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ISTI MARKET REPORT Vol.1 Issue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KISTI MARKET REPORT Vol.1 Issue 1"

Copied!
3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신재생에너지

New Renewalable Energy

바이오 디젤 결정형 실리콘태양전지 도시광산업

바이오제약(자원)

Bio Medicine (Resources)

(2)
(3)

생생한 산업시장정보는

기업 비즈니스 성공의 열쇠

2010년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한 단계

도약하는 해였습니다. OECD 국가 중 최고의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과학

기술계 내부적으로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상설화 등을 토대로 과학기술

선진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이러한 국내외적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국가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하고자 2010년에도 지속적인

혁신을 추진했습니다. ‘고객가치를 창조하는 세계 일류정보기관’

이라는

비전에 발맞춰 전 사업을 고객맞춤형으로 체질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는데 집중하여 고객 가치 창출을 위해 연구 현장, 산업

현장으로 직접 뛰었습니다.

2011년 KISTI는 중소기업의 성공을 이끌어내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산업정보분석을

통한 핵심고객의 R&BD 정보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합니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의

일환으로 KISTI 주요 고객에게 신성장동력 분야에서의 사업기회와 연구개발기획 탐색에 필요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자「KISTI MARKET REPORT」

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KISTI MARKET REPORT」

는 비즈니스 중심의 월간 정보분석지로 신성장동력 분야 내 녹색기술

산업, 첨단융합산업, 고부가가치서비스산업, 제조기반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KISTI의 분야별 전담

연구원이 작성한 최신 분석정보를 담게 됩니다. 주제 분야별 대상 제품 개요, 시장동향 및 예측, 시장

경쟁상황, 분야 주제 전망 등을 다루며 주제 분야의 핵심 이슈를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4)

Contents

신재생에너지

바이오 디젤

바이오 디젤 : 보급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

태양전지

결정형 실리콘태양전지 : 산업 가치사슬 내 특성과 전망

폐자원/바이오매스

도시광산업 : 습식제련형 도시광산업 시장특성 및 전망

03

07

11

16

20

24

신재생에너지

바이오제약(자원)

바이오 의약품

항체치료제 : 항체바이오시밀러의 도전과 기회를 맞는 우리의 자세

바이오자원 신소재 장기

인공관절 : 시장전망에 따른 성공전략

바이오매스 유래 바이오화학제품

바이오플라스틱 : 시장 확대의 요건과 전망

Vol.1 Issue 1 March 2011

발행일 2011년 3월(통권 01호) 발행인 박영서 편집인 박창걸 발행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획위원 문영호, 손종구, 이일형, 김강회, 김은선, 김기일

분원 130-74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정보분석본부 산업정보분석실 www.kisti.re.kr 전화 02-3299-6036 팩스 02-3299-6041 E-mail cgpark@kisti.re.kr

(5)

신재생 에너지

New Renewalable Energy

│산업정보분석실 손종구│

Tel : 02-3299-6037│e-mail : jkson@kisti.re.kr│

(6)
(7)
(8)

자료 : 경기개발연구원, 바이오디젤을 활용한 차량연료 공급방안, 2010.12

바이오디젤 보급 활성화 지원정책의 최대

관건은 면세제도

고유가 시대가 지속되면서 에너지원의 다양화, 석유위기 대응, 환경개선 등을 위해 경유에 혼합되어 보급되어온 바이 오디젤은 대기환경 개선, 온실가스 감축 등의 성과를 거두면 서 친환경 대체에너지로서의 입지를 완만히 다져오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디젤의 생산원가는 정유가격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주요국가 에서는 바이오디젤에 면세 등 각종 세금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이로 인한 세수감소 등의 부작용도 유발되고 있으며 식량자원을 원료로 사용하여 농산물 가격 상승의 한 원인 으로 파악되면서 식량난을 부추기고 있다는 관점에서 바이오디젤의 보급에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는 2008년 비슷한 수준까지 내려 갔던 바이오디젤의 경유 대비 상대가격은 곡물가격 상승에 따라 2009년에는 크게 상승되어 원가 경쟁력 상실이 심화 되고 있다. 바이오디젤의 가격전망 역시 2020년 이후에야 경유수준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보여(지식경제부, 제2차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계획, 2010.12.30.) 향후에도 면세 혹은 의무화제도 없이는 보급이 어려워 재정 지원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하지만 면세 지원에 의한 바이오 디젤의 보급체계 에서는 보급량 증가에 따라 정부 재정수입이 감소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정부 부처 간의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미국, 영국, 독일 등은 정부의 재정 부담으로 수송용

화석연료 공급업자를 대상으로 한 의무혼합제도

(RFS; Renewable Fuel Standard)를 도입”

세계 각국들은 보급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으로 면세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였으나 정부의 재정 부담으로 미국, 영국, 독일 등 의무혼합제도(RFS; Renewable Fuel Standard) 도입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은 2007년, 독일은 2007 년 영국은 2008년부터 수송용 화석연료 공급업자를 대상 으로 한 의무혼합 제도를 시행 중이다. 바이오디젤에 대한 경제성의 논리는 대기질 개선, 유휴 농경지의 에너지 작물 재배 등의 사회적 편익을 고려할 경우 보급 활성화가 바람직 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각국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 정책이 우선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주변 여건을 반영하여 우리나라 정부는 2010년 12월 30일, ‘제2차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계획’을 통해, 경유의 바이오디젤 혼합 비율은 현재의 2.0%를 당분간 유지하고, 2011년 말 종료 예정인 바이오디젤 유류세 면제 제도를 대신 하여, 의무혼합제도 도입을 준비하기로 하였다.

“ 우리나라는 2011년 일몰 예정인 현행 면세제도를

대신해 의무혼합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안정적

이고 예측 가능한 사업여건을 조성할 필요 대두”

바이오디젤 보급에 있어 단기적으로 최대의 관건은 면세 제도인데, 면세 중단시 바이오디젤은 가격경쟁력을 잃을 것이 우려된다. 그리고, 한시적인 면세제도에 의한 보급은 보급확대에 따른 재정부담을 유발하므로, 2011년 일몰 예정인 현행 면세 제도를 대신해 의무혼합제도를 반드시 도입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사업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의 의무 사용제가 도입될 경우 바이오 디젤의 혼합 비율이 두 자리수대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향후 바이오디젤의 시장규모는 대폭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 분 미 국 영 국 독 일

제도명 (Renewable Fuel Standard)RFS

(9)

신재생 에너지

New Renewalable Energy

│산업정보분석실 박창걸│

Tel : 02-3299-6036│e-mail : cgpark@kisti.re.kr│

(10)

2015년경에는 보조금 지원 없이 경제성을

확보하는 그리드 패러티 도달

태양광 발전은 타 에너지원에 비해 경제성이 낮아 발전차액지원제(FIT, Feed In Tariffs)와 의무할당제 (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Incentive)등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시장을 확대하는 가장 큰 동력이 되고 있다. 발전차액지원제는 정부가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10~20년간 정부가 정한 일정한 가격으로 구매해 주는 고정가격제 방식이다. 이에반해 의무할당제는 정부가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으로 에너지의 일정비율을 신생에너지로 공급 도록 의무화하는 방식이다. 태양광발전 단가는 결정형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 1.3달러/Wp (Wp : peak Watt), 박막형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 1.6~1.7달러/Wp 수준 이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개발 속도를 전제로 하면, 2015년경에는 보조금 지원 없이 경제성을 확보하는 그리드 패러티*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개발과 상업화수준

태양전지는 제조방법에 따라 실리콘, 박막형, 유기물 태양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 실리콘 웨이퍼 기반으로 제조하는 결정계 태양전지와 유리 기판 위에 화학물질을 증착하여 제조하는 박막계 태양 전지가 기술개발과 상업화에서 가장 앞서 있다.

“기술적으로는 결정형 실리콘계가 고가임에도

높은광변환효율로시장의85% 수준을차지하고

있고15%를박막형이점유하고있는데그비중은

지속적으로 커질 전망”

특히, 결정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광변환 효율이 높고 물질의 물적 안정성이 좋아 태양전지 시장의 85%를 점유하고 있다. 이는 웨이퍼에 전극 구조 및 광변환층의 Doping 공정의 차이에 따라 Screen Printing, Back Contact, HIT 등의 구조로 구분 되며 현재 결정형 실리콘 태양전지 시장의 대부분이 저원가의 Screen Printing 공정으로 제조되고 있다. 박막형은 낮은 광변환 효율이라는 단점으로 결정형에 비해 시장비중은 10~15% 전후 수준이나 경제성과 활용성 면에서 그 비중은 커질 전망이다.

자료 : Korea Photovoltaic Conference 2010, 금융기관 발표자료 종합

[태양광 부문별 그리드 패러티(Grid Parity) 달성기준 ] * 그리드 패러티 (Grid Parity)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원에 의해 생산된 전력가격이 화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 가격과 같아지는 것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일반요금의 2~3배 가격으로 장기구매 [ 독일 : 20년, 연간 15% 인하, 37.9~46.8 c/kwh 한국 : 15년간 누적기준 100MW까지 716.4원→677.38원/kwh] C FIT(Feed In Tariffs): 발전차액지원제도 (기준가격의무구매제)

유럽(Spain, France, UK등), 미국 (CA, MN ,WA), 일본, 브라질, 캐나다(Ontario), 한국 주요 내용 적용 국가 전력생산자가 발전의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 영국, 이탈리아, 스웨덴, 호주, 미국(25개주), 한국(2012년 시행)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Incentive):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자료 : 금융기관 발표자료 요약

(11)

태양광발전산업의 가치사슬 내 특성과 전망

현재 시장의 85%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결정형 실리콘을 기준으로 볼 때‘실리콘 → 잉곳/웨이퍼 → 태양전지 셀 → 태양 전지 모듈 → 태양광 발전 시스템’등으로 태양광 발전 산업 가치사슬*을 정리할 수 있다. 태양광발전 산업 내에서도 2011년 기준으로 국내외 폴리 실리콘업체의 PER(주가수익비율 : Price-Earnings Ratio) 값은 11~16배 수준이며 셀·모듈업체의 경우 5~20배 수준 이며 태양광장비 업체는 10~16배 수준이다. 이와같이 각 부문별 시장의 세부양상과 전망은 달라질 수 있어 거시적이고 미시적인 안목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 산업 내 가치사슬에서 Upstream 으로 갈수록 생산 공급업체 수가 많다. 수익성면에서는 진입장벽이 높은 폴리실리콘 분야와 원재료 부품가격 하락 효과를 누리는 시스템 설치 및 서비스 분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 태양전지 기술별 광효율과 상용화 수준] [태양광산업 가치사슬 내 업체 수와 수익성]

결정형 실리콘 태양전지

자료 : Frost & Sullivan 2008. 자료 이용 KISTI 재구성

* 산업가치사슬 (Industry Value Chain)

(12)
(13)

│산업정보분석실 박선영│

Tel : 02-3299-6024│e-mail: sypark@kisti.re.kr│

도시광산업

습식제련형 도시광산업

시장특성 및 전망

03

폐자원/바이오매스

폐가전제품 재활용을 통해 귀금속 및 유가 희유금속 자원을 회수하는

도시광산업

도시광산은 1980년대 일본 토호쿠대학(東 大學) 선광제련연구소의 난조 미치오(南條 道夫) 교수진에 의해 금속 재활용의 의미로 최초로 사용된 개념이다. 이에 따르면, 생활 및 산업 폐기물 중에서 광물질을 순환자원으로 간주하여‘회수 → 분리→ 선별→ 제련/정련’과정을 거쳐 폐기물 내 함유금속을 산업원료로 재공급하는 산업을 지칭하며 주로 귀금속(금, 은 등), 희유금속(In, Mo, Nb, V 등), 일반비철(Cu, Al, Zn, Pb 등) 등을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 물질재료연구소가 추정한 일본 도시광산의 금 축적량은 약 6,800톤, 은은 약 6만 톤, 인듐은 약 1,700톤에 이르는 등 세계 최대의 금 자원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매 장량 6천 톤을 웃도는 규모로 재활용 효율성이 높고 특히 최근 유가금속의 가격 상승으로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부상하고 있다. 휴대폰의 경우 금, 은, 팔라듐, 로듐, 코발트 등의 고가 귀금속과 희유금속이 집적돼 있고 휴대전화 1만대(약 1톤)의 경우 3.75g의 금반지 100개 이상을 생산할 수 있어 고순도 초우량 광산으로 평가되며, PC 주기판 1톤에는 금 52g이 함유되는 등 금광을 앞지르는 경제성을 보이고 있다.

(14)
(15)

환경친화공정, 공정비용의 저감, 높은 목적금속

회수율의 습식회수기술

국내는 정부지원을 통한 국가연구기관 주도로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약 50% 수준인데 스크랩에서 귀금속 등의 회수기술은 선진국의 80% 수준에 근접하고 있으나 폐제품에서의 회수·재활용 기술은 40∼50%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희유금속(35개)의 경우, 고가금속(백금·인듐 등 7개) 이외 금속의 실증, 상용화, 고순도 기술은 선진국의 20% 내외 수준 으로 평가된다. 국내 폐전기 전자기기는 주로 파·분쇄 후 금속이 농축된 부분을 LS니꼬동제련과 고려아연에서 건식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회수 대상 금속도 금, 은, 동에 편중되어있는 상황으로 많은 유가금속이 함유된 폐전자스크랩의 약 80% 정도가 미국 또는 일본 등지에 헐값으로 수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고온용융 방식의 건식공정은 설비 투자비가 많이 들고 대기오염 발생, 상당량의 슬래그 발생, 귀금속의 손실, 무엇보다도 희유금속 등의 유가금속의 회수율 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경친화공정, 주요 금속성분 들의 용이한 분리, 낮은 전력소비와 시약 재활용에 따른 공정 비용의 저감, 높은 목적금속회수율(95~97%) 등과 같은 장점을 지닌 고도 습식제련법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복합광물처리기술, 염산용액 전해침출기술, 미생물침출기술 등이 유망 대체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주류를 이루고 있는 고온용융추출방식은 높은 설비

투자비, 대기오염 및 슬래그 발생, 낮은 회수율로 인해

적은 공정비용, 높은 목적금속회수율 등의 장점을 지닌

고도 습식 제련법 개발에 노력을 경주”

일본의 파나소닉 PETEC, DOWA 홀딩스, 닛코금속, 에코 시스템, 요코하마금속, 벨기에의 Umicore, 캐나다의 Xstrata, 프랑스의 Suez, 영국의 Johnson Matthey 등이 고온용융회수 기법을 통한 금속회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파나소닉 PETEC은 혼합물 비소각 방법을 통한 금속회수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닛코금속은 안티몬, 셀렌 등의 7종류의 희유금속 회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Suez는 아연, 니켈 순도율 85% 처리

(16)
(17)

등이 추출가능 한 것으로 파악되며, 이외 니켈, 알루미늄, 주석 등을 포함해 연간 총 약 5,000억 원의 금속자원을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폐금속 재활용 사업자는 사업장 폐기물을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폐전기전자기기로 부터의 귀금속 및 유가희유금속 추출은 매우 미비한 것으로 파악된다.

“국내시장의 경우 연간 약 5천억 원의 폐전자기기

금속재활용 시장이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습식회수기술 기반의 폐PC 및 휴대폰 재활용시장의

경우 2016년 약 700억 원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09년 전 세계 폐전기전자 폐기물 시장규모는 17,123 백만 달러, 아시아 시장은 4,284백만 달러로 추정된다. 2016년 세계시장규모는 32,624백만 달러, 아시아 시장은 9,007백만 달러로 증가하여 연평균 9.6%, 아시아시장은 연평균 11.2%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PC, 휴대폰 보급률, 재활용 비율 및 금속가격 전망을 토대로 국내 폐 전기전자 폐기물 시장 중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되는 폐PC 및 폐휴대폰 부문의 재활용 시장은 각각 연평균 성장률 32%와 25%로 2016년 약 총 700억 원의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상호 재활용대상 최종산출 연매출(억원) 나인디지트 정광, 공정스크랩(1차 가공된 것) 금, 백금. 인듐, 갈륨 등 80 토리콤 PCB Scrap, 도금폐액, 폐ITO타겟 등 금, 은, 백금, 팔라듐, 인듐 등 625 풍전비철 광재, 분진, 공정오니, 폐수처리 오니 등 알루미늄괴, 아연괴, 황동괴 1,025 성일하이텍 폐전지, 폐전자스크랩, 공정오니 등 금, 은, 백금, 팔라듐, 인듐 등 430 대흥엠앤티 폐전산장비, 폐통신장비, 폐전자스크랩 금, 고철, 구리, PCB 분쇄물 52 리사이텍 폐휴대폰, 폐전자스크랩 등 PCB 분쇄물 등 24 엠알씨 폐가전제품 고철, 구리, 알루미늄 등 18 ~ 국내 폐금속 재활용 사업자 주요분야 및 매출 추정 ₩ ~ 전 세계 폐전기전자 폐기물 시장 규모 및 국내 폐PC/폐휴대폰 재활용 시장규모 추정 ₩ (단위: $ millions, 억 원)

(18)

항체치료제

항체바이오시밀러의 도전과

기회를 맞는 우리의 자세

바이오제약(자원) Bio Resource

│기술정보분석실 손은수│

Tel : 02-3299-6064│e-mail : essohn@kisti.re.kr│

(19)

바이오 의약품

현재 글로벌 바이오기업을 중심으로 20여 개의

해외기업이 항체치료제를 시판

항체치료제를 시판하고 있는 회사는 약 20여 개로 Genentech/Roche, Abbott, Johnson & Johnson/Schering Plough, Novartis 등 글로벌 바이오기업들의 활동이 활발하다. 2008년 기준 Roche/Genentech가 165억 달러로 49.6%를 차지하였으며, Abbott가 48억 달러(14.5%), J&J가 37억 달러(11.2%)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냈다.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최근 삼성

전자를 비롯해 한화석유화학, LG생명과학

등 대기업과 동아제약, 이수앱지스, 셀트리온

등에서 사업화 시도가 활발”

국내의 경우 기술이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고 아직 시장이 성숙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최근 녹십자, 제넥신, 슈넬생명과학, 한올바이오파마, 영인 프런티어, 네오팜 등의 연구개발 활동이 활발하다. 특히 바이오시밀러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수앱지스와 셀트리온 등 바이오기업들은 물론 항체치료제 분야의 본격적인 진출을 밝힌 한화케미칼과 이수앱지스와 손잡고 차세대 항체치료제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삼성전자까지 대기업의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09-15 CAGR(%) 소분자 396,663 396,442 400,035 388,985 386,222 387,360 390,296 (0.3) 치료용 단백질 63,107 64,893 67,752 70,036 72,327 74,232 75,429 3.0 단클론항체 36,398 40,346 44,914 49,979 54,130 58,647 62,658 9.5 백신 20,937 23,807 24,438 25,917 27,302 26,769 30,159 6.3 전체 517,105 525,488 537,140 534,916 539,981 549,008 558,541 1.3 ~ 바이오의약품(항체치료제 포함)의 시장규모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자료 : Datamonitor PharmaVitae Explorer, September 2010

자료 : 한국수출입협회, 이수앱지스, HMC투자증권 자료 : 한국수출입협회, 이수앱지스, HMC투자증권 ~ 글로벌 매출 상위 항체치료제 현황 ] ~ 국내 수입 상위 항체치료제 현황 ]

전체 바이오의약품의 37%를 차지하는 항체

치료제 시장

항체 시장의 95%를 차지하고 있는 항체치료제 시장은 성장기(growing)에 있으며, 전체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37%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고, 200여 개 바이오의약품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이다. 전 세계 항체치료제 시장은 2010년 400억 달러 규모에 달했으며, 2003~2009년 연평균성장률이 29.7%에 이른다. 2015년에는 626억 달러로 성장하여 연평균성장률이 9.5%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 항체치료제 시장도 2007년 기준 수입규모가 6,900만 달러에 이를 정도로 매년 고성장을 지속 하고 있고, 기존 화학합성 의약품 대비 우수한 효능을 앞세워 특히 관절염치료제(Enbrel, Remicade, Humira 등)와 항암제(Rituxan, Avastine, Herceptin 등)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20)

항체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12년부터 이머징국가를

중심으로 확대될 전망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Follow-on Biologics, 동등생물 의약품)는 이미 제조판매·수입품목 허가를 받고 품질 및 비임상· 임상적 비교동등성이 입증된 바이오의약품으로, 통상 특허가 만료된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을 말한다. 개발비용이 오리지널 신약의 10분의 1 정도이며, 그 기간도 3.6~4.6배 정도로 절반 수준인데 비해 제품화 성공률은 신약에 비해 10배 이상 높아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Datamonitor(2009)에 따르면, 2008년 선진 7개국의 바이오시밀러 시장규모는 0.6억 달러였지만 2004년에는 20억 달러, 2020년에는 434억 달러에 달할 전망 이다. 항체바이오시밀러 시장은 현재 도입단계지만 2012년부터 이머징국가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바이오시밀러를 통한 비용절감을 위해 각국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가 이어지고 있고, 규제적 측면의 긍정적 신호와 2012년 부터 시작되는 대형 오리지널 항체치료제의 특허만료가 맞물리며 바이오시밀러 개발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치료영역이 제한되어 있는 1세대(단백질치료제) 바이오시밀러에 비해 단클론 항체로 대표되는 2세대 바이오시밀러가 시장 확대에 유리하여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 2012년부터 시작되는 대형 바이오의약품의 특허만료와

바이오시밀러를 통한 비용절감을 위해 각국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가 이어지고 있어 바이오시밀러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

전 세계적으로 Teva와 Sandoz 등의 대형제네릭사, 셀트리온, 론자 등 바이오의약품 CMO(계약대행생산)업체들, Cipla, Biocon 등 바이오테크 역량 보유기업들을 중심으로 바이오시밀러 개발이 활발하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한화케미칼, LG생명 과학 등 대기업과 동아제약, 이수앱지스, 셀트리온, 바이오트라이온 자료 : Datamonitor. 2009 (단위 : 백만 달러) ~ 선진 7개국 바이오시밀러 매출 전망 ₩ 제품명 성분명 적응증 개발사 ‘08년 매출 특허만료

Remicade infliximab 류마티스관절염 Johnson & Johnson 53 2013년 Rituxan rituximab 비호지킨림프종 Genentech 51 2015년 Humira adalimumab 류마티스관절염 Abbott 45 2016년 Herceptin trastuzumab 유방암 Genentech 47 2019년 Avastin bevacizumab 대장암 Genentech 45 2019년 Lucentis ranibizumab 황반변성 Novartis 18 2019년

~ 주요 항체치료제 특허만료 현황 ₩ (단위 : 억 달러)

(21)
(22)

인공관절

시장전망에 따른 성공전략

바이오제약(자원) Bio Resource

│산업정보분석실 임종연

│Tel : 02-3299-6068 │e-mail : jylim@kisti.re.kr│

(23)

바이오자원 신소재 장기

(24)
(25)
(26)

바이오플라스틱

시장확대의 요건과 전망

바이오제약(자원) Bio Resource

│기술사업화정보실 이준우│

Tel : 02-3299-6022│e-mail : jwlee@kisti.re.kr │

(27)

산업적으로 유용한 고분자의 단량체를 제조하여, 이를 다시 중합 하여 생산한다. 현재 대표적인 바이오플라스틱인 PLA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한 젖산(lactic acid)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제품의 가격과 물성(충격강도와 열변형 온도는 낮음)이 기존 범용플라스틱인 PS와 유사한 수준 까지 개발되어 빠르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은 현재 환경규제가 강한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형성

세계적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바이오플라스틱으로는 PLA, 전분수지(Starch resins), PHAs(polyhydroxyalkanoates) 등이 있다. 현재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은 환경규제가 강한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럽은 지난 2005년 2월 플라스틱의 친환경 생산에 대한 자율협정을 체결하였고 국제적 으로 인정된 표준안을 준수할 것을 선언하였다. 이 협약은 주로 포장재와 일회용 봉투의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바이오플라스틱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에서도 점차 강화되는 환경규제로 기업의 바이오 플라스틱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주로 일회용 봉투, 식품포장재 등에 한정되어 오던 바이오플라스틱의 용도를 전자제품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

“지속적인 고유가와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플라스틱

과의 가격차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으며 PLA는 PS와

거의 대등한 수준의 가격을 형성”

바이오플라스틱의 시장을 확대시키기 위한 핵심과제로는 역시 기존 플라스틱에 대한 가격경쟁력 확보이다. 최근 들어 지속적인 고유가와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플라스틱과의 가격차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일부 제품은 기존 플라스틱과 경쟁이 가능한 제품도 있다.

바이오매스 유래 바이오화학제품

[PLA의 제조방법] ~ 생분해성 고분자의 세계 수요 ] ~ 지역별 바이오플라스틱 수요 ]

(28)

바이오플라스틱의 대표적인 제품인 PLA의 가격은 PS(polystyrene)와 거의 대등한 수준이다. 또한 향후에도 고유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되고 있어 PLA의 가격경쟁력은 당분간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장에서도 PLA의 수요가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에도 그 비중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의 수요가 세계수요의 대부분을

차지

세계수요의 약 97%를 차지하는 서유럽, 북미, 아시아를 중심으로 지역별, 국가별 시장점유율을 분석해보면, 2008년 서유럽, 북미, 아시아의 바이오플라스틱 수요량은 각각 77,000톤, 58,000톤, 58,000톤이다. 국가별로는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의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제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진화가 늦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중국도 세계시장 점유율이 세계 4위 수준인 7.8%에 이르고 있다. 반면에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며, 녹색성장을 강조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요는 4,000톤 수준으로 세계시장의 약 2.1%만을 점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국내시장은 점차 강화될 환경규제, 국민의식의 성숙

등으로 빠른 성장이 전망

국내의 바이오플라스틱 수요는 2008년을 시작되었는데 이는 타 분야와 비교하여 매우 늦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2008년 이후의 연평균성장률은 5년간 30.26%를 나타내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13년 이후에도 5년간 CAGR 21.67%의 높은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특히, 현재의 국내시장은 경제규모에 비교하면 도입기라고 볼 수 있으며, 향후에도 점차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환경 규제, 국민의식의 성숙 등으로 더욱 빠른 성장이 전망된다. 현재 국내 시장은 대부분은 생분해성의 바이오플라스틱이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이후부터는 비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의 수요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제·사회적 수준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는 국내시장 규모를 확대시키는 것은

관련 산업을 성장시키는 효과와 세계적 관심사인 환경오염에 대하여 책임감을 가진 국가로서의 위상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

~ 바이오플라스틱의 지역별, 국가별 시장점유율]

(29)

네이처웍스(NatureWorks)가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PLA로 대표되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은 아직은 전체 플라스틱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낮은 상태이지만 향후 전망은 매우 밝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분해성에 초점을 두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친환경 소재의 개념으로 등장한 바이오플라스틱은 소재의 원천이 바이오 매스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플라스틱과 대등한 입장에 있다. 즉, 생분해성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아닌 선택사항이 되면서 제품의 가격경쟁력과 물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불리한 대부분의 요소가 제거된 상태이다. 수입소재의 가공 및 제품화에 주력하고 있어 국내시장 확대에 상대적 으로 미온적인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규 바이오플라스틱의 발굴과 함께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국가 수준에 맞는 책임의식도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은 환경규제가 수요확대의 핵심요인 으로,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자료 : Industry Study 2548, “World Bioplastics”, 2009, the Freedonia Group, Inc.

(unit: 1,000 tons)

자료 : Industry Study 2548, “World Bioplastics”, 2009, the Freedonia Group, Inc.

~ 바이오플라스틱의 종류별 수요 ] ~ 바이오플라스틱의 국내시장 수요 및 공급 ]

바이오플라스틱

Polulation (million persons) GDP($)/Capita

Gross domestic product (bil 2007$) Mfg Value Added (bil 2007$) Agricultural Vaue Added (bil 2007$) Plastic Resin Demand

Plastic Resin Production Bioplastics Demand +net export Bioplastics Production 46.2 16170 747 150 27.5 2750 8200 neg -neg 47.8 21280 1017 248 28.0 3850 9850 neg 1 1 48.5 25770 1250 338 34.1 5290 12640 4 -1 3 49.1 30040 1475 396 33.2 6500 14200 15 -8 7 49.5 36570 1810 484 33.5 7800 15200 40 -26 14 Item 1998 2003 2008 2013 2018 (unit: 1,000 tons)

(30)
(31)
(32)

본원 (대전) 305-806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335 TEL : (042) 869-1004 FAX : (042)869-1091

분원 (서울) 130-74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참조

관련 문서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부담을 낮추고, 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중장기적으로 축산업 성장 가능 - 주요과제: 가축분뇨 적정 처리, 온실가스 저감, 축산악취 저감

Our analysis has shown that automation is already widespread among both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in Vietnam, and that both groups plan to continue investing

이는 아직 지부지사에서 확인 및 승인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지부지사에서 보완처리 및 승인처 리 시

⚫ Inventor 임베디드를 통해, Inventor Data 혹 은 DXF 가져온 파일 최적화. ⚫ 멀티 시트 기능을 통해, 판금 제품 자동 배 치

최근까지의 달러 약세를 반영할 경우 달 러결제 비중은 더욱 하락했을 것으로 보임... 인플레이션은 계절조정

㉥ 재료분리:굵은 골재, 모르타르,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 트가 혼합되어 반죽상태인 콘크리트의 유동성 때문에 골고 루 섞이지 않는 현상으로 콘크리트의 수밀성 저하, 강도

이번 추계는 다각적인 연구와 검토를 통해 최근의 혼인패턴 및 가구구성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모형과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통계적 보정 방법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