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펜디메트라진에 의해 발생한 안 합병증 2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펜디메트라진에 의해 발생한 안 합병증 2예"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안과학회지 2012년 제 53 권 제 6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6):895-900 pISSN: 0378-6471 eISSN: 2092-9374 http://dx.doi.org/10.3341/jkos.2012.53.6.895

= 증례보고 =

펜디메트라진에 의해 발생한 안 합병증 2예

허현도1⋅김재경1⋅한용섭1,2⋅박종문1,2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안과학교실1, 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2

목적: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phendimetrazine을 복용한 후 발생한 섬모체맥락막삼출로 인한 급성 근시와 망막정맥폐쇄 각 1예를 경험 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은 평소 특이질환이 없던 32세 여자가 체중 감소를 위해 phendimetrazine을 복용하였고, 이후 발생한 양안의 시력저하 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섬모체맥락막삼출물과 수정체-홍채 격막의 전방이동이 있었고, 전방이 얕아져 근시가 유발되고 폐쇄각에 의한 안압 상승이있었다. Phendimetrazine 복용을 중지하고, 안압하강제를 투여하자 증상이 소실되었다. 증례 2는 평소 특이질환 없던 26 세 여자 환자가 좌안의 상부 시야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phedimetrazine을 복용하고 있었다. 안과적 검사상 좌안의 유두부 종, 유두부 출혈 및 혈관의 사행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형광안저혈관조영검사를 통해 망막정맥폐쇄를 진단하였다. 약제 복용을 중단하 고 경과 관찰 중 증상이 호전되었다.

결론: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phendimetrazine은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에 관여하여 급성 근시를 일으키며, 혈관 수축 작용으로 망막 정맥폐쇄를 일으킨다.

<대한안과학회지 2012;53(6):895-900>

■ 접 수 일: 2011년 5월 13일 ■ 심사통과일: 2011년 9월 23일

■ 게재허가일: 2012년 4월 18일

■ 책 임 저 자: 박 종 문

경남 진주시 강남로 79 경상대학교병원 안과

Tel: 055-750-8167, Fax: 055-758-4158 E-mail: parkjm@gnu.ac.kr

1893년 비만의 치료를 위해 처음으로 약을 사용한 이래 로 많은 약들이 비만 환자들에게 사용되었다. 비만 치료제 는 크게 세 가지 기전으로 나눠지는데, 음식물 섭취를 줄이 는 것, 대사를 변화시키는 것, 열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이 다. Phendimetrazine은 교감신경흥분제로 작용하며, 신경 세포접합부에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음식의 섭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1

약물 사용 이후 섬모체맥락막삼출이 동반되는 일시적 근 시 변화는 sulfanilamides, topiramate, hydrochlorothiazide, acetazolamide, chlorthalidone, triamterene 등과 관련 있 다.2-10이러한 약물 사용에 따른 섬모체맥락막삼출은 섬모 체의 전방회전과 수정체-홍체격막의 앞방 이동을 유발하 며, 폐쇄각 녹내장을 일으킨다.11

Benzphetamine, phentermine, diethilpropion과 am- phetamine과 같은 계통의 교감신경흥분제로 작용하는 인 phendimetrazine 복용으로 섬모체맥락막삼출로 인한 급성 근시와 망막정맥폐쇄가 발생한 예는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 가 없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보고

증례 1

평소 특이질환 없는 32세 여자 환자가 하루 전부터 시작된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평소 양안에 -6.0D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다. 과거력상 환자는 한달 전부터 식 욕억제제인 pendimetrazine을 복용하였다. 안과적 검사상 나안 시력은 우안 0.15, 좌안 0.1이었으며, 안압은 양안 42 mmHg이었다. 양안에 각막부종이 있었으며, 중심 전방 깊 이는 중심 각막 두께의 2배로 얕아져 있었다. 전방각경 검 사에서 양안의 360도에 걸친 폐쇄각 소견이 관찰되었다.

15% 만니톨을 정맥 주사하고 α-agonist, β-blocker 점안 안압하강제를 점안하였으며, 탄산탈수효소억제제를 복용하 였다. 즉시 phendimetrazine 복용을 중지시켰으며, 이후 각막 부종이 호전되어 시행한 우안 교정시력은 1.0 (-14.0 Dsph), 좌안 교정시력은 1.0 (-16.0 Dsph)이었다. B-scan상 섬모 체맥락막삼출이 관찰되었다(Fig. 1A, B). Pentacam 검사 상에서 전방의 깊이는 양안 1.5 mm로 측정되었다(Fig. 2A, B). 입원 5일째, α-agonist와 β-blocker 점안 안약을 하루 2번 점안하고 측정한 양안 안압은 8 mmHg이었다. B-scan 상 섬모체맥락막삼출이 증가되는 소견 보여 경구 pre- dnisolone 20 mg을 처방하였다(Fig. 1C, D). 입원 8일째 양안 안압은 10 mmHg, 양안시력은 1.0 (-5.0 Dsph: 우안,

(2)

A B

C D

E F

Firgure 1. (A) Right eye B-scan of the patient at the first visit. There is small amount of ciliochoroidal effusion (arrow). (B) Left eye

B-scan of the patient at the first visit. There was small amount of ciliochoroidal effusion, but not prominent (arrow). (C) Right eye B-scan of the patient at 5 days after admission. Ciliochoroidal effusion was enlarged (arrow). (D) Left eye B-scan of patient at 5 days after admission. Ciliochoroidal effusion is enlarged (arrow). (E) Right eye B-scan of the patient at 8 days after admission.

Ciliochoroidal effusion was absorbed (arrow). (F) Left eye B-scan of the patient on 8 days after admission. Ciliochoroidal effusion was absorbed (arrow).

-6.0 Dsph: 좌안)으로 측정되었다. B-scan상에서도 섬모 체맥락막삼출이 흡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1E, F) Pentacam 검사에서도 전방의 깊이가 양안 2.8 mm로 증가 되었다(Fig. 2C, D) 이후 안압 하강 점안 안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안압은 조절되었고, 퇴원 후 외래 경과 관찰 중이며 재발은 없었다.

증례 2

평소 질환이 없던 26세 여자 환자가 2주 전부터 발생한 반복적인 좌안의 상부 시야장애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 다. 환자의 과거력상 비만 치료를 위해 6개월 전부터 phendimetrazine 35 mg과 topiramate 25 mg을 각각 하루 2회 복용하였다. 내원 당시 양안의 교정시력은 1.0이었으

(3)

- 허현도 외 : 펜디메트라진의 안 합병증 -

A B

C D

Figure 2. (A) Right eye Pentacam test, at the first visit, shows shallow anterior chamber. (B) Left eye Pentacam test, at the first visit,

shows shallow anterior chamber. (C) Right eye Pentacam test, at 5 days after admission, shows deep anterior chamber. (D) Left eye Pentacam test, at 5 days after admission, shows deep anterior chamber.

며, 안압은 12 mmHg였다. 전방 및 수정체는 정상이었다.

안저 검사상 좌안의 유두부종 및 유두부 주변 출혈, 면화반, 화염상 출혈, 혈관의 사행성 변화가 관찰되었고, 황반 부종 은 동반되지 않았다. 우안은 혈관의 사행성 변화만 관찰되 었다(Fig. 3A, B). 형광안저혈관조영검사상 좌안의 망막정 맥폐쇄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3F). 내과에서 시행한 혈 압 추적관찰, 갑상선기능검사, 지질검사 및 기타 혈액검사 에서 특이소견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이후 약제의 복용 을 중지하였고, 1개월 뒤 시행한 안저 검사상 좌안의 유두 부종, 유두부 출혈이 현저히 감소하였다(Fig. 3C, D). 이후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고 찰

비만 치료제로 사용되는 phendimetrazine은 교감신경흥분 제로서 노르아드레날린성 아민계 약물이다. Benzphetamine, phentermine, diethilpropion과 amphetamine이 같은 계통 의 약물로 알려졌다.1

Phendimetrazine은 E-prostanoid2 수용체를 통해 프로 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자극한다. E-prostanoid2 수용체 는 홍채, 섬모체근, 전방각에 분포되어 있다. 안구 내의 프 로스타글란딘 E2 농도의 증가는 섬모체의 혈관 투과성 증 가를 일으킨다.12,13증례 1 환자도 같은 기전에 의해 섬모체 맥락막삼출이 발생하고, 수정체-홍채 격막의 앞방 이동과 폐쇄각녹내장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한다.

Lee et al11은 라식을 시행한 28세 환자가 phendimetrazine 을 복용한 후 일과성 근시가 발생한 28세 여자를 보고하였다.

이런 일과성 근시 유발과 관련 있는 약물로 acetazolamide, sulfamethoxazole, trimethoprim, indapamide, promethazine, spironolactone, isosorbide dinitrate, bromocriptine, tet- racycline, corticosteroids, hydrochlorothiazide, penicill- amine, quinine, metronidazole, isotretinoin, aspirin 등이 알려졌다.14,15

일과성 근시 유발에 있어 phedimetrazine보다 많은 증례 보고가 된 비만치료제 topiramate는 1996년 미국 FDA 공 인허가를 받았으며, Hook et al16이 처음으로 급성 근시 현

(4)

A B

C D

E F

Figure 3. (A) A right eye fundus photograph, at the first visit, shows tortuous vascular change. (B) A left eye fundus

photograph, at the fist visit, shows tortuos vascular changes, retinal hemorrhages, disc hemorrhages and cotton wool spots. (C) A right eye fundus photograph, after one month, shows similar findings compaed with 1 month before.

(D) A left eye fundus photograph, after one month, shows disappearing retinal hemorrhages, disc hemorrhages and cotton wool spots. (E) A right eye fluorescein angiography at mid-phase shows normal finding. (F) A left eye fluo- rescein angiography at mid-phase shows staining near the disc, leakage along the inferotemporal vein, papilledema, tortuous venous vascular change and blocked fluorescene near the disc, which was induced by retinal hemorrhages.

(5)

- 허현도 외 : 펜디메트라진의 안 합병증 -

상을 보고하였다. 한국에서도 Kim et al17은 topiramate에 의해 발생한 급성 근시를 보고하였으며, Jeon and Kee18는 topiramate에 의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보고하였다.

중심망막정맥 폐쇄는 시력 상실의 원인이 되는 질환 중 하나이며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가능하다. 정맥 폐쇄의 원 인은 크게 혈관벽의 염증이나 변성으로 인한 원발성 질환, 망막동맥의 정맥압박, 혈액 점성도의 증가로 인한 혈전 형 성, 사상판에서의 해부학적 이상 등으로 알려졌다.19

Phedimetrazine과 같은 amphetamine 유사 교감신경작 용제들은 혈압상승과 혈관 수축을 일으킨다.20 Comay et al21은 amphetamine 유사 교감신경작용제이며, 폐고혈압과 심장판막질환의 발생과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진 phenter- mine을 복용한 후 발생한 허혈성 대장염을 보고하였다. 저 자들은 허혈성 대장염의 발생 원인을 phentermine에 의한 장간막 혈관 수축과 조직 허혈로 설명하였다. Kokkinos and Levine22은 phendimeterazine과 pentermine을 복용한 환자들에서 발생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을 보고하였다.

Landau et al23은 phedimetrazine 복용 54세 여자 환자에서 허혈에 의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발생을 보고하였다.

Phendimetrazine의 장기 복용이 확장성 심근병증의 발생에 연관이 있으며, 약물의 사용 중단으로 회복되었음을 보고하 였다.24본 증례 2 환자도 amphetamine 유사 물질인 phen- dimetrazine이 혈관 수축, 혈압 상승 및 일시적 조직 허혈을 야기하고 상대적으로 혈관들이 밀집해 있는 시신경 주변에 서 망막 동맥의 압력 증가로 인한 정맥의 압박이 일시적인 망막정맥폐쇄를 발생시킨 것으로 생각한다. 환자의 phedi- metrazine 복용 중단하고 다른 치료를 시행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증상 및 안저소견의 호전과 동반된 것은 약제 와 환자의 망막정맥폐쇄와의 관계를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충분한 병력청취, 특별히 약물 복용 의 경력을 자세히 조사하고 세밀한 안과적 검진을 시행하 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제들이 다양 한 안과적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음을 기억하고, 약제의 처 방 시에 약제의 부작용에 대해서 충분히 환자에게 설명하 는 것이 필요하다. 약제의 부작용 발생 시 즉각적인 복용의 중단이 치료에 주요한 요점이 된다. 본 증례들을 통해 phendimetrazine의 안과적 합병증 발생 양상과 치료를 경 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참고문헌

1) Bray GA. Concise review on the therapeutics of obesity. Nutrition 2000;16:953-60.

2) Grinbaum A, Ashkenazi I, Gutman I, Blumenthal M. Suggested mechanism for acute transient myopia after sulfonamide treatment.

Ann Ophthalmol 1993;25:224-6.

3) Chirls IA, Norris JW. Transient myopia associated with vaginal sulfanilamide suppositories. Am J Ophthalmol 1984;98:120-1.

4) Geanon JD, Perkins TW. Bilateral acute angle-closure glaucoma associated with drug sensitivity to hydrochlorothiazide. Arch Ophthalmol 1995;113:1231-2.

5) Rhee DJ, Goldberg MJ, Parrish RK. Bilateral angle-closure glau- coma and ciliary body swelling from topiramate. Arch Ophthalmol 2001;119:1721-3.

6) Medeiros FA, Zhang XY, Bernd AS, Weinreb RN. Angle-closure glaucoma associated with ciliary body detachment in patients us- ing topiramate. Arch Ophthalmol 2003;121:282-5.

7) Fan JT, Johnson DH, Burk RR. Transient myopia, angle-closure glaucoma, and choroidal detachment after oral acetazolamide. Am J Ophthalmol 1993;115:813-4.

8) Postel EA, Assalian A, Epstein DL. Drug-induced transient my- opia and angle-closure glaucoma associated with supraciliary cho- roidal effusion. Am J Ophthalmol 1996;122:110-2.

9) Krieg PH, Schipper I. Drug-induced ciliary body oedema: a new theory. Eye (Lond) 1996;10:121-6.

10) Söylev MF, Green RL, Feldon SE. Choroidal effusion as a mecha- nism for transient myopia induced by hydrochlorothiazide and triamterene. Am J Ophthalmol 1995;120:395-7.

11) Lee W, Chang JH, Roh KH, et al. Anorexiant-induced transient myopia after myopic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007;33:746-9.

12) Bhattacherjee P, Mukhopadhyay P, Tilley SL, et al. Blood-aqueous barrier in prostaglandin EP2 receptor knockout mice. Ocul Immunol Inflamm 2002;10:187-96.

13) Biswas S, Bhattacherjee P, Paterson CA. Prostaglandin E2 receptor subtypes, EP1, EP2, EP3 and EP4 in human and mouse ocular tis- sues--a comparative immunohistochemical study.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2004;71:277-88.

14) Bovino JA, Marcus DF. The mechanism of transient myopia in- duced by sulfonamide therapy. Am J Ophthalmol 1982;94:99-102.

15) Krieg PH, Schipper I. Drug-induced ciliary body oedema: a new theory. Eye (Lond) 1996;10:121-6.

16) Hook SR, Holladay JT, Prager TC, Goosey JD. Transient myopia induced by sulfonamides. Am J Ophthalmol 1986;101:495-6.

17) Kim SW, Seo SG, Her J, et al. Two cases of topiramate-induced acute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033-40.

18) Jeon C, Kee CW. Topiramate-induced acute angle-closure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944-50.

19) Moon SH, Hwang BS, Chang WH. Clinical course of young adults with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948-53.

20) Goodman Gilman A, Rall TW, Nies AS, Talyor P.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8th ed. New York: Pergamon Press, 1990;210-4.

21) Comay D, Ramsay J, Irvine EJ. Ischemic colitis after weight-loss medication. Can J Gastroenterol 2003;17:719-21.

22) Kokkinos J, Levine SR. Possible association of ischemic stroke with phentermine. Stroke 1993;24:310-3.

23) Landau D, Jackson J, Gonzalez G. A case of demand ischemia from phendimetrazine. Cases J 2008;1:105.

24) Rostagno C, Caciolli S, Felici M, et al. Dilated cardiomyopathy as- sociated with chronic consumption of phendimetrazine. Am Heart J 1996;131:407-9.

(6)

=ABSTRACT=

Two Cases of Ocular Complications Caused by Phendimetrazine

Hyoun Do Huh, MD1, Jae Kyong Kim, MD1, Yong Seop Han, MD1,2, Jong Moon Park, MD, PhD1,2

Department of Ophthalm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1, Jinju, Korea Gyeongsang Institute of Health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2, Jinju, Korea

Purpose: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report treatment experience of acute myopia and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associated with phendimetrazine, a drug used for weight reduction.

Case summary: Case 1: A 32-year-old woman, previously devoid of ocular problems, visited our hospital with bilateral vis- ual disturbance after taking phendimetrazine for weight reduction. Ciliochoroidal effusion and anterior shifting of the lens-iris diaphragm were observed, which resulted in a shallow anterior chamber, myopic shifting and an increase in intra- ocular pressure due to angle closure. The symptoms were relieved by discontinuing the use of phendimetrazine and ad- ministration of intraocular pressure-lowering agents. Case 2: A 26-year-old woman, previously devoid of ocular problems, visited our hospital with left superior visual field disturbance after taking phendimetrazine for weight reduction. The exami- nations revealed papilledema, disc hemorrhage and tortuous vascular changes in her left eye. Fluorescein angiography was performed, and retinal vein occlusion was diagnosed. The patient discontinued weight reduction agents and recov- ered while under observation.

Conclusions: Phendimetrazine, used for weight reduction, can cause acute myopia via prostaglandin synthesis and retinal venous occlusion due to vascular constri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6):895-900

Key Words: Glaucoma, Myopia, Phendimetrazine, Vascular occlusi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ong Moon Park,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79 Gangnam-ro, Jinju 660-702, Korea

Tel: 82-55-750-8167, Fax: 82-55-758-4158, E-mail: parkjm@gnu.ac.kr

수치

Figure 2. (A) Right eye Pentacam test, at the first visit, shows shallow anterior chamber
Figure 3. (A) A right eye fundus photograph, at the first visit, shows tortuous vascular change

참조

관련 문서

In chemistry, Gibbs' phase rule describes the possible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F) in a closed system at equilibrium, in terms of the number of separate phases (P) and

→ f depends on the number of nucleation sites and the growth rate.. (c) All of the parent phase is consumed by the

Cerebral Cerebral Cerebral angiography Cerebral angiography angiography angiography shows shows shows shows feeding feeding feeding artery feeding artery

Figure 12.3.1a shows a simply-supported, linearly-elastic, simple beam with a transverse load Q applied at its midspan and a compressive load P directed along its centroidal

§ Phase each signal to make sure the signals arrive “in phase” at the receiver (Phase shift is calculated by receiver and fed back to the

activation(electroencephalolgram: left alpha wave, right alpha wave, left sensory motor rhythm, right sensory motor rhythm, right mid-beta wave, left attention concentration

In the lower extremity balance, the change in left unilateral clerk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post-test

Traditionally, when measuring phase noise directly with a swept RF spectrum analyzer, the L(f) ratio is the ratio of noise power in a 1 Hz bandwidth, offset from the carr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