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과서 분석을 통한 문화교육 향상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교과서 분석을 통한 문화교육 향상방안 "

Copied!
7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교과서 분석을 통한 문화교육 향상방안

- 중학교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EFL Learner's Culture Teach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 Based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박 재 영

2002

(2)

교과서 분석을 통한 문화교육 향상방안

- 중학교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EFL Learner's Cultural Teach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 Based o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지도교수 박 영 배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12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박 재 영

2002

(3)

박 재 영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2년 12월

심사위원장 ꄫ

심 사 위 원 ꄫ

심 사 위 원 ꄫ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감사의 글

먼저 부족한 나를 이끄시고 도우시는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역시 가장 어렵고 힘들 때 생각나는 사람은 부모님이란 걸 다시 한번 깨달 았고 날 낳으시고 길러주신 부모님께 머리 숙여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하나하나 지도해주시고 정성을 아끼지 않으신 박영배 교수님께 진심 어린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어려운 이론분야와 논리적인 전개 를 위해 애써주신 윤종열, 이자원 교수님께도 진정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어려 운 여건 속에서도 학문에 정진할 수 있도록 배려와 격려를 해주셨던 정연선, 이억재 대령님과 선후배, 동료장교 및 영어교육 전공 학우 여러분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비록 지루하고 힘들었을지라도 내내 옆에서 묵묵히 지켜봐 준 아내와 나의 딸 지은, 아들 지훈을 생각하면 미안함을 금할 수 없습니다. 그 동안 늘 믿어 주고 참아준 나의 가족들에게 남편으로서, 아빠로서 역할에 충실할 것을 다짐 해 봅니다. 특히 하늘에 계신 아버님이 아시면 얼마나 기뻐하시고 대견해 하 실까를 생각하면 한없이 눈물이 나고 가슴이 저려 옵니다. 검정고시로 중학교 과정을 마치고 여기까지…

앞으로도 하나님을 위하여, 나라를 위하여, 또한 무엇보다 사랑하는 가족을 위하여 충실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갈 것을 맹세합니다.

2002년 12월, 화랑대에서 박 재 영

(5)

목 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3

1.3 연구의 제한점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2.1 외국어 교육목표 ···5

2.2 문화의 개념 및 영․미 문화 특징 비교 ···7

2.2.1 문화의 개념 ···7

2.2.2 문화와 언어의 관계 ···8

2.2.3 문화교육의 필요성 ···9

2.3 영․미 의사소통 관습 비교 ···12

2.3.1 문화이해와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12

2.3.2 영․미 의사소통 관습 비교 ···14

제 3 장 중학교 영어교과서 내용 분석 ···22

3.1 교과서 내용 분석의 기준 및 방법 ···22

3.1.1 소재 선정의 원칙 ···22

3.1.2 소재별 분류 ···24

3.1.3 문화내용별 분류 ···26

3.2 교과서에서의 문화교육 ···43

3.2.1 우리문화 소개 내용 ···43

3.2.2 외국문화 소개내용 ···44

3.2.3 문화 비교 내용 ···45

3.2.4 기타 문화교육 내용 소개 ···47

(6)

제 4 장 분석 결과 및 토론 ···50

4.1 A 교과서 ···51

4.2 B 교과서 ···52

4.3 C 교과서 ···52

4.4 D 교과서 ···52

4.5 E 교과서 ···53

제 5 장 결론 및 제언 ···54

참고 문헌 ···59

ABSTRACT ···63

(7)

<표차례>

<표 1-1> 출판사별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3

<표 2-1> 한국과 영미 문화의 차이 ···14

<표 3-1> 소재별 분류 ···26

<표 3-2> 소재별 문화내용 분류(예) ···30

<표 3-3> 문화내용별 교과 분류 ···32

<표 3-4> A 교과서의 소재 및 문화내용별 분류 ···34

<표 3-5> B 교과서의 소재 및 문화내용별 분류 ···36

<표 3-6> C 교과서의 소재 및 문화내용별 분류 ···38

<표 3-7> D 교과서의 소재 및 문화내용별 분류 ···40

<표 3-8> E 교과서의 소재 및 문화내용별 분류 ···42

<표 4-1> 교과서의 문화내용 포함 과목 ···50

(8)

제 1 장 서 론

오늘날 외국어의 습득과 사용은 어느새 선택이 아닌 필수로 변화되었고, 언 어는 그 사용하는 사람들의 관습과 문화차이로 변화하여 왔다. 지구상의 수많 은 언어 중에서도 영어는 국제어로서 통용되고 있는 언어이다. 올림픽, 박람 회, 각종 국제회의와 행사에 영어가 세계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종 학 문 분야의 저서, 논문, 학술지의 대부분이 영어로 쓰이고 있고 무역을 할 때에 도 영어를 대부분 사용한다. 따라서 우리는 영어교육에 최대한 노력을 집중해 야 할 때이다.

그런데 언어는 단순히 특정 국민이 가진 고유의 문자체제만은 아니다. 언어 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국민의 가치관, 사고방식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한 외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결국 그 목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이 해한다는 말과 통하게 된다. 언어란 바로 그 언어 사회의 사고방식과 감정의 표현이며 그 언어 속에는 그들의 전통, 풍습 등 모든 면들이 담겨 있으며 다 른 나라의 언어를 안다는 것은 곧 또 하나의 사고체계를 이해한다는 의미도 지니는 것이다.

1.1 연구의 목적

오늘날의 세계는 학술발달과 국제교류의 증진으로 서로간의 자연스러운 의 사소통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서로 다른 언어권 출신 의 사람들이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국제 공용어인 영어의 습득이 필수불가결 한 일이 되었다.

(9)

이렇게 외국어로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의 4가지 언어기능의 균형적인 발달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문화적인 배경, 의식구조, 행동양식에 대한 이해와 지 식이다. 우리말에는 우리 나라 고유의 사고방식과 생활양식 그리고 습관 등이 포함되어 있듯이 영어에도 그 음성, 어휘, 구조에 영미인들의 독특한 문화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의사소통상에 오해와 왜곡이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없이는 정확하고 올바른 외국어습득이 어렵다.

특히 영어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적 배경이 우리와는 다르며 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된 환경이므로 문화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이렇게 필수불가결한 문화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사, 교수 방법, 교재 등의 여러 가지 제반 요건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만 한다. 교사 의 목표문화에 대한 지식과 태도, 다양하고 흥미로운 교수방법, 그리고 교재의 문화적인 내용 등이 문화교육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적절히 조화를 이룰 때 문 화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교재는 문화교육 내용 의 기반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재는 그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우수하고 다양한 외국어 자료가 부족한 우리의 현실에서는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크다. 따라서 외국어 교과서는 기본적인 언어능 력배양 뿐만 아니라 목표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효과적인 문화교육도 어렵고 원활하고 자연스런 의사소 통을 기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영어 교과서와 문화교육 교재에 소개된 목표 문화내용을 비교

(10)

분석한다.

둘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그 문제점을 찾아보고 대안을 제시하여 문 화교육, 나아가서는 외국어 교육의 효율화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서 개정된 중학교 영어교과서를 문화적인 측면에서 내용 분석한다. 현재 중학교 영어 교과서는 총 13종(교학사, 금성출 판사, 대일도서, 대한교과서, 동화사, 두산 2종, 디딤돌,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지학사, 청색, 천재교육, 학문출판)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지역 중학교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 5종을 선별하여 출판사별로 본문의 구 성과 소재, 문화내용별로 각각 분석한다. <표 1-1>에서와 같이 교과서는 출판 사 별로 가나다 순으로 하고, 이들 교과서를 분석할 때 편의상 A, B, C, D, E 기호로 교과서의 종류를 표기한다.

<표 1-1> 출판사별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구분 출 판 사 출판년도 저 자

A (주) 교학사 2001 배두본외 5인

B 동화사 2001 정길정외 6인

C (주) 두산 Ⅰ 2001 김성곤외 4인

D (주) 두산 Ⅱ 2001 장영희외 5인

E (주) 지학사 2001 이성호외 5인

본 논문의 제 2장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문화교 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외국어 교육목표,

(11)

그리고 영․미간 의사소통 관습을 비교, 분석한다. 제 3장에서는 현재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의 구성을 알아보고 소재와 문 화적인 내용별로 분류하여 우리 문화와 외국 문화 소개내용을 파악함으로써 개선방안도 함께 연구한다. 제 4장에서는 교과서별로 분석결과를 알아보고 제 5장에서는 효과적인 문화교육방법을 제시하고 결론 및 제언을 한다.

1.3 연구의 제한점

이 논문이 가질 수 있는 한계점은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본문내 용만으로는 소재별, 문화내용별로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교과서는 지면 의 부족과 구성상, 내용상의 특성과 한계 때문에 문화내용만을 전적으로 다룰 수 없고 문화내용은 교과서 전체에서 우리 문화와 외국문화가 함께 소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일부만 선별, 분석하여 타교과서와 중 1, 2, 3학년 전체에 포함된 문화내용을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분석결과를 모든 교과서에 동일한 경우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논문이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주제를 연구한 것 은 교과서에 부족한 문화내용을 보완하고 문화교육을 효율화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이다.

(12)

제 2 장 이론적 배경

어느 한 나라의 언어를 학습함으로써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말과 글 을 이해하고, 나아가서는 그들의 철학과 사상을 이해할 수 있다.

교육부(1994: 206)에서는 우리 나라 중등학교 영어교과는 의사소통을 길러주 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지만 학생들이 현대 일상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으로써 국제사회와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 의 문화를 발전시켜 국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언어적 바탕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그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사고방식 을 모르고서는 그 언어를 잘 배우고 그들의 글을 완전히 이해할 수가 없다.

교차 문화적 의사소통을 할 때 사람은 자신의 문화 속에서 형성된 습관, 가치, 신념, 개념을 바탕으로 언어적 의미와 비언어적 의미의 메시지를 전하고, 전하 여진 메시지를 자신의 문화틀 안에서 인지 및 해석하려 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문화가 언어를 가지고 있듯이 각 문화는 자기 나름대로의 논리가 있 다.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하기 전에 사회문화적 배경의 지식을 습득하여 그 문화적 배경에서 오는 논리를 이해하여야만 진정한 의미의 문화이해나 상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2.1 외국어 교육목표

제 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 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이다. 한국교육개발원(1997: 6)에서는 이를

(13)

구현하기 위한 7차 개정의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 개인차를 고려한 학생 중심의 영어 교육 나.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영어 교육 다. 활동과 과업 중심의 영어 교육

라.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영어 교육 마. 국가 발전과 세계화에 기여하는 영어 교육

초등학교 영어 교과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 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인 반면, 중등학교 영어 교과는 초등학 교에서 배운 영어를 토대로 하여 학생들이 현대 일상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으로써 국제사회와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 가 우리의 문화를 발전시켜 국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언어적 바탕을 마련 하기 위한 교과로, 한국교육개발원(1997: 109)에서 밝힌 우리 나라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영어교육의 최종 목표는 다음과 같다.

일상 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사소 통 능력을 길러 외국 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여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고, 이 를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한다.

가. 영어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며,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기 르게 한다.

나. 일상생활과 일반적인 화제에 관하여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있게 한다.

다. 외국의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라. 외국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올바른 가치관 을 가질 수 있게 한다.

(14)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언어 교육을 통한 서로 다른 문화의 이해와 교육에 있다고 생각할 때, 외국어 교육은 목표언어의 언어적 기능만을 가르치 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그 언어가 사용되고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접 근함으로써 문화적 내용에 대한 인식력을 개발시켜 나가야 한다.

2.2 문화의 개념 및 영․미 문화 특징 비교

2.2.1 문화의 개념

Rivers(1981: 263)는 한 민족의 문화는 분명히 훈련의 결과이다. 이런 훈련 은 공동체에서 공유하는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어떤 사회 집단에서 성장하는 어린이는 행동하는 방법,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 사물을 보는 방법, 그리고 가치를 두어야 하는 것, 경멸하거나 피해야 하는 것, 자신에게 기대 되는 것, 다른 이들에게서 기대할 수 있는 것 등을 배우게 된다. 이런 태도, 반응 은 그것들을 따로 의식하지 않고서 생활의 일부분으로 되어간다고 말하였다.

최용재(1999: 14)는 첫째, 문화는 인간사회의 어떤 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추상적 실체이다. 둘째, 문화는 유전에 의하여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본능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교습되는 행동양식이다. 셋째, 문화는 한 세대에서 다음세 대로 전달되며 형성된다. 따라서 문화는 끊임없이 변하기 마련이다. 넷째, 문 화는 인류의 사회 공동체가 다양한 만큼 다양하다. 다섯째, 문화는 사회와 공 동체의 경계를 넘어서 전파된다고 말하였다.

이러한 정의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문화라는 것은 사회적으로 공유한 지식 이며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것으로 한 사회 구성원 전체의 생활 양식으로서 생활태도, 행동양식, 사고방식을 볼 수 있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현상을 다

(15)

포함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2.2.2 문화와 언어의 관계

정정섭(1982)은 언어는 인간 상호간의 가장 섬세하고 효과적인 의사전달 수 단일 뿐 아니라 무한한 지식의 기록과 창조를 가능하게 하고 인간의 창의적인 사고의 기반이 되어 언어에 의지함이 없이는 인간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없음은 물론 생활의 질보다 문화의 발전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Sapir(1921: 17)는 언어는 인간의 경험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기술하고 표현 하는 수단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한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그 세계의 구 조 밑에 흐르는 신념체계와 가정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와 객관적인 현상에 대한 견해와 신념과 역사는 언어를 통해서 전달되며, 이렇게 하여 언 어와 한 공동체의 문화 사이에 관련을 맺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언어 는 한 개인이 행하는 사회적 산물이며, 동시에 문화의 모든 분야 중에서 가장 전형적이고 발달된 형태로서 언어와 문화는 고립되어 분석될 수 없다.

최현욱(1991: 370)은 언어에 나타난 그 사회의 문화요소를 특히 어휘 면에서 구체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데 영어의 aunt에 대응하는 단일어가 한글에는 없 고 숙모, 고모, 이모, 아주머니 등으로 각기 그 의미를 달리하는데 이는 우리 나라에 소수 민족 집단이 없으므로 한국인이라는 민족의식이 매우 강하고 가 족 중심의 유교 문화 전통을 가지고 있어 가족 구성원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용어가 발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한다.

Condon과 Yousef(1976: 171)은 개인들은 사회 속에서 유형화된 음성, 어휘 및 구조를 통하여 자신의 모든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한다고 하였다.

또한 그러한 언어는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내용을 표현할 수 있는

(16)

상징적 체계라는 것이다. 즉 언어는 그 문화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사고와 감 정을 대변하는 것이며, 언어 속에는 문화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언어 는 특정 문화의 집단과 의사소통을 하고 그 문화에 접근해 가는 매개가 될 수 있다. Hall(1959: 93)의 의사소통이 곧 문화이며 문화가 곧 의사소통이다라는 말에서 언어와 문화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동적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언어와 문화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언어를 배우고 이해하는 것은 그 문화적 배경을 배우고 이해하는 것이다. 외국어를 배우는데 있어 어 려움을 겪고 있다면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와의 차이가 큰 데서 기인하는 것 도 상당히 있다고 본다. 학습자가 자기 문화의 기준으로 다른 문화를 보려하 기 때문에 오해와 장애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언어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의 바탕이 되는 문화를 이해하고 인 식해야 할 것이다.

2.2.3 문화교육의 필요성

외국어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왜 그 외국어의 문화를 가르칠 필요가 있는 가? 특히 영어로 의사를 소통하기 위한 준비로 왜 영어권 문화의 교육이 필요 한가? 그것은 문화간의 의사소통에서 빚어지는 오해를 해소하려는 노력의 일 환이기 때문이다.

문화지도를 통한 영어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양하게 시도 되고 있으며 그 중에 조순희(2000: 82)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지도를 한 결과 독해력과 말하기 능력이 신장되었다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문화내용 지도가 음성언어 중심의 의사소통 교수법에 기초한 영어학습보다 영어의사소 통 능력과 학습의 흥미도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히고

(17)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영어교육 목표에 제시되어 있듯이 외국문화에 대한 중요 성을 인식하고 문화지도를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하여야겠고, 또한 이러한 중 요성을 인지하여 영어교과서와 교육과정에 언어내용과 함께 문화내용이 충분 히 포함되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장중희(2000: 64)는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문화교육이 어떻게 실시되는가를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 국인의 실리주의나 집단을 중요시하는 정신, 평등주의, 분명한 의사표현의 예 들은 미국을 이해하는데 바람직한 내용이라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한국 어린이의 의존성과 사적인 질문을 하는 등의 예는 미국문화를 이해하는 데 적절하지 못한 내용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사들이 미국문화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점은 우리의 영어교육의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박성수(2002: 54)는 한․미간 문화비교를 통하여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제시 하였다. 문화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은 대부분의 언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교실상황에 달려있고, 학생과 교사는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이를 현실화 하고자 하는 열정을 지녀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문화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들이 충분한 자격조건을 갖추어 야 하며, 교재 역시 문화의 중요사항들을 다루어야만 한다. 또한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수준을 높이고 문화교육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실 질적인 방법을 담고 있는 교수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외국어 교습에 있어서 목표문화의 적극적 교육은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위 하여 필수적이다. 목표문화의 교육은 목표 외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때 발생하

(18)

는 오해를 막기 위하여 필요하고,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위하여서 목표 문화의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Seelye(1974: 38)는 외국어 교육에 있 어 문화 교육은 생활 속에서 저절로 터득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 계획적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Cultural Goal : Sense of functionality of culturally Conditioned Behavior.

Cultural Goal : Interaction of Language and Social Variables.

Cultural Goal : Conventional Behavior in Social Variables.

Cultural Goal : Cultural Connotations of Words and Phrases.

Cultural Goal : Evaluating Statements about a Society.

Cultural Goal : Researching Another Cultures.

Cultural Goal : Attitudes Towards Other Cultures.

그는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문화 지식이 필요하다고 언급하 고 있다. 첫째 목표는 문화적으로 규정된 행동을 지각하고 지능화 하는 것으 로 학생들에게 양 문화간의 차이를 인식시키고 이해시켜 다른 문화를 자연스 럽게 받아들이는 안목을 넓혀 주는 것이다.

둘째 목표는 언어와 사회 변이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데 있다. 즉, 연령, 성별, 사회, 계급, 거주지 등에 따라 말하는 방식과 행동 양식이 다를 수 있다 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셋째 목표는 일상 생활에서 오랜 기간 동안 양식화된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다. 예를 들어 영어권 사람들이 인사할 때 껴안는다거나 입맞춤을 하는 행동 을 할 때 우리는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다. 이는 우리가 그들의 양식화된 인사 방식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넷째 목표는 단어와 구에 문화적 함축된 뜻을 이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약국의 영어표현인 drugstore는 우리 나라에서처럼 약만 파는 곳이 아니라, 약

(19)

품 외에 화장품, 문방구, 담배, 신문, 잡지, 과자 등 다양한 생필품 외에 간단 한 식사와 목표 문화에 대해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다섯째 목표는 목표문화에 대해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여섯째 목표는 목표 문화에 대한 정보를 조직화하여 다른 문화에 대해 연구 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다섯째 목표와 서로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학습자는 일곱 번째 목표에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즉, 목표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그 나라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외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지도가 필요한 이유는 다른 문화권의 행동을 이해하면서 더 나아가 자연스럽게 그들의 행동을 예상할 수 있어 언어 습득에 앞서 이질적인 문화에서 올 수 있는 문화적인 충격을 줄일 수 있고, 언어 그 자체의 뜻만이 아니라, 언어의 내면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 효과적인 언어 학습을 할 수 있다.

2.3 영․미 의사소통 관습 비교

2.3.1 문화이해와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외국어를 배우는 목적은 그 외국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과 그 나라 사람들 의 생활과 사상, 문학 등 문화내용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때 의사소통능력과 문화내용의 이해는 따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온전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목표어의 문화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Shanahan(1998: 454)은 문화와 언어는 서로 상호작용을 함으로 원활한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그 문화를 알아야 한다고 했다.1)

(20)

the intimat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would suggest that there is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side of language and the cultures which emerge out of language.

이처럼 언어를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사회 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 진 존재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 언어 능력에 대한 개념은 달라지게 된다. 언어 에 대한 문법적인 지식을 중요시하는 종래의 언어 능력의 개념에서 확대된 개 념이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으로 Hymes(1979: 19-24)는 이것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 Whether (and to what degree) something is formally possible;

(2) Whether (and to what degree) something feasible in virtue of the meaning of implementation available;

(3) Whether (and to what degree) something is appropriate (adequate, happy, successful) in relation to a context in which it is used and evaluated;

(4) Whether (and to what degree) something is in fact done, actually performed, and what is doing entails;

이처럼 Hymes가 제시한 의사소통능력은 문장의 내적인 체계에 대한 문법 지식뿐 아니라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사회 문화적 배경까 지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능력을 말한다.

인간은 문화를 통해 의사소통을 배우고, 그 사람의 행동도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이미 학습된 것이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있는 것이기 때 문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의사소통 하는 방법, 언어패턴 유형, 비언어적 행위 들은 모두 문화적으로 결정된다. 문화가 다르면 의사소통 자체도 달라질 수 있 다. 결국 문화 이해는 좀 더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게 해 준다고 할 수 있다.

1) Shanahan, D. Culture, Culture and culture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Foreign Language Annals, (1998, p.454).

(21)

2.3.2 영․미 의사소통 관습 비교

한국문화와 영미 문화를 비교하는데 있어서 박형기(1982; 23)의 문화분류는 매우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표 2-1> 한국과 영미 문화의 차이

한국문화 영미 문화

불교, 유교가 바탕

가족을 중시(collectivism) 체면존중

폐쇄적, 내성적 연장자 우선 주관적 노동경시 종적인 관계 간접적, 형식적

기독교가 바탕

개인주의(Individualism) 실질숭상

개방적, 외향적 여성 우선 논리적 노동중시 횡적인 관계 직접적, 실질적

예를 들면, 우리는 어떤 물건이 잘 팔리면 물건에 날개가 달린 것처럼 비유 해서 “날개 돋친 듯이 팔린다”라고 비유하지만, 영어에서는 “It sells like hotdogs”(hotcakes)라고 표현한다. 우리는 아주 쉬운 일을 “누워서 떡 먹기”라 고 표현하지만, 미국인들은 “It's a piece of cake.”이라 하고, 우리말의 노랭이 는 구두쇠를 의미하지만, 영어의 “He's yellow.”라는 말은 전혀 다른 의미인

“not brave”의 뜻을 지닌다. 아무리 노력해도 해결해지지 않는 상황에 대하여 앉은뱅이 용쓰기라는 표현에서 장애인을 비유로 사용하고 있지만, 미국인들은

“It's like spinning wheels.”라고 표현한다. 우리의 “누워서 침 뱉기”를 영어로

“Thou shall not pee against the wind.”라고 표현한다.

(22)

영어와 한국어에 나타난 표현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일상의 대화

한국인들은 보통 거리에서 친구나 아는 사람을 만나는 경우, “어디가세요?”

라는 질문을 한다. 한국인들이 이 질문을 할 때에는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형식적으로 하는 일종의 인사말이다. 이 질 문은 상대방의 목적지를 묻거나 정확한 대답을 기대하는 질문이 아니다. 따라 서 대부분의 경우 이 질문을 받았을 때에는 정확하게 행선지를 밝힐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가 미국인에게 “Where are you going?”이라 한다면, 미국인 들은 자신의 사생활을 침해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사실 한국인의 경우,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남의 사생활에 많이 관여하는 경향이 있다. 하 지만 이는 종종 미국인들에게 큰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2) Yes와 No의 대답

우리는 상대방의 질문에 대하여 “yes, no”를 쓰지만 미국인의 경우는 상대 방의 질문보다는 자신의 의사에 따라 “yes, no”를 선택한다.

<영어> <한국어>

A: Don't like pizza? A: 피자 좋아하지 않으세요?

B: No. B: 네. 안 좋아해요.

A: Don't like pizza? A: 피자 좋아하지 않으세요?

B: Yes. B: 아니오. 좋아해요.

영어의 yes/no는 대답하는 사람의 의견에 따라 결정되고, 한국어의 예/아니 오는 물어본 사람의 말에 대해 결정된다. 한국 사람들은 자신의 입장보다는

(23)

상대방의 입장을 먼저 고려해서 대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의 차 이는 미국인은 대체로 화자(말하는 사람) 위주의 사고방식이고 한국인은 상대 방(듣는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국어와 영어가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3) 의복에 관한 차이

영어의 wear은 옷, 모자, 신발 등의 여러 종류의 물건들을 인간의 신체에 걸친다는 뜻이다. 한국어의 경우에는 어떤 물건을 어떤 부위에 착용하느냐에 따라 각각 다른 단어를 사용한다. 모자나 안경의 경우는 쓰다, 옷의 경우에는 입다, 신발과 양말의 경우에는 신다, 반지나 장갑의 경우에는 끼다 등으로 표 현이 다양하다.

(4) 시각문화와 청각문화

한국문화는 귀의 문화이고, 미국문화는 눈의 문화이다. 청각을 중시하는 한 국 언어는 정감이 있고, 시각이 발달한 미국문화는 논리가 있다. 그래서 청각 을 중시하는 한국문화에서는 “I know(알겠습니다)”라고 할 것이고, 시각을 중 시한 미국문화에서는 “I see”라고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표현방식이 달라 지는 것은 문화권에 따라 사고유형이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인들은 간섭받기를 싫어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존중한다. 이에 반해 한 국인들은 집단주의를 우선으로 생각하여 자신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전체에 의 존하는 경향이 짙다.2) 결과적으로 우리는 개인보다는 집단 내에서의 인간관계 가 중시되며 집단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기를 원한다(신성철, 박의제,

2) 박종호(1989), 한국인과 미국인의 의사소통 차이 : 언어와 문화를 중심으로, 현대언 어학회, 제6호, p. 204

(24)

1989: 158).

위에서 살펴본 영․미간의 언어표현은 두 국민의 의식을 잘 말해주고 있는 것으로 한국에서는 개인은 가족을 이루는 하나의 구성원에 불과한데 반하여 미국에서는 가족 개념보다는 개인의 개념이 뚜렷이 부각되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인들은 I, me, my와 같은 표현을 즐겨 쓰는데는, 그들의 강한 주 체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자기와 다른 사람을 구별하는 이분법적인 성향을 잘 나타내고 있다.

우리는 종종 영어로 말할 경우 우리의 언어에 따라 영어단어를 찾으려 한 다. 예를 들면 “그 사람 왔어요?”를 “Is he here?”라는 표현을 하기보다

“come”이라는 동사를 사용하려 하고, “학교 다녀오겠습니다”는 school로 시작 되는 것이 아니라 그저 “Good bye”다. 공공기관이나 회사를 찾아온 손님을 기 다리게 할 때는 “Wait a minute”이 아니라 “I'll be right with you”를 써야 하는 것은 문법을 넘어선 문화에서 오는 문제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언어사용에서 언어문화의 틀로 지속되고 있는 관습 은 한 사회 공동체의 생활태도, 행동방식, 습관 등의 일상 생활 양식과 그들의 가치관, 사고 방식, 신념 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외국어 교 육에서 문화 이해를 배제한 언어 지도란 있을 수가 없다. 어떤 언어이든 한 사회에서 공용되는 언어에는 그 공동체 구성원의 사고 방식, 생활 양식, 신념, 가치관 등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언어의 문법적 구조를 잘 알고 있거나 단어 를 많이 외우고 있다 하여 그 문화권의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이룰 수 있는 것 은 아니다. 결국 진정한 의미의 외국어 이해와 적절한 외국어를 구사하려면 목표어의 사회 관습적인 의미를 모르고서는 진정한 의미의 외국어 이해 및 의 사소통은 불가능하다.

(25)

많은 미국인들은 구두에 의한 의사소통(verbal communication)이 특히 고용 주와 고용인,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는 비구두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 nication) 보다 더 중요하다고 느낀다. 그들은 언어적 의사전달이 비언어적 의 사전달보다 더 명백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다른 사람의 생각 과 감정을 앞서서 추측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자 신의 마음속에 있는 생각을 말로 나타내야 하는 것을 본인의 책임이라고 여긴다.

지금까지 영․미 양 문화의 의식구조의 차이와 생활양식 및 관습의 차이를 비교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다음에는 의사소통 양식 에 있어서 언어적인 의사소통 양식과 더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구두 언어 를 살펴보고자 한다.

(5) 비구두 언어(Nonverbal Language)의 비교

인간이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서 말로써 이루어지는 언어적 행위뿐만 아니 라 말이 아닌 비구두 언어 상호 행위(nonverbal interaction)로 이루어지는 부 분이 크다. 비구두 언어 의사 소통이란 말에 의한 의사전달 방식이 아닌 몸짓, 얼굴 표정, 눈의 움직임이나 눈썹 치켜올리기, 어깨를 으쓱하기, 오므린 입, 몸 자세의 변화 등 동작론(kinesics) 영역을 비롯해서 음질의 변화나 웃음, 미소, 하품, 투덜거리기 등을 말한다. 뿐만 아니라 말이 아닌 준언어(paralanguage) 를 포함하여 피부 접촉, 피부 빛깔 및 민감도, 심지어는 의복 및 화장 등에 이 르기까지 말이 아닌 인간의 모든 의사 전달 방식을 말한다(조윤숙, 1998: 35).

일반적으로 한국인들은 감정을 솔직히 나타내지 않는 반면, 미국인들은 정 직하고 풍부하게 나타낸다. 즉 한국인들은 유교의 영향으로 희로애락을 잘 표 현하지 않는 것을 미덕으로 교육받아 왔기 때문에 대화할 때 무표정하며 감정

(26)

을 억제하려 한다. 반면 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보기에는 지나칠 정도로 풍부 한 감정을 나타낸다.

그러면 의사소통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와 같은 비구두 언어가 문화 가 다른 국민에 의해 서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지에 대해 body language, paralanguage의 예를 통해 살펴보겠다.

(5.1) Body Language

신체 언어란 의미가 있는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말하며 이를 연구하는 학문 이 Kinesics이다. 여기에는 얼굴 표정, 눈, 머리, 어깨의 움직임, 손동작, 자세 등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몸 동작이 나타내는 의사 전달적 의미 역시 문화권마 다 다르다.

예를 들면 우리나 미국 그리고 유럽인들에게는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예”

를 의미한다. 그러나 에스키모인의 동작 체계에서 고개를 끄덕임은 “아니오”

를 의미하고, 옆으로의 흔들림은 “예”를 의미한다. 일본의 아이누족의 “예” 표 시는 양팔을 가슴에 가까이 하고 양팔을 상하로 흔든다. Malaya 오지의 난쟁 이 Nigritkos족은 머리를 앞으로 내밀고, 예 표시를 한다. 그러나 인도의 Punjab 출신 사람은 머리를 뒤로 제쳐서 한다(조윤숙, 1998: 41).

또 다른 예를 살펴보면, 미국인의 경우, 눈의 접촉은 사회 지위나 성에 관계 없이 대화 참여자간에 오래 지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결여는 무관심, 무례, 음흉한 것으로 해석되지만, 한국인의 경우, 대화 중 상대의 눈을 빤히 쳐다보는 것이 특히 이성간에는 결례로 알려져 있으며 눈을 찡긋하는 것은 외 설적 행위까지 간주된다.

눈의 지속 동작이 한국인과 미국인 사이에 어떻게 다른지는 다음과 같은 설

(27)

명에 잘 나타난다. 미국인 학생의 눈 지속 동작은 특정의 어느 한가지 의미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그 가능성은 대체로 위와 같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현대에 와서 위에서와 같이 한 가지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세대 중에서 전통적인 유교 문화의 윤리를 고수하는 성인들에게는 사실로서 적용된 다. 그것은 유교 문화의 권위주의, 서열주의적 특징의 반영 때문이다(조일제, 1993: 26).

인사법에 있어서도, 길을 가다가 사람을 만나면 한국 사람은 우선 머리를 숙이면서 인사하는데, 미국 사람은 머리를 쳐들어서 “Hi”라고 한다. 이러한 미 국 사람들의 동작은 한국 사람들에게는 건방진 태도로 받아들여질 수가 있다.

또한 한국 사람에게 있어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만든 원은 돈을 가 리킨다. 젊은 사람들이나 학생들은 동성간에도 손이나 팔을 잡고 걷는다. “쉿”

이란 소리는 청중이 모인 자리에서 장내의 정숙을 바라는 연사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일본이나 스페인에서도 사용하며, “쉬이 이이...” 하고 길게 내면 어머 니가 아이의 소변을 재촉하는 것이다.

반면에 미국 사람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원으로 만들면 “OK”를 나타내고 엄지손가락만을 세우고 주먹을 쥐는 것은 thumbing up으로 만족감 이나 승리의 표시이며, 양손을 벌리고 손을 위로 향해 양쪽 어깨를 움츠리는 것은 “I don't know”의 의미이고, 동성끼리 손이나 팔을 잡고 길을 걸으면 동 성연애자로 오인하기 쉽지만 이성간에는 대중 앞이나 공공장소에서 kissing이 나 손을 잡아도 못 본체 한다. 청중 앞에서 ‘쉬(hissing)’소리를 내면 hiss away, hiss off, hiss down 등의 표현에서처럼 ‘씻...’ 하면서 연사를 쫓아내거 나 야유 혹은 퇴장하게 하는 불찬성의 표시라고 Lado(1957: 118)는 설명한다.

이처럼 문화권마다 다르게 표현되는 몸 자세, 모습, 얼굴 표정, 신체 동작

(28)

등의 비구두언어 영역에 대해 잘 수행할 수 있는 준비를 해야만 의사소통에 성공할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5.2) Paralanguage

말이 아니고 음성의 변화에서 나오는 템포나 음역, 음량과 같은 것을 paralanguage라고 한다. 한 언어의 음운적, 어휘적, 의미적 내지 문법적 난이 성을 극복하였다고 하더라도 음질의 변화인 템포나 음역, 음량과 같은 para- language를 떠나서는 노여움이나 놀람, 유머, 슬픔, 의혹과 같은 인간의 기본 적 감정을 표현한다거나 이를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감정을 나타내는 동작 이나 반응은 말 자체 속에 담긴 것이 아니고 말 밖의 요소인 paralanguage나 동작학(kinesics)에 의해 전달되기 때문인 것이다(조일제, 1993: 25).

이렇듯 몸 동작이나 음질의 변화뿐 아니라 대화할 때 대화자간의 거리, 피 부접촉이나 민감도, 피부의 색깔, 의복 및 화장도 메시지 전달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사 소통에 있어서 비언어적 요소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공식을 보면 total impact of a message = verbal(7%) + vocal(38%) + facial(55%)로 나타내진 다. 즉 언어의 지시적 기능에의 의존도는 겨우 7%이며 나머지 93%는 준언어 (paralanguage) 즉, 언어 자체는 아니지만 언어 행위에 수반되는 표현, 즉 목 소리의 변화, 동작, 표정 등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최현욱, 1994: 394). 이렇게 볼 때, 우리가 외국어 교육에 쏟는 노력의 일부를 비구두 언어 의사 소통의 이해에 쏟는다면 국제 문화 속에서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하는데 많은 발전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하여 날로 복잡해지고 빈번해지는 국제 교류에서 자 신을 이해하고 타 문화권의 사람을 이해할 수 있는 의사 소통 능력을 배양해 야 하겠다.

(29)

제 3 장 중학교 영어교과서 내용 분석

3.1 교과서 내용 분석의 기준 및 방법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내용 분석을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현행 중 학교 영어교과서를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첫째, 소재의 다양성에 의한 분류 이다. 제 7차 교육과정 개발연구에서는, 일상 생활과 친숙한 일반적인 화제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되, 의 사소통능력, 탐구능력,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17가지의 소재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출판사별로 소재의 다양함을 분류해 본다. 둘 째, 문화내용에 따른 분석이다. 학습자의 연령과 수준에 따른 활동과 관심을 기본적 4개 영역으로 나눠서 교수요목의 제반 주제(themes)를 설정하였다.3)

주제 1 가족 및 친구들 사이에서 갖는 인간관계 주제 2 사회적 제관계와 지역사회의 제활동

주제 3 문화적 생활습관(life-habits), 풍속, 전통, 기타 주제 4 자연환경, 과학, 기술, 기타

3.1.1 소재 선정의 원칙

우리나라 중학교 교과서에 우리나라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영어 교육목 표에 나타나 있는, 외국 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여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고 이를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는지, 먼

3) 본 논문에서는 조명원의 분류를 토대로 Finocchiaro(1964), Bierstedt(1970), Brooks (1960) 의 문화내용을 참고로 하여 문화내용을 분류, 분석하였다.

(30)

저 소재 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교육개발원(1997: 148)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개발연구 소재선정의 기본원칙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흥미, 필요, 동기, 지적 수준 등을 고려하여 학습의욕을 유발 할 수 있는 소재를 선정한다.

둘째, 주제와 상황, 과업 등을 고려하여 소재를 선정한다.

셋째, 성취 기준 달성에 적합한 소재를 선정한다.

넷째, 상호 작용에 적합한 소재를 선정한다.

다섯째, 심화 학습과 발전 학습에 적합한 소재를 설정한다.

또한 일상 생활과 친숙한 일반적인 화제를 중심으로 자연스런 언어 활동을 위하여 제시한 17가지 소재는 다음과 같다.

a. 개인 생활에 관한 것(개인생활)4)

b. 가정 생활과 의식주에 관한 것(가정생활) c. 학교 생활과 교우 관계에 관한 것(학교생활)

d. 주변의 사회 생활과 대인 관계 등에 관한 것(사회생활) e. 생활 습관, 건강, 운동 등에 관한 것(생활습관)

f. 취미, 오락, 여행 등 여가 선용에 관한 것(여가선용) g. 동식물, 계절, 날씨 등 자연 현상에 관한 것(자연현상)

h. 외국인의 생활 습관, 학교 생활 등 일상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외국문화)

i. 우리 문화, 예절, 일상 생활을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우리문화) j. 공중 도덕, 질서 등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가치관형성) 4) ( )는 본 연구자가 편의상 간단하게 분류하기 위해 임의로 그 핵심의미를 선정하여

함축적으로 표현한 단어임.

(31)

k. 환경 보전, 봉사, 협동 정신 등 건전한 사고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건전한 사고)

l. 인문, 사회, 정치, 경제, 역사, 지리, 과학, 해양, 우주탐험 등 교양을 넓히 는 데 도움이 되는 것(교양증진)

m. 예술, 문학 등과 같이 심미적 심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예술, 문 학)

n. 근로, 근검 절약, 진로 문제 등 개인의 복지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복지 증진)

o. 남녀평등과 민주 시민생활 등 민주의식을 고취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민 족의식)

p. 정서 순화와 합리적 사고력 배양에 도움이 되는 것(사고력 배양) q. 국제 관계 이해 등 애국심 함양에 도움이 되는 것(애국심 함양)

여기서는 소재의 다양함을 살펴보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제 시한 위의 소재를 기준으로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5종의 내용 중 본 문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소재별 분석표에서는 a, b, c, d, e, f, g, h, i, j, k, l, m, m, o, p, q로 위의 소재 순서대로 소재내용 종류를 표기하였으며, 소 재간의 분류가 중복되거나 명확하지 않은 과(lesson)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 을 하였다.

3.1.2 소재별 분류

<표 3-1>에 나타난 소재내용을 분석해 보면, 중학교 1학년 5개 출판사의 영어교과서 본문 소재로는 인문, 사회, 정치, 경제, 역사, 지리, 해양, 우주탐험 등

(32)

교양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 11회로서 가장 많고, 외국인의 생활습관 및 학교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내용은 8회, 주변의 사회생활과 대인관계 등에 관한 내용과 취미, 오락, 여행 등 여가선용에 관한 내용이 7회 순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 외국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는 영어교육의 최 종목표를 반영한 결과라고 본다.

교양증진이 전체 소재의 18.3%를 차지하는 것은 외국(한국적 상황) 소개라 하더라도 외국인(한국인)의 일상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과는 8번(9번) 범주로 분류한 반면, 외국(한국)의 지리, 간단한 음식에 대해 중학교 1학년생 이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상식적인 내용은 12번 범주로 분류했기 때문이 다. 따라서 외국인의 생활습관, 학교생활 등 일상생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은 8회로 비교적 많게 분류되었고, 우리 문화, 예절, 일상생활을 소 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은 3회로 다소 적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외국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여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고 이를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내용은 생활습관으로부터 교양증진을 위한 소재 에 포함되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문화내용은 11회(외국문화: 8, 우리문 화: 3)로 전체 60개과(lesson)에서 18.3%나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본고에 서 별도 정리한 바와 같이 다른 과(lesson)에도 문화내용이 고르게 소개되고 있다. 단, 예술, 문학, 복지증진, 민주의식, 애국심 함양에 대한 내용은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분류하지 않았으나 다른 소재와 함께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3)

<표 3-1> 소재별 분류

구분 소재 소재 내용 포함 교과

A B C D E 합 계

1 개인생활 1과 1과 1과 3

2 가정생활 4과 2과 3과 2과 4

3 학교생활 1과 3과 3과 1과 3과 5

4 사회생활 2과 7과 4,12과 2과 9과 6

5 생활습관 3과 10과 2

6 여가선용 6과 11과 8,11과 11과 5,7과 7

7 자연현상 2과 10과 6과 3

8 외국문화 10,9과 4,5과 6과 5,9과 4과 8

9 우리문화 8과 6과 8과 3

10 가치관 형성 12과 1

11 건전한 사고 12과 9과 10과 7과 11과 5

12 교양증진 11과 8,10,12과 5,7.9과 4,6과 8,12과 11 13 예술,문학

14 복지증진 15 민주의식

16 사고력배양 5,7과 2

17 애국심함양

3.1.3 문화내용별 분류

Finocchiaro(1973: 142-146)는 문화내용 중에서 소개, 교실, 학교, 가족, 가정 은 주제 1(가족 및 친구들 사이에서 갖는 인간관계), 주변의 지역사회는 주제 2(사회적 제관계와 지역사회의 제활동), 명절은 주제 3(문화적 생활습관, 풍속, 전통, 기타), 더 넓은 지역사회로의 여행, 문학은 주제 4(자연환경, 과학, 기술, 기타)의 문화내용으로 분류한다.

Bierstedt(1970: 149-165)는 문화의 내용을 정신(Ideas, Thinking), 행동

(34)

(Norms, Doing), 물질(Material, Having)의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정신 문화 는 과학적 사실, 종교적 신념, 신화, 전설, 문학, 미신, 격언, 속담, 민속 등으로 세분하고 있다. 사고방식(ways of thinking)이 아니라 행동방식(ways of doing)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직접적,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 문화는 행동하는데 대한 일반적인 지침서로 생각되어질 수 있다. 편지 쓰기, 수업에 참석하기,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기, 축구경기 보기, 식료품 사기, 은행 에 저금하기, 차 주차하기, 비행기 타기, 티켓 구입하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사회의 구성원들이 소유하고 사용하는 물질항목(material item)인 물질 문화는 기계, 도구, 기구 건물, 도로, 다리, 가공품, 의복, 차량, 가구, 음식물, 의약 등 으로 세분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문화는 그 구분이 아주 명확하지 않아서 정 신 문화와 행동 문화의 혼합으로 이데올로기(Ideology), 행동문화와 물질 문화 의 혼합으로 기술(Technology)을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Bierstedt의 이러한 문화내용은 과학(과학적 사실), 문학(신화, 전설, 문학), 친구 및 학교생활(수업에 참석하기), 주변의 사회생활(비행기 타기, 티켓 구입하기, 식료품 사기) 등 각 주제에 대한 문화내용을 이룬다. 속담, 건물, 도로, 다리, 의복은 그 국적에 따라 우리 문화소개 혹은 외국 문화소개로 분류 하였고, 편지 쓰기는 글이 주는 메시지에 따라 친구, 우리 문화소개 혹은 외국 문화소개로 분류하였다.

Brooks(1960: 86-92)는 교사가 외국어로 5분 정도 문화에 대해 제시하는 것 으로 수업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64가지의 목 록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목록들은 인사, 소개(인사, 가벼운 대화, 작별), 친구, 학교생활(우정), 여가선용(휴일, 게임, 음악, 취미, 스포츠), 사교(전화, 초대), 주변의 사회생활(병원, 직업), 건전한 사회생활(질서, 저축과 절약), 과학(과학),

(35)

문학(민속-전설, 신화, 유아시절 문학-서정시, 노래) 등 각 주제에 대한 문화 내용을 이룬다. 민속(전통, 풍습), 축제, 가족 식사는 그 국적에 따라 우리 문 화소개 혹은 외국 문화소개로 분류하였고, 편지쓰기는 글이 주는 메시지에 따 라 친구, 우리 문화소개, 혹은 외국 문화소개로 분류하였다.

교과서별 문화내용 분류에서는 조명원의 교수요목 제반 주제(themes)를 토 대로 하고, 위의 문화내용들과 여러 교과서에서 소개된 문화내용을 참고로 하 여 다음과 같이 문화내용을 선정 및 분류하였다.

주제 1 가족 및 친구들 사이에서 갖는 인간관계 ① 인사, 소개(인사, 소개, 가벼운 대화, 작별) ② 가족, 일상생활

③ 친구, 학교생활(우정)

④ 여가선용(휴일, 게임, 음악, 취미, 스포츠)

주제 2 사회적 제관계와 지역사회의 제활동 ① 사교(전화, 생일, 초대, 방문)

② 주변의 사회생활(이웃, 직업, 병원, 쇼핑, 길 묻기)

③ 건전한 사회생활(질서, 절약과 저축, 공중도덕, 협동, 봉사, 환경보호)

주제 3 문화적 생활습관(life-habits), 풍속, 전통, 기타 ① 우리 문화소개(전통, 풍습, 축제, 식사, 지리, 역사) ② 외국 문화소개(전통, 풍습, 축제, 식사, 지리, 역사) ③ 비교

주제 4 자연환경, 과학, 기술, 기타 ① 자연환경(계절, 날씨, 요일, 바다)

(36)

② 과학(과학) ③ 인문

④ 문학예술(전설, 신화, 노래, 시, 미술감상) ⑤ 정보상식

⑥ 기타(동물, 관찰, 실험, 교훈, 나라사랑, 충고)

위의 문화내용을 기준으로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5종의 내용 중 본 문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문화내용 분류가 모호한 것은 별도로 언급하였 다.

<표 3-2>는 17개 소재별로 연관성을 찾아서 문화내용을 분류하였다. 이렇 게 함으로써 교과서를 소재별 또는 문화내용으로 분류시 기준을 정하여 일관 성 있고 신속하게 분류하고자 하였다. 가급적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목은 쉽게 연결되었으나 문화내용 중 포괄적인 개념으로 소재 선택시에 유의해야 할 것 이다. 즉, 문화내용으로는 가족, 일상생활이지만 소재별 분류시에는 가정생활, 사회생활, 생활습관까지 판단하여 가장 적절한 소재를 선택해야만 한다. 기타 분야도 너무 광범위하여 문화내용 분류는 좀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겠다.

(37)

<표 3-2> 소재별 문화내용 분류(예)5)

구분 소재분류 내 용 합 계

1 개인생활 사교, 인사, 소개 2

2 가정생활 가족, 일상생활 1

3 학교생활 (인사, 소개) 친구, 학교생활 2

4 사회생활 (가족, 일상생활) 주변의 사회생활 2

5 생활습관 (가족, 일상생활) 주변의 사회생활 2

6 여가선용 여가선용 1

7 자연현상 자연환경 1

8 외국문화 문화비교, 외국문화 2

9 우리문화 우리문화(문화비교) 2

10 가치관 형성 기타 1

11 건전한 사고 건전한 사회생활 1

12 교양증진 정보, 상식, 과학, 기타 3

13 예술문학 인문, 문학, 예술 2

14 복지증진 기타 1

15 민주의식 기타 1

16 사고력 배양 기타 1

17 애국심 함양 기타 1

<표 3-3>에 나타난 문화내용을 분석해 보면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본문 문화내용으로는 정보상식(9회), 여가선용(7회), 가족일상생활 및 주변의 사회생 활(각각 6회), 건전한 사회생활(5회) 순이다.

주제별로는 주제 1(가족 및 친구들 사이에서 갖는 인간관계)이 21회, 주제

5) 본고에서 연구자가 편의상 17개 소재에 해당하는 문화내용을 분류하여 나눔으로써 분석 을 용이하게 하였다.

(38)

4(자연환경, 과학기술, 기타)가 17회, 주제 2(사회적 제관계와 지역사회의 제활 동)과 주제 3(문화적 생활습관, 풍속, 전통, 기타)은 각각 11회를 나타냈다. 주 제 3(문화생활)에서는 외국문화(4회), 문화비교(4회), 우리문화(3회) 순으로 나 타나서 총 60회 중 11회로 전체 18.3%를 차지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정보상식을 바탕으로 일상생활과 여가선용에 필요 한 영어를 이해하고 외국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며, 우리문화를 외국에 소개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한다는 교육목표를 반영하려 의도한 결과일 것이 다. 단 분류과정 상에서 문화내용 중 사교, 인문, 문학예술 분야는 분류되지 않았으나 중학교 1학년 단계에서는 다른 분야에 일부 내용은 포함되어 있거나 중학교 2, 3학년에서 다루어진 것으로 본다.

(39)

<표 3-3> 문화내용별 교과 분류

문화내용 문화내용 포함 교과

합 계

A B C D E

인간 관계

인사, 소개 1과 1과 1과 1과 4

가족,

일상생활 3,4과 2과 12과 3과 2과 6

친구,

학교생활 3과 3과 1과 3과 4

여가선용 6과 11과 8,11과 11과 5,7과 7

사회관계 와 지역사회 활동

사 교 주변의

사회생활 2과 7과 4과 2과 9,10과 6

건전한

사회생활 12과 9과 10과 7과 11과 5

문화 생활

우리문화 8과 6과 8과 3

외국문화 4과 6과 9,5과 4

문화비교 9,10과 4과 5과 4

자연 환경 과학 기술 기타

자연환경 2과 10과 6과 3

과 학 12과 1

인 문 문학,예술

정보,상식 11과 8,12과 8,10과 5,9과 4,6과 9

기 타 5,7과 7과 12과 4

※기타 : 동물, 관찰, 실험, 교훈, 나라사랑, 충고

(40)

(1) A 교과서

<표 3-4>의 소재별 분류를 보면 2과(Let's Make Friends)는 Brownie(미국 의 소녀단) 소개를 하지만 사회생활을 위한 친구간의 개인 희망과 미래계획에 대한 내용으로서 4번으로 분류하였으며 4과(The Family Circle)는 한국의 어 버이날과 미국의 어머니의 날, 아버지의 날에 대한 소개를 하지만 날짜만 알 리는 수준이며 주된 내용은 부모와 가족간의 생활이므로 2번으로, 6과(Let's Enjoy the Summer)는 금강산과 한국의 주요 산 및 관광지를 소개하나 주된 내용은 여행에 관련된 내용이기에 6번으로, 11과(Our Interests)는 World Cup 과 Olympics의 역사를 비교적 자세하게 소개하였지만 꿀벌에 대한 내용을 포 함한 주로 시사적 정보를 상식 수준에서 제공하였으므로 12번으로 각각 분류 하였다. 소재별로는 사고력 배양과 외국문화가 각각 2회, 우리 문화를 포함하 여 나머지는 1회이다.

<표 3-4>의 문화내용별 분류를 보면 문화비교가 2회지만 우리문화는 1회이 고 외국문화는 없다. 가족의 일상생활과 기타내용이 각각 2회씩이며 나머지는 1회이다.

(41)

<표 3-4> A 교과서의 소재 및 문화내용별 분류

구분 단 원 명 학 습 중 점 소 재 문화내용 1 Starting

Middle School

․칭찬, 축하에 답하기

․대화의 시작

․의견 묻기

학교생활 인사,소개

2 Let's Make Friends

․제안하기

․계획

․의무

사회생활주변의 사회생활

3 Sound Body, Sound Mind

․충고하기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 묻기

․습관

생활습관가족, 일상생활

4 The Family Circle

․물건 사기

․소망, 의지 말하기

․경험 말하기

가정생활가족, 일상생활

5 A Father's Love

․불가능 표현하기

․의견 묻기

․의무

사고력

배양 기타

6 Let's Enjoy the Summer

․경험 묻기

․기대 표현하기

․비교

여가선용 여가 선용

7 Funny Stories

․사실 묘사

․길 안내

․사실적 정보

사고력배

양 기타

8 School Events

․격려하기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 묻기

․의견 묻기

우리문화 우리문화

9 Who Am I?

․관심 묻고 말하기/․원인과 결과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 묻고 말하기

외국문화 문화비교

10 Look Around the World

․전화하기

․설득

․기원

외국문화 문화비교

11 Our Interests

․원인과 결과

․사실적 정보

․놀람 표현하기

교양증진 정보,상식

12 Think Back, Look Ahead

․기억 여부 묻기 및 답하기

․슬픔 위안하기

․자신의 의견 말하기

건전한 사고

건전한 사회생활

(42)

(2) B 교과서

<표 3-5>의 소재별 분류를 보면 7과(My Uncle Invited Us to a Play)는 Broadway와 우리의 대학로를 비교하였으나 내용이 충분치 않고 여행, 길안내 를 통한 사회생활에 중점을 두고 소개하여 4번으로 분류하였다. 8과(Can I Borrow this Book?)는 Aesop 우화를 소개하였으나 상식적인 내용으로 독서와 도서관 소개를 하고 있어 12번으로 분류하였다. 10과(The World Cup Is a Big Event)는 World Cup 소개를 하고 있으나 주로 공중도덕과 운동에 관한 내용으로 사실적 정보 제공 측면을 고려하여 12번으로 분류하였다. 소재별로 는 교양 증진이 3회, 외국문화가 2회, 우리 문화는 1회이다.

<표 3-5>의 문화내용별 분류를 보면 우리 문화, 외국문화, 문화비교가 각각 1회씩이고 정보, 상식이 2회이다.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proficiency level, they enjoyed English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eaching implications in order to improve English flipped instruction for midd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of English textbooks (Grade 7)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classes using online read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were

This study analyzed how disability-related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reorganized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PS essential evaluation factors by applying soccer programs to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punctu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mentoring on th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