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우특성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강우특성과"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5, No. 3 (Jun. 2015), pp. 229~236

http://dx.doi.org/10.9798/KOSHAM.2015.15.3.229

ISSN 1738-2424(Print) ISSN 2287-6723(Online) www.kosham.or.kr

강우특성과 지질특성을 고려한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for Civil Evacuation Considering Rainfal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Steep Slope Areas

김 열*·류지협**·서상훈***

Kim, Youl*, Ryu, Ji-Hyeob**, and Seo, Sang-Hoon***

1. 서 론

최근 기후변화에 의해 급경사지 붕괴 및 산사태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붕괴에 대비하지 못하고 매년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급경사지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서는 붕괴시기와 그 피해범위를 미리 예측하고 위험한 급경 사지 주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을 미리 효과적으로 대피시 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급경사지 관리기관은 급경

사지 붕괴 예·경보 기준 및 단계별 대응방법 등을 위한 주민 대피 유도절차 메뉴얼을 미리 설정하여 비상시 적극적인 대 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산사태 붕괴 예·경보 기준은 지역별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평균적인 관리기준이다(Table 1).

이와 같은 관리기준을 획일적으로 각 지역에 적용할 경우, 지역별로 강우특성 및 지형·지질조건이 상이하여 피해 저감 을 위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울 수 있고, 일부 대피가 불필요

Abstract

For mitigating the damages of the steep slopesí collapse, their collapse time should be expected in advance and then used to effec- tively evacuate the residents. For evacuation, evacuation management criteria has to be made yet by considering both the regional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of now, evacuation management criteria have nationally included the same rainfall. With above in mind, this article comes to propose evacuation management criteria for the residents, which are protected under the authorities of local governments, by analyzing the five year rainfall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e are to set up the regional rainfall criteria by using not only about 700 cases of slope disaster but also related rainfall data. We continues to establish up the evacuation management criteria for the residents by utilizing the geological space in each administrative unit as well as the geo- logical rainfall.

Key words : Steep slope, Rainfall, Geological characteristics, Evacuation, Management criteria

요 지

급경사지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급경사지 붕괴시기를 미리 예측하고 위험한 급경사지 주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을 효과적으로 대피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주민대피를 위해서는 지역별 강우특성 및 지역특성이 반영된 주민대피 관리기준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은 전국적으로 동일한 강우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5 년간 급경사지 피해지역의 강우량 및 지질특성을 분석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중인 급경사지 관리대상지에 적합한 주민대피 기 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약 700여개의 급경사지 재해사례와 강우데이터를 활용하여 권역별, 지질별 강우기준을 설정하 였고, 지질별 강우기준과 행정구역별 지질분포 면적을 활용하여 각 지자체별 주민대피 관리기준을 설정하였다.

핵심용어 : 급경사지, 강우, 지질특성, 대피, 관리기준 지반방재

***정회원. (사)사면재해경감협회 사면재해경감연구소 연구원(E-mail:ranian78@hanmail.net)

***Member. Researcher, Slope Disaster Mitigation Institute, Association of Slope Disaster Mitigation

***교신저자. 한려대학교 건설방재공학과 교수(Tel: +82-61-760-1182, Fax: +82-61-761-6709, E-mail: koreaslope@hanmail.net)

***Member. Professor, Dept. of Constru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Hanlyo University

***정회원. (사)사면재해경감협회 사면재해경감연구소 연구원

(2)

한 지역에서 주민들이 대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르면 시장·군수·

구청장이 주민대피 관리기준을 제정·운영토록 명시되어 있 으나 대규모 산사태(우면산 산사태, 춘천 산사태 등) 발생상 황 전에 산사태 예·경보가 해당 주민들에게 전달이 되지 못 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평소에 잦 은 예?경보 발령으로 인해 실제 산사태가 발생한 상황에서 지 자체 담당자에게 산사태 예·경보가 발령되어도 위험상황을 인지 못하여 발령을 미루는 경우나 연락체계 및 전달방식 등 의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주민대피 관리기준을 설정하여 기존 예?경보의 신뢰성 향상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지역적 특성이 반 영된 주민대피 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최근 5년간 704개 소의 피해지역에 대한 강우특성을 지질별, 지역별로 분석함으 로써 주민대피관리기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2. 지질특성을 고려한 주민대피관리 예·경보 기준 연구

2.1 데이터베이스 구축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산사태가 대형화·집중화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후변화를 반영하기 위하 여 최근 5년간(2009년∼2013년)의 급경사지 피해사례 자료 를 소방방재청의 재해대장 자료와 급경사지 일제조사 자료, 산림청의 산사태 피해지역 자료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급경사

지 및 산사태 피해지역의 자료는 총 849개소를 수집하였으며 중복되는 자료와 피해일시가 명확하지 않은 자료를 제외하고 총 704개소의 피해지역에 대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Fig.

1). 수집된 급경사지 및 산사태 발생지역의 피해일시를 확인 하여 발생지역과 가장 근접한 관측소의 자동기상관측시스템 의 강우자료(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를 10분 간격으로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급경사지 붕괴 및 산사태 발생위치 정보는 대부분 행정구역 주소로 표 Table 1. Rainfall Criteria for Landslide Prediction (Oh and Park, 2013)

Proposer Classification Landslide alert Landslide warning

Ministry of construction (1988)

I area 90mm/day 105mm/day <

II area 75mm/day 90mm/day <

III area 55mm/day 75mm/day <

Hong, et al. (1990)

Small landslide - max. intensity > 10mm/h &

2day cumulative rainfall>40mm Midium landslide - max. intensity > 15mm/h &

2day cumulative rainfall>80mm

Large landslide - max. intensity > 35mm/h &

2day cumulative rainfall>140mm

Lee, et al. (1991) - - Cumulative rainfall in 24hr > 200mm or avg.

Rainfall of cumulative rainfall over 24hr > 10mm Korea forest service

(1993)

Continuous rainfall 100-200mm 200mm <

Intensity 20-30mm/h 30mm/h <

1 day cumulative rainfall 80-150mm/day 150mm/day <

Kim (1994)

2 day cumulative rainfall 100mm/2day 200mm/2day

Intensity 15mm/h 30mm/h

Daily rainfall 80mm/day 140mm/day

Fig. 1. Sites of Landslides Occurred.

(3)

현되어 있고, 붕괴발생 위치 주소로 기입되지 않고 피해발생 주소로 표현된 자료들은 위성지도를 활용하여 붕괴발생 위치 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주소 및 위경도 좌표를 지오코딩 (geocoding)을 통하여 TM좌표로 변환하였다.

강우가 발생하게 되면 급경사지 및 산지를 형성하고 있는 토층에 강우가 침투하여 지표면 근처에 습윤대(water front)를 형성하고, 모관흡수력 감소, 간극수압 증가, 지하수위 상승이 발생하여 지반의 전단강도가 약해지면서 취약한 부분에서 부 터 얕은파괴가 발생하여 붕괴로 진행된다(Lee et al., 2009B).

이러한 붕괴 진행은 동일한 강우강도의 경우라도 지질 조건 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기반암의 암석종류에 따라 암석과 암 반 내에 발달하는 풍화특성과 지질공학적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반암의 지질공학적 특성과 지역 별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주민대피 관리기준의 신뢰성을 높이 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1/1,000,000 수 치 지질도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수지지질도 전산코드 작 성연구 보고서(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3)와 국립방재연구소에서 제시된 공학적 특성 에 기초한 전국단위 암종 분류기준(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NIDP, 2010)을 바탕으로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지역으로 구분하였다(Fig. 1).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주민대피 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는 서울 경기권, 강원도는 강원권, 충청남·북도와 대전광역시는 충청 권, 전라남·북도와 광주광역시는 전라권, 경상남·북도와 부 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는 경상권으로 구분하여 설

하였다(Fig. 1).

2.2 지질특성을 고려한 권역별 기준 강우량 설정 강우량에 따른 산사태 선행연구에서 붕괴 발생시점을 기준 으로 강우강도와 누적강우량이 붕괴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크 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Caine, 1980, Cannon and Gartner, 2005) 산림청 산사태 주의보 기준(30 mm/hr)에 미치지 못하 는 적은 강우에서도 약 20%에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 을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발생하는 초단기 집중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붕괴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5분 최대강우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였다.

앞서 구축된 지질 데이터베이스, 행정구역 데이터베이스, 급 경사지 및 산사태 발생위치 데이터베이스를 GIS프로그램인 ARC/INFO를 사용하여 중첩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

강우조건 및 지질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급경사지 및 산사태 의 붕괴특성을 분석하여 지역특성에 적합한 주민대피 관리기 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피해지역 위치에 해당하는 강우데이터 를 각 권역별, 지질별로 구분하였다. 분류된 데이터를 붕괴시 점으로부터 15분 최대강우량, 1시간 최대강우량, 1일 누적강 우량, 2일 누적강우량에 대하여 각각 분석하였으며 각 강우 데이터에 대한 재해사례 분석을 통하여 주의보 단계는 재해 확률 10%(급경사지 10개소 중 1개소에서 붕괴 발생 확률), 경보 단계는 재해확률 30%, 대피 단계는 재해확률 50%의 강 우량을 강우기준으로 설정하였다(Table 2~Table 3).

서울경기권의 지질특성에 따른 주민대피 관리기준은 화성 암 지역의 기준이 전체평균 기준보다 낮게 설정되었고 변성 Table 2.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Landslide Rainfall Criteria in Seoul/Gyeonggi Area

Phase

Rainfall criteria(mm)

15minutes maximum rainfall 1hours maximum rainfall 1day cumulative rainfall 2day cumulative rainfall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Attention 4 11 - 7 22 - 13 80 - 32 113 -

Alert 6 16 - 10 32 - 19 114 - 46 162 -

Warning 19 21 - 38 57 - 112 198 - 121 258 -

Evacuation 24 25 - 59 70 - 194 257 - 265 281 -

Table 3.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Landslide Rainfall Criteria in Gangwon Area

Phase

Rainfall criteria(mm)

15minutes maximum rainfall 1hours maximum rainfall 1day cumulative rainfall 2day cumulative rainfall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Igneous Metamor- phic

Sedimen- tary

Attention 6 6 3 15 13 6 50 16 24 61 34 48

Alert 8 8 4 21 19 9 71 23 34 87 48 69

Warning 14 11 13 33 25 20 128 81 61 160 111 98

Evacuation 17 16 18 39 35 30 157 142 87 235 179 157

(4)

암 기준은 전체평균 기준보다 높게 설정되었다. 강원권의 지 질특성에 따른 주민대피 관리기준은 화성암 지역의 기준이 전체평균 기준보다 높게 설정되었고 변성암 기준은 전체평균 기준과 유사하게 설정되었다. 또한 퇴적암 지역의 강우기준은 강원권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권역에서 전체평균 기준보다 현 저히 낮게 설정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퇴적암류 지역은 대부분 풍화에 취약한 이암이나 셰일로 구성되어 있고 층리 의 발달로 인해 지하수의 이동을 쉽게 하여 산사태에 취약한 지반조건이다. 퇴적암류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의 특성은 타 지역에 비해 가파른 지형조건으로 인해 지표면 침식이 빠 르게 진행되어 토층분포가 얕은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산사 태의 발생 길이는 대부분 60 m 정도로 짧고, 붕괴 깊이는 평 균 0.4m 정도로 훨씬 더 얕게 발생한다(Kim et al., 2007).

Kim et al.(2006)은 퇴적암류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의 특 성으로 인해 집중호우의 지속시간이 짧고 그 양 또한 훨씬 적 었음에도 편마암류 및 화강암류 지역에 비해 높은 산사태 발 생 빈도를 보여 강우강도의 기준치를 다소 하향 조정할 필요 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2.3 지질특성을 고려한 시·군·구 주민대피 관리기준 설정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안) 을 설정하기 위하여 우선 각 시·군·구별 지질분포 면적을 분 석하였다. 시·군·구별 지질분포 면적은 ARC/INFO를 사용 하여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으로 구분된 지질 데이터베이스 와 시·군·구의 행정구역 데이터베이스를 중첩하여 입력, 편 집, 접합, 추출 등의 과정을 통해 분석 하였다(Fig. 2).

시·군·구별 지질분포 면적은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으로 구분된 지질 데이터베이스와 시·군·구의 행정구역 데이터베 이스를 중첩하여 산출하였다. 각 시·군·구에 대한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안)은 해당하는 권역의 지질별 기준 강우 량과 산출된 지질분포 면적비율(예시 가평군 화성암:13.5%, 변성암:86.5%)을 곱한 값의 합으로 설정하였다. 시·군·구의 지질분포 면적 중 확인되지 않은 지질분포 면적은 각 권역의 Table 4. Landslide Rainfall Criteria for the Local Governments in Seoul/Gyeonggi Area

Area Phase Rainfall criteria(mm)

Area Phase

Phase

Rainfall criteria(mm)

15min 60min 24hr 48hr 15min 60min 24hr 48hr

Gapyeong

Attention 10 20 71 102

Gwangju

Attention 11 22 79 113

Alert 15 29 101 146 Alert 16 32 113 161

Warning 21 54 186 240 Warning 21 57 197 257

Evacuation 25 69 249 279 Evacuation 25 70 256 281

Goyang

Attention 11 22 76 108

Guri

Attention 10 20 69 100

Alert 15 31 108 155 Alert 14 28 99 143

Warning 21 56 193 250 Warning 21 54 184 236

Evacuation 25 69 254 280 Evacuation 25 68 247 278

Gwacheon

Attention 9 18 63 93

Gunpo

Attention 11 22 80 113

Alert 13 26 90 132 Alert 16 32 114 162

Warning 20 52 176 223 Warning 21 57 198 258

Evacuation 25 67 241 277 Evacuation 25 70 257 281

Gwangmyeong

Attention 11 22 79 112

Gimpo

Attention 11 22 69 98

Alert 16 32 112 160 Alert 15 31 99 140

Warning 21 57 196 256 Warning 21 56 190 242

Evacuation 25 70 256 281 Evacuation 25 68 253 280

Fig. 2. Geological Distribution Area Ratio of Local Govern- ments.

(5)

평균 기준 강우량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Table 4).

3. 붕괴사례를 통한 예·경보 시스템 신뢰성 검토

전국 시·군·구에 대하여 각각의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 기준(안)을 설정하였고 설정된 주민대피 관리기준의 신뢰성 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3년~2014년 집중호우 기간에 발생된 급경사지 붕괴사례를 적용하였다. 또한 현재 운영 중에 있는 산림청의 산사태 예측시스템과 신뢰성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급경사지 대피 예·경보시 스템에 급경사지 재해사례를 적용하여 본 연구의 급경사지 주민대피관리 예·경보 기준(안)과 비교하였다.

3.1 한계선 설정 방법에 의한 예·경보시스템 검토 NIDP (2010)에서는 행정경계를 따라 경기권, 강원권, 충청 권, 경상권, 전라권의 5개 대권역으로 우선 구분하고, 각 권역 별로 해안 평탄지, 산악지, 미붕괴지구 등 소권역으로 구분하 여 총 14개 권역으로 세분하였다. 구분된 권역에 대하여 과거 재해이력과 AWS 강우관측소의 강우 data를 분석하여 급경사 지의 붕괴 유발/비유발강우 한계선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급 경사지 붕괴 예·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전국 단위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급경사지 붕괴 예·경보시스템의 한계선을 설정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급경사지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속강우량 40 mm이상, 강우강도 10 mm/hr 이상에 해당하는 강우자료를 선정하여야 하며 이러한 강우자료를 작용강우량이라고 한다.

작용강우량 중 재해가 발생된 강우량을 유발 강우량,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강우량을 비유발 강우량이라고 한다. 한계선 설정방법은 유발강우량 적용 방법과 비유발강우량 적용 방법 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유발강우량의 사례가 충분하지 못

하고 재해발생과 한계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 유발강우량 적용 방법을 이용한 한계선을 설정하여 분석하였 다. 대상지역의 비유발강우량을 1.5시간과 72시간 반감기를 이용하여 급경사지 붕괴발생 여부의 기준선인 한계선을 설정 하였다(Fig. 3).

상기 붕괴지역의 2009~2014년 6월에서 9월 강우데이터 중 연속강우량 40 mm 이상, 강우강도 10 mm/hr인 332개의 작 용강우량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직선형 한계선은 1.5시간 및 72시간 반감기 작용강우량축의 최대점에 도시되어 안전영역 이 과대하게 설정되며, 실제 급경사지 붕괴범위와는 차이가 발생되어 신뢰성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NIDP,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도 자연현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급경사지 안전영역 을 최소화시켜 신뢰성 있는 한계선을 설정하기 위해 곡선형 한계선으로 설정하였다. 일반적인 한계선 설정 방법은 재해이 력을 충분히 조사할 수 있는 지역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유발 강우와 비유발강우를 도시하여 유발강우와 비유발강우의 경 계에 한계선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재해이력을 충분히 조사할 수 없는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 최대 비유발강우량을 적용하여 한계선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과 2014년의 재해 발생이력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므로 2013년 이전에 유발강우량을 적용하여야 하 나 재해발생 사례가 많지 않아 비유발강우량의 최대값을 적 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유발 강우자료의 최대값을 적용 하여 지역별 한계선을 설정하고 18개 재해발생 지역의 유발 강우를 도시한 결과, 총 8개의 유발강우가 한계선을 초과하였 고, 10개의 유발강우는 한계선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5).

3.2 산사태 정보시스템에 의한 예·경보시스템 검토 Korea Forest Service (2015)에서는 전국의 강우분포(4개 권역)와 지질특성(3개 권역)을 고려하여 총 10개 권역으로 구

Fig. 3. Analysis of Critical Boundaries Method.

(6)

분하고, 권역별 과거 산사태 발생이력 분석결과를 토대로 토 양 내 빗물의 양을 탱크모델(Tank model)을 이용한 토양함수 지수로 산정해 그 지수에 따라 주의보 또는 경보를 발령한다.

권역별 토양함수지수가 80% 도달 시에는 주의보, 100% 도달 시에는 경보를 발령한다. 그러나 산사태 정보 시스템에서 지 역별로 세부적인 토양특성(투수성, 지하수위 등)을 모두 반영 하여 예측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며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산사태 예측에 한계가 있다고 언급하였 다. 이러한 한계성 때문에 산사태 예측정보는 현지 기상 등을 고려하여 산사태발생 우려지역 주민에게 예·경보 발령 및 피 해예방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Lee et al., 2009A).

산림청의 산사태정보시스템에 기상청 강우자료 분석 및 권 역별 산지의 토양함수지수 분석을 통하여 1시간 간격으로 제 공된 2013년 경기·강원지역과 2014년 경남지역의 급경사지 붕괴시점을 전후로 산사태 예측정보를 확인한 결과, 18개 피

해발생 지역 중 주의보 단계에서는 6개 지역을 예측하였고, 경보단계에서는 2개 지역의 붕괴를 예측하였다(Table 6).

3.3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예·경보시스템 검토

2013년~2014년도 경기, 강원, 경남지역에서 발생된 급경사 지 붕괴피해지역의 강우자료를 해당 시·군·구 급경사지 주 민대피 관리기준(안)에 도시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급경사지 주민대피관리 예·경보 기준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2013년도 경기지역에서 발생된 7개소의 급경사지 붕괴피해 지역 강우자료를 해당 시·군 주민대피 관리기준에 도시한 결 과,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 경계(경보)이상에 해당하는 피해지역은 15분-1시간 강우량, 15분-1일 강우량, 15분-2일 강우량 기준에서 3개소(총 42.9%), 1시간-1일 강우량과 1일- 2일 강우량 기준에서 4개소(가평군 1개소, 이천시 2개소, 여 주군 1개소, 총 57.1%), 1시간-2일 강우량 기준에서 6개소(가 평군 3개소, 이천군 2개소, 여주군 1개소. 총 85.7%)로 평가 Table 5. Analysis of the Predicted Result by Landslide Rainfall Criteria Based on Critical Boundaries method

Landslides locations Non-triggering Rainfall

Below Critical Boundaries

Over Critical Boundaries

Gyeonggi-do

Gapyeong 47 1 2

Namyangju 46 1 -

Yeoju 44 - 1

Icheon 31 1 1

Gangwon-do

Hoengseong 29 2 1

Chuncheon 26 - 1

Hongcheon 33 - 1

Busan Jin-gu, Buk-gu 25 2 -

Gyeongsangnam-do Yangsan 26 1 -

Changwon 25 2 1

Table 6. Analysis of the Predicted Result by Landslide Rainfall Criteria Based on Tank Model Method

Landslides locations Landslide date Forecasts Prediction Results

Gyeonggi-do

Gapyeong 2013-07-14 11:00,

12:40, 16:00 2013-07-14 11:00 Alert Landslide before alert issued Namyangju 2013-07-15 6:16 2013-07-13 13:00 Alert Landslide alert issued after 6 hours

Yeoju 2013-07-22 12:00 2013-07-22 10:00 Warning Landslide warning issued before 2 hours Icheon 2013-07-22 09:50, 14:20 2013-07-22 9:00 Warning Landslide warning issued before 1 hours

Gangwon-do

Hoengseong 2013-07-15 06:00,

06:15, 11:00 2013-07-15 17:00 Warning Landslide warning issued after 6 hours

Chuncheon 2013-07-14 9:30 - - Nothing

Hongcheon 2013-07-14 9:50 2013-07-14 11:00 Alert Landslide alert issued after 1 hours

Busan jin-gu 2014-08-18 5:30 - - Nothing

Buk-gu 2014-08-25 14:20 - - Nothing

Gyeongsangnam-do

Yangsan 2014-08-19 13:00 2014-08-19 8:40 Alert Landslide alert issued before 4 hours Changwon 2014-08-25 13:00,

13:00, 13:30 2014-08-25 14:00 Alert Landslide alert issued after 1 hours

(7)

되었다. 2013년도 강원지역에서 발생된 5개소의 급경사지 붕 괴피해지역 강우자료를 해당 시·군 주민대피 관리기준에 도 시한 결과,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 경계(경보)이상에 해 당하는 피해지역은 모든 강우량 기준에서 3개소(춘천시 1개 소, 홍천군 1개소, 횡성군 1개소, 총 60.0%)로 평가되었다.

2014년도 부산·경남지역에서 발생된 6개소의 급경사지 붕괴 피해지역 강우자료를 해당 시·군 주민대피 관리기준에 도시 한 결과,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 경계(경보)이상에 해당 하는 피해지역은 15분-1일 강우량과 1시간-1일 강우량, 1일-2 일 강우량 기준에서 3개소(부산북구 1개소, 창원시 2개소, 총 50.0%), 15분-1시간 강우량과 15분-2일 강우량, 1시간-2일 강 우량 기준에서 4개소(부산북구 1개소, 창원시 2개소, 양산시 1개소, 총 66.7%)로 평가되었다. 2013년~2014년에 발생된 18 개소의 급경사지 재해발생시점의 강우자료를 종합·분석한 결과, 경계(경보)이상에 해당하는 피해지역은 15분-1일 강우 량 기준에서 9개소(50.0%), 15분-1시간 강우량, 15분-2일 강 우량, 1시간-1일 강우량, 1일-2일 강우량 기준에서 10개소 (55.6%), 1시간-2일 강우량 기준에서 13개소(72.2%)로 평가 되었다(Table 7).

4. 결 론

지역별 강우특성에 따른 급경사지 및 산사태의 붕괴 양상이 변화하며, 기반암의 암석종류에 따라 암석과 암반 내에 발달 하는 풍화특성과 지질공학적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 에 동일한 강우조건에서도 붕괴 양상이 달라진다. 이러한 지 역별 강우특성 및 지질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급경사지 및 산

사태의 붕괴특성을 분석하여 전국 시군구에 따른 주민대피 관리기준(안)을 설정하였다. 2013년~2014년도 재해지역의 강 우데이터를 적용하여 타 기관의 예경보 기준과 비교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관리기준 중 1시간 최대 강우량과 2일 누적 강우량 기준에서 총 18개 지역 중 13개 지역을 예측 하여 가장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피해 사례 데이터의 기간 및 수량이 부족하였으므로 추가적인 검 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지역특성을 반 영하기 위하여 지질특성을 고려하였으나 지형적인 특성을 추 가로 반영하여 주민대피관리기준의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민안전처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NEMA- 자연-2012-60)의 연구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 니다.

References

Caine, N. (1980)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 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Geografiska Annaler, 62A, pp.

23-27

Cannon, S.H. and Gartner, J.E. (2005) Wildfire-related debris flow from a hazard prospective, Springer, Berlin, pp. 363-385 Hong, W.P., Kim, Y.W., Kin, S.K., Han, J.G., and Kim, M. (1990)

Prediction of Rainfall-triggering Landslid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6, No. 2, pp. 55-63.

Kim, K.S., Song, Y.S., Chae, B.G., Cho, Y.C., and Lee, C.O.

Table 7. Analysis of the Predicted Result by Landslide Rainfall Criteria

Division

Landslides locations Prediction

Results (over W)

2013 year 2014 year

Gapyeong Icheon Namy-

angju Yeoju Chun- cheon

Hong- cheon

Hoeng- seong

Busan jin-gu

Busan Buk-gu

Chang-

won Yangsan

15M-60M W 3 A 2 A 1 A 1 E 1 E 1 E 1,

A 2 A 1 E 1 E 2,

A 1 W 1 10/18, 56%

15M-24H W 1,

A 2 W 2 X 1 A 1 E 1 W 1 W 1,

A 2 X 1 E 1 E 2,

X 1 A 1 9/18, 50%

15M-2D W 3 A 2 A 1 A 1 E 1 W 1 W 1,

A 2 X 1 E 1 W 2,

X 1 W 1 10/18, 56%

60M-24H W 1,

A 2 W 2 X 1 W 1 E 1 W 1 W 1,

A 2 X 1 W 1 E 2,

X 1 A 1 10/18, 56%

60M-2D W 3 W 2 A 1 W 1 E 1 W 1 W 1,

A 2 X 1 W 1 W 2,

X 1 E 1 13/18, 72%

24H-2D W 1,

A 2 W 2 X 1 W 1 E 1 W 1 W 1,

A 2 X 1 W 1 W 2,

X 1 A 1 10/18, 56%

*15M : 15minutes maximum rainfall, 60M : 1hours maximum rainfall, 24H : 1day cumulative rainfall, 2D : 1day cumulative rainfall A : Alert, W : Warning, E : Evacuation, X : Nothing

(8)

(2007)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on Natural Ter- rain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7, No. 1, pp. 75-87.

Kim, K.S., Song, Y.S., Cho, Y.C., Kim, W.Y., and Jeong, G.C.

(2006)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Landslides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 ogy, Vol. 16, No. 2, pp. 201-214.

Kim, S.G. (1994) Ground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South Korea, East Asia Symposium and field Workshop on Land- slides and Debris Flow, Seoul, Korea, pp. 75-99.

Korea Forest Service (2015) Landslide Information System, http:/

/www.forest.go.k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3) Development of Digital Geological Map Code, Research Report, KR-03-05 pp. 171-25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http://www.kma.go.kr/.

Lee, C.W., Youn, H.J., and Woo, C.S. (2009A) Development and Verifying of Calculation method of Standard Rainfall on Warn- ing and Evacuation for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in Moun- tainous Area by Using Tank Model, Journal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Vol. 98, No. 3, pp. 272-278.

Lee, S.R., Oh, T.K., Kim, Y.K., and Kim, H.C. (2009B) Influence of Rainfall Intensity and Saturated Permeability on Slope Sta-

bility during Rainfall Infiltration. J. Korea Geotechnical Soci- ety, Vol. 25, No. 1, pp. 65-76.

Lee, Y.N. (1991)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Natural Disas- ters(II),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7, No. 1, pp. 105-113.

Ministry of Construction (1988) Disaster planning mediumlong- term comprehensive plan report, Vol. 26, No. 5, pp. 359-701.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2009) A Study on the Critical Boundaries for Domestic Application, Research Report, NIDP-2009-07-01, pp. 7-45.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2010), Improvement of disaster warning system for steep slope, Research Report, NIDP-2010-01-02, pp. 152-160.

Oh, J.R. and Park, H.J. (2013) Analysis of Landslide Triggering Rainfall Threshold for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Journal of the Korean Hazard Mitigation Society, Vol. 7, No. 1, pp. 105-113.

Received April 1, 2015 Revised April 6, 2015 Accepted April 13, 2015

참조

관련 문서

송전선로 주변에 거주하고 있는 경과지 주민을 대상으로 개최한 극저주파 전자계 워크숍은 전자 계 인체 유해성에 대한 경과지 주민의 감정,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건강하며 영양가 있고 저렴하며 지속 가능한 식품을 제공하는 식품 시스템의 능력은 EU 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회원국과 관련

dKargo 플랫폼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존의 물류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손쉽게 플랫폼의 참여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에 사업을

∙ 축산업의 환경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저탄소 사양관리로의 전환이 매우 중요하다. 저탄 소 사양관리를 통해 환경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사육기간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건강하며 영양가 있고 저렴하며 지속 가능한 식품을 제공하는 식품 시스템의 능력은 EU 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ㅇ 지역개발과 관련한 재정지출과 투자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방정부의 주인의식이 중요. - 주인의식은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

이로 인해 임무 시기 및 고도에 따라 분포하는 공기의 조성, 대기 밀도, 위성형상, 위성 표면과 대기와의 상호작용 등을 고려한 인공위성의 대기 항력을 예측하는 것이 매우

이러한 지진해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의 구축 뿐 아니라 지진해일에 대한 지식과 교육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 책은 지진해일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