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내용은 주제 1(5회), 주제 2, 4(3회), 주제 3(1회) 순이다. 주제 3에서 문 화생활은 문화비교만 1회로서 총 12회 중 8.3%를 차지한다. 이 교과서 또한 과목별로 다양한 문화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나 외국문화와 우리문화에 대한 소 개 내용 보충이 요망된다. 이 교과서는 Ahchoo와 같은 의성어를 소개한다. 비 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요약하면, 우리문화, 외국문화, 문화비교 내용을 교과내용에 골고루 비교적 많은 %로 포함시켜 문화교육이 선행되어야 하겠으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을 다양하게 소개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쉽게 타문화를 이해하 고 영어에 흥미를 느끼며 외국인에게 접근토록 해야겠다.

또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문법과 발음은 차츰 고학년에 진학하며 배울 수 있도 록 체계적인 교과편성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이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고 싶다.

제 5 장 결론 및 제언

문화는 언어능력을 완전히 갖춘 다음에 그 언어능력을 바탕으로 하여 비로 소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화의 이해가 외국어 학습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국문화의 이해와 외국어의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최근에 나오고 있다. 과거에는 문화 교육을 위해 교사가 지리적인 환경, 역사, 문학, 예술, 과학, 사회기관, 일상생활 등 문화자료를 말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흔한 방법이었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를 이해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Rivers(1981: 324-326)는 단계별 문화지도를 언급하고 있다. 초보단계에서는 동료집단, 가족, 주거, 학교, 친구관계, 여가선용, 축제, 의식, 혼인 등 일상생활 에 대한 토론으로 시작하며, 중급과 고급단계에서는 지리적인 요소와 그것이 일 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주요 역사시대, 사회구성, 생산, 운송, 구매, 작업 상태, 주요기관(교육, 법, 정부, 종교), 도시생활과 전원생활, 예술, 음악, 무용, 영화의 역사, 위인들, 과학과 탐험, 철학이 관심 대상이 된다. 이러한 문화내용들은 교 사의 설명이나 학생들이 조사한 보고서로 제시된다. 처음에 학생들은 모국어로 준비하나, 그 언어를 구사할 수 있을 때는 목표어로 준비하고 토론해 본다. 이 때 이용할 수 있으면 영화나 슬라이드와 함께 차트, 다이어그램, 지도, 그림을 사용한다. 더 고급 단계에서 학생들은 그들이 배우는 언어로 자료를 제시하며, 수업시간에 혹은 수업이 끝난 후 생각을 교환할 수 있고, 만약 외국인이 초청되 면 토론은 더욱 활기를 띠게 된다. 이계순(1986: 158-161)은 문화를 이해시키기 위한 5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가장 초보적인 방법으로서 시청각교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시청각교구 사용시 교사는 목표어의 모국인의 특성, 생활, 역사, 종교, 정부기구, 교육제도

등에 관하여 설명을 해 주어야 한다.

둘째, 모국어와 목표어간의 의미가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어휘나 문장의 의 미가 실제로는 다를 경우에 그 차이를 설명하여 올바른 어휘선택과 이해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언어능력수준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문화적 내용을 주제로 하여 외국문화의 이해를 깊게 하는 방법이다.

넷째, 교사가 실제로 외국사회를 견문한다든가 또는 우리 나라에 체류하고 있는 영미인과 친교를 맺어 그들의 생활의 여러 면을 관찰하고 또 의견을 교 환하여 양문화의 차이점을 찾고 새로운 면을 인식하는 기회를 가져 견식을 높 임으로써 더욱 영어교육을 실감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문학작품 중 문학적 가치에 기준을 두기보다는 문화를 반영시키고 있는 작품을 선택하여 문화배경의 이해와 언어표현의 습득을 기하는 길이다.

앞에서 살펴본 내용들을 참고로 여기서는 교실환경, 시청각교구, 교과서의 문화내용, 문학작품,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의 다섯 부 분으로 나누어 올바른 문화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Finocchiaro와 Bonomo(1973: 142-146)는 학습자의 문화적 통찰력을 키워주기 위해 교실을 꾸며주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주장하였다.

우리의 현실에서 영어민의 문화와 환경에 친숙하지 않은 학습자들에게 문화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는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은 그림 전시, 게시판 활용이 될 수 있다. 수업에 효과적인 사용이 되기 위한 그림은 교실의 모든 곳에서 보기에 충분한 크기로, 사람들의 생활을 만화로 처리한 것보다는 디자인이 명 확하고 간단하며, 문화적인 행동의 중요한 면을 예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게시판은 외국의 생활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공간으로 게시판의 내용은 그

언어가 쓰이는 곳의 최신의 행사와 소식을 담아야 한다. 잘 정리된 게시판은 훌륭한 학습자료 제공처가 될 수 있다.

둘째, 정정섭(1982)은 문화지도에 영화나 사진, 그림, 엽서, 포스터, 지도, 여 행 안내물과 같은 시각교구, TV나 VTR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교적 손쉽게 준비할 수 있는 플래쉬 카드(flash card)는 숫자, 단어, 표현, 그림 등을 제시하는 것으로 상황을 설명하거나 다음 카드로 바꿀 때 카드 내 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카드를 돌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카드 뒤에 지시 내용 이 있도록 미리 준비해야 한다. 목표어 사람들의 생활과 습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습자가 경험할 수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역할극(role play)에 가 면을 사용하든가, 혹은 인형극으로 상황을 제시하는 것은 목표문화에 대한 호 기심과 동기를 야기시켜 수업에 활력을 줄 수 있다. 영화는 설명으로는 충분 하지 않은 목표어의 여러 면들을 보여줄 수 있어 유용하다.

셋째, 언어가 인간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위한 주요한 방편이지만 언어 이외 의 수단에 의해 의사전달을 할 수도 있고 그 나름대로 주요한 역할을 한다.

어느 정도 언어적 능력을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언어수행이 일어날 때 동시 적으로 수반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패턴을 익히지 않고서는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비언어적 표현들은 문화에 따라 그 형태에 차 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문화권 사이에서는 의사전달의 오해도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소통이 전혀 되지 않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학교 영어교과서에서는 문화에 따른 비언어적 의사소통 표현의 차이 를 언급해 주어야 한다.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바탕으로 발전되어온 비언어적 의사소통 표현을 익힘으로 써 영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언어는 그 사회에 속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환경, 문화적 배경, 사고방식을 반영한 의사표현의 한 체계이다. 그러므로 문화 교차적 의사소통시 화자는 자 신의 사회 문화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고, 청자는 자신의 문화적 배경에 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를 가르친다는 것은 단순히 언어적 기능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가 사용하는 사회의 문화에 접근함으로써 문화 교육이 동시에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측면에서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5종의 내용 중 본문을 분석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화와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여러 학자 들의 주장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 였다. 제 3장에서는 조명원(1981)의 교수요목의 제반 주제(themes)를 토대로 하고, Finocchiaro(1964), Bierstedt(1970), Brooks(1960)의 문화내용들을 참고로 하여 교과서 본문에 나와 있는 문화내용을 분류하였다. 문화내용 면에서는 특 히 한국문화 소개와 외국문화 이해에 역점을 두어 별도로 언급하였다. 한국문 화 소개에 있어서는 한글, 추석, 대전 엑스포, 지리 등 이미 알고 있는 보편적 인 것이 주류를 이루며, 외국문화 소개에 있어서는 외국인들의 식생활(식탁예 절), 명절, 명소 소개에 관한 내용이 주로 언급되어 다양하지 못한 문화내용을 제공하고 있었고 문화를 서로 비교하는 내용이나 비언어적 의사소통 활용내용 은 미약하게 제시되었다. 제 4장에서는 문화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 시하고 앞서 분류한 문화내용을 토대로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나는 문화내 용을 분석,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번에 채택되어진 교과서는 대부분 제 7차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한 교과 서이다. 본고에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만 제안하면,

첫째, 교과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여 학습자가 영어

를 좀더 쉽게 접근토록 한다.

둘째, 문화내용 중 주제 1, 2, 4보다는 주제 3(문화생활) 내용을 대폭 증가시 켜 우리 문화를 소개할 줄 알고 외국문화를 이해하고 문화비교를 통한 흥미 유발과 학습 효과 증진에 기여하게 한다.

셋째, 이 책에서 제시한 효율적인 문화교육 방법을 활용하여 영어학습에 대 한 관심을 유도한다.

언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은 필수적인 것으로 효과적인 문화 교차적 의사 소통을 위해서는 외국어 교육을 할 때 문화적 내용의 지도를 병행하여 외국문 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내용의 매 개체인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가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 수준에 맞는 충분하

언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은 필수적인 것으로 효과적인 문화 교차적 의사 소통을 위해서는 외국어 교육을 할 때 문화적 내용의 지도를 병행하여 외국문 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내용의 매 개체인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가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 수준에 맞는 충분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