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열"

Copied!
3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4.11.4.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김 기 왕

(2)

13:40

학습목표

이 수업을 마친 학생은 다음 증의 구성 증상을 말 할 수 있다.

① 기허증, 양허증, 혈허증, 음허증

② 기체증, 혈어증, 담증

③ 실열증, 한실증

④ 내풍증, 외풍증, 이습증

병성요소 1

(3)

한열

(4)

병성요소

차고더움의

직접 표현

차고더움의

직접 표현

차고더움의

간접 표현

차고더움의

간접 표현

체온 체온 냉온감각 냉온감각

자각증상 자각증상

타각소견 타각소견

대소변 변동 대소변 변동 활동성 활동성 수분의 상황 수분의 상황 망진소견

망진소견 적/백 편향적/백 편향 설진소견

설진소견 적/백 편향 등적/백 편향 등 맥진소견

맥진소견 지/삭 편향지/삭 편향

한의학의 한열 寒熱 , 무엇을 말하는가

희석·농축 편향 불안·안정 편향 고갈·정체 편향

동적↔정적

(5)

13:40

병성요소 4

체온 냉온감각

대소변 변동

활동성

수분상황

얼굴:적/백 편향 혀:적/백 편향 등 지/삭 편향

열증

열증 한증 한증

체온 상승 체온 저하

추위를 탄다 열감 자각

묽다 진하다

불안정성 증가

(정서·수면) 안정 경향

수분부족

(건조) 수분저류*

적색 편향 백색 편향

주기 감소 주기 증가

한의진단에서 한열의 구분

* 허한증에서

(6)

병성요소

“차다”

희석·풀어짐

백색편향 정적靜的

형한形寒 지냉肢冷

외한畏寒

변당便溏 요청尿淸

설담舌淡 태백활苔白滑

맥침지

脈沈遲

한증 寒證

요소尿少

부종浮腫

수분저류

체온 냉온감각

대소변

맥진소견

설진소견

수분 → 허한증에서

(7)

13:40

병성요소 6

“덥다”

농축

적색편향 동적·불안정

발열發熱

변건便乾 요황尿黃

설홍舌紅

면적面赤

번조煩躁

불면不眠 다몽多夢

맥삭脈數

건조함 구갈口渴

구조口燥 인건咽乾

열증 熱證

체온·

냉온감각 대소변

수분

정서 수면 맥진소견

망진소견 설진소견

(8)

허실

(9)

13:40

병성요소 8

정기正氣의 허

사기邪氣의 실

○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 허증·실증의 통일 기준은 없다!

○ 병적인 상황에서만 허실의 구분이 가능한 것인가?

허실, 정기의 문제인가 사기의 문제인가

『황제내경·소문

素問

·통평허실론

通評虛實論

』:

“邪氣盛則實, 精氣奪則虛。”

=

=

(10)

병성요소

낮고 약함

희안喜按

수척 건장

높고 강함

길다 짧다

허증 실증

거안拒按

무력 유력

평소 개체 특성[素證]으로서의 허실

(11)

13:40

병성요소 10

백색편향

무력/위축

발한 증가 아픔(통증)

답답함·팽만감

국한성 전면성

허증 실증

질병 이환시 증상[病證]으로서의 허실

허증·실증을 구분할 통일적 기준(허증의 공통 증상과 실증의 공통증상)은 존 재하지 않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허증과 실증에서 자주 보인다.

(12)

병성요소

양허증 한실증

화열

음허증 실열증

내풍증 외풍증 (리)습증

기허증 기체증

혈허증 혈어증

진액 담음증

진액부족증

허증과 실증의 범주적 구조

* 대표적 실증 병태를 예시한 것.

*

*

*

(13)

13:40

병성요소 12

소기少氣 단기短氣 나언懶言 성저聲低

무력無力/

체권體倦 신피神疲

육체 피로

정신 피로

호흡 문제

발성 문제

자한自汗

백색편향 무력/위축

면백面白 면색위황 설담舌淡

面色萎黃 맥허脈虛

피로

간접 표현

“기운이 없다” 발한 증가

의 허 = 기허증

(14)

병성요소

두훈頭暈

어지 러움

목현目眩 목혼目昏 목화目花

시각 장애

피부감 각장애

마목麻木

“자양의 결핍”

조직취 약표현

모발불영

毛髮不榮

조갑고취

爪甲枯脆 없음

발한 증가

백색편향 무력/위축

면백面白 구순지갑담백 설담舌淡 맥세脈細 口脣指甲淡白

면색위황

面色萎黃

혈 血 의 허 虛 = 혈허증

(15)

13:40

병성요소 14

“건조함”

구조口燥 인건咽乾

피부건고

皮膚乾枯

양목건삽兩目乾澁

소진少津 조태燥苔

박태剝苔

무력/위축

맥세脈細

맥삽脈澁

자한自汗

발한 증가

도한盜汗

설홍舌紅

농축

변건便乾 요황尿黃

소수消瘦

축소

진액 津液 의 허 = 진액부족증

(16)

기체

혈어

담음

통증 답답함

痛 悶

痛 悶

기, 혈, 진액의 실증

= 기체증, 혈어증, 담음(증) : 공통 증상

(17)

13:40

병성요소 16

아픔(통증)

답답함·팽만감

정서이상

기타1:월경 기타2:적취

협통脇痛 소복통少腹痛

두통頭痛 복통腹痛 유방통乳房痛

滿

이노易怒 심번心煩 정지억울

情志抑鬱 선태식善太息

월경부조

月經不調

기 氣 의 정체 停滯 = 기체증 氣滯證

(18)

병성요소

아픔(통증) 자통刺痛 고정동통 야간동통

답답함·팽만감 없음

암·자 편향

설질자암

舌質紫暗 어점瘀點 어반瘀斑 설하락맥노장

舌下絡脈怒張

청자색 피부

맥의 고착성 증가 맥삽

脈澁

맥결대

脈結代

혈 血 의 정체 停滯 = 혈어증 血瘀證

(19)

13:40

병성요소 18

아픔(통증) 없음

답답함·팽만감

식욕·소화이상 식소食少

오심惡心

구토嘔吐

두훈頭暈

맥의 고착성 감소 맥활脈滑

滿

분비물 침착

가래[痰]

이태膩苔

목현目眩

진액 津液 의 정체 停滯 = 담음 痰飮

※ 여기서는 담의 증상만 요약. 음증(痰飮, 懸飮, 支飮, 溢飮)의 증상은 소개하지 않 음.

(20)

기체증 혈어증 담증

腹痛 脇痛 少腹痛

頭痛 乳房痛

滿

易怒 心煩 情志抑鬱

善太息

月經不調

舌·기타靑紫 舌質紫暗

脈澁

瘀點 瘀斑 刺痛

통증 부위가 일정 야간에 심함

舌下絡脈怒張 脈結代

양, 질, 색, 혼합물 食少

(食慾不振)

滿

惡心 嘔吐 頭暈 目眩

痴呆

膩苔

脈滑 통증

답답함

가래 중초 기 기조체 증상

정서/정 신의 문 기타

설진소

맥진소

부위별 통

통증의 양

월경의 이 뭉침

← 설색 ← 설태의 형태적 특

=식욕, 소화 이상

기체, 혈어, 담의 비교

(21)

13:40

병성요소 20

§ 풍사風邪에 의한 증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뉨 ☞ 내풍증과 외풍 증

§ 모두 풍風에 의해 나타나는 증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증

§ 두 부류의 증 사이에 공유되는 증상이 없음

內風證 外風證

풍 風 : 내풍증과 외풍증

(22)

병성요소

구급拘急

추휵抽搐

마목麻木

두통頭痛

맥현脈弦

해咳 천喘 담痰 흉민胸悶

오한惡寒

발열發熱

맥부脈浮

두통頭痛

신통身痛

수嗽

表 證

내풍증 외풍증

풍 風

근육 활동 장애

감각 저하

두통

맥상:팽팽함

호흡

가래

흉부 증상

맥상: 촉지 위치 상승(얕은 곳 에서 촉지됨)

흉통胸痛

(23)

13:40

병성요소 22

裏濕證 濕

(內濕證)

表濕證 (外濕證)

水寒犯肺證

§ 습사(濕邪)에 의한 증 역시 두 부류로 나뉨

§ 두 부류의 증 사이에 공유되는 증상이 다소 존재하나 표습 증의 범위가 좁고, 외풍증에 포함된 관계로 여기서는 이습 증만을 설명함

: 이습증과 표습증

(24)

병성요소

신중身重

복부의창脹·만滿·비痞·민悶

답답함

식소食少

오심惡心 구토嘔吐

식욕부진 구역질

기부발황肌膚發黃 면황面黃

태니苔膩

맥활脈滑 맥유脈濡

변당便溏 변농혈便膿血 대하帶下

대변 이상 대하

색진 설진

맥진

식욕·소화이상

“무거움”

습성 분비물 ↓

황색편향

이습증 裏濕證

맥의 고착성 감소

(25)

답답함

滿

滿

식욕부진

食少 食少

위기상 역증상

惡心 嘔吐 目眩 頭暈 惡心 嘔吐

身重

便溏 便膿血 帶下

膩苔 脈滑 膩苔

脈滑

肌膚發黃 面黃

痴呆 무거움

대변이상 대하

가래

정신의 장애

發黃

설상 맥상

脈濡

食少

嗳氣 嘔惡酸腐食臭 嘈雜

膩苔 腐苔

식적

脈滑

13:40

병성요소 24

이습 裏濕 , 담 , 식적 食積 의 비교

(26)

한열의 허실

(27)

13:40

병성요소 26

“차다”

희석·풀어짐

백색편향 정적靜的

형한形寒 지냉肢冷 형한形寒 지냉肢冷

외한畏寒 외한畏寒

변당便溏 요청尿淸 변당便溏 요청尿淸

설담舌淡 태백활苔白滑

설담舌淡 태백활苔白滑

아픔(통증)

복통腹痛 수액저류

水液儲留 부종浮腫 요소尿少

맥침지

脈沈遲

맥침지무력

脈沈遲無力 무력/위축

허한 실한

[“한실”]

의 허실

(28)

병성요소

허열 실열

“덥다”

농축

적색편향 동적·불안정 조열潮熱 오심번열

五心煩熱

도한盜汗

발열發熱

변건便乾 요황尿黃 변건便乾 요황尿黃

발한증가

설홍舌紅

면적面赤

번조煩躁

불면不眠 다몽多夢

불면不眠 다몽多夢

번조煩躁

맥삭脈數

태황苔黃

맥세삭脈細數 무력/위축

설홍舌紅

구조口燥 인건咽乾 건조함 구갈口渴 인건咽乾

권홍顴紅

열 寒 의 허실

(29)

13:40 28 五心煩熱

顴紅

舌紅 脈細數 潮熱

便乾 尿黃

口燥 咽乾 煩躁

不眠 多夢

少津 少苔

舌紅 脈數 發熱

便乾 尿黃

口渴 咽乾 煩躁

不眠 多夢

面赤

苔黃

形寒 肢冷

畏寒

小便淸長 大便溏薄

腹(冷)痛

喜溫

舌淡 苔白滑(潤) 脈沈遲

面色㿠白

舌淡 脈沈遲無力

形寒 肢冷 畏寒

小便淸長 大便溏薄

苔白滑

尿少 浮腫

한열 표현

盜汗 自汗

허증증 상(땀) 정서 수면

수분 대사

대소변

실증 증상

타각 소견

실열증 허열증 허한증 한실증

한열허실 4증의 비교

(30)

4대허증

(31)

13:40

병성요소 30

4대허증

• 기허증, 양허증, 혈허증, 음허증의 4개 증.

• 원래는 허로(소모성 폐질환)의 4대 유형이었 으나 현대한의학에서는 허증의 대표적인 유형 으로 확장 해석하고 있음

• 다양한 하위증을 도출함

(32)

병성요소

4대허증의 범주적 구조

4대허증

기허증

혈허증

양허증

음허증

한열 지표를 포함

(33)

13:40

병성요소 32

4대허증 ① 기허증

기허증

호흡

육체피로 정신피로 음성

색진

少氣 短氣

기 운 없 음

설진 맥진

懶言 聲低 無力

神疲

(體倦)

自汗

面白 面色萎黃

舌淡 脈無力 氣虛證

(34)

병성요소

4대허증 ② 양허증

양허증

호흡

육체피로 정신피로 음성

색진

少氣 短氣

기 운 없 음

설진 맥진

懶言 聲低 無力

神疲

(體倦)

自汗 面色㿠白 舌淡

脈沈遲無力

타각적

자각적

形寒 肢冷 畏寒

소변 대변

小便淸長 大便溏薄

苔白滑

부종

尿少 浮腫 陽虛證

(35)

13:40

병성요소 34

기허증과 양허증의 관계

少氣 短氣

懶言 聲低 無力

神疲 自汗

形寒 肢冷 畏寒

小便淸長 大便溏薄

尿少 浮腫 面色蒼白

面色萎黃 面色㿠白

舌淡 苔白 苔滑

脈無力 脈沈遲

기허증

양허증

寒象

(36)

병성요소

4대허증 ③ 혈허증

혈허증 어지러움

시각장애

색진

目眩 頭暈

설진 맥진

毛髮不榮

面白 舌淡 脈細

目昏 目花

영양장애 爪甲枯脆

감각저하 麻木

面色萎黃 口脣指甲淡白 血虛證

(37)

13:40

병성요소 36

4대허증 ④ 음허증

음허증

어지러움

색진

目眩 頭暈

설진 맥진

五心煩熱

顴紅 舌紅 脈細數 潮熱

盜汗

便乾 소변

대변

尿黃 건조함

口燥 咽乾

정서 煩躁

수면 不眠 多夢

少津 少苔 陰虛證

(38)

병성요소

혈허증과 음허증의 관계

음허증 혈허증

目眩 頭暈

脈細 毛髮不榮

目昏 目花 爪甲枯脆 麻木

面白 面色萎黃 口脣指甲淡白 舌淡

顴紅

脈數

舌紅 少津 少苔 五心煩熱

潮熱 口燥

咽乾

煩躁 不眠 多夢 便乾 尿黃

熱象

盜汗

참조

관련 문서

By emphasizing sorrowful and unfair features of Meiji children and women, she wanted to expos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under-represented Meiji class and

기하는 일상생활 속에서 인간의 필요에 의해 독립된 학문으로서 가장 먼저 그리 고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발전해 온 것 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에 있어서도 다

그러면 우선 당시 국가에서 수취할 수 있는 세원이 줄어드는 가장 중요한 원인 이 되었던 강남지역의 토지겸병과 그에 따른 세량 징수의 불균등한 실태를 살펴보

형태적 특징 습윤도 苔質...

폐기허증 面色㿠白 폐기쇠절증 面色㿠白 신기허증 面色㿠白 신기불고증 面色㿠白.

發熱 惡熱 自汗 口渴 喘 小便短赤 心煩 舌紅 舌苔黃燥 脈洪數. 潮熱 便秘 泄瀉 황٠취 腹脹 腹痛 拒按

오삼계 군대 북경 도착 전에 이자성 군대 북경 점령.. 숭정제, 景山 동쪽 경사길

脣亡齒寒 2000년대 이후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현황 을 살펴보고 북한경제의 중국예속화에 대한 전망과 우리의 대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