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당뇨병 합병증 어떻게 검사하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당뇨병 합병증 어떻게 검사하나?"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66 -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당뇨병 인구의 증가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2018년도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간 한 당뇨병 팩트쉬트에 따르면, 20세 이상의 성인 당뇨병유병 률은 14.4%로 약 500만 명의 당뇨병 인구가 있으며, 당뇨병 전단계 870만명을 포함한다면 2016년 우리나라에서는 약 1370만명이 당대사이상을 가지고 있다. 당뇨병 유병률의 증 가는 당뇨병성 합병증 발생을 증가시키고 합병증으로 인한 수명 단축과 삶의 질의 저하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 제적으로 손실을 가져온다. 합병증의 진단 및 관리에 있어서 의료인들의 인식은 상당히 중요하고 환자의 예후에도 중요 한 영향을 미친다. 현재 많은 환자들이 합병증에 대한 진단 과 적절한 처치를 받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당뇨병 환자들 이 당뇨 합병증에 대해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당뇨병의 만성합병증은 크게 미세혈관합병증과 대혈관합병 증으로 구분되며, 미세혈관합병증은 당뇨병성 망막병증과 신증 및 신경병증, 그리고 대혈관합병증은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및 말초혈관질환 등으로 나 타난다. 당뇨병 합병증 검사는 종류와 진단 기준이 매우 다 양하고 복잡한 경우도 많다. 이에 임상에서 유용하게 이용되 는 당뇨병성합병증 검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I. 대혈관합병증 1. 뇌혈관질환 검사

1) 경동맥초음파 검사

심혈관질환은 서서히 죽상경화증으로 진행하여 결국에는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및 급사와 같은 급성 심혈관 장애 를 일으킨다. 경동맥의 동맥경화증 정도는 뇌졸중과 같은 뇌 혈관질환의 대표적인 표지자이며, 심장의 관상동맥 협착 여 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경동맥 의 내중막 두께(intima-media thickness, IMT)는 경동맥에 동

맥경화반이 없더라도 장기적인 뇌졸중 혹은 허혈성 심장질 환의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중막 두 께의 영상은 총경동맥의 윈위부 벽의 1 cm에서 영상을 얻도 록 하며, 가까운 벽과 먼 벽에서 모두 이중선이 평행하게 보 이는 원위부 총경동맥의 깨끗한 영상을 얻어야 실제 수직면 의 스캔이 이루어진 것이다. 플라크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경동맥의 철저한 검사가 반드시 동반되야 하며, IMT는 플라 크(plaque)가 없는 부위에서 종축 면 총경동맥의 먼 벽에서 측정한다.

2. 심혈관질환 검사

1) 운동부하 심전도

환자가 운동할 여건이 된다면 운동부하 심전도를 시행하 는 것이 추천된다. 안정 시 정상 심전도를 보이고 운동부하 심전도에서 저위험군으로 판정이 되면 예후는 좋다고 평가 한다. 운동부하 심전도에서 예후와 관련된 지표들은 최대 운 동능력(운동 시간 및 최대 부하), 혈압과 심박동 반응, 운동 유발 심근허혈(심전도 ST 분절 변화 및 흉통) 등이다. 1단계 나 2단계까지만 운동할 수 있거나, 2단계 이내에서 저명한 ST 분절 하강이 있거나, 과거 심근경색증이 없이 ST 분절 상 승이 보이면 고위험군으로 판정한다.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 되는 것이 Duke Treadmill Score이며, 운동 시간과 심전도에 서 최대 ST분절변화 및 흉통을 지표로 점수를 매기고 각 점 수에 따라 위험도를 분류하고 예후를 예측해 볼 수 있다.

2) 운동부하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장초음파는 운동부하 심전도에 비하여 예민 도와 특이도가 조금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온 경우 1년 사망률은 0.5% 미만이다. 운 동부하 심전도에서는 양성 소견을 보이나 운동부하 심장초 음파에서 심근벽 운동장애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추적관

당뇨병 합병증 어떻게 검사하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유 성 훈

Advanced Course : 내분비-대사

(2)

- 유성훈, 당뇨병 합병증 어떻게 검사하나? -

- 167 - 찰 해보면 심혈관 사고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 근벽 운동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고위험군으로 판정한다.

3) 운동부하 심근관류 검사

운동부하 심근관류의 이상소견은 관상동맥 질환과 관련 있다. 심근관류 이상 부위가 큰 경우, 여러 관상동맥 영역에 심근관류 이상을 보이는 경우, 운동 후 허혈성 변화로 좌심 실 확장을 보이는 경우에 나쁜 예후를 보인다. 이러한 고위 험군은 연간 사망률이 3% 이상으로 조기에 심장혈관 촬영을 고려해야 한다. 약물부하 보다 운동부하가 증상이나 운동능 력, 운동에 대한 혈역학적 변화 등 예후에 관한 정보를 더욱 훌륭하게 제공해 준다.

3. 말초혈관질환 검사

말초혈관질환을 진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족부 맥박 상태의 확인이다. 만일 족부 맥박이 촉지되지 않는다면 폐쇄 병변을 예측할 수 있다. 족부 맥박의 확인에는 후경골동맥을 흔히 검사한다. 족부 맥박이 촉지되지 않는다면 동맥조영술 을 시행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1) 발목위팔동맥압지수(ankle-brachial index, ABI) 하지의 수축기압은 상지에 비해 높지만 말초동맥의 동맥 경화가 발생되면 혈압이 낮아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하지에 서의 동맥경화로 인한 협착, 폐색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발목 수축기혈압을 상완 수축기혈압으로 나누어 0.9~1.3 이 면 정상범위이다. 1.3 이상일 경우 압박이 되지 않는 석회화 된 혈관을 의심해 볼 수 있다. 0.9 이하인 경우 50% 이상의 협착과 연관이 있으며 이는 95%의 민감도와 100%의 특이도 를 보인다. 0.4~0.9의 경우 혈관 협착이 파행과 연관이 있음 을 시사하며 0.4 이하의 경우 진행된 혈관 협착을 나타낸다.

2) 맥파전달속도(pulse wave velocity, PWV)

동맥경직도를 반영하여 혈관의 기능적인 변화를 알 수 있 는 방법이다. 동맥 경직도는 동맥의 탄력성감소에 의한 단단 한 정도를 의미한다. PWV는 혈관에서 맥파가 전달될 때 두 지점 간의 맥파가 이동하는 시간과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측 정하여 혈관의 일정 구간을 통과하는 맥파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3) 당뇨병성 족부 병변에 대한 검사

당뇨병 환자에서 정기적으로 발을 관찰하는 것은 중요하 다. 신경병증성 통증이 없고 감각 소실만 관찰되는 경우도

있으며, 발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알아차리지 못하 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족부 검 사를 시행하도록 권하고 있다. 허혈성 발은 차고, 맥박이 만 져지지 않으며, 하지의 아래 부분은 혈류 감소로 인하여 체 모 소실을 보일수 있다.

II. 미세혈관합병증

1. 당뇨병성 신경병증 검사

당뇨병성 신경병증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임상증상과 신경학적 검사이다 그러나 증상은 진단기준이나 추적관찰의 지표로 이용하기에 너무 주관적이고 개인별 차이가 많아 객 관화하거나 정량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서는 검사 소견에 의한 임상적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당뇨 병성 신경병증은 통증섬유, 운동신경, 자율신경 등 모든 신 경을 포함하므로 감각기능, 운동기능 및 자율신경기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임상적 평가를 시행해야 한다.

1) 감각신경 검사

감각신경에 대한 이상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법에는 임상 적 감각기능 검사, 정량적 감각신경 검사 및 전기 생리학적 검사가 있다. 당뇨병 신경병증의 진단을 위해 가장 흔히 사 용되는 방법은 임상적으로 감각기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진료실에서 쉽게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신 경병증의 정도를 표현하는 방법과 검사결과의 재현성, 신뢰 성에 제한이 있다. 임상적 감각기능 검사는 외래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한 검사들로서 10 g 모노필라멘 트 검사를 이용한 압력감각 검사, 128 Hz 진동자를 이용한 진동감각 검사, 해머를 이용한 발목반사 검사, 솜과 같이 가 벼운 물체를 이용한 촉각 검사, 핀 등을 이용한 통증 유발 검사 등이 있으며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재현성이 높다.

① 10 g 모노필라멘트 검사

감각기능 검사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사방법이다.

환자는 눈을 감은 상태에서 검사자는 10 g 모노필라멘트를 발등과 발바닥 등 10군데에서 환자의 피부에 굽어질 정도로 압력을 가하여 환자가 감각을 느끼는지 알아본다. 환자가 감 각을 느끼는 곳이 9곳 이상이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2곳 이 상에서 느끼지 못하는 경우 감각기능 저하를 의미하고 4곳 이상에서 감각을 느끼지 못하면 족부 궤양의 위험성이 증가

(3)

- 2018년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

- 168 - 함을 의미한다.

② 진동감각 검사

진동감각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128 Hz의 진동자를 진동 시켜 발가락의 돌출된 부위에 대어 환자의 진동감각을 검사 한다. 환자가 진동감각을 느꼈다가 사라질 때의 시간 차이가 검사자와 환자 사이에서 10초 이상이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③ 발목반사 검사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구부리고 무릎을 외회전시킨 상태 에서 발을 검사자의 손으로 배굴시키고 아킬레스건을 가격 하여 반사 감각이 정상, 저하, 항진으로 나타나는지 검사하 는 방법이다.

2) 자율신경기능 검사

자율신경기능 검사는 복잡하고 기구를 필요로 하는 연구 목적의 검사도 있지만 임상에서 쉽게 시행하는 검사도 있어 여건에 맞는 검사를 선택한다. 자율신경 기능검사로는 심혈 관계 검사(혈압과 맥박의 변화), 땀샘 분비, 방광 기능, 장운 동, 동공수축 반사 및 누선 분비, 성기능 검사 등이 있다.

2. 당뇨병성 망막병증 검사

당뇨병 망막증에 대한 검사는 일반적으로 안과의사에게 의뢰하여 시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하지만 진료실에서 간단한 안저검사를 통해 망막증에 의한 망막 혈관의 누출이 나 폐쇄에 의한 구조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검안경을 다루기 위해서는 검사자의 숙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적절한 안저검사는 산동을 시킨 후 검사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검사 후 산동으로 인한 제한점 등으로 진료실에서는 산동하 지 않고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상 발견 시에는 바로 안 과의사에게 정밀검사를 의뢰하는 것이 적절하다.

3. 당뇨병성 신증 검사

당뇨병성신증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기 위하여 혈당과 혈압을 최적으로 조절하고, 당뇨병환자에서 진단 당시 및 최 소 1년마다 소변알부민배설과 사구체여과율을 평가해야 한 다. 당뇨병성 신증은 말기 신부전증 환자의 가장 흔한 원인

이며, 당뇨병환자의 20-40%에서 발생한다. 24시간 소변에서 단백뇨가 30 mg/24h 측정되거나 spot urine 에서 측정한 소변 알부민 /크레아티닌(UACR) 비율이 30 mg/g 이상 시에 진단 할 수 있다. 사구체여과율이 60 mL/min/1.73 m2 미만일 때 만성신질환에 의한 합병증을 검사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으 며, 신질환 원인이 불명확하거나, 진행한 신증의 경우 신장 전문의에게 의뢰한다.

참고문헌

1. American Diabetes A. 9. Cardiovascular Disease and Risk Management: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8.

Diabetes Care 2018;41:S86-S104.

2. American Diabetes A. 3. Comprehensive Medical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Comorbidities: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8. Diabetes Care 2018;41:S28-S37.

3. Djaberi R, Beishuizen ED, Pereira AM, Rabelink TJ, Smit JW, Tamsma JT, Huisman MV, Jukema JW. Non-invasive cardiac imaging techniques and vascular tools for the as- sess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ologia 2008;51:1581-93.

4. Gregg EW, Sattar N, Ali MK. The changing face of diabetes complications.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6;4:537-47.

5. Munakata M.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in the measurement of arterial stiffness: recent evidence and clin- ical applications. Curr Hypertens Rev 2014;10:49-57.

6. Nezu T, Hosomi N, Aoki S, Matsumoto M.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for Atherosclerosis. J Atheroscler Thromb 2016;23:18-31.

7. Rahmani S, Nakanishi R, Budoff MJ. Imaging Atherosclerosis in Diabetes: Current State. Curr Diab Rep 2016;16:105.

8. Society for Vascular Surgery Lower Extremity Guidelines Writing G, Conte MS, Pomposelli FB, Clair DG, Geraghty PJ, McKinsey JF, Mills JL, Moneta GL, Murad MH, Powell RJ, Reed AB, Schanzer A, Sidawy AN, Society for Vascular S. Society for Vascular Surgery practice guidelines for athe- rosclerotic occlusive disease of the lower extremities: man- agement of asymptomatic disease and claudication. J Vasc Surg 2015;61:2S-41S.

9. Dong-Hyeok Cho. Outpatient Testing for Diabetic Complications.

J Korean Diabetes 2016;17:246-252

10.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mellitus. 4th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11.

참조

관련 문서

왜 유달리 사회복지학에서 실천과 이론의 역할의 이중성 문제가 심각한가?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사회복지학의 대상 영역이 너무 광범위하

BSID-II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 수의 차이가 뇌성마비 군에서 의미 있게 크게 나타나므로 이를 뇌성마비의 진단에 사용할 경우 민감도는 낮으나 특 이도는 비교적

국가이익(National Interest)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안보(Security)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지역 인적자원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자원개발 주체 간의 상호 협력 관계(물적 분업 및 상호 학습 네트워크)이다. 지역 인적자원개발은 지역을 학습 지역으로

[r]

항암제에 의한 대부분의 신경병증은 용량과 관련이 있으며 항암제에 의한 말초신경병증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항암제 투여를 중단하는 것이나 투여 중단 후에도

시장경제체제하에서 부가가치 창출의 가장 중요한

중요한 것은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