어 the man을 갖는 타동사 이므로 (34b)와 같이 수동태 로 만들 수 있다. 구동사에서는 수동화가 가능하고 수동화로 변형 시 동사-첨사 구조 의 순서에는 변함이 없다. 보통 전치사적 동사에서는 수동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35)-(38)은 구동사 의 구조에서는 동사-첨사 구조가 하나의 단위로 타동사와 같은 역 할을 하므로 수동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아래의 (39)의 from은 전치사로서 뒤에 따라 오는 명사구 this office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from과 분리되면 문법적으로 틀리게 된다.

(39) a. They have called from this office.

(23)

b. ?* This office has been called from.

(40) a. The radio was turned on by John.

b. The meeting was put off.

c. A parking problem was brought up at the meeting.

d. I was taken in by his smooth talk.

Palmer (1987: 234-235)와 Quirk et al. (1985:1164)은 전치사적 동사에서 동사와 전치사의 조합이 글자그대로의 의미(literal meaning)인 경우에는 수동화가 불가능 하다고 했다.

(41) a. *A station was arrived at. b. *The tunnel was gone into.

(42) a. They arrived at a conclusion.

b. A conclusion was arrived at.

(41a) 는 arrived at 이 문자그대로(literal meaning) ‘도착했다’의 의미이고, (41b)의 go into는 ‘들어갔다’의 의미이다. 이 경우에는 수동화로 만들 수 없지만 (42)와 같이 (42a)는 ‘(결론에)도달했다’, (42b)는 ‘(문제를)조사했다’의 관용구의미로 쓰일 때는 수 동화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단어의 의미가 추상적이고 비유적일 때 또는 동사와 첨 부되는 요소들의 뜻이 짐작하기 어려울 때도 수동화는 가능하다.

그러나 Palmer (1987: 234-235)와 Quirk et al. (1985: 1164)는 모든 관용구들에 서 수동화가 나타난다고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아래의 몇몇 예들에서 관용구의 의미 를 가지고도 수동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아래 예문(43)와 같이 take after는 ‘닮다’라 는 뜻으로 상태 동사로서 수동태를 만들 수 없다. 이와 같이 통사적으로 구동사의 목

(24)

동화를 만드는데 제약을 받는다. 예를 들어 (43b)와 같이 taken after가 resembled 로 바뀌어도 둘 모두 타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비문이 된다.

(43) a. *The movie stat is taken after by John.

b. *The movie star is resembled by John.

c. *The old friend was run into.

또 그들은 문자 그대로(literal meaning)의미를 가진 장소 전치사를 포함한 문장은 수동화가 가능하다고 했다. (44)의 예에서와 같이 장소 전치사 in, on이 들어 있어 수 동화가 가능하다.

(44) a. The bed was slept in. b. The chair was sat on.

c. This field must have been played on.

d. These caves were once lived in by primitive men.

일곱째, Pied Piping4)은 구동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구동사나 전치사적 동사가 pied-piped를 허용하는지 여부가 두개를 식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첨사와 명사구 는 성분(constituent)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문장 내에 명사구가 따라온다면 구동 사에서 첨사는 pied-piped를 허용하지는 않는다. 즉 첨사와 동사는 의미적으로 밀접 한 관계가 있어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아래의 예에서와 같이 첨사는 pied piped 할 수가 없다.

(45) a. What did John turn on? b. *On what did John turn? c. What did John put off?

4) Pied-piping (first identified by John R. Ross) describes the situation where a phrase larger than a single wh-word occurs in the fronted position.

(25)

d. *Off what did John put?

(46) a. I will put trousers on.

b. She smoothed the trousers which I would put on. c. *She smoothed the trousers on which I would put.

(47) a. Whom did she look after?

b. ?*After whom did she look? (Quirk et al. 1985) c. The father whom he was looking after.

d. *The father after whom he was looking (Palmer 1987:234) e. Who does John take after?

f. ?*After whom does John take?

(45)의 예에서 첨사 on과 off는 의미적으로 동사 turn과 put 과 연결되어 있어서, 분 리되어 의문사 what 앞으로 Pied Piping 할 수가 없고 (46)도 마찬가지로 첨사 on이 which 앞으로 나올 수 없다. (47)에서와 같이 Quirk et al. 과 Palmer도 예시를 통 해 구동사는 분리되어 wh- 의문사 앞으로 첨사가 올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 나 전치사적 동사에서는 Pied Piping은 발생한다. 전치사적 동사에서는 동사와 전치 사의 관계가 문자적 의미(literal meaning) 일 때 전치사와 명사구는 constituent를 형성하고 동사와는 의미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Pied Piping은 일어날 수 있다.

(48),(49)에서 전치사 with, into, on은 의문사 whom, what, whom 앞으로 이동해도 문법적으로 틀리지 않다.

(48) a. Whom did she agree with? b. With whom did she agree? c. What did she look into?

(26)

(49) a. Whom did he call on?

b. On whom did he call?(Quirk et al. 1985: 1163)

여덟째, 공소화(Gapping5))은 구동사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구동사는 공소화가 불가 능 하나 동사- 전치사 구조에서는 가능하다.

(50) a. Mary bought an orange and Bill bought a watermelon.

b. Mary bought an orange and Bill a watermelon.

(51) a. Girls would get off the train, and boys off the bus.

b. * Girls would get off the train, and boys the bus.

(52) a. *Girls would put off the conference, and boys off the assignment.

b. Girls would put off the conference, and boys the assignment.

위의 예에서 공소화에 대해 알아보면, (50a)에서는 공통적으로 반복 되는 동사 bought가 (50b)에서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51a)에서 전치사 off는 the bus와 함 께 전치사구를 형성하고 동사 get이 생략되어도 문법적이다. 하지만 (51)처럼 동사의 일부분이 아닌 전치사 off가 동사 get과 함께 삭제되어 버리면 비문법적이 된다.

(52)에서는 반대로 off는 동사 put과 함께 구동사를 만든다. 동사의 일부분인 첨사 off는 동사의 공소화가 발생할 때 동사와 함께 삭제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구동사는 동사와 따라오는 첨사가 하나의 단위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Dixon(1982)에 따르면 공소화는 명사구 다음에 첨사가 오는 구조에서도 가능하다고 했다.

5) gapping : 동사의 반복을 삭제하는 변형 규칙.

2개의 절이 등위접속 될 때 뒤의 절에서 공통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이 생략되는 규칙.

(27)

(54) a. Jones pulled the old tablecloth off, and Peter the new one on. b. John kept his anger in and Mary her temper down.

(55) a. *Jones pulled off the old tablecloth, and Peters on the new one.

b. *John kept in his anger, and Mary down her temper.

(53), (54)은 명사구 다음에 첨사가 오는 구조로 (53a)와 (53b) 는 명사구 the new one, her temper 다음에 첨사 on, down의 순서에서 동사 pulled 와 kept가 생략 되어도 문법적지만, (54a), (54b) 는 첨사 on과 down이 명사구 the new one과 her temper 앞에 위치하면서 동사 pulled와 kept가 생략되어 비문이 된다. 특히 공소화 는 접속사 뒤 절, 즉 파생된 구조에서만 가능하고 접속사 앞에 있는 절, 핵심구조에서 는 발생하지 않는다. Svenonius(1985), Farrell (2005)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첨사가 목적어 다음에 위치 할 때, 명사구-첨사 동격 구조는 일어날 수 있다. 아래의 예를 보자.

(55) a. Mary held your hands up and your elbows down. b. Mary turned the TV on and the radio off.

(56) a. *Mary held up your hands and down your elbows.

b. *Mary turned on the TV and off the radio.

(57) a. *Mary looked him through and the proposal through.

b. *Mary sorted the problem out and the clothes out. (Arts 1989)

(55a)에서 첨사 up은 목적어 your hands 뒤에, 첨사 down은 목적어 your

(28)

명사구 the radio 뒤에 위치한 구조에서 동사 held와 turned가 공소화가 되어도 가능하지만, (56a), (56b)는 첨사가 목적어 앞에 위치해서 공소화가 되면 비문이 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일부 구동사에서는 명사구-첨사 순서의 동격 구조가 비문이 되는 경우도 있다. (55),(56)의 첨사 up, down, on, off의 경우와 같이

위치(locative)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공소화가 가능하지만, (57)안에 있는 through, out과 같이 위치 의미를 나타내지는 않는 경우에는 공소화가 나타나면 비문이 된다. Nunberg et al.(1994)에 따르면 관용적 표현에 대한 제약들 중 하나는 표현들이 관용구처럼 해석되기 위해 동사-첨사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발생한다. 즉 이 말은 첨사가 관용구적으로 사용될 때 구동사의 표현은 동사와 첨사가 가지고 있는 의미가 동시에 발생하여 또 다른 한 개의 의미를 만든다는 것이다.

아홉째, Bolinger (1971)는 구동사가 타동사라면 action

nominalization(동작명사화)를 생산해야한다 라고 했다. 구동사는 동작 명사화(action nominalization)6)가 가능하지만 전치사적 동사는 사실명사화(faction

nominalization)만 가능하다.

(58) a. His looking up of the information.

b. *His looking into of the information.

(59) a. The running up of the bill was a matter of minutes.

b. *The running up of the hill was a matter of minutes.

열째, 구동사의 첨사는 동사와 분리되어 문두로 올 수 없다.

6) Lee(1960 : 64-69) 동작명사화(action nominalization) 와 사실 명사화(factive nominalization)처음으로 구분. 형태적인 면에서 of의 사용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함.

a. He brought up the box.

b. His bringing up of the box(동작명사화) c. His bringing up the box(사실명사화)

(29)

구동사의 특징

A1 수동화 The light was turned off.

*The road was turned off.

(60) a. *Up blew the bank.

b. *Out he passed.

(61) a. Out came the sun.

b. Up you come.

c. On we drove into the night.

위의 (61)에서와 같이 came 뒤에 있어야 할 out, up 그리고 동사 drove 뒤에 위치 해야 할 on이 주어 동사가 도치 되면서 앞으로 나오게 되고 동사 뒤에 있어야 할 요 소 들이 동사 앞에 위치하며 문두로 나왔다. 이 경우는 동사 뒤에 붙은 요소가 전치 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사와 전치사의 결합은 한 개의 의미로서 결속력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주어, 동사가 도치되면서 문두로 이동할 수 있지만 (60)에서처럼 구동사 blew up은 한단어로 explode로 passed out은 fainted로 대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예(60)은 의미적으로 분리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동사와 분리되어 첨사가 문두로 나오게 되면 비문이 된다.

위에서와 같이 구동사가 가지는 특징들을 요약해보면 구동사는 단일 동사로 대체 가 가능하고 첨사이동 규칙은 분리 가능한 타동사적 구동사 에서만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사가 타동사이면 대명사는 대게 첨사 보다 앞에 위치하고 동작명사화를 생산해야 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수동화는 전치사적 동사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구동사 만 가지는 특성이다. 아래의 표는 구동사와 전치사적 동사의 통사적 차이를 표로 정 리해 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구동사를 통사적으로 분류해보려고 한다.

표1. 구동사와 전치사적 동사의 특징

(30)

A3 첨사 이동 규칙 We turned the light off.

*We turned the road off.

A4 동작 명사화 His looking up of the information.

*His looking into of the information A5

대명사인 목적어는 동사와 첨사 사이에 위치

You're putting him on!

*You're putting on him!

전치사적 동사의 특징

B1 부사 삽입 We turned quickly off the road.

*We turned quickly off the light.

B2 전치사의 전치 Up the hill John ran.

*Up a bill John ran.

B3 pied-piping What did John turn on?

*On what did John turn?

B4 동사의 공소화 He sped up the street , and she up the alleyway.

*He sped up the process and she up the distribution. B5 관계절 test The dress, which she tried on, didn't fit her.

*The dress, on which she tried, didn't fit her.

C. 구동사의 분류

구동사를 구분하는 데는 앞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이론들이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 는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 (62a)는 동사 wake와 첨사up 만으로도 문장이 이루어지고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자구동사와 (62b)처럼 동사 picked와 첨사 up의 구동사가 목적어 some milk를 필요로 하는 타구동사, 그리고 형태가 비슷하여 혼란을 일으키 기 쉬운 동사와 전치사의 결합인 전치사적 동사 로 나눈다. (62c)는 동사 applied와 명사구 the job을 필요로 하는 전치사 for와 결합된 전치사적 동사이다. 타구동사는 첨사가 목적어 뒤로 이동할 수 있는 여부에 따라 나눌 수 있다. (63)에서와 같이 구동 사 turned on은 첨사 on이 목적어 뒤로 이동이 가능한 분리타구동사와, (64)처럼 첨

(31)

사 across가 목적어 an interesting 뒤로 이동하여 동사 came과 분리되면 비문이 되는 비분리타구동사로 나눌 수 있다.

(62) a. [Wake up]!

V

b. He [picked up] [some milk].

V NP c. He [applied] [for the job].

V PP

(63) a. They turned on the light.

b. They turned the light on.

(64) a. I came across an interesting article.

*b. I came an interesting article across.

1. 자구동사

7)

동사와 첨사의 결합이 동사 뒤의 명사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와 유사한 기능 을 하는 구동사를 말한다. 자구동사의 뜻은 단순히 동사 와 첨사 각 부분의 의미를 조합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고, 한 개의 단어와 같은 새로운 의미8)가 만들어 지면서 자동사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다. (65)에서와 같이 본래 동사와 첨사, 각각이 가지는 뜻이 아니라 catch on은 understand의 의미를 end up은 surrender라는 뜻이고, blow up은 explode의 뜻을 가지며 하나의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그렇게 한 개의 의미를 가지면서 자동사적으로 쓰이는 경우를 자구동사라 한다. 그러나 예외 적으로 (66),(67)과 같이 첨사 그 자체가 스스로의 의미9)를 갖는 경우, 즉 첨사의 뜻

7) 구동사의 명칭에 관한 여러 학자들이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 자구동사 와 타구동사 그리고 타구동사중 동사와 첨사와의 분리 여부에 따라 분리타구동사와 비분리타구 동사로 명칭을 하고자한다.

8) give in(surrender), catch on(understand), blow up(explode), pass out(faint), come

(32)

이 살아 있으면서 자동사적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 (66)에서 첨사 down, in, up의 뜻이 살아 있어 동사와 결합하여 (66a)는 ‘고장나다’, (66b)는 ‘안으로 들어오다’, (66c)는 ‘일어나다’로 해석되고, (67)에서도 첨사 out, across의 의미가 결합하여 (67a)는 ‘밖으로 나오다’, (67b)는 ‘걸어서 건너다’의 뜻으로 해석되면서 목적어를 갖 지 않는 자동사적으로 사용된다.

(65) a. I didn't catch on to the meaning of his joke.

b. I ended up giving in to her and going out for Chinese food.

c. When the missile hit the enemy base, it blew up.

(66) a. My car broke down. b. Why don't you come in? c. Get up at once.

(67) a. An ET came out of the UFO and walked toward me.

b. Wade across a river.

자구동사에서 첨사는 (68), (69)에서와 같이 부사로 인해 동사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68) a. The plane took off quickly and climbed to cruising altitude.

b. * The plane took quickly off and climbed to cruising altitude.

(69) a. She sat down very slowly and began to cry.

b. * She sat very slowly down and began to cry.

(70) a. Go right on. b. Drink right up.

(33)

c. Walk straight in.

(68)에서 동사 took 첨사 off 사이에 부사가 삽입되면 비문이 된다. 즉 예문 (68)의 took off 와 (69) sat down은 한 단어로 대체될 수 있는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70)에서와 같이 동사 go, drink, walk와 첨사 on, up, in 사이에 각각 문자 그대로의 의미 해석이 가능해지면 부사 right, straight가 동사와 첨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문 (71)과(72)처럼 동사와 첨사의 결합이 한 개의 의미로서 결속력이 강하 지 않다면 주어, 동사가 도치되면서 문두로 이동할 수 있지만 의미적으로 분리가 가 능하지 않다면 첨사가 동사와 분리되어 문두에 올수 없고 첨사는 동사 앞에 위치할 수 없다.

(71) a. Out came the sun.

b. Up you come.

c. On we drove into the night.

(72) a. *Up blew the bank. (explode) b. *Out he passed. (faint)

2. 타구동사

아래의 예 (73)처럼 동사와 첨사가 결합하여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적 기능 을 하는 구동사를 타구동사라 부른다. 그러나 타구동사는 뒤에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만 꼭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74),(75)에서와 같이 목적어가 문맥 안에 서 이해할 수 있거나 중요하지 않는 정보일 때는 생략도 가능하다. (74a)는 내리는 곳이 교통수단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고, (74b), (74c), (74d)도 동사 뒤 목적어가 생략되어도 우리가 알 수 있다. 아래 (75)는 첨사가 목적어 앞에 위치하거나 뒤에 위

(34)

(73) a. We will set up a new unit.

b. She looks up her friend.

c. I called off the meeting.

(74) a. Jacob got off at 42nd Street.

b. He was eating. (= He was eating his lunch.)

c. They carried on. (= They carried on the business.) d. He turned over. (= He turned over the page.)

(75) a. I called off the meeting.

b. Jacob got off at 42nd street c. I turned on the light.

d. I turned the light on.

타구동사는 동사-첨사 구조에서 뒤에 오는 목적어 뒤로 첨사가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분리타구동사와 비분리타구동사로 나눌 수 있다. 다음은 분리타구동사에 대한 설명이다.

1)

분리타구동사

구동사를 동사와 첨사를 분리하는 일반적인 규칙이나 원리는 없지만 구동사의 분 리성과 비분리성에 관한 것은 보통 어휘적인 특징에 의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직접목적어가 대명사 일 경우에는 반드시 첨사를 동사와 분리해야한다. 분리되는 구 동사는 주로 대화, 소설, 뉴스 기사에서 주로 발생하고 get back, pick up, put on, look up, make up, take off, take on 등에서 분리되는 경우들이 많다. 분리구동사 는 첨사이동규칙(particle movement rule)에 의해 첨사가 명사구 즉 직접목적어 뒤

(35)

로 이동한다. 아래의 예 (76a)에서 동사 looked 뒤에 위치한 첨사 up은 (76b)처럼 직 접목적어 the address뒤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76) a. Maggie looked up the address.

b. Maggie looked the address up.

대부분의 타구동사는 첨사이동 규칙을 취한다. 하지만 분리타구동사의 직접목적어 가 대명사가 아닌 일반명사일 경우에는 분리여부와 관계없이 문법적으로 틀리지 않지 만 직접 목적어가 인칭대명사 이거나 지시대명사 인 경우에는 첨사이동 규칙은 반드 시 일어난다. (77)과 (78)에서 직접목적어 the ball, the information을 대명사 it으로 바꾼다면 (77d)나 (78d) 와 같이 첨사 이동 규칙을 적용해서 첨사 away 와 up은 직 접목적어 뒤로 이동해야 한다. 직접목적어가 대명사 일 때 첨사 이동 규칙을 적용하 지 않는다면 비문이 된다.

(77) a. Bill threw away the ball.

b. Bill threw the ball away. c. *Bill threw away it.

d. Bill threw it away.

(78) a. He looked up the information.

b. He looked the information up. c. *He looked up it.

d. He looked it up.

아래의 (79),(80)에서와 같이 몇 개 분리 가능한 구동사는 직접목적어가 반드시 동 사와 첨사 사이에 위치해야 하는 타구동사를 영구히 분리되는 타구동사

(36)

get down 과 let off의 첨사 down과 off가 명사구 Janice 와 the thief가 대명사로 바뀌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항상 명사구 뒤에 위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문법적으 로 비문이 된다.

(79) a. That job is getting Janice down. b. That job is getting her down. c. *That job is getting down Janice.

(80) a. The judge let the thief off with a light sentence.

b. The judge let him off with a light sentence.

c. *The judge let off the thief with a light sentence.

Ulm(1975)은 “직접목적어가 길고 음운론적으로 다음절이거나 문법적으로 복잡하다 면, 첨사는 동사 뒤에 위치해야 한다.”라고 했다. 첨사 이동 규칙의 원칙이 예외적으 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아래(81)과 같이 목적어가 길다 면 적용하지 않는다. 첨사 이동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 이유는 아래 (82)와 같은 문장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이다.

문법적으로는 옳은 문장이지만 첨사가 동사와 멀어지면서 복잡해졌다. 이런 문장은 문미 중점10)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Arnold et. al.(2000)은 “길고 복잡한 명사구 (NPs)가 이 원리를 따르지 않으면 문장을 이해하는 과정을 더 어렵게 한다.”라고 주 장한다.

(81) John looked up some information about an early religion in which forces of nature such as fire were worshipped.

(82) John looked some information about an early religion in which forces of nature such as fire were worshipped up.

10) principle of end weight : put long, heavy elements such as complex NPs at the end of a clause or sentence.

(37)

자구동사 타구동사

분리타구동사 비분리타구동사

ask around break down blow up back up ask (sb) out bump into back down break up break off bear out do (st) over come across back up catch on break up beef up get(sb) down come by bend over come apart build up break in let (sb) off come upon

2) 비분리타구동사

타구동사 들 중 일부는 직접목적어가 대명사 일지라도 첨사가 직접목적어 뒤로 이 동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즉 첨사이동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구동사를 비분리타 구동사라고 한다. 아래의 예문 (83), (84)에서와 같이 구동사 come across, run into는 목적어가 대명사 여부와 관계없이 동사와 첨사가 분리되면 비문이 된다.

(83) a. I came across an interesting article.

b. I came across it last night.

c. *I came an interesting article across. d. *I came it across.

(84) a. John ran into an old friend.

b. John ran into him.

c. * John ran an old friend into. d. * John ran him into.

아래의 표는 우리들이 잘 쓰는 구동사를 자구동사, 타구동사로 구분하고 타구동사는 분리타구동사와 비분리타구동사로 구분해 놓은 것이다.

표2. 구동사 분류 목록

(38)

check out die down cheer up bring off see (st) through hit on butt in die out clear up brush off string (sb) along level with check out doze off close down call off   look after

come forward drag on heat up call up   look into

come over dry up open up carry out   pick on

drop around end up slow down clean up   run across

fight back fall behind thaw out clean out   run into

forge ahead fall out wake up clear up   stand by

get away grow up warm up check out    

get by pass away wear down empty out    

get together pass out wear out figure out    

get up show up   fill in    

give in sink in   fill out    

hang out taper off   get back    

leave off w i n d

down   give back    

line up     give up    

move on     hand in    

pay up     hand out    

set off     hand over    

settle down     jot down    

shut up     keep out    

sit down     leave out    

sit up     line up    

slip up     lock in    

start off     look over    

stay on     make out    

strike out     pick out    

take off     point out    

throw up     put off    

      set up    

      sort out    

      take off    

(39)

3. 전치사적 동사

구동사와 형태가 비슷한 전치사적 동사(Prepositional Verb)는 동사 뒤에 전치사가 붙은 형태로 동사와 의미적으로나 통사적으로 관련된 전치사와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전치사는 명사구 앞에 위치한다. (85)의 예문에서 look at, care for, go into는 동사 뒤에 전치사가 오는 구조로 명사구 these pictures, Jane's parties, the problem 앞에 위치한다. (86)과 같이 전치사 for는 명사구 the job 뒤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문법적으로 비문이 된다.

(85) a. Look at these pictures.

b. I don't care for Jane's parties.

c. We must go into the problem.

(86) a. He applied for the job.

b. *He applied the job for.

구동사와는 달리 대부분의 전치사적동사는 동사만 으로도 의미를 추론할 수 있지만 일부는 유추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stand for 는 represent로, call on 은 visit 등이 있다. 구동사 와 전치사적 동사를 형태만으로 문장 안에서 구별하기는 어렵다. 동사- 첨사 의 의미가 동사가 가진 뜻과 별개의 뜻으로 쓰인다면 구동사일 경우가 많고 동사의 의미로 뜻을 유추할 수 있다면 대체로 전치사적 동사다. 하지만 이런 의미적 구분으로 두 가지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전치사적 동사의 특징을 다음 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87)과 같이 동사와 전치사 사이에 부사의 삽입이 가능하다.

(90)처럼 전치사on은 명사구 his sister뒤로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전치사적 동사는 (89)와 같이 의문사 앞으로 전치사가 이동 할 수 있다. (90)처럼 전치사는 의미적으로 연관된 명사구와 함께 문두로 전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치사적 동사의 특징으로

(40)

날 수 있다는 것이다.

(87) Many people looked disdainfully at the picture.

(88) a. He called on his sister.

b. *He called his sister on.

(89) a. He called on hers b. Whom did he call on? c. On whom did he call?

(90) a. Up the hill John ran. b. *Up the bill John ran.

(91) a. He sped up the street and she up the alleyway.

b. *He sped up the process and she up the distribution.

위에서 설명한 구동사를 (93)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92) 동사-첨사 구조 구동사 타구동사 분리타구동사

비분리타구동사

자구동사

전치사적 동사

다음 장 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위와 같이 분류한 대로 구동사와 전치사적 동사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참조

관련 문서

a외의 글자로

a외의 글자로

유동방향을 따라 파짂 표면 구조로 리블렛 현상을 유도.. 리블렛 구조는 상어 비늘 표면의

26 In the present analysis, the combination of the AP and the following NP is thus not a constructional constraint, but is licensed by the lexical properties of the degree

Finally this thesis provides an pragmatic analysis of the as constructions, which argues that the emergence of functional marking of as is attributable

(Attached to a verb) This is used to show that the succeeding action takes place right after the preceding action.. (Attached to a verb) This is used to indicate a

(Attached to a verb or an adjective) This is used to indicate a succeeding action or situation. This is used

제 장에서는 중국어의 은 동사 연사 개사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이를 모 두 의 원형적 의미 에서 파생된 의미임을 보였다 즉 을 동사 로 간주한 것은 원형적 의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