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구려토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구려토기"

Copied!
5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토기문화의 전성기 삼국시대

고구려토기

1. 제작기술 : 황갈색이나 흑회색 泥質 토기, 표면 마연 無文 위주, 暗文·波 狀文 , 銘文 토기

2. 압록강 중류 및 혼강유역 일대 청동시시대 공귀리유형토기 및 미송리형 토기에서 연원 : 재래토기전통 + 전국말∼漢初 회도제작기술, BC 2∼1세 기 무렵 고구려 토기 형성 → 노남리형토기

3. 주요 기종 : 광구장경사이옹, 원통형삼족기, 반, 뚜껑, 평저의 동이형 시루, 횡으로 대상파수가 붙은 동이 등

4. 주요 연대 자료 : 평양천도(427년), 서울 몽촌토성, 서울 구의동보루유적,

청원 남성

(2)

고구려토기편년안(박순발)

(3)

[고구려토기 편년안(최종택)]

[시기별 고구려토기분포]

(4)
(5)
(6)

[평양 지경동 1호분 출토 광구호와 시루]

[미송리형토기]

(7)

몽촌토성

(8)

[서울 구의동유적]

(9)

[서울 구의동유적]

(10)

[신라토기 ]

1) AD 4세기 무렵 경주 일대를 중심으로 원삼국시대의 토기 문화 전통을 일부 계승하면서 형성됨 2) AD 4세기 말~5세기에 걸쳐 영남 지역 일원으로 신라토기가 확산 : 신라 영역의 확대와 밀접하게

관련 (청원 문의면 미천리고분군에서 5세기말~6세기 전반 무렵의 신라토기 출토 : 백제가 웅진 천도로 인해 약화된 것을 기회로 신라가 소백산맥 以西지역에 진출한 표식적 유적)

3) 6세기 후반~통일신라 : 그릇 표면 전체에 도장 같은 것으로 문양을 찍어 새긴 印花文 土器 유행 4) 주요 토기 기종 : 상하 엇갈리게 2단으로 장방형의 구멍이 있는 有蓋(뚜껑이 있는)고배, 鴨形토기

(오리모양토기 : 경주일원에 주로 분포, 古新羅의 영역과 대체로 일치), 器臺, 臺附長頸壺(굽이 달린 목긴 항아리) 등

(11)

황오동 385- 10번지고분(좌)

신라토기 유개고배 편년(이희준) 신라토기편년(김용성)

월성로

가6호분(우)

월성로 가13호분 황남대총

천마총,안계리 계림로30호분

(12)

신라 전기양식토기 편년(최병현)

(13)

합천 저포리D-1호분 : 562년 대가야 멸망 후

부산 복천동65호분 : 단각고배와 중국청자 황룡사(553년 기공,569년 완공, 584년

금당 조성) 기반토 출토토기

(14)

경주 출토 신라토기

각종

(15)

경주 월성로 가6호분

(16)

경주 월성로가13호분

(17)

황남대총 남분

(18)
(19)
(20)

미추왕릉지구 계림로 48~53호분 발굴모습 및 30호분 출토 토우장식호

(21)

천마총과 안계리

(22)
(23)

경산 임당조영고분군

(24)

장식성이 풍부한 신라토기

(25)

龍院里古墳

花城里古墳

水村里古墳

鳳鳴洞, 新鳳洞古墳 松節洞古墳

松垈里古墳 主城里古墳

長院里古墳

下鳳里古墳 淸堂洞古墳

米川里古墳

남성골산성

(26)

의성지역양식 토기

(27)

水滴形文분류도(홍보식)

종장연속문 분류도(홍보식)

종집선문, 팔자선문, X자선문 분류도

(홍보식)

(28)

신라후기양식토기 분류(홍보식)

(29)

신라후기양식토기편년(홍보식)

(30)

통일신라

인화문토기

(31)

[가야토기 ]

1) AD 4세기 이후 각 지역별로 조금씩 토기문화 양상이 다름 : 가야가 여러 나라로 이루어져 있 던 것과 관련되었을 가능성

2) 김해(금관가야), 함안, 진주-사천, 창녕, 고령 (대가야) 등 각 지역별로 지역색이 강함,

3) 고배형 기대, 파배(손잡이 달린 잔), 외절구연

고배(김해․부산) 등

(32)

김해 양동리고분군

(33)

김해-부산지역 1~5세기토기편년(홍보식)

[부산 김해양식 토기 : 금관가야]

김해 대성동 2호분

* 외절구연고배

* 손잡이 있고 굽다리가 낮은 노형(爐形)기대

(34)

4세기 전반 부산 복천동 고분군 4세기 후반

(35)

5세기 전엽

(36)

5세기 중엽

(37)

5세기 후엽

(38)

[대가야토기 ]

박천수 편년안

• 상하 1열 2단투공 고배(점차 납작하고 소형화)

• 유개 장경호(점차 목이 직립)

• 여러 단의 삼각형 투창이 1열로 뚫린 발형기대

• 뱀모양 세로띠 4줄 붙인 화려한 통형기대

(39)

고령 쾌빈동1호 목곽묘

고령 반운리 토기

고령 지산동30호 석곽묘 고령 지산동32호 석곽묘:

대가야식 冠

(40)

대가야양식토기와 ‘大王’

銘 장경호(충남대소장)

(41)

대가야 양식기대(좌:고령 지산동 30호, 우:합천 반계제가B호)

(42)
(43)

합천 옥전

합천 옥전고분군

(44)

합천 창리A지구2호분

합천 창리A지구 41호분

(45)
(46)

장수 삼고리고분군

(47)

진안 황사리고분군 :

백제+대가야

(48)

좌 : 함안 황사리와 도항리고분군(4세기대), 우 : 함안 도항리고분군(5세기대)

• 삼각형과 화염형 투창의 고배, 고리형 파수

• 목이 밖으로 벌어진 무개식 장경호

• 굽다리가 좁고 긴 발형기대

함안양식(아라가야)

토기편년

(49)
(50)
(51)

진주-고성양식(소가야) 토기편년

• 굽다리 하단에 돌대가 돌아가고 1단의 세장방형 투공이 있는 유개고배

• 수평구연호(水平口緣壺 : 구연부가 수평면에 가깝게 외반되어 있는 장경호)

(52)

진주 수정봉 2호분(좌), 7호분(우)

(53)

고성 송학동고분군 (古自國)

소형봉분 토광묘→

대형봉분 수혈식석곽 → 대형봉분 횡혈식석실 → 대형봉분 횡구식석실 → 화장묘

IB-1호석실

(54)

IB-1호석실

IA호 석곽

(55)
(56)

창녕

송현동7호분

(57)

아차산보루

참조

관련 문서

그 후 요나라 토벌 전에선 도통군인 올안통을 죽이고, 방납 토 벌전에선 ,남리원수 석보와 정표 등을 죽여 두령들의 원수를 갚는 등 수없이 많은 공을 세우게 됨..

3.소속에 따른 심판의 인지도에서는 심판의 공정성요인은 편파적이다는 응 답에 가깝게 응답하였고(p<. 01),심판의 경험요인은 고등학교,대학교,일반선수

By emphasizing sorrowful and unfair features of Meiji children and women, she wanted to expos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under-represented Meiji class and

이와 더불어 이 구상안의 현실화를 위한 몇 가지 모형(Model)들이 전문가집단 사이에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제주 ‘平和의 섬’ 모형에 대한 합의

에 가깝게 일정한 phase가 존재하는데,이는 모든 시편의 표면에서 부동태피막 24) 같은 부도체적인 피막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고 있다.다층막으로 코팅한 시편의..

면백 面白 구순지갑담백 설담 舌淡 맥세

Yàoshi nǐ zhēnde qù Měiguó liú xué, kěyǐ dào wǒ jiā wánr?. 王

* 차량의 배터리는 트렁크 하단에 있지만 점 프 스타트시에는 엔진룸에 있는 점프스타 트 단자를 이용하십시오.. 엔진룸 점프 단자로 점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