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이버시대의 가족생활변화와 대응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사이버시대의 가족생활변화와 대응방안"

Copied!
4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사이버 時代의 家族生活變化와

對應方案

김 승 권

조애저 김유경

서동우 이경혜

(2)

우리나라는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되고, 인터넷망의 구축이 거의 완벽하게 이 루어지고 있어 IT산업의 발전은 세계적으로 앞서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터 넷 가입자는 1000만명을 넘어섰고, 실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국민은 2600 만명에 근접하고 있다. 명실공히 인터넷 이용수준이 세계 최강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사이버 공간은 기존의 물리적 공간에 대 신하는 대안적 접촉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즉,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시간적’으로는 동시적이고 ‘공간적’으로도 옆에 있는 것처럼 상호작용할 수 있 게 된 것이다. 따라서 사이버 문화의 확산은 한국인의 가족생활에도 많은 영향 을 주고 있다. 실제로 사이버 시대에는 개인의 자율성과 개성이 중요시되고, 특 정한 취미, 문제, 목적, 이해관심 등을 공유하는 동호인들간의 결속이 지지되며, 직장과 가정의 단일화 경향, 대화방식의 변화, 인터넷 쇼핑, 인터넷 뱅킹, 인터 넷 주식투자 등이 널리 활용됨으로써 전형적인 가족생활양식에 많은 변화를 가 져오고 있다. 사이버 시대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가족생활영역의 다양한 변화는 긍정적 측 면도 있지만 부정적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정보이용의 접근도를 높 여 지리적 및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가정 에서 많은 경제사회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가족생활을 풍요하게 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렇지만 부정적 측면의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 면, 불건전한 정보에의 무차별적 접근, 가족과의 대화단절, 인터넷 중독, 자살사 이트 등장, 청소년 등 주요 가족원의 일탈행동의 증가 등이 있음은 매우 우려 된다. 특히 서구의 잘못된 문화가 인터넷을 통하여 유입되어 만연됨으로써 훌

(3)

따라서 사이버 시대의 도래에 따른 긍정적 측면의 영향은 지속적으로 권장하 고, 부정적 측면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근절하기 위한 대책이 개인, 가족, 그리 고 사회가 다함께 노력하여야 할 시점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수준의 향상으로 도래한 사이버 시대에 있어서 한 국 가족생활의 긍정적 및 부정적 변화실태를 파악하고 대책을 강구함으로써 가 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가족팀장 김승권 박사의 책임 하에 당원 연구진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진의 노고에 사의를 표한다. 아울러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화조사 및 현지조사를 위해 애쓴 조사원과 조사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여 주신 전화조사 및 사례조사의 응답자와 PC방 관계자 등에게 진 심으로 감사드린다. 또한 본 보고서를 검독하여 준 정경희 부연구위원, 정영철 책임연구원, 그리고 서울대학교 김혜란 교수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자들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본 연구원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2002年 12月 韓國保健社會硏究院 院 長 朴 純 一

(4)

要 約 ··· 15 第 1 部 導入部 第 1 章 序 論 ··· 81 第 1 節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81 第 2 節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83 第 3 節 硏究의 制限點 ··· 87 第 2 章 「사이버 時代」관련 主要 槪念 및 理論的 觀點 ··· 89 第 1 節 主要 槪念 ··· 89 第 2 節 主要 理論的 觀點 ··· 91 第 3 節 主要 槪念 및 理論的 觀點의 示唆點 ··· 99 第 3 章 「사이버 時代」관련 國內‧外 先行硏究 ··· 101 第 1 節 사이버 時代의 家族變化 ··· 103 第 2 節 사이버 時代의 主要 家族員 逸脫問題 ··· 111 第 3 節 사이버 時代의 精神健康 ··· 116 第 4 節 先行硏究의 示唆點 ··· 120 第 2 部 사이버 時代의 家族生活變化 第 4 章 「사이버 時代의 家族生活變化 實態調査」 應答者의 諸 特性 ··· 125 第 1 節 應答者의 家口特性 ··· 125 第 2 節 應答者의 人口社會學的 特性 ··· 129 第 5 章 컴퓨터‧인터넷의 普及 및 利用 行態 ··· 134 第 1 節 컴퓨터의 普及 및 利用 行態 ··· 134 第 2 節 인터넷 普及 및 利用 行態 ··· 147 第 3 節 컴퓨터‧인터넷의 普及 및 利用 行態의 示唆點 ··· 164

(5)

第 2 節 家族生活變化樣相 ··· 169 第 3 節 家族生活의 變化水準 決定要因에 관한 分析 ··· 272 第 4 節 사이버 時代 家族生活變化의 示唆點 ··· 278 第 3 部 인터넷 中毒의 實態와 中毒家族의 生活變化 第 7 章 「인터넷 中毒實態調査」 應答者의 諸 特性 ··· 281 第 1 節 應答者의 家口特性 ··· 281 第 2 節 應答者의 人口社會學的 特性 ··· 282 第 8 章 인터넷 中毒의 槪念 및 原因과 測定方法 ··· 284 第 1 節 인터넷 中毒의 槪念 및 原因 ··· 284 第 2 節 인터넷 中毒의 測定方法 ··· 287 第 9 章 PC방 利用者의 컴퓨터‧인터넷 利用行態 ··· 292 第 1 節 PC방 利用者의 컴퓨터 利用行態 ··· 292 第 2 節 PC방 利用者의 인터넷 利用行態 ··· 314 第 3 節 PC방 利用者의 컴퓨터‧인터넷 利用行態의 示唆點 ··· 327 第 1 0 章 인터넷 中毒實態와 生活變化樣相 ··· 329 第 1 節 本 硏究에서의 인터넷 中毒의 測定方法 ··· 329 第 2 節 인터넷 中毒의 實態 ··· 330 第 3 節 인터넷 中毒家族의 生活變化樣相 ··· 333 第 4 節 인터넷 中毒家族 生活變化의 示唆點 ··· 354 第 4 部 結論部 第 1 1 章 사이버 時代의 家族生活變化 對應方案 ··· 357 第 1 節 個人的 對應方案 ··· 358 第 2 節 家族의 對應方案 ··· 362 第 3 節 政策的 對應方案 ··· 370 第 1 2 章 結 論 ··· 375

(6)

附 錄 ··· 379

1. 2002年 사이버 時代의 家族生活變化 實態調査票 ··· 381

2. 인터넷 中毒實態 調査票 ··· 385

(7)

〈표 1- 1〉 「사이버 시대의 가족생활변화 실태조사」의 조사지역 ··· 86 〈표 3- 1〉 사이버관련 주요 국내 선행연구 ··· 102 〈표 3- 2〉 인터넷 이용후의 변화양상 ··· 104 〈표 3- 3〉 정보화 수용태도 비교 ··· 107 〈표 3- 4〉 인터넷 이용 청소년의 부모‧친구 관계의 변화: 2000년 ··· 109 〈표 3- 5〉 인터넷과 연관된 병리적 반응 ··· 120 〈표 4- 1〉 응답자 가구의 특성 ··· 126 〈표 4- 2〉 응답자 가구주의 거주지역별 가구특성 ··· 128 〈표 4- 3〉 응답자의 특성 ··· 130 〈표 4- 4〉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특성 ··· 132 〈표 5- 1〉 컴퓨터 보유율: 1997~2002 ··· 134 〈표 5- 2〉 컴퓨터 이용률: 2001~2002 ··· 135 〈표 5- 3〉 응답자 특성별 컴퓨터 이용률 ··· 136 〈표 5- 4〉 응답자 특성별 컴퓨터 이용장소 ··· 139 〈표 5- 5〉 응답자 특성별 컴퓨터 이용시간 분포 ··· 142 〈표 5- 6〉 응답자 특성별 컴퓨터의 이용용도 ··· 145 〈표 5- 7〉 보유가구 인터넷 접속방식: 2002년 ··· 147 〈표 5- 8〉 연도별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증가 현황 ··· 148 〈표 5- 9〉 전국의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률 변화추이 ··· 148 〈표 5-10〉 시‧도별 인터넷 이용자수 ··· 149 〈표 5-11〉 성별 인터넷 이용자수 ··· 150 〈표 5-12〉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자수 ··· 152 〈표 5-13〉 학력별 인터넷 이용률 ··· 153

(8)

〈표 5-16〉 응답자의 성별 인터넷 사이트 이용률 ··· 155 〈표 5-17〉 응답자의 혼인상태별 인터넷 사이트 이용률 ··· 156 〈표 5-18〉 응답자의 연령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157 〈표 5-19〉 가구주와의 관계별 응답자의 인터넷 이용 사이트 ··· 158 〈표 5-20〉 응답자의 교육수준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159 〈표 5-21〉 응답자의 직업유형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160 〈표 5-22〉 응답자의 주관적 생활수준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161 〈표 5-23〉 응답자의 가족유형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162 〈표 5-24〉 인터넷 이용시간 ··· 164 〈표 6- 1〉 본 연구에서 활용한 사이버 시대의 가족생활변화 ··· 168 〈표 6- 2〉 가족문화의 변화양상 ··· 170 〈표 6- 3〉 “부부간에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이 늘었다”의 수준분포 ··· 171 〈표 6- 4〉 “집안 일도 똑같이 부부가 나누어야 한다는 생각이 늘었다”의 수준분포 ··· 174 〈표 6- 5〉 “부모-자녀간에도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이 늘었다”의 수준 분포 ··· 178 〈표 6- 6〉 “부모‧친척에게 직접 방문하는 일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181 〈표 6- 7〉 가계경영의 변화양상 ··· 183 〈표 6- 8〉 응답자 특성별 “가전제품, 식료품, 의류 및 서적 등을 인터넷 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있다”의 수준 분포 ··· 187 〈표 6- 9〉 “은행 및 신용카드 관련 일을 인터넷 상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있다”의 수준분포 ··· 192 〈표 6-10〉 “인터넷 상에서 부업을 하거나 얻은 정보에 의하여 가계소득이 있다”의 수준분포 ··· 197 〈표 6-11〉 “가계의 소비지출이 증가했다”의 수준분포 ··· 202

(9)

〈표 6-12〉 가족관계의 변화양상 ··· 205 〈표 6-13〉 “가족원간에 대화가 많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207 〈표 6-14〉 “가족원간의 친밀감이 감소했다”의 수준분포 ··· 210 〈표 6-15〉 “가족원의 가사 일에 대한 참여가 줄었다”의 수준분포 ··· 212 〈표 6-16〉 “컴퓨터 이용을 둘러싸고 가족(자녀)과의 갈등이나 다툼이 늘었다”의 수준분포 ··· 215 〈표 6-17〉 “배우자가 가정생활에 충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의 수준 분포 ··· 218 〈표 6-18〉 건강생활의 변화양상 ··· 220 〈표 6-19〉 “피로감을 느낀다”의 수준분포 ··· 224 〈표 6-20〉 “눈, 손목, 어깨가 결린다”의 수준분포 ··· 230 〈표 6-21〉 “수업‧직장일‧가사에 집중력이 떨어진다”의 수준분포 ··· 236 〈표 6-22〉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을 본인 스스로 억제하지 못한다”의 수준분포 ··· 241 〈표 6-23〉 생활시간의 변화 양상 ··· 243 〈표 6-24〉 “TV 시청시간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245 〈표 6-25〉 “활자 신문을 보지 않고 인터넷 신문을 주로 본다”의 수준 분포 ··· 249 〈표 6-26〉 “수면시간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252 〈표 6-27〉 “공부‧직장일 또는 가사시간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256 〈표 6-28〉 가족생활의 변화: 지역사회관계의 변화 ··· 259 〈표 6-29〉 “인터넷을 통해 친구를 새롭게 사귀었다”의 수준분포 ··· 261 〈표 6-30〉 “친구와의 만남‧모임, 사회적 행사의 참석 횟수가 줄었다”의 수준분포 ··· 264 〈표 6-31〉 “자신의 문제를 가족 밖의 관계를 통해서 해결한다”의 수준 분포 ··· 267 〈표 6-32〉 “지역사회의 정보를 알게 되어 이용한다”의 수준분포 ··· 270 〈표 6-33〉 종속변수로서의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생활의 변화수준 분포 ··· 273

(10)

회귀분석 ··· 277 〈표 7- 1〉 「인터넷 중독실태조사」 응답가구의 특성 ··· 282 〈표 7- 2〉 「인터넷 중독실태조사」 응답자의 특성 ··· 283 〈표 9- 1〉 응답자 특성별 컴퓨터‧인터넷 이용장소 ··· 293 〈표 9- 2〉 응답자 특성별 PC방 주 이용횟수 ··· 296 〈표 9- 3〉 응답자 특성별 PC방 1회 평균 이용시간 분포 ··· 301 〈표 9- 4〉 PC방 이용자의 특성별 컴퓨터‧인터넷 이용시간 분포 ··· 306 〈표 9- 5〉 응답자 특성별 PC방 이용용도, 평균 이용용도 수 ··· 309 〈표 9- 6〉 응답자 특성별 PC방 이용용도 ··· 312 〈표 9- 7〉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인터넷 사이트 이용률 ··· 315 〈표 9- 8〉 응답자의 성별 인터넷 사이트 이용률 ··· 316 〈표 9- 9〉 응답자의 혼인상태별 인터넷 사이트 이용률 ··· 317 〈표 9-10〉 응답자의 연령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319 〈표 9-11〉 가구주와의 관계별 응답자의 인터넷 이용 사이트 ··· 320 〈표 9-12〉 응답자의 교육수준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321 〈표 9-13〉 응답자의 직업유형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323 〈표 9-14〉 응답자의 주관적 생활수준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324 〈표 9-15〉 응답자의 가족유형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325 〈표 9-16〉 응답자의 중독점수별 인터넷 이용 사이트 ··· 327 〈표 10- 1〉 응답자 특성별 중독점수 ··· 332 〈표 10- 2〉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부부간에 각각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이 늘었다”의 수준분포 ··· 334 〈표 10- 3〉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집안 일도 똑같이 부부가 나누어서 한다는 생각이 늘었다”의 수준분포 ··· 335 〈표 10- 4〉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부모-자녀간에도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이 늘었다”의 수준분포 ··· 336

(11)

〈표 10- 6〉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문화 영역의 변화 ··· 337 〈표 10- 7〉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전제품, 식료품, 의류 및 서적 등을 인터넷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있다”의 수준분포 ··· 338 〈표 10- 8〉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은행 및 신용카드 관련 일을 인터넷 상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있다”의 수준분포 ··· 338 〈표 10- 9〉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인터넷 상에서 부업을 하거나 얻은 정보에 의하여 가계소득이 있다”의 수준분포 ··· 339 〈표 10-10〉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계의 소비지출이 증가했다”의 수준분포 ··· 340 〈표 10-11〉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계경영의 변화 ··· 340 〈표 10-12〉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원간에 대화가 많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341 〈표 10-13〉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원간의 친밀감이 감소 하였다”의 수준분포 ··· 342 〈표 10-14〉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원의 가사일에 대한 참여가 줄었다”의 수준분포 ··· 342 〈표 10-15〉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컴퓨터 이용을 둘러싸고 가족(자녀)과의 갈등이나 다툼이 늘었다”의 수준분포 ··· 343 〈표 10-16〉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배우자가 가정생활에 충실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의 수준분포 ··· 343 〈표 10-17〉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관계의 변화 ··· 344 〈표 10-18〉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피로감을 느낀다”의 수준분포 ··· 345 〈표 10-19〉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눈, 손목, 어깨가 결린다” 의 수준분포 ··· 345

(12)

〈표 10-21〉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을 본인 스스로 억제하지 못한다”의 수준분포 ··· 346 〈표 10-22〉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건강생활의 변화 ··· 347 〈표 10-23〉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TV 시청시간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348 〈표 10-24〉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활자 신문을 보지 않고 인터넷 신문을 주로 본다”의 수준분포 ··· 348 〈표 10-25〉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수면시간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349 〈표 10-26〉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공부‧직장일 또는 가사시간이 줄었다”의 수준분포 ··· 350 〈표 10-27〉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생활시간의 변화 ··· 350 〈표 10-28〉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인터넷을 통해 친구를 새롭게 사귀었다”의 수준분포 ··· 351 〈표 10-29〉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친구와의 만남‧모임, 사회적 행사의 참석 횟수가 줄었다”의 수준분포 ··· 352 〈표 10-30〉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자신의 문제를 가족 밖의 관계를 통해서 해결한다”의 수준분포 ··· 352 〈표 10-31〉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지역사회의 정보를 알게 되어 이용한다”의 수준분포 ··· 353 〈표 10-32〉 중독수준별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지역사회관계의 변화 ··· 353

(13)

〔그림 5-1〕 전국의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률 변화추이 ··· 149

〔그림 5-2〕 성별 인터넷 이용률 ··· 150

〔그림 5-3〕 성별 인터넷 이용자 구성비 ··· 151

〔그림 5-4〕 자료 정보 검색 분야 ··· 162

(14)

第 1 章 序 論

1.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연구의 필요성 ― 정보화 수준이 급속하게 향상되면서 한국가족의 생활영역에 다양한 변화 를 초래하고 있음. ∙ 가족원의 정보이용 접근도를 높여 지리적 및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게 함. ∙ 가정에서 많은 경제사회활동을 수행함으로 가족생활을 양적 및 질적으 로 풍요하게 함. ∙ 청소년을 비롯한 가족원의 정보접근의 용이성으로 불건전한 정보에의 무차별적 접근, 가족과의 대화단절, 인터넷 중독, 자살사이트 등장, 주 부일탈행위 등의 양상이 나타남. ∙ 사이버공간상의 음란, 외설, 폭력 등의 저질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가속화 될 전망임.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보화 수준의 향상으로 도래한 사이버 시대에 있어서 한국 가 족생활의 긍정적 및 부정적 변화실태를 파악하고 대책을 강구함으로써 가 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음. ∙ 사이버 시대의 도래가 가족생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 지‧발전시키고,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임. ∙ 사이버 시대에 한국 가족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부정적 영향을 파악

(15)

하고 원인을 규명하여 이를 개선하고 극소화 할 수 있는 개인, 가족, 그리고 사회의 역할을 강구하는 것임.

2.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연구내용 ― 「사이버 시대」관련 개념 및 이론적 관점과 주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시 사점을 도출함. ∙ 사이버 시대에서의 가족구성원 및 가족생활에 미치는 제반 영향에 초점 을 둠. ∙ 특히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 중독을 중요하게 다룸으로써 사이 버 문화 확산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세심하게 살펴봄. ― 사이버시대의 도래현황을 파악함. ∙ 사이버시대의 도래현황은 기존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시계열적 변화를 분 석함. ∙ 인터넷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체적 이용내용을 포함함으로 가족생활에 얼마나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지 파악하고 향후전망을 예측함. ― 사이버 문화의 확산에 따라 나타나는 가족생활의 다양한 양적 및 질적 변 화내용을 관찰함. ∙ 긍정적 측면의 변화는 지속될 수 있도록, 부정적 측면의 변화는 그 원 인과 대책을 강구함. ― 인터넷 중독의 실태 및 중독가족의 가족생활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인터넷 중독자들의 가족생활의 양적 및 질적 내용변화를 규명함. ― 사이버 문화의 확산에 따라 나타나는 가족생활의 다양한 양적 및 질적 변 화를 규명한 기초자료에 의하여 대응방안을 모색함. ∙ 사이버 시대의 도래에 의한 가족의 생활변화의 순기능적인 측면을 극대 화하고 역기능적인 면은 극소화함으로써 가족생활의 질적 향상을 기함.

(16)

□ 연구방법 ― 선행연구 및 정책동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기존문헌을 고찰함. ∙ 특히 주요 인터넷 사이트 및 문헌을 통하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정책 동향을 파악함. ― 두 가지 유형의 실태조사를 실시함. ∙ 「사이버 시대의 가족생활변화실태조사」는 일반가구를 대상으로 전화조 사에 의함. ∙ 「인터넷 중독실태조사」는 PC방을 이용하는 개인을 대상으로 전문조사 원에 의하여 직접면접조사의 형태로 실시함. ― 전문가 및 관계자와의 정책자문회의와 간담회를 실시함. ∙ 학계 전문가 및 관련단체 관계자와의 정책자문회의를 통한 의견수렴. ∙ 정보기기를 즐겨 이용하는 일반시민 등과의 간담회를 통하여 개별 가족 의 다양한 가족생활의 변화양상을 실제로 살펴봄으로써 변화를 이해함.

3. 硏究의 制限點

□ 본 연구를 위하여 실시된 두 가지 유형의 실태조사는 연구예산의 한계로 다 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질 수밖에 없었음. ― 「사이버 시대의 가족생활변화 실태조사」는 전화조사를 통해 실시하였기 때문에 정보의 획득에 한계를 가짐. ∙ 조사방법론상 전화조사는 질문항이 제한적이기 때문임. ― 「인터넷 중독실태조사」는 조사대상인 PC방 및 PC방 이용자가 전국을 대 표하는 표본을 갖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님. ∙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PC방에 국한 되었다는 점. ∙ PC방 이용자는 조사기간동안 조사원이 해당업소를 방문하는 시간에 이 용하는 사람 중 571명에 국한되었다는 점. □ 본 연구의 초점인 사이버 시대 도래로 인한 가족생활변화는 6개 영역, 전체 25개 지표를 활용하였음.

(17)

― 각 영역에서의 개별지표간, 타 영역의 개별지표간의 가중치가 적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지표의 중요성이 동일하게 다루어졌다는 제한점을 가짐.

第 2 章 「사이버 時代」 관련 主要 槪念 및 理論的 觀點

1. 主要 槪念

□ 사이버(cyber)와 사이버 스페이스(cyber space)

― 사이버 스페이스(cyber space)란 “장소와 물질에 기반한 현실세계와는 달 리 컴퓨터 네트워크 속에 존재하는 공간 아닌 공간”으로 규정함.

∙ 사이버 스페이스의 속성은 접속성, 익명성, 편집성, 조작성, 복합성, 중 층성, 신속성, 동시성, 탈공간성, 가상성, 초현실성 등임(Loader, 1997; 김 문조, 2000 재인용).

□ 가상(virtual)과 가상공간(virtual space)

― 가상(virtual)이란 ‘사실상 그렇지 않으나 마치 ~인 듯한’을 의미하는 기술 적, 철학적 용어임.

― 가상공간(virtual space)은 사이버스페이스(cyber space)라는 말과 같은 뜻으 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차적으로는 실재하는 공간과 대립되는 시뮬레이션 된 공간을 지칭함.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 가상현실이란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진 시각, 청각, 촉각의 멀티미디어 경 험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강조됨. ∙ 이용자의 온몸 행동이 컴퓨터로 생성된 의미들과 결합하여 단일 현전을 날조해 낼 때인 ‘인공현실’ ∙ 이용자가 스크린 위의 마우스를 이리저리 움직여 건물 속으로 들어갈 때인 ‘상호작용성’

(18)

∙ 이용자가 3차원으로 애니메이트된 세계를 볼 수 있게 하는 투구형 디스 플레이를 썼을 때인 ‘몰입’ ∙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하나의 가상세계에 들어갈 수 있는 ‘망으로 연결된 환경’ ∙ 로봇이 실제 세계 속에서 거리상 멀리 떨어져 있는 이용자의 대리인에 게 영향을 미치는 동안 이용자는 가상세계 내에 현전하고 있다고 느끼 는 ‘원격현전’ □ 정보화 사회와 정보사회 ― 정보화 사회에 대한 최초의 개념화는 1968년 동경에서 개최된 ‘일본 및 미국의 미래학자 심포지엄’에서 후기산업사회를 ‘정보화 사회’라 명명하자 는 일본학자의 제안을 받아들임으로 시작되었음. ∙ 당시의 일본사회는 아직 본격적인 정보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과도기적 상황이었기 때문에 정보사회라고 하지 않고 정보화 사회라고 지칭하게 되었음. ― 현재 정보수준을 감안할 경우 한국 사회는 정보화 사회이기보다는 정보사 회라고 보는 것이 적절함.

2. 主要 理論的 觀點

□ 사이버 공간에 대한 이론적 시각 ― 사이버 공간을 보는 시각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 ∙ 기술과 사회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기술을 우선시하는 미래주의와 기술 결정론 ∙ 상대적으로 사회를 중시하는 사회구성주의와 정치경제학적 접근 ∙ 현대사회에서의 기술과 문화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탈근대주의와 탈구조 주의 등 ― 탈근대주의자들은 오늘날의 시대는 개인이 불안정하고 다중적인 측면을 보이는 파편화, 탈신비화의 시대라고 주장함.

(19)

― 사이버 공간을 제대로 이해하고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함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이 요구됨. ∙ 기술과 사회간의 관계는 정치‧경제적 개념 또는 사회‧문화적 개념만으 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양자를 모두 포괄하는 것이어야 함. ― 정보사회와 사이버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평 가해 볼 수 있음. ∙ 하나는 정보기술이 사회변동에 미치는 방향으로 낙관론과 비관론의 측 면이고, ∙ 다른 하나는 그러한 사회변동의 깊이로서 연속론과 단절론의 측면임. ― 사이버 공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공간 기술이 가지는 제 약과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 □ 사이버 공간과 사이버 문화의 특성 ― 사이버 공간의 탈체현과 정체의 비가시성(invisibility)의 매체적 특성을 가 지며 시공간적 축약과 확장의 특성을 가짐. ∙ 탈체현(disembodiment)과 신체적 신호의 빈곤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인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 ∙ 대면적 상호작용에서 발견되는 단서나 기호의 많은 것이 탈각됨으로써 익명성의 유지가 가능해짐. ∙ 신체의 직접적인 관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이버 공간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현실공간에 비해 크게 감소되어 멀리 있는 사람들간에 도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 □ 인터넷 이용자의 새로운 심리학적 양상 ― 익명성을 배경으로 인터넷에 ID를 만들어 사이버 자기(cyberself)가 생성됨 으로 인하여 현실에서의 자기로부터 개인이 분화되고, 이 분화가 왜곡되 면 자기분절(self-fragmentation)과 같은 현상이 나타남. ∙ 이러한 현상이 바로 현실에서의 정체성 위기(Identity crisis)를 불러일으

(20)

키는 계기가 됨. ∙ 정체성 변화의 기본배경으로 인터넷이 지니고 있는 기술적 속성과 문화 적 속성으로 인해 익명성이 보장되고, 이는 심리적, 행동적 영향을 불러 일으키는 강력한 요인이 됨. ― 인터넷 이용자의 새로운 심리학적 양상인 억제해제효과는 사람들이 인터 넷을 통한 대화나 정보전달에서 억제가 해제되고, 자기노출(self-disclosure) 이 더 빈번하다는 것임. ∙ 억제해제 효과는 탈개인화(deindividuation)의 결과로 보는 견해와 사회적 신호에 대한 감소된 지각(reduced social cues)을 들어 설명을 하는 견해 가 있음. ∙ 사회적 대상이 실재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억제해제효과가 달라진 다는 주장과 자기지각은 공중적인 면과 사적인 면에서 이루어지는데 억압해제효과는 공중적인 면의 자기지각 감소와 사적인 면에서의 자기 지각 상승의 결과라는 주장 등이 있음. ∙ 익명성에 기반한 억제해제효과는 사이버 공간을 혼란스럽게 하는 원인 이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이것이 감정방출의 효과도 있다는 주장도 있음. ∙ 억제해제효과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범죄를 설명하는 이론적 기반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 인터넷은 거대한 연결망이라는 특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익명성의 억압해 제 행동이 퍼져나가거나 실명의 정서적 위로가 군집을 형성하게 되는 등 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침. ∙ 물리적인 접촉없이 정신적, 정서적 유대를 바탕으로 한 ‘우리 의식 (we-feeling)’이 생성됨에 따라 현대사회의 보완수단인 동시에 위협수단 으로 개인을 더 원자화시키고 분절화된 공공영역의 모습을 강화시킴.

(21)

3. 槪念 및 理論的 觀點의 示唆點

□ 보편화된 인터넷 이용에 의하여 사이버 스페이스라는 가상의 공간은 인간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 한국 사회에서 인터넷 이용자는 급증되고 있고, 가족생활에서의 인터넷의 위력은 점차 확대되고 있음. □ 물리적 접촉이 없이 이루어지는 사이버 공간을 통한 강한 연결망의 구축은 고립화된 현대인에게 매우 잘 어울리는 네트워크의 형성이라고 할 수 있음. ―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정서적 지지를 받으며 공동체로서의 일체감을 느 끼게 될 수도 있음. ― 반면에 개인을 더욱 고립화시키고, 폐쇄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음. ∙ 이러한 측면의 영향은 집단적 일탈행동의 요인이 될 수도 있으며, 가출 의 공모, 자살 또는 살인의 충동 및 모의 등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나 타나고 있는 심각한 병리적 현상이라 하겠음. □ 결국 인터넷을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개인, 가족, 사회에 그 영향이 어 떠한지, 얼마나 큰지가 판명될 것임. ― 이는 인터넷의 적절한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 사하는 것임.

第 3 章 「사이버 時代」 관련 國內‧外 先行硏究

1. 사이버 時代의 家族變化

□ 가족의 전반적 변화 ―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의 보편화 등과 함께 한국의 가족형태, 가족생활, 가족관 계 등의 측면에서 더욱 분화되고 다양화된 모습으로의 변화를 낳게될 것임.

(22)

∙ 정보화는 개인의 자율성과 개성을 최대한 보장해 주는 가족형태로서 독 신이나 동거, 무자녀 가족을 선호함. ∙ 특정한 취미, 문제, 목적, 이해관심 등을 공유하는 동호인들간의 결속을 지지함으로써 동성애가족 및 공동체가족의 형성을 촉진할 것임. ∙ 일터와 가정의 통합, 남자의 가사노동 참여, 일상적 대화방식이 변화 등 을 통해 이미 구성된 가족의 전형적인 생활양식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임. □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 가족’ 출현 ― 사이버스페이스란 장소와 물질에 기반한 현실세계와는 달리 컴퓨터 네트 워크 속에 존재하는 공간 아닌 공간으로 규정할 수 있음. ∙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시간적’으로는 동시적이고 ‘공간적’으 로도 옆에 있는 것처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함. ∙ 통신수단을 통한 가족들간의 긴밀한 접촉의 가능성은 ‘사이버 가족’이 라는 새로운 가족형태의 출현을 예고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 가사 및 가족행사의 감소 ― 온라인 뱅킹 및 온라인 쇼핑, 원격영상결혼‧장례‧제사, 원격영상인사, 원 격영상진료, 원격교육, 원격회의, 원격근무 등과 같은 정보기술의 도입으 로 인한 새로운 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음. ∙ 인터넷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소비자와 생산자를 직접 연결하는 온 라인쇼핑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수용의사가 높았음. ∙ 원격투표나 원격영상진료, 원격교육, 원격근무 등과 관련해서도 수용의 사가 높았음. ∙ 전통적인 생활양식의 경우 정보기술에 의해 대체되는 것에 대한 국민들 의 거부감은 높았으나 저연령, 고학력일수록 수용의사는 상대적으로 높 아 전통적 생활양식의 변화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음.

(23)

□ 가족관계의 변화 ― 가정에서의 정보화 자동화 추세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 및 가족원간의 유대강화가 ‘신가족주의’(neo-familism)의 도래함에 따라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는 견해가 있음. ― 인터넷 이용자들의 사회생활이 비이용자보다 더 활력있고, e-mail 이용이 일부 이용자들에게는 커뮤니케이션을 증가시켰다고 함. ― 가상공간에서의 지나친 몰입으로 인한 가족, 친구 및 다른 사람들과의 대 인 접촉의 기회감소의 부정적인 면이 있음. ― 새로운 정보매체의 이용이 익숙한 젊은 세대와 그렇지 못한 기성세대간의 문화단절로 인한 부모―자식간의 대화단절, 상호공감대의 축소 등의 부정 적인 면이 있음. □ 가족생활시간의 변화 ― 가정(80.2%)에서 주로 컴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컴퓨터에 의한 가족생활 의 변화를 초래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남. ∙ 특히 10~20대의 저연령층에서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감소하는 비율이 높 은 것을 감안하면 대화시간 감소의 정도는 점차 커질 것으로 예측됨. ― 인터넷 이용자들은 대체로 일상생활을 구성하는 각 활동시간이 다소 감소 한 것으로 평가됨. ∙ 특히 TV 시청시간은 타 활동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많이 감소한 반면, off-line 교제 및 모임참석에 소요되는 시간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평가됨. ∙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 비해 TV 시청시간 및 수면시간이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감소하였음. ― 인터넷에서 많은 시간을 보냄에 따라 이용자들이 일상적으로 사람들과 어 울리는 시간은 줄며, 이로 인해 인터넷이 사회적 고립을 유발하고 있었음.

(24)

2. 사이버 時代 主要 家族員 逸脫問題

― 컴퓨터‧인터넷에 의한 음란표현물의 유포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에게 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우리 사회는 청소년들에게 인터넷이 보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주요 가 족원의 일탈을 조장할 가능성이 높아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 인터넷을 통한 음란채팅은 음란표현물 못지 않게 성적 일탈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음. □ 자녀일탈 ― 인터넷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에게 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 하는 미디어는 청소년들의 성규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큼. ∙ 최근에는 모바일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성인정보서비스까지 등장하여 청 소년의 접촉경로는 점차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임. ∙ 한국사이버감시단의 조사결과는 청소년들이 컴섹과, 화상채팅을 매개로 한 원조교제, 사이버 매매춘 등의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줌. □ 부모일탈 ― 2001년 7월 1일자 연합뉴스에는 여성전용 커뮤니티 사이트 ‘순이(www. sooni.com)'에서의 온라인 설문 결과에 의하면 다음과 요약 됨. ∙ 전체의 56%가 애인이나 남편이 있으면서도 채팅을 한 경험이 있고, 이 중 약 40%가 상습적으로 채팅을 즐기고 있다고 보도하여 음란채팅의 해악이 지대함을 보여 줌. ∙ 따라서 인터넷으로 인한 부부갈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부부간의 대화가 감소되고, 자녀, 가사 등에 대해서도 무관심해져 가정불화를 조장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고 함.

(25)

3. 사이버 時代의 精神健康

□ 인터넷과 정신건강 ― 인터넷 중독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심한 우울증세를 나타내고 있음이 많 은 선행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음. ― 실제생활에서 대인관계에 부적응하는 사람들이 낮아진 자아 존중감을 회 복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의 대인관계에 중독되는 경향이 있음. ∙ 인터넷을 통해 가족생활과 사회생활에서의 대인관계 적응능력이 훈련될 수 있다면 인터넷은 쉼터, 재훈련기관으로서의 긍정적 역할이 가능할 것임. ― 인터넷의 이용은 자신의 컴퓨터에 매달리게 하고 익명의 낯선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함으로 사회적 단계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사회적으로 고립을 야기시킴. ∙ 특히 인터넷의 이용이 가상공간에서의 느슨한 관계가 이루어지면서 외 로움이나 불만족을 유발함으로써 더 많은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고 함. ― 인터넷은 익명성과 표현의 자유로 인해 내면의 공격성을 표출할 수 있는 좋은 공간임. ∙ 실제로 현실에서 공격성이 낮고 내면을 억압하고 있는 사람들이 인터넷 상에서는 자신의 공격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인터 넷에 빠져들게 됨. □ 정신의학측면에서의 인터넷 이용자의 병리적 반응 ― 선행병리가 잠재되어 있는 사람들이 인터넷의 여러 속성과 결합되어 병리 적 행동을 유발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임.

∙ 인터넷 중독 혹은 병적 인터넷 이용(pathological internet use)은 충동조절 장애(impulse-control disorder)나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로 분류하는 경향이 강함.

(26)

∙ 현상학적으로 인터넷 자체에의 몰입, 과다한 강박적 이용 ∙ 인터넷이 현실생활에서의 병리적 혹은 비적응적 행동을 유발하거나 연 관되게 하는 경우 등

4. 先行硏究의 示唆點

□ 정보화 또는 사이버 시대와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사이버문화의 확산 이 모든 가족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에게 미치 는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둠. ― 이는 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일탈행동 이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임. □ 정보화 기기를 잘 이용하면 유용한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큼. ― 가정에서 업무가 이루어지고, 가사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인터넷이 담당하 며, 공간을 극복할 수 있는 등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 정보화 시대의 가속화는 이를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잘잘못이 가려질 것임. ― 문명의 이기로서 적절히 이용될 것인지 아니면 개인, 가족, 그리고 사회에 해를 주는 수단이 될 것인지는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다고 하겠음. ∙ 특히 산업화, 서구화, 개인주의화와 함께 급속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 가족에게 있어서 정보화의 확산은 더욱 더 빠른 속도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 ―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적극적인 자세와 함께 정보이용의 잘못된 태도를 시정하는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임.

(27)

第 4 章 「사이버 時代의 家族生活變化 實態調査」 應答者의

諸 特性

1. 應答者의 家口特性

□ 응답자의 전반적 가구특성 ― 「사이버 시대의 가족생활변화 실태조사」의 응답가구의 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응답가구는 대도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44.2%, 2세대부부가족이 69.9%로 가장 많았음. ∙ 가구주의 특성은 남자(94.2%)가, 60대 이상의 연령(41.3%)이, 고등학교 학력소지자(39.6%)가, 유배우자(91.1%)가, 사무직(29.6%)이 가장 높은 비 율이었음. □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가구특성 ―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가구특성을 인구사회학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이 요 약할 수 있음. ∙ 여자가구주는 대도시 지역(6.2%)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었음. ∙ 가구주의 연령은 농촌은 60대 이상(51.6%)이, 대도시는 40~50대(49.0%) 가, 중‧소도시의 경우에는 30~50대가 비교적 넓게 분포되어 있었음. ∙ 가구주의 교육수준은 도시와 농촌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가구주 의 결혼상태는 큰 차이가 있지는 않았음. ∙ 응답자가구의 주관적 생활수준의 경우 상층은 대도시(14.1%)가, 하층은 농 촌지역(13.6%)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소도시는 중층 비율이 높았음. ∙ 가구유형은 모든 지역에서 2세대 부부가족이 72.3~76.9%로 가장 비율 이 높았으나, 농촌거주 가구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3세대 이상 및 기타 가족의 비율과 1세대 가족의 비율이 높았음. ∙ 가구주의 직업은 대도시와 중‧소도시는 사무직과 서비스‧판매직이, 농 촌지역의 농‧어‧축산업이 가장 많았음.

(28)

2. 應答者의 人口社會學的 特性

□ 응답자의 전반적인 특성 ― 「가족생활변화 실태조사」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응답자의 거주지는 가구주와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대도시지역이 44.2%로 가장 많았음. ∙ 성별로는 남자(48.9%)가, 연령은 20~30대(48.2%)가, 학력은 고등학교 학 력소지자(39.4%)가, 직업은 전업주부(27.3%)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특성 ―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특성을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성별 거주지역은 대도시와 중소도시는 여자(51.3%, 54.5%)가, 농촌은 남 자(54.5%)가 많았음. ∙ 연령별 거주지역은 대도시와 중소도시는 20~30대가, 농촌은 30대가 많 았음. ∙ 교육수준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는 고등학교 학력소지자(40.2%), 농촌 은 중학교 이하의 학력소지자(40.0%)가 많았음. ∙ 결혼상태별로는 대체로 유배우가 많았으며, 직업은 전업주부가 많았음.

第 5 章 컴퓨터‧인터넷 普及 및 利用 行態

1. 컴퓨터의 普及 및 利用 行態

□ 컴퓨터 보급 및 이용 행태 ― 전체 가구의 컴퓨터 보유율은 1997년의 29.0%에서 2002년 60.1%로 불과 5년 만에 두 배 이상 급증하였음.

(29)

∙ 따라서 100가구 당 컴퓨터 보유대수는 1997년의 30.0대에서 2002년에는 67.1대로 증가함. □ 컴퓨터 이용인구 ― 6세 이상 인구 중 컴퓨터 이용률은 2001년 58.7%, 2002년 63.0%로 증가하 였음. ∙ 성별 컴퓨터 이용률은 여자(56.5%)보다는 남자(69.6%)가 높았고, 연령이 젊을수록 컴퓨터 이용률이 높음. ― 본 연구를 위한 󰡔사이버 시대의 가족생활변화 실태조사󰡕의 전체 응답자 중 컴퓨터의 이용률은 70.3%이었고 가구주의 자녀가 이용률이 가장 높은 95.5%를 보였음. ∙ 반면에 그 외의 가족원은 56.7~59.1%의 상대적으로 낮은 이용률을 보 였음. □ 컴퓨터의 이용장소 ― 컴퓨터 이용장소는 ‘집’이 87.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회사’ 41.4%, ‘PC 방’ 14.3%, ‘학교’ 6.7%, ‘기타 장소’ 1.6% 등으로 나타났음. ∙ 대부분의 가족원이 ‘집’에서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자녀의 경우 는 25.6%가 ‘PC방’에서 이용하고 있었음. ∙ 남자(84.6%)보다는 여자(90.2%)가 ‘집’에서 많이 이용하였음. ∙ 연령이 낮을수록 PC방에서 컴퓨터 이용을 많이 하는 분포를 보였으며, 10대의 30.5%가 PC방에서 이용하고 있었음. □ 컴퓨터 이용시간 ―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는 응답자의 51.9%가 1시간~5시간 미만을 이용하 고 있으며 다음으로 1시간 미만의 이용자가 37.5%인 것으로 나타났음. ∙ 이밖에도 5시간~10시간 미만을 이용하는 경우도 8.9%나 되었으며, 10 시간~15시간 미만 이용자도 1.6% 있었음. ―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는 응답자는 하루 평균 2.56시간 컴퓨터 또는 인터

(30)

넷을 이용하고 있었음. ∙ 이는 전년도 실태조사 결과(약 2시간)보다 약간 증가된 수준임. □ 컴퓨터 이용용도 ― 컴퓨터의 이용용도는 인터넷 96.1%, 자료 및 정보관리 50.0%, 게임‧오락 49.6%, 그리고 문서작성 47.7% 등의 순이었음. ∙ 남자가 여자보다 각 용도별 이용률이 높은 양상을 보임. ― 컴퓨터의 이용용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PC통신이나 게임‧오락은 농어촌지역이, 인터넷은 도시지역이 높은 이용 률을 나타냄. ∙ 연령에서 10대는 교육학습 59.8%, 문서작성 60.5%의 높은 이용률을 보임. ∙ 게임‧오락은 미혼인 경우 61.4%, 중학교 이하의 학력소지자 74.7%의 높 은 이용률을 보임. ∙ 직업별로는 전문직‧관리직은 자료 및 정보관리(80.6%)가 높은 이용률을 보임.

2. 인터넷 普及 및 利用 行態

□ 인터넷 보급현황 ― 인터넷 보급을 인터넷 접속방식과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에 의해 파악하 였음. ∙ 컴퓨터 보유가구 중 전화모뎀과 기타 방식에 의한 인터넷 접속은 각각 9.1%, 0.2%에 불과한 반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가구 는 76.6%나 되었음. ∙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가구는 읍‧면부보다는 동부에서,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전문관리직 종사자일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인터넷 이용인구 ― 인터넷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인구도 급

(31)

증하여 2002년 6월 현재 25,650천명으로 58.0%의 이용률을 나타냄. ∙ 시‧도별 인터넷 이용인구는 서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경기도의 순 으로 나타나 인구의 비례에 의한 당연한 결과로 판단됨. ― 성별 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자수는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에게 있어서도 현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따라서 인터넷 이용에서의 성별차이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보접근에 있어서의 성별격차를 불식시키는 주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됨. ― 인터넷 이용률은 젊은 연령층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 2002년 6월 현재 6~19세의 이용률은 90.6%로 가장 높았고, 50대 이상에서는 불과 9.6%이 었음. ∙ 이와 같은 인터넷 이용률의 연령별 격차는 세대간의 정보차이를 초래하 고 가족구성원간의 관심사가 상이할 것으로 사료됨.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가족생활의 변화와 관련하여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됨. ― 교육수준별 인터넷 이용률은 학생의 인터넷 이용률이 일반인보다 현저하 게 높았음. ― 종사직업에 따라 인터넷 이용률은 현저하게 차이가 났음. ∙ 인터넷 이용률은 학생이 9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사무직 종사자 (81.2%), 전문관리직 종사자(80.9%) 등의 순이었음. □ 인터넷 이용 사이트 ― 전체 응답자(1,417명) 중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은 불과 3.2%이며 주로 ‘정보검색’(86.2%) ‘이메일’(82.5%)을 이용하고 있었음. ∙ 2002년 정보화실태조사에서 게임‧오락 60.6%, 전자우편 59.5%으로 나타 난 것과는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임. ― 인터넷 사이트 이용률은 대도시가 98.5%로 가장 높았으며, 농촌이 92.2% 로 낮았지만 지역간 차이가 6.3%포인트라는 것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정

(32)

보접근도에 있어서 지역격차가 매우 적음을 보여주었음. ∙ 농촌지역 거주자가 대도시 및 중‧소도시 거주자 보다 채팅, 쇼핑, 게임‧ 오락 등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높았음. ― 인터넷 이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남자 2.0%, 여자 4.6%로 성별에 따라 다 소의 차이가 나타났음. ― 결혼상태별로는 미혼층이 타 집단과는 다른 특성을 보였음. ∙ 미혼층은 ‘이메일’ 95.2%, ‘정보검색’ 92.2%, ‘다운로드’ 78.7%, ‘엔터테 인먼트’ 78.5%, ‘게임‧오락’ 72.6% 등이 이용 사이트 중 높은 비율을 보 이는 특징을 나타냈음. ― 연령별 인터넷 사이트 이용률은 10대가 가장 높은 98.4%이었으며 연령이 높아지면서 이용률은 다소 감소되어 60대는 87.5%로 나타냈음. ∙ 전체적으로 각 연령대에서 게임‧오락의 인터넷사이트 이용률이 높은 것 은 특징적인 것임. ∙ 10대와 20대는 이메일의 이용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정보검색이었으며, 30~60대는 정보검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이메일이었음. ― 가구주와의 관계에 의한 인터넷사이트 이용률은 자녀가 99.1%로 가장 높 았으며, 이메일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음. ∙ 다음은 가구주 본인, 배우자 등의 순이었으며, 정보검색과 이메일을 주 로 이용하고 있었음. ― 교육수준에 따라서 이용사이트의 유형이 상이하게 나타났음. ∙ 학력이 높을수록 ‘뱅킹’과 ‘성인물’ 사이트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음. ∙ 학력이 낮을수록 채팅’과 ‘게임‧오락’ 사이트 등의 이용률이 높았음. ―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응답자가 농‧어‧축산업에 종사하 는 경우(11.5%)로 가장 높았음. ∙ 학생인 경우 특히 전체 응답자의 분포 보다 다운로드 84.2%, 엔터테인 먼트 82.8%, 게임‧오락 78.8%, 동호회 50.8% 등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사이트로 나타났음. ― 주관적 생활수준별, 가족유형별로는 전체분포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

(33)

으며 각 구분에 따른 집단 간 두드러진 차이는 없었음. □ 인터넷의 주 이용장소 ― 인터넷 이용자의 인터넷 주이용 장소는 2002년 6월 현재 가정이 76.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회사 16.0%, PC방 3.6%, 학교 2.0%의 순이었음. ∙ 이는 가정부문에서 컴퓨터 보급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초고속 인터넷 이용이 쉬워졌기 때문으로 판단됨. ∙ 따라서 향후 인터넷의 주 이용 장소는 가정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에 대한 적절한 이용에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됨. □ 인터넷 이용시간 및 이용빈도 ― 최근 인터넷을 이용하는 시간은 주당 5~11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심지어 하루 4시간 이상인 31시간 이상을 이용하는 경우도 다소 있었음. ∙ 이와 같은 결과는 2002년 6월의 주당 평균 이용시간 11.8시간보다 1.7시 간이 증가한 것임.

3. 컴퓨터‧인터넷의 普及 및 利用 行態의 示唆點

□ 무선인터넷을 향후 이용할 것이라는 비율이 70.5%인 점으로 미루어 보아 앞으로 인터넷에 의한 가족생활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므로 보다 깊은 관심이 요구됨. ―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의 특성에 따라 인터넷의 보급 및 이용 행태는 차이가 있어 가족생활에의 영향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상이할 것으 로 사료됨. ∙ 이는 가족간의 정보차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한 가족 내에서도 가족 원간의 정보차이를 야기시켜 가족원간의 이해부족과 세대차이를 부추 기고 가족갈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음. □ 인터넷의 적극적 활용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다 른 한편으로 유익하지 않은 정보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어 우려됨.

(34)

― 인터넷 이용내용은 학업 및 업무 관련 정보검색, 생활정보, 여가 및 취미 활동 등 삶의 질과 관련된 정보획득에 기여를 하고 있음. ― 인터넷 이용장소가 PC방도 다소 있어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인터넷정보의 차단이 쉽지 않다는 것은 대책강구의 필요성을 시사함. □ 컴퓨터‧인터넷의 이용에 대한 접근도 제고와 적절한 사이트 내용 및 이용시 간의 절제가 필요함. ― 이를 위하여 정부차원의 지원과 가족원의 상호노력이 있어야 할 것임.

第 6 章 사이버 時代의 家族生活變化

1. 家族生活變化 測定의 領域 및 測定方法

□ 가족생활변화의 영역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시대의 가족생활변화를 가족문화, 가계경영, 가족관 계, 건강생활, 생활시간, 그리고 지역사회관계의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 여 살펴봄. □ 가족생활변화의 측정방법 ― 6개 영역의 변화내용 측정을 위하여 25개 지표를 가족생활변화의 수준을 5점 척도인 Likert Scales(매우 아님, 아님, 그저 그럼, 그럼, 매우 그럼)에 의하여 측정하였음. ∙ 그러나 이들 지표는 동일한 수준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음. ∙ 따라서 6개 영역간의 중요성은 각 영역의 지표수에 따르게 되는 결과를 가져 본 연구에서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음. ∙ 특정 영역 및 지표의 중요성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 본 연 구에서 채택한 동등한 가치의 인정은 최선책이라고 하겠음.

(35)

2. 家族生活 變化樣相

□ 가족문화의 변화 ― 가족문화영역의 컴퓨터‧인터넷 이용후의 생활변화는 네 가지 지표에 의해 파악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컴퓨터 또는 인터넷의 이용후 가족문화의 변화 는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분명히 나타나고 있음. ∙ 부부간에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은 늘었다는 비율이 32.4%이었음. ∙ 집안 일도 부부가 나누어야 한다는 생각으로의 변화가 30.7%이었음. ∙ 부모-자녀간 각자 자신만의 시간‧영역이 늘었다고 응답한 경우는 46.0% 이었음. ∙ 부모‧친척에게 직접 방문하는 일이 줄어든 경우는 17.6%이었음. ― 컴퓨터 또는 인터넷의 이용증가와 함께 이러한 변화는 더욱 촉진될 것으 로 전망됨.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의 부부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의 증가는 지역 과 연령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음. ∙ 전체 응답자의 32.4%가 부부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이 증가하였다 고 응답함으로써 부부공유시간 및 대화시간의 감소 등으로 부부간의 유대관계, 나아가서는 전체 가족의 유대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을 시사함. ― 컴퓨터‧인터넷을 이용한 이후 ‘집안 일도 똑같이 부부가 나누어야 한다는 생각이 늘었다’에 대해서 가구주 본인(32.6%), 남자의 비율이 높았음. ∙ 지역별로는 농‧어촌 보다 도시에서,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집 안 일의 부부공동 분담에 대한 생각이 증가했음. ∙ 그러나 이는 고연령층이 저연령층보다 부부간의 가사 공동분담에 대해 근대적 사고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 젊은 층의 경우 집안 일은 부부간의 공동 분담해야 한다는 의식이 상당 히 많이 자리잡고 있어 특별히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후 변화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지기 때문임.

(36)

∙ 전체적으로 볼 때,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집안 일도 부부가 공동으로 분담해야 한다는 생각이 30.7%나 되었음. ∙ 따라서 컴퓨터‧인터넷 이용으로 인한 영향이 부정적으로만 작용하는 것 이 아니라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있어서의 긍정적인 태도변화도 기대할 수 있을 것임.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부모-자녀간에도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이 늘 었다’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46.0%가 (매우)그렇다고 응답하였음. ∙ 부부간의 각자 자신만의 시간과 영역의 증가(32.4%)보다 비율이 더 높 은 것임. ∙ 따라서 컴퓨터‧인터넷 이용이 부부에 비해 부모-자녀간의 대화시간 감소 와 그에 따른 유대관계의 약화 등으로 부모-자녀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욱 높음을 의미한다고 하겠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으로 인해 응답자의 17.6%가 부모나 친척을 직접 방 문하는 기회가 줄었다고 응답함. ∙ 응답자의 특성별로는 가구주의 자녀일 경우(22.8%), 중‧소도시의 거주 자, 남자(19.9%), 10대(23.8%), 미혼(22.4%), 그리고 학력이 낮을수록 부 모‧친척을 직접 방문하는 일이 줄었다는 비율이 높았음. □ 가계경영의 변화 ― 가계경영 영역의 컴퓨터‧인터넷 이용후의 생활변화는 네 가지 지표에 의 해 파악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가전제품, 식료품, 의류 및 서적 등을 인터넷으로 구입이 늘었다는 비율 이 41.0% 이었음. ∙ 은행 및 신용카드 관련 일을 인터넷 상에서 해결한다는 경우가 30.2% 로 높았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계의 소비지출이 증가되었다는 경우는 22.2% 이었음. ∙ 인터넷 상에서 부업을 하거나 얻은 정보에 의하여 가계소득이 있는 경

(37)

우는 7.6% 이었음. ― 가계경영영역에서의 변화는 지표에 따라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으므로 이 에 대처하는 방안이 상이할 것으로 판단됨. ∙ 인터넷 구매, 은행 및 신용카드의 인터넷 상에서의 이용 등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영역에서의 기술개발이 더욱 요구됨. ∙ 그렇지만 우리 사회에서 사이버 상에서의 가계소득획득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고, 재택근무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됨.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전제품, 식료품, 의류 및 서적 등을 인터넷으로 구입하는 정도는 거주지역, 연령, 교육수준, 응답자 직업에 따라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은행 및 신용카드 인터넷 상에서 해결하는 비율은 가구주 본인과 배우자가 높았으며, 인터넷 뱅킹을 활용하는 비율은 남녀 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음. ∙ 또한 대도시 지역(32.3%)`이 중‧소도시(30.2%) 및 농‧어촌(24.3%)보다 높 았으며 20~40대 연령층에서, 유배우인 일반가정이, 교육수준이 높을수 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은행 및 신용카드 관련 일을 인터넷 상에서 해결 하는 정도는 가구주와의 관계, 거주지역,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응 답자 직업, 가족유형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음. ― 인터넷 상에서 부업을 하거나 얻은 정보에 의하여 가계소득이 있다는 비 율은 인터넷 쇼핑이나 인터넷 뱅킹과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상당히 낮은 비율이었음. ∙ 동 비율은 가구주와의 관계에서 가구주 본인과 가구주의 자녀인 경우 높았고, 남자(9.5%)가 여자 응답자(5.5%)보다, 중‧소도시지역(8.4%)이, 20 대 연령층이 높았으며, 결혼상태에 따른 동 비율은 미혼과 유배우인 일 반가정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인터넷 상에서 부업을 하거나 얻은 정보에 의하 여 가계소득이 있는 정도는 가구주와의 관계, 거주지역, 결혼상태, 응답

(38)

자 직업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계의 소비지출이 증가하였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가구주와의 관계에서 가구주 본인과 자녀가 높았고, 남자 응답자(23.8%), 대도시지역(23.0%), 20대~40대 연령층(40대: 25.4%, 30대: 23.7%, 20대: 23.6%)에서 높았음. ∙ 이는 가계경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정도와 컴퓨터‧인터넷의 접근이 높은 경우에 따라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지역 간의 컴퓨 터‧인터넷 보급 및 이용률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보여짐.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계의 소비지출이 증가했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가구주 와의 관계, 거주지역, 교육수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음. □ 가족관계의 변화 ― 가계관계 영역의 컴퓨터‧인터넷 이용후의 생활변화는 다섯 가지 지표에 의해 파악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컴퓨터 이용을 둘러싸고 가족(자녀)과의 갈등이나 다툼(28.9%)이 가장 큰 가족관계의 변화로 파악되었음. ∙ 이외에도 가족원간의 대화가 감소한 경우는 19.8%, 가족원의 가사참여 감소 14.8%, 가족원간의 친밀감 감소 13.2%로 다양한 가족관계상의 변 화를 주고 있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원간에 대화가 많이 감소한 경우는 전체 응답 자의 19.8%가 (매우)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를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됨. ∙ 가구주와의 관계별로는 자녀의 경우(20.9%)에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음. ∙ 성별로는 남자가, 그리고 지역별로는 중‧소도시가 대도시나 농촌보다는 높은 비율을 보였음. ∙ 연령별로는 10대(23.5%)가 가족원간에 대화가 많이 줄었다에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원간에 친밀감이 감소하였다’에 (매우)그렇다

(39)

고 응답한 사람은 13.2%로 다른 가족관계 지표의 변화에 비해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음. ∙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는 가구주와의 관계에서 자녀일 경우 변화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음. ∙ 성별로는 남자가, 지역별로는 중‧소도시(16.3%)가, 컴퓨터‧인터넷 이용 후 가족원간에 친밀감이 감소하였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 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가족원간에 친밀감이 감소하였다는 비율은 비록 낮게 나타났지만 향후 컴퓨터‧인터넷의 이용이 증가할 경우 가족원간 의 친밀도에 있어서 부정적인 변화가 지속될 것임을 보여주는 것임. ― 컴퓨터‧인터넷 이용으로 인한 가족원의 가사 일에 대한 참여가 감소하였 다는 응답은 14.8%이었음. ∙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는 자녀일 경우 가장 높은 비율(18.4%) 을 보였음. ∙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지역별로는 도시보다는 농‧어촌에서 가족원 의 가사 일에 대한 참여가 감소하였다는 비율이 더욱 높았음(대도시: 13.8%, 중‧소도시: 15.2%, 농‧어촌: 16.5%).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컴퓨터 이용을 둘러싸고 가족(자녀)과의 갈등이나 다툼이 늘었다는 비율은 28.9%이었음. ∙ 가구주의 배우자(30.3%), 자녀(29.4%), 본인(26.4%) 순으로, 그리고 성별 로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높은 비율을 보였음. ∙ 지역에 따른 비율은 대도시가 중‧소도시나 농‧어촌 보다 높았음. ∙ 연령별로는 10대의 응답자(46.6%), 유배우자(29.8%),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원간의 갈등이나 다툼이 증가했다는 비율은 낮아져 반비 례 현상을 보였음. ― 컴퓨터‧인터넷 이용후 ‘배우자가 가정생활에 충실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 지 여부를 유배우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전체 응답자의 4.5%가 (매우) 그렇다고 응답하였음.

참조

관련 문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연 령( F=4.. 타난 결과가 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므로 주관적 건강

그러나, 이 변화는 역설적으로 시간을 통해 보존되는 통일성을 전제하는 것이다... 다발이론에 대한 반론1: 변화 속

강한 AI 는 단순한 컴퓨터가 아니라 프로그램된 컴퓨터 정신이라 는 것이 깃든 AI 를 말한다.. 인간의 사고와 같이 컴퓨터

성별에서 남자는 35.. 9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진료회피에는 있는 경우가 12. 6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하지만 소일형 여가문화소비는 자기정체성강화에서처럼 대인 관계강화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세대에 따른 대인관계강화를 구체적으로

71로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간기능상태 및 혈청지질대사상태 를 나타내는 AST,ALT,r-GTP,TG,Totalchol esterol ,LDL 및 HDL은 골다공증

분석결과를 보면 유형 유형 유형 유형 등에서는 전체 표본에서와 같이 직업훈련비에 대한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값을 가지고 있다 이 점에서

<표-7>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사회적응의 차이의 결과를 살펴보고 결과에 따른 논의를 하고자 한다.본 연구에서는 성별,연령,직업,월 소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