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병원 급에 따른 치과진료감염방지기준의 이행에 대한 실태분석최규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병원 급에 따른 치과진료감염방지기준의 이행에 대한 실태분석최규일"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접수일: 2011년 10월 27일 수정일: 2011년 12월 7일 게재승인일: 2011년 12월 7일

교신저자: 김혜영, 614-714 부산시 진구 엄광로 995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Tel: 051-890-2687, Fax: 051-890-2623 E-mail: khy0606@daum.net

병원 급에 따른 치과진료감염방지기준의 이행에 대한 실태분석

최규일

1

ㆍ김혜영

2

대구보건대학 치위생과1,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2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for Implementation of Dental Clinic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in the Hospital

Gyu Yil Choi1 and Hye Young Kim2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1, Daegu,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ong-eui University2, Busan, Korea

Background: The purpose of study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dental clinic infection prevention throug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mplementation for dental treatment infection prevention aimed at dental hygienists in each hospital.

Methods: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69 dental hygienists in the dental college hospital, 42 in the dentist of the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51 in the dental clinic and 38 in the dentist’s office and the medical institutions surveyed, and we use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by using SPSS (Ver. 18.0).

Results: The experiences wounded in the body by sharp instruments or needles contaminated with patients’ blood or saliva were on average in 86.5% of the dental hygienists, and people who disinfected the wound with disinfectants after washing their own hands and squeezing blood as the method to fight the wound was 73.4%. The dental clinic was the highest in case of the rate of wearing gloves, and the dental clinic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the rate of wearing a mask. The use of the liquid soap containing antimicrobial was the highest as 28.0% in the dental college hospital in case of ‘the cleanser to be used for washing their own hands’. In the multiple response for dental treatment mechanical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actual condition to be equipped with medicines and the survey in sterilization, Povidone was the highest as 28% in the dental college, and surface disinfectants were being used in some hospitals.

Conclusion: To prevent the infection in the consultation room, dental hygienists should thoroughly recognize Dental Treatment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and the research measures or administrativ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organs concerned is needed a lot.

Keywords: Hospital, Dental treatment infection prevention,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서 론

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져서 환자의 요구사항이 많아짐에 따라 구강진료 기 관에서의 감염방지의 중요성은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1]. 아무리 우수한 진료를 하더라도, 진료과 정에서 새로운 질병을 얻는다거나, 다른 환자나 의사로부터 교차감염이 발생하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진료 수 준은 세계에서도 인정받고 있으며, 실제로 임상 의 수술이나 술식에서도 소독과 감염방지의 과 정은 철저히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치과에 서의 소독과 감염방지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 으며 효율적인 감염관리에 관한 문제가 부각되 고 있다[2].

병원감염은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신체적,

(2)

정신적 고통이 되고 있으며, 경제적 손실을 가져 온다[3]. 특히 여러 기관의 진료 환경 중 치과진 료실은 광범위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4], 혈액과 구강분비물에 직접 적인 접촉, 그리고 치과기구나 장비, 공기 중에 노출된 진료실 내에서 표면으로부터의 간접적인 접촉이 발생된다.

따라서 환자들과 치과종사자들은 치과진료실 내에서 감염성 질환인 B형 간염, 후천성 면역결 핍증, 결핵 등 수많은 질병과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발생위험이 높은 감염성 질환으로는 치과 의료진인 경우 B형 간염, 후천성 면역결핍 증, 결핵, 독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치과이용자인 경우 B형 간염, 독감, 결핵, 후천성 면역결핍증 순으로 나타났다[5].

치과진료실에서의 감염방지를 위해서는 치과 에 내원하는 환자의 병력 조사, 전반적인 건강상 태를 관찰하고, 이러한 감염 질환에 대해 의료용 장갑, 마스크 등 개인용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 용하여 환자의 구강 세균과 직접 접촉하거나 오 염된 부위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6]. 그리고 날 카로운 기구의 취급에 대한 적절한 기법 숙지, 치과 진료에 대한 모든 기구나 장비 등에 대한 올바른 세척과 소독 및 멸균이 이루어져야 한다 [7]. 이러한 실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치과의 료 종사자들은 어떤 상황에서든 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진료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 며, 감염의 경로와 감염방지 대책들에 대한 지식 을 습득하여 인식하고, 감염방지 대책을 실천하 여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부산, 경남 지역의 종합 병원 치과, 치과대학병원, 치과의원, 치과병원 별로 감 염방지를 위한 특성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08년 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명부에 주소가 등록된 부산 지역의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이 하 치과대학병원), 종합병원치과, 치과병원 및 치 과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2. 자료 수집

이 연구는 2010년 8월 30일부터 9월 15일까지 각 기관을 방문하여 대상자들에게 참여의 동의 를 구하고, 설문지를 총 230부 조사하였다. 무기 명으로 자기 기입식으로 작성한 뒤, 조사자가 직 접 수거하여 설문지 총 220부를 수거하였다. 수 거된 자료 중 자료가 불충분한 10부를 제외한 210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된 의 료기관에서 치과위생사는 치과대학병원 69명, 종 합병원치과 42명, 치과병원 51명, 치과의원 38명 이었다.

3. 연구 도구

설문지 개발은 선행연구[8,9]에서 사용된 설문 지를 참조하고, 2006년 7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 한 치과진료감염방지기준을 중심으로 문항을 재 구성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4.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데이터솔루션, 한국)를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의 통계 적 유의성 판정은 유의수준(P<0.05)을 사용하였 다. 구체적 통계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으로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둘째, 각 병원에 따른 대상자 에 따라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과 Fisher’s exact test)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대상자의 연령은 24세 이하가 73명(36.5%) 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25-29세로 66명(33%), 30-34세 30명(15%)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전 문대 졸업자가 107명(53.5%)으로 대다수였고, 다 음으로 대학교 졸이 48명(24.0%)으로 나타났다.

대학병원에 근무한 사람은 69명(34.5%)명이었고, 치과병원은 51명(25.5%), 종합병원 42명(21%)이 었다. 1-4년 67명(33.5%), 1년 미만은 40명(20.0%) 로 나타났다(Table 1).

(3)

Table 1. An object of study

Variables Division n %

Age category Lower than 24 years old

73 36.5

25-29 66 33.0

30-34 30 15.0

35-39 20 10.0

Higher than 40 years old

11 5.5

Educational background

Graduated from colleges

107 53.5

Being at a university 24 12.0 Graduated from

a university

48 24.0

Being at a graduate school

13 6.5

Graduated from a graduate school

8 4.0

Hospital working in

Dental college hospital

69 34.5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42 21.0

Dental clinic 51 25.5 Dentist’s office 38 19.0

Career Less than 1 year 40 20.0

1-4 years 67 33.5

5-7 years 38 19.0

8-10 years 24 12.0

More than 11 years 31 15.5

Total 200 100.0

Table 2. Subject’s infection prevention and whether or not an accident Dental college

hospital (n=69)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n=42)

Dental clinic (n=51)

Dentist’s office (n=38)

Total

(n=200) P-value*

Physical wound experiences

Yes 61 (30.5) 34 (17.0) 45 (22.5) 33 (16.5) 173 (86.5) .706

No 8 (4.0) 8 (4.0) 6 (3.0) 5 (2.5) 27 (13.5)

How to fight the wounds

Washing hands and drying 1 (.6) 0 ( 0.0) 4 (2.3) 1 (.6) 6 (3.5) .209 Disinfection with the use

of disinfectants

12 (6.9) 5 (2.9) 14 (8.1) 7 (4.0) 38 (22.0)

Disinfection with the use of disinfectants after washing and squeezing blood

47 (27.2) 28 (16.2) 27 (15.6) 25 (14.5) 127 (73.4)

Leaving as it is 1 (.6) 1 (.6) 0 (.0) 0 (.0) 2 (1.2) Subtotal 61 (35.3) 34 (19.7) 45 (26.0) 33 (19.1) 173 (100.0) Being infected or not with

infectious diseases

Yes 1 (.5) 2 (1.0) 3 (1.5) 2 (1.0) 8 (4.0) .612

No 68 (34.0) 40 (20.0) 48 (24.0) 36 (18.0) 192 (96.0)

*by Chi-square test; by Fisher’s exact test.

2. 감염예방과 감염여부

치과임상에서 환자의 혈액이나 타액으로 오염 된 날카로운 기구나 바늘에 의해 신체에 상처가 난 경험은 병원 급 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P=0.706), 평균 86.5%의 치과위생 사가 상처를 입은 경험이 있었다. 상처가 난 경 우 손을 씻고 혈액을 짜낸 다음 소독약으로 대처 한 사람은 73.4%였다(P=0.209). 치과 내에서 감염 성 질환에 감염된 경험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으며(P=0.612), 평균적으로 4.0%

수준이었다(Table 2).

3. 치과진료감염방지를 위한 일반적 준수사항

근무병원별 수준에 따른 장갑 착용률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91). 치과병원 의 착용률이 13.5%로 가장 높았고, 치과대학병원 이 2.0%로 가장 낮았다. 보호안경 착용률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92). 치과대학 병원의 착용률이 ‘보통이다’가 11.6%로 가장 높 았다. 마스크 착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019). 치과병원의 착용률이 16.5%

로 가장 높았다(Table 3).

(4)

Table 3. The General orders to prevent dental treatment infection Dental college

hospital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Dental clinic Dentist’s office Total P-value*

Wearing gloves .191

Never 4 (2.0) 1 (.5) 0 (.0) 3 (1.5) 8 (4.0)

No 5 (2.5) 1 (.5) 1 (.5) 2 (1.0) 9 (4.5)

Normal 16 (8.0) 7 (3.5) 5 (2.5) 5 (2.5) 33 (16.5)

yes 19 (9.5) 18 (9.0) 18 (9.0) 9 (4.5) 64 (32.0)

Absolutely 25 (12.5) 15 (7.5) 27 (13.5) 19 (9.5) 86 (43.0)

Total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Wearing protective goggles

Never 17 (8.6) 6 (3.0) 8 (4.0) 10 (5.1) 41 (20.7) .292

No 14 (7.1) 8 (4.0) 13 (6.6) 15 (7.6) 50 (25.3)

Normal 23 (11.6) 19 (9.6) 18 (9.1) 7 (3.5) 67 (33.8)

Yes 9 (4.5) 6 (3.0) 7 (3.5) 3 (1.5) 25 (12.6)

Absolutely 6 (3.0) 1 (.5) 5 (2.5) 3 (1.5) 15 (7.6)

Total 69 (34.8) 40 (20.2) 51 (25.8) 38 (19.2) 198 (100.0)

Wearing a mask

Never 2 (1.0) 0 (.0) 0 (.0) 1 (.5) 3 (1.5) .019

No 3 (1.5) 1 (.5) 1 (.5) 2 (1.0) 7 (3.5)

Normal 11 (5.5) 5 (2.5) 4 (2.0) 1 (.5) 21 (10.5)

Yes 26 (13.0) 21 (10.5) 13 (6.5) 7 (3.5) 67 (33.5)

Absolutely 27 (13.5) 15 (7.5) 33 (16.5) 27 (13.5) 102 (51.0)

Total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by Chi-square test.

4. 수세와 건조방법

근무병원별 수준에 따른 ‘손 세척 여부’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20). 치과대 학병원이 ‘그렇다’로 16.5%로 가장 많았다. ‘손 세척에 사용되는 세제의 종류’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9).

치과대학병원에서 항균제 함유 액체비누 사용 률이 28.0%로 가장 높았다. 다른 병원에서도 항 균제 함유 액체비누 사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꼭지 작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6). 손으로 직접 작동하는 방법이 대부분 높게 나타났는데 치과대학병원과 치과병원이 24.5%였다. ‘손 세척 후 건조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12). 대부 분 종이수건 사용이 가장 높았다. 치과대학병원 이 32.5%, 치과병원 44%, 종합병원치과가 17.5%

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5. 진료기자재 관리기구와 약품

치과진료기재 관리기구와 약품 구비실태에 대 한 다중응답 조사 결과는 치과대학병원이 Povi-

done은 28%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Chlo- rhexidine 30.6%, Glutaraldehyde 18.7%로, Iodoform 는 20.2%로 타 의료기관에 비해 많은 약제를 갖 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6. 기본기구 치과기구자재 소독법

‘기본 기구 치과기구자재 소독법’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7). 대학병원에서 34.2%가 고압증기멸균법을 사용하였고, 치과병 원에서는 25.6%, 종합병원은 19.6%의 순으로 나 타났다(Table 6).

7. 치과진료장비의 외부 표면에 대한 관리

방법

치과진료장비의 외부 표면에 대한 관리방법으 로는 1회용 덮개사용과 표면소독제 사용이 권장 되고 있다. 대부분의 병원에서 표면소독제 사용 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병원에서는 24%, 종합병원에서는 15%, 치과병원에서는 12%

의 순으로 나타났다. 1회용 덮개사용은 2.5%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5)

Table 4. How to wash and dry in each hospital working in Dental college

hospital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Dental clinic Dentist’s

office Total P-value*

Washing or not hands

No 2 (1.0) 0 (.0) 3 (1.5) 2 (1.0) 7 (3.5) .820

Normal 7 (3.5) 3 (1.5) 7 (3.5) 4 (2.0) 21 (10.5)

Yes 33 (16.5) 22 (11.0) 24 (12.0) 15 (7.5) 94 (47.0)

Absolutely 27 (13.5) 17 (8.5) 17 (8.5) 17 (8.5) 78 (39.0)

Total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Washing soap

Liquid soap including antimicrobial 56 (28.0) 28 (14.0) 31 (15.5) 28 (14.0) 143 (71.5) .059 Liquid soap not including

antimicrobial

4 (2.0) 5 (2.5) 13 (6.5) 6 (3.0) 28 (14.0)

Solid Soap 9 (4.5) 9 (4.5) 7 (3.5) 4 (2.0) 29 (14.5)

Total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Faucet working

Infrared sensor wo 4 (2.0) 1 (.5) 0 (.0) 3 (1.5) 8 (4.0) .006

Working with the use of a foot or knee

14 (7.0) 7 (3.5) 2 (1.0) 0 (.0) 23 (11.5)

Working with the use of an elbow 2 (1.0) 0 (.0) 0 (.0) 0 (.0) 2 (1.0) Working with the use of a hand 49 (24.5) 34 (17.0) 49 (24.5) 35 (17.5) 167 (83.5)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How to dry after washing hands

Paper towel 65 (32.5) 35 (17.5) 44 (22.0) 29 (14.5) 173 (86.5) .112

Cotton towel 2 (1.0) 7 (3.5) 7 (3.5) 9 (4.5) 25 (12.5)

Air (hand) dryer 1 (.5) 0 (.0) 0 (.0) 0 (.0) 1 (.5)

Just drying 1 (.5) 0 (.0) 0 (.0) 0 (.0) 1 (.5)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Checking a patient’s history

No 0 (.0) 0 (.0) 0 (.0) 2 (1.0) 2 (1.0) .025

Normal 5 (2.5) 2 (1.0) 9 (4.5) 1 (.5) 17 (8.5)

Yes 29 (14.5) 17 (8.5) 14 (7.0) 18 (9.0) 78 (39.0)

Absolutely 35 (17.5) 23 (11.5) 28 (14.0) 17 (8.5) 103 (51.5)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by Fisher’s exact test

Table 5. Treatment equipment management

Hospital working in Dental college

hospital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Dental clinic Dentist’s office Total

Povidone 54 (28.0) 39 (20.2) 43 (22.3) 30 (15.5) 166 (86.0)

Gluconic acid chlorhexidine 59 (30.6) 36 (18.7) 41 (21.2) 27 (14.0) 163 (84.5)

Glutaraldehyde 36 (18.7) 25 (13.0) 17 (8.8) 5 (2.6) 83 (43.0)

Iodoform 39 (20.2) 24 (12.4) 14 (7.3) 2 (1.0) 79 (40.9)

고 찰

감염관리를 위한 예방으로 치과위생사의 개별 방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치과위생사 자신에 대한 건강에 관심이 필요하다[10].

이 연구의 치과진료감염방지기준의 일반적 준 수사항의 실천 조사에서 장갑은 75%, 보호안경 은 50%, 마스크는 48%의 착용률을 보였고, 미착 용률 5.0%로 Kim [11]의 82.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Cho [12] 연구의 장갑 미착용률

(6)

Table 6. How to disinfect dentist’s tool materials

Hospital working in Dental college

hospital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Dental clinic Dentist’s

office Total P-value*

No sterilization nor disinfection 0 (.0) 2 (1.0) 0 (.0) 0 (.0) 2 (1.0) .077 High-pressure steam sterilization 68 (34.2) 39 (19.6) 51 (25.6) 38 (19.1) 196 (98.5)

UV disinfection 0 (.0) 1 (.5) 0 (.0) 0 (.0) 1 (.5)

Total 68 (34.2) 42 (21.1) 51 (25.6) 38 (19.1) 199 (100.0)

*by Chi-square test.

Table 7. Equipment surface management

Hospital working in Dental college

hospital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Dental clinic Dentist’s office Office P-value No management 0 (.0) 0 (.0) 0 (.0) 1 (.5) 1 (.5) .173 Using a disposable cover 3 (1.5) 0 (.0) 1 (.5) 1 (.5) 5 (2.5)

Using a surface disinfectant 48 (24.0) 30 (15.0) 24 (12.0) 23 (11.5) 125 (62.5) Alcohol sponge 3 (1.5) 4 (2.0) 6 (3.0) 4 (2.0) 17 (8.5) Wiping with water 15 (7.5) 8 (4.0) 20 (10.0) 9 (4.5) 52 (26.0) Total 69 (34.5) 42 (21.0) 51 (25.5) 38 (19.0) 200 (100.0)

14.5%보다 낮았고, Cho [12] 연구에서는 ‘시술 시 번거로워서’ 46.0%, ‘진료 시간 연장’ 16.1%, ‘비용 이 많이 들어서’가 7.3%로 나타나 시술 시 번거 로운 문제가 가장 큰 이유를 차지하였다. 향후 치과위생사의 보호장비 착용에 대한 의식전환이 필요하며, 특히 착용률이 저조한 보호안경에 대 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미국질병관 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건강요원과 환자 사이의 병원체 교차 감 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13]. 특히, 의료용 장갑은 치과위생사 와 같은 구강진료 종사자와 환자 사이에서 감염 성 질환의 전파를 막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장갑은 타액, 혈액, 체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 는 모든 진료과정에서 착용되어야 하고 체액과 기타 감염 가능 물질이 묻은 물건을 취급할 때도 요구된다. 또한, 마스크는 혈액이나 타액, 기타 체액이 튀는 것에 대비하여 착용해야 한다.

병력조사여부에 있어서는 치과대학병원, 종합 병원치과, 치과병원에서는 병력조사를 시행하고 있었으나, 치과의원은 1%만이 불이행하였다. 이 결과는 Choi [14] 연구에서의 치과의원의 미 실 행률 4.5%보다 낮게 나타났다. 모든 환자마다 철

저하게 병력을 청취해야 하는데 과거 질병, 수술, 약물 부작용, 성병, 급만성 질환의 병력과 복용 약물, 약품 알레르기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해야 한다. 그러나 치과진료 시 전신질환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경우가 많으며, 진료 시 불이익을 걱정 하여 환자 스스로 밝히기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치과의원에서도 치과시술자와 보조자들이 감염 방지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진료 전후 손 세척 여부에 대해서는 이행이 86%로 Cho [12]의 연구 결과에서의 ‘가끔 한다’

29.8%, ‘항상 한다’ 70.2%보다 높은 실천률을 보 였다. 청결한 손은 감염성 질환의 예방에서 기본 이다. 이에 의료인의 손 씻기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15]. 또한 모든 진료 인력은 장갑을 착용하기 전후에 손 씻기 과정을 철저히 해야 한다.

손 세척에 사용되는 세제의 종류로는 항균제 를 함유한 액체비누의 사용이 71.5%, 항균제 미 함유 액체비누 사용이 14.0%와 고형비누 14.5%

로 Cho [12]의 연구에서 항균제 함유 액체비누 19.7%, 항균제 없는 액체비누 33.3%, 고형비누 47%로 항균제를 함유한 액체비누의 사용은 높게 나타난 반면 항균제 없는 액체비누와 고형비누

(7)

의 사용은 낮게 보였다. 수도꼭지 작동방법 시 손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83.5%인 반면 Cho [12]

의 연구에서 95.9%로, Cho의 연구보다는 낮게 나 타났다. 손 건조 방법은 종이수건 사용이 86.5%, 면수건 사용이 12.5%, 에어(핸드)드라이어와 그 냥 말린다는 각각 0.5%로 Kim [11]의 연구에서 종이수건 사용 61.3%, 면수건 사용 37.5%, 그냥 말린다 1.2%보다 종이수건의 사용이 더 높게 보 였다. 반면 면수건의 사용은 낮게 보였다. 미국질 병관리본부(CDC)의 치과감염관리 권고사항에 의 하면 손 위생이 필요한 경우로 손이 눈에 보이게 더러울 때, 혈액, 타액 또는 호흡기 분비액 등에 의해 감염되기 쉬운 물질에 맨손으로 접촉했을 때, 매 환자 진료 전과 후, 글러브 착용 전후를 들고 있다. 수도꼭지는 손을 대지 않고 작동시킬 수 있는 적외선 자동 수도꼭지나 발이나 무릎으 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비누는 여러 번 사용하는 도중에 쉽게 오염이 되어, 매번 사 용할 때마다 덜어 쓸 수 있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비누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면 수건 은 여러 번 사용하는 동안에 심하게 오염되므로, 한 번 쓰고 멸균을 하든지 일회용 종이수건을 활 용하여야 한다.

보건복지부 치과진료감염방지기준에 의하면, 치 과진료 기관은 진료기자재 관리를 위하여 가압 증기 멸균기는 반드시 구비하여야 한다. 가압증 기 멸균은 포자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미생물을 멸균하는데 사용하며, 시간과 압력과 온도를 사 용하는 기구 소독 과정이다. 가압증기 멸균은 121oC, 15파운드에서 15분간 이상 지나야 멸균이 된다. 약재에 대해서는 Povidone, Chlorhexidine 등 의 약품 중 1종 이상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치과기구자재 소독법은 고압증 기멸균기가 9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멸균소 독을 안 하는 곳도 종합병원에서 1%였다. Kim [16]의 연구에서 가압증기멸균법이 종합병원, 치 과병원에서 각각 100%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한 연구로 우 선 전체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 하지 못하고, 부산지역의 일부 치과병원과 치과 의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모집단의 특징을 완전히 밝혀내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각

병원 급 별로 감염방지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았 기 때문에 치과진료실 감염방지의 실천도 제고 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 약

배경: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급 별 치과위생사 를 대상으로 치과진료감염방지 이행실태를 밝혀 치과진료실 감염방지의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 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치과임상에서 환자의 혈액이나 타액으 로 오염된 날카로운 기구나 바늘에 의해 신체에 상처가 났을 경우 대부분 치과위생사는 손을 씻 고 혈액을 짜낸 다음 소독을 하고 있어 감염방지 를 위한 기본 사항을 잘 지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 다음으로 근무병원별 수준에 따라 장갑, 마스크의 착용률은 치과병원이 가장 높았고 ‘손 세척 여부’는 치과대학병원이 가장 높았다. 다른 병원 별로도 손 세척은 감염방지의 기본으로 손 세척 횟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손 세척에 사용 되는 세제의 종류’는 치과대학병원 및 다른 병원 에서도 항균제 함유 액체비누 사용률이 가장 높 았고 이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사료된다. ‘수도꼭 지 작동’은 손으로 작동하는 비율이 대부분 높게 나타났는데 손보다 발로 작동하는 것이 보다 감 염을 방지하는데 더욱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 다.

결론: 치과진료기재 관리기구와 약품 구비실 태에 대해서도 치과대학병원이 타 의료기관에 비 해 많은 약제를 갖추고 있었는데, 타 의료기관에 서도 Povidone, Chlorhexidine, Glutaraldehyde, Iodo- form 등 다양한 소독약품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근무 병원별로 각 기구별 특징 에 맞게 멸균법과 소독법을 사용하여야 하고 특 히 멸균의 기본인 고압증기멸균을 위한 장치는 모든 병원에서 완벽하게 갖추어야 할 것이다.

치과진료장비의 외부 표면에 대한 관리방법으 로는 1회용 덮개사용과 표면소독제 사용이 권장 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병원에서 표면소독제 사 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회용 덮개사 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1회용 덮개의 사용이

(8)

권장된다.

참 고 문 헌

1. Mulligan R, Seirawan H, Galligan J, Lemme S.

The effect of an HIV/AIDS educational pro- gram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 iors of dental professionals. J Dent Educ 2006;

70:857-68.

2. Cho HS.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prevention of nosocomial infection.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01; 10:5-23.

3. Kim DS. A Study on views on nosocomial in- fection prevention guide of medical professio- nals and office worker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san University Kyongbuk Korea, 2000.

4. Yu MS.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actions of dental hygiene college students, on hospital infec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 Hee University Korea, 2002.

5. Shim HA. A study on dental staff’s perception of the infection management at the dental treat- ment room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 Hee University Korea, 2009.

6. Kim SK. A study on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dental health care worker. Educ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ankook Uni- versity, 2000.

7. Kim HJ. Dental hygienists’ dental treatment in Daegu region actual state in performance of in- fection control standard.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007.

8. Jang SJ. The implementation level of preven-

tive actions for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of a dental hygienist,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4.

9. Nam YS. Factor analysis for enhancing the in- fection prevention implementation level of den- tal hygienist.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2006.

10. Sohng GH. Research on sterilization degree of dental private ENT clinic, natural science side.

Daegu Health College 1992;13:1271-81.

11. Kim SG.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in- fection prevention of dental personnel,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angook University, 2000.

12. Cho YJ.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dental hygienist’s infection management,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Korea University, 2003.

13. Gordon BL, Burke FJ, Bagg J, Marlborough HS, McHugh ES. Systematic review of adher- ence to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in dentistry.

J Dent 2001;29:509-16.

14. Choi MG. Actual condition on the implemen- tation of general precautions for infection pre- vention of personnel in dental consultation room,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aegu Catholic University, 2006.

15. Dubbert PM, Doke J, Richter W, Miller M, Chapman S. Effects of education and feedback.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0;11:191-3.

16. Kim HJ. Actual condition on implementation of dental treatment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of dental hygienists in Daegu, a thesis for a master’s degree.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7.

수치

Table 2. Subject’s infection prevention and whether or not an accident  Dental college  hospital (n=69)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n=42) Dental clinic (n=51) Dentist’s  office (n=38) Total  (n=200) P-value*
Table 3. The General orders to prevent dental treatment infection  Dental college
Table 4. How to wash and dry in each hospital working in Dental college  hospital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
Table 6. How to disinfect dentist’s tool materials

참조

관련 문서

 The Dutch physicist Pieter Zeeman showed the spectral lines emitted by atoms in a magnetic field split into multiple energy levels...  With no magnetic field to align them,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national Edition,

If both these adjustments are considered, the resulting approach is called a bootstrap-BC a -method (bias- corrected-accelerated). A description of this approach

③ A student who attended Korean course at KNU Korean Language Program and holds TOPIK Level 3 or a student who completed Korean course Level 4 at the KNU Korean Language

· 50% exemption from tuition fee Ⅱ for the student with a TOPIK score of level 3 or higher or completion of level 4 or higher class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the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 quadriceps tendon 이 슬개골 하연에서 tibial tuberocity에 부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