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2형 당뇨병과 슬골관절염이 동반된 환자에서 골증식체 형성의 저하 Impaired Osteophyte formation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and Knee Osteoarthriti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2형 당뇨병과 슬골관절염이 동반된 환자에서 골증식체 형성의 저하 Impaired Osteophyte formation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and Knee Osteoarthritis"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8, No. 2, June, 2001

제 2형 당뇨병과 슬골관절염이 동반된 환자에서 골증식체 형성의 저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류마티스내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봉준・홍영훈・류동한・김성동・박기도・이충기・최정윤*

─A b s t r a c t─

Impaired Osteophyte formation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and Knee Osteoarthritis

Bong Jun Kim, M.D., Yeong Hoon Hong, M.D., Dong Han Ryu, M.D.,

Sung Dong Kim, M.D., Ki Do Park, M.D., Choong Ki Lee, M.D. Jung-Yoon Choe, M.D.*

Division of Rheum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O b j e c t i v e : Insulin has been known as a potent growth factor for connective tissues including cartilage and bone.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melli- tus is the insulin resistance due to insulin receptor or postreceptor abnormali- 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radiographic features of knee osteoarthritis in patients with type 2 DM differ from those in nondiabetogenic controls with knee osteoarthritis.

M e t h o d s : Radiographs (knee) from 59 female patients with diabetes and knee osteoarthriti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74 female controls who were simi- lar with respect to age, weight, and duration of OA symptoms. Based on the Kellgren and Lawrence criteria, an overall OA severity grade for the index knee was assigned and was rated for the severity of subchondral sclerosis, osteophytes, geodes and joint space narrowing. Patients with inflammatory arthritis such as RA, severe peripheral neuropathy, or diabetic nephropathy were excluded.

R e s u l t s : Although the 2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the severity of

<접수일 : 2001년 3월 24일, 심사통과일 : 2001년 5월 14일>

※통신저자 : 이 충 기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317-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Tel : 053) 620-3841, Fax : 053) 654-8386, E-mail : cklee@medical.yeungnam.ac.kr

(2)

서 론

골관절염은 관절연골의 연화와 붕괴, 관절하골에서 의 혈관울혈이나 골형성과 같은 반응, 그리고 연골 경계부위에서의 새로운 연골과 골형성(골증식증) 및 관절낭의 섬유화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이다1 ). 슬 관절은 가동 관절 중에서 운동장애를 동반하는 골관 절염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이다2 ).

골관절염을 특징 지우는 방사선학적 소견은 관절연 골의 변성과 동시에 일어나는 골과 연골의 복구 활동 의 결과에 의해 나타나게된다. 골관절염의 방사선 소 견 중 g e o d e는 국소적인 골 괴사와 연골하면을 통해 활막액이 유출되어 만들어지고, 관절강협착은 연골이 얇아지기 때문에 생긴다. 복구 활동을 나타내는 골증 식증과 연골하골경화증은 각각 새로운 골 및 연골의 형성, 연골하골지주의 골 성장의 결과이다3 ).

당뇨병과 골관절염에 관한 연구는 1 9 5 9년 S i l v e r- b e r g의 보고이래 다수 있으나, 빈도와 위험인자에 대한 보고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당뇨병이 관절조 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한편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수용체 이상과 후수용체 이상 으로 인해 인슐린에 저항성을 보이는데4 , 5 ), 인슐린은 결체조직에 대해 동화효과(anabolic effect)가 있다 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당뇨병을 일으킨 실험동물 에서 인슐린 치료를 하지 않으면 피부조직의 교원질 뿐 아니라6 ), 골과 연골조직의 교원질 합성도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보고되었다7 ). 따라서 제 2형 당뇨병 이 있는 골관절염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골관절염 환자에 비해, 방사선학적 관절 복구의 징후인 골증 식증과 연골하골경화증이 덜 뚜렷할 것으로 생각되 어진다.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이 있는 슬골관절염 환자 와 당뇨병이 없는 슬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 선 소견인 골증식증, 연골하골경화증, 관절강협착, g e o d e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제 2형 당뇨병이 골관 절염의 방사선 소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9 9 4년 5월에서 1 9 9 8년 2월 사이에 영남대학교 의료원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원에서 슬골관절염 으로 진단 받은 1 2 9명의 여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 으며, 이들은 모두 만성적인 슬관절통과 골관절염의 방사선학적 소견을 가진 환자들이었다. 류마티스 관 절염과 같은 염증성 관절염이나, 골 괴사, 심한 말초 신경병, Charcot’s 관절병증이 의심되는 경우는 제 외하였다. 또 신질환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고 려하여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 중 당뇨병성 신질환이 의심될 경우( c r e a t i n i n e>1 . 5 m g / d l )에는 조사대상 에서 제외하였다.

대상 환자 중 5 5명은 제 2형 당뇨병이 있었으며, 나머지 7 4명은 당뇨병이 없는 골관절염 환자(대조 joint space narrowing, geode formation, and subchondral sclerosis, osteophytes formation was less comm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P=0.041) than con- trols. In the patients with symptomatic knee OA at least for 11 years, marked osteophyte formation was noted only in 7 of the 17 with DM (41%), but in 15 of the 27 controls (55%).

C o n c l u s i o n : Our results suggest that diminished availability of insulin at the cellular level or diabetic microvascular disease may attenuate the chondro- and osteogenesis required for osteophyte formation in the joint of patients with OA.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osteophyte and the pathologic mechanisms of diminished osteophyte formation in patients of knee osteoarthritis with type 2 diabetes is to be determined.

Key Words : Osteoarthritis, Osteophyte, DM, Insulin

(3)

군)였고, 양군간에 나이, 체중, 골관절염 증상 지속 기간은 비슷하였다. 당뇨병 환자들 중 9명은 인슐린 으로 치료 중이었고, 41명은 인슐린 사용 경험이 없 는 환자들로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치료하였으며, 나 머지 5명은 약물치료 없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있었다.

골관절염의 방사선학적 평가를 위해 선 자세에서 슬관절의 전후방 및 측면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양 쪽 슬관절에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는 관절낭협착이 더 심한 쪽을 지표관절(index joint)로 하였고, 양 쪽이 비슷한 경우는 오른쪽 슬관절을 지표관절로 정 하였다. 방사선 사진의 판독은 환자에 대한 병력을 모르는 진단방사선과 의사 3명이 Kellgren and Lawrence 기준8 )을 기초로 하여 각각 2회씩 판독하 였다. 판독자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골관절염이 있는 다른 환자들의 사진을 가지고 수차례 시험 판 독 후 조사에 임하였다. 3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각 각 두 번의 판독 시, 한 환자에 대한 결과가 같이 나 온 경우는 118/129(91.5%), 114/129(88.4%), 1 1 7 / 1 2 9 ( 9 0 . 7 % )였다. 판독 결과가 다른 경우에서 도 각 항목별 점수의 차이는 6명의 환자를 제외( 5명 에서 2점, 1명에서 3점의 차이)하고는 1점 이하였 다. 방사선 사진 분석은 골증식증, geode, 연골하골 경화증, 관절강협착에 대해서 각각 0에서 4까지 점 수를 주어 중증도를 평가하였다( 0 =없는 경우; 1=의 심되는 경우; 2=경함; 3=중등도; 4=심함) .

환자들의 혈당치는 입원 환자의 경우는 입원 후 처음 측정한 공복 시 수치를, 외래 환자인 경우는 공 복시 측정한 혈당 수치를 이용하였으며, 몸무게가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B M I를 계산하 여 비교하였다.

통계학적인 방법으로는 s t u d e n t’s t-test, Mann- Whitney test와 F i s h e 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연령은 당뇨병이 있는 환자군에서 6 0 . 4±7 . 6세(범 위 4 2 ~ 7 8세)였고,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에서는 6 1 . 8±7 . 6세(범위 4 7 ~ 8 2세)였다. 체중은 당뇨병 환자군이 6 0 . 1±8 . 5 k g (범위 37~83kg), 대조군이 6 2 . 1±8 . 0 k g (범위 4 5 ~ 8 5 k g )였으며, BMI는 각각 2 5 . 6±4 . 3 k g / m2와 2 4 . 9±3 . 1 k g / m2로 양군간에 차 이가 없었다. 슬관절염의 증상 지속기간은 당뇨병이 있는 환자군에서는 9 . 1±6 . 4년(범위 1 ~ 2 9년), 당 뇨병이 없는 대조군에서는 1 0 . 0±6 . 3년(범위 2 ~ 2 5 년)으로 두 군에서 비슷하였다. 당뇨병군에서 당뇨 병 유병기간은 7 . 3±4 . 3년(범위 1 ~ 2 0년)이였으며, 평균 혈당은 2 1 4±3 8 m g / d L이였고 대조군에서는 1 0 4±1 2 m g / d L였다(표 1 ) .

방사선 사진상의 관절강협착, geode, 골증식증, 연골하골경화증의 심한 정도를 분석하였을 때, 관절 강협착, geode 형성, 연골하골경화증에 대해서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골증식증 소 견은 당뇨병 환자군의 1 6 % ( 9명)에서 골증식증이 없 는 반면, 대조군에서는 3 % ( 2명)에서 골증식증이 없 었다. 또한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골 증식 증의 정도가 낮았으며(p=0.041), 골증식증이 중등도 ( m o d e r a t e )이상 되는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당 뇨병 환자군에서 5 3 % ( 2 9명), 대조군에서 7 2 % ( 5 3 명)로 당뇨병이 없는 환자군에서 골증식체 형성이 더 심하였다(표 2 ) .

관절연골의 소실의 지표로 생각할 수 있는 관절강

Table 1. Comparison of features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OA)*

Diabetec group Nondiabetic group

p * * ( n = 5 5 ) ( n = 7 4 )

A g e ( y e a r s ) 6 0 . 4±7 . 6 6 1 . 8±7 . 6 0 . 2 8 6

W e i g h t ( k g ) 6 0 . 1±8 . 5 6 2 . 1±8 . 0 0 . 2 1 5

Duration of OA (years) 9 . 1±6 . 4 1 0 . 0±6 . 3 0 . 4 2 0

Duration of diabetes (years) 7 . 3±4 . 3 - -

Blood glucose (mg/dL) 2 1 4±3 8 1 0 4±1 2 0 . 0 0 0 1

BMI (kg/m2) 2 5 . 6±4 . 3 2 4 . 9±3 . 1 0 . 3 9 1

*Values are the mean±S D .

* * S t u d e n t’s t-test

(4)

Table 2. Severity of radiographic features of osteoarthritis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 a t i e n t s *

Diabetec group Nondiabetic group

Radiographic parameter ( n = 5 5 ) ( n = 7 4 )

Joint space narrowing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9 1 1

M i l d 4 2 3 1

M o d e r a t e 2 7 2 4

S e v e r e 2 2 3 4

G e o d e s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6 2 6 7

M i l d 2 7 2 0

M o d e r a t e 7 1 0

S e v e r e 4

Osteophytosis (p=0.041)**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1 6

M i l d 3 1 2 5

M o d e r a t e 2 7 3 7

S e v e r e 2 6 3 5

Subchondral sclerosis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1 3 1 0

M i l d 3 8 4 7

M o d e r a t e 3 5 2 8

S e v e r e 1 4 1 5

*Values are percentages

**Mann-Whitney test

Table 3. Effect of diabetes on the severity of osteophytosis, subchondral sclerosis and geod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joint space narrowing*

Joint space loss

Diabetic group Nondiabetic group

N o n e M i l d / m o d e r a t e S e v e r e N o n e m i l d / m o d e r a t e S e v e r e ( n = 5 ) ( n = 3 8 ) ( n = 1 2 ) ( n = 8 ) ( n = 4 1 ) ( n = 2 5 ) O s t e o p h y t o s i s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4 5 0 1 1 0

M i l d / m o d e r a t e 1 2 8 3 6 3 2 8

S e v e r e 0 5 9 1 8 1 7

Subchondral sclerosis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3 4 0 1 5 1

M i l d / m o d e r a t e 2 3 3 5 7 3 4 1 5

S e v e r e 0 1 7 0 2 9

G e o d e s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4 2 7 3 8 3 1 1 1

M i l d / m o d e r a t e 1 1 1 7 0 9 1 3

S e v e r e 0 0 2 0 1 1

*Values are the numbers of patients

(5)

협착 정도가 골증식체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 로, 관절강협착 정도에 따라 골증식증, 연골하골경 화증, geode를 각각 비교하였다(표 3). 심한 관절강 협착이 있으면서 골증식증이 심한 환자는 당뇨병환 자군의 1 2명중 9명, 대조군에서는 2 5명중 1 7명 이 였으며, 심한 관절강협착이 있지만 골증식증이 없는 경우는 두 군 모두에서 없었다. 또한 관절강협착에 대한 Geode 및 연골하골경화증의 비교에서는 심한 관절강협착이 있는 경우 대조군 1 4명, 당뇨병 환자 9명에서 G e o d e s가 있었고, 대조군의 1명을 제외한 나머지 대조군과 당뇨병 환자 모두에서 연골하골경 화증이 관찰되어, 심한 관절강협착이 있을 경우 geodes 및 골증식체 형성이 많고, 연골하골경화증도 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p<0.05). 그러나 관절강 협착 정도에 따른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유 의한 차이는 없었다.

골관절염의 유병기간이 길수록 골증식증과 연골하 골경화증 및 관절강협착이 더 심할 것이라고 생각되 어 골관절염 유병기간에 따른 각 방사선 소견을 비 교하였는데(표 4), 골관절염의 유병기간과 연골하골 경화증 및 관절강협착의 정도 사이에는 의미 있는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유병기간이 1 1년 이상인 경우 골증식증은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1 7명중 7명

(41%), 대조군에서는 2 7명중 1 5명( 5 5 % )에서 심한 골증식증 변화를 보였으며, 5년 이하인 경우 심한 골증식증이 있는 경우가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2 1명 중 한 명도 없었고 대조군에서는 2 1명중 3명이었다.

즉, 골증식증의 변화는 양군 모두에서 슬골관절염 유병기간이 길수록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진 않았다. 골관절염의 유병기 간에 따른 두 군간의 비교에서 통증기간이 5년 이하 인 경우 당뇨병 환자군에서 골증식증 형성이 대조군 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p<0.05). 그 러나 통증 기간 6년 이상인 경우에서는 양군간에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 찰

당뇨병과 골관절염은 노인층에서 흔한 만성질환들 이지만, 당뇨병과 골관절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비 교적 관심이 적은 분야였다. 1959년에 처음으로 Silverberg 등이 2 0 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쇄골 관절에서 당뇨병과 골관절염의 연관관계에 대한 보 고 이후 몇몇 연구에서는 당뇨병과 골관절염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에9 - 1 2 ), 어떤 연구

에서는1 3 - 1 7 ) 당뇨병과 골관절염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

Table 4. Effect of diabetes on the severity of osteophytosis and subchondral sclerosi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osteoarthritis (OA)*

Years of OA

Diabetic group Nondiabetic group

0 - 5 6 - 1 0 > 1 1 0 - 5 6 - 1 0 > 1 1 ( n = 2 1 ) ( n = 1 7 ) ( n = 1 7 ) ( n = 2 1 ) ( n = 2 6 ) ( n = 2 7 ) O s t e o p h y t o s i s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7 2 0 1 0 1

M i l d / m o d e r a t e 1 4 8 1 0 1 7 1 8 1 1

S e v e r e 0 7 7 3 8 1 5

Subchondral sclerosis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5 1 1 2 4 1

M i l d / m o d e r a t e 1 6 1 2 1 2 1 7 2 0 1 9

S e v e r e 0 4 4 2 2 7

J S N

A b s e n t / e q u i v o c a l 4 0 1 3 0 5

M i l d / m o d e r a t e 1 5 1 2 1 1 1 3 1 5 1 3

S e v e r e 2 5 5 5 1 1 9

*Values are the number of patients

(6)

이 없었다는 보고도 있다.

1 9 6 1년에는 Waine 등1 8 )이 당뇨병 환자 3 0명과 연령, 성별이 일치된 3 0명의 대조군 사이에서 손, 척추, 골반, 무릎, 발에서의 골관절염의 방사선학 소 견의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골관절염은 당뇨병 환자 군에서 더 흔하고, 더 심하였으며, 더 어린 나이에 발생하였다. 그러나 발과 무릎 관절만이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고 보고하였으나, 골증식증이나 연골하 골경화증과 같은 증식성 변화와 관절강협착이나 g e o d e형성과 같은 퇴행성 변화에 대한 비교를 하지 않았다. 또한 당뇨병환자군의 3 7 %와 대조군의 1 7 % 에서 비만하였는데, 비만은 골관절염을 일으키는 위 험인자로2 )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저 자들의 경우는 양군 사이에 나이, 체중, BMI가 비 슷하고 여자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이런 요 소들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방사선 소견 중에서 퇴행성 변화와 증식성 변화를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당뇨병을 가진 골관절염 환자 와 당뇨병이 없는 골관절염 환자 사이에 관절강협 착, geode형성의 정도, 연골하골경화증에서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지만, 골증식증은 당뇨병이 있는 환 자에서 적게 발생하고 발생하여도 대조군보다 심하 지 않았다.

관절연골이 소실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관절강협착 이 심하면 골증식체 형성이 더 심하리라 예상되는 데, 저자들의 경우에도 심한 관절강협착이 있는 경 우에 골증식체 형성이 많고 연골하골경화증도 심하 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절강협착 정도 와 골증식증, 연골하골경화증 정도는 연관이 있으리 라 생각된다. 그러나 g e o d e와는 연관이 없었고 당뇨 병 유무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골관절염은 진행성 질환이므로1 9 ) 골관절염의 유병 기간이 길수록 방사선학적 소견의 중증도가 심하리 라 생각되어서 유병기간에 따른 각 방사선 소견을 비교하였다. 저자들의 경우 연골하골경화증, 관절강 협착 정도, geode 소견은 유병기간과 연관이 없었 고, 골증식체 형성은 유병기간이 길수록 심한 경향 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 나 비교적 짧은 시기( 5년 이하)일 경우에는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골증식체 형성이 유의하 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당뇨병이 골관절염

의 진행, 특히 증식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조직학적으로 골증식체는 해면체골로 구성되어 있 으며, 흔히 유리질과 섬유성연골로 덮혀있다2 0 ). 아직 은 골증식증에 대한 완전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 만, 변성된 연골부위로의 혈관 증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어지고 있다2 1 , 2 2 ). 따라서 저자들의 경우 당뇨 병에 의한 미세혈관 질환이 당뇨병이 있는 골관절염 환자에서 골증식체 형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리라 생 각된다.

제 2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수용체 이상과 후수 용체 이상으로 인해 인슐린에 저항성을 가지는데4 , 5 ), 인슐린의 결체조직에 대한 동화효과( a n a b o l i c e f f e c t )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어 있다. 인 슐린은 병아리 배아연골세포(chick embryo chon- d r o c y t e )에서 g l y c o s a m i n o g l y c a n과 단백질 합성 을 자극해서 세포 수를 증가시키고2 3 ), 골세포 배양에 서 R N A와 D N A의 합성을 증가시키며2 4 ), 교원질의 합성을 자극한다2 5 ). 한편 인슐린과 구조적으로 비슷 한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는 I G F - 1 ( s o m a t o m e d i n )수용체뿐 아니라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하고, somatotrophin의 성장촉진효과를 매개

한다2 6 ). 세포 배양에서 I G F - 1은 관절연골에서 p r o-

teoglycan 합성을 증가시키고2 7 ), 연골세포의 성장을

자극한다2 8 ). 당뇨병 환자에서는 혈중 I G F - 1의 농도

가 감소되고2 9 , 3 0 ), 성장 호르몬과 인슐린은 정상인에 비해 더 높다고 하였고, 이러한 성장 촉진 p e p t i d e s 의 교란과 인슐린 저항성이 관절연골의 증식성 변화 에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성장 촉진 p e p t i d e s와 슬골관절염의 방사선 소 견을 서로 비교하지는 않았다.

이외에도 골증식체 형성은 관절주위 조직에 미치는 힘이 변화하거나 연골 소실로 인한 연골하골의 작은 골절 등의 변화에 의해서도 촉진될 수 있다. 저자들 의 경우 대상환자들의 신체적 활동도를 비교하진 않 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군에서 골증식증이 뚜렷하지 않았던 이유가 당뇨병을 가진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 해 덜 활동적이기 때문인 가능성도 배제 할 순 없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당뇨병이 있는 골관절염 환자 에서 당뇨병이 없는 골관절염 환자보다 골증식체 형 성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당뇨병이 골 관절염에서 골증식체 형성을 저하한다는 것을 의심

(7)

할 수 있다. 골증식체는 관절강내 위치에 따라 관절 운동에 제한이 될 수 있으며, 신경말단의 자극 등으 로 인해 임상적인 관절통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나 임상적인 증상은 골증식체 이외에도 여러 가지 요인 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당뇨병이 골증식체 형성을 저하한다고 하여도 임상적인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 또한 당뇨병이 어떠한 과 정으로 골증식체 형성을 저하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결 론

골관절염과 당뇨병은 매우 흔한 만성질환으로 동 시에 병발하는 경우가 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 두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저자들 은 인슐린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슬골관절염이 병발했을 때 슬 골관절염의 방사선 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영남대학교 의료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원에서 진단된 슬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당 뇨병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어 슬관절 방사 선 소견을 분석하였다. 당뇨병이 있는 군에서는 당 뇨병이 없는 군에 비해 골증식체 형성이 적었으나 geode, 관절강협착, 연골하골경화증 소견에는 차이 가 없었다. 따라서 당뇨병이 슬골관절염에서 골증식 체 형성을 저하시킨다고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골 관절염의 방사선학적 중증도와 임상적 증상은 일치 하지 않으므로, 골관절염에서 당뇨병과 골증식체 형 성 저하가 어떤 임상적 의미를 가지는지, 당뇨 조절 정도에 따른 방사선소견의 차이와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R E F E R E N C E S

11 ) Solomon L. Clinical features of osteoarthritis.

In Kelly WN, Harris ED, Ruddy S, Sledge CD. Textook of. Rheumatology, 6t hed, p1409, Philadelphia, WB Saunders, 2001.

12 ) Felson DT, Naimark A, Anderson J, Kazis L, Castelli W, Meenan RF.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in the elderly: the Fram- ingham Osteoarthritis Study. Arthritis Rheum 1 9 8 7 ; 3 0 : 9 1 4 - 8 .

13 ) Mankin HJ. Bradt KD. Pathogencsis of osteoarthritis. In Kelly WN, Harris ED, Ruddy S, Sledge CD. Textbook of Rheumatology, 6t h ed, p1391, Philadelphia, WB Sanders, 2001.

14 ) Garvey WT. Celluar and molecular pathogen- esis of insulin resistance. In Draznin B, Melmed S, LeRoith D. Molecular and Celluar Biology of Diabetes Mellitus, Vol. 2, New York, Alan R Liss, 1989.

15 ) Leahy JL, Weir GC.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Current concepts of pathogencsis. In Draznin B, Melmed S, LeRoith D. Molecular and Celluar Biology of Diabetes Mellitus Vol. 2, New York, Alan R Liss, 1989.

16 ) Schneir M, Bowersox J, Ramamurthy N, Yavelow J, Murrary J, Edin-folz E, et al.

Response of rat connective tissues to streptozo- tocin diabetes. Tissue specific effects on colla- gen metabolism. Biophys Acta 1979;583:95-102.

17 ) Spanheimer RG, Umpierrez GE, Stumpf V.

Decreased collagen production in diabetic rats.

Diabetes 1988;37:371-6.

18 ) Kellgren JH, Lawrence JS. Radiological assessment of osteo-arthrosis. Ann Rheum Dis 1 9 5 7 ; 1 6 : 4 9 4 - 5 0 2 .

19 ) Campbell WL, Feldman F. Bone and soft tissue abnormalities of the upper extremity in diabetes mellitus. Am J Roentgenology 1975;124:7-16.

1 0 ) Fitzcharles MA, Duby S, Waddell RW, Banks E, Karsh J. Limitation of joint mobility (cheiroarthropathy) in adult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 patients. Ann Rheum Dis 1 9 8 4 ; 4 3 : 2 5 1 - 7 .

1 1 ) Cimmino MA, Cutolo M. Plasma glucose con- centration in symptomatic osteoarthritis: A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urvey. Clin Exp Rheumatol 1990;8:251-7.

1 2 ) Horn CA, Bradley JD, Brandt KD, Kreipke DL, Slowman SD, Kalasinski LA. Impairmant of osteophyte formantion in hyperglycemic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and knee osteoarthritis. Arthritis Rheum 1992;35:

3 3 6 - 4 2 .

1 3 ) Anderson JJ.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in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ANES-1): Evidence for an association with overweight, race, and physical demands of

(8)

work. Am J Epidermiol 1988;128:179-89, 1 4 ) Bagge E. Bjelle A, Eden S, Svanborg A. Fac-

tors associated with radiographic osteoarthri- tis: Results form the population study 70- year-old people in Goteborg. J Rheumatol 1 9 9 1 ; 1 8 : 1 2 1 8 - 2 2 .

1 5 ) Carman WJ, Sowers M, Hawthorne VM, Weissfeld LA. Obesity as a risk factor for osteoarthritis of the hand and wrist. Am J Epidemiol 1994;139:119-29.

1 6 ) Cooper C, McAlindon T, Snow S. Mechanical and constitutional risk factors for sympto- matic knee osteoarthritis: Differences between medial tibiofemoral and patellofemoral dis- ease. J Rheumatol 1994;21:307-13.

1 7 ) Frey MI, Connor EB, Sledge PA, Scheider DL, Weisman MH. The effect of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on the prevalence of clinical osteoarthritis. A population based study. J Rheumatol 1996;23:716-22.

1 8 ) Waine J, Nevinny D, Rosenthal J, Joffe IB.

Association of osteoarthritis and diabetes mel- litus. Tufts Folia Med 1961;7:13-7.

1 9 ) Massardo L, Watt I, Cushnaghan J, Dieppe P.

Osteoarthritis of the knee: an eight year prospective study. Ann Rheum Dis 1989;48:

8 9 3 - 7 .

2 0 ) Hough AJ, Pathology of Osteoarthritis. In Koopman WJ. Arthritis and Allied Conditions.

1 4t hed. P2167, Philadelphia, LWW, 2001.

2 1 ) Gilbrtson EMM. Development of osteophytes in experimentally induced osteoarthritis in the dog. Ann Rheum Dis 1975;34:12-25.

2 2 ) Trueta J, Harrison MHM. The normal vascu- lar anatomy of the femoral head in adult

man. J Bone Joint Surg 1953;35:442-61.

2 3 ) Hajek AS, Solursh M. Stimulation of growth and mucopolysaccharide synthesis by insulin treatment of chick embryo chondrocytes in cell culture. Gen Comp Endocrinol 1975;25:432-46.

2 4 ) Peck WA, Messinger K. Nucleoside and ribonucleic acid metabolism in isolated bone cells: effects of insulin and cortisol in vitro. J Biol Chem 1970;245:2722-9.

2 5 ) Canalis EM, Dietrich JW, Maina DM, Raisz LG. Hormonal control of bone collagen synthe- sis in vitro: effects of insulin and glucagon.

Endocrinology 1977;100:668-74.

2 6 ) Zapf J, Froesch ER. Insulin-like growth fac- tor/somatomedins: structure, secretion, biolog- ical actions and physiologic role. Horm Res 1 9 8 6 ; 2 4 : 1 2 1 - 3 0 .

2 7 ) McQuillan DJ, Handley CJ, Campbell MA, Boliss S, Milway VE, Herington AC. Stimula- tion of proteoglycan biosynthesis by serum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n cultured bovine articular cartilage. Biochem J 1986;241:423-30.

2 8 ) Vetter U, Zapf J, Heit W, Helbing G, Heinze E, Froesch ER, et al. Human fetal and adult chondrocytes: effect of insulin like growth fac- tors I and II, insulin, and growth hormone on clonal growth. J Clin Invest 1986;77:1903-8.

2 9 ) Tan K, Baxter RC.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 1 levels in adult diabetic patients: the effect of age. J Clin Endocrinol Metab 1986;63:

6 5 1 - 5 .

3 0 ) Denko CW, Boja B, Moskowitz RW. Growth promoting peptides in osteoarthritis: insulin, insulin-like growth factor-1, growth hormone. J Rheumatol 1990;17:1217-21.

참조

관련 문서

다양한 번역 작품과 번역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은 단순히 다른 시대와 언어, 문화의 교류를 넘어 지구촌이 서로 이해하고 하나가

Gastrointestinal toxicity with celecoxib vs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s for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the CLASS study: a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Natural history of OA: Progressive cartilage loss, subchondral

Ross: As my lawfully wedded wife, in sickness and in health, until

※ Screw home motion ⇒ 경골이 외측 회전 Open kinetic chain. http://moon.ouhsc.edu/dthompso/namics/screw3.gif.. Test

- quadriceps tendon 이 슬개골 하연에서 tibial tuberocity에 부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