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어 보문소의 특성과 동사유형별 보문구조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영어 보문소의 특성과 동사유형별 보문구조1)"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영어 보문소의 특성과 동사유형별 보문구조

1)

신효수2)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문제점

Ⅲ. 보문소의 의미특성과 변형규칙

Ⅳ. 보문절의 유형에 따른 의미차이

Ⅴ. 결론

◁ 목차 ▷

1) 이 논문은 필자의 석사 논문(신효수, 1994)의 일부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2) 조선간호대 조교수

(2)

<Abstract>

Complement Structures of Verb Types and Properties of Complementizer in English

Shin, Hyosoo

The object of this subject is to indicate the critical point of formal analyses about complement phenomena in English and to explain more persuasively about complement structures in English by introducing technical analysis methods. Chap. 2 indicates the examination of precedence study about complements and point at issue. Chap. 3 examines the semantic properties of complementizers regarded as meaningless till now based on the theories of Wiezbicker(1988), Driven(1989) and Dixon(1984) and so on. Chap. 4 explains semantic differences in case a predicate has two complementizers or over and the fact that meanings are different if forms are different. But this paper cannot explain the reason why some complementizers can be combined because of some features of verbs or why there are sementic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complements. This is because this paper intends to explain complement structures with only the semantic features of verbs.

<Key Words>

c

omplement phenomena, complement structure, complementizers, sementic differences, sementic features.

(3)

Ⅰ. 서론

언어연구의 기능론은 형식론과 달리 언어가 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형식이 아니라, 언어는 근본적으로 의 사소통의 도구라고 주장한다. 즉, 언어는 화자와 청자가 어떤 의 사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체계인 것이다. 따라서 기능론 에서는 연구의 관심이 어떤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언어적 표현 형태가 사용되느냐에 관여하는 모든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 다고 본다. 의사 소통과정에서 언어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무엇보 다도 중요한 것은 의미인 것이다. 이것은 의사소통이 기본적으로 화자가 자기의 의사를 청자에게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 므로 모든 언어 구조는 화자가 전달하려고 하는 의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 a. I find that this chair is uncomfortable.

b. I find this chair to be uncomfortable.

c. I find this chair uncomfortable.

이와 같이 보문절의 형태가 각각 다르게 사용된 것은 결코 자 의적인 것이 아니라 화용상 의미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Borkin, 1973). 즉, ‘의자가 불편하다’는 사실을 어떻게, 또 어느 정도 직접 적으로 찾아내었느냐에 따라 표현 형태가 달라진다고 한다. (1a) 의 경우는 화자가 어떤 의자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읽고서 할 수 있는 표현이고, (1b)는 화자 자신이 어느 의자에 대한 평가 조사 를 하면서 할 수 있는 표현이다. 마지막으로 (1c)는 화자 자신이 어느 특정한 의자를 직접 사용해보고서 하는 표현이다.

이처럼 언어 연구의 기능적 분석 방법에서는 형태가 다르면 의

(4)

미가 다르다는 전제하에서 언어 구조를 분석한다. 그리고 기능문 법 이론의 또 하나의 특징은 영어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소는 추상적이나마 의미특성이 있다. 따라서 영어 보문 표현에 쓰이는 보문소들(complementizers)3)도 의미특징이 있음을 상정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능론적 입장에서 즉, 보문 구조는 의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전제하에서 영어보문 에 대한 여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보문에 대한 선행연구 중 Rosenbaum(1967), Bresnan(1970), Paul Kiparsky & Carol Kiparsky(1970)의 이론을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는 적어도 보 문구조의 연구에 있어서는 통사적인 설명만으로는 부족하고, 의미 적인 측면이나 화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보문구조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설명을 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지금까지 별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해온 보문소 의 의미특성을 Wiezbicker(1988), Driven(1988), Dixon(1984) 등의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한다.

제 4장에서는 한 술어가 두 개 이상의 보문소를 취할 경우의 의미차이를 설명하여 형태가 다르면 의미가 다르다는 사실을 보 이고자 한다.

제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 정리한다.

Ⅱ. 선행연구의 문제점

3) 보문소(complementizer)라는 용어는 Rosenbaum(1967)이 최초로 사용하였으며, 보문을 도입하는 요소를 말한다. Rosenbaum은 ‘that, for~to, poss-ing, when, why, where, how, what'과 'if, whether'를 보문소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for~to와 결합되는 보문에만 연구를 제한하겠다.

(5)

변형생성문법이 발전하면서 이전의 전통문법에서 이루어졌던 용어와 개념을 달리 사용하게 된 것이 상당히 많이 있다. 그 중에 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전통문법 속에서는 접속사 (conjunction)로 분류되어 설명되던 범주들이 변형문법에서는 접 속사와 보문소로 구별되어 보문소는 전혀 달리 설명되고 있으며 문장의 설명에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전통문법에서 등위접속사(coordinating conjunction)로 쓰이던 것은 변형문법에서도 그대로 접속사로 쓰였으나 종속접속사 (subordinating conjunction)로 쓰이던 것과 전에는 접속사로 쓰이 지 않았던 일부 어휘들이 보문소라는 전혀 새로운 용어로 대체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법에서 부정사만을 다루기로 한다.

1. Rosenbaum(1967)

Rosenbaum(1967)은 Chomsky(1958)가 제안한 동사보문(verb complement)과 명사화(nomilization)4)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고 이들을 통합하여 보문구조를 분석한 최초의 변형문법 학자이다.

그는 관계절과 접속문을 제외한 모든 매립문을 보문으로 보고 이 를 다시 NP보문과 VP보문으로 나누어 Chomsky가 명사화라 부 르는 것을 NP보문이라 하고, 보문화라고 부르는 것을 NP보문과 VP보문으로 나누었다. 그는 NP보문과 VP보문은 내부구조 (internal structure)가 아닌 문장의 교점(node)에 대해서 가지는 관계에 따라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NP보문은 NP교점에 의해서 직접 지배되는 매립문이라고 했다. 이 두 보문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수동태 검증(passive test), 유사 분열문 검증

4) Chomsky(1958)는 동사보문(verb complement)을 취하는 동사와 명사화 (nomilization)를 취하는 동사를 구별하고 있다. 그는 이 두 구조를 가정하면서 그 차이는 동사 보문화는 술어에 나타나는 반면에 명사화는 주어 위치에 나타 난다는 것이다.

(6)

(a)They wanted him to go.

(b) To prove the theorem is difficult.

(c) The proving of the theorem is difficult.

(d) John's proving the theorem was a surprise.

위의 4문장 중에서 Chomsky(1958)에 의하면, (a)문장에서 to go는 술 어의 위치에 나타났기 때문에 동사 보문화라고 하고, (b), (c), (d)에서는

주어의 위치에 나타났기 때문에 명사화라고 했다. 그러나

Rosenbaum(1967)이후 (a), (b), (c), (d) 모두 보문 구조로 분석한다.

(pseudo-cleft test), 그리고 외치 변형 검증(extraposition test) 을 들고 있다. 그는 이 세 가지 검증을 적용시켜서 문법적인 문장 이 도출되면 NP보문이 되고, 비문법적 문장이 도출되면 VP보문 이라고 한다. 먼저 수동태 검증을 보자.

(2) a. Bill prefers to stay here.

b. To stay here is preferred by Bill.

(3) a. I tend to think slowly.

b. To think slowly is tended by me.

예문 (2)에서는 수동태 변형을 했을 때 문법적인 문장이 도출되 므로 ‘to stay here’는 NP보문인 반면에, 예문 (3)에서는 수동태 변형을 했을 때 비문법적인 문장이 도출되므로 ‘to think slowly’

는 NP보문이 아니라 VP보문이라는 것이다. 다음은 유사 분열문 검증의 경우를 보자.

(4) a. I hate you to do things like that.

b. What I hate is for you to do things like that.

(7)

(5) a. We tempted you to stay right here.

b. *What we tempted was for you to stay right here.

예문 (4)에서는 유사 분열을 시켜도 문법적인 문장이 되므로

‘you to do things like that’은 NP보문이지만 예문 (5)에서는 유 사 분열 검증을 했을 때 (5b)처럼 비문법적 문장이 생성되므로

‘you to stay right here’는 NP보문이 아니라 VP보문이다. 다음은 외치 변형 검증의 경우를 보자.

(6) a. That the doctor came at all surprise me.

b. It surprised me that the doctor came at all.

(7) a. I defy for you to do things like that very much.

b.*I defy it very much for you to do things like that.

예문 (6)에서는 외치 변형이 적용되어도 (6b)에서처럼 문법적인 문장이 도출되므로 ‘that the doctor came at all’은 NP보문이지 만, 예문 (7)에서는 외치 변형을 시킬 경우 비문법적인 문장이 (7b)처럼 생겨남으로 ‘for you to do things like that very much’

는 NP보문이 아니라 VP보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수동변형, 외치 변형, 유사 분열문 변형 등을 적용할 때 생기는 여러 문제점 때문에 Rosenbaum은 NP보문과 VP보문의 구별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Rosenbaum의 보문에 대한 분석 은 논의의 여지가 많지만 그가 최초로 보문에 대한 정의를 재정 리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보문 연구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보문 유형에 따른 의미차이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Rosenbaum은 that, for∼to, -‘s ing가 동일한 심층구조에서 도 출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유형의 보문이 의미적으로 동

(8)

등한(equivalent)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의 예를 보자.

(8) a. It may not distress John that Mary sees his relatives.

b. It may not distress John for Mary to see his relatives.

위의 예문 (8)에서 보문소 that가 사용된 (8a)문장은 Mary가 John의 친척을 만난다는 전제가 있지만 보문소 for∼to가 사용된 (8b)문장에서는 그러한 전제가 없으므로 두 문장 사이에는 의미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Rosenbaum은 각각의 보문소가 가지는 의미나 그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또 (8a, b)두 문 장의 심층 구조를 하나로 똑같이 설정했기 때문에 두 문장 간의 의미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2. Bresnan(1970)

Rosenbaum이 각 보문소 사이의 의미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반 면에 Bresnan은 상위 동사나 술어의 특성이 보문자 선택에 영향 을 끼치고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한 예의 증거로 그녀는 다음과 같은 예문을 들고 있다.

(9) a. They decided that their children were happy.

b.* They managed that their children were happy.

c.* They decided for their children were happy.

d. They managed for their children were happy.

e.* They decided their children’s being happy.

f.* They managed their children’s being happy.

Rosenbaum의 방식대로 각 보문에 대한 공통의 심층구조를 설 정하고 변형에 의해서 표면구조를 유도해 낸다면 (9b. c. e. f)의

(9)

문장들이 왜 비문이 되는지를 설명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Rosenbaum은 이러한 보문소의 선택을 변형규칙에서 도입할 것이 아니라 심층구조에 넣자는 구절 구조 가설(phrase structure hypothesis)5)를 제안한다. 보문소 범주안에 ‘that. for∼to, ’s ing’

뿐만 아니라 ‘who, what, which, where, when’ 등 WH로 시작하 는 의문사, 그리고 ‘as, than’등을 포함 시키고 이러한 보문소들은 모두 그 고유한 의미가 있으며, 또 그 의미가 각기 다르므로 각각 의 심층 구조를 갖도록 구절 구조 규칙을 설정해야한다는 주장이 바로 그것이다. 그녀는 보문소를 심층 구조로 표시하기 위하여 ‘S

→ COMP S’라는 구절 구조 규칙을 설정했다. 그리고 어떤 술어

가 어떤 보문소를 취할 것인가는 술어의 하위범주화

(subcategorization)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예문 (9a)에서 동사

‘decide‘는 ’that’보문소를 취하므로 [+_ _ _ _ that]로 하위범주화 되고, 예문 (9b)에서는 동사 ‘manage’가 보문소 ‘for∼to’와 결합하 므로 [+ _ _ _ _ for∼to]로 하위범주화되어 어휘부에 표시될 것 이다. 이러한 Bresnan의 주장은 Rosenbaum의 분석 방법보다 발 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각 보문소 사이의 차이를 인정한 점이다. 그러나 차이가 있음만 인정했지 어떻게 구체적인 의미차 이가 잇고 그러한 의미차이가 각 보문소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5) Bresnan(1970:297-321)은 Transformation hypothesis 대안으로 phrase structure hypothesis를 제안했다. 전자는 보문소들이 별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모두 하나의 동일한 심층 구조에서 변형에 의하여 표면 구조에 삽입 되는 경우를 말하고, 후자는 보문소들이 각각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상 위 술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심층 구조에 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PS Rule을 설정하는 경우를 말한다.

_

S → COMP S

COMP → for∼to, -‘s ing, that ...

(10)

를 밝히지 않았다.

둘째, 보문소의 선택에 술어의 의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 정한 점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관련성은 알 수 없는데 그 까닭은 보문절에 관여된 모든 다른 요소를 배제하고 오직 통사적인 사실 만 갖고 관련성을 찾으려 한데서 오는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동사는 두 개 이상의 보문소를 취할 수 있는데, 각기 다른 보문소를 취했을 경우 각기 다른 보문유형에 대한 의미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 다음의 예를 보자.

(10) a. I heard that John had slapped his sister.

b. I heard John’s slapping his sister.

위의 예문에서처럼 ‘hear’는 ‘that’보문소도 취할 수 있고, ‘-’s ing’보문소도 취할 수 있으므로 hear는 [+_ _ _ _ that] 로 하위

ing 범주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만으로는 (10a-b)의 의미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 이것은 보문소가 의미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정만 했지 구체 적으로 각 보문소가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를 밝히지 않았기 때문 이다.

3. Paul Kiparsky & Carol Kipasky(1970)

Paul Kiparsky & Carol Kipasky(이후는 The Kiparsky로 부름) 는 영어 보문 구조를 분석하는데 상위 술어를 사실성, 비사실성 (Factive/non-factive) 술어를 감정성, 비감정성 (Emotive/non-emotive)술어로 분류하여 보문의 통어 현상을 상위 술어의 의미와 관련시켜 설명하고자 했다. 먼저 사실성, 비사실성

(11)

술어와 보문구조의 통어 현상을 살펴보자.

사실성 술어란 화자가 보문의 명제를 참인 명제로 전제하고 그 전제에 대하여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나 감정정인 반응을 보여주 는 술어를 말한다. 반면에 비사실성 술어는 보문의 내용을 참인 명제로 전제하지 않고 간접적인 주장이나 개연성을 나타내는 술 어를 말한다. 따라서 사실 보문술어와 결합되는 보문을 화자가 보 문의 명제를 처음부터 사실로 인정하는 반면, 비사실보문 술어와 결합되는 보문은 화자가 그 보문 명제의 사실성 여부에 대해 확 신을 갖지 못한다. 이와 같은 의미적 특성을 근거로 하여 그들은 사실성 술어와 비사실성 술어로 분류했다. 다음 예문에서 사실성 술어보문과 비사실성 술어보문의 의미차이를 생각해보자.

(11) a. It is odd that it is raining. [Factive]

b. I regret that it is raining. [Factive]

(12) a. It is likely that it is raining. [non-factive]

b. I suppose that it is raining. [non-factive]

사실성 술어가 사용된 (11a-b)에서는 화자가 ‘비가 오고 있음’

을 전제하고 그 사실에 대해 자신의 반응을 보이고 있는 반면, 비 사실성 술어가 사용된 (12a-b)에서는 화자는 보문의 명제를 전제 하지 않고 추측이나 개연성만을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위의 예문 (11-12)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사실성 술어 보문과 비사실성 술 어보문은 의미상 차이가 있으므로, 그들은 심층구조를 서로 다르 게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13) a. Factive b. Non-Factive

(12)

NP NP

fact S S

위의 (13a)에서 사실보문의 심층구조에 설정된 두부 명사(head noun) ‘fact’는 보문의 주어가 주절문으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시키 는 역할을 함으로써, Rosenbaum(1967)가 제안한 복합 명사구 제 약(complex NP constraint)규칙을 준수하게 된다. 반면에 비사실 보문의 경우는 두부 명사 ‘fact’가 심층 구조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어 상승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사실 보 문과 비사실 보문의 통사적 차이가 야기된다.

첫째, 사실주의는 주어나 목적어로 ‘fact + that’과 ‘fact + ing’

구문을 가질 수 있으나, 비사실술어는 그러한 구문을 가질 수 없 다.

(14) a. The fact that the dog barked during the night is significant.

b. The fact of the dog’s barking during the night bothers me.

(15) a.* The fact that the dog barked during the night is likely.

b.* The fact of the dog’s barking during the night seems to me.

둘째, 사실술어는 보문 전체를 동명사 구문으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며, 형용사에 ‘-ness’을 첨가시켜 만든 명사를 주어나 목적어 로 가질 수 있으나 비사실주어는 두 경우 모두 불가능하다.

(13)

(16) a. His being found guilty is tragic.

b. The whiteness of the whale is significant.

(17) a.* His being found guilty is sure.

b.* I believe having agreed to the proposal.

셋째, 대부분의 비사실술어는 상승을 허락하나 사실술어는 상승 을 허락하지 않는다.

(18) a. It is likely that he will accomplish even more.

b. He is likely to accomplish even more.

(19) a. It is relevant that he will accomplish even more.

b.*He is relevant to accomplish even more.

넷째, 사실술어는 주어절에서 외치변형(extraposition)이 수의적 으로 일어나지만, 비사실술어인 경우에는 외치변형이 의무적으로 일어나야한다.

(20) a. That there are porcupines in our basement makes sense to me.

b. It makes sense to me that there are porcupines in our basement.

(21) a.*That there are porcupines in our basement seems to me.

b. It seems to me that there are porcupines in our basement.

(14)

다섯째, 사실술어는 여격을 동반한 부정사 보문을 취할 수 없으 나, 비사실술어는 여격을 동반한 부정사 보문을 취할 수 있다.

(22) a. I believe Mary to have been the one who did it.

b.*I resent Mary to have been the one who did it.

여섯째, 사실술어가 있는 문장에서는 부정어 상승이 되지 않지 만, 비사실술어가 있는 문장에서는 부정어 상승이 가능하다.

(23) a. I regret that he can’t help doing things like that.

b.*I don’t regret that he can help doing things like that.

(24) a. It’s likely that he won’t lift a finger until it’s too late.

b. It’s not likely that he will lift a finger until it’s too late.

이제 감정술어와 비감정술어의 의미 특성과 보문 구조와의 관 계를 살펴보자. The Kiparskys(1971)은 술어와 보문 구조의 연관 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실술어와 비사실술어로 분류했을 뿐만 아니라 술어의 의미특성에 따라 감정술어와 비감정술어로 분류했 다. 그들에 의하면, 감정술어란 명제에 대한 진리치나 지식이 아 니라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 모든 술어로 화자의 보문에 대한 주관적, 감정적, 평가적 반응을 나타내는 술어라고 한다.

그들은 감정술어와 비감정술어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첫째, 감정술어는 ‘for∼to‘보문 구조를 취할 수 있지만, 비감정 술어는 이 보문 구조를 취할 수 없다.

(15)

(25) a. It bothers me for John to have hallucinations.

b. I regret for you to be in the fix.

(26) a.*I believe for John to have liked Anselm.

b.*I forced for John to say cheese.

둘째, 감정술어가 That보문을 취할 경우 가상법의 ‘should’가 수의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27) a. I’m anxious that he (should) be found.

b. It’s urgent that he (should) be found.

셋째, 감정술어는 ‘at all’, ‘so’, ‘such’ 같은 감탄 부사를 포함할 수 있지만, 비감정술어는 그렇지 못하다.

(28) a. It’s interesting that he came at all.

b.*It’s well-known that he came at all.

넷째, 감정술어는 ‘as’를 관계대명사로 취할 수 없지만, 비감정 술어는 취할 수 있다.

(29) a.*As is interesting, John is in India.

b. As is well-known, John is in India.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The Kiparskys는 영어 보문을 상위 술어 의미와 관련해서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Rosenbaum(1967)이 나 Bresnan(1970)보다 훨씬 설득력 있게 설명을 하고 있다, 영어 보문 분석을 의미와 연관해서 분석해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 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해볼 수 있다.

(16)

첫째, 사실술어로 분류한 동사 ‘know’의 문제이다. 이 동사는 의미에 따라 사실술어로 분류되었으므로 목적어로 동명사 보문이 나, ‘the fact that’보문을 취해야하고, To부정사 보문을 취할 수 없어야 하는데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30) a.*I know the fact that John is here.

b.*I know John’s being here.

c. I know him to be here.

둘째, 동명사 보문을 사실술어와 결합하고, that보문과 똑같은 심층 구조에서 변형을 거쳐서 생성되므로 양 보문 간에는 의미차 이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의 예문을 보자.

(31) a. That John failed in the exam would surprise us if he knew about it.

b. John’s failing in the exam would surprise us if he knew about it.

세 번째, 비감정술어는 For∼to 보문 구조를 취할 수 없어야 하 는데, 다음 예문처럼 For∼to 구조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32) a. It was unusual for a Victorian lady to earn her own living.

b. It is quite common for the train not to be punctual.

c. For women not to receive the same pay as men, in korea, for the same work is well-known evident thing.

(32a-c)에서 사용된 술어 unusual, quite common, well-known,

(17)

evident 등은 분명히 화자의 주관적, 감정적 평가적 반응과는 무 관한 비감정술어인데 For∼to 구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것 은 모든 For∼to 구조를 감정술어 비감정술어로 이분하여 설명할 수 없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그들이 감정술어 로 분류한 술어가 For∼to구조와 함께 사용될 수 없는 예문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33) a.*We regretted for Mary to fail in the exam.

b.*We resented for Mary to fail in the exam.

c.*We deplored for Mary to fail in the exam.

Ⅲ. 보문소의 의미 특성과 변형규칙 1. To의 의미 특성

변형문법학자들이 주절동사의 의미 특성에 따라 동명사나 부정 사를 보문으로 취하는 것과는 달리, 전통문법학자들은 동명사와 부정사는 근본적으로 별개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았다. to보문 소와 ing보문소의 의미 특성을 설정하는데 참고하고자 한다.

Bolinger(1968)는 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를 가능성 (potentiality)과 구체화(reification)로 보았다. 즉, 부정사는 아직 동작이 실현되지 않은 가능성만을 나타내고, 동명사는 어떤 동작 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는 뜻이다. 이것은 Leech(1971) 의 이론성(theoretical)과 사실성(factual), Quirk, et al.(1985)의 가 능성(potentiality)과 성취(fulfilment), Jespersen(1924)의 미래성 (future)과 과거성(past)이라는 개념과 매우 흡사하다. 다시 말해 서 동명사는 어떤 동작이 구체적으로 실현되었음을 나타내고, 부

(18)

정사는 가능성만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들의 공통적인 견해이다.

이들의 관찰사항이 매우 통찰력 있고, 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다음의 문장을 보자.

(34) a.*He imagine to be blind.

b. He imagined being blind.

(35) He managed to solve the problem.

위의 예문 (34)은 어떤 것을 상상한다는 의미이므로 어떤 일이 아직 실현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므로 동명사는 사용될 수 없고, 부 정사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예문 (35)에서 부정사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가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35)는 그가 문제를 해결했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또 다음의 문장을 보자.

(36) a. He continued to read.

b. He continued reading.

두 문장 모두 행동이 발생했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성과 성취의 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 하기 위해서는 To 보문자와 ing보문소의 기본 의미 특성이 수정 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먼저 To 보문소의 의미는 무엇인 가? Dixon(1984), Wiezbicker(1988) 등에 의하면 To부정사는 목적 과 방향을 나타내는 전치사 To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목적을 나타내는 전치사 To는 어떤 것을 의지를 가지고 성취하기를 원하 는 경우에 사용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To부정사도 원한다는 의미

(19)

가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1.1. To & Wanting

무엇을 하기를 원한다는 것은 화자의 의지, 소망, 의도가 내포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To에 이러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상정 하면 다음 (37)의 문법성과 비문법성을 설명할 수 있다.

(37) a. To be or not to be – that is the question.

b. ? Being or not being – that is the question.

c. ? To know or not to know - that is the question.

(37a)에서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는 화자의 의지가 나타나 있으 므로 To부정사가 적절하므로 문법적인 문장인 반면에, (37b)에서 는 동명사가 사용되어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의미상 어색한 문장이 된다. (37c)에서 어떤 것을 알고 모르는 것이 의지 대로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어색한 문장이다. 다음 (38)의 비문 법성도 (37c)와 똑같은 이유 때문이다.

(38) a.*I decided to know it.

b.*I decided not to know it.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To가 어떤 의지를 가지고 무엇을 하고 자 한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상위문 동사의 의미로 To부정사를 취할 수 있는 동사가 정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1.2. 판단의 To

앞에서 우리는 To부정사가 의지표현의 문장에서 사용될 때 특

(20)

징을 살펴보았다. 이 경우 To부정사 보문은 소망, 바램, 시도, 기 대 등을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아직 실현 되지 않은 어 떤 일을 하기를 바란다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았다.

그러나 모든 To부정사 보문을 이와 같은 To부정사 용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다음의 예문을 보자.

(39) a. I think Susan to be dishonest.

b. I believe John to be a man of integrity.

이들 지각동사 문장이나 사역동사 문장이 수동태 문장으로 전 환되면 To부정사를 사용하는데, 수동태 문장에서는 보문절의 주 어가 주절의 주어자리로 이동하여 보문절이 분리되어 타동성이 약화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편, 상당수의 지각동사와 사역동사 의 능동태 문장이 수동태 문장으로 전환되지 않는데, 이것은 의미 상 타동성이 너무 강해서 보문절의 주어가 그 동사와 분리되지 않으려는 성질 때문이라고 한다. 아래 예문에서 수동태 문장이 허 용되지 않은 것은 타동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겠다.

(39a)의 의미는 ‘나는 Susan이 부정직하다고 생각한다.’이고, (39b)의 의미는 ‘나는 John이 성실한 사람이라고 믿는다.’의 의미 이다. (39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기서 사용된 To부정사는 화 자가 의지를 가지고 어떤 일을 하기를 원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화자가 보문절의 내용에 대하여 개인적인 판단을 하는 경우에 사 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To부정사 용법에 대해서 Dixon(1984)은 판단의 To(Judgement To)라고 하였다. 본 논문에 서도 Dixon의 주장을 받아들여 판단의 To보문을 인정하고, 주어- 목적어 상승(subject-object raising), To be생략 문제를 의미와 관련하여 살펴보자.

(21)

1.2.1. 주어-목적어 상승

Postal(1974)에 의하면 주어-목적어 상승변형을 일으키는 술어 를 B-동사라고 규정하고 상위문의 동사의 의미 특징에 따라 상승 변형이 적용될 수도 있고,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다. 이러 한 관찰 사항은 상승 변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만 충 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상승 변형이 적용되느냐 적용되 지 않으냐는 상위문의 동사 특징 외에도 매립문 주어의 특성, 또 매립문의 동사의 의미 특징이 게재되기 때문이다.

Borkin(1973)에 의하면 that절은 객관적인 사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할 때 쓰이고, 판단의 To부정사 보문은 단순히 주관적인 판 단을 나타내는 반면, To be가 생략된 보문절은 자신의 직접적인 경험에 의한 주관적인 판단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고 하였다. 다 음 예문을 보자.

(40) a. I know Mary to be a Mormon.

b.*I know Lisbon to be the capital of Portugal.

(40a)에서 어느 누가 몰몬교도 이다 아니다 하는 것은 개인적인 판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40b)에서처럼 리스본이 포르투칼의 수도이냐, 아니냐는 개인적인 판단의 문제가 아니라 누구나 공감 하고 있는 공적이고 객관적인 사실이므로 To부정사 보문은 의미 상 적합지 못한 것이다. 또 다음 문장을 보자.

(41) a. I believe that the train is falling.

b.*I believe the rain to be falling.

비가 오거나 그렇지 않음은 객관적으로 판단 할 수 있기 때문 에 (41b)와 같이 표현될 수 없다.

(22)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판단이 To 보문절을 사용하느냐, That절을 사용하느냐는 의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았다.

1.2.2. To be 생략

본 절에서 상승된 To보문절이 To be인 경우, To be가 쓰인 표 현과 쓰이지 않은 표현의 차이를 알아보기로 한다. Borkin(1984) 에 의하면 객관적으로 진위가 가려질 수 있는 사실은 That보문절 로 표현될 수 있으나 To보문절로는 표현되기 어렵다고 하였다.

그런데 To be가 생략되면 전혀 수용할 수 없는 표현이 된다고 한 다. 다음 예문을 보자.

(42) a. In this paper, we noticed that the store was closed.

b.? In this paper, we noticed the store to be closed.

c.* In this paper, we noticed the store closed.

(43) June's track performance proved her agile enough for the big game.

(42)에서는 신문보도를 통해서 정보를 간접적으로 알았기 때문 에 (42a)는 문법적인 문장이지만 To보문절이 사용된 (42b)는 어 색한 표현이며, To be가 생략된 (42c)문장은 완전히 비문법적문장 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43)에서는 June이 뛰는 것을 화자가 직 접 목격하고 이야기 하므로 To보문절도 수용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 To be가 생략된 문장이 문맥상 더 좋은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주관적인 판단이 더 직접적인 경우 to be를 생 략한다고 말할 수 있다.

2. For - To의 의미특성

(23)

생성문법학자들은 For~to보문구조와 to보문구조를 동일 시 하 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Bresnan(1979:79)은 ‘I wish you to be happy'라는 문장의 표층구조는 ’I wish for you to be happy' 라는 심층구조에서 어떤 조건하에서 for가 생략되어 도출된 문장 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두 보문 구조사이에 의미차이가 있다 는 관점에서 볼 때 그의 견해는 정당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모 든 for~to보문 구조가 비슷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for~to와 결합하는 상위문 술어에 따라 약간의 의미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을 알 수 있다. 다음 문장을 보자.

(44) a. I'd be delighted for him to win.

b. I want very much for Peter to be present.

(44a)은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문장이고, (44b)는 의지를 나타 내고 있는 문장이다.

위의 for~to 보문구조를 감정의 for~to, 의지의 for~to로 분류 해서 논의 하고자 한다.

2.1. 감정의 For - To와 주어-주어 상승

Reneˊ Driven(1989:121)는 감정의 For-to문장에서 기본적인 의 미는 사건이나 상태의 가상적 발생(hypothetical occurrence)을 내 포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For-to구조는 가상적인 표현문장에서 선 호된다고 한다.

(45) a. I'd be delighted for you to stay with me.

b. I was delighted for you to stay with me.

(24)

(45a)문장에서는 가상적 법조동사 would가 있으므로 for~to구 조를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45b)문장에서는 보문의 술 어가 과거시제로 사용되어 어떤 일이 실현되었음을 함축하고 있 기 때문에 어색한 표현이 되는 것이다. 여러 학자들이 감정 For~

to문장의 수용성에 이견을 보이고 있지만 그것들이 가상적인 사 건이나 상태표현에 선호된다는 점에 있어서는 의견일치가 되어있 다.

2.2 의지의 For-to

의지 표명자가 명시(specified)되는 경우도 있고, 명시되지 않은 (unspecified)경우도 있다. 전자를 개인의 의지(personal volition) 라고 부르고 후자를 비개인의 의지(impersonal volition)라고 부르 자.

(46) a. I want him to come.

b. I want very much for him to come.

(47) a. I would like you to be there. (*to have been there) b. I would like for you to be there./ to have been there.

(46a)와 (47a)문장들은 보문절의 내용에 대하여 자신감 있는 기 대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에 (46b)와 (47b)문장들은 보문절의 내용 에 대하여 자신감이 결여된 표현이다.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는 동사들은 (long, wish, ask, wait, etc)은 ‘for'가 사용되고, 자신감이 있다는 의미가 내포된 동사들(order, expect, etc)은 To 구조가 사용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25)

Ⅳ. 보문절의 유형에 따른 의미 차이

앞장에서 보문소의 의미특성을 검토하면서 유사한 보문절간의 의미차이를 언급했지만 본 장에서는 To보문절과 That보문절의 의미차이와 To보문절과 ing보문절의 의미 차이를 폭넓게 검토하 여 형태가 다르면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To보문절과 That

Riddle(1975)은 To부정사 보문절은 행동(activity)을 나타내며 that보문절은 정신적, 신체적 상태(mental or physical state)를 나 타낸다고 했다. 본 논문 3장에서 논의해서 To부정사 보문절은 의 지를 가지고 어떤 행동을 수행할 경우에 사용된다. 즉, 어떤 상태 를 인지할 경우에 사용된다고 분석한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 다. 다음 문장들의 의미차이를 보자.

(48) a. Jane pretended to be an acrobat.

b. Jane pretended that she was an acrobat.

(49) a. Jane decided to be a crook.

b. Jane decided that she was a crook.

위의 예문에서 부정사 보문절을 취하고 있는 (a)문장들은 행동 에 대한 어떤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That보문절은 정신적 또 는 신체적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48a)에서는 Jane이 곡예사의 행동이나 모습을 흉내 내는 행동을 수행했다는 의미이 고, 반면에 (48b)에서는 Jane이 마음속으로 곡예사인 것처럼 생각 해 보는 정신적, 물리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26)

Jane이 침대에 누워서 자기가 곡예사인 것처럼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것이다. (49a)에서는 Jane이 사기꾼처럼 행동하기를 결심했 다는 의미로 행동을 내포하고 있는 반면에 (49b)에서는 Jane의 개인적인 특성 즉 Jane이 사기꾼이라는 상태를 기술하고 있는 것 이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절의 동사 의미가 주절동사의 행동 을 서술하고 있으며 To부정사 보문절은 적격문이 되지만 that보 문절은 부적격문이 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50) a. Jane thought to be intelligent.

b.*Jane thought that she was intelligent.

(51) a.*Jane admitted to be a spy.

b. Jane admitted that she was a spy.

(50-51)에서 주절 동사의 의미가 ‘가정하다’, ‘생각하다’, ‘인정하 다’, ‘부정하다,’ 등과 같이 정신적인 상태와 관계가 있다. 그러므 로 행동을 나타내는 To부정사 보문은 부적격문이 되고 정신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that보문절은 적격문이 되는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보문 현상에 대한 형식론적(fornal)분석 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기능적(functional)분석 방법을 도입함으로 써 영어 보문에 대한 보다 설득력 있는 설명을 할 수 있음을 보 이는 것이었다.

형식론에서 보문절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장의 통사 유형에 따

(27)

라 보문의 형태가 결정되는 것을 주시하여 동사 유형별로 몇 가 지 보문의 기저구조를 설정하여 동일명사구 삭제변형이나 상승변 형, 그리고 동사의 하위범주화 방법 등으로 보문에 대한 현상을 설명햇다. 그러나 동사의 어떠한 자질 때문에 어떤 보문소와 결합 할 수 있는지 그 이유를 밝히지 못했고, 보문의 유형에 따른 의미 차이도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했다. 이것은 각 보문소의 의미 특 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사의 자질만으로 보문구조를 설명하려고 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에 사용되는 모든 형 태소는 추상적이나 의미 특성이 있다는 기능 문법 이론에 입각하 여 보문소 To, For~to, That 등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보문 구조를 보문소의 특성과 관련시켜 설명하였다.

보문소 To는 화자의 의지, 소망, 의도가 내포되어 있는 의지의 To와 화자가 보문절의 내용에 대하여 주관적인 판단을 할 경우에 사용되는 판단의 To 로 나누어진다. 한편, 보문소 For~to는 사건 이나 상태의 가상적 발생을 내포하고 있는 감정의 For~to용법과 의지의 For~to용법이 있다.

이와 같이 각 보문소의 의미특성을 감안할 때, 한 술어가 두 개 이상의 보문소를 취할 경우 화용상 의미차이가 있음을 상정할 수 있고 주어-목적어 상승 및 To be생략변형 등이 자의적으로 이루 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문소의 특성 및 주절 동사의 의미자질과 상호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보문현상, 보문구조, 보문소, 의미상 차이, 의미론적 특징

<참고문헌>

신효수(1994). 영어 보문소의 특성과 보문구조.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Bolinger, Dwight. L.(1968). Entailment and the Meaning of Structure.

Glossa 2.2. 119-127.

Borkin, Ann(1973). To Be and not to Be. In Chicago Linguistic Society(ed.).

Papers from the 9th Regional Meeting of the Chicago Linguistic Society. 44-56.

Borkin, Ann(1984). Problems in Form and Function. Norwood, NJ: Ablex.

Bresnan, Joan. W.(1970). On Complementizers: Toward a Syntactic Theory of Complement Types. Foundations of Language 6.

297-321.

Bresnan, Joan. W.(1979). Theory of Complementation in English Syntax. New York/London: Garland.

Chomsky, N.(1958). A Transformation Approach to Syntax. Language 16.

16-49.

Driven, Reneˊ(1988). A Cognitive Perspective on Complementation. In Jaspers(

ed.). Sentential Complementation and the Lexicon(pp. 113-140).

Dordrecht: Foris.

Dixon, Robert. M. W.(1984). The Semantic Basis of Syntactic Properties.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Proceedings 10.

583-595

Jesperson, Otto.(1909-24).(MEG). A Modern English Grammar on Historical Principles. 6 vols. London: George Allen & Unwin.

Kiparsky, Paul, and Carol Kiparsky(1970). Fact. In M. Bierwisch and K. E.

Heidolph(eds.). Progress in Linguistics. 143-173. Hague: Mouton.

Leech, G. N.(1971). Meaning and the English Verb. London: Longman.

Postal. M.(1974). On Raising. Cambridge, MA.: MIT Press.

Quirk, R., Greenbaum, S., Leech, G., and Svartvik, J.(1985).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don:

Longman.

Rosenbaum, Peter S.(1967). The Grammar of English Predicate Complement Constructions. Cambridge, MA: M.I.T. Press.

Riddle, Elizabeth(1975). Some Pragmatic Conditions on

Complementizer Choice. Chicago Linguistic Society Papers 11.

(29)

467-474.

Wiezbicker, Ann(1988). The Semantics of Grammar. Amsterdam: John Benjamins.

투고일 2018/11/23 심사일 2018/11/27 게재확정일 2018/12/14

Name Shin, Hyosoo

Belong Dept. Nursing, Chosun Nursing College.

E-mail hyosooshin@hanmail.net

참조

관련 문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우량 부족이 심화되는 시나리오는 기준 시나리오에 비해 작물의 토지생산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본 시나리오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통추나요법을 처음 시술 받은 후 소감은 만족한다는 응답이 매우 만족한다가 보통이다가 순으로 나타나 가 만족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12&gt;은 기업규모에 따른 인센티브 제도가 조직몰입 요인 중 유지적 몰입에 대한 분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지적 몰입에 대하여

통합학급 경험이 없는 아동들의 &lt;표 Ⅳ-3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우 장애아 동의 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수용태도에서는 신체적 외양과 관련한 수용태도

&lt;표1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4학년 학생들의 설문지 분석 결과 영어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으며 참여도 또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뿐만 아니라 직접·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부재 양단의 각변형을 허용하고 용접초기의 중앙부의 과한 처짐을 방지하여 더 상세한 해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그림 3.12(b)에서 보는 바와

 전지등과 같이 기전력을 가지고 있어 전류를 흘리는 원동력이 되는 것을 전원 (power source)이라고 하며, 전원에서 전기를 받아 전류를 흐르게 하여 어떤 일

조건을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BBC(1996)에서 제작 되어 우리에게 방영된 텔레토비라는 상상의 구조화의 한계가 나타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