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ERI 경제동향과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KERI 경제동향과 전망"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9 772714 020001 1 1

ISSN 2714-0202

07320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FKI TOWER 46층 전화 : (대표)3771-0001 팩스 : 785-0270

www.keri.org

최근 경제동향 국내 경제전망

KERI 경제동향과 전망

www.keri.org

2021년 1 분기

2021 1분기KERI 경제동향과 전망

(2)

2021년 1분기

KERI 경제동향과 전망

경제동향과 전망 Vol.31-1

(3)

조 경 엽 경 제 연 구 실 실 장 감 수

(4)

< 차 례 >

요 약 ··· v

제Ⅰ장 최근 경제동향 ··· 1

1. 경제성장 ··· 3

2. 수출입(통관기준) 및 경상수지 ··· 11

3. 고용 ··· 17

4. 물가 ··· 20

5. 금리와 환율 ··· 25

제Ⅱ장 국내 경제전망 ··· 27

1. 대외 여건 ···29

2. 2021년 국내 경제전망 ··· 34

차례

(5)

< ii >

< 표 차 례 >

<표 Ⅰ-1 > 주요 산업활동 지표 ··· 9

<표 Ⅱ-1> 세계 경제 전망 ···30

<표 Ⅱ-2> 세계 석유 수급 전망 ··· 31

<표 Ⅱ-3> 해외 주요기관 유가(기준유가) 전망 ··· 32

<표 Ⅱ-4> 전망의 주요 전제 ··· 33

<표 Ⅱ-5> 2021 국내경제전망 ··· 53

(6)

차례

< 그 림 차 례 >

<그림 I-1> 실질GDP 증가율 추이 ··· 3

<그림 I-2> 주요 최종수요 항목별 증가율 추이 ··· 4

<그림 I-3> 부문별 GDP 성장 기여도 ··· 6

<그림 I-4> 산업생산 ··· 8

<그림 I-5> 경기종합지수 ··· 10

<그림 I-6> 수출증가율 및 일평균 수출액 ··· 12

<그림 I-7> 수입증가율 및 일평균 수입액 ··· 12

<그림 I-8> 통관기준 무역수지-수출-수입 ··· 12

<그림 I-9> 주요 지역별 수출증가율 ··· 14

<그림 I-10> 주요 품목별 수출증가율 ··· 15

<그림 I-11> 경상수지 항목별 증감 ··· 16

<그림 I-12> 서비스수지 항목별 증감 ··· 16

<그림 I-13>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취업자증가율 ··· 18

<그림 I-14> 고용률 ··· 19

<그림 I-15> 산업별 취업자 증감(2019 →2020, 평균) ··· 19

<그림 I-16> 주요 물가지수 증가율 추이 ···20

<그림 I-17> 품목성질별 증가율 ··· 21

<그림 I-18>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증가율 ···22

<그림 I-19>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증가율 ···22

<그림 I-20> 주택가격전망 CSI ···23

<그림 I-21> 아파트전세가격 ···24

<그림 I-22> 한 · 미 기준금리와 한국의 시장금리 ··· 25

<그림 I-23> 원/달러, 원/100엔 ···26

<그림 Ⅱ-1> 국제유가 추이 ··· 31

<그림 Ⅱ-2> 역사적 민간소비 증감률(1996~2016) ···34

<그림 Ⅱ-3> 소비자심리지수 ··· 35

<그림 Ⅱ-4> 최근 가계 소득 현황 ···36

<그림 Ⅱ-5> 평균소비성향 ··· 37

<그림 Ⅱ-6> 가계대출 이자부담 추이 ··· 37

<그림 Ⅱ-7> 역사적 설비투자 증감률(1996~2016) ···38

<그림 Ⅱ-8> 제조업 설비투자압력 ··· 39

<그림 Ⅱ-9> 업황전망 ···40

(7)

< iv >

<그림 Ⅱ-10> 역사적 건설투자 증감률(1996~2016) ··· 41

<그림 Ⅱ-11> 건축허가 연면적 증가율 추이 ···42

<그림 Ⅱ-12> 역사적 수출 증감률(1996~2016) ···43

<그림 Ⅱ-13> 수출출하지수(계절조정) ···44

<그림 Ⅱ-14> 역사적 GDP 증감률(1996~2016) ··· 45

<그림 Ⅱ-15> 경상수지 항목별 전망 ··· 47

<그림 Ⅱ-16> 전세가격, 임금총액 ···48

<그림 Ⅱ-17> 수입물가, 기대인플레이션율 ··· 49

<그림 Ⅱ-18> 주요 투자은행의 한국 기준금리 전망 ···50

<그림 Ⅱ-19> 원/달러, 달러 인덱스 ··· 51

<그림 Ⅱ-20> 투자자별 주식 순매수 ··· 52

(8)

요약

2021년 우리경제는 3.4%의 양호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세계경제의 빠른 회복에 따른 수출호조가 경제성장 흐름에 강력한 견인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 인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해 -2.4%의 역(逆 )성장을 기록했던 수출은 주요국 정부의 대규모 경기부양 책 및 적극적인 백신보급의 영향으로 교역량이 증가하며 올해는 수출성장률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단가상승 등 교역여건 이 개선되고, 바이오헬스 같은 비주력 품목의 수출까지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하면서 수출 성장률이 5.1%까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설비투자도 수출호조의 영향으로 견조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 도체 등 IT부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친환경 분야에 대한 투 자 역시 상승흐름이 이어지면서 설비투자는 5% 수준에 이르는 양호한 성장세를 기 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건설투자는 대규모 주택공급 대책의 영향으로 지난해의 역(逆 )성장에서 벗어나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될 것으로 분석됐으나, 여전히 산 재해 있는 건축규제 및 공공재건축에 대한 반발기조로 건설투자 회복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소비는 백신보급 개시에도 불구하고 현실화된 코로나19 재확산 및 장기간 진행되어 온 가계 소득기반 약화, 그리고 급격하게 늘어난 가계부채에 대한 상환부 담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2.2% 성장에 그칠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대비 0.1%p 높은 1.1%를 기록할 전망이다. 경기회복 에 대한 기대감과 국제유가의 회복, 그리고 집세 등 거주비 상승에도 불구하고 기조 적으로 진행되어 온 명목임금 상승률 저하와 코로나19 재확산이 수요에 대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실질적인 물가상승은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 에 그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원·달러환율의 경우, 1,140원으로 달러화 강세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된다. 美연준의 양적완화 기조 지속에 대한 재확인에도 불구하고 불식되지 않는 테 이퍼링 우려, 美인플레이션 가능성 확대 및 예상치를 웃도는 美경기회복세 등의 영 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달러화는 상당기간 강세기조를 지속하게 될 것으로 보 인다.

요 약

(9)
(10)

최근 경제동향

1. 경제성장

2. 수출입(통관기준) 및 경상수지 3. 고용

4. 물가

5. 금리와 환율

제Ⅰ장

(11)
(12)

1. 경제성장

’20년 4/4분기 국내총생산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제약과 심리적 불안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면서 역(逆)성장이 현실화

(’20년 4/4분기, 전년동기비 -1.2%, 전기대비 1.2%)

o 4/4분기 중 전기대비 성장률은 플러스 성장을 유지하였으나,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인 -1.2% 기록하며 마이너스(-) 성장 지속

– 전기비: -0.3%(2019.1/4) → 1.0%(2019.2/4) → 0.4%(2019.3/4) → 1.3%(2019.4/4) → -1.3%(2020.1/4) → -3.2%(2020.2/4) → 2.1%(2020.3/4)

→ 1.2%(2020.4/4)

– 동기비: 1.8%(2019.1/4) → 2.1%(2019.2/4) → 2.0%(2019.3/4) → 2.3%(2019.4/4) → 2.3%(2020.1/4) → -2.7%(2020.2/4) → -1.1%(2020.3/4)

→ -1.2%(2020.4/4)

o 정부의 경기부양 노력이 실물경기 위축을 반전시키기에 역부족인 가운데, 전염병 3차 대유행의 영향으로 역(逆)성장이 현실화

<그림 I-1> 실질GDP 증가율 추이

자료: 한국은행

계절조정, 전기대비 원계열, 전년동기대비 Linear(원계열, 전년동기대비)

0.8 0.7

1.5

-0.1

1.1 0.6 0.6 0.9

-0.3 1.0

0.4

1.3 1.2

-1.3

-2.7 -1.1 -1.2

-3.2 3.1 2.7

3.9

2.9 2.9 3.1

2.4 3.1

1.8

2.1 2.0 2.3 2.3 2.1

-2.0

-3.0

-4.0 -1.0 0.0 1.0 2.0 3.0 4.0 5.0

17.1Q 2Q 3Q 4Q 18.1Q 2Q 3Q 4Q 19.1Q 2 2 3 3 4 4

20.1Q

(단위: %)

(13)

< 4

(최종수요)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는 여전히 전년동기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는 반면, 설비투자와 수출은 대외수요의 개선에 힘입어 회복세를 지속

o 민간소비는 코로나19 3차 대유행 및 소득기반 약화로 전기보다 더 낮은 전년동기 비 -6.5%를 기록하며 부진한 실적을 지속

o 정부소비는 재정지출 확장기조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2.3%를 기록하며 증가 세 지속

o 건설투자는 토목부문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건축부문 부진이 이어지면서 감소폭 확대(전년동기비 -2.5%)

o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의 공격적인 설비증설에 기인하여 기계류가 큰 폭의 증가 세를 나타내면서 전년동기비 5.7% 성장

o 수출은 글로벌 수요의 회복에 힘입어 1.2% 성장하며 개선세를 보이는 모습

<그림 I-2> 주요 최종수요 항목별 증가율 추이

민간소비 정부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

수입(재화+서비스) 수출(재화+서비스)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0.6 1.2 1.0 0.5 1.3

0.3 0.5 0.5 0.1 0.7 0.4

0.7 0.0

-6.5 1.5

-1.5

-6.5 2.1 2.7 3.0 3.3 4.1

3.3 2.7 2.7

1.4 1.8 1.6 1.9

-4.0 -4.4

-8.0 -6.0 -4.0 -2.0 0.0 2.0 4.0 6.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5.0 4.9 1.6

-1.3 4.7

-8.9 -3.3

2.4

-8.5 2.6 1.7 2.6

0.2 -0.5

-2.0 19.6 19.0

17.3 10.7 10.5

-4.4 -9.2

-5.5

-17.4 -7.0

-2.3 -2.0 7.3 10.6

4.1

-20.0 -15.0 -10.0 -5.0 0.0 5.0 10.0 15.0 20.0 25.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4.3

0.7 -0.4 -1.4

1.3

-2.7 -6.9

2.3

-0.7 2.9

-6.4 8.0

6.5

0.5

-1.5

-7.3 10.7 9.6

6.9 3.1

0.8 -2.6

-9.1 -6.4

-8.1 -3.0

-2.7 2.6 4.2

-0.1

-15.0 -10.0 -5.0 0.0 5.0 10.0 15.0

2017.1 2 3 4 2018.1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0.8 1.6 1.8

-0.2 -0.5

2.2

0.4 2.0 2.3

1.1 1.7 1.7 1.8 1.4 1.1

0.2 2.8 3.5

5.0

4.5 5.6

4.2 4.5 4.6

2.3 7.0

5.9 7.2 6.9

6.5 6.8 6.1

-1.0 0.0 1.0 2.0 3.0 4.0 5.0 6.0 7.0 8.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3.3

-2.4 4.4

-4.8 3.7

1.0 4.2

-1.6

-3.1 -3.4

1.2 1.9 4.5 5.4

0.6 -1.4

-16.1 4.1 0.6

5.3 0.1

0.3 4.1

4.0 7.3

0.2 1.2 1.6 3.7 5.6

16.0

-13.0 -20.0

-15.0 -10.0 -5.0 0.0 5.0 10.0 15.0 20.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4.8

-1.0 -2.5

8.1 5.7

1.2 1.6 1.8

-0.2 2.2

0.4 2.0 2.3

1.1 1.7 1.7 1.8 1.4 1.1

0.2 -0.5 3.3 3.5

5.0

4.5 5.6

4.2 4.5 7.0

5.9 7.2 6.9

6.5 6.8 6.1

4.6

2.3

-1.0 0.0 1.0 2.0 3.0 4.0 5.0 6.0 7.0 8.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단위: %)

(14)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0.6 1.2 1.0 0.5 1.3

0.3 0.5 0.5 0.1 0.7 0.4

0.7 0.0

-6.5 1.5

-1.5

-6.5 2.1 2.7 3.0 3.3 4.1

3.3 2.7 2.7

1.4 1.8 1.6 1.9

-4.0 -4.4

-8.0 -6.0 -4.0 -2.0 0.0 2.0 4.0 6.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0.8 1.6 1.8

-0.2 -0.5

2.2

0.4 2.0 2.3

1.1 1.7 1.7 1.8 1.4 1.1

0.2 2.8 3.5

5.0

4.5 5.6

4.2 4.5 4.6

2.3 7.0

5.9 7.2 6.9

6.5 6.8 6.1

-1.0 0.0 1.0 2.0 3.0 4.0 5.0 6.0 7.0 8.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4.8 제Ⅰ장 최근 경제동향

민간소비 정부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

수입(재화+서비스) 수출(재화+서비스)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계절조정, 전기비% 원계열, 전년동기비%

5.0 4.9 1.6

-1.3 4.7

-8.9 -3.3

2.4

-8.5 2.6 1.7 2.6

0.2 -0.5

-2.0 19.6 19.0

17.3 10.7 10.5

-4.4 -9.2

-5.5

-17.4 -7.0

-2.3 -2.0 7.3 10.6

4.1

-20.0 -15.0 -10.0 -5.0 0.0 5.0 10.0 15.0 20.0 25.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4.3

0.7 -0.4

-1.4 1.3

-2.7 -6.9

2.3

-0.7 2.9

-6.4 8.0

6.5

0.5

-1.5

-7.3 10.7

9.6 6.9

3.1

0.8 -2.6

-9.1 -6.4

-8.1 -3.0

-2.7 2.6 4.2

-0.1

-15.0 -10.0 -5.0 0.0 5.0 10.0 15.0

2017.1 2 3 4 2018.1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3.3

-2.4 4.4

-4.8 3.7

1.0 4.2

-1.6

-3.1 -3.4

1.2 1.9 4.5 5.4

0.6 -1.4

-16.1 4.1 0.6

5.3 0.1

0.3 4.1

4.0 7.3

0.2 1.2 1.6 3.7 5.6

16.0

-13.0 -20.0

-15.0 -10.0 -5.0 0.0 5.0 10.0 15.0 20.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1.0

-2.5

8.1 5.7

7.6

-0.7 2.7

-3.8 5.4

-2.2 -0.8 1.0

-3.2 2.9

1.2 0.4

-3.6 -6.7

5.6 2.2 12.6

8.6 8.8 5.6 3.4 1.8

-1.7 3.3

-5.1 -0.2

1.8 1.2 0.9

-8.5 -4.6

-2.8

-10.0 -5.0 0.0 5.0 10.0 15.0

2017.1 2 3 4 2018.1 2 3 4 2019.1 2 3 4 2020.1 2 3 4

(기여도) 내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출이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민간부문의 기여도는 감소하고 정부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모습

o 내수(총소비+총투자): -0.4%(2019.1/4) → 1.3%(2019.2/4) → -1.0%(2019.3/4)

→ 1.4%(2019.4/4) → -2.0%(2020.1/4) → 0.9%(2020.2/4) → -1.7%(2020.3/4)

→ -0.3%(2020.4/4)

– 총소비: 0.1%(2019.1/4) → 0.7%(2019.2/4) → 0.3%(2019.3/4) → 0.9%(2019.4/4) → -2.9%(2020.1/4) → 0.9%(2020.2/4) → 0.0%(2020.3/4)→

-0.8%(2020.4/4)

– 총투자: -0.5%(2019.1/4)→ 0.6%(2019.2/4) → -1.3%(2019.3/4) →

(15)

< 6

0.5%(2019.4/4) → 0.9%(2020.1/4) → 0.0%(2020.2/4) → -1.7%(2020.3/4)→

0.5%(2020.4/4)

– 순수출: -0.1%(2019.1/4) → -0.3%(2019.2/4) → 1.4%(2019.3/4) → 0.1%(2019.4/4) → 0.7%(2020.1/4) → -4.1%(2020.2/4) → 3.8%(2020.3/4)→

1.6%(2020.4/4)

o 민간부문의 기여도는 0.7%로 전분기(2.4%)에 비해 축소, 정부부문 기여도는 -0.3 에서 0.3%까지 확대

(단위: 계절조정 전기비, %p)

<그림 I-3> 부문별 GDP 성장 기여도 내수 및 수출입

민간 및 정부

민간 정부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내수(=총소비+총투자) 수출(재화+서비스) 수입(재화+서비스)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0.6 -1.6

-0.4 -1.0 -2.0

1.4

-1.0 1.5

-1.8 1.4 1.1

0.3 1.6 -0.6

-1.3

0.8 1.9 0.2

-0.8 -6.5 -2.5

0.3

-0.9 1.2

-1.5

0.8 0.4 2.0

1.5

1.3 1.3 1.4

-1.0 -0.4

-0.2

1.5 0.9 0.9 2.4

0.8 0.5 2.1 0.5 1.2 1.5

-0.1

1.0 0.6 0.5

0.9 -0.4

1.0 0.4 1.3

-1.4 -3.2

5.5 2.2

-8.0 -6.0 -4.0 -2.0 0.0 2.0 4.0 6.0 8.0

2017 1 2017 2 2017 3 2017 4 2018 1 2018 2 2018 3 2018 4 2019 1 2019 2 2019 3 2019 4 2020 1 2020 2 2020 3 2020 4 1.9

1.2 -0.3 -0.8 -1.7 -1.7

0.6 0.4 1.3

-0.3

0.9 0.2 0.6

-0.3 0.1 -0.2 0.2 0.4 -1.5

-3.0

2.4 1.2 0.3 0.7 0.2 0.2

0.2

0.3 0.1

0.3 -0.1

1.1 -0.6

1.2 0.2 1.0

0.2

-0.3 -0.3 0.9

0.5 1.5

-0.1 1.0

0.6 0.5 0.9

-0.4 1.0

0.4 1.3

-1.4

-3.2 1.9

-4.0 -3.0 -2.0 -1.0 0.0 1.0 2.0 3.0

2017 1 2017 2 2017 3 2017 4 2018 1 2018 2 2018 3 2018 4 2019 1 2019 2 2019 3 2019 4 2020 1 2020 2 2020 3 2020 4

자료: 한국은행

(16)

2021년 2월 산업생산. 대내외 수요회복에 힘입어 회복세 지속. 장기간 감소세를 지속해 오던 서비스업이 2월 들어 증가세로 전환

o (생산) 광공업은 반도체, 자동차를 중심으로 회복세 지속. 코로나 19 확진자의 지 속적인 증가로 감소세를 지속해 오던 서비스업이 금융·보험을 중심으로 증가세로 전환

– 전체산업생산: (동기비) 1.6%(2020.1/4) → -3.4%(2020.2/4) → -0.5%(2020.3/4) → -1.5%(2020.4/4) → 1.5%(2021.1월) → 0.4%(2021.2월) –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19.7%), 자동차(22.1%) 등 내구재 증가에 힘입어 증가세

지속1)

* 전체 제조업: (동기비) -0.6%(2020.1/4) → -7.0%(2020.2/4) → 4.7%(2020.3/4) → -0.1%(2020.4/4) → 7.7%(2021.1월) → 1.0%(2021.2월) – 서비스업 생산은 코로나19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대면서비스업이 감소세를 지

속하였으나 금융·보험(11.7%)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전체적으로는 0.7% 증가

* 전체 서비스업: (동기비) -1.1%(2020.1/4) → -3.4%(2020.2/4) → -1.7%(2020.3/4) → -2.0%(2020.4/4) → -1.8%(2021.1월) → 0.7%(2021.2월) 1) 다만, 반도체 등 ICT부문을 제외한 제조업 생산은 2월 들어 전년동기비 -2.0% 감소

내수 및 수출입

민간 및 정부

민간 정부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내수(=총소비+총투자) 수출(재화+서비스) 수입(재화+서비스)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0.6 -1.6

-0.4 -1.0 -2.0

1.4

-1.0 1.5

-1.8 1.4 1.1

0.3 1.6 -0.6

-1.3

0.8 1.9 0.2

-0.8 -6.5 -2.5

0.3

-0.9 1.2

-1.5

0.8 0.4 2.0

1.5

1.3 1.3 1.4

-1.0 -0.4

-0.2

1.5 0.9 0.9 2.4

0.8 0.5 2.1 1.20.5 1.5

-0.1

1.0 0.6 0.5

0.9 -0.4

1.0 0.4 1.3 -1.4

-3.2 5.5

2.2

-8.0 -6.0 -4.0 -2.0 0.0 2.0 4.0 6.0 8.0

2017 1 2017 2 2017 3 2017 4 2018 1 2018 2 2018 3 2018 4 2019 1 2019 2 2019 3 2019 4 2020 1 2020 2 2020 3 2020 4 1.9

1.2 -0.3 -0.8 -1.7 -1.7

0.6 0.4 1.3

-0.3

0.9 0.2 0.6

-0.3 0.1 -0.2 0.2 0.4 -1.5

-3.0

2.4 1.2 0.3 0.7 0.2 0.2

0.2

0.3 0.1

0.3 -0.1

1.1 -0.6

1.2 0.2 1.0

0.2

-0.3 -0.3 0.9

0.5 1.5

-0.1 1.0

0.6 0.5 0.9

-0.4 1.0

0.4 1.3

-1.4

-3.2 1.9

-4.0 -3.0 -2.0 -1.0 0.0 1.0 2.0 3.0

2017 1 2017 2 2017 3 2017 4 2018 1 2018 2 2018 3 2018 4 2019 1 2019 2 2019 3 2019 4 2020 1 2020 2 2020 3 2020 4

자료: 한국은행

(17)

< 8

o (소비) 소비는 승용차 등 내구재와 의복 등 준내구재의 판매가 모두 늘면서 전년동 기에 비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

– 전체소매판매: (동기비) -2 .9 % (2020.1/4) → 1.9 % (2020.2/4) → 1.8%(2020.3/4) → -1.2%(2020.4/4) → 0.0%(2021.1월) → 8.4%(2021.2월)

o (투자) 설비투자는 수출증가에 힘입어 기계류를 중심으로 양호한 증가세 지속. 건 설투자는 감소세 지속

– 설비투자: (동기비) 7.0%(2020.1/4) → 6.3%(2020.2/4) → -0.5%(2020.3/4)

→ 2.9%(2020.4/4) → 19.6%(2021.1월) → 7.0%(2021.2월)

– 건설투자: (동기비) 0.3%(2020.1/4) → -4.1%(2020.2/4) → -1.6%(2020.3/4)

→ -5.3%(2020.4/4) → -8.1%(2021.1월) -8.7%(2021.2월)

<그림 I-4> 산업생산

전산업 광공업

2007.1 ~ 2018.12

2019.1 ~ 2021.1

건설업 서비스업

140.000 130.000 120.000 110.000 100.000 90.000 80.000 70.000 60.000

2007. 01 2007. 07 2008. 01 2008. 07 2009. 01 2009. 07 2010. 01 2010. 07 2011. 01 2011. 07 2012. 01 2012. 07 2013. 01 2013. 07 2014. 01 2014. 07 2015. 01 2015. 07 2016. 01 2016. 07 2017. 01 2017. 07 2018. 01 2018. 07

전산업 광공업 건설업 서비스업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2019. 01 2019. 02 2019. 03 2019. 04 2019. 05 2019. 06 2019. 07 2019. 08 2019. 09 2019. 10 2019. 11 2019. 12 2020. 01 2020. 02 2020. 03 2020. 04 2020. 05 2020. 06 2020. 07 2020. 08 2020. 09 2020. 10 2020. 11 2020. 12 2021. 01 p) 2021. 02 p)

(단위: 지수)

(18)

<표Ⅰ-1 > 주요 산업활동 지표

(단위: 전년동월(기)비 %)

2019년 2020년 2021년

연간 연간 4/4p) 1월 2월 1월 2월p)

생산

전산업 1.0 -1.2 -1.5 -0.8 4.8 1.5 0.4

제 조 업 0.5 -0.3 -0.1 -3.2 11.6 7.7 1.0

서비스업 1.4 -2.0 -2.0 0.9 1.3 -1.8 0.7

평균가동률 73.2 71.3 73.8 74.2 70.8 73.2 77.4

소비 소매판매 2.4 -0.2 -1.2 1.6 -2.1 0.0 8.4

투자 설비투자 -5.7 6.0 2.9 -2.2 16.8 19.6 7.0

건설기성 -2.3 -4.1 -5.3 -7.6 3.9 -8.1 -8.7

자료: 통계청

o (경기)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각각 102.9과 99.7를 기록 하며 점진적인 회복세 시현

전산업 광공업

2007.1 ~ 2018.12

2019.1 ~ 2021.1

건설업 서비스업

140.000 130.000 120.000 110.000 100.000 90.000 80.000 70.000 60.000

2007. 01 2007. 07 2008. 01 2008. 07 2009. 01 2009. 07 2010. 01 2010. 07 2011. 01 2011. 07 2012. 01 2012. 07 2013. 01 2013. 07 2014. 01 2014. 07 2015. 01 2015. 07 2016. 01 2016. 07 2017. 01 2017. 07 2018. 01 2018. 07

전산업 광공업 건설업 서비스업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2019. 01 2019. 02 2019. 03 2019. 04 2019. 05 2019. 06 2019. 07 2019. 08 2019. 09 2019. 10 2019. 11 2019. 12 2020. 01 2020. 02 2020. 03 2020. 04 2020. 05 2020. 06 2020. 07 2020. 08 2020. 09 2020. 10 2020. 11 2020. 12 2021. 01 p) 2021. 02 p)

자료: 통계청

(19)

< 10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92.0 94.0 96.0 98.0 100.0 102.0 104.0

106.0 코로나

1995. 01 1995. 08 1996. 03 1996. 10 1997. 05 1997. 12 1998. 07 1999. 02 1999. 09 2000. 04 2000. 11 2001. 06 2002. 01 2002. 08 2003. 03 2003. 10 2004. 05 2004. 12 2005. 07 2006. 02 2006. 09 2007. 04 2007. 11 2008. 06 2009. 01 2009. 08 2010. 03 2010. 10 2011. 05 2011. 12 2012. 07 2013. 02 2013. 09 2014. 04 2014. 11 2015. 06 2016. 01 2016. 08 2017. 03 2017. 10 2018. 05 2018. 12 2019. 07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96.0 97.0 98.0 99.0 100.0 101.0 102.0 103.0 104.0

2019. 01 2019. 02 2019. 03 2019. 04 2019. 05 2019. 06 2019. 07 2019. 08 2019. 09 2019. 09 2019. 10 2019. 11 2019. 12 2020. 01 2020. 02 2020. 03 2020. 04 2020. 05 2020. 06 2020. 07 2020. 08 2020. 09 2020. 10 2020. 11 2020. 12 2021. 01 p) 2021. 02 p)

99.7 102.9

자료: 통계청

<그림 I-5> 경기종합지수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92.0 94.0 96.0 98.0 100.0 102.0 104.0

106.0 코로나

1995. 01 1995. 08 1996. 03 1996. 10 1997. 05 1997. 12 1998. 07 1999. 02 1999. 09 2000. 04 2000. 11 2001. 06 2002. 01 2002. 08 2003. 03 2003. 10 2004. 05 2004. 12 2005. 07 2006. 02 2006. 09 2007. 04 2007. 11 2008. 06 2009. 01 2009. 08 2010. 03 2010. 10 2011. 05 2011. 12 2012. 07 2013. 02 2013. 09 2014. 04 2014. 11 2015. 06 2016. 01 2016. 08 2017. 03 2017. 10 2018. 05 2018. 12 2019. 07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96.0 97.0 98.0 99.0 100.0 101.0 102.0 103.0 104.0

2019. 01 2019. 02 2019. 03 2019. 04 2019. 05 2019. 06 2019. 07 2019. 08 2019. 09 2019. 09 2019. 10 2019. 11 2019. 12 2020. 01 2020. 02 2020. 03 2020. 04 2020. 05 2020. 06 2020. 07 2020. 08 2020. 09 2020. 10 2020. 11 2020. 12 2021. 01 p) 2021. 02 p)

99.7 102.9

(단위: 지수, p)

(20)

2. 수출입(통관기준) 및 경상수지

무역수지 흑자 2020년 4분기 184.7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79.3억 달러 증가(전기대비 23.8억 달러 증가)

o 2020년 4/4분기 수출은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등 주력 수출품목을 중심으로 양 호한 회복세 시현

o 수입은 대외수요 회복에 기인한 국내 설비투자 개선에 힘입어 감소폭이 축소

o 2020년 전체 무역수지 흑자 452.4억 달러로 2019년 대비 63.6억 달러 증가 – 수출은 5,127.8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5.4% 증가

– 수입은 4,675.5억 달러로 전년대비 7.1% 감소

o 2021년 1월 수출은 480억 달러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11.4% 증가(무역수지 37.6억 달러 흑자)

o 2021년 2월 수출은 448억 달러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9.5% 증가(무역수지 27억 달러 흑자

o 2021년 3월 수출은 538.3억 달러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16.6% 증가(무역수지 41.7억 달러 흑자. 11개월 연속 흑자)

(21)

< 12

월별 일평균수출금액(억 달러, 우축) 수출(yoy %, 좌축)

월별 일평균수입금액(억 달러, 우축) 수입(yoy %, 좌축)

19.0 20.0

-1.9

-20.3 -3.4

4.2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30 -20 -10 0 10 20 30

'17.1Q 2Q 3Q 4Q '18.1Q 2Q 3Q 4Q '19.1Q 2Q 3Q 4Q '20.1Q 2Q 3Q 4Q

16.6 17.4 -1.9

-15.8 -8.7 -1.7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20 -10 0 10 20 30

'17.1Q 2Q 3Q 4Q '18.1Q 2Q 3Q 4Q '19.1Q 2Q 3Q 4Q '20.1Q 2Q 3Q 4Q

(단위: 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 (단위: 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

<그림 I-6> 수출증가율 및 일평균 수출액 <그림 I-7> 수입증가율 및 일평균 수입액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

자료: 한국은행, 관세청

<그림 I-8> 통관기준 무역수지-수출-수입

무역수지(억 달러, 축) 수출(yoy %, 좌축) 수입(yoy %, 좌축)

87.0 19.8

161.0 184.7 -1.9

-20.3 -3.4

4.2 -1.9

-15.8 -8.7 -1.7

0 100 200 300 400 500

-30 -20 -10 0 10 20 30

'17.1Q 2Q 3Q 4Q '18.1Q 2Q 3Q 4Q '19.1Q 2Q 3Q 4Q '20.1Q 2Q 3Q 4Q

(단위: 억 달러)

(22)

o (지역별 수출) 주요국의 경제활동 재개 및 각 정부의 적극적인 소비부양 노력에 따 라 지역별 수출은 ’20년 하반기를 경과하며 빠른 속도로 회복하여 4대 시장(미국, 중국, EU, 아세안)에 대한 수출이 모두 큰 폭으로 증가

– 미국: 백신접종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가운데 사상 최대 경기부양책의 영향으로 소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대미수출이 신속하게 회복

* 주요 수출증가품목: 자동차, 반도체, 가전, 일반기계

– 중국: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내수부양 정책에 힘입어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빠르게 개선되며 대중수출 증가

– 주요 수출증가품목: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 유로: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인한 봉쇄조치 강화에도 불구하고 선박, 바이 오헬스 수출에 힘입어 對EU 수출액은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의 월수출을 기록

* 주요 수출증가품목: 선박, 바이오헬스, 자동차

– 일본: 올림픽 관람객 유치 여부 불분명, 소비세율 인상 등의 영향으로 일본 내 수경기가 지속적으로 하강해 온 가운데 코로나 확진세도 진정되지 못하면서 대 일수출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

* 주요 수출증가품목: 일반기계, 이차전지

(23)

< 14

o (품목별 수출) 반도체 등 주역품목의 상승폭은 확대, 기계·석유제품 등 부진했던 품목들도 증가세로 전환되며 수출 호조

– 반도체: 재택근무·온라인수업 증가로 인한 서버·PC용 반도체 수요의 증가뿐만 아니라 대형 데이터센터 기업들의 서버투자가 확대된 가운데 글로벌 공급부족 장기화로 인한 단가상승 압력까지 가해지면서 반도체 수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 자동차: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 등 하방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차 및 SUV차량 수요증가 및 단가상승의 영향으로 미국을 . 다만,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등 하방리스크

– 일반기계: 주요국의 투자 재개에 따라 건설기계류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IT 관련 기계류 역시 수출 호황

– 석유제품: 국내 증설설비 가동,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수출단가가 큰 폭으 로 증가하면서 회복세로 전환

– 바이오헬스: 진단키트 수출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이후 빠른 성장세 지속

<그림 I-9> 주요 지역별 수출증가율

-2.7

-11.7

1.1 0.6

-6.4

0.7

-26.0 22.3

-8.5

45.8

24.0

-15.2

13.6 7.9

26.5

-2.8

7.9

48.2

-7.3 -0.7

3.8 26.0

-2.6

9.2

36.6

10.8

5.4 2.5

-30.0 -20.0 -10.0 0.0 10.0 20.0 30.0 40.0 50.0 60.0

중국(26.8) 일본(5.6) 미국(14.5) EU(10.4) 아세안(18.7) 베트남(9.5) 중남미(5.1)

20년 전체 21년 1월 21년 2월 21년 3월

(단위: 전년동기대비, %)

주: ( )내 수치는 2020년 기준 지역별 수출비중 자료: 한국무역협회, 통계청

(24)

2020년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와 서비스수지 개선이 동시에 이뤄지며 750억 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흑자를 기록. 2021년 1~2월 들어서도 수출호조에 힘입어 양호한 경상수지 흑자 지속

o 상품수지가 비교적 큰 폭의 흑자(819.4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서비스수지, 이 전소득수지의 적자폭이 크게 줄어들면서 경상수지는 752.8억 달러 흑자를 기록 – 반도체를 비롯한 IT품목의 수출증가에 힘입어 큰 폭의 상품수지 흑자 기록 – 서비스수지 적자는 여행수지의 적자감소로 인하여 전년대비 106억 달러 감소

한 161.8억 달러

– 본원소득수지는 흑자폭이 소폭 감소

– 이전소득수지 적자는 해외송금이 줄면서 30억 달러 이상 감소

<그림 I-10> 주요 품목별 수출증가율

-2 -6 -9

-16

6

-13

52

1 23

58

-5

8 9

40

67

10

4 10

-6

23

13

47

67

10 64

6 7

49

9

15

44

25

-30 -2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선박 (3.9)

무선통신기기 (2.6)

일반기계 (9.3)

석유화학 (6.9)

반도체 (19.4)

자동차 (7.3)

바이오헬스 (2.7)

이차전지 (1.5)

20년 전체 21년 1월 2월 3월

(단위: %)

주: ( )내 수치는 2020년 기준 품목별 수출비중 자료: 한국무역협회

(25)

< 16

<그림 I-11> 경상수지 항목별 증감

596.8

798.2

-268.4

128.5

-61.4 752.8

819.4

-161.8

120.7

-25.3

70.6 57.3

-6.1

23.6

-4.2

80.3 60.5

1.3 21.2

-2.6

-400.0 -200.0 0.0 200.0 400.0 600.0 800.0 1,000.0

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2019 전체 2020 전체 2021.1 2021.2

(단위: 억 달러)

자료: 한국은행

<그림 I-12> 서비스수지 항목별 증감

가공서비스 유지보수서비스 운송수지 여행수지 건설수지 보험서비스 금융서비스 지식재산권사용료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기타사업서비스 개인문화여가서비스 정부서비스

-7,611 -348

-1,734

-11,872 6,776

-256 921

-2,157 2,461

-12,391 271

-905 -5,685

-913 2,132

-5,630 4,770

-336 1,757

-3,034 1,474

-10,410 184

-629 -490 -53

1034

-554 291

-20 152

-265 249

-896 31

-86 -521 -54

813 -341

415

-40 123

-132 446

-558 57

-80

-15,000 -10,000 -5,000 0 5,000 10,000

2019 전체 2020 전체 2021.1 2021.2

자료: 한국은행

(단위: 억 달러)

(26)

3. 고용

고용시장. 2020년말 기준, 취업자 2,652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63만 명 감소. 고용률 59.1%를 기록하며 60% 아래로 추락. 실업률은 4.1%로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에의 악영향 심화. 업종별로는 (비대면)서비스업,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연령층에서 고용상황이 크게 악화

o 고용률(취업자/생산가능인구) 은 59% 수준으로 전년동기대비 0.9%p 하락

– 고용률(%): 60.0(2020.1) → 60.0(2020.2) → 59.5(2020.3) → 59.4(2020.4)

→ 60.2(2020.5) → 60.4(2020.6) → 60.5(2020.7) → 60.4(2020.8) → 60.3(2020.9) → 60.4(2020.10) → 60.7(2020.11) → 59.1(2020.12)

o 실업률(실업자/경제활동인구): 실업률은 4.1%로 전년동기대비 0.7%p 증가

– 실업률(%): 4.1(2020.1) → 4.1(2020.2) → 4.2(2020.3) → 4.2(2020.4) → 4.5(2020.5) → 4.3(2020.6) → 4.0(2020.7) → 3.1(2020.8) → 3.6(2020.9)

→ 3.7(2020.10) → 3.4(2020.11) → 4.1(2020.12)

o 정부의 지속적인 일자리정책에도 불구하고 취업자는 전년동기대비 62.8만 명 감 소하며 2,652.6만명 기록.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도소매업 등 대면서비스업의 취 업자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주력 제조업의 취업자 역시 감소세 지속 – 산업별로는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의 영향으로 보건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3만)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 상황에 민감하게 영 향 받은 도소매업(-16만)과 숙박 및 음식점업(-16만)의 취업자 수는 큰 폭으로 감소. 제조업 취업자 수는 5.3만 명 감소

–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의 취업자가 24.9만 명 늘어난 반면, 20대(-25.4만 명)와 30대(-24.6만 명), 40대(-18.3만 명), 50대(-14.7만 명) 등 60세 이상을 제외한 전연령층에서 취업자수 감소

–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는 0.5만 명 증가 外 일용 및 임시근로자는 각각 17만 명, 35만 명 감소

(27)

< 18

2021년 2월 기준, 취업자는 2,636만 명, 고용율은 58.6%, 실업률은 4.9%를 고용상황의 부진이 지속

o 취업자 수(명): 25,818(’21.1)→ 26,365(’21.2) o 고용률(%): 57.4(’21.1)→ 58.6(’21.2)

o 실업률(%): 5.7(’21.1)→ 4.9(’21.2)

<그림 I-13>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취업자증가율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취업자증가율(yoy,%)

63.6 63.4

62.5 62.7 62.6 62.4 3.3 3.1

4.2

4.4 3.6 3.7

-1.1 -1.6 1.4

1.6 1.1

-1.5 61.0

61.5 62.0 62.5 63.0 63.5 64.0 64.5

-2.0 -1.0 0.0 1.0 2.0 3.0 4.0 5.0

17 1Q 2Q 3Q 4Q 18 1Q 2Q 3Q 4Q 19 1Q 2Q 3Q 4Q 20 1Q 2Q 3Q 4Q

(단위: %, 계절조정)

자료: 한국은행

(28)

자료: 한국은행

61.5 61.4

59.9 60.0 60.4

60.0

58.5 59.0 59.5 60.0 60.5 61.0 61.5 62.0

17. 1Q 2Q 3Q 4Q 18. 1Q 2Q 3Q 4Q 19. 1Q 2Q 3Q 4Q 20. 1Q 2Q 3Q 4Q

(단위: %, 계절조정)

<그림 I-14> 고용률

<그림 I-15> 산업별 취업자 증감(2019 →2020, 평균)

D.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84.8) K. 금융 및 보험업(166.8) M.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40.6) J.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121.1) A.농업.임업.어업 C. 제조업(109.6) P. 교육서비스업(103.8) G. 도매 및 소매업(100.1) E.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91.0) H. 운수업(90.6)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3.5) F. 건설업(78.1) R.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76.4) L. 부동산업 및 임대업(76.4) 자영업자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60.6) I. 숙박 및 음식점업(54.9) 6

-22 7

-14 50

-53 -86

-160

18 51 130

-4 1

-39 -75

34

-159 -200

-150 -100 -50 0 50 100

150 (단위: 천 명)

주: ( )내 수치는 2020년 산업별 임금수준(전산업 평균=100) 자료: 한국은행

(29)

< 20

4. 물가

국제유가 회복 및 농축수산물 가격의 급등으로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 동반 상승

o 집중호우의 여파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상승이 지수의 상승을 견인하며 소비자 물가지수가 1년만에 1%를 초과

o 생산자물가지수는 국재유가 및 국제원자재가격 회복의 영향으로 급등

o 근원물가지수(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상품 및 서비스가격 상승에 따라 전 년동월대비 0.8% 상승

o 품목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이 크게 오른 것 외에 대부분의 품목은 1%에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상승률을 기록

– 공업제품과 공공서비스요금 하락이 물가상승을 제한

– 다만,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가계부문의 가처분소득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집세가 상승세 지속

CPI PPI 근원인플레이션

1.0 1.1

-0.4

2.0

0.9 0.8

-2 -1 0 1 2 3 4

'18.1 2 3 4 5 6 7 8 9 10 11 12 '19.1 2 3 4 5 6 7 8 9 10 11 12 '20.1 2 3 4 5 6 7 8 9 10 11 12 '21.1 2

(단위: 전년동기비, %p)

<그림 I-16> 주요 물가지수 증가율 추이

자료: 한국은행

(30)

서울 및 수도권의 아파트. ‘2020. 8.4 공급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는 듯 하였으나 2021년을 경과하며 재상승. 전세가격은 임대차3법의 영향으로 매물부족 현상이 여전히 지속되면서 가파른 상승세 지속

o 아파트(수도권) 매매가격 증가율: 2.8%(’19.1월) → 1.9%(’19.2월) → 1.3%(’19.3월)

→ 0.7%(’19.4월) → 0.3%(’19.5월) → 0.0%(’19.6월) → -0.1%(’19.7월) → -0.2%(’19.8월) → -1.1%(’19.9월) → -1.2%(’19.10월) → -0.9%(’19.11월) → -0.1%(’19.12월) → 0.8%(’20.1월) → 1.7%(’20.2월) → 3.5%(’20.3월) → 4.7%(’20.4월)

→ 5.3%(’20.5월) → 6.2%(’20.6월) → 7.5%(’20.7월) → 8.2%(’20.8월) → 8.7%(’20.9월) → 8.8%(’20.10월) → 8.9%(’20.11월) → 9.2%(’20.12월) → 9.7%(’21.1) → 10.8%(’21.2월)

o 최근 급등한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밀어 올리는 현상이 주요지역을 중심으로 진행

o 서울 주변 지역 중저가 아파트에까지 가격급등을 유발(풍선효과)한 정부의 2년여 에 걸친 전방위적 주택시장 규제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 는 3,000조원의 유동자금, 상당기간 유지될 저금리 상황, 전세시장 혼란에 따른

1.3

-0.6 -0.1 0.6

1.5 2.0 2.0 1.9 1.2

1.0

-1.8

0.1 0.1 1.3

-1.4

3.2

-0.4 -0.1

1.2

-1.7

0.3 0.3

-4.3

-0.5

10.3

1.0 0.6

1.4

-3.5

0.6

0

-4.1

-0.9 11.4

0.9 1.6 0.4

-2.1

0.9 0.6

-5

-0.2

13.3

1.8 1.1

-10.0 -5.0 0.0 5.0 10.0 15.0

개인서비스 공공서비스 집세 서비스 전기·수도·가스 공업제품 농축수산물 상품 총지수 2020 1Q 2020 2Q 2020 3Q 2020 4Q 2021 1Q

(단위: 전년동기비, %)

<그림 I-17> 품목성질별 증가율

자료: 한국은행

참조

관련 문서

본 과목은 대학 특성화 사업으로서 신라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의 특 화사업으로서 발전 가능한 신라문화를 근간으로서 학생들에게 문화콘텐츠 에 대한 이해와

중국소비자들의 자국산 농식품에 대한 신뢰도 저하와 웰빙에 대한 관심 고조 등으로 녹색식품이나 유기농식품 수요가 증 가하고 있고 , 특히 수입 농식품이

일자리 감소의 규모와 영향은 지역별 격차 존재하는데 이는 지역별 중심 산업 글로벌 가치 사슬에 대한 노출정도 거래 가능한 분야의 집중도 고용형태 구성 등에

또한 STEAM 수업에 대한 추가 수요에 긍정적으로 반응을 보이고 , 이공계열에 대한 진로 희망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보여 ,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확인할 수

- 자유민주주의 교육체제에서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자율성은 교육에서의 창의성, 개성 그리고 수월성을 높이는 기본적 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과용 도서에

■ 그러나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이 국제유가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유가의 하락폭은 상당히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전망. ∙ OPEC 의장의

경상수지는 주요 수출국 경기둔화와 교 역조건 악화의 영향으로 상품수지의 흑자폭이 크게 줄어드는 가운데 서비스수지의 적자가 지속되면서 지난해에 비해 204억 달러

정부의 부양 노력에 힘입어 일시적 반등을 보였던 민간소비는 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영향으 로 급격한 재(再)위축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기업실적부진으로 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