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 래 가 구 추 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장 래 가 구 추 계"

Copied!
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0~2035

장 래 가 구 추 계

Household Projections for Korea : 2010~2035

2012. 4.

(2)
(3)

머 리 말

가구는 1차적인 사회집단으로 인구․사회․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단위입 니다. 특히 최근에는 고령자 및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하는 등 우리나라의 가구 구조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어 장래가구추계에 대한 수요가 날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통계청에서는 가구주율법을 사용하여 2010~2035년의 25년 동안 매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장래가구추계를 작성하였습니다. 장래가구추계는 2002년 추계 이후 이번이 3번째 보고서입니다.

이번 추계는 다각적인 연구와 검토를 통해 최근의 혼인패턴 및 가구구성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모형과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통계적 보정 방법을 통해 보다 정도 높은 추계 자료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고령사회를 대비 추계 상한연령을 85세 이상에서 100세 이상으로 연장하고, 혼인상태별 1인 가구, 가구원수 및 가구유형의 연령별 자료를 수록하는 등 이용자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끝으로 이 보고서가 이용자 여러분께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발간되기 까지 아낌없는 성원과 관심을 보여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2. 7.

통계청장 우 기 종

(4)
(5)

이용자 유의사항

1. 장래 추계가구는 매년 7월 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장래가구추계의 2010년 기준가구는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와 다릅니다.

-

추계 기준가구는 인구주택총조사의 조사과정에서 나타난 성, 연령 및 혼인 상태별 조사누락 가구를 보정한 결과입니다.

3. 2006~2009년 가구는 2005년 및 2010년 기준가구를 이용하여 가구주율법으로 소급하여 추정하였습니다.

4. 2011년 이후 추계치는 미래의 정책개입, 경제 및 사회문화 등 변화에 의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세목이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계가 총계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6. 이 책자의 내용을 전재(轉載) 또는 역재(譯載)할 때는 『통계청, 2010~2035 장래가구추계』 ○쪽에서 전재(또는 역재)라고 표기하시기 바랍니다.

7. 수록된 자료에 대해 문의 사항은 통계청 인구동향과(☏ 042-481-2284, 2256)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장래가구추계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국가통계포털(KOSIS) : http://kosis.kr

▣ 장래가구추계 보고서 발간에 참여한 사람들 사회통계국장 : 정 규 남

인구동향과장 : 서 운 주 담당 사무관 : 김 수 영

담당 직 원 : 김 미 영, 강 혜 림

(6)
(7)

차 례

Ⅰ. 장래가구추계 개요 ··· 1

1. 작성목적 ··· 1

2. 대상가구 ··· 1

3. 대상지역 및 기준시점 ··· 1

4. 추계기간 ··· 1

5. 기초자료 ··· 1

6. 추계방법 ··· 2

7. 용어해설 ··· 2

Ⅱ. 2012년 장래가구추계 작성방법 ··· 3

1. 가구주율법 ··· 3

2. 기준가구 및 대상인구 작성 ··· 4

3. 혼인상태별 인구 추계 ··· 5

4. 가구주율 추계 ··· 8

5.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별 추계 ··· 11

6. 신․구 추계의 비교 ··· 13

Ⅲ. 장래가구추계 결과 ··· 16

1. 총가구와 가구증가율 ··· 16

2. 가구주의 성․연령 ··· 18

3. 가구주의 혼인상태 ··· 22

4. 가구유형 ··· 24

5. 가구원수 ··· 34

6. 고령가구 가구유형 ··· 48

7. 국제비교 ··· 50

(8)

Ⅳ. 통계표 ··· 53

1. 가구주의 성별 가구 ··· 54

2. 가구주의 성 및 연령별 가구 ··· 55

3. 가구주의 성 및 혼인상태별 가구 ··· 73

4. 가구주의 성, 연령 및 혼인상태별 가구 ··· 76

5. 가구유형별 가구 ··· 148

6. 가구주의 연령 및 가구유형별 가구 ··· 152

7. 가구원수별 가구 ··· 224

8.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별 가구 ··· 226

9. 가구주의 연령 및 가구유형, 가구원수별 가구 ··· 244

10. 가구주의 성, 연령 및 혼인상태별 1인 가구 ··· 400

(9)

CONTENTS

Ⅰ. Outline of Household Projections (in Korean) ··· 1

Ⅱ. Methodology of Household Projections (in Korean) ··· 3

Ⅲ. Highlights of the Household Projections for Whole Country (in Korean) ··· 16

Ⅳ. Statistical Tables ··· 53

1. Households by Household Head's Sex ··· 54

2. Households by Household Head's Sex and Age ··· 55

3. Households by Household Head's Sex and Marital Status ··· 73

4. Households by Household Head's Sex, Age and Marital Status ··· 76

5. Households by Household Type ··· 148

6. Households by Household Head's Age and Household Type ··· 152

7. Households by Household Size ··· 224

8. Households by Household Type and Household Size ··· 226

9. Households by Household Head's Age, Household Type and Household Size ···244

10. One Person Household by Household Head's Sex, Age and Marital

Status ··· 400

(10)
(11)

Ⅰ. 장래가구추계 개요

1. 작성목적

○ 정부, 지자체, 기업의 각종 가족복지정책 수립, 가구 내구소비재 수요 예측 및 통계조사의 모집단 등으로 활용

- 고령자, 여성, 아동 등 정부의 가족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 기업의 주택, 주거용품 등 가구 내구소비재의 수요에 대한 예측 자료 - 각종 가구단위 표본조사의 모수 등

- 학교, 연구소 등의 가족관련 연구 및 교육자료 등

2. 대상가구

○ 친족가구, 비친족 5인 이하 가구, 1인가구 등 일반가구 - 시설․특별조사구, 6인 이상 비친족 가구, 외국인가구 제외

3. 대상지역 및 기준시점

○ 전국

○ 매년 연앙(7월1일) 기준

4. 추계기간

○ 2010~2035년(25년간)

- 가구추계는 인구변화 이외에 사회문화적 요인 등 변동이 많은 변수에 좌우되므로 대상기간을 장기화 할수록 불확실성 크게 증대, 다른 국가의 사례를 감안, 향후 25년간을 대상으로 추정

* 일본․영국․호주․뉴질랜드(25년), 독일(20년), 미국(15년)

5. 기초자료

○ 기준가구 작성, 장래가구주율 및 가구구성비 추정 : 1990~2010 인구주택총조사

○ 장래 가구추계 대상인구 추계 : 2011 장래인구추계(2010~2060)

○ 장래 혼인상태별 인구추계 : 인구동태통계 및 생명표(1990~2010)

(12)

6. 추계방법

○ 가구주율(대상인구 중 가구주가 되는 비율)의 장래변동수준을 추계 후 장래추계 인구에 적용, 장래가구를 산출하는 가구주율법(Headship Rate method) 활용

7. 용어해설

○ 가구 : 가구는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 하는 생활단위

- 일반가구 :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1인 가구,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사는 5인 이하의 가구 - 집단가구 :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함께 사는 6인 이상의 가구, 기숙사나

노인 요양시설․보육원 등 사회시설에 집단으로 살고 있는 가구 - 외국인가구 :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가구

* 한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사는 가구는 ‘일반가구’로 분류

○ 세대 : 일반가구에 한하여 가구주와 그 가족의 친족관계에 따라 1세대 가구, 2세대 가구 등으로 구분함

- 1세대 가구 : 가구주와 동일세대에 속하는 친족만이 같이 사는 가구

예) 부부, 부부+형제자매, 가구주+형제자매 등

- 2세대 가구 : 가구주와 그 직계 또는 방계의 친족이 2세대에 걸쳐 같이 사는 가구

예) 부부+자녀, 부+자녀, 모+자녀, 부부+부모 등

- 3세대 가구 : 가구주와 그 직계 또는 방계의 친족이 3세대에 걸쳐 같이 사는 가구

예) 부부+자녀+부모, 부부+자녀+손자녀 등

- 4세대이상 가구 : 가구주와 그 직계 또는 방계의 친족이 4세대 이상에 걸쳐 같이 사는 가구

예) 부부+자녀+손자녀+부모, 부부+자녀+부모+조부모 등

○ 가구주

- 가구주는 호주 또는 세대주와는 관계없이 가구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는

사람을 말하며,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끼리 모여 사는 경우에는 그 중

한 사람(대표자)이 가구주가 됨

(13)

Ⅱ. 2012년 장래가구추계 작성방법

1. 가구주율법

○ 가구주율(대상인구 중 가구주가 되는 비율)의 장래변동수준을 추계, 장래추계 인구에 적용하여 장래가구를 산출하는 가구주율법(Headship Rate method)*을 활용

* 가구주율법은 미국의 국가자원기획위원회(National Resources Planning Committee)가 1930년 미국 센서스를 토대로 실시한 이후 작성방법의 용이성, 요구자료 적정성 등으로 현재 미국, 영국, 일본(지역) 등에서 사용

Hs(x,t)=

×



여기서, Hs(x,t) 는 가구주의 성 s, 연령 x, 연도 t 의 가구수 Ps(m,x,t) 는 성 s, 혼인상태 m, 연령 x, 연도 t 의 인구 hs(m,x,t) 는 성 s, 혼인상태 m, 연령 x, 연도 t 의 가구주율

[그림 2-1] 2012년 가구추계 과정

(14)

2. 기준가구 및 대상인구 작성

가. 2010년 기준가구 작성

○ 2010년 총조사 사후조사의 성․연령․혼인상태별 무응답 및 누락을 보정한 후, 시점을 조정(11.1→7.1)하여 기준가구를 설정

나. 2010~2035년 대상인구 작성

○ 가구추계는 일반가구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가구에 포함되지 않는 외국인, 특별조사구 및 집단 가구 인구를 추계인구에서 제외하여 대상인구 추계

가구추계 대상인구 = 추계인구 - (외국인, 특별조사구 및 집단가구 인구)

- 외국인 가구인구는 1992~2010년 외국인 등록자료 등을 활용하여 외국인 총수를 추정, 일반가구에 포함되는 외국인을 배제한 제외대상 연령별 인구 추정

- 집단가구인구는 2000~2010년 시설조사구, 특별 조사구 및 6인 이상 비친족 가구 인구구성비 변화 추이를 반영, 각각에 대한 장래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추계하여 추계인구에 적용, 2011~2035년 집단가구인구를 추계

(단위 : 천명)

남녀전체 남 성 여 성

2010 2015 2025 2035 2010 2015 2025 2035 2010 2015 2025 2035 계 47,053 47,606 48,649 48,351 23,150 23,358 23,904 23,735 23,903 24,248 24,746 24,616 19세이하 11,025 9,720 8,539 8,014 5,728 4,992 4,354 4,070 5,297 4,728 4,185 3,944 20~24 2,461 2,634 1,791 1,590 1,103 1,220 823 719 1,358 1,415 968 870 25~29 3,518 2,945 2,869 1,928 1,747 1,485 1,443 938 1,771 1,459 1,426 990 30~34 3,699 3,588 3,296 2,258 1,850 1,811 1,721 1,138 1,849 1,777 1,574 1,120 35~39 4,119 3,661 3,008 2,989 2,077 1,831 1,550 1,545 2,042 1,830 1,458 1,444 40~44 4,116 4,076 3,540 3,294 2,076 2,051 1,795 1,740 2,040 2,025 1,746 1,554 45~49 4,155 4,080 3,626 3,020 2,105 2,046 1,813 1,570 2,050 2,033 1,813 1,450 50~54 3,790 4,126 4,053 3,567 1,905 2,069 2,014 1,797 1,885 2,057 2,039 1,770 55~59 2,728 3,765 4,076 3,680 1,340 1,870 2,005 1,814 1,387 1,895 2,071 1,867 60~64 2,158 2,678 4,085 4,084 1,043 1,298 2,008 2,003 1,115 1,380 2,077 2,081 65~69 1,818 2,080 3,631 4,009 835 986 1,759 1,942 983 1,094 1,871 2,066 70~74 1,530 1,681 2,455 3,824 663 746 1,143 1,828 867 935 1,312 1,995 75~79 1,053 1,315 1,702 3,082 407 541 754 1,423 647 774 948 1,659 80~84 555 790 1,107 1,729 183 282 442 746 372 508 666 983

85+ 328 464 872 1,284 89 127 279 462 239 337 593 822

[표 2-1] 대상인구(2010~2035)

(15)

[그림 2-2] 추계인구, 가구추계대상인구(2010~2035)

3. 혼인상태별 인구 추계

가. 혼인상태별 전이확률 계산

○ 인구주택총조사와 인구동태통계자료를 통해 혼인상태별 전이율을 작성 후 연령별 전이율을 보정*하고 전이확률로 전환

- 혼인상태별 전이율(



) =

혼인상태별인구 혼인상태별변동건수

* 로그감마모형을 이용한 저연령 전이율 보정

로지스틱모형을 이용한 고연령 전이율 보정 및 연장

Spline 보정을 통해 5세 간격 전이율을 각세 간격 전이율로 전환

- 혼인상태별 전이확률 (



   ×



  

 ×

 ≠   



나. 2010~2035년 혼인상태별 전이확률 추계

최근(2000~2010년)의 연령별 초혼, 재혼 및 이혼 전이확률을 기초로 단일

변수 시계열 모형(Lee and Carter, 1992)을 이용, 장래 혼인상태별 전이

확률 추계

(16)

기존 실적치(1990~2010년)를 통해 전체 사망확률에 대한 혼인상태별 사망 확률의 상대적 비율의 추세를 반영하여 2011~2035년 혼인상태별 사망 확률비를 추정한 후 2010년 기준 인구추계의 연령별 사망확률을 적용, 혼인 상태별 사망확률 추계

* 유배우, 사별, 이혼의 사망확률비는 향후 지속됨을 가정, 미혼은 최근 감소폭을 반영

* 고연령은 로지스틱함수, 저연령층은 지수모형 등 활용한 연령별 보정 실시

다. 2010~2035년 혼인상태별 인구추계

○ 혼인상태별 기준인구에 혼인상태별 전이확률 및 사망확률을 적용하여 혼인 상태별 장래인구를 추계

․  년  세 미혼인구 :     ․  

․   년 세 유배우인구 :   ․       ․ ․  ․ 

․  년  세 사별인구 :    ․     ․ 

․  년  세 이혼인구 :     ․     ․ 

Psx : 미혼인구 Pmx : 유배우인구 Pwx : 사별인구 Pvx : 이혼인구

π:미혼인구초혼확률 πmwx :유배우사별확률 πwmx :사별인구재혼확률 πvmx :이혼인구재혼확률 πsdx:미혼인구사망확률 πmvx :유배우이혼확률 πmdx :사별인구사망확률 πmdx :이혼인구사망확률

πmdx :유배우사망확률

(17)

2010 2015 2025 2035 미혼 유배우 사별 이혼 미혼 유배우 사별 이혼 미혼 유배우 사별 이혼 미혼 유배우 사별 이혼 남성 32.6 61.3 2.3 3.8 32.3 60.4 2.2 5.0 31.6 58.6 2.3 7.5 30.9 57.8 2.5 8.9 15~19 99.6 0.4 0.0 0.0 99.5 0.4 0.0 0.0 99.5 0.4 0.0 0.0 99.5 0.4 0.0 0.0 20~24 98.2 1.7 0.0 0.1 98.8 1.1 0.0 0.1 99.0 0.9 0.0 0.1 99.1 0.8 0.0 0.1 25~29 85.0 14.7 0.0 0.3 89.6 10.1 0.0 0.3 93.4 6.4 0.0 0.2 94.1 5.7 0.0 0.2 30~34 49.4 49.4 0.1 1.2 56.6 42.0 0.0 1.4 69.7 29.4 0.0 0.8 71.5 27.8 0.0 0.7 35~39 26.3 70.3 0.2 3.2 29.8 66.7 0.1 3.4 42.2 55.2 0.0 2.5 47.1 50.8 0.0 2.1 40~44 14.1 79.5 0.5 5.9 19.7 74.0 0.3 6.0 26.8 67.4 0.1 5.6 34.7 60.7 0.1 4.6 45~49 7.3 84.1 1.0 7.5 11.9 78.6 0.6 8.8 19.1 71.4 0.3 9.2 27.5 64.5 0.2 7.8 50~54 4.1 86.2 1.8 7.9 6.5 82.2 1.2 10.1 15.4 72.0 0.6 12.0 21.4 67.0 0.3 11.3 55~59 2.3 87.9 2.9 6.9 3.6 84.6 2.2 9.6 10.1 75.0 1.1 13.8 16.7 68.9 0.6 13.8 60~64 1.3 88.8 4.7 5.1 2.1 86.5 3.5 8.0 5.6 78.7 2.0 13.7 13.9 70.0 1.1 14.9 65~69 0.9 88.6 6.9 3.6 1.1 87.1 5.8 6.0 3.1 80.8 3.5 12.5 9.1 73.1 2.1 15.7 70~74 0.5 87.1 10.4 2.0 0.7 86.4 8.9 4.1 1.7 82.3 6.0 10.1 4.8 76.5 3.9 14.7 75~79 0.4 83.1 15.4 1.2 0.4 83.7 13.7 2.3 0.8 82.1 10.4 6.7 2.5 78.3 7.4 11.8 80~84 0.3 75.2 23.7 0.7 0.3 77.3 21.2 1.3 0.5 77.9 17.5 4.1 1.2 77.0 13.6 8.2 85+ 0.5 59.6 39.3 0.6 0.2 60.6 38.4 0.7 0.2 63.8 34.1 2.0 0.4 64.3 31.2 4.1 여성 25.0 57.9 12.8 4.4 24.8 57.1 12.5 5.7 23.7 55.6 12.2 8.5 23.3 54.3 12.2 10.3 15~19 99.5 0.5 0.0 0.0 99.1 0.8 0.0 0.0 99.1 0.9 0.0 0.0 99.1 0.9 0.0 0.0 20~24 94.3 5.5 0.0 0.1 95.8 3.9 0.0 0.2 96.6 3.0 0.0 0.3 96.6 3.0 0.0 0.3 25~29 67.7 31.6 0.1 0.6 74.5 24.4 0.0 1.0 83.4 15.8 0.0 0.8 84.1 15.2 0.0 0.8 30~34 28.2 69.4 0.2 2.2 34.9 62.5 0.1 2.5 47.9 50.0 0.0 2.0 48.6 49.4 0.0 1.9 35~39 12.2 82.0 0.7 5.1 16.3 78.4 0.4 4.8 23.8 71.4 0.2 4.6 28.4 67.4 0.1 4.0 40~44 6.0 84.2 1.9 8.0 9.9 80.8 1.2 8.1 17.0 74.6 0.6 7.8 23.0 69.7 0.3 7.0 45~49 3.3 83.3 4.1 9.3 5.4 81.1 2.7 10.8 12.5 74.9 1.3 11.3 18.4 70.1 0.7 10.8 50~54 2.3 80.6 8.0 9.0 3.1 79.9 5.5 11.6 8.8 73.9 2.7 14.6 15.2 69.2 1.5 14.1 55~59 1.8 77.0 14.4 6.9 2.2 76.9 10.4 10.5 5.0 73.6 5.3 16.1 11.6 69.0 2.9 16.5 60~64 1.2 70.1 24.2 4.5 1.7 72.4 18.1 7.8 2.9 71.9 10.1 15.1 8.4 68.2 5.5 17.9 65~69 0.8 59.2 37.2 2.7 1.1 63.8 30.0 5.1 2.1 67.0 18.1 12.8 4.8 66.7 10.5 18.0 70~74 0.6 46.0 51.9 1.5 0.7 50.6 45.8 2.9 1.5 58.9 30.8 8.8 2.7 62.3 19.9 15.2 75~79 0.6 29.1 69.4 0.9 0.5 35.4 62.6 1.5 0.8 44.9 49.3 5.0 1.7 52.7 34.6 11.1 80~84 0.6 14.4 84.3 0.6 0.4 18.8 80.0 0.8 0.4 27.2 70.0 2.4 0.9 37.4 55.0 6.7 85+ 0.7 6.0 92.8 0.4 0.2 5.6 93.8 0.4 0.1 9.3 89.9 0.8 0.2 14.3 83.4 2.2 [표 2-2] 혼인상태별 인구 구성비(2010~2035)

(단위 : %)

(18)

라. 추이분석

○ 최근 25년간 가구주의 혼인상태별 구성비 변화는

- 남녀 모두 가장 주된 형태(남성: 유배우, 여성: 사별)는 감소, 나머지 유형은 2005~2010년 기간 중 여성 미혼구성비를 제외하고는 모두 증가

[그림 2-3] 성․혼인상태별 가구 구성비 추이(1985~2010)

4. 가구주율 추계

가. 성․연령 및 혼인상태별 가구주율 추계

○ 2000~2010년 총조사 가구주율 추이를 기초로 2011~2035년까지의 가구주율을 성․연령․혼인상태별로 추계

* 수정지수모형, 선형로그, 로지스틱, 단일변수시계열모형 등 검토, 수정지수모형 적용

수정지수모형

      

*     : 혼인상태 , 연령 , 연도 의 가구주율

*  :           인 경우 1,          인 경우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표 2-3] 성 및 연령별 가구주율(2010~2035)

(단위 : 인구100명당 가구주수)

남녀전체 남 성 여 성

2010 2015 2025 2035 2010 2015 2025 2035 2010 2015 2025 2035 계 36.9 39.3 43.0 46.0 55.7 57.3 59.0 60.8 18.6 21.9 27.6 31.8

15~19 2.2 2.9 3.0 3.3 2.1 2.7 2.7 3.1 2.3 3.1 3.2 3.6

20~24 16.0 18.4 23.3 27.1 16.8 19.8 25.1 29.5 15.4 17.2 21.7 25.0 25~29 26.5 27.8 31.1 34.1 34.0 33.1 34.5 37.2 19.0 22.3 27.6 31.2 30~34 39.7 38.9 37.9 37.6 62.4 57.4 50.0 48.4 16.9 20.0 24.7 26.6 35~39 47.1 46.0 43.9 42.1 76.4 72.4 62.9 57.1 17.2 19.6 23.7 26.1 40~44 52.9 51.8 51.1 50.4 84.7 79.7 72.6 66.1 20.5 23.5 29.0 32.8 45~49 54.7 53.5 52.3 51.8 85.9 80.9 72.6 65.4 22.8 25.8 32.1 37.0 50~54 56.6 55.8 55.2 55.3 88.5 84.5 76.8 71.4 24.4 26.9 33.8 39.0 55~59 58.5 58.7 59.2 60.8 92.4 89.8 85.3 82.1 25.6 27.9 34.0 40.2 60~64 59.5 59.3 60.6 62.3 92.8 91.5 89.0 87.1 28.3 29.1 33.1 38.4 65~69 59.4 60.0 60.8 61.6 90.6 90.2 88.9 87.7 33.0 32.8 34.3 37.0 70~74 60.9 62.1 63.2 64.3 88.9 89.6 90.5 91.2 39.4 40.2 39.4 39.7 75~79 60.0 62.8 65.4 65.6 84.3 86.5 89.0 90.3 44.8 46.3 46.7 44.5 80~84 55.9 61.5 67.2 68.4 78.1 82.3 87.2 90.0 45.0 49.9 54.0 51.9 85+ 40.3 53.1 63.8 69.5 65.6 71.8 80.6 85.5 30.9 46.1 55.8 60.5

나. 추이분석

○ 남성은 20대 후반부터 가구주가 되는 비율이 급격히 증가, 60대 초반의 가구주 비율이 92.3%로 가장 높음

- 최근 25년간 25~60세 연령층은 등락을 보이며 가구주율이 낮아지고 있고, 저연령층 및 고령층의 가구주율은 증가

○ 여성은 20대 후반에 일시적 피크를 보인 후 30대에서 감소한 후 다시 증가, 70대 후반에서 44.9%로 최고를 보임

-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가구주율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고령층의 증가폭이 커,

우리나라의 가구주는 고령화 및 여성화되고 있는 추세

(20)

[표 2-4] 성 및 연령별 가구주율(1985~2010)

(단위 : 인구100명당 가구주수)

남성 여성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계 41.9 46.1 50.8 53.2 52.9 56.3 7.6 8.4 9.8 11.7 14.8 18.9

15세 미만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15~19 2.8 2.0 2.2 2.2 2.1 2.1 2.7 2.2 2.3 2.3 2.4 2.3

20~24 14.1 11.9 13.5 12.3 9.9 16.2 8.5 7.2 9.0 10.6 13.1 15.2 25~29 53.2 50.5 47.2 41.1 33.4 34.0 5.2 5.7 7.1 9.8 15.4 19.6 30~34 84.6 81.8 81.7 76.7 66.7 61.5 6.0 5.8 6.1 8.0 12.0 17.1 35~39 92.3 90.9 91.1 89.7 82.9 76.9 8.8 8.5 8.7 10.0 12.6 17.5 40~44 95.7 94.3 94.8 94.0 89.8 84.7 12.5 12.1 12.3 13.8 15.5 20.5 45~49 97.1 96.2 96.5 96.2 92.6 89.0 15.8 15.8 15.9 16.8 18.8 23.2 50~54 97.4 97.0 97.4 97.1 94.3 91.0 19.8 19.1 19.7 19.7 20.6 24.6 55~59 96.1 96.6 97.2 97.0 95.1 92.2 23.5 23.2 22.8 22.7 23.2 25.6 60~64 92.0 94.0 95.1 95.3 94.4 92.3 24.4 27.4 27.1 26.0 27.1 28.3 65~69 74.4 89.0 90.7 91.9 92.4 91.4 22.5 27.7 31.2 31.5 32.1 33.3 70~74 72.1 80.8 83.5 86.3 89.0 89.6 19.1 24.5 30.5 35.7 38.3 39.0 75~79 59.9 70.1 73.3 78.5 83.7 86.7 15.5 20.1 25.7 33.9 41.2 44.9 80~84 45.6 58.5 60.3 44.8 74.6 80.7 11.1 15.2 19.2 26.0 35.5 44.4 85+ 35.7 46.4 46.7 51.0 59.1 68.3 7.8 10.8 12.5 16.5 23.0 32.6 자료: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통계청, 각년도)」에서 계산

[그림 2-4] 성․연령별 가구주율 추이(1985~2010)

(21)

5.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별 추계

가.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별 가구주율 추계

○ 2000~2010년 총조사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별 구성비 추이를 기초로 2011~2035년까지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별로 가구수를 추계

- 연령별 가구유형별 구성비를 연령별 가구원수별 구성비의 하위분류로 추계

* 수정지수모형, 선형로그, 로지스틱, 선형회귀모형 등 검토, 수정지수모형 적용

나. 추이분석

○ 가구유형별 가구분포는, 최근 25년간 2세대 가구와 3세대이상 가구는 지속적 으로 감소하고 있고, 1인 가구 및 1세대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85년에 비해 각각 6.3배, 3.3배 증가하였음

- 1인 가구 및 1세대가구 증가는 1985~2010년 기간 중 전체 가구수 증가의 44.8%, 27.2%를 차지하여 동기간중 가구증가의 72.0%를 설명

[표 2-5] 가구유형별 가구 및 구성비 추이(1985~2010)

(단위 : 천가구, %)

계 1세대 2세대 3세대이상 비친족가구 1인 가구 (핵가족)

가구

1985 9,571 916 6,412 1,423 160 661 6,586

1990 11,355 1,220 7,529 1,418 166 1,021 7,726

1995 12,958 1,640 8,200 1,292 183 1,642 8,886

2000 14,312 2,034 8,696 1,198 159 2,224 9,781

2005 15,887 2,575 8,807 1,108 226 3,171 10,331

2010 17,339 3,027 8,892 1,075 202 4,142 10,681

구성비

1985 100.0 9.6 67.0 14.9 1.7 6.9 68.8

1990 100.0 10.7 66.3 12.5 1.5 9.0 68.0

1995 100.0 12.7 63.3 10.0 1.4 12.7 68.6

2000 100.0 14.2 60.8 8.4 1.1 15.5 68.3

2005 100.0 16.2 55.4 7.0 1.4 20.0 65.0

2010 100.0 17.5 51.3 6.2 1.2 23.9 61.6

증가율1)

1985 4.0 7.8 3.5 1.0 7.3 14.5 4.2

1990 3.7 6.6 3.5 -0.1 0.8 10.9 3.5

1995 2.8 6.9 1.8 -1.8 2.0 12.2 3.0

2000 2.1 4.8 1.2 -1.4 -2.6 7.1 2.0

2005 2.2 5.3 0.3 -1.5 8.4 8.5 1.1

2010 1.8 3.5 0.2 -0.6 -2.1 6.1 0.7

자료: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통계청, 각년도)」에서 계산 주 : 1) 직전 5년간(예, 2010년은 2005~2010)의 연평균증가율임

2) 1세대가구는 부부, 부부+기타친인척 등 동일 세대로 이루어진 가구이고, 2세대가구는 부부+미혼 자녀, 부부+부모, 조부모+미혼손자녀 등 2개의 세대로 이루어진 가구이며, 3세대가구는 부부+

(22)

○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가구원수는 1985년 4.16명에서 2010년 2.69명으로 감소

○ 2010년 가장 주된 가구원수별 가구는 2인 가구(24.3%)이며, 1인 가구(23.9%), 4인 가구(22.5%), 3인 가구(21.3%) 등의 순

- 최근 5년간 연평균 가구증가율은 1인 가구(6.1%), 2인 가구(3.9%), 3인 가구 (2.2%) 순이고, 4인 이상 가구는 감소

[표 2-6] 가구원수별 일반가구 구성비 및 평균 가구원수 추이 (1985~2010)

(단위 : 천가구, 명, %)

계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이상 평균

가구원수

가구

1985 9,571 661 1,176 1,580 2,422 1,863 1,183 688 4.16 1990 11,355 1,021 1,566 2,163 3,351 2,140 671 442 3.77 1995 12,958 1,642 2,185 2,636 4,110 1,667 497 221 3.40 2000 14,312 2,224 2,731 2,987 4,447 1,443 345 134 3.12 2005 15,887 3,171 3,521 3,325 4,289 1,222 267 93 2.88 2010 17,339 4,142 4,205 3,696 3,898 1,078 241 79 2.69

구성비

1985 100.0 6.9 12.3 16.5 25.3 19.5 12.4 7.2 -

1990 100.0 9.0 13.8 19.1 29.5 18.8 5.9 3.9 -

1995 100.0 12.7 16.9 20.3 31.7 12.9 3.8 1.7 -

2000 100.0 15.5 19.1 20.9 31.1 10.1 2.4 0.9 -

2005 100.0 20.0 22.2 20.9 27.0 7.7 1.7 0.6 -

2010 100.0 23.9 24.3 21.3 22.5 6.2 1.4 0.5 -

증가율

1985 4.0 14.5 8.0 7.4 9.9 3.3 0.3 -8.6 -

1990 3.7 10.9 6.6 7.4 7.7 3.0 -8.7 -7.1 -

1995 2.8 12.2 7.9 4.4 4.5 -4.4 -5.2 -10.0 -

2000 2.1 7.1 5.0 2.7 1.6 -2.7 -6.1 -7.8 -

2005 2.2 8.5 5.8 2.3 -0.7 -3.1 -4.5 -6.2 -

2010 1.8 6.1 3.9 2.2 -1.8 -2.4 -1.9 -3.0 -

자료: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통계청, 각년도)」에서 계산 주 : 1) 직전 5년간(예, 2010년은 2005~2010)의 연평균증가율임

[그림 2-5] 성․연령별 1인 가구 추이(2005,2010)

(23)

6. 신ㆍ구 추계의 비교

1) 개편방향

○ (시의성 제고) 2010년 센서스와 2011년 장래인구추계 결과를 시의성 있게 반영하기 위해 전국-시도추계의 분리 및 조기 공표(11월⇢4월, 8월)

○ (기초자료 분석 강화 및 추계대상 범위 확대) 기준가구 작성에 필요한 센서스 보정을 위해 사후조사 순누락률을 세분화된 수준까지 분석 후 적용하고 - 2000~2010년 시설․집단가구 추이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대상인구추계 정도

개선

- 2000년 이후 다문화가구의 증가추이를 반영하여 다문화가구내 외국인을 추계대상인구에 포함

○ (모형개선 등 설명력 향상) 단계별 추계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고 통계적 보정 방법 활용

- 최근의 혼인패턴 및 가구구성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모형과 방법론을 적용

[표 2-7] 신추계와 구추계 방법론 비교

2007년 추계 2012년 추계

추계기간 2005년~2030년 2010년~2035년

작성방법 가구주율법

혼인상태인구 전이확률추계

3세이동평균 등 연령별 개별보정 로그감마모형, 로지스틱모형,

Spline보정모형

감소율 감소 적용 단일변수 시계열모형

(Lee-Carter모형)

가구주율 선형로그모형 수정지수모형

가구구성비 선형로그모형 수정지수모형

(24)

○ (자료제공범위 확대) 기존 공표항목을 보다 세분화, 추가 제공

[표 2-8] 신추계와 구추계 자료제공범위 비교

2007년 추계 2012년 추계

최종연령 85세 이상 100세 이상

가구유형 연령*가구유형 동일

가구원수 가구원수 연령*가구원수

가구유형 및

가구원수 가구유형*가구원수 연령*가구유형*가구원수

1인가구 연령 연령*혼인상태별

2) 개편결과

○ 2005년 기준 추계 이후 기존 추이를 벗어나는 상황이 전개, 즉, 출생증가, 사망감소, 국제이동 급증 등에 의한 인구규모․구조의 변화

-

그 밖에 각종 경제․사회환경변화에 따라 가구분화 속도가 추계보다 빨라짐

○ 2005년 이후 인구, 가구의 변화된 추이를 반영하여 성별, 혼인상태별, 가구 유형별 가정을 설정

-

급속한 사회문화와 경제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가능한 최근의 자료를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구 추계에 비해 최근 추세를 더 많이 반영

[그림 2-6] 가구주연령구간별 차이(2010년) [그림 2-7] 신․구추계 차이요인비교

(25)

[표 2-9] 신추계와 구추계 결과 비교

(단위 : 천가구, 명, 세)

지표 구추계

(2007년)

신추계 (2012년)

차이

총가구(성장률)

2010년 17,152 (1.39%) 17,359 (1.80%) 207

2030년 19,871 (0.14%) 21,717 (0.64%) 1,845

평균가구원수

2010년 2.73 2.71 -0.02

2030년 2.35 2.24 -0.11

중위연령

2010년 48.9 48.8 -0.1

2030년 57.3 58.7 1.4

성 별

남성가구주

2010년 13,344 (77.8%) 12,903 (74.3%) -441

2030년 15,125 (76.1%) 14,342 (66.0%) -783

여성가구주

2010년 3,809 (22.2%) 4,457 (25.7%) 648

2030년 4,746 (23.9%) 7,374 (34.0%) 2,628

연 령 별

15~64세 가구주 가구(%)

2010년 14,168 (82.6%) 14,273 (82.2%) 104

2030년 13,459 (67.7%) 14,027 (64.6%) 567

65세이상가구주 가구(%)

2010년 2,982 (17.4%) 3,087 (17.8%) 104

2030년 6,411 (32.3%) 7,690 (35.4%) 1,279

(26)

Ⅲ. 장래가구추계 결과

1. 총가구와 가구증가율

2010년 총가구는 1,735만9천 가구에서 2035년 2,226만1천 가구로 1.3배 증가할 전망, 평균가구원수는 2010년 2.71명에서 2035년 2.17명으로 감소할 전망

○ (총가구) 2010년 총가구는 1,735만9천 가구에서, 2035년에는 2,226만1천 가구로 1.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가구증가율) 2010년 총가구는 전년에 비해 1.80% 증가, 2010년 추계인구증가율 0.46%에 비해 3.9배 수준이나, 점차 감소하여 2035년 0.39%로 전망

-

인구는 2030년 정점을 이룬 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가구는 1인가구,

부부가구 등 가구분화 및 해체로 2035년까지 증가할 전망

○ (평균가구원수) 2010년 평균가구원수는 2.71명이며, 점차 감소하여 2035년 2.17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그림 3-1] 가구 및 인구 증가(2010~2035) [그림 3-2] 평균가구원수(2010~2035)

(27)

(단위 : 천명, 천가구, %) 추계인구

일반가구원

일반가구

평균가구원

인구 증가율 가구 증가율

2010 49,410 0.46 47,053 17,359 1.80 2.71

2011 49,779 0.75 47,269 17,687 1.89 2.67

2012 50,004 0.45 47,352 17,951 1.49 2.64

2013 50,220 0.43 47,434 18,206 1.42 2.61

2014 50,424 0.41 47,519 18,458 1.38 2.57

2015 50,617 0.38 47,606 18,705 1.34 2.55

2016 50,801 0.36 47,696 18,948 1.30 2.52

2017 50,977 0.34 47,790 19,187 1.26 2.49

2018 51,141 0.32 47,883 19,421 1.22 2.47

2019 51,294 0.30 47,969 19,650 1.18 2.44

2020 51,435 0.28 48,053 19,878 1.16 2.42

2021 51,566 0.25 48,199 20,106 1.15 2.40

2022 51,686 0.23 48,343 20,334 1.13 2.38

2023 51,791 0.20 48,461 20,548 1.05 2.36

2024 51,888 0.19 48,561 20,748 0.98 2.34

2025 51,972 0.16 48,649 20,937 0.91 2.32

2026 52,042 0.13 48,707 21,114 0.84 2.31

2027 52,094 0.10 48,731 21,277 0.77 2.29

2028 52,131 0.07 48,749 21,431 0.72 2.27

2029 52,154 0.04 48,759 21,578 0.69 2.26

2030 52,160 0.01 48,743 21,717 0.64 2.24

2031 52,146 -0.03 48,704 21,844 0.59 2.23

2032 52,115 -0.06 48,653 21,965 0.55 2.22

2033 52,060 -0.11 48,577 22,075 0.50 2.20

2034 51,985 -0.14 48,476 22,173 0.45 2.19

2035 51,888 -0.19 48,351 22,261 0.39 2.17

[표 3-1] 인구 및 일반가구 추이(2010~2035)

(28)

2. 가구주의 성ㆍ연령

고령가구주 및 여성가구주 가구 크게 증가할 전망

: 65세 이상 가구주 17.8%→40.5%, 여성가구주 25.7%→35.1%

○ (가구주 성별) 2010년 남성 가구주 가구는 1,290만3천 가구(74.3%)이며, 여성 가구주 가구는 445만7천 가구(25.7%)임

-

2035년까지 여성 가구주 가구가 점차 증가*하여 전체 가구의 35.1%를 차지할 전망이며, 이는 전체 가구 변화의 68.7%를 설명

* 여성의 사회 경제적 지위향상, 기대수명 증가, 직업 등의 이유에 의한 분리가구 증가 등에 기인

○ (가구주 연령) 2010년 가장 많은 연령층은 40대로 전체의 25.6%를 차지, 남성 30~50대가 전체의 53.2%를 차지하고 있고, 여성의 경우는 연령대별로 4%

내외로 골고루 분포

-

2035년에는 혼인의 지연, 기대수명 증가 등으로 가구주 주 연령층이 점차 고령화 되어 60대가 22.5%로 가장 많은 연령대를 차지하게 될 전망

○ (가구주 중위연령) 가구주 중위연령은 2010년 48.80세에서 2035년 60.92세로 12.12세 증가할 전망

-

남성의 경우 2010년 48.22세에서 2035년 60.77세로, 여성의 경우는 2010년 50.96세에서 2035년 61.23세로 증가

[그림 3-3] 성․연령별 가구추이(남성) [그림 3-4] 성․연령별 가구추이(여성)

(29)

(단위 : 천가구, %, 세)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 구 수

남 녀 전 체

계 17,359 17,951 18,705 20,937 22,261 196 100.0 1.28

19세이하 69 84 79 55 61 0 -0.2 0.89

20~29 1,325 1,290 1,303 1,308 1,088 -10 -4.9 0.82 30~39 3,405 3,288 3,078 2,570 2,108 -52 -26.5 0.62 40~49 4,450 4,400 4,293 3,707 3,222 -49 -25.0 0.72 50~59 3,740 4,135 4,511 4,649 4,214 19 9.7 1.13 60~69 2,364 2,465 2,837 4,682 5,011 106 54.0 2.12 70~79 1,564 1,725 1,871 2,665 4,483 117 59.6 2.87

80세이상 442 563 733 1,301 2,074 65 33.3 4.69

65+ 3,087 3,388 3,852 6,172 9,025 238 121.2 2.92 75+ 1,075 1,275 1,559 2,414 4,097 121 61.7 3.81

85+ 132 185 247 556 892 30 15.5 6.74

중위연령 48.80 49.81 51.35 56.21 60.92 0.48

남 성

계 12,903 13,138 13,392 14,110 14,438 61 31.3 1.12

19세이하 34 40 37 25 28 0 -0.1 0.82

20~29 779 747 733 705 561 -9 -4.4 0.72

30~39 2,742 2,596 2,364 1,836 1,432 -52 -26.7 0.52 40~49 3,566 3,470 3,292 2,619 2,176 -56 -28.4 0.61 50~59 2,924 3,197 3,428 3,256 2,773 -6 -3.1 0.95 60~69 1,724 1,804 2,078 3,353 3,449 69 35.2 2.00

70~79 932 1,039 1,136 1,705 2,952 81 41.2 3.17

80세이상 201 245 324 610 1,066 35 17.7 5.31

65+ 1,889 2,062 2,350 3,880 5,723 153 78.2 3.03

75+ 544 639 791 1,281 2,352 72 36.9 4.33

85+ 58 71 91 225 395 13 6.9 6.76

중위연령 48.22 49.20 50.80 55.94 60.77 0.50

여 성

계 4,457 4,812 5,313 6,828 7,823 135 68.7 1.76

19세이하 35 44 42 31 34 0 0.0 0.96

20~29 547 543 570 603 527 -1 -0.4 0.96

30~39 663 692 714 734 675 0 0.3 1.02

40~49 884 930 1,002 1,088 1,046 6 3.3 1.18

50~59 816 938 1,083 1,392 1,441 25 12.8 1.77

60~69 639 661 760 1,329 1,563 37 18.8 2.44

70~79 632 686 735 960 1,530 36 18.3 2.42

80세이상 241 319 409 690 1,007 31 15.6 4.17

65+ 1,197 1,327 1,502 2,292 3,302 84 42.9 2.76

75+ 531 636 768 1,133 1,745 49 24.8 3.28

85+ 74 114 155 331 497 17 8.6 6.72

중위연령 50.96 51.88 53.07 56.84 61.23 0.41 [표 3-2] 가구주의 성 및 연령별 가구 및 구성비(2010~2035)

(30)

(단위 :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구 성 비

남 녀 전 체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4 0.5 0.4 0.3 0.3    

20~29 7.6 7.2 7.0 6.2 4.9    

30~39 19.6 18.3 16.5 12.3 9.5    

40~49 25.6 24.5 23.0 17.7 14.5    

50~59 21.5 23.0 24.1 22.2 18.9    

60~69 13.6 13.7 15.2 22.4 22.5    

70~79 9.0 9.6 10.0 12.7 20.1    

80세이상 2.5 3.1 3.9 6.2 9.3    

65+ 17.8 18.9 20.6 29.5 40.5    

75+ 6.2 7.1 8.3 11.5 18.4    

85+ 0.8 1.0 1.3 2.7 4.0    

남 성

계 74.3 73.2 71.6 67.4 64.9    

19세이하 0.2 0.2 0.2 0.1 0.1    

20~29 4.5 4.2 3.9 3.4 2.5    

30~39 15.8 14.5 12.6 8.8 6.4    

40~49 20.5 19.3 17.6 12.5 9.8    

50~59 16.8 17.8 18.3 15.6 12.5    

60~69 9.9 10.0 11.1 16.0 15.5    

70~79 5.4 5.8 6.1 8.1 13.3    

80세이상 1.2 1.4 1.7 2.9 4.8    

65+ 10.9 11.5 12.6 18.5 25.7    

75+ 3.1 3.6 4.2 6.1 10.6    

85+ 0.3 0.4 0.5 1.1 1.8    

여 성

계 25.7 26.8 28.4 32.6 35.1    

19세이하 0.2 0.2 0.2 0.1 0.2    

20~29 3.1 3.0 3.0 2.9 2.4    

30~39 3.8 3.9 3.8 3.5 3.0    

40~49 5.1 5.2 5.4 5.2 4.7    

50~59 4.7 5.2 5.8 6.6 6.5    

60~69 3.7 3.7 4.1 6.3 7.0    

70~79 3.6 3.8 3.9 4.6 6.9    

80세이상 1.4 1.8 2.2 3.3 4.5    

65+ 6.9 7.4 8.0 10.9 14.8    

75+ 3.1 3.5 4.1 5.4 7.8    

85+ 0.4 0.6 0.8 1.6 2.2    

(31)

[그림 3-5] 가구주의 연령별 비중(남성), 2010~2035

[그림 3-6] 가구주의 연령별 비중(여성), 2010~2035

(32)

3. 가구주의 혼인상태

미혼 및 이혼가구주 가구가 크게 증가할 전망

: 미혼가구주 14.5%→19.9%, 이혼가구주 7.2%→14.8%

○ (전체 가구주) 2010년 가구주가 유배우인 경우는 1,155만7천 가구(66.6%)이며, 미혼(14.5%), 사별(11.7%), 이혼(7.2%)순임

-

2035년에는 미혼 및 이혼 가구 비중은 증가하고 유배우 비중은 감소, 유배우(53.7%), 미혼(19.9%), 이혼(14.8%), 사별(11.6%)의 순으로 변화

○ (남성 가구주) 2010년 현재 남성의 경우, 유배우인 경우가 81.5%로 대부분이고 미혼이 11.8%, 이혼이 4.2%, 사별이 2.5% 순임

-

2035년까지 유배우 구성비는 감소하고 다른 혼인상태 구성비는 증가하지만 유배우, 미혼, 이혼, 사별 순위는 변동 없음

○ (여성 가구주) 2010년 현재 여성의 경우는 사별이 38.1%, 유배우 23.4%, 미혼 22.4%, 이혼 16.0% 순임

-

2035년까지 사별 구성비는 크게 감소하고, 이혼, 유배우, 미혼 순으로 증가하여, 2035년 사별(27.6%), 유배우(25.2%), 이혼(24.1%), 미혼(23.1%) 순으로 전망

[그림 3-7] 혼인상태별 가구주(남성) (2010~2035)

[그림 3-8] 혼인상태별 가구주(여성) (2010~2035)

(33)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 구 수

남 녀 전 체

계 17,359 17,951 18,705 20,937 22,261 196 100.0 1.28

미혼 2,522 2,688 2,960 3,865 4,427 76 38.9 1.76

유배우 11,557 11,721 11,850 11,990 11,945 16 7.9 1.03

사별 2,022 2,099 2,181 2,397 2,589 23 11.6 1.28

이혼 1,258 1,443 1,714 2,685 3,300 82 41.7 2.62

남 성

계 12,903 13,138 13,392 14,110 14,438 61 31.3 1.12

미혼 1,521 1,623 1,779 2,308 2,619 44 22.4 1.72

유배우 10,515 10,559 10,527 10,255 9,976 -22 -11.0 0.95

사별 322 329 338 376 427 4 2.1 1.32

이혼 544 627 747 1,171 1,416 35 17.8 2.60

여 성

계 4,457 4,812 5,313 6,828 7,823 135 68.7 1.76

미혼 1,000 1,065 1,181 1,557 1,808 32 16.5 1.81

유배우 1,042 1,161 1,323 1,735 1,969 37 18.9 1.89

사별 1,700 1,770 1,842 2,021 2,162 18 9.4 1.27

이혼 715 816 967 1,514 1,884 47 23.9 2.64

구 성 비

남 녀 전 체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미혼 14.5 15.0 15.8 18.5 19.9      

유배우 66.6 65.3 63.4 57.3 53.7      

사별 11.7 11.7 11.7 11.4 11.6      

이혼 7.2 8.0 9.2 12.8 14.8      

남 성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미혼 11.8 12.4 13.3 16.4 18.1      

유배우 81.5 80.4 78.6 72.7 69.1      

사별 2.5 2.5 2.5 2.7 3.0      

이혼 4.2 4.8 5.6 8.3 9.8      

여 성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미혼 22.4 22.1 22.2 22.8 23.1      

유배우 23.4 24.1 24.9 25.4 25.2      

사별 38.1 36.8 34.7 29.6 27.6      

이혼 16.0 17.0 18.2 22.2 24.1      

[표 3-3] 가구주의 성 및 혼인상태별 가구 및 구성비(2010~2035)

(34)

4. 가구유형

부부+자녀가구는 감소하고, 1인 가구 및 부부가구 크게 증가 : 부부+자녀가구 연평균 7만7천 가구 감소,

1인 가구는 연평균 13만9천 가구, 부부가구는 9만5천 가구 증가

가. 총괄

○ 2010년 부부+자녀가구가 642만7천 가구(37.0%)로 가장 많고, 1인 가구(23.9%), 부부가구(15.4%) 등의 순이던 것이

-

2035년에는 1인 가구(34.3%), 부부가구(22.7%), 부부+자녀가구(20.3%)순 으로 변화

○ 2035년까지 가장 많이 증가한 유형은 1인 가구(10.3%p), 부부가구(7.3%p)이고, 부부+자녀가구는 16.8%p 감소

-

연평균 1인 가구는 13만9천 가구, 부부가구는 9만5천 가구가 증가할 전망 이고, 부부+자녀가구는 7만7천 가구 감소할 전망

[그림 3-9] 가구유형별 가구(2010) [그림 3-10] 가구유형별 가구(2035)

(35)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 구 수

계 17,359 17,951 18,705 20,937 22,261 196 100.0 1.28

친 족 가 구

계 13,002 13,198 13,420 14,136 14,408 56 28.7 1.11

부부 2,666 2,874 3,179 4,264 5,053 95 48.7 1.90

부부+자녀 6,427 6,294 6,059 5,264 4,509 -77 -39.1 0.70

부+자녀 347 373 410 511 564 9 4.4 1.62

모+자녀 1,248 1,304 1,374 1,528 1,601 14 7.2 1.28

3세대 1,062 1,035 992 891 851 -8 -4.3 0.80

4세대이상 13 12 10 7 4 0 -0.2 0.35

기타1) 1,240 1,305 1,395 1,671 1,826 23 12.0 1.47

1인가구 4,153 4,539 5,061 6,561 7,628 139 70.9 1.84

비친족가구 205 214 225 241 225 1 0.4 1.10

구 성 비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친 족 가 구

계 74.9 73.5 71.7 67.5 64.7      

부부 15.4 16.0 17.0 20.4 22.7      

부부+자녀 37.0 35.1 32.4 25.1 20.3      

부+자녀 2.0 2.1 2.2 2.4 2.5      

모+자녀 7.2 7.3 7.3 7.3 7.2      

3세대 6.1 5.8 5.3 4.3 3.8      

4세대이상 0.1 0.1 0.1 0.0 0.0      

기타 7.1 7.3 7.5 8.0 8.2      

1인가구 23.9 25.3 27.1 31.3 34.3      

비친족가구 1.2 1.2 1.2 1.1 1.0      

[표 3-4] 가구유형별 가구(2010~2035)

주: 1) 부부+미혼형제자매(기타친인척), 가구주+미혼형제자매, 가구주+기타친인척, 1세대기타, 부부+양친 (한부모), 부부+미혼자녀+부부미혼형제자매, 조부모(한조부모)+미혼손자녀, 2세대기타

(36)

나. 부부가구

○ (가구비중) 2010년 15.4%이던 것이 2035년 22.7%로 7.3%p 증가

○ (가구주연령) 2010년 현재 부부가구의 연령구조는 30대에서 13.2%로 첫 번째 고점을 보인 후 50대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60대가 27.7%로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였고, 2035년에는 50대~70대가 전체 부부가구의 81.1%를 차지할 전망

-

20대까지의 부부가구는 저연령 인구감소, 혼인의 지연 등으로 감소하는

반면, 60대 이후의 부부가구는 지속 증가

-

특히, 70대 부부가구는 2010년 54만9천 가구(20.6%)에서 점차 증가하여 2035년에는 166만8천 가구(33.0%)로 연평균 4만5천 가구 증가할 전망이며, 이는 전체 부부가구 변화의 46.9%를 설명

* 85세 이상의 부부가구는 2010년 3만1천 가구(1.2%)이며, 2035년에는 16만 가구로 5.2배 증가할 전망

[그림 3-11] 연령별 부부가구 추이(2010~2035) [그림 3-12] 연령별 부부가구 비중(2010~2035)

(37)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구수

계 2,666 2,874 3,179 4,264 5,053 95 100.0 1.90

19세이하 0 0 0 0 0 0 0.0 0.06

20~29 110 92 75 46 19 -4 -3.8 0.18

30~39 352 366 368 370 319 -1 -1.4 0.91

40~49 227 232 239 238 227 0 0.0 1.00

50~59 574 660 760 861 826 10 10.6 1.44

60~69 738 772 892 1,494 1,606 35 36.4 2.18

70~79 549 610 666 979 1,668 45 46.9 3.04

80세이상 115 142 178 275 387 11 11.4 3.35

65+ 1,038 1,134 1,280 2,028 2,919 75 78.8 2.81

75+ 325 378 452 641 1,044 29 30.1 3.21

85+ 31 42 54 111 160 5 5.4 5.21

구성비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0 0.0 0.0 0.0 0.0      

20~29 4.1 3.2 2.3 1.1 0.4      

30~39 13.2 12.7 11.6 8.7 6.3      

40~49 8.5 8.1 7.5 5.6 4.5      

50~59 21.5 22.9 23.9 20.2 16.4      

60~69 27.7 26.9 28.1 35.0 31.8      

70~79 20.6 21.2 21.0 23.0 33.0      

80세이상 4.3 5.0 5.6 6.5 7.7      

65+ 38.9 39.5 40.3 47.6 57.8      

75+ 12.2 13.2 14.2 15.0 20.7      

85+ 1.2 1.5 1.7 2.6 3.2      

[표 3-5] 가구주 연령별 부부가구(2010~2035)

(38)

다. 부부+자녀 가구

○ (가구비중) 2010년 642만7천 가구(37.0%)이던 것이 2035년 450만9천 가구 (20.3%), 비중 16.8%p 감소

○ (가구주연령) 2010년 현재 부부+자녀가구의 가구주 연령구조는 40대가 38.5%로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이던 것이, 2035년에는 50대가 30.2%로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임

-

40대 이하는 혼인의 지연, 비혼 및 미출산 등으로 점차 감소하여, 40대의 부부+자녀가구 감소는 전체 부부+자녀가구 감소의 64.4%를 설명

-

60대 이상의 경우는 자녀의 독립지연 등으로, 2010년 60대 51만6천 가구 (8.0%), 70대 11만4천 가구(1.8%)에서 2035년 60대 97만7천 가구(21.7%), 70대 35만8천 가구(7.9%)로 각각 1.9배, 3.2배 증가할 전망

[그림 3-13] 연령별 부부와 자녀가구 추이 (2010~2035)

[그림 3-14] 연령별 부부와 자녀가구 비중 (2010~2035)

(39)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구수

계 6,427 6,294 6,059 5,264 4,509 -77 100.0 0.70

19세이하 1 1 1 1 1 0 0.0 1.91

20~29 123 98 74 36 14 -4 5.7 0.12

30~39 1,580 1,419 1,210 747 524 -42 55.0 0.33

40~49 2,473 2,375 2,215 1,647 1,238 -49 64.4 0.50 50~59 1,612 1,727 1,798 1,650 1,363 -10 13.0 0.85

60~69 516 535 609 951 977 18 -24.1 1.90

70~79 114 126 137 208 358 10 -12.8 3.16

80세이상 10 12 15 23 32 1 -1.1 3.11

65+ 297 315 352 587 791 20 -25.7 2.66

75+ 40 46 54 73 122 3 -4.2 3.03

85+ 2 3 4 8 13 0 -0.6 5.77

구성비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0 0.0 0.0 0.0 0.0      

20~29 1.9 1.6 1.2 0.7 0.3      

30~39 24.6 22.6 20.0 14.2 11.6      

40~49 38.5 37.7 36.6 31.3 27.5      

50~59 25.1 27.4 29.7 31.3 30.2      

60~69 8.0 8.5 10.1 18.1 21.7      

70~79 1.8 2.0 2.3 4.0 7.9      

80세이상 0.2 0.2 0.3 0.4 0.7      

65+ 4.6 5.0 5.8 11.2 17.5      

75+ 0.6 0.7 0.9 1.4 2.7      

85+ 0.0 0.0 0.1 0.2 0.3      

[표 3-6] 가구주 연령별 부부+자녀 가구(2010~2035)

(40)

라. 한부모+자녀 가구

○ (가구비중) 2010년 159만5천 가구이던 것이 이혼 및 사별 가구, 주말 부부 가구 등, 직업 등에 의한 분리가구의 증가, 자녀 독립의 지연 등으로 2035년 216만5천 가구, 비중은 0.5%p 증가

○ (가구주연령) 2010년 현재 한부모+자녀가구의 가구주 연령구조는 40대가 35.6%로 가장 많으며, 2035년에도 40대가 25.8%로 가장 많으나, 고연령 한부모 가구증가 등으로 비중은 감소

-

30대의 경우 2010년 25만 가구(15.6%), 2035년 18만9천 가구(8.7%)로 연평균 2천 가구 감소

-

60대 이상의 경우 증가 추이를 보이며, 특히 60대는 연평균 1만 가구 증가로 전체 한부모+자녀가구 증가의 44.4%를 설명

[그림 3-15] 연령별 한부모와 자녀가구 추이 (2010~2035)

[그림 3-16] 연령별 한부모와 자녀가구 비중 (2010~2035)

(41)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구수

계 1,595 1,677 1,784 2,039 2,165 23 100.0 1.36

19세이하 1 1 1 1 1 0 0.0 0.83

20~29 58 56 57 60 50 0 -1.4 0.86

30~39 250 246 238 213 189 -2 -10.5 0.76

40~49 568 580 594 585 559 0 -1.6 0.98

50~59 453 504 553 587 544 4 16.0 1.20

60~69 181 191 224 388 434 10 44.4 2.40

70~79 71 81 92 152 287 9 37.8 4.04

80세이상 13 18 25 54 101 4 15.4 7.72

65+ 156 173 204 373 589 17 75.9 3.78

75+ 38 46 60 111 220 7 32.0 5.86

85+ 3 5 7 20 38 1 6.0 11.15

구성비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1 0.1 0.1 0.0 0.0      

20~29 3.7 3.4 3.2 3.0 2.3      

30~39 15.6 14.6 13.4 10.4 8.7      

40~49 35.6 34.6 33.3 28.7 25.8      

50~59 28.4 30.1 31.0 28.8 25.1      

60~69 11.3 11.4 12.6 19.0 20.0      

70~79 4.5 4.8 5.1 7.5 13.3      

80세이상 0.8 1.0 1.4 2.6 4.7      

65+ 9.8 10.3 11.4 18.3 27.2      

75+ 2.4 2.8 3.4 5.4 10.2      

85+ 0.2 0.3 0.4 1.0 1.7      

[표 3-7] 가구주 연령별 한부모+자녀 가구(2010~2035)

(42)

마. 3세대 가구

○ (가구비중) 2010년 106만2천 가구이던 것이 2035년 85만1천 가구, 비중은 2.3%p 감소

○ (가구주연령) 2010년 현재 3세대 가구주 연령구조는 40대가 29.8%로 가장 많고, 2035년에는 70대가 31.1%로 가장 많음

-

30~50대의 경우 연평균 4~8천 가구 감소

-

60대 이상의 경우 증가 추이를 보이며, 특히 70대는 연평균 6천 가구 증가로 전체 3세대 가구 변화의 69.6%를 설명

[그림 3-17] 연령별 3세대 가구 추이 (2010~2035)

[그림 3-18] 연령별 3세대 가구 비중 (2010~2035)

(43)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구수

계 1,062 1,035 992 891 851 -8 100.0 0.80

19세이하 0 0 0 0 0 0 0.0 0.13

20~29 12 10 8 4 2 0 4.7 0.16

30~39 161 144 122 74 52 -4 52.1 0.32

40~49 316 295 264 174 120 -8 92.8 0.38

50~59 249 254 246 176 115 -5 63.5 0.46

60~69 179 175 185 240 216 2 -17.9 1.21

70~79 118 126 130 167 265 6 -69.6 2.25

80세이상 26 32 38 56 80 2 -25.6 3.05

65+ 229 240 255 351 471 10 -114.8 2.06

75+ 71 80 92 121 192 5 -57.2 2.70

85+ 8 10 12 23 32 1 -11.4 4.20

구성비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0 0.0 0.0 0.0 0.0      

20~29 1.1 0.9 0.8 0.5 0.2      

30~39 15.2 13.9 12.3 8.3 6.1      

40~49 29.8 28.5 26.6 19.5 14.2      

50~59 23.5 24.6 24.8 19.7 13.5      

60~69 16.8 16.9 18.6 27.0 25.4      

70~79 11.1 12.1 13.1 18.7 31.1      

80세이상 2.5 3.1 3.9 6.3 9.4      

65+ 21.6 23.2 25.7 39.4 55.4      

75+ 6.7 7.7 9.3 13.6 22.5      

85+ 0.7 1.0 1.2 2.5 3.7      

[표 3-8] 가구주 연령별 3세대 가구(2010~2035)

(44)

5. 가구원수

1인 및 2인 가구 2010년 835만5천 가구(48.1%)에서 2035년 1,520만7천 가구(68.3%)로 증가할 전망

가. 총괄

○ 2010년 2인 가구(420만2천 가구, 24.2%), 1인 가구(415만3천 가구, 23.9%), 4인 가구(390만5천 가구, 22.5%), 3인 가구(369만9천 가구, 21.3%) 순이던 것이

-

3인 이하 가구는 증가하고, 4인 이상 가구는 감소하여 2035년에는 1인 가구, 2인 가구가 각각 34.3%, 34.0%로 전체가구의 68.3%를 차지할 전망

-

가구원수별 가구구성비는 2010년 2인→1인→4인→3인순이던 것이, 2012년

이후는 1인→2인→3인→4인순으로 전망

○ 2035년까지 가장 많이 증가한 유형은 1인 및 2인 가구로 연평균 각각 13만9천 가구, 13만5천 가구 증가하여 전체 가구증가의 70.9%, 68.9%를 설명

-

반면, 4인 가구 및 5인 이상 가구는 연평균 각각 6만9천 가구, 3만4천

가구 감소할 것으로 전망

[그림 3-19] 가구원수별 가구비중(2010~2035)

(45)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구

전체 17,359 17,951 18,705 20,937 22,261 196 100.0 1.28

1인 4,153 4,539 5,061 6,561 7,628 139 70.9 1.84

2인 4,202 4,527 4,991 6,523 7,579 135 68.9 1.80

3인 3,699 3,830 3,988 4,321 4,318 25 12.6 1.17

4인 3,905 3,760 3,522 2,767 2,190 -69 -35.0 0.56

5인 1,080 1,002 888 596 426 -26 -13.3 0.39

6인 241 222 195 132 95 -6 -3.0 0.39

7인이상 79 71 60 37 26 -2 -1.1 0.33

구성비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인 23.9 25.3 27.1 31.3 34.3

2인 24.2 25.2 26.7 31.2 34.0

3인 21.3 21.3 21.3 20.6 19.4

4인 22.5 20.9 18.8 13.2 9.8

5인 6.2 5.6 4.7 2.8 1.9

6인 1.4 1.2 1.0 0.6 0.4

7인이상 0.5 0.4 0.3 0.2 0.1

[표 3-9] 가구원수별 가구(2010~2035)

(46)

[표 3-10] 가구원수 및 가구유형(2010~2035)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 구 수

2인

계 4,202 4,527 4,991 6,523 7,579 135 100.0 1.80

부부 2,666 2,874 3,179 4,264 5,053 95 70.7 1.90

부+자녀 202 224 258 360 425 9 6.6 2.10

모+자녀 738 791 863 1,054 1,178 18 13.0 1.60

기타1) 597 638 691 844 924 13 9.7 1.55

3인

계 3,699 3,830 3,988 4,321 4,318 25 100.0 1.17

부부+자녀 2,585 2,669 2,768 2,969 2,917 13 53.6 1.13

부+자녀 128 133 138 144 135 0 1.3 1.06

모+자녀 445 455 461 442 401 -2 -7.1 0.90

3세대 86 92 100 128 161 3 12.0 1.86

기타2) 455 482 520 638 703 10 40.2 1.55

4인

계 3,905 3,760 3,522 2,767 2,190 -69 100.0 0.56 부부+자녀 3,292 3,132 2,878 2,073 1,464 -73 106.5 0.44

부+자녀 16 15 13 7 4 0 0.7 0.24

모+자녀 59 54 47 30 21 -1 2.2 0.36

3세대 319 327 335 359 381 2 -3.6 1.20

4세대이상 1 1 1 1 1 0 0.0 1.33

기타3) 218 231 248 298 318 4 -5.8 1.46

구 성 비

2인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부부 63.4 63.5 63.7 65.4 66.7      

부+자녀 4.8 5.0 5.2 5.5 5.6      

모+자녀 17.6 17.5 17.3 16.2 15.5      

기타1) 14.2 14.1 13.8 12.9 12.2      

3인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부부+자녀 69.9 69.7 69.4 68.7 67.6      

부+자녀 3.4 3.5 3.5 3.3 3.1      

모+자녀 12.0 11.9 11.6 10.2 9.3      

3세대 2.3 2.4 2.5 3.0 3.7      

기타2) 12.3 12.6 13.0 14.8 16.3      

4인

계 100.0 93.8 92.9 89.2 85.4      

부부+자녀 84.3 83.3 81.7 74.9 66.9      

부+자녀 0.4 0.4 0.4 0.3 0.2      

모+자녀 1.5 1.4 1.3 1.1 1.0      

3세대 8.2 8.7 9.5 13.0 17.4      

4세대이상 0.0 0.0 0.0 0.0 0.0      

기타3) 5.6 6.1 7.0 10.8 14.5      

주: 1) 가구주+미혼형제자매, 가구주+기타친인척, 1세대기타, 조부모(한조부모)+미혼손자녀, 2세대기타, 비친족가구 2) 부부+미혼형제자매(기타친인척), 가구주+미혼형제자매, 가구주+기타친인척, 1세대기타, 부부+한

부모, 조부모(한조부모)+미혼손자녀, 2세대기타, 비친족가구

3) 부부+미혼형제자매(기타친인척), 가구주+미혼형제자매, 가구주+기타친인척, 1세대기타, 부부+양친, 부부+미혼자녀+부부미혼형제자매, 조부모(한조부모)+미혼손자녀, 2세대기타, 비친족가구

(47)

나. 1인 가구

○ (가구비중) 2010년 23.9%에서 2035년 34.3%로 변화

○ (연령별분포) 2010년 1인 가구는 30대 연령층이 80만 가구(19.3%)로 가장 많고, 40대 이상 연령의 가구구성비는 60대까지 연령이 높을수록 1인 가구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

-

기대수명의 연장, 독거노인 증가 등으로 60대 이상 1인 가구가 급격하게 증가 하고 있으며, 2035년에는 70대의 1인 가구가 151만3천 가구(19.8%)로 가장 많고, 60대 이하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비중이 적어지는 경향*

* 지속된 저출산에 따른 저연령 인구감소에 기인

-

특히, 65세 이상 연령층의 1인 가구 증가는 연평균 9만5천 가구, 전체 1인 가구 증가의 68.3%를 설명

* 85세 이상 1인 가구도 연평균 1만9천 가구 증가, 전체 1인 가구 변화의 13.9%를 설명

[그림 3-20] 연령별 1인 가구 추이 (2010~2035)

[그림 3-21] 연령별 1인 가구 비중 (2010~2035)

(48)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1인가구

계 4,153 4,539 5,061 6,561 7,628 139 100.0 1.84

19세이하 49 62 60 45 53 0 0.1 1.07

20~29 777 798 857 940 828 2 1.4 1.06

30~39 800 848 878 913 801 0 0.0 1.00

40~49 631 676 732 814 835 8 5.9 1.32

50~59 586 689 815 1,005 1,017 17 12.4 1.74

60~69 527 560 662 1,181 1,333 32 23.2 2.53

70~79 557 613 665 915 1,513 38 27.5 2.72

80세이상 225 293 392 748 1,249 41 29.5 5.54

65+ 1,056 1,187 1,379 2,248 3,430 95 68.3 3.25

75+ 484 586 734 1,215 2,105 65 46.6 4.35

85+ 71 102 139 331 555 19 13.9 7.77

구성비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1.2 1.4 1.2 0.7 0.7      

20~29 18.7 17.6 16.9 14.3 10.8      

30~39 19.3 18.7 17.3 13.9 10.5      

40~49 15.2 14.9 14.5 12.4 10.9      

50~59 14.1 15.2 16.1 15.3 13.3      

60~69 12.7 12.3 13.1 18.0 17.5      

70~79 13.4 13.5 13.1 13.9 19.8      

80세이상 5.4 6.5 7.7 11.4 16.4      

65+ 25.4 26.1 27.3 34.3 45.0      

75+ 11.7 12.9 14.5 18.5 27.6      

85+ 1.7 2.2 2.7 5.1 7.3      

[표 3-11] 가구주 연령별 1인 가구(2010~2035)

(49)

○ (혼인상태) 2010년 1인 가구 중 미혼가구는 186만7천 가구(44.9%)로 가장 많고, 사별(28.8%), 이혼(13.4%), 유배우(12.8%) 순임

- 남녀 모두 1인 가구 중 미혼가구 구성비는 점차 감소하고, 유배우, 사별 및 이혼가구 구성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35년에는 미혼이 33.8%로 가장 많고, 사별(30.4%), 유배우(18.6%), 이혼(17.2%) 순으로 나타날 전망 - 1인 가구 중 사별가구는 연평균 4만 5천가구 증가로 전체 1인 가구 증가의

32.3%를 설명하고, 이혼 및 미혼가구는 각각 연평균 3만 가구, 2만8천 가구 증가하여 전체 1인 가구 증가의 21.7%, 20.5%를 설명

- 남성 1인 가구는 유배우가구가 연평균 2만6천 가구 증가로 가장 많이 증가, 이혼, 미혼, 사별가구는 연평균 1만8천~8천 가구 증가

- 여성 1인 가구는 사별가구 증가가 연평균 3만7천 가구로 가장 많이 증가, 미혼, 이혼 및 유배우가구는 연평균 1만3천~1만 가구 증가할 것으로 전망

[그림 3-22] 혼인상태별 1인 가구(남성) 2010~2035

[그림 3-23] 혼인상태별 1인 가구(여성) 2010~2035

(50)

(단위 : 천가구, %)

2010 (a)

2012 2015 2025 2035 (b)

연평균변화

2010~2035 (b/a)

가구 구성비

가 구 수

전체

전체 4,153 4,539 5,061 6,561 7,628 139 100.0 1.84

미혼 1,867 2,023 2,216 2,608 2,579 28 20.5 1.38

유배우 534 581 655 932 1,420 35 25.5 2.66

사별 1,197 1,307 1,447 1,921 2,321 45 32.3 1.94

이혼 555 627 742 1,100 1,308 30 21.7 2.36

남성

전체 1,935 2,126 2,376 3,051 3,602 67 48.0 1.86

미혼 1,123 1,213 1,320 1,529 1,504 15 11.0 1.34

유배우 338 365 410 585 984 26 18.6 2.91

사별 194 223 253 331 387 8 5.6 2.00

이혼 280 325 393 606 727 18 12.8 2.59

여성

전체 2,218 2,413 2,684 3,510 4,026 72 52.0 1.82

미혼 743 810 896 1,079 1,075 13 9.5 1.45

유배우 196 216 245 347 436 10 6.9 2.22

사별 1,004 1,085 1,194 1,590 1,934 37 26.8 1.93

이혼 275 303 349 494 582 12 8.8 2.12

구 성 비

전체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미혼 44.9 44.6 43.8 39.7 33.8

유배우 12.8 12.8 12.9 14.2 18.6

사별 28.8 28.8 28.6 29.3 30.4

이혼 13.4 13.8 14.7 16.8 17.2

남성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미혼 58.0 57.0 55.6 50.1 41.8

유배우 17.5 17.2 17.2 19.2 27.3

사별 10.0 10.5 10.6 10.9 10.7

이혼 14.5 15.3 16.6 19.9 20.2

여성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미혼 33.5 33.6 33.4 30.7 26.7

유배우 8.8 8.9 9.1 9.9 10.8

사별 45.3 45.0 44.5 45.3 48.0

이혼 12.4 12.5 13.0 14.1 14.4

[표 3-12] 혼인상태별 1인 가구(2010~2035)

(51)

(단위 : 천가구)

    남 성 여 성

2010 2012 2015 2025 2035 2010 2012 2015 2025 2035

미 혼

전체 1,123 1,213 1,320 1,529 1,504 743 810 896 1,079 1,075

19세이하 25 31 30 22 25 25 31 30 23 28

20~29 408 414 437 462 396 353 370 408 470 428 30~39 439 471 494 522 462 227 250 271 319 296

40~49 184 213 250 339 394 87 96 107 131 145

50~59 54 68 87 132 150 34 43 54 80 87

60~69 11 13 18 44 60 12 14 19 44 59

70~79 2 3 4 7 14 5 5 6 11 27

80세이상 0 0 0 1 2 1 1 1 1 6

65+ 6 7 9 23 37 10 11 14 29 57

75+ 1 1 1 3 7 3 3 3 4 19

85+ 0 0 0 0 1 0 0 0 0 1

유 배 우

전체 338 365 410 585 984 196 216 245 347 436

19세이하 0 0 0 0 0 0 0 0 0 0

20~29 6 6 5 3 2 7 6 5 4 2

30~39 52 51 47 34 21 27 26 24 16 9

40~49 102 103 104 89 86 49 49 49 40 31

50~59 100 117 135 153 126 60 72 88 117 126

60~69 51 59 77 191 265 32 37 49 114 156

70~79 22 23 30 71 262 16 19 23 46 99

80세이상 4 7 12 44 222 4 5 7 10 13

65+ 48 54 73 204 619 33 39 49 102 179

75+ 11 17 25 68 384 10 13 17 29 62

85+ 1 3 6 24 55 1 1 1 1 2

사 별

전체 194 223 253 331 387 1,004 1,085 1,194 1,590 1,934

19세이하 0 0 0 0 0 0 0 0 0 0

20~29 0 0 0 0 0 0 0 0 0 0

30~39 1 1 1 0 0 1 1 1 0 0

40~49 7 7 5 2 1 17 14 11 4 1

50~59 29 31 33 25 13 103 104 99 53 23

60~69 57 61 72 91 58 277 272 287 352 271

70~79 69 84 91 117 159 421 455 481 596 809

80세이상 30 39 51 97 155 184 238 316 585 830

65+ 131 157 182 268 353 771 854 966 1,410 1,829

75+ 61 74 93 157 248 390 468 580 925 1,320

85+ 11 16 22 55 96 57 81 108 248 396

이 혼

전체 280 325 393 606 727 275 303 349 494 582

19세이하 0 0 0 0 0 0 0 0 0 0

20~29 1 1 1 0 0 2 1 1 1 0

30~39 22 21 19 12 7 30 27 23 11 5

40~49 90 96 105 118 101 95 97 100 91 76

50~59 108 135 171 245 283 98 119 148 200 209

60~69 48 57 79 192 258 39 46 61 154 207

70~79 11 14 17 34 69 11 10 13 34 73

80세이상 1 1 2 4 9 1 2 3 6 11

65+ 30 36 46 111 181 27 28 38 100 174

75+ 4 5 6 13 30 5 6 8 15 34

85+ 0 0 0 1 3 0 0 1 1 2

[표 3-13] 혼인상태, 성, 연령별 1인 가구(2010~2035)

참조

관련 문서

 When we refer to ‘blood sugar’, we actually mean the monosaccharide (simple sugar) glucose dissolved in

 응집력이 높은 집단에서, 구성원들간의 합의에 대한 요구가 지나친 나머지, 다른 대안에 대한 모색과 검토를 충분히 하지 못하고 너무 쉽게. 특정한 결론에

왜냐하면 동물들이 영혼을 가졌다면 모든 동물이 그럴 것인데, 굴이나 해면 같은 것들은 너무도 불완전해서 그들이 불멸의 영혼을 가진다고 믿기는

대기분야에서 측정망을 설치하고 대기오염 상태를 측정하여 다각적인 연구와 실험분석을 통해 대기오염 대책을 강구하고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 또는

회의 다자성 양자원조의 동향, 주요 공여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정책 기조, 한국의 농업 ODA 사업의 목표 등의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다자성 양자원조의 정책 추진

◈ 동 보고서는 OECD 회원국 중 상대적으로 높은 물스트레스와 인 구밀도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이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 과정 에서 야기된 물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로 세 가지 차원에 대한 가장 높은 중복을 보인 것은 케이블 TV 와 지상파 TV 였으며 경쟁적 우위에서는 케이블 TV 가 인지적 정서적 차원에서 지상파 , TV

기존에 연구가 진행된 혈액의 일반타액단백질의 농도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 정상인에 비해 당뇨 환자의 일반타액단백질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었고, 이번 실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