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한 어깨 통증 환자에 대한 단면조사 결과 -대한견주관절학회 기능평가위원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한 어깨 통증 환자에 대한 단면조사 결과 -대한견주관절학회 기능평가위원회-"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한 어깨 통증 환자에 대한 단면조사 결과

대한견주관절학회 기능평가위원회

이화의대 신 상 진

목 적

정형외과 외래에 어깨부위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들의 원인 질환을 분석하고, 통증 양상, 치료 형태 및 결과 등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08년 7월까지 86명의 대한견주관절학회 회원이 근무하는 76개 의료 기관에서 1주일간 단면조사를 시행하였다. 어깨부위 통증을 호소하여 외래 진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 총 4,079명에 대하여 환자 의 전반적인 상태에 관한 환자 및 의료진의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환자가 작성하는 설문 내용은 전반적인 통증에 관련된 13개 항목의 설문과, 어깨부위 통증 및 치료에 관련된 5개 항목이었으며, 의료진은 환자의 질환 과 기능에 대한 설문을 작성한 후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외래를 방문한 어깨 통증 환자의 가장 많은 질환은 회전근 개 질환(55%) 이었으며 동결건(8.8%), 골절 (8.7%), 불안정성 및 SLAP 병변(8.3%)순이었다. 회전근 개 질환 내에서는 회전근 개 파열이 가장 많았으며 회전근 건염 및 충돌 증후군 순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어깨 통증 이환 기간은 내원 환자의 33%가 1년 이상이 었으며 59%는 항상 통증을 느끼며, 56%의 환자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VAS로 측정한 통증 정도는 평균 4.4정도였으며 질환에 따른 통증 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통증으로 인한 수면 방해 정도는 환자의 12%가 아파서 잠을 이룰 수 없는 정도였으며 48%는 가끔 깨는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였 다. 환자의 약 26%는 어깨부위 통증으로 인한 운동범위 감소를 나타내었다. 환자와 의사 간의 통증 정도에 대 한 일치도에서 전체적인 평균 VAS 점수는 환자 평가(4.4)와 의사 평가(4.3)가 유사하였으나, 점수 일치도는 경미한 정도(kappa=0.319)로 나타났다. 한국 견관절 점수 평가 방법으로 평가한 어깨 기능 점수는 골절 환자 들이 가장 낮았으며(14.7), 회전근 개 질환 환자들이 가장 높았다(19.5). 조사 대상의 44.2%가 어깨 수술 및 주 사 요법을 경험한 바 있으며 수술 및 주사 등과 같은 침습적 치료 후 통증은 치료 전보다 평균 2.6 감소하였다.

결 론

어깨 통증 환자들에 대한 대규모 단면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어깨 통증 환자들의 원인 질환 종류, 통증 정도, 기능 및 치료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통증이 생활 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통증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으므로 외래에서 적극적인 통증 치료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5 대한견∙주관절학회 보고

제 17 차 대한견∙주관절학회 학술대회

참조

관련 문서

내인성 통증 조절 이론 (endogenous pain

생활에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쳤을 때 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일상의 불편함, 부족함을

만성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우울증을 동반하는 경우 가 많으며, 항우울제가 하향통증 억제계에 작용하여서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선행연구( 전은영,2013) 에서 보고한 삶의 질 개선 효과에 비해 컸다.이러한 일상생활 기능장애와 삶의 질의 개선 효과는 대상자의

63점으로 나타나,시술 한 1주차보다 시술을 받을수록 슬관절의 통증 호전정도가 점차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많은 저자들이 경피적 신경관을 경유한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제거술의 장 점에 대하여 보고하였으나 수술적 결과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22) 본 연구 에서는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장애요인,자기효능감 및 통증 관리 수행 정도를 조사하고,이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아동간호사의 통증관리

따라서 간호사의 성장욕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간호환경 특히 간호지원체계의 보장과 직무스트레스의 긍정적 작용 요인에 대한 연구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