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장자(莊子)󰡕 우언과 󰡔고사신편(故事新编)·기사(起死)󰡕의 연관성 고찰

6) 한 영 걸*

❙국문초록❙

현대문인들 중에서 노신은 장자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은 작가이다. 특히 노신의 「기사」는 󰡔장자󰡕의 영 향을 가장 많이 받은 작품으로, 󰡔장자󰡕‘촉루몽’의 소재와 인물형상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였다. 또한 장자의 형 상을 수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학적인 수법으로 위선적인 인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파격적인 변신 때문 에 그 당시 아주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자의 ‘촉루몽’과 노신의 「기사」에 대한 고찰을 통하 여 노신의 문학창작에 끼친 장자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장자󰡕의 ‘촉루몽’과 「기사」의 소재와 인물형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양자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표현수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 노신이 ‘촉루몽’의 소재와 인 물형상을 수용하고 재창작한 원인을 분석하고 장자의 인물형상을 해학적으로 묘사한 여러 가지 표현수법을 고 찰하고자 한다.

[주제어] 󰡔장자󰡕, 우언, ‘촉루몽’, 󰡔고사신편󰡕, 「기사」

❘목 차❘

Ⅰ. 서 론

Ⅱ. 노신에 대한 장자의 영향

Ⅲ. 우언 소재

Ⅳ. 인물 형상

Ⅴ. 표현 수법

Ⅵ. 결 론

Ⅰ. 서 론

󰡔고사신편(故事新編)󰡕의 「보천(補天), 「분월(奔月), 「주검(鑄劍), 「비공(非攻), 「이수(理水), 「채미

* 국민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 kaneijie@daum.net

(2)

(采薇), 「출관(出關), 「기사(起死)」는 1922년부터 1935년까지 13년이라는 긴 시간을 거쳐서 창작된 작품 이다. 제목에서 ‘고사 신편(新編)’이라고 말했다시피 이 8편은 모두 신화, 전설, 우언 등을 소재로 허구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새롭게 탄생된 작품이다. 󰡔고사신편󰡕은 비록 난해한 내용 때문에 󰡔외침(呐喊)󰡕, 󰡔방황(彷 徨)󰡕보다 대중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였으나 그 상징성 때문에 문학적 가치가 매우 큰 작품이라고 할 수 있 다. 특히 1935년에 창작된 「기사」는 󰡔장자󰡕의 우언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매우 연구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본고는 󰡔장자(莊子)󰡕와 「기사」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노신의 창작동기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기사」는 󰡔장자󰡕 ‘촉루몽(髑髅梦)’을 소재로 하였지만, 현실상황과 교묘하게 결합시켜 작품에 새로운 생 명을 불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낭만주의 문학의 시조인 장자에 대한 파격적인 변신을 통하여 당시 사회 의 부조리를 폭로하고 풍자하여 문인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얻었다. 비록 작품에서 장자와 그의 사상에 대해 풍자하고 비판한 내용이 적지 않지만, 노신의 소설 중에서 󰡔장자󰡕 우언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작품이라는 점만은 분명하다.

기존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사」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1) 단편적인 연구도 적지 않 다.2) 그러나 󰡔고사신편󰡕의 다른 작품에 대한 연구와는 비 할 바가 못 되며, 또한 「기사」와 󰡔장자󰡕의 연관성 을 고찰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노신의 작품 중에서 「기사」처럼 󰡔장자󰡕의 우언과 유사한 작품은 없다. 「기사」는 󰡔장자󰡕 ‘촉루몽’을 모티 브로 하였는데, 스토리와 인물 형상을 그대로 수용하였고, 󰡔장자󰡕의 언어도 많이 사용하였다. 「기사」에서 노 신이 장자와 그의 사상에 대해 풍자하고 비판하는 말을 많이 하였다. 그러나 노신의 창작목적은 결코 장자의 사상을 비판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당시 불합리한 사회현상과 장자의 무위사상을 빌미로 항일운동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문인들을 비판하는 데 있었다. 또한 노신이 장자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에 장자의 사 상을 비판하면서도 여전히 󰡔장자󰡕 우언의 소재, 인물형상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면서 소재, 인물형상, 표현수법 등 측면에서 「기사」와 󰡔장자󰡕의 우언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번 고찰을 통하여 󰡔장자󰡕가 노신에 끼친 영향을 규명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Ⅱ. 노신에 대한 장자의 영향

장자와 노신은 서로 다른 시대를 산 사람이지만, 통하는 면이 많다. 이는 노신이 문학 창작에서 󰡔장자󰡕의

1)여기는 張詩悅, 胡潤生의 「從󰡔起死󰡕中淺析魯迅思想」 󰡔絲路視野󰡕02, 黃河出版傳媒集團有限公司, 2018, 胡文雯의 「󰡔故事新 ·起死󰡕 ‒ 複合型文本特征及文化意蘊探析」 󰡔湖南科技學院學報󰡕39: 11, 湖南科技學院, 2018, 陳俠의 「论󰡔故事新编·起死

󰡕的再创性及现实成就」 󰡔湖北文理学院学报󰡕 36: 1, 湖北文理学院, 2015. 등이 있다.

2)여기에는 방준호의 「󰡔故事新編󰡕 ‑ 그 世界의 復活」, 󰡔中國語文論業󰡕23 중국어문연구회 2002; 배인수의 「󰡔故事新编󰡕의 창작 기법 연구」, 󰡔東洋古典硏究󰡕74, 동양고전학회, 2019; 이보경의 「루쉰의 시간관념 초탐 ‑ 「아Q정전」, 「술집에서」, 「기사」를 중심으로」, 󰡔中語中文學󰡕 73, 한국중어중문학회, 2018. 등이 있다.

(3)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노신이 󰡔장자󰡕의 영향을 받게 된 데는 중국의 반봉건·반식민지의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 민족으로서 중국을 통일한 청나라는 안정적인 통치를 유지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대내 적으로는 사상통제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중국을 시대의 발전에 뒤떨어지게 하였고, 청나라를 열강들 의 선진적인 무기 앞에 굴복하게 한다. 이에 중국은 반봉건·반식민지 사회로 전락하게 된다. 망국의 위기 앞에서 중국의 문인들은 구국구민의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제자학이 독립적인 분야로 취급되고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는 사상자원으로 부상했다.”3) 혹자는 법가사상(法家思想)에서 부국강병의 방법을 찾으려고 하 였고, 혹자는 정신적 자유를 추구했던 도가사상(道家思想)으로 유가사상(儒家思想)에 의해 세뇌당한 중국인 을 계몽하고자 하였다.

청나라 말기, 민국초기의 애국적 문인 장태염(章太炎)은 도가사상에 조예가 깊었다. 그는 “󰡔장자󰡕를 최고 의 철학이라고 존숭하고, 그 사상이 유·묵을 초월하였다고 보았다.”4) “중국인의 문제가 육체적인 데 있지 않고 정신적인 데 있다”고5) 분석하고 반봉건·반식민지의 처지에서 벗어나려면 유가사상에 의해 세뇌된 중 국인들의 노예적인 근성을 바꾸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하였던 노신은 스승 장태염의 영향으로 󰡔장자󰡕를 접 하게 되자 개인의 정신적 자유를 주장한 도가사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전강(田剛)은 “장태염이 청년 시대의 노신을 넓고 심오한 장학의 세계에 인도하였다.”고6) 말하였다.

선진우언의 높은 수준을 반영했던 󰡔장자󰡕는 “초현실적인 상상력, 시적인 정취가 다분한 언어와 심오한 이 치”로7) 인하여 후세의 문인들에게 심원한 영향을 끼쳤는데, “진한 이래의 중국 문학사는 거의 대부분 그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8) 스승의 영향으로 󰡔장자󰡕 학문의 세계에 입문하였던 노신도 󰡔장자󰡕의 문학에 매료되 어 “장자의 독창적인 문사를 애용하였고, 장자의 말을 자주 인용하였으며, 󰡔장자󰡕의 소재를 자주 인용하였고, 문사적인 측면에서 장자를 칭찬하였으며, 사상적인 측면에서도 다소 영향을 받았다.”9) 실제로 노신은 󰡔장자󰡕

의 문사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아래의 문장에서 살필 수 있다.

“만연(曼衍)”, “이연(犁然)”(󰡔인지역사(人之歷史)󰡕), “시부(屍府)”, “천알(天閼)”, “성연(成然)”(󰡔과학 사교편(科學史教篇)󰡕), “배격(掊擊)”, “괴연(塊然)”, “전재소혜지도(輇才小慧之徒)”, “영부(靈府)”, “망연

3)송인재, 「량치차오, 루쉰, 장타이옌의 미래 상상 ‑ 현실인식과 정치성을 중심으로」, 󰡔中國硏究󰡕73,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 구소, 2017, 293.

4)田剛, 「󰡔莊子󰡕 與魯迅早期文體」, 󰡔魯迅研究月刊󰡕8, 北京魯迅博物館, 2002, 17. “章太炎把 󰡔莊子󰡕 奉爲最高哲學, 視其道理 遠遠超乎儒墨之上……因此, 章氏對 󰡔莊子󰡕 的褒揚和宣傳可能催發了魯迅閱讀和理解的熱情, 當然也肯定對他早期的思想和寫作 有重要的影響.”

5)조관희, 「아큐정전(Q正傳), 1920년대 중국인 전형을 묘사」, 󰡔CHINDIA Plus󰡕 68, 포스코경영연구원, 2012, 48. 6)田剛, 󰡔魯迅與中國士人傳統󰡕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4, 145, “是章太炎把青年魯迅帶入了博大精深的莊學世界.”

7)王遠東, 「󰡔莊子󰡕寓言意象的無涯性」, 󰡔長江學術󰡕1, 武漢大學, 2010, 172, “超凡的想象力, 富有詩意的語言和深刻的哲理。 8)郭沫若, 󰡔郭沫若文集 ‒ 莊子與魯迅󰡕 北京: 人民文學出版社, 1959, 59, “秦漢以來的一部中國文學史差不多大半是在他的影響

下發展的.”

9)田剛, 앞의 논문, 17, “魯迅愛用莊子所獨有的詞彙, 愛引莊子的話, 愛取 󰡔莊子󰡕 書中的故事爲題材而從事創作, 在文辭上贊美 過莊子, 在思想上也不免有多多少少的反映.”

(4)

자실(芒然自失)”, “조궤(吊詭)”, “힐안(黠暗)”, “우파(愚葩)”, “구어허(拘於虛)”, “인의지도(仁義之途), 시 비지단(是非之端), 번연효란(樊然淆亂)”, “고고(槁枯)”, “목거이모식(木居而茅食)”, “편고(偏枯)”, “녹독 (緣督)”, “오예만물(傲睨萬物)”(󰡔문화편지론(文化偏至論)󰡕), “영부(靈府)”, “고고(枯槁)”, “지리(支離)”,

“연목이뇌성(淵默而雷聲)”, “영인심(攖人心)”, “천알(天閼)”, “무용지용(無用之用)”, “무하유지향(無何有 之鄉)”, “조설정신(澡雪精神)”, “방황(彷徨)”, “중생요요(眾生擾擾)”, “획연(砉然)”(󰡔마라시력설(摩羅詩 力說)󰡕), “악성(惡聲)”, “힐암(黠暗)”, “고오(槁梧)”, “구연(瞿然)”, “대각(大覺)”, “발여기괄(發如機栝)”,

“영부(靈府)”, “영대(靈台)”, “거세예지이불가권(舉世譽之而不加勸), “거세훼지이불가저(舉世毀之而不加 沮)”, “창광(昌狂)”, “창옹(唱喁)”, “궐심순백(厥心純白)”, “백창(百昌)”, “난지상야(亂之上也), 치지하야 (治之下也)”, “장어(莊語)”(󰡔파악성론(破惡聲論)󰡕).10)

이처럼 “󰡔장자󰡕의 소담스럽고 기이한 문사에 대한 활용은 그의 조기 논문이 ‘장자식’의 문풍과 격식을 지 니게 하였다.”11) 노신도 일찍이 “사상적인 면에서 장자와 한비자의 영향을 받았다.”고12) 인정하였다.

한편, 노신의 장자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모순되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초기의 긍정적인 경향으로부터 후기의 부정적인 경향으로 바뀐다는 점이다.

창작 초기에는 “󰡔장자󰡕의 소극적인 사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려고 노력”하는13)일면이 없지 않았지만, 󰡔한 문학사강요(汉文学史纲要)󰡕에서높이 평가한 것처럼 노신의 장자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이는 노신의 초기 창작 목적이 중국인의 계몽을 위해 유가사상을 반대하는 데 있었고, 또한 장자와 반유가적이라 는 면에서 같은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후기에 이르러 노신의 장자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지 않았다. 이는 장자의 소극적인 사상과도 연관 이 없지 않지만, 주로 그 당시 장자의 사상을 핑계로 항일운동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한 문인들을 견제하기 위한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기사」가 바로 이러한 경향을 잘 반영한 작품이다.

앞에서 말했다시피 「기사」는 노신의 작품 중에서 󰡔장자󰡕의 우언과 유사성이 가장 많은 작품이다. 이는 노 신이 「기사」에서 장자와 그의 사상을 조롱하고 비판한 것과 대비된다. 그 원인을 분석해보면 노신의 “전통문 화가 나쁜 것은 아니며, 이를 선별하여 나쁜 것은 파괴하고 좋은 것은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한다.”는14) 주장과 연관이 있다.

노신이 장자의 사상에 대해 긍정적인 경향으로부터 부정적으로 바뀐 데는 시대적 환경의 변화와 연관이 있다. 노신의 창작 초기는 반봉건·반식민지의 사회로 중국인의 노예적 근성을 근절하는 계몽운동이 필요했 던 시대적 환경이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에서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장자의 사상은 매우 적극적인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노신의 창작 후기는 일본제국주의 침략에 나라가 생사존망의 위기에 처했던 시대이었다. 전 국민을 단합하여 항일운동에 총력을 기울여야 했던 시대적 환경에서 장자의 피세(避世) 사상은 항일의식의

10) 田剛, 위의 논문, 20.

11) 田剛, 위의 논문, 20, “對 󰡔莊子󰡕 豐美詭奇文辭的運用, 使得他早期的論文具有了莊子式的文風和體格.”

12) 魯迅 著, 󰡔魯迅全集 第一卷󰡕 北京: 人民出版社社, 2005, 301, “就是思想上, 也何嘗不中些莊周韓非的毒.”

13) 田剛, 앞의 논문, 18, “努力避免󰡔莊子󰡕消極思想的毒害”.”

14) 엄영욱(), 󰡔정신세계의 전사 노신󰡕 국학자료원, 2003, 129.

(5)

고양에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사」는 “좁게는 중국 2, 30년대의 중국 문단에 弥满해 있었던 문학적 수구주의, 또는 西欧 및 日本文学 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주의에 대한 경고였고, 보다 넓게는 당시 중국사회가 안고 있었던 온갖 병폐와 부조리 에 대한 강력한 반박”에15) 목적을 두었던 것이지, 결코 장자의 사상을 비판하고자 한 것이 아니다. 장자의 사상에 대해 노신이 비록 감정의 기복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감정은 장자의 문학에까지 미치지 않았다.16) 그렇기 때문에 노신이 장자와 그의 사상을 풍자하면서도 여전히 「기사」에서 󰡔장자󰡕 우언의 소재 와 인물 형상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즉 노신이 만년에 장자의 사상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 였지만, 장자의 문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지 않았기에, 「기사」가 󰡔장자󰡕 우언의 여러 가지 문학 적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Ⅲ. 우언 소재

소설의 연원에 대해 우언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주장하는 설도 있다. 그 주장의 신빙성을 떠나서 우언과 소설이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그래서 소설 창작에서 우언의 소재를 수용하는 것은 매 우 보편적인 현상인데, 「기사」의 소재도 󰡔장자󰡕 ‘촉루몽’에서 유래된 것이다.

먼저 ‘촉루몽’ 소재의 연변(演變)을 보기로 한다.

우언은 “침투성이 매우 강하기에 고금동서의 각종 문학작품에 스며들어 갔다.”17)

선진우언의 쌍벽으로 불리는 󰡔장자󰡕의 우언은 후세 문인들의 문학 창작에 매우 심원한 영향을 끼친다. 특 히 󰡔장자󰡕 우언 중에서 ‘호접몽(蝴蝶梦)’과 더불어 꿈 소재로 유명세를 탔던 ‘촉루몽’은 오랜 기간 문학 창작 의 소재로 자주 인용된다.

󰡔장자󰡕 이후 ‘촉루몽’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살펴보면 원나라 이전에는 대체로 한나라 부(赋)와 건안시기 시가(诗歌)를 위주로 하였고, 원나라부터는 대체로 희극의 극본과 소설을 위주로 한다.

한나라 한부(汉赋)로는 장형(张衡)의 󰡔촉루부(髑髅赋)󰡕가 있고 건안시기 시가로는 조식(曹植)의 󰡔촉루설 (髑髅说)󰡕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모두 해골이 장자로, 해골과 대화하는 인물이 장자가 아닌 저자 자신으로 바뀌었고, “모두 죽음의 즐거움으로 인간의 고통을 대비시켰고, 죽은 사람의 입을 빌어 현실 사회를 성토하였다.”18)또한 “해골은 더는 자유와 소요의 상징이 아니라, 죽음에 대한 처량함과 비통의 감정이 가득

15) 李浚植, 「󰡔故事新编󰡕 创作动因 및 그 讽刺技法의 抽象性 ‒ 「补天」, 「奔月」, 「出关」을 중심으로」 󰡔中国文学研究󰡕7 한국중 문학회 1989, 175.

16) “상유이말(相濡以沫)”(󰡔「역문」복간사(「譯文」複刊詞)󰡕, 1936), “제물론(齊物論), 양생주(養生主)” (󰡔문인비교학(文人比較學)󰡕, 1936), “비역일시비, 차역일시비(彼亦一是非,此亦一是非)” 󰡔중국문단의 비관(中國文壇的悲觀)󰡕·󰡔논어일년(論語一年)󰡕, 1933, 󰡔문인상청(文人相輕)󰡕, 1935) 등과 같이 노신은 만년에 이르러도 여전히 󰡔장자󰡕의 문사를 애용하였다.

17) 첸푸칭(), 윤주필(),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지식산업사, 2010, 575.

18) 李炳海, 󰡔道家與道家文學󰡕 長春: 東北師範大學出版社, 1992, 322, “都是以死亡的快樂反襯人間的痛苦, 借死人的嘴控訴

(6)

찼다.”19)

‘촉루몽’의 소재는 원명청(元明清) 시기에 이르러 오랜 기간 민간에서 전해지면서 서민들의 문화적인 욕구 에 부응하여 통속적인 문학으로 바뀌게 된다. 이 시기 희극의 극본으로는 원나라 잡극 이수경(李壽卿)의 󰡔고 분가장자탄촉루(鼓盆歌莊子歎髑髏)󰡕과 명나라 잡극 여경유(呂景儒)의 󰡔장자탄촉루(莊子歎髑髏)󰡕, 왕응린(王 應遴)의 󰡔소요유(逍遙遊)󰡕 등이 있다. 소설로는 청나라 정요항(丁耀亢)의 󰡔속금병매(續金瓶梅)󰡕가 있다. ‘촉 루몽’과 비하면 이 작품들은 모두 해골이 부활되어 있고, 또한 도가의 생사관을 대변하던 해골이 아니라 자신 을 부활한 장자를 고소하는 배은망덕한 인물로 형상화된다. 아울러 “본래의 죽음을 즐기는 관점이 삶을 즐기 는 관점으로 바뀌게 되어”20) “‘장자와 해골’의 이야기는 심오한 생사에 대한 철학적인 사고와 변화무상한 세 태에 대한 애탄으로부터 무정한 세태에 대한 풍자극으로 바뀌었다.”21)

다음으로 ‘촉루몽’과 「기사」의 유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촉루몽’의 소재는 현대에 이르러 노신의 「기사」에 의해 계승된다. 그럼 아래의 문장에서 양자를 비교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촉루몽’‑ 장자가 초나라로 가다가 해골을 보았다. 그 해골은 바짝 말랐지만, 형체는 남아 있었다. 장자는 말채찍으로 해골을 두드리면서 말했다. “자네는 삶을 탐하여 도리를 어겨 이렇게 되었는가?

자네는 나라 일을 망쳤기 때문에 사형을 당하여 이렇게 되었는가? 자네는 선하지 못한 짓을 하여 부 모, 처자에게 치욕을 남긴 것이 부끄러워 이렇게 되었는가? 헐벗고 굶주려 이렇게 되었는가? 자네는 나이가 많아 이렇게 되었는가?” 말을 마치자 장자는 해골을 끌어다가 베고 잠이 들었다. 밤중에 해골 이 꿈에 나타나 말했다. “아까 당신이 한 말은 변사와 같았네! 자네가 말한 것은 모두 살아 있는 사람 들의 허물일 뿐 죽은 사람은 그런 것이 없네. 당신은 정말 죽은 자의 이야기를 듣고 싶은가?” 장자가 말했다. “그렇소.” 해골이 말했다. “죽은 자에게는 위로 임금이 없고 아래로 신하가 없으며 춘하추동의 수고로운 일도 없다네. 천지와 수명을 같이 하고 있으니 임금의 즐거움도 이보다 더할 수는 없다네.”

장자는 믿기지 않아 다시 말했다. “내가 사명의 신에게 부탁하여 자네를 부활시켜 골육과 피부를 만들 고 부모, 처자나 마을 사람들에게 돌려보내준다면 자네는 그것을 바라는가?” 해골은 심히 불쾌해서 말 했다. “내 어찌 임금보다 더한 즐거움을 버리고 인간의 수고로움을 하겠는가?”22)

社會.”

19) 左丹丹, 「論莊子叹骷髏"的文學與圖像表達」 󰡔齊齊哈爾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版)󰡕09, 齊齊哈爾大學, 2015, 97, “骷髏不 再是自由逍遙的象征, 而是充滿了死亡的悲涼與哀傷.”

20) 薑克濱, 「試論莊子叹骷髏"故事之嬗變」 󰡔北京化工大學學報(社會科學版)󰡕2: 70, 北京化工大學, 2010, 31, “原來的樂死觀 念已被人們拋棄, 代之的是珍愛生命的觀念

21) 左丹丹, 앞의 논문, 98, “使得莊子與骷髏的故事由深奧幽玄的生死哲思、世事浮沉的人生哀歎變爲一出世態炎涼的諷刺劇.”

22) 張耿光 譯著, 󰡔莊子全釋·至樂󰡕 貴州: 貴州人民出版社, 1990, 307, “莊子之楚, 見空髑髏, 髐然有形. 撽以馬捶, 因而問之, 曰:夫子貪生失理而爲此乎? 將子有亡國之事、斧鋮之誅而爲此乎? 將子有不善之行, 愧遺父母妻子之醜而爲此乎? 將子有凍 餒之患而爲此乎? 將子之春秋故及此乎? 於是語卒, 援髑髏枕而臥. 夜半, 髑髏見夢曰:子之談者似辯士, 諸子所言, 皆生人之 累也, 死則無此矣. 子欲聞死之說乎? 莊子曰:然. 髑髏曰:死, 無君於上, 無臣於下, 亦無四時之事, 從然以天地爲春秋, 雖南 面王, 樂不能過也. 莊子不信, 曰:吾使司命複生子形, 爲子骨肉肌膚, 反子父母妻子閭裏知識, 子欲之乎? 髑髏深顰蹙額曰:

吾安能棄南面王樂, 而複爲人間之勞乎!

(7)

「기사」 ‑ 아니! 이건 해골이 아닌가? 어떻게 된 일이지? (채찍으로 잡초를 헤쳐 나가다가 무언가를 두드리며 말한다.) 그대는 삶을 탐하고 죽음이 무서워서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해서 이 지 경이 되었는 가? (톡톡) 아니면 세력 범위를 잃고 칼을 맞아서 이 꼴이 되었는가? (톡톡) 아니면 한바탕 난리를 피 워 부모처자에게 죄를 짓고 이 꼴이 되었는가? (톡톡) 그대는 자살이 약자의 행위라는 것을 몰랐던가? (톡톡톡) 아니면 그대가 먹고 입을 게 없어서 이 꼴이 되었는가? (톡톡) 아니면……아니, 대답할 리 없 는데, 혼자서 연출했으니 내가 멍청했군. 초나라가 멀지 않으니 서두를 필요는 없어. 먼저 사명대신께 그의 형체가 복원되고 그의 살이 다시 돋아나게 부탁해 봐야지. 그와 잡담을 나누고 나서 그를 고향으 로 돌려보내 혈육들과 만나게 해주자.23)

위의 ‘촉루몽’과 「기사」를 살펴보면 양자의 소재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장자󰡕가 노신에게 끼친 영향과 양자가 처한 시대적 차이를 감안한다면 노신의 「기사」가 ‘촉루몽’을 모티브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노신의 작품 중에서 「기사」처럼 󰡔장자󰡕의 우언과 유사한 작품은 없다. 노신이 비록 󰡔장자󰡕의 영향 을 받아 󰡔장자󰡕의 문사나 표현수법 같은 것을 많이 수용하였다고는 하지만, 소재를 그대로 수용한 것은 「기 사」가 유일한 작품이다. 내용적으로 노신이 장자와 그의 사상에 대해 풍자하고 조롱하였지만, 이 두 작품의 유사성으로부터 「기사」가 장자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촉루몽’과 「기사」의 차이성을 보기로 한다.

“선진우언의 어떤 이야기들은 흔히 많은 문인들의 인용과 모방의 대상이 된다.”24)

특히 󰡔장자󰡕의 우언은 그 철학적인 매력과 문학적인 가치 때문에 후세 문인들의 모방의 대상이 된다. 현 대에 이르러서도 이러한 전통은 이어진다. “현대 작가들은 모두 우언적 상징 수법의 글쓰기를 좋아해서 현재 의 의식을 가지고 진부한 우언 전통을 다시금 새롭게 개조해 낸다.”25) 노신의 󰡔고사신편󰡕도 이러한 경향이 있다.

‘촉루몽’과 「기사」를 살펴보면 모두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지만, 양자의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다. 즉 노신이 비록 ‘촉루몽’의 소재를 수용하였지만, 자신의 창작목적을 위해 내용적으로 확대하여 재 창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묘사를 덧붙여서 세부묘사가 더욱 생생하고, 형상이 더욱 풍만하도록”26) 하였다는 점이다.

「기사」의 소재에 대한 재창작은 주로 장자와 해골의 논쟁의 핵심에 대한 탈바꿈, 해골에 대한 부활로 나

23) 魯迅 著, 󰡔魯迅全集 第二卷-起死󰡕 北京: 人民出版社社, 2005, 485, “阿呀! 一個髑髏. 這是怎的? (用馬鞭在蓬草間撥了一撥, 敲著, :) 您是貪生怕死, 倒行逆施, 成了這樣的呢? (橐橐.) 還是失掉地盤, 吃著板刀, 成了這樣的呢? (橐橐.) 還是鬧得一榻 胡塗, 對不起父母妻子, 成了這樣的呢? (橐橐.) 您不知道自殺是弱者的行爲嗎? (橐橐橐!) 還是您沒有飯吃, 沒有衣穿, 成了這 樣的呢? (橐橐.) 還是年紀老了, 活該死掉, 成了這樣的呢? (橐橐.) 還是……唉, 這倒是我胡塗, 好像在做戲了. 那裏會回答. 好在離楚國已經不遠, 用不著忙, 還是請司命大神複他的形, 生他的肉, 和他談談閑天, 再給他重回家鄉, 骨肉團聚罷.”

24) 馬晨雪, 「淺析先秦寓言的寓意特征」 󰡔現代語文: 學術綜合󰡕10, 曲阜師範大學, 2013, 8, “先秦寓言的某些故事, 往往會成爲 眾多文人所引用和模仿的對象.”

25) 첸푸칭(), 윤주필(), 앞의 책, 106. 26) 첸푸칭(), 윤주필(), 위의 책, 192.

(8)

뉠 수 있다.

첫째, 장자와 해골의 논쟁의 핵심에 대한 탈바꿈

‘촉루몽’에서 장자와 해골의 논쟁의 핵심은 도가적 생사관이다. 그러나 노신은 그 시대의 현실적인 문제를 폭로하기 위해 논쟁의 핵심을 해골이 장자에게 옷을 요구하는 것으로 바꾼다. “이러한 스토리는 오늘날의 독 자를 웃음 짓게 만들 뿐만 아니라 독자들에게 이것이 ‘진실’을 말하는 사실이 아니라 ‘예술’임을 말해주고 있 다.”27)

둘째, 해골에 대한 부활

‘촉루몽’에서 해골과의 대화는 장자의 꿈속에서 진행된 것으로 해골이 부활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노신은

‘촉루몽’에서 장자가 꿈속에서 해골을 부활시키겠다고 말했던 데 그쳤던 것을 실제로 실현하여 해골을 부활시 킨다. 그리고 장자와 옷을 화제로 논쟁을 진행하게 한다. 이는 아마도 원명청 시기 ‘촉루몽’을 소재로 한 희 극과 소설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앞에서 말했다시피 원나라 이전의 ‘촉루몽’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해골을 부활시키지 않았지만, 원명청의 작품들은 대부분 해골을 부활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노신의 「기사」가 청나라 정요항(丁耀亢)의 󰡔속금병매󰡕를 소재로 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노신이 「기사」는 ‘촉루몽’을 모티브로 하였다는 점에서 󰡔장자󰡕의 우언과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양 자의 창작 시기와 창작목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노신의 ‘촉루몽’에 대한 수용은 나름대로의 재창작을 거친 수용이다.

Ⅳ. 인물형상

「기사」를 살펴보면 ‘촉루몽’의 장자, 해골 등 기본적인 인물형상을 수용하면서도 사명대신, 순경 등 새로운 형상도 등장한다. 이는 양자의 시대적 차이와 노신의 창작목적 때문에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먼저 장자의 인물형상을 보기로 한다.

‘촉루몽’에서 장자는 꿈속에서 득도한 인물로 형상화된다. 또한 “위진남북조시기 시부(诗赋)의 철인으로부 터 원명 잡극 중의 신선에 이르기까지 장자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물이었다.”28) 그러나 「기사」에 이르러 장자의 형상은 비록 노신에 의해 계승되지만, 파격적인 변신을 한다.

얼굴은 검고 야위었고, 구레나룻은 희끗희끗하였으며, 머리에는 도관을 쓰고 무명 두루마기를 입고 있었다.29)

27) 배인수, 「󰡔故事新编󰡕의 창작 기법 연구」 󰡔東洋古典硏究󰡕 74, 동양고전학회, 2019, 410.

28) 胡文雯, 「󰡔故事新編·起死󰡕 ‑ 複合型文本特征及文化意蘊探析」 󰡔湖南科技學院學報󰡕 39: 11, 湖南科技學院, 2018, 34,

魏晉詩賦中的哲人到元明雜劇中的仙人, 莊子一直是一個正面積極的形象, 但是在魯迅這裏, 莊子搖身一變成爲一個漫畫化的喜 劇人物.”

(9)

위의 문장에서 등장하는 장자는 사상가이며 철학가이었던 원래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등장한다. 머리에 도관을 쓴 모습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는 장자가 더는 철학가도 아니고 사상가도 아닌 일개 도사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도가와 도교는 엄연하게 서로 다른 존재이다. 이를 제자사상에 조예가 깊은 노신이 모 를 리가 없다. 그런데도 그가 장자를 도사로 묘사한 것은 도가사상을 연원으로 하는 도교가 중국인들의 뿌리 깊은 민간신앙으로서 적극적인 작용을 일으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사」에서 노신이 장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도사(방사) 사상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로, 장자 철학에 대한 비판은 실제로 도사(방사) 사상 에 대한 비판인 것이다. 노신이 묘사한 장자는 단지 하나의 도구이고 세속에 의해 이용된 형상일 뿐이지, 진 실하고 객관적인 학술적인 형상이 아닐 뿐만 아니라, 고대 전적의 역사적인 형상도 결코 아니다.”30)

노신이 장자의 형상에 대한 파격적인 변신은 또 이어진다.

장자:(궁색해서 다급하게 방어하며) 네 감히 폭력을 쓰다니! 이 손 놓지 못해! 그렇지 않으면 사명 대신께 널 다시 죽음으로 돌아가게 부탁할거야!……사내:(그를 움켜잡고) 이 도둑놈아! 이 날강도 놈 아! 내 먼저 네놈의 도포를 벗기고, 네놈의 말을 빼앗아 보상받으리라…….(장자는 한편으로 저항하면 서 황급히 도포 소매에서 호루라기를 꺼내 미친 듯이 세 번이나 불었다. 그러자 사내는 놀라서 동작을 늦췄고 멀리서 순경 한 사람이 뛰어왔다.)31)

이 문장에서 장자는 도를 터득한 사람의 모습이 아니라, 아주 평범한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장자는 자신에게 옷을 돌려달라고 요구하는 사내에게 제물론(齐物论)의 이치로 달래려 하지만, 500년 만에 죽음에 서 부활하여 몸을 가릴 옷가지마저 없는 사내에겐 통하지 않는다. 여기서 노신은 사내를 다시 죽음의 세계로 돌려보낸다고 협박하고 소용이 없자 않자 순경을 불러 사내를 제압하려는 장자의 모습을 통하여 장자 사상의 허무함과 쓸모없음을 비판하고 조롱하였다. 또한 “자신의 사고와 이상을 이러한 황당무계한 스토리에 삽입하 였으며 역사와 현실의 황당무계함과 결합하여 대중들에게 대한 더욱 깊이 있는 사고를 표현하게 되었다.”32)

다음으로 해골의 형상을 보기로 한다.

‘촉루몽’의 해골도 장자와 마찬가지로 노신의 「기사」가 수용한 인물형상이다. ‘촉루몽’에서 해골은 장자에 게 도가적 생사관을 일깨우는 인물로 형상화된다. 그러나 󰡔장자󰡕 이후 ‘촉루몽’의 소재를 수용한 작품들을 살 펴보면 해골의 형상은 모두 나름대로의 재창작을 거쳤기 때문에 본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원나라 이전 의 작품들에서 해골이 장자로 설정되고, 원나라부터의 작품들에서는 해골이 대체로 배은망덕한 소인배로 설

29) 魯迅 著, 앞의 책, 485. “黑瘦面皮, 花白的絡腮胡子, 道冠, 布袍.”

30) 高遠東, 「論魯迅對道家的拒絕—以󰡔故事新編󰡕的相關小說爲中心」 󰡔中國現代文學研究叢刊󰡕 01, 中國現代文學館, 2007, 104 , “󰡔起死󰡕中鲁迅对庄子的拒绝实际上只是对道士(方士)思想的拒绝, 庄子哲学的批判实际上只是对道士(方士)思想的批 . 鲁迅笔下的庄子只是一个被功能化了的、被世俗利用的思想形象而已, 既非真实客观的学术性形象, 更非忠于古代典籍的历 史化形象.

31) 魯迅 著, 앞의 책, 491~492, “莊子—(窘急, 招架著)你敢動粗! 放手! 要不然, 我就請司命大神來還你一個死!……漢子—(揪住 )你這賊骨頭! 你這強盜軍師! 我先剝你的道袍, 拿你的馬, 賠我…….(莊子一面支撐著, 一面趕緊從道袍的袖子裏摸出警笛來, 狂吹了三聲.……漢子愕然, 放慢了動作. 不多久, 從遠處跑來一個巡士.)”

32) 배인수, 앞의 논문, 411.

(10)

정된다. 노신의 「기사」에 이르러 해골은 다시 그 시대 일반 서민을 대변하는 형상으로 환골탈태한다.

사내(해골):당신이 나를 발가벗겼는데, 살려냈다고 무슨 소용이야? 나더러 어떻게 친척을 찾아가라 고? 보따리도 없어졌는데……(울먹이면서 달려와서 장자의 소매를 잡았다.) 안 그럼 나는 친척에게 찾 아 갈 수도 없고, 사람 노릇도 할 수가 없어. 대추 두 근에 설탕이 반 근이나 있었는데…….33)

「기사」에 등장하는 해골은 아주 평범한 서민의 모습이다. 고금동서를 막론하고 서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생활하는 데 기본이 되는 의식주 걱정이다. 정치든지 사상이든지 일반 서민들에게는 너무 거리가 먼 존 재이다. 「기사」의 해골도 마찬가지로 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옷과 대추, 사탕이다. 옷은 그가 사람대접을 받을 수 있는 기본 생존권이고, 대추, 사탕은 사회의 최하층에 있는 그에게는 매우 귀한 재산이다. 이러한 것 들을 잃었으니, 장자의 말이 아무리 철학적으로 심오한 이치를 포함한들 부활한 해골에게는 와 닿지 않는 것 이 당연하다. 여기서 노신이 “날카롭고 해학적인 필치로 장자와 해골을 대면시킨 것은 바로 현실사회를 직면 하게 한 것이며, 두 개의 인물 사이에 時空상의 차이를 설정하여 문화배경이 다른 兩者사이에 사상과 의식의 교류를 차단시킴으로서 장자의 相對主義로 하여금 현실과 부딪치게 함으로써 심각하게 그 사상의 허위성과 황당함을 나타내려는 의도였다.”34)

이어서 사명대신과 순경의 형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촉루몽’에서 사명대신은 실제로 등장하는 인물이 아니라, 장자와 해골의 대화 중에 살짝 나오던 인물이다.

󰡔장자󰡕 이후 ‘촉루몽’의 소재를 수용한 작품들은 대체로 장자가 사명대신의 역할을 하였고 사명대신을 구체 적으로 다룬 작품이 없었다. 사명대신은 노신의 「기사」에 이르러 처음으로 실존인물로 등장하게 된다.

사명대신:장주야, 나를 찾아 또 무슨 장난을 치려고? 물을 실컷 마시니 분수를 잊게 되었니?……너 도 역시 주둥이만 살아서 실천에 옮기지 못 하는 놈이구나. 사람이지 신이 아니구나.……그럼 좋아. 너 소원대로 한번 해볼게.35)

「기사」에 등장하는 사명대신과 ‘촉루몽’의 사명대신은 모두 전설 속의 신이다. 그러나 ‘촉루몽’에서 단지 대화 중에 언급되어 존재감이 없는 것과 다르게 노신의 「기사」에 등장하는 사명대신은 이야기를 전개하는 관건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여기서 노신은 사명대신의 말을 통하여 장자의 도 가사상을 신랄하게 풍자한다.

순경은 노신이 독창적으로 창조한 형상으로, 아주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형상이다. 「기사」에 등장하는 인

33) 魯迅 著, 앞의 책, 490~495, “你把我弄得精赤條條的, 活轉來又有什麼用? 叫我怎麼去探親? 包裹也沒有了.……(有些要哭, 跑開來拉住了莊子的袖子)……要不然, 我不能探親, 也不能做人了. 二斤南棗, 斤半白糖…….”

34) 배인수, 앞의 논문, 411.

35) 魯迅 著, 앞의 책, 486~487, “莊周, 你找我, 又要鬧什麼玩意兒了? 喝夠了水, 不安分起來了嗎?……你也還是能說不能行, 是人而非神……那麼, 也好, 給你試試罷.”

(11)

물들은 모두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장자는 그 시대 지식인들을, 해골은 일반 서민들을, 순경은 부패한 관리들을 상징한다. 그 상징적인 의미 때문에 「기사」는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던 것이다.

순경:이 미친놈이 남의 옷을 빼앗고도 자기가 호루라길 불다니!……(깜짝 놀라 손을 놓고 장자의 얼굴을 찬찬히 살폈다.) 그럼 선생님은 치위안 땅의 그 분……그래도 선생님이 넉넉하신 것 같으니, 그 에게 옷가지를 하나 양보하셔서 앞이라도 좀 가릴 수 있게 하심이……맞습니다. 정말 하나도 양보할 수가 없네요. (사내를 향해) 어서 손을 놔라!36)

위의 문장에서 등장하는 순경은 그 시대 대부분의 관리들을 상징하는 전형적인 형상이다. 「기사」가 창작 된 시기는 국민당정부의 무능력과 무책임 때문에 중국사회가 부정부패로 물든 시기이었다. 이러한 사회에서 관리들은 윗사람에게는 아첨하면서도 아랫사람에게는 안하무인의 태도를 취하는 데 익숙하게 된다. 이는 장 자를 알아보기 전후 순경의 위압적인 태도로부터 공손한 태도로 바뀌는 점에서 나타난다. 이처럼 노신은 순 경이라는 형상을 통하여 그 당시 사회의 부패한 현상을 비판하였다.

「기사」와 ‘촉루몽’은 모두 장자, 해골을 위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노신의 창작 목적이 장자와 서로 달랐기 때문에 사명대신, 순경 등 새로운 인물형상이 등장하였고, 또한 「기사」에서 설정 한 장자와 해골의 형상이 ‘촉루몽’의 원형과 전혀 달랐다는 차이점도 있다.

Ⅴ. 표현수법

「기사」는 ‘촉루몽’의 소재와 인물형상을 수용하였지만, 노신의 창작목적 때문에 소재에 대해 재창작을 하 였을 뿐만 아니라, 인물형상에 대해서도 파격적인 변신을 시도한다. 특히 장자라는 인물에 대한 형상화는 그 표현수법이 매우 해학적이고도 상징적이다. 이는 노신의 창작목적이 장자의 형상과 언어에 대한 해학적인 묘 사를 통하여 당시 그릇된 사회 풍조를 고치고자 한 데 있었기 때문이다.

장자의 사상은 인위적인 구속을 타파하고 속세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소극적인 은둔사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자는 생사(生死)·귀천(貴賤)·대소(大小)·시비(是非) 등을 동일시하는 ‘무시비관(無是非 觀)을 주장하게 된다. 이러한 사상은 개인의 도덕적 수양에는 이로운 면이 있지만, 민족의 위기에 처했던 30 년대의 상황에는 적절하지 않았다.

노신이 「기사」를 창작했던 30년대는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 동북과 화북의 영토를 차례차례로 상실하던 시기이다. 일제는 대동아공영권을 구축하려는 야심을 품고 중국 전역을 탈취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위급

36) 魯迅 著, 앞의 책, 492~493, “巡士—你搶了人家的衣服, 還自己吹警笛, 這昏蛋!……(吃驚, 松手, 細看了莊子的臉) 那麼, 是漆……還是您老富裕一點, 賞他一件衣服, 給他遮遮羞……對啦, 這實在少不得. (向漢子)放手!”

(12)

한 상황에서 마땅히 전 국민이 단합하여 일제에 대항해야 했지만, 당시의 일부분 문인들은 항일운동에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예컨대, 논어파(论语派)의 문인들은 “한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머스러운 소품을 제창하고 정치와 무관한 것을 내용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37) “날이 갈수록 그들은 ‘예술을 위한 예술’을 고취하면서 현실 투쟁과 유리된 채 중국 민족의 운명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38)

또한 노신에 의해 제3종인(第三種人)이라고 불렸던 문인들은 “장자의 ‘이것이 저것이고, 저것이 이것이다. 저것도 하나의 시비가 있고, 이것도 하나의 시비가 있다.’는 ‘무시비관’을 선양하였다.”39)이런 부류의 문인들 은 “솔직히 장자의 사상에 대해 깊은 이해가 없이 단지 그 중의 일부를 차용하였을 뿐”,40) 장자의 문도들이 라고 말할 수 없었다. 이들은 단지 “노장의 탈을 위급한 상황의 방패막이로 삼았다. 또한 노장철학을 미화하 여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길 수 있고, 저항하지 않는 것이 저항하는 것이며, 오로지 시비관이 없어야 시비가 없어진다는 황당한 이론을 선동하고 사실을 왜곡하는 것으로 자신의 정치적인 주장을 감췄다.”41)

이러한 문인들의 주장은 마약처럼 국민들의 정신상태를 마비시켜 항일운동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래 서 노신은 “「기사」를 창작하고 희극화한 장자를 조롱하였을 뿐만 아니라, 엄혹한 현실 속에서도 진취심이 없 고, 현실에 만족하며, 모든 사물에 대해 ‘무시비’ 관점을 고수하는 문인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풍자하였다.”42)

「기사」에서 등장하는 장자는 더는 중국 문인들이 숭상하는 지적인 형상이 아니라, 종교적인 탈을 쓰고 공 담(空谈)을 일삼는 우스꽝스러운 형상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형상은 주로 외모와 동작, 언어에 대한 해학적 인 표현수법으로 묘사된다.

첫째, 외모와 동작에 대한 해학적인 표현수법을 보기로 한다.

얼굴은 검고 야위었고, 구레나룻은 희끗희끗하였으며, 머리에는 도관을 쓰고 무명 두루마기를 입고 있었다.……그는 채찍을 내려놓고 동쪽 하늘을 향해 양손을 모으고 큰 소리로 외치기 시작하였다.43)

이 문장에서 노신은 장자를 도가의 성인이 아니라, 우스꽝스러운 도사로 묘사하였는데, 이는 주로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 장자를 평범한 인간으로 변신시켜 제3종인들의 주장을 무력화시키기 위해서이다. 둘째,

37) 엄영욱(), 󰡔정신세계의 전사 노신󰡕 국학자료원, 2003, 94. 38) 엄영욱(), 위의 책, 94.

39) 胡文雯, 앞의 논문. 35, “宣揚莊子的是亦彼也, 彼亦是也. 彼亦一是非, 此亦一是非無是非觀’.”

40) 鄧國偉, 「󰡔起死󰡕荒誕的遊戲及所諷喻」 󰡔中山大學學報(社會科學版)󰡕48: 4, 中山大學, 2008. 49, “其實對莊子的思想並無 透徹的理解, 不過取其一點去發揮罷了.”

41) 陳俠, 「論󰡔故事新編·起死󰡕的再創性及現實成就」 󰡔湖北文理學院學報󰡕 36: 1, 湖北文理學院, 2015, 49~50, “披上老莊的道 , 作爲危急之際的化身符. 還大力美化老莊哲學, 鼓吹柔能克剛, 不抵抗就是抵抗;唯無是非觀, 庶幾無是非等等荒唐理論以顛 倒是非, 以在政治上掩飾自己.”

42) 胡文雯, 앞의 논문, 35, “写作󰡔起死󰡕, 不仅是嘲笑喜剧化的庄子, 在更深层次上更是讽刺了在严酷现实中不思进取、耽于现 , 对一切事物都抱有无是非态度的文人.”

43) 魯迅 著, 앞의 책, 485~486, “黑瘦面皮, 花白的絡腮胡子, 道冠, 布袍.……放下馬鞭, 朝著東方, 拱兩手向天, 提高了喉嚨, 叫起來.”

(13)

장자를 우스꽝스러운 도사로 묘사한 것은 도가의 탈을 쓴 제3종인들을 풍자하기 위한 데 목적이 있었다.

장자는 한편으로 저항하면서 황급히 도포 소매에서 호루라기를 꺼내 미친 듯이 세 번이나 불었다. 그러자 사내는 놀라서 동작을 늦췄고 멀리서 순경 한 사람이 뛰어왔다.44)

이 문장에서 장자는 여행 중의 심심함을 풀기 위해 해골을 환생시킨다. 그리고 자기가 통달한 제물론의 철학사상으로 해골로부터 환생한 사내를 설득하려고 한다. 그것이 통하지 않자 장자는 사내를 죽음의 세계로 다시 보내겠다고 협박을 한다. 협박도 먹히지 않자 그는 황급히 ‘호루라기’를 꺼내 ‘미친 듯이 세 번이나 불 어’ 순경을 부르는 추태를 보여주어 독자들에게 웃음을 가져다준다. 여기서 노신은 고금의 경계를 무너뜨리 고 장자의 시대에 현대적 산물인 호루라기와 순경을 등장시켜 희극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면서도 독자들에게 현실 문제에 대한 깊은 사색을 불러일으킨다. 이울러 장자의 동작에 대한 해학적인 묘사를 통하여 그 당시 통치자들과 결탁하여 백성들을 우롱하는 문인들을 풍자하고 비판하였다.

둘째, 언어에 대한 해학적인 표현수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노신은 이야기를 전개하기 전에 먼저 사건의 발단을 장자의 말을 통하여 제시한다. 이는 장자의 위선적이 고 양면적인 형상을 부각하는 데 아주 중요한 작용을 한다.

장자:초나라가 멀지 않으니 서두를 필요는 없어. 먼저 사명대신께 그의 형체가 복원되고 그의 살이 다시 돋아나게 부탁해 봐야지. 그와 잡담을 나누고 나서 그를 고향으로 돌려보내 혈육들과 만나게 해 주자.45)

위 문장의 장자가 초나라로 가는 도중에 심심해서 해골을 환생시키고자 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 된다. 여기 서 주의할 점은 장자가 해골을 환생시키고자 했던 목적이 “초나라가 멀지 않기” 때문에 심심해서 “잡담을 나 누고” 싶어서인 것이지, 결코 혈육들과 만나게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어서 노신은 장자의 우스꽝스러운 주문을 통하여 도교적 탈을 쓴 장자의 위선자의 본성을 드러낸다.

지성으로 비나이다. 사명대천존이시여! 천지현황, 우주홍황, 일월영측, 진숙열장 조전손리, 주오정왕, 풍진저위, 강심한양 태상노군급급여율령! 칙! 칙! 칙!46)

44) 魯迅 著, 위의 책, 492, “莊子一面支撐著, 一面趕緊從道袍的袖子裏摸出警笛來, 狂吹了三聲. 漢子愕然, 放慢了動作. 不多 , 從遠處跑來一個巡士.”

45) 魯迅 著, 위의 책, 485, “莊子—好在離楚國已經不遠, 用不著忙, 還是請司命大神複他的形, 生他的肉, 和他談談閑天, 再給他 重回家鄉, 骨肉團聚罷.”

46) 魯迅 著, 위의 책, 486, “至心朝禮, 司命大天尊!天地玄黃, 宇宙洪荒. 日月盈昃, 辰宿列張. 趙錢孫李, 周吳鄭王. 馮秦褚衛, 薑沈韓楊. 太上老君急急如律令!敕!敕!敕!

(14)

위 문장은 장자가 주문을 외워 사명대신을 부르는 대목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 은 바로 이 문장에서 “태상노군급급여율령! 칙! 칙! 칙!”만이 도교의 주문이고, “천지현황, 우주홍황, 일월영 측, 진숙열장”과 “조전손리, 주오정왕, 풍진저위, 강심한양”은 각각 유교의 경전인 󰡔천자문(千字文)󰡕과 󰡔백가 성(百家姓)󰡕에서 인용하였다는 점이다. 노신이 이처럼 주문의 내용에 대해 절묘하게 변형시킨 것은 작품의 취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자가 순수한 도사가 아니라, 종교적인 탈을 쓴 위선자라는 점을 암시하려는 데 있다. 또한 이러한 장자의 형상을 통하여 도가적 탈을 쓴 제3종인들을 풍자하였다.

다음으로 노신은 장자의 사기적이고 위선적인 본질을 사명대신과의 대화에서 점차적으로 드러낸다.

장자:부모와 처자식이 있는 것이 틀림없을 텐데, 여기에 죽어 있으니 정말 불쌍하기 그지없습니다. 그래서 사명대신께 간절히 청하오니, 형체와 육신을 회복해주시어서 그를 집에 돌려보내 주십시오.47)

이 문장은 장자의 위선적인 본성을 여실히 드러낸 문장이다. 장자가 스스로 해골을 환생시키고자 한 동기 를 말하지 않았으면 그를 정말로 동정심이 넘치는 인물로 착각할 수 있다. 그러나 노신에 의해 재창작된 장 자는 결코 다정다감한 성격의 소유자가 아니라, 오히려 종교적인 탈을 쓴 위선적인 인물의 전형이다. 이에 따라 그는 자신의 사욕을 채우기 위해 무소불위의 신 앞에서도 감히 거짓말을 하는 대담한 행동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거짓말은 무소불능한 사명대신 앞에서 금방 들통나게 된다.

사명대신:하! 하! 너의 본심에서 나온 말이 아니네. “네가 배부르기도 전에 심심풀이를 찾고 있는 게로구나. 진심인 것 같지도 않고, 장난 같지도 않고. 네 갈 길이나 가고 내 일에 방해하지 말거라.48)

위의 문장에서 등장하는 사명대신은 “인간의 생사를 주관한다고 전해지는 전설 속의 신이다.”49) 전설 속 에 나오는 신은 초인간적이며 무소불능의 위력을 가진 존재이다. 당연히 평범한 인간의 거짓말을 포함한 모 든 행위는 신의 앞에서는 가소로운 것이다. 이에 사명대신은 “네가 배부르기도 전에 심심풀이를 찾고 있는 게로구나.”고 장자의 해골을 환생시키고자 하는 부탁이 동정심에서 우러러난 것이 아니라 단지 심심풀이를 위한 것이라고 조롱한다. 여기서 노신은 사명대신의 입을 통하여 문학을 단지 심심풀이로 여기는 제3종인과 논어파의 문인들을 풍자하였다.

노신의 「기사」에서 묘사된 장자는 종교의 탈을 쓴 위선자의 전형적인 형상이다. 그렇기에 그는 거짓말이 들통 났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궤변을 부린다.

47) 魯迅 著, 위의 책, 486~487, “莊子—該有父母妻子的罷, 死在這裏了, 真是嗚呼哀哉, 可憐得很. 所以懇請大神, 複他的形, 他的肉, 給他活轉來, 好回家鄉去.”

48) 魯迅 著, 위의 책, 487, “司命—哈哈!這也不是真心話, 你是肚子還沒飽就找閑事做. 認真不像認真, 玩耍又不像玩耍. 還是 走你的路罷, 不要和我來打岔.”

49) 루쉰(), 루쉰전집번역위원회(), 󰡔루쉰전집3󰡕, ()그린출판사, 2011, 448.

참조

관련 문서

이 글은 공동체의 이상과 실천, 양자의 간격 속에서 공동체의 정치와 비 정치성을 문제삼고자 한다. 공동체의 정치는 공동체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와

이에 STEAM 수업을 통해 우리 주변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이를 활용하여 실 제 음식 만들기 활동을 함으로써 에너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에너지를

이를 통해 여러 가지 물체가 무엇으로 이 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은 뺷한국여류문학전집뺸에 실린 한무숙의 단편 소설을 대상으로 소설에 반복적으로 나타난 서사의 이중 구조와 남성 서술자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균의 산도 screening 실험을 통해 대표적인 유산균 6종 ( Leuconostoc kimchii, Lactobacillus paraplantanum, Leuconostoc gasicomitatum, Lactobacillus

기업들은 새롭고 값싸고 질 좋은 상품을 더 많이 만들어 내기 위해서 많은 돈을 들여 연구를 하고 새로운 시설을 마련하기도 하는데 이를 투자라고 한다.. 기업을

이를 토대로 자신만의 별자리를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져보고 이를 무드등으로 제작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게 한다..

- 상황을 제시하면서 프로젝트 전체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이해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