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석사학위 석사학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석사학위 석사학위"

Copied!
7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7 2007 2007

2007년 년 년 2 년 2 2월 2 월 월 월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논문 논문 논문 논문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영향 영향 영향 영향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영어영문 영어영문 영어영문

영어영문학과 학과 학과 학과 정 정 정

정 순 순 순 순 영 영 영 영

(2)

2007 2007 2007

2007년 년 년 2 년 2 2월 2 월 월 월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논문 논문 논문 논문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영향 영향 영향 영향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영어영문 영어영문 영어영문

영어영문학과 학과 학과 학과 정 정 정

정 순 순 순 순 영 영 영 영

(3)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영향 영향 영향 영향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and Reading Strategy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and Reading Strategy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and Reading Strategy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and Reading Strategy

on Reading Co on Reading Co on Reading Co

on Reading Comprehension mprehension mprehension mprehension

2007 2007 2007

2007년 년 년 년 2 2 2월 2 월 월 월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정 정 정

정 순 순 순 순 영 영 영 영

(4)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친숙도와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독해전략이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영어독해에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영향 영향 영향 영향

지도교수 지도교수 지도교수

지도교수 염 염 염 염 규 규 규 규 을 을 을 을

이 이

이 이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을 석사학위 석사학위 신청 석사학위 신청 신청 신청 논문으로 논문으로 논문으로 논문으로 제출합니다 제출합니다 제출합니다 제출합니다 . . . .

2006 2006 2006

2006년 년 년 10 년 10 10 10월 월 월 월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조선대학교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정 정 정

정 순 순 순 순 영 영 영 영

(5)

정순영의 정순영의 정순영의

정순영의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인준합니다 인준합니다 인준합니다 인준합니다 . . . .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교수 교수 김 김 김 김 귀 귀 귀 귀 석 석 석 석 ( ( ( (인 인 인 인))))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교수 교수 이 이 이 이 덕 덕 덕 덕 만 만 만 만 ( ( ( (인 인 인 인)))) 심사위

심사위 심사위

심사위원 원 원 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교수 교수 교수 염 염 염 염 규 규 규 규 을 을 을 을 ( ( ( (인 인 인 인))))

2006 2006

2006 2006년 년 년 11 년 11 11 11월 월 월 월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6)

목 차

표 목차 --- ⅱ

ABSTRACT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2

Ⅱ. 독해전략 --- 3

A. 독해의 정의와 과정 --- 3

B. 독해기술과 전략 --- 14

Ⅲ. 배경지식과 독해 모형 --- 27

A. 선험지식과 독해 --- 27

B. 독해에 미치는 영향 --- 31

Ⅳ. 연구방법 --- 40

A. 연구대상 --- 40

B. 실험자료 --- 40

C. 자료분석 --- 40

Ⅴ. 연구 결과 문석 --- 42

A. 독해 전략 사용빈도 --- 42

B. 주관식 문제 통계분석 --- 44

C. 객관식 문제 통계분석 --- 46

Ⅵ. 요약 및 논의 --- 49

Ⅶ. 결론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58

(7)

표 목차

<표 1> Coady의 독서모형 --- --- 6

<표 2> Gough 읽기 모델 --- 9

<표 3> Just 와 Carpenter 읽기 모델 ---14

<표 4> 읽기 기술과 전략을 구분하는 특징 ---17

<표 5> 읽기 전략 목록 ---18

<표 6> 능숙한 독자가 사용하는 읽기전략 --- 19

<표 7> Anderson의 읽기 전략 ---20

<표 8> Block의 독해 전략 ---22

<표 9> Mikulecky의 읽기 학습전략 --- 23

<표 10> 외국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3

<표 11> 개별 독해 전략 사용 빈도 --- 43

<표 12> 독해전략 수준별 평균과 표준편차(주관식문제) --- 45

<표 13> 분산 분석 종합표(주관식문제) --- 46

<표 14> 독해전략 수준별 평균과 표준편차(객관식문제) ---47

<표 15> 분산 분석 종합표(객관식문제) --- 48

(8)

ABSTRACT ABSTRACT ABSTRACT ABSTRACT

Effects Effects Effects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and of Topic Familiarity and of Topic Familiarity and of Topic Familiarity and Reading Reading Reading Reading S S Strategy S trategy trategy trategy o o o

on n n Reading Comprehension n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Jeong Soon- young

Advisor: Prof. Yom Kyu- eul Ph. D.

Dept.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Chose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of English texts according to their topic familiarity with the texts and their uses of reading strategies and whether there are any relationship between topic familiarity and their reading strategies.

The subjects were 89 thi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Beginner-level, Intermediate-level, and Advanced-level. For identifying the reading strategies of the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hosen which included 35 items out of the Anderson’s 47 reading strategies and was given to 89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eginner-

(9)

use, Intermediate-use, and Advanced-use. The subjects were tested on two kinds of texts repeatedly, of which one was assumed to be familiar and another unfamiliar to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knowledge. Topic familiarity and English proficiency were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scores of reading comprehension were dependent variables. A three X two analyse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on the comprehension of texts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topic familiarity and proficiency levels. The more subjects are familiar with the texts, the higher scores they obtain on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ir uses of reading strategies. This indicates that reading strategy did not have any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Third,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topic familiarity and reading strategy use. The average scores of reading comprehension on the basis of topic familiarity did not vary according to reading strategy use.

The pedagogical implication is that when students read the texts they have to be familiar with the texts in advance through background knowledge of the text’s content.

(10)

Ⅰ Ⅰ Ⅰ

Ⅰ. . . . 서론 서론 서론 서론 A.

A. A.

A.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및 및 및 및 목적 목적 목적 목적

텍스트의 특징은 그것을 이해하는 독자들의 독해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주제의 문화적인 배경과 글에 나타난 어휘의 난이도 수준도 독해력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1970년대에 Bransford & Johnson, Anderson et, al…… 들이 모국어 연구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한 이후 배경지식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사전 지식이 언어 이해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제2언어 연구자들로 하여금 동일한 현상을 연구하도록 하였다. 10여 년 동안 제2언어 독해에 관한 연구의 내용은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지식이 독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였다. 배경지식이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작적 정의가 이루어져 왔다. 즉, 전문적 지식, 어휘 지식, 주제 친숙도, 그리고 상황적 시각 자료 등이다. Anderson & Lynch는 선험지식이“언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근원”중의 하나라고 말하며, 언어 이해를 방해하는 것은 그러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Brown & Yule은 선험지식 구조란“담화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어떤 양상을 기대하거나 예측해 주도록 해주는 조직화 된 배경지식”이라고 설명한다.

주제의 친숙도와 독해력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선험연구 결과가 있다. Markhan과 Latham은 종교 특유의 배경지식이 여러 가지 종교를 가진 ESL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이슬람과 기독교 종교의식을 설명하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들은 종교와 관련된 글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정보를 기억하였으며 보다 더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해 주었다.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과정에서는 언어의 4가지 기능 중 듣기와 말하기가 읽기와 쓰기 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우리의 현실은 교실 학습 생활을 벗어나면 실제로 원어민 화자와 접촉하여 대화할 기회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역사적으로 생활화하고 실용화 할 기회가 거의 없어 학습자들은 전적으로 책을 통하여 영어를 읽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행 교육 체계상 별도리 없이 문법 설명과 번역에 의한 수업 과정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면

(11)

영어를 직독직해할 수 있고 빨리 읽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부단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지식의 가속적인 발전이 우리 학습자들에게 여러 도서활동에 대하여 재고를 촉구하고 있기 때문에 매일 문법 설명과 번역에 의존하는 수업이 어느 정도 효율적인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 Ⅱ장에서는 독해의 정의와 독해과정의 제 이론을 몇 가지 개념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독해 기술과 전략에 관하여 알아 보고, 제 Ⅲ장에서는 배경지식과 독해에 관한 다각적인 방면의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제 Ⅳ장에서는 연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험 연구의 대상과 설문지 내용 및 실험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이 제시된다. 제 Ⅴ장에서는 고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 Anderson(1991)이 개발한 독해 전략을 기본 모델로 하여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독해 전략 35개 항목에 관한 설문조사와 함께 친숙한 글과 친숙하지 않은 글에 대한 테스트를 위하여 실제 독해 시험문제를 분석, 기술하고 제

Ⅵ장에서는 위의 설문 조사와 시험문제 분석을 토대로 독해력 교수 학습방법에 관하여 요약하고 논의하였으며, 제Ⅶ장에서는 결론으로 바람직한 독해방안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B. B. B.

B. 연구문제 연구문제 연구문제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고찰해 보기로 한다.

1) 주제의 친숙도가 영어독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독해전략 사용은 영어 독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주제의 친숙도와 독해 전략은 영어독해력에 어떤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12)

Ⅱ Ⅱ Ⅱ

Ⅱ.... 독해전략 독해전략 독해전략 독해전략

본 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먼저 학자들이 주장한 독해의 정의와 과정의 유형에 관하여 살펴보고 본 연구와 관련된 독해 기술 및 전략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A. A. A.

A. 독해의 독해의 정의 독해의 독해의 정의 정의 정의와 와 와 와 과정 과정 과정 과정

1.

1.

1. 1. 독해의 독해의 독해의 독해의 정의 정의 정의 정의

독해란 좁은 의미로는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넓게는 텍스트의 대의를 파악하는 것이며 또한 문체 및 필자의 의도까지를 파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독해란 쓰여진 문자를 통하여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해독(decoding)하는 독자의 사고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작가가 문자 언어를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구성한 내용을 독자 자신이 선험 지식으로 예측하는 과정으로써 작가와 독자와의 재결합 과정이며 또한 독자의 언어적인 지식과 문화적인 지식을 포함하는 글의 배경 지식이 균형 있게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동시에 단어 군들을 논리적으로 인지하여 구, 문장, 단락의 순으로 이해하여 글 전체 내용을 파악하며 작가의 의도까지 파악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 결국 독해란 좁은 의미로는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넓게는 텍스트의 대의를 파악하는 것이며 또한 문체 및 필자의 의도까지를 파악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Bloomfield(1961:72)나 Fries(1963:50)와 같은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의 견해는 독해를 활자화 된 글을 변화된 소리(Spoken sound)로 재생하는 과정, 즉 철자 형태가 음운형태로 전이되는 과정으로 생각하였다. 언어는 그 자체가 소리이므로 독해는 문자를 언어로 바꾸는 것이고, 문자화는 소리들을 시각적으로 기호화 한 것이라는 정의이다. 이러한 입장은 철자와 음성의 해독에 지나치게 치우친 나머지 문장의 의미를 소홀히 여기는 결과를 가져왔고, 어려운 시의 한 구절을 비록 이해는 못하더라도 읽을 수 있는 경우와 같이 문자 부호의 해독과정을 독해로 보았다. 반면에 심리학자인 Goodman(1988:12)은 독해란

(13)

작가에 의해 구성된 내용을 독자가 재구성하여 결합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즉 독자는 자신이 획득한 언어능력과 더불어 자신이 성취한 이전의 전체적인 경험 및 개념을 집중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Carrol(1972:21)은 독해를 언어의 재구성으로써 문자화되었거나 구두로 행해진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이며 이를 이해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Brumfit(1980:3)은 독해는 지각적, 언어적, 인지적인 능력이 모두 관련되어 있는 복합적인 활동이라고 정의한다. 글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문자의 단순한 해독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가 지닌 문화적 지식이나 경험들을 사용해서 저자의 의도까지 파악해야 된다는 것이다.

2 2 2

2. . . . 독해과정 독해과정 독해과정 독해과정

a.

a. a.

a. 전통적 전통적 전통적 전통적 독 독 독 독서 서 서 서 모형 모형 모형 모형

학습자가 단어의 외연 의미를 안다고 할지라도 문화 속에서 사용되는 내연 의미를 모르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문맥 안에서 의미를 판단할 수 있는 사회문화 정보를 의식적으로 조사하게 된다. ESL/EFL 독서의 경우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접하게 되면 그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무의식 단계의 복잡한 과정 속에서 문맥 단서를 사용하거나 자신의 세계관에 관한 지식을 재확인하게 된다. 새로운 의미의 대화규칙 또는 언어규칙에 관한 학습자의 지식이 불충분하면 학습자는 곤경에 빠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무의식 단계의 독서과정을 의식 단계의 독서과정으로 바꾸기 위한 대체 전략을 찾고자 한다.

이때 학습자는 의식적으로 통사규칙과 의미규칙들을 사용하여 의미를 처리하고자 할 것이다.

ESL/EFL 학습자는 문화적인 차이점의 여백을 메우려고 표면에 나타난 부문의 문화내용을 추론하기 위해서 의식적으로 노력하게 된다. 그러나 문화적인 차이점의 여백을 메우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 때문에 독서에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b.

b. b.

b. 심리학적 심리학적 독서 심리학적 심리학적 독서 독서 독서 모형 모형 모형 모형

ESL/EFL 독서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Goodman(1967)의

(14)

독서모형이 ESL/EFL 독서모형에 많이 인용된다. 그는 독서 모형을 심리언어학적으로 추측 하는 게임(psycholinguistic guessing game)이라고 간단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guessing game”의 의미는 숙련된 학습자가 습관적으로 수행해 내는 독서의 은유적인 표현일 것이다. Goodman의 독서 모형에서 영어를 모국어로 한 학습자와 ESL/EFL 학습자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모국어 학습자는 잘못된 추측이나 단서의 오용으로부터 신속하게 회복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나 ESL/EFL 학습자는 잘못된 추측으로부터 회복하는 일이 늦어지고 계속 잘못된 추측이나 단서의 오용 때문에 정보를 잘못 이해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심리언어학적 독서모형을 이용한 Coady(1979)의 ESL/EFL 독서모형에서는 학습자의 선험지식과 개념능력, 과정 전략의 삼자가 상호 작용하여 이해력을 산출해 낸다는 도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표 1> Coady의 독서모형(1979)

개념능력(Conceptual abilities)이란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의미하며 독서 학습에서 중요하다. 선험지식(Background know ledges)은 학습자의 경험과 환경에서 얻은 지식으로 중요한 변수이다. 개념적 능력은 지적 능력과 비슷한 것으로 읽기와 같은 인지적 활동에 필수적인 능력이다. 배경지식으로는 Coady는 언어 습득의 문화적 배경의 역할을 언급하고 있지만 배경지식의 요인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 상식과 특정 내용에 대한 지식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서 서양문화에 대한 선험지식을 가진 학습자는 그렇지 못한 학습자보다 영어를 더 빨리 배운다는 것이다. 대체로 ESL/EFL 학습자는 먼저 문자와 소리의 상호 일치나 단어의 의미와 같은 구체적 과정전략에 주목하기 시작하는데 이런 구체적인 과정전략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은 전체의 의미를 놓치게 할 우려가

개념능력 배경지식

과정전략

(15)

있으므로 통사정보나 문맥의 의미와 같은 추상적 과정전략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Bernhardt(1991a) 역시 세가지 요인의 읽기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일반지식(world knowledge)과 언어(language), 문해력(literacy)이 포함된다. 일반지식은 Coady가 제시한 읽기 모델의 배경 지식과 비슷하고 언어적 요인은 구문론이나 어형론과 같은 텍스트의 가시적인 요인들과 아울러 적절한 언어사용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인다.

이는 Coady 모델의 과정전략 요인과 상당히 유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해력은 텍스트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텍스트로 무엇을 할 것인지, 왜 텍스트를 읽는지 등에 대한 지식으로서 텍스트의 적절한 이해 수준과 글을 읽는 목적, 이해 점검 등이 여기에 속한다. Urquhart와 Weir(1998)는 Coady와 Bernhardt 모델에서 제시된 읽기 요인들을 분석, 종합하여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고 있다. 그들은 음운론적, 어형론적 차원의 단어인지(word recognition), 문법적 능력을 주로 하는 언어적 요인, 배경지식, 결속성(cohesion)과 텍스트 구조 (text structure)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여 텍스트 전체적 차원의 이해에 필요한 지식들을 포함하는 문해력의 네 가지 읽기를 분류하고 있다.

그러므로 독해는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글 전체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고, 이렇게 글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장들이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학습자에게 인식시키는 일이 필요하며, 문장을 전개시켜 나가는 수사형태 라든가 문화적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들은 교수해서 언어 지속뿐만 아니라 배경지식도 독해에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c. c. c.

c. 선험 선험지식 선험 선험 지식 지식 지식 구조 구조 구조 구조 모형 모형 모형 모형

선험지식 구조 모형(Schema theory model)이론은 심리학자인 Bartlete(1932)가 최초로 사용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본래 선험지식 구조이론의 철학 개념은 형태 심리 학자인 Max Wertheimer(1912)에서 제시된 것이다. Bartlete은 선행지식 구조란 계속적으로 기능을 발휘하는 과거의 경험들의 조직체라고 정의하고 있다. Hudson(1982)은

(16)

각 개인에 다양한 경험을 정하게 될 때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성장 발달하는 지각과정의 본질적인 부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선험지식 구조는 일반적으로 최상층으로 부터 특수한 개념인 최하층으로 이동해가는 계층적 구조이다. 선험지식 구조는 이러한 계층적 구조 때문에 상향처리 과정(bottom-up processing)과 하향처리 과정(top-down processing)으로 나누며 (Rumelhart, 1980; Haris & Sipay, 1980), 이들 두 과정의 절충 형인 상호작용 모델(interactive model)등이 있다. 읽기 과정에 대한 견해는 과거 몇 십 년 동안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그것은 읽기의 가장 중요한 두 요소인 독자와 텍스트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 두 가지 요소 중 어느 것에 더 비중을 둘 것인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상향식(bottom-up) 과정은 독자의 역할보다는 텍스트에 실제로 쓰여 있는 정보와 자료에서 출발하며 하향식(top-down) 과정은 독자가 자신의 고유한 경험과 지식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예측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 더욱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상향식 과정이나 하향식 과정이 읽기 과정 전체가 아닌 부분만을 설명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현재에는 이 두 과정이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한다는 상호작용 (interactive)이론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1) 상향식 과정

상향식 과정의 가장 대표적인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Gough(1972)의 모델에서 독자는 텍스트의 가장 작은 단위인 개별 글자에서부터 출발하게 되는데 이는‘스캐너(scanner)’

에 의하여 인식된다. 여기서 얻은 정보는‘해독자(decoder)’로 넘겨져서 음소(phoneme) 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단계는‘사서(librarian)’의 차례로 이 단계에서 독자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음소들을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게 되며 같은 방식으로 한 문장 안에 있는 모든 단어를 인식한다. 단어들은 ‘멀린(Merlin)’에서 통사적, 의미론적 분석과정을 거치게 되며 문장으로서의 의미를 부여 받게 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발성 시스템이 작동하여 문자로 입력된 자료가 구두 언어로 발음된다. Gough 모델의 특징을 Urquhart와 Weir(1998)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먼저 그의 모델은 두 종류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17)

텍스트 구성 단위로서 글자와 같은 작은 단위에서 단어, 문장 등으로 점점 커지며, 그런 의미에서 ‘상향식’모델이라는 이름에 충실하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입력 되는 텍스트의 자료를 처리하는 요소(scanner, decoder, librarian, Merlin)들로서 이 두 가지의 요소들은 나란히 작동하고 있다.

<표 2> Gough의 읽기 모델 (Gough, 1972, p. 345)

상향식 과정 모델은 여전히, 근래에 들어서 더욱 읽기 과정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Hoover와 Tunmer(1993)에 따르면 모든 읽기가 데이터 주도(data driven) 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유창한 읽기(fluent reading)의 가장 큰 특징은 상향식 과정 이 중심이 된다는 것이다. 이는 성공적인 독자의 경우에 예측이나 문맥 활용보다는 대부분의 단어를 자동적으로 인지함으로써 글을 이해해 나간다는 연구결과들에 따른 것으로 단어인지 등의 텍스트 이해 하위 과정이 상위 과정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Lee(2000)도 근래에 외국어 읽기에서 단어인지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상향식 과정의 중요

PHONOLOGICAL

LIBRARIAN

LEXICON VISUAL

SYSTEM

VOCAL SYSTEM

MEMORY

SCRIPT ICON

SCANNER EDITOR

PATTERN RECOGNITION

ROUTINES RULES

CHARACTER

REGISTER TPWSGWTAU

DECODER

BOOK

MERLIN

SYNTACTIC

& SEMANTIC RULES

PHONEMIC TAPE PRIMARY

MEMORY CODE

SUPPOSE THE EYE… “SUPPOSE …”

(18)

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상향처리과정 모형은 입력된 새로운 자료를 그것들과 일치하거나 더 높은 단계에 선행지식 구조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한 가지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선행지식 구조에 내제되어 있는 여러 가지 다른 선행지식 구조들이 복잡한 구조로 계층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여러 가지 관계된 선행지식 구조를 사용해서 한 가지 사건을 이해하게 된다. 학습자의 선행지식 구조가 새로운 경험지식을 이해하는데 아주 부족하거나 실패하게 된다면 그 새로운 경험지식의 정보는 이해될 수 없으며 습득될 수 없다(Grove, 1981). 선행지식 구조 이론을 ESL/EFL 독서에 적용할 때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을 사용해서 저자가 제시한 내용을 자신의 지식으로 넓혀 나가는 구성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다.

(2

) 하향식 과정

하향식 과정은 지식기반(knowledge-based)과정, 혹은 독자주도(reader-driven) 과정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독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험지식을 이용하여 텍스트 내의 정보와 데이터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예측하고 자신의 예측을 확인한다는 의미이다 (Silberstein. 1994). Goodman(1967)은 읽기를 ‘심리언어학적 추측게임(psycholinguistic guessing game)’이라고 명명하면서 읽기 과정에서 독자는 원문의 단서를 모두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자신의 경험이나 언어에 대한 지식들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예측하는 것이 텍스트 이해의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주장한다. 그는 이해 과정에 관여하는 뇌의 기능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인지-입문(recognition-initiation), 예측(prediction), 확증 (confirmation), 수정(correction), 그리고 종결(termination)로 규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글을 읽고 이해한다는 것은 독자가 활자화된 글을 관찰하고 그 내용에 관하여 예측하며, 자신의 예측을 검증하고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측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그것을 수정하여 재확인하는데, 이러한 예측과 확인작업을 어떤 이유에서든 글 읽기를 중단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Goodman의 주장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독자의 예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을 위하여 필요한 독자의 내재된 배경

(19)

지식의 역할이 읽기과정에서 매우 강조되는 것이다. Coady(1979)도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을 읽기의 세 요소 가운데 하나로 보면서 ESL 독해에 있어서 배경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Goodman의 읽기 모델에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와 EFL/ESL 학습자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모국어 학습자는 잘못된 추측이나 단서의 오용(miscue)으로부터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나 EFL/ESL 학습자는 잘못된 추측으로부터 회복이 늦어지고 그것 때문에 계속 정보를 잘못 이해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될 수 있다고 하였다. Smith(1971)도 하향식 과정을 중시하여 효율적인 독자는 인쇄된 종이 위의 모든 시각적 신호들을 사용하기보다는 텍스트의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처리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같은 맥락에서 읽기 과정을 모르는 부분을 차츰 줄여나가는

‘불확실성의 감소(reduction of uncertainty)’라고 명명하고 있다. 또한 외국어 읽기 학습과 관련하여 Silberstein(1994)은 학습자에게 하향식 과정에 필요한 읽기기술을 연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많은 양의 글을 읽게 하는 내용 중심 읽기교육(content-centered instruction)이나 다독(extensive reading), 묵독(sustained silent reading)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향처리과정 모형에서는 학습자의 인식능력과 언어습득능력이 문자 자료의 의미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습자의 언어습득능력과 세계관으로부터 시작해서 학습자의 가설을 시험하게 된다(Carrell, 1981). 이러한 과정은 Goodman(1965)의 독서모형과 일치하는 것이며 언어와 사고 사이의 상호작용을 다루려는 심리언어학 모형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것은 독서과정이 학습자의 예측을 바탕으로 지각 입력에서 선택한 사용 가능한 언어적 단서들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정보가 처리될 때 의미에 대한 시험적 결정은 독서 진행과정에서 확정될 수 있고 거절될 수도 있으며 정제되기도 한다. 즉 상향과정에서와는 달리 하향과정에서는 문자정보가 의미에 관한 가설을 지지 또는 거절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만일 단어들이 학습자가 처리하고 있는, 그리고 예측하고 있는 의미적이고 통사적인 단서에 알맞지 않는다면 학습자의 주변 시야로부터 단어의 의미를 이끌어낼 수 없게 될 것이다. 의미의 이해는 문자, 통사 의미의 단서체계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정보만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Smith

(20)

(1975)에 의하면 하향 과정에서는 숙련된 학습자는 음성의 기록을 거치지 않고 직접 문자 에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왜냐하면 학습자는 단어 하나 하나의 정확한 확인이 없이도 의미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하향 과정은 학습자의 세계관에 의한 인식능력을 의미한다.

이상의 두 모형에서 본 바와 같이 ESL/EFL 독서에서 선행지식 구조의 역할을 이해 하기 위하여 Carrell(1983:560)은 형식 선행지식 구조(formal schema)와 내용 선행지식 구조(content schema)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형식 선행지식 구조는 우화, 단편소설, 신문사설, 시 등과 같은 수사적 구조 사이의 차이점에 관한 선행지식이며, 내용 선행지식 구조는 학습자가 주제별, 즉 축제, 세탁, 경제, 역사 등과 같이 세분해서 선행지식을 가지는 일이다. ESL/EFL에서 이러한 두 가지 모형에 대한 적절한 지식을 활성화 시키지 못한다면 독서이행에 실패하게 된다. 이러한 이해의 실패는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선행지식 구조를 활성화 하는데 상향과정의 방식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언어적 단서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일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적합한 선행지식 구조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3) 상호작용과정

상향식 과정이나 하향식 과정이 읽기 과정에 관하여 서로 대립적인 설명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쪽이 다른 쪽을 대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읽기 과정이란 상향식 과정, 하향식 과정 둘 중의 하나가 아니라 이 두 과정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Nuttall(1996)의 설명에 의하면 실제 독자가 글을 읽으면서 하나의 과정에서 다른 과정으로 수시로 이동하게 된다. 가능한 의미를 유추하고 예측할 때는 하향식 과정을, 그 다음에 자신의 추론이 정말로 글쓴이가 의미하는 바와 일치하는지 점검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향식 접근 방식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상호작용’이라는 용어는 여러 가지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Grabe(1991)는 두 가지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그 첫 번째는

(21)

독자와 텍스트 사이에 일어나는 일반적인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텍스트의 정보를 (재)구성 하는 과정에서 독자는 텍스트 자체로부터 얻는 지식과 독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험지식 을 함께 이용한다는 점에서 독자와 텍스트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Silberstein(1994)은 이와 같은 상호작용에 대하여 의미는 해독되기를 기다리며 완전한 상태로 텍스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와 텍스트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두 번째는 읽기 과정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읽기 기술들이 동시에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의 적절한 상호 작용이 있어야 성공적이고 유창한 읽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Grabe(1991)를 포함하여 많은 학자들이 읽기는 자동적 인식 기술(automatic identification skills)이 주가 되는 여러 가지 하위 과정과 이해 / 의미 파악 기술(comprehension/interpretation skills) 이 주가 되는 상위 과정이 함께 어우러져서 일어나게 된다고 본다(Eskey,1986;

Silberstein, 1994). 또 하나의 견해는 읽기를 저자와 독자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으로 보는 것이다(Candlin & Saedi, 1981). Cohen(1990)의 설명에 따르면 독자는 새롭게 획득한 정보를 보유하고, 미리 저장된 지식을 이용하고, 텍스트 안에서 의도된 의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저자가 남겨놓은 단서를 활용한다. 이렇게 독자는 글을 읽어나가면서 배경지식을 축척해나가기 때문에 텍스트를 처음 읽기 시작할 때의 독자와 중간쯤 읽었을 때의 독자는 엄밀한 의미에서 같은 독자가 아니며, 저자는 사실상 계속 변화하는 독자를 상대로 글을 쓰는 것이다. 그러므로 읽기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저자가 의도하는 의미와 실제로 그것이 어떻게 쓰였는가에 초점을 맞추는 텍스트 기반(text- based) 접근 방식과 독자가 텍스트 이해에 기여하는 것과 텍스트로부터 얻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독자 기반(reader-based) 접근 방식이 둘 다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Just와 Carpenter의 읽기 모델은 눈으로 포착하는 텍스트 정보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에서 상향식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이전에 제시된 텍스트와의 통합과정, 이해과정이 단기기억, 장기기억과 상호 작용한다는 점에서 상호작용 모델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22)

<표3> Just와 Carpenter 읽기 모델(Just & Carpenter, 1980, p. 331)

최근에 와서는 독서과정을 하향처리 과정으로 이해하려는 이 과정이 중요한 경험적 현상들을 설명하는데 실패했다고 보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상호작용 모형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독서는 독자와 읽을 자료인 교재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활동으로 보아야 하며, 따라서 전술한 두 독서 모형이 통합된 상호작용 모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Weber, 1984). 상호작용 모형은 종합적이고 활력이 있으며 일관성이 있는 모형으로 교재내의 문자표시에 관한 언어적 지식을 처리하는 여러 가지 단계들과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인지구조 사이의 상호관계 활동을 강조한다. Rumelhart(1977)를 시작으로 많은 학자들이 독서과정의 분야로서 상위 단계인 하향처리 과정과 하위단계인 상향처리 과정이 함께 상호작용하는 독서모형(inter active model)을 제안하게 되었다. Widdowson(1978)은 독서는 독자가 교재에 가져갈 수 있는 독자 자신의 정보와 교재내의 정보를 결합시키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독서과정이 교재로부터 단순히 정보를

Get Next input:

Move Eyes

Extract Physical:

Features

Encode Word and Access Lexicon

Assign Case Roles

Integrate with Representation Of Previous Text

End of Sentence

?

Sentence Wrap-up

WORKING MEMORY Activated representations Physical features Words

Meanings Case roles Clauses Text units Domain of discourse Variable-binding memory

LONG TERM MEMORY Productions that

represent

Orthography Phonology Syntax Semantics Pragmatics discourse structure Scheme of domain Episodic knowledge

Yes No

(23)

추출해내는 과정으로만 국한 시킬 수 없는 문제인 것이며, 오히려 독서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독자의 지식 정도가 독서과정을 활성화시킨다고 보여진다. 상호작용 모형은 종합적 이고 활력이 있으며 일관성이 있는 모형으로 교재내의 문자표시에 관한 언어적 지식을 처리하는 여러 가지 단계들과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인지구조 사이의 상호관계 활동을 강조한다. 상호작용 모형은 철자나 단어를 해독하는 상향 과정보다도 그리고 선행지식, 담화의 주제, 추론, 세계에 관한 지식 등으로 교재를 이해하려는 하향처리 과정 보다 더 우수한 총체적 모형이다.

B. B. B.

B. 독해 독해 기술과 독해 독해 기술과 기술과 전략 기술과 전략 전략 전략

독해 기술은 의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자동화 되는 능력으로써 독해 전략은 독해 기술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독해 기술은 글을 읽을 때 독자가 사용하는 인지적 능력으로 보며 읽기의 결과가 아닌 읽기 과정의 한 부분으로 보는 텍스트 중심의 능력이라고 보는 반면 독해 전략은 독자 중심의 의식적 수단으로 본다.

1. 1. 1.

1. 독해 독해 기술 독해 독해 기술 기술 기술

Krashen & Terrel(1983)이 주장한 읽는 목적에 의한 독해 학습 전략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효율적인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학습 전략으로서 독해를 읽는 방법과 전략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학습 전략을 위한 읽기를 위해 자료에 따라 읽는 기술도 달라져야 한다.

a. a.

a. a. 특정 특정 특정 특정 정보를 정보를 정보를 위한 정보를 위한 위한 위한 빨리 빨리 빨리 읽기 빨리 읽기 읽기 읽기 (scanning) (scanning) (scanning) (scanning)

독해를 잘하는 이는 필요한 정보사항을 재빨리 찾아내기 위해 대충 흝어 읽기 기술을 많이 쓰고 있으며 글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질문에 대한 빠른 답변을 위해 대충 흝어 읽기를 한다. 빨리 읽기란 읽기 자료 속에서 질문에 대한 특정 정보를 문단속의 모든 단어를 읽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관련사항만을 빠른 속도로 찾아 읽어내는 것이다. 즉, 독자가 목적을 갖고 글을 읽는 경우로서 인물, 연대, 날짜, 전화번호 등과 같은

(24)

특별 정보를 훑어보지만 특별히 관심을 둔 기사 내용을 빨리 찾아 내어 그것을 중점으로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b.

b.

b.

b. 글의 글의 글의 글의 요지를 요지를 요지를 찾아 요지를 찾아 찾아 찾아 빨리 빨리 빨리 읽기 빨리 읽기 읽기 읽기 (skimming) (skimming) (skimming) (skimming)

전체적인 글의 의미나 중심 내용을 알기 위해 빠르게 읽는 기술로서 첫 문장과 끝 문장에 초점을 맞추어 읽는 것이다. 즉 특정 정보를 위한 것이 아니라 중심 내용이나 요지를 찾아 읽는 것으로서 어떤 면에서는 빨리 읽기와 같은 방법이다.

c.

c. c.

c. 정독 정독 정독 (intensive reading) 정독 (intensive reading) (intensive reading) (intensive reading)

주로 학습상황 중에 이루어지며 텍스트 전체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체의 각 단어, 구, 문장구조, 발음, 강세, 억양 등의 세부적인 것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필자의 사상을 파악하며 주의 깊게 읽는 방법의 일종이다.

d d d

d. . . . 다독 다독 다독 다독 (ex (ex (extensive reading (ex tensive reading tensive reading tensive reading

))))

학습자 스스로가 공급자의 도움이나 지도 없이 하는 것으로서 광범위하게 많은 양의 읽기 자료를 읽어가며 글의 대의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로서 난이도가 높지 않은 글을 읽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Mahan(1986)은 중급 학습자(intermediate students)의 독해속도 증진을 위한 기술로 구 단위 읽기(phrased reading), 미리 보기(previewing), 요지 파악을 위한 대강 훑어 읽기(skimming), 세부 항목을 찾기 위한 특정 정보 찾아 읽기(scanning), 문맥에서 어휘의 의미 추측하기(guessing vocabulary in the context), 단락 구성에 관한 지식(Knowledge of organization), 그리고 추론하기(making inferences) 등을 제시 하였다.

2. 2.

2. 2. 독해 독해 독해 독해 전략 전략 전략 전략

독해 전략이란 독자가 글을 읽을 때 의식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책략을 흔히 지칭한다. Cohen(1990)은 이를 “those mental processes that readers consciously choose to use in accomplishing reading tasks”라고 정의하고 있다. 독해 전략은 독해 기술과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훑어 읽기를 독해 기술로 보는 경우도

(25)

있고 독해 전략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에 Urquhart와 Weir(1998)은 표(4 )에서와 같이 독해 기술과 전략을 구분하였다. 한편 Cohen(1990), Grabe와 Stoller(2002), Williams와 Moran(1989)은 다음과 같이 읽기 기술과 전략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읽기 기술은 의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자동화 되는 능력이지만 읽기 전략은 읽기 기술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수단이라고 본다. 또한 읽기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본다. 학자들마다 읽기 전략과 기술에 대한 정의나 분류가 달라 혼동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독해 기술은 글을 읽을 때 독자가 사용하는 인지적 능력으로 보며 읽기의 결과가 아닌 읽기 과정의 한 부분으로 보는 텍스트 중심(text-oriented)의 능력이라고 보는 반면, 읽기 전략은 독자 중심(reader-oriented)의 의식적 선택 수단으로 본다(Urquhart & Weir, 1998). 앞서 예를 든 훑어 읽기는 빠른 시간 안에 긴 글의 요지를 파악하는 읽기 기술인데, 이를 위해 각 단락의 첫 문장만을 읽는다면 이는 훑어 읽기를 위한 읽기 전략인 것이다(Cohen, 1990).

<

<<

<표표표표4> 4> 4> 4> 읽기읽기읽기읽기 기술과기술과기술과기술과 전략을전략을전략을 구분하는전략을구분하는구분하는구분하는 특징특징특징특징 (Urquhart & Weir, 1998, (Urquhart & Weir, 1998, (Urquhart & Weir, 1998, (Urquhart & Weir, 1998, p. 97p. 97p. 97)p. 97)))

STRATEGIES STRATEGIESSTRATEGIES

STRATEGIES SSKILLSSSKILLSKILLSKILLS

Olshavsky Sarig Munby, Nuttall, Lunzer et al.

Use of context to define A word or synonym Synonym substitution Stated failure to Understand a word Re-reading

Inference

Addition of information

Stated failure to Understand a clause

Synonyms

Ongoing self-evaluation Mistake correction Repeated reading

Paraphrasing

Extra-textual content

Deserting a hopeless utterance

Flexibility of reading rate

Deducing the meaning and use of familiar lexis

Repeating reading Skimming and scanning Understanding information In the text, not explicitly stated

Interpreting text by going Outside it

Variations in reading rate

(26)

Aebersold와 Field(1997)는 Clarke(1979), barnett(1989), Anderson, Bachman, Perkins와 Cohen(1991)을 바탕으로 읽기 전략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표5> 읽기 전략 목록 (Aebersold & Field, 1977. p 16) • recognize words quickly

• use text features (subheadings, transitions, etc. )

• use titles(s) to infer what information might follow

• use world knowledge

• analyze unfamiliar words

• identify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words

• read for meaning, concentrate on constructing meaning

• guess about the meaning of the text

• evaluate guesses and try new guesses if necessary

• monitor comprehension

• keep the purpose for reading the text in mind

• adjust strategies to the purpose for reading

• identify or infer main ideas

•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ts of a text

• distinguish main ideas from minor ideas

• tolerate ambiguity in a text (at least temporarily)

• paraphrase

• use context to build meaning and aid comprehension

• continue reading even when unsuccessful, at least for a while

또한 Grabe와 Stoller(2002)도 능숙한 독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읽기 전략의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읽기 전략은 주로 인지 전략(cognitive strategy)과 메타인지 전략 (metacognitive strategy)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맥 내에서 모르는 낱말의 의미를 추측하는 것, 담화 표지어를 찾아 문장이나 단락 간의 연결 관계를 이해하려고 하는 것, 제목을 먼저 읽어 글의 요지를 파악하려고 하는 것,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글의 의미 파악을 하려고 하는

(27)

것, 추론하는 것 등은 인지 전략인 반면, 이해 정도를 모니터링 하거나 읽기 전에 어떻게 읽을 것인지 계획하는 것 등은 메타인지 전략이다.

<표6> 능숙한 독자가 사용하는 읽기 전략 (Grabe & Stoller, 2002.p. 16)

• specifying a purpose for reading • planning what to do/what steps to take • previewing the text

• predicting the contents of the text or section of text • checking predictions

• posing questions about the text • finding answers to posed questions • connecting text to background knowledge • summarizing information

• making inferences

• connecting one part of the text another

• paying attention to text structure

• rereading

• guessing the meaning of a new word from context • using discourse markers to see relationships • checking comprehension

• identifying difficulties

• taking steps to repair faulty comprehension • critiquing the author

• critiquing the text

• judging how well objectives were met

• reflecting on what has been learned from the text

Anderson(1999)은 읽기 전략을 인지읽기 전략과 메타인지읽기 전략뿐만 아니라 보상 읽기 전략(compensating reading strategy)으로 구분하고 있다. 인지읽기 전략은 예측하기,

(28)

요지 파악하기, 어휘 의미 추측하기, 요약하기 전략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사실과 주장 구분하는 전략, 어려운 부분을 접했을 때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읽는 전략 등도 포함한다.

메타인지 읽기 전략은 읽기 과정 모니터링이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달성해야 할 목표를 설정하는 전략을 포함하며 아울러 새로운 자료를 읽기 전에 관련 어휘 목록을 만드는 전략, 동료 학습자와 읽기 기술을 익히기 위해 서로 협력하여 학습하는 전략, 이미 학습한 것을 연습해보는 기회를 취하는 전략을 포함한다. 세 번째 전략인 보상 읽기 전략은 학습자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인데 이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포함된다.

<표 7> Anderson의 읽기 전략(1999)

• Relying on what you already know to improve your reading comprehension.

• Taking notes to help you recall important details.

• Trying to remember what you understand from a reading to help you develop better comprehension skills.

• Reviewing the purpose and tone of a reading passage so you can remember more effectively.

• Picturing scenes in your mind to help you remember and understand your reading.

• Reviewing key ideas and details to help you remember.

• Using physical action to help you remember information you have read.

• Classifying words into meaningful groups to help you remember them more clearly (p. 83).

이러한 전략들은 주로 읽은 내용을 좀더 잘 이해하거나 기억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들이다. 문맥 내에서 모르는 낱말의 의미를 추측하는 것은 전략일 수도 있지만 읽기 기술일 수도 있는데, Hosenfeld(1977, 1984)가 말한 것처럼 다음과 같은 전략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배경지식이나 문법적 지식을 동원하여 의미 파악을 하려고 하는 것뿐만 아니라

(29)

때로는 의미를 모르더라도 중요한 낱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무시하고 넘어가는 것도 하나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한편 Cohen(1990)은 모국어 읽기 전략에 대한 연구(Baker

& Brown, 1984a, 1984b)나 외국어 읽기 전략에 대한 연구(Hosenfeld, 1977, 1979, 1984; Hosenfeld, Arnold, Kirchofer, Laciura, & Wilson, 1981)를 바탕으로 읽기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유형을 다시 Sarig(1985)를 기초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상위 단계 전략 사용을 도와주는 지원 전략(support strategy)으로서 훑어 읽기, 건너 뛰어 읽기, 글에 표시하기(marking the text), 어휘 풀이(glossary)사용 전략 등을 들고 있다. 이는 손이나 눈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적 움직임이 요구되는 심리 운동 학적(psychomotor)수준의 전략이다. 두 번째 의역하기 전략(paraphrase strategy)은 어휘, 문장 수준에서 글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인지전략을 말한다.

세 번째 유형은 담화 수준에서 글의 일관성 파악을 위해 사용하는 인지전략(strategies for establishing coherence in text)이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유형은 메타인지 전략 (strategies for supervising strategy use)이다. Cohen(1990)은 전문적인 글에서 예를 안 읽고 건너 띄는 경우, 앞서 언급한 네 가지 유형 전략 모두에 해당될 수 있다고 한다. 즉 읽지 않고 건너뛰는 것이므로 심리 운동학적 전략이고, 예를 건너뜀으로써 주어진 문장 이해가 더 명확하게 된다면 의역하기 전략이 되며, 예가 글의 전체적인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읽지 않는다면 담화 수준의 글의 일관성 파악을 위한 전략이 되고, 아울러 읽지 않는 것이 글의 이해에 더 도움이 되는지 점검을 한다면 메타 인지 전략이 된다는 것이다. Sarig(1985)는 읽기 능력이 부족한 외국어 독자는 주로 첫 번째, 두 번째 유형의 전략인 지원 전략과 의역하기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유창한 외국어 독자는 세 번째, 네 번째 유형의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이는 독자의 읽기 능력에 따라서 사용하는 전략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읽기 전략이 항상 읽기를 도와주는 것은 아니다. Cohen(1990)은 읽기 전략을 누가 사용하는가, 어떤 글을 읽을 때 사용하는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는가에 따라 그 유용성이 달라진다고 본다. 이는 읽기 전략 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독해 전략에 관한 연구는 독해와

(30)

언어 숙달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부차적인 문제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그 중 스키마의 효율성이 언어 숙달도가 낮은 경우에 더 크다는 사실을 발견한 Hudson(1982)은 스키마의 활성화로 언어 숙달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스키마 생성을 독해의 지름길로 보고 독자의 스키마와 언어 숙달도가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모국어의 독해 전략을 목표에 전이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Block(1986)은 우수한 독자들을 독해 전략을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표 8> Block의 독해 전략(1986)

① 이해를 점검하는데 더 능숙하다.

② 자신들이 사용하는 전략을 더 잘 안다.

③ 더욱 융통성 있게 전략을 이용한다.

④ 전략들을 텍스트 유형에 맞추고 독해 목적에 맞춘다.

⑤ 중요 정보와 세부 정보를 구분 한다.

⑥ 텍스트의 단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예측한다.

⑦ 새 정보와 구 정보를 연관 시킨다.

⑧ 텍스트의 모순점을 찾고 전략을 이용하여 이를 가능케 한다.

Knight, Pardon과 Waxman(1985)은 단일어 사용자(monolingual)와 이중언어 사용자 (bilingual)가 사용하는 인지적 독해 전략의 형태나 빈도의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실시한 연구에서는 독해 전략 목록을 이용하였다. 그것은 모국어가 스페인어인 ESL 학생들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그들은 3학년에서 5학년에 이르는 학생들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보면, 단일어 사용자가 ESL 학생들에 비해 거의 두 배 정도로 많은 전략을 사용하며 그 사용 빈도가 더 높았다. Pardon과 Waxman(1988)은 모국어가 스페인어인 3,4,5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이 인용한 독해 전략과 독해 능력에서의 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사전에서 단어 찾기’,‘중심 생각을 반복해서 말하기’,‘매 단어를 다시 반복해서 말하기’,‘이해되지 않는 부분 뛰어

(31)

넘기’,‘가능한 한 빨리 읽기’등의 전략들은 독해 능력 성취도와 부정적 상관 관계가 있으며, 나머지 전략들은 성취도와 긍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외국어 독해를 위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전략의 종류와 복잡성은 끝이 없으며 전략의 종류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다. 사실상 전략들이 흔히 서로 결합되어 활동되며(Kern, 1989) 개별 독자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 기술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관성 있는 목록을 만드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Mikulecky(1990)는 그의 독해 기술에서 필요하다고 여기는 부분들을 보충함으로써 총 17개의 목록을 작성하였는데 다음<표 9>과 같은 전략이다.

<표 9> Mikulecky의 읽기 학습전략 독

해 전 략

읽기 학습전략 하 위 기 술

1. 어휘/문장 분석으로 의미 파악

Oxford가 제시한 표현 분석(analyzing expressions)과 언어적 단서이용(using linguistic clues)과 관련된 전략 이다. 모르는 어휘나 문장이 있을 경우 어휘의 각 형태소의 의미 파악, 혹은 문장 분석 등을 통해 핵심적 의미를 파악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2. 문법 규칙으로 끊어 일기

문장 단위의 글을 읽을 때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독해전략으로서 어휘와 구를 빠르고 자동적으로 지각하는 기술이 필요 하다. 예를 들어 I don’t know how to... 나 It is said that... 등을 분석하지 않고 한 단위처럼 인지해야 한다.

상 향 과 정

3. 의역하기

문장을 직역한 후에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 모국어의 표현구조로 바꾸어 생각하는 전략이다. 빠르고 정확한 구문 이해 기술이 필요.

4. 주제문 파악

지문이 무엇에 관한 내용인지, 즉 중심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전략이다. 단락의 처음과 끝 부분을 읽거나 제목등을 읽고 예측하는 능력, 즉 글의 요지를 파악하기 위해 빨리 읽기(skimming) 기술이 필요하다.

(32)

5. 요지 파악

필자의 주장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사상을 파악하는 전략으로서 특정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빨리 읽기 (scanning)나 글의 요지를 파악하기 위해 빨리 읽기 (skimming)기술이 필요하다.

6. 예측하기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읽은 내용을 근거로 해서 전개될 내용을 미리 예측하여 내용파악에 도움을 주는 전략을 언어적 지식과 내용에 대한 사전 지식을 활용 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7. 추론하기

텍스트에 이미 기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근거로 기술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짐작하는 전략으로 글의 앞, 뒤에 올 내용 추론, 대명사나 명사구가 가리키는 지시대상 추론 등 의 기술이 필요하다.

8. 글의 논리적 흐름파악

문장이나 단락간의 논리적 관계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연결사 등에 주의하며 논리적 인과 관계를 그려보는 기술이 필요하다.

9. 내용을 마음 속에 그리기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할 때 특정 내용과 세부사항에만 주의를 기울여 지문을 읽는 전략으로 특정 정보를 파악 하기 위해 빨리 읽기(scanning)등의 기술이 필요.

10. 연결사 파악

문장이나 단락간의 연결이 올바른지를 파악하는 전략으로 전반적인 글의 흐름을 연결사에 주의해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11. 내용에 감정 적으로 반응

글에 나타난 필자의 견해나 감정을 파악하는 것으로 글 속의 사실적, 추론적 정보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공통점을 도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12. 글의 분위기 (어조)파악

글의 분위기 즉 희망적, 해학적, 낙관적, 낭만적인지를 파 악 하는 전략으로 글 속에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존재 하는 정보들을 종합하여 추론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 하다.

13. 필자의 글 쓴 목적 파악

글쓴이의 입장에서 글을 쓴 주된 목적을 파악하는 전략 으로 글의 요지를 파악하기 위해 빨리 읽기(scanning) 기술과 빨리 읽기(fast reading)등의 기술을 통해 내용 파악을 한다. 여기에서는 주관적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 향 과 정

(33)

14. 글의 종류 파악

주어진 지문이 어느 분야의 글에서 발휘된 것인지를 추리 하는 전략으로 종류에 따른 글의 전개 방식이나 표현방식 에 대한 배경지식을 적절히 활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15. 문맥으로 유추하기

모르는 어휘나 어구를 문맥적으로 대강 이해하거나 빈칸에 적당한 어휘를 앞 뒤 문맥 혹은 언어적 지식으로 결정하는 전략이다.

16. 그림, 도표 등을 이용

부족한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주변의 그림이나 도표 등을 이용하는 전략이다. 글의 내용과 그림 및 도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

Anderson(1991)은 Prichard의 독해 전략 목록과 Nevo의 객관식 시험 치르기 전략 목록을 이용하여 47개의 독해 전략 목록을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Ⅰ. 감독 전략(supervising strategies): 나는 1. 읽을 내용을 알아본다

2. 지문에 집중하지 못할 때가 있음을 인식한다.

3. 지문의 어떤 부분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을 인식한다.

4. 지문의 어떤 부분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5.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독서 속도를 조절한다.

6. 질문을 만든다.

7. 단어의 뜻이나 지문의 내용에 대해 예측해 본다.

8. 모르는 어휘를 체크한다.

9. 추론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확인한다.

10. 이전에 나온 구나 절을 참고한다.

11. 글의 분위기를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Ⅱ. 지지 전략: 나는

12. 모르는 단어는 사전을 찾아보지 않고 그냥 넘어간다.

13. 모르는 단어는 사전을 찾아본다.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affirmation according to K-Pop star image on the desir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revision, educational objectives, organizatio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of English textbooks (Grade 7)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had 14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punctu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mentoring on th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in a team-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