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고시대의 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상고시대의 춤"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무용사

(2)

고조선(BC 2333~BC 180)

단군신화

청동기문화를 바탕으로

부족을 통일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8조법 중 3개<한서지리지>

-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 남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는다.

-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노비로 삼되, 용서를 받으려면 50만전을 내야 한다

313년 고구려의 공격을 받아 멸망

(3)

상고시대의 춤

상고사회 춤의 바탕

제천의식과 밀접한 관련

부여(기원전- 494, 예맥족)- 영고(12월)

(4)

고구려-동맹

전부족이 한자리에 모여 국정을 의논하고 시조인 주몽신(朱蒙神), 즉 동명신 (東明神) 등에게 제사 지내는 제천의식. 동맹은 풍년이 들기를 빌고, 풍성한 수확을 주신 하늘에 감사하는 농제(農祭)이기도 하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고구려 나라 읍락(邑落)의 남녀들이 밤에 모여 서로 노래와 놀이를 즐기며 10월에 제천을 하면서 국중 대회를 여는데 그 이름을 동맹이라 한다”.

《후한서(後漢書)》 <동이전>에도 “10월에 제천의식을 가지는데 밤에 남녀 가 모여 창악(唱樂)을 하고 귀신 ·영성 ·사직을 제사하기를 즐겼는데, 그 이 름을 동맹이라 하더라”

(5)

예-무천

예(濊)에서 매년 음력 10월에 행해졌던 제천의식.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10월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밤낮으로 술을 마 시며 노래하고 춤추는데, 이를 무천이라 한다.

(6)

마한-5월제과 10월제

해마다 씨를 뿌린 뒤 5월 수 릿날에 제사.

가을걷이를 하는 10월추수에 감사하는 제사.

(7)

상고시대의 춤

[삼국지] 동이전의 기록

부여에서는 정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국중대회에서 며칠 동 안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는데, 그런 의식을 영 고라고 한다.

(8)

상고시대의 춤

[삼국지] 동이전의 기록

한에서는 늘 5월에 씨를 뿌리고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사람 이 무리를 지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술을 마시면서 밤낮 을 쉬지 않았다. 그 춤은 10여명이 일제히 시작하여 서로를 따 르면서 높고 낮게 땅을 밟기도 하는데, 손과 발이 서로 박자에 잘 맞아 탁무(鐸舞)와 비슷한 데가 있다. 10월에 농사가 끝나면, 5월의 행사 때와 같이 한다.

(9)

♣ 참고

탁무:

탁은 쇠로 만든 원형의 작은 종같이 생긴 타악기.

탁무라는 춤은 탁이라고 하는 쇠로 만 든 악기에 맞추어 추는 무속적인 춤 또는 지금의 농악춤.

(10)

삼국시대의 춤

고구려(기원전-668)

• 고분벽화

• 통구의 무용총, 안악고분 벽화 등

• 문헌기록

• 고구려의 춤으로 지서무, 호선무 및

고려무라는 명칭이 보임

(11)

삼국시대의 춤

[삼국사기] 악지의 기록

고구려의 음악은 [통전(通典)]

에 이르기를 “악공들은 자색 비단 모자에 새깃으로 꾸미고, 큰 소매의 황색 옷에 자색 비 단 띠를 매며, 통 넓은 바지와 붉은 가죽신에다가, 오색의 물 들인 끈을 늘인다. 무용수는 네 사람인데 상투를 뒤쪽에 틀 고, 이마에는 붉은 색을 바르 며, 금귀고리로 꾸민다. 두 사 람은 황색 치마 저고리에 적황 색 바지를 입고 두 사람은 적 황색 치마 저고리와 바지를 입 는데 그 소매가 매우 길었으며, 검은 가죽신을 신고서 쌍쌍이 나란히 서서 춤을 춘다.”

(12)

♣ 참고

통전:중국 역대 제도를 통관(通觀)한 책. 당나라 두우(杜 佑)가 찬(撰)한 것으로, 상고시대부터 당나라 현종 때까 지의 제도를 식화전(재정)·선거전(選擧典;관리 임용)·

직관전(職官典;관제)·예전(禮典;의례)·악전(樂典;악 제)·병전(兵典;병제)·형전(刑典;형법)·주군전(州郡典;

행정지리)·변방전(邊防典;외국)의 9부분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송나라 정초의 《통지(通志)》, 원나라 마단 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와 더불어 삼통(三 通)

(13)

삼국시대의 춤

무용총 벽화

(14)

삼국시대의 악

안악3호분 후실 모사도

(15)

삼국시대의 악

통구 12호 고분

(16)

삼국시대의 악

고산동 10호 고분

(17)

팔청리 산악

(18)

장천 1호분 <백희기악도>

(19)

장천 1호분 <백희기악도>

(20)

장천 1호분 <백희기악도>

(21)

고구려 벽화에 보이는 악기와 춤 사위:

삼실총_ 완함(阮咸)

5호분 4호묘_ 요고(腰鼓)

무용총_ 횡적(橫笛:젓대)

강서대묘_ 대각(大角:쌍나팔)

집안 17호묘_ 각(角:나팔)과 현금(玄 )

장천 1호묘_ 횡취(橫吹)·비파·거문고 (玄琴)·완함·대각·장소(長簫) 등

탄쟁(彈箏)·와공후·비파·적·요고 등, 서역이나 중앙아시아계통 악기

(22)

무용총의 악기

(23)

비파_서역악기, 批把,

인도, 페르시아, 그리스 등, 산스크리트어 바르부, 페르

시아어 바르보트, 고대 그 리스어 바르비톤, 4현 5현

(24)

• 공후_고대 중국·한국·

일본에서 쓰던 발현악 기의 하나. 줄이 공명 통과 횡가 사이에 수 직 혹은 대각선으로

이어져 있다. 일본에서

는 <백제금> 이라고

함.

(25)

요고

(26)

송나라 진양(陣暘)의 『악서(樂書)』

권 125: 요고의 천축 유래 기록.

다마루:

인도의 타악기로 요고(腰鼓)의 일종.

인도 신화에 의하면 시바신은 우 주창조의 무용에서 무리당감과 함께 다마루 사용. 시바 신이 세 상을 파괴했다가 다시 창조할 때 사용.

(27)

고구려의 호선무

수의 문제(文帝)는 집권 초기(581~585) <칠부악(七部樂)> 부터 고려기(高麗伎)가 포함

『신당서』 「예악지」- 당나라 <구부기>와 <십부기>에 고려기(高 麗伎)가 포함

구체적인 종목은 <호선무>

1) 강국에서 수입된 춤- 양탄자 위에서 추는 춤

2) 당나라 연회 기예의 한 종류로 정착된 것은 고려기의 <호선 무>이다. 호인(胡人)이 당나라 현종 때 도는 춤에 뛰어난 여자 기예인을 헌정->먼저 있었던 고려기의 <호선무>와 유사하여

<호선녀>라 칭함. 공 위에 올라서서 바람처럼 회전.

『압부잡록』 “호선무는 작은 공 위에서 춤을 추는데, 이리저리 뛰어 올랐다 내리는데 두 발이 공에서 떨어지지 않아서 절묘하였다.”

(28)

삼국시대의 춤

백제(기원전-660)

중국의 남북조시대에 중국에 진출, 백제군을 설치해 거점으로 활용

중국-백제, 백제-중국-일본을 잇는 중계무역 주도

일본에 불교 전파

단편적인 문헌 기록만 전함

백제사람 미마지가 오나라에서 기악을 배워 일본에 전함.

[삼국사기] 악지의 기록

백제의 음악은 [통전]에 이르기를 “백제 음악은 당 중종(中宗) 시대 에 악공들이 죽고 흩어졌는데, 개원(開元, 713~741) 연간에 기왕 범(岐王範, 비파의 명인)이 태상경(太常卿, 의례와 제사에 관한 일 을 총괄하던 관직)으로 있으면서 다시금 백제 음악을 둘 것을 아 뢰었다. 이 때문에 음률과 기예가 많이 빠지게 되었다. 무용수는 두 사람인데 큰 소매의 자색 치마 저고리를 입고, 장보관(章甫冠)

(29)

『구당서(舊唐書)』에 의하면 넓은 자주빛 바지저고리를 입은 2인이 가죽 구두를 신고 빛나는 장보관(章甫冠)을 쓰고 추는 백제무는 매 우 이색적이었다 한다.

(30)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입제변증 설(笠制辨證說)에 “상(商)나라의 관인데, 우리나라에 그 제도가 남아 사용되었다.”로 기록되어 있어 중국에서 전해진 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현재 박물관에 남아있는 장보관 들은 먼저 종이로 형태를 잡고 그 위에 검은색 모시나 삼베로 배접하여 만들었음.

호남 기호학파의 대학자인 전우 (1841~1922)가 장보관을 착용한 초상화.

(31)

일본 기악(伎樂) 기록

부처를 공양하고 불교를 선교하기 위한 가무(야외)

탈을 쓰고 연행(演行)

풍자와 익살스런 내용을 춤과 몸짓으로 연출

우리의 탈춤과 비교되어 연구

기악(伎樂)이라는 용어는 불교경전뿐 아니라, 고대 중국문헌과 《고려사》등에서도 찾 아볼 수 있음.

(32)

《일본서기(日本書紀)》:

백제의 미마지(味摩之)가 귀화했다.

<오(吳)나라에서 배워 구레노우타마이(伎樂舞)를 출 수 있다>고 했다.

그래서 사쿠라이(桜井)에 살게 하고, 소년들을 모아 구레노우타 마이를 배우게 했다.

이에 따라 마노오비토데시(眞野首弟子), 이마키노아야사이몬 (新漢齊文) 두 사람이 그 춤을 배워 전했다.

(33)

 612년에 백제의 미마지가 오(吳)나라에서 배워 일 본에 귀화 한 후, 다치바나지(橘寺), 시텐노지(四天王 寺 ), 우즈마사지(太秦寺:廣隆寺) 등 여러 절에서 행해 짐

 752년 도다이지(東大寺) 대불개안공양(大佛開眼供 養 ) 때 상연될 정도로 유행

 헤이안시대 중기 이후 점차 빛을 잃어 가마쿠라(鎌

倉 )시대에는 쇠퇴

(34)

• 오늘날에는 시텐노지에서 행하는 사자무(獅子舞)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을 뿐임.

• 기악면(伎樂面)이라 하는데, 현재, 지도(治道)와 사자(獅 子), 고코(吳公) 등 14종류의 가면이 호류지(法隆寺), 도 다이지(東大寺) 등에 전해져 오고 있다.

• 가면만이 남아 있을 뿐 현존하지 않는 기악에 대해서는 13세기에 쓰여 진 일본악서 『교훈초(敎訓書)』를 통해 다 음과 같은 개략적인 내용을 알 수 있다.

(35)

• 《교훈초》의 기악은 여러 인물들이 전후의 연결

없이 등장하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본래의

기악은 출장(出場)하는 인물들이 몇씩 어울려 하

나의 정경을 구성하며, 몇 개의 장면을 연출하는

가면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36)

• 『교훈초』의 기악

• 일본 아악이 연주되고, 미 치유키(道行)가 시작._법회 때, 여흥으로 이루어진 야 외극/가면무용, 가면극을 포함한 행렬. 공양을 겸함.

• 행렬선두_지도(治道), 푸른 색 두건에 붉은색 의상, 깃 발. 길 안내 및 정화

• 악기 연주, 이어서 사자(=

시시) 등장

먼저 사자가 춤을 추는데, 이 사 자는 시시지(師子兒)라고 불리는 미소년이 이끈다.

(37)

• 고코(呉公)가 부채를 들

고 등장하여, 악사를 향

해 피리를 불거나 그치

는 시늉을 하면 악사가

피리를 불거나 그친다.

(38)

• 가루라(迦樓羅)가 나와 빠 른 반주음악에 맞춰 춤을 춘다.

(용을 잡아먹는다는 새의 왕으 로, 불법을 수호하는 상상의 새 )

(39)

• 곤고(金剛)와 바라문

( 婆羅門 ) 이 나와서 승려에 대한 희극적 연 기를 하고

• 금강: 대일여래(大日如來) 의 지덕(智德)이 견고하여 일체의 번뇌(煩惱)를 깨뜨 릴 수 있음을 이르는 말.

(40)

• 곤론(崑崙)은 고조(呉女)

를 사모하는 외설적인 춤을 추고, 리키시가 등장하여 곤론을 항복시킨다.

(41)

• 노녀(老女)차림의 다이

코(太孤)가 아들 둘을

데리고 허리를 밀고 무

릎을 치게 하며 불전(佛

前 )에 예불한다.

(42)

• 끝으로 스이코오(酔胡王)가 등장하여 호인(胡人)의 술 취한 모습을 흉내낸다.

(43)

기악과 한국의탈춤(산대)

한국의 탈놀이 기악

• 옴(막대기 제금)/목중

• 연잎(부채, 총지휘자)

• 팔목중/완보

• 관을 쓴 중(제물로 애사당 유혹)

• 노장(여자로 파계)

• 취발이(불교수호자)

• 샌님(인상무상)

• 신할아버지(생사필멸)

• 타물(打物)/용물(踊物)

• 고코(呉公, 총지휘자)

• 가루라/곤고(金剛)

• 바라문(높은 지위)

• 곤론(파계)

• 리키시(수호자)

• 스이코(무상)

• 다이코후(생사필멸)

• 부토쿠라쿠(武德樂)

(44)

탈놀이의 사회적 의의와 가치:

- 귀신 퇴치

- 신돈(辛旽)과 소무(小巫)의 행세를 비판 - 중국사신 접대

참조

관련 문서

 샌프란시스코, 뉴욕, 보스턴 등 개방적이고 역동적인 미국의 도시들은 다양핚 인종들이 어울려 시너지를 형성... 우리나라

등장인물들이 이야기의 압력하 에서 그들이 선택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따라 본 모습이 드러나고 변화하 는 것이라면, 구조(플롯)는 바로 그 인물들이 선택하고 행동하는

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변천사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세계 수학교육의 사조..  대수와 기하와 물리는 서로 긴밀한 관계가 있으므로 중등학교에서는 이

– MultiAutoCompleteTextView 위젯 : 핚 입력 상자 안에서 여러 개의 항목 들에 대해 자동 완성 기능 제공. • 핚 문자열을 여러 개의

- 방어기전은 금지된 욕구, 죄책감, 무 능력감과 타협(Compromising)하는 하 나의 수단이다.. → 이때 불안은 대개 상징적인 대상으로 옮겨져 있다.. - 부정과

' 삼손의 분수 ‘ 라고 하는 사자 입을 찢는 삼손 조각상을 중심으로 위로 계단식 인공폭포와 신화속의 다양한 인물들이 금빛 조각으로 빛나게

사회는 표준들을 규합하여 규칙을 만들고, 그 규칙에 따라 자본을 축적하는 인간 표 준을 내세운다. ‘축적’과 ‘표준’에 대한 거부에서 백민석의

마치 희랍극의 코러스나 작품 전체의 평자로서 란슬롯이 관계, 약조 그리고 그에 수반하는 선과 악의 문제를 고민한 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다른 인물들이 약조와 관련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