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4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4년 8월

교육학석사(영어교육)학위논문

중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오 송 희

(3)

중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Examining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English Punctuation

2014년 8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오 송 희

(4)

중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지도교수 김 경 자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영어 교육)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4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오 송 희

(5)

오송희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류관수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최영주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경자 인

2014년 6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감사의 글

영어에 대한 즐거움과 호기심으로 학부 때 영문학을 전공하게 되었고 그에 대한 관심이 영어교육학으로 발전해 나가게 되었습니다.이러한 영어교육학에 대한 저의 관심과 흥미를 논문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이끌어주시고 지도해 주신 김경자 교수 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매번 논문을 꼼꼼히 읽어 주시고 지도해주시며 인생 의 조언까지 아낌없이 해주셨던 교수님의 지도와 배려가 저에게는 잊을 수 없는 크나큰 행운이라 생각합니다.교수님의 가르침에 어긋나지 않도록 올바른 교육자의 자세를 잃지 않는 제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낳아주시고 키워주시고 남들보다 건강하지 못한 저를 학업에 편히 매진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사랑하는 아버지,어머니와 하나뿐 인 동생에게도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14.6. 오송희 드림.

(7)

목 차

감사의 글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표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ⅳ

Ⅰ.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 2연구 질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 3논문의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Ⅱ.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 1영어 구두점의 정의와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 1 . 1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 1 . 2종류 및 기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 2영어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 3영어 구두점에 대한 선행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Ⅲ.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3 . 1연구 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3 . 1 . 1영어 학습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3 . 1 . 2영어 교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3 . 2연구 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3 . 2 . 1영어 구두점 학습에 관한 학습자와

교사 설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3 . 2 . 2영어 구두점 평가 문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3 . 3자료 수집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4

(8)

3 . 4자료 분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4

Ⅳ.연구결과 및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5

4 . 1학습자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분석결과 1 5

4 . 1 . 1영어 구두점 학습경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5

4 . 1 . 2영어 구두점 학습 시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6

4 . 1 . 3영어 구두점 학습 장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6

4 . 1 . 4영어 구두점 학습 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6

4 . 1 . 5교사의 영어 구두점 언급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1 6

4 . 2영어 교사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 · · · · · · · · · · · · · · · · · · ·1 7

4 . 3영어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8

4 . 3 . 1구두점 학습이 필요한 이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9

4 . 3 . 2구두점 학습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 · · · · · · · · · · · · · · · · ·1 9

4 . 3 . 3구두점 학습의 필요성과 구두점 이해도의 관계 2 0

Ⅴ.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5 . 1연구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5 . 2교육적 함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5 . 3연구의 제한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5 . 4후속 연구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5 . 5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4 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5

<부록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부록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9

(9)

표 목차

<표 1 > 구두점의 명칭과 기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2 > 영어 학습자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표 3 > 영어 교사의 구두점 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지도중점 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표 4 > 평가지에 사용된 구두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표 5 >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5

<표 6 > 영어 교사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 · · ·1 7

<표 7 >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 여부와 이유 · · · · · · · · · · · ·1 9

<표 8 >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과 이해도의 관계 · · · ·2 0

(10)

ABSTRACT

Examining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English Punctuation

Oh, Song-hee

Advisor: Kyung-Ja Kim, Ph.D.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punctuation and to suggest learners appropriate use of English punctuation which is included in a current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tudents' comprehension about the English punctuation which is connected with the English curriculum for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105 middle school students and 5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for collecting data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test was carried out for analysis in degree of understanding between education necessity and pr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ere us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and to respond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50 middle school students had an experience about English punctuation learning. Their learning place of English punctuation was private English institute and the learning period w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80 students answered that learning English punctuation is needed. They considered that English punctuation help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in English sentences. 2 teachers had an experience about learning English punctuation in middle school and the learning place was in public

(11)

education. The gap between the necessity and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English punctuation was statistically not meaningful in this study.

In conclusion, English punctuation learning process should be involved in the English curriculum.

(12)

Ⅰ.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원활한 의사소통 및 정보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적절한 구두점(punctuation) 의 사용이 필요하다. 초등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어의 구두점 학습과 마찬가지 로 영어에서도 문장부호, 즉 영어 구두점의 교육도 기본적으로 학습 되어야 한다.

영어의 구두점은 저마다 고유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영어로 쓰인 글을 읽 고 쓸 때 우리는 영어 구두점을 적절히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영어 교육은 문법적 이론만을 중시 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이 생각한 내용을 밖으로 표현하는 말하기 능력과 그것을 글로 표현해 낼 수 있는 쓰기 능력 에 대해 학습이 집중되어가고 있다. 글쓰기는 EFL 환경에 있는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El-Koumy & Abdel, 1998). 따라서 올바른 쓰기 교육이 선행될 때 말하기 능력도 효과적으로 학습될 수 있다. 올바른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우선 영어의 구문론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 데, 이는 구두점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가능하다(정연우, 2011). 영어 구두점 중에 는 적절한 우리말 용어를 찾지 못해 영어 용어를 그대로 쓰는 것들이 있다(한학성, 2012). 즉,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생들에게는 영어 구두점의미의 이해와 더불어 사 용 시 어려움이 생긴다. 이와 같은 EFL상황에서는 영어구두점 학습이 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 져야 한다.

김정수(2006)의 연구 결과에서는 5종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 가운데 2학년과 3 학년 교과서에서 구두점과 관련된 연습 문제를 제시한 것은 하나도 없었다. 단지 1 학년용 교과서에서 평서문에는 마침표, 의문문에는 물음표를 사용한다는 정도의 연 습 문제만 제공할 뿐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구두점에 대한 성취기준마저

(13)

없고, 수능 등 시험에서 구두점과 관련된 문제는 전혀 출제되지 않으니, 중학교 과 정에서 배우지 못한 구두점의 용법을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우기를 기대하기도 어 렵다. 그런데 2007년에 개정된 영어교육과정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형식적으로 나마 존재하던 구두점에 관한 성취기준을 아예 삭제해 버렸다(교육부 2007). 단지 초등학교 5~6학년 과정에서 구두점의 종류에 대한 언급 없이 문장 안에서 구두점 을 바르게 쓴다는 극히 형식적인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한학성, 2012). 이것은 현재 영어교육과정에서 영어구두점(punctuation)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며, 구두점 교육에 대한 절실함 또한 보여주고 있는 것 이다.

Truss(2003)은 우리가 단어 사이의 알맞은 장소에 알맞은 점들과 그 밖의 부호 들을 제대로 집어넣을 때 우리의 모든 생각을 완전무결하고 선명히 드러낼 수 있 다고 주장했다. 올바른 문장 부호의 사용은 명료한 사고를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증거이기도 하지만 이 같은 명료한 사고에 이르기 위한 시발점이기도 하다.

여기서 그는 문장부호, 즉 영어 구두점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두 말할 것도 없 고 영어 구두점 사용의 절대적인 필요성에 대하여 피력하고 있다. 글쓴이가 표현하 고자 하는 의미대로 혹은 글의 목적에 따라 구두점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비 단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밝혀주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사고를 명료하고 정확하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이 말을 거꾸로 하면, 영 어 구두점의 용법을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다면,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 할 수 없으며 글쓴이가 어떤 목적으로 글을 썼는지, 문장과 문장이 어떠한 구조로 구 성되어 있는지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됨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구두점’을 제 2의 언어라고 말하는 것은 과언이 아니며 ‘영어’라는 언어를 학습하는 학생으로 서 영어 구두점의 종류 및 용법(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학 습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며 의무 일 것이다(2009, 김미진).

앞에서 언급했듯이 학생들의 영어쓰기의 능력은 점점 중요시 되어가고 있다. 하

(14)

지만 입시위주의 우리나라 교육 환경에서 영어구두점 교육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 다. 정연우(2011)의 선행연구에서 대학교 신입생들의 영어쉼표 오류 분석만을 가 지고 영어 구두점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지 못하여 나타난 오류 종류와 횟수를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중등과정에서 구두점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볼 수 있는 연구결과의 예이다. 이처럼 기본적으로 학습되어야 하는 영어구두점 교 육이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고 있으며, 설령 이루어지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언급에 불과할 뿐,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을 파 악하고, 그 차이를 분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학습자의 경우 구두점 학습의 교육 필요성 여부에 따른 구두점 이해도 관계를 조사하여 현재 중등과정에서 필요로 하 는 구두점의 올바른 교육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1.2 연구 질문

본 연구는 중학생 영어학습자의 영어 구두점 인식도 및 이해도와 영어 교사의 영어 구두점 인식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영어 학습자와 교사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경우, 구두점 교육 필요성 여부에 따라 구두점 이해 도가 다른가?

(15)

1.3 논문의 구성

위의 연구는 제 1장에서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 질문에 이어 제 2장에서는 구두 점의 정의, 종류, 필요성, 선행 연구 방법을 살펴 볼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연구대 상, 연구도구, 자료수집 방법과 분석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4장에서는 통계분 석에 따른 연구 결과 및 논의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위의 내 용을 종합한 결론을 도출하고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 후속연구 제언, 제한점에 대 해 살펴보기로 한다.

(16)

Ⅱ. 이론적 배경

2.1 영어 구두점의 정의와 종류

영어 구두점은 영어로 쓰인 글의 의미 이해, 문법성 및 명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미 이해와 관련되는 구두점으로는 마침표(period), 쉼표(comma), 아포스트 로피(apostrophe), 하이픈(hyphen), 콜론(colon), 기울임체(italics) 등이 있으며, 문법 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경우는 관계대명사의 비제한적 용법과 두 문장을 접 속사 없이 연결되어 있다(한학성, 2012).

2.1.1 정의

구두점의 사전적 의미는 손으로 쓰거나 인쇄한 글에서 문장의 의미를 분명히 하 고 문장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기 위해 쓰는 규정 부호와 여백 및 다양한 인쇄기호 이다. 구두점은 문장의 의미를 분명히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1) She is a teacher.

2) She is a teacher?

1)의 문장은 ‘그녀는 선생님이다.’라는 뜻이고 2)의 문장은 ‘그녀가 선생님이야?’라 는 뜻이다. 문장의 구조는 같지만 마침표와 물음표의 구두점 차이로 인하여 해석에 서 또한 명확한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구두점의 사용에 따라 문맥적 의미가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문장이다.

(17)

구두점 명칭 기능

. 마침표

(period)

진술이나 명령문의 끝에서 끝맺음을 하는 데 사 용된다.

e.g. Close the door.

? 물음표

(question mark) 의문문의 끝에서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e.g. Where do you live?

! 느낌표

(exclamation)

강한 느낌이나 인상을 표현할 때 문장 끝에서 사용된다.

e.g. Ouch! That hurts!

, 쉼표

(comma)

구두점 중 가장 많은 용법을 가지고 있으며, 보 편적으로 나열된 단어나 구, 절을 구분하기 위 해 사용된다.

e.g. Dear mother,

; 세미콜론

(semicolon)

쉼표와 마침표의 중간 성질을 가진 구두점으로, 주로 독립절과 독립절의 사이에 사용된다.

e.g. I have visited Seoul, South Korea;

Beijing, China; Ottawa, Canada; Mexico city, Mexico.

3) I like apples, oranges, bananas, and grapes.

또한 위의 문장에서처럼 구두점은 문장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는 기호이기도 하다.

2.1.2 종류 및 기능

현재 영어에는 14개의 구두점이 쓰이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구두점이 문장(또 는 hyphen처럼 단어)안에서 수행하는 통사, 의미 기능이나 역할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구두점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열 가지 구두점의 명칭과 기능(용법), 그리고 그에 관한 예시문 10가지를 표 1에서 간략하게 언급하고자 한다(Hugue, 2003, pp. 194-221; 한학성, 2012에서 재인용).

구두점의 명칭과 기능표 1

(18)

: 콜론 (colon)

주로 문장 끝에서 사용되며, 앞에 나오는 요소 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뒤에서 설명, 반복, 강 조하는 기능을 한다.

e.g. I have many fruits: oranges, apples, bananas and grapes.

' 아포스트로피

(apostrophe)

명사나 부정 대명사를 소유격으로 만들거나 Contraction(축약)을 위해 단어 끝에서 사용된 다.

e.g. It's sunny.

“ ” 따옴표 (quotation marks)

항상 한 쌍으로 사용되며, 직접화법을 인용하는 데 쓰인다.

e.g. She said “I am Anna. ”

— 대시

(dash)

강조하고 싶은 요소를 분리해 내거나 필수적이 지 않은 정보를 동격으로 처리할 때 사용된다.

e.g. We drank hot coffee—very hot coffee-without meal.

‐ 하이픈

(hyphen)

단어나 접두사, 접미사, 숫자 등을 합성해서 연 결하는 기능을 한다.

e.g. thirty‐two children, pre‐existing, a bad‐tempered woman

2.2 영어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

구두점 표시는 독자들에게 부가적인 ‘의미’를 전달해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양식 화된 기호라고 Brittain(1964)은 영어 구두점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또한 구두점 은 어떤 문장에 사용된 어휘들로는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의미를 구두점이 전달 해줌으로써 문장의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표현해준다.

말하기와 쓰기는 둘 다 같은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이라는 원천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볼 때(Shuy, 1981), 쓰기 교육도 말하기 교육만큼 중 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글쓰기는 EFL 환경에 있는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El-Koumy &

Abdel, 1998). 다시 말하면, 말하기 능력은 올바른 쓰기 능력을 전제로 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될 수 있으며 올바른 쓰기 능력을 전제로 할 때 더욱 더 효과적으

(19)

로 학습 될 수 있는 것이다. 올바른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우선 영어의 구 문론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구두점의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가능 한 것이므로 구두점의 교육이 절실하다는 사실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정연우, 2011 에서 재인용).

2.3 영어 구두점에 대한 선행 연구

김정수(2006)는 구두점에 대한 학생들의 구두점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구두점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구두점 관련 항목들이 학생 들의 교과서의 연습문제에 반영이 되어 있는지 현행 5종 교과서를 조사한 결과, 중 학교 2학년과 3학년 5종 교과에서는 구두점 문제를 전혀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중학교 1학년 교과에서만 평균적으로 두 단원 정도 구두점 관련 문제가 다루어지 고 있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김미진, 2009 에서 재인용).

한학성(2007)은 영어 교육적 관점에서 구두점의 의미와 문법적 역할을 바라보고 영어에서의 구두점 여부가 해당 문장의 문법성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경우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구두점 하나가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를 통해 구두점이 영어 글의 정확한 이해와 구사를 위해서 반드시 익혀야 할 사항임을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우리나라 현직 영어 교사들이 영어 구두 점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강한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하였다(김미진, 2009에 서 재인용).

김미진(2009)은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구두점에 대한 인식도 및 학습 실 태에 관한 연구와 영어 교과서의 내용의 구성을 빠른 시일 내에 개편되어야 할 부 분이기 때문에 이것을 구두점 관련된 시험 문항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의 인식의 관 계를 보여 주었다. 이것을 통하여 영어 구두점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20)

할 것이며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이 한 단계 발전될 수 있는 연구가 되길 바란다고 하였다.

정연우(2011)는 대학교 신입생들의 영어 쉼표 오류 분석 연구를 통해서 구두점 오류 중 대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구문론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구두점의 기능을 익 힌다면 개선 가능하다고 보았다. 영어능력과 쉼표의 사용에서 이 두 부분이 서로 상관관계가 높지 않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수준 높은 영어실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쉼표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지 않는다면 정확한 내용을 표현할 수 없다는 결과를 찾아 볼 수 있다.

위의 선행연구에서는 영어 구두점에 대한 학습현황과 이해도에 관한 시험문항의 결과에 따른 실태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 서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영어 교사의 구두점 인식 및 과거의 학습경험에 대해 다 룰 것이고 구두점이 필요한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 분석 할 것이다. 또한 중학생 영 어 학습자의 경우, 구두점 교육 필요성 여부에 따른 구두점 이해도를 알아 볼 것이 다.

(21)

Ⅲ.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본 연구를 위해 D시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105명과 영어 교사 5명을 대상으 로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1.1 영어 학습자

설문에 응한 중학생 영어 학습자 105명중 남학생은 59(56%)명이었고 여학생은 46(44%)이었으며 1학년은 14(13%)명, 2학년은 47(44%), 3학년은 44(41%)명이 었다. 이들 중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학생은 27(26%)명이었다. 연구 참여 영어 학 습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영어로 된 책 읽기를 선호하는 학생은 14(13%)명이었다.

표 2는 자신의 영어능력에 대해 평가하는 문항에서 51명의 학생이 ‘중간이다’로 응답하였으며 ‘좋지 않다’ 또는 ‘아주 열등하다’는 30명, ‘좋은 편이다’ 또는 ‘아주 좋다’에 응답한 학생은 22명이 응답하였다. 영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선택한 것은 듣기/말하기로 58(55%)명의 학생들이 응답하였다.

(22)

표 2

영어 학습자의 특성

영어 능력에 대한 자가 평가(명) 영어 학습 시 강조할 부분(명)

1* 2 3 4 5 영어독해 21

4 26 51 17 5

영미문화 6

듣기/말하기 58

영문법 16

영작문 4

*영어능력 자가평가: 1=아주 열등하다; 2=좋지 않다; 3=중간이다; 4=좋은 편 이다; 5=아주 좋다

3.1.2 영어 교사

광주 소재의 중ㆍ고등학교에서 현직 영어교사 5명에게 학생 설문과 마찬가지로 구두점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표 3은 영어교사의 구두점의 지도가 필요한 이 유와 지도중점분야에 관한 결과이다. 대부분의 응답자(4명)가 구두점을 학습한 경 험이 있었고, 이 중 ‘학교에서’ 구두점을 배운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구두점의 쓰임에 대해 지도해야 할 필요성에 관한 문항에 대해서는 모두가 ‘필요하다’고 응 답하였으며 구두점 지도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영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2명),영어 글쓰기에 도움(1명), 영어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1명) 이 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영어 학습을 위해 강조되어야 하는 부분은 영어독 해(3명)와 듣기/말하기(2명)라고 대답하였다.

(23)

표 3

영어 교사의 구두점 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지도중점 분야 구두점 지도가 필요한 이유(명) 영어 학습 지도 시 강조 할 부분(명)

영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 2 영어독해 3

영미문화 0

영어 글쓰기에 도움 1

듣기/말하기 2

영어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 1

영문법 0

영작문 0

3.2 연구 도구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과 영어 교사들의 구두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 하였다. 학습자들의 설문지에는 구두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 하여 영어 구두점 사용에 따른 해석의 차이와 구두점 오류에 관련된 시험문항을 출제 하였다.

3.2.1 영어 구두점 학습에 관한 학습자와 교사 설문지

영어 구두점 학습 현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용 설문지(부록 1 참 조)를 총 21문항으로 개발 하였다. 현직에 있는 영어 교사에게 구두점 학습에 대 한 인식 및 교육 현황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교사용 설문지(부록 2 참조)를 총 12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성별, 학년, 영어 학습 강조분야 등 인적사항 에 관한 문항을 학습자용 6문항, 교사용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두점 학습경험

(24)

구두점 한국어 영어

. 마침표 period

, 쉼표 comma

“ ” 큰따옴표 quotation mark

! 느낌표 exclamation mark

? 물음표 question mark

여부 문항, 구두점 경험이 있는 사람에 한하여 구두점 학습 시기와 학습 장소를 물 어 보았다. 또한 구두점에 대한 언급 정도에 관한 문항도 출제하였다. 구두점 학습 의 필요성의 유무를 묻고, 그에 관련된 이유를 보기에서 고르는 문항도 포함하였 다. 이처럼 학습자와 교사의 학습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7개의 설문 문항을 배치 하였다.

3.2.2 영어 구두점 평가 문항

교사용 설문과는 별도로 학습자용 설문지 문항은 총 21문항 중 8개의 문항을 구 두점 평가 시험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평가지에는 구두점 표기 오류 찾기 문항 1 개, 올바른 구두점 표기 문항 5개, 구두점 유무에 따른 의미 변화에 유의하여 두 개의 문장을 해석하는 2개의 문항으로 배치하였다. 평가 문항에 사용된 영어 문장 들은 제7차 개정교육과정의 범위 안에서 인용하였다. 시험문항에서는 영어독해 및 글쓰기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중학교 수준의 구두점 5가지의 올바른 표기 및 이해에 대한 학습자들의 학습 정도를 묻고자 하였으며, 평가에 사용된 구두점은 다 음 표 4와 같다.

평가지에 사용된 구두점표 4

(25)

3.3 자료 수집 방법

설문에 앞서 영어 학습자 및 교사에게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참 여 동의를 얻은 후에 자료를 수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수집을 위하 여 2014년 2월, D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 남녀 105명에게 영어구두점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무기명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10분 이내로 작성하도록 하였 다. 문화센터 중학교 방과 후 아카데미와 사설 영어 학원에서 수강 중인 중학생 총 105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 졌다. 총 105부의 설문지 중 회수율은 100%로 전량 회수하였다. 평가 문항은 중학교 7차 영어 교육개정안을 포함하고 있는 지문을 활용하였으며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어교사 및 학생에 대한 설문은 설문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협조를 부탁하여, 연구자가 직 접 방문과 지인의 협조 및 전자우편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3.4 자료 분석 방법

설문조사 문항은 수치화 하여 기록하는 방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기술 통계 (descriptive statistics)를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및 빈도수와 백분율 분석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인 학습자와 교사의 개인 정보 분석과 영어 구두점의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영어 학습자의 영어 구두점 교육 필요성 인식 여부 에 따라 구두점 평가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6)

표 5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구두점 학습

경험 여부(명)

구두점 학습시기(명)

구두점 학습 장소(명)

구두점 이해 정도(명)

구두점에 대한 교사의 언급정도(명)

유 무 미취학 3 학교 20 1* 2 1** 5

초등학교 37

학원 27 2 10 2 30

50 55 과외 21 3 38 3 14

중학교 10

어학연수 2 4 0 4 1

* 구두점 이해 정도: 1=전혀 모른다; 2=잘 모른다; 3=대체로 알고 있다; 4=매우 잘 알고 있다

** 구두점에 대한 교사의 언급정도: 1=매번 언급해 주셨다; 2=대체로 언급해주셨다;

3=대체로 언급하지 않았다; 4=전혀 언급해 주시지 않았다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1 학습자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분석 결과

4.1.1 영어 구두점 학습경험

표 5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구두점학습에 대한 인식을 제시 한 것이다. 설문 조사를 실시한 105명의 학생 중 구두점 학습 경험을 묻는 질문에 ‘있다’로 대답한 학생은 50명(48%)으로 나타난 반면에 ‘없다는 대답은 55명(5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설문 응답자 학생 과반 수 이상은 영어 구두점에 대한 학습 경험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학습 경험이 있다는 48%의 응답률로 볼 때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과이나 구두점 학습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김미진 (2009)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구두점 학습경험에 관한 설문결과에 ‘없다’에 30%

가 응답하였으며, ‘잘 모르겠다’에 16%가 나온 결과는 이번 연구의 응답과는 상이 한 결과이다.

(27)

4.1.2 영어 구두점 학습 시기

구두점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생 50명 중 37명의 학생들은 구두점을 초 등학교 때부터 학습하였다. 이것은 현 초등교육과정에서 영어 구두점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결과가 구두점 학습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4.1.3. 영어 구두점 학습 장소

구두점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생 50명 중 ‘학원에서’라고 대답한 응답자 가 27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과외에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21명이었다.

구두점 학습 장소의 설문에는 공교육 기관보다 사교육 교육기관에서 더 많은 학습 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반면 김미진(2009)의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73%가 ‘학 교에서’ 구두점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응답률과는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4.1.4 영어 구두점 학습 정도

구두점 학습을 경험한 학생 50명 중 구두점의 이해정도에 대해 물었다. 38명의 과반수 학생이 ‘대체로 알고 있다’에 응답하였고 10명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4.1.5 교사의 영어 구두점 언급정도

구두점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생 50명 중 영어구두점이 나왔을 때, 선생

(28)

학습 경험 여부

(명)

학습 시기(명) 학습 장소(명) 이해 정도(명) 언급 정도(명)

유 무

미취학 1

학교 3 대체로

이해 3 대체로

언급 3

중학교 2

과외 1

매우 잘

이해 1

대체로 언급하지

않음 4 1 1

고등학교 1

기타 1

기타 1

님께서는 ‘대체로 언급함’에 30명, ‘대체로 언급하지 않음에 14명이 응답하였다.

이러한 응답결과는 교사가 수업시간에 구두점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4.2 영어 교사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다음 표 6은 영어교사의 설문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표 6

영어 교사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

설문에 응답한 5명의 교사 중 4명이 구두점을 학습한 경험이 있었으며 그 시기 는 ‘중학교에서’라고 2명이 대답하였다. 또한 구두점을 학습한 장소는 ‘학교’라고 응답하였고, 3명의 교사가 구두점을 대체로 이해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구두점이 수업시간에 나왔을 경우, 4명중 3명의 교사가 학생들에게 구두점을 매번 언급해 주었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뿐 만 아니라 교사 역시 구두점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라는 것을 추론 할 수 있다. 하지만 양기숙과 박거용(2009)은 쉼

(29)

표기능에 대한 고등학생 이해도 연구에서 교사의 구두점 교육 실시여부를 묻는 문 항에서 10명의 응답자 중 7명의 교사가 구두점 교육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구두점 언급을 하지 않은 위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과반수의 설문 참여 교사가 구두점을 언급 했다는 결과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두점 학 습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의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있다. 설문 참여교사(5명) 중 2명이 중학교에서 구두점을 학습한 응답결과와는 달리 학습자 응답자의 대부분 은 초등학교에서 구두점을 학습하였다. 또한 학습 장소에 관한 물음에서는 사교육 기관에서 구두점을 학습한 학습자들과는 다르게 교사의 대부분은 학교인 공교육기 관에서 학습하였다. 이것은 학습자와 교사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의 차이 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4.3 영어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 여부

표 7은 구두점 학습 필요성의 여부와 그 이유에 관한 학생들의 응답결과이다. 전 체 응답자 중 80명(76%)이 구두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25명(24%)은 ‘필요 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것은 일부 구두점 학습 경험이 없는 학생들 또한 학습 의 필요성을 느꼈다는 결과를 추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정도의 차이와 학습 필 요성 유무는 별개라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구두점이 영어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학생들의 인식을 뒷받침 해주는 결과이다.

(30)

표 7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 여부와 이유 구두점

필요성(명) 구두점이 필요한 이유 (명) 구두점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명)

유 무

영어문장 의미파악

도움 38 영어문장 의미파악

도움이 되지 않음 7

80 25

영어 글쓰기 도움 9 영어 글쓰기 도움이 되지

않음 9

영어문장 구조 파악

도움 33 영어문장 구조 파악

도움이 되지 않음 8

4.3.1 구두점 학습이 필요한 이유

구두점 학습이 필요한 이유로 ‘영어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38명)’으로 가장 많은 학생이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영어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 (33명)’으로 앞의 응답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처럼 학습자들은 의미와 구조를 같은 맥락으로 간주하여 두 개의 요인 모두가 구두점 학습이 필요한 이유 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을 유추 할 수 있다.

4.3.2 구두점 학습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구두점 학습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설문에 ‘영어 글쓰기에 도움이 되지 않음(9명)’, ‘영어 구조파악에 도움이 되지 않음(8명)’, ‘영어 의미파악에 도움이 되 지 않음(7명)’으로 근소한 차이로 응답 하였다. 글쓰기와 구두점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영어 학습자들에게 구두점 학

(31)

표 8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과 이해도의 관계

대상 집단 학생 수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p)

전체 105 51.1 9.02

구두점 학습 필요 80 51.9 8.58

1.497 0.138 구두점 학습

불필요 25 48.8 10.13

습의 필요성이 간과되었음을 알 수 있는 응답결과이다.

4.3.3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과 구두점 이해도의 관계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 여부와 구두점 평가 이해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표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구두점 이해도 평가 결과에는 전 체 응답자(105명)의 점수 80점 만점 중에 최저 20점에서 최대 60점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평균은 51.1(표준편차=9.02)이다.

구두점 학습이 필요하다고 한 학습자들의 구두점 평가 점수 평균은 51.9점(표준 편차=8.58)이며,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학습자들의 평균은 48.8점(표준편차

=10.13)이었다. 양 집단의 평균 차이가 3.1점이며, t-검정 결과 t = 1.497, p = 0.138로 영어 구두점 학습 필요성 여부에 따른 구두점 이해도의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는 않지 만 학습자가 구두점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할수록 구두점에 대한 이해도는 높았다.

이는 학생들이 구두점을 이해하기 위한 의미파악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해도가 높은 만큼 구두점 교육의 필요성이 판단된다고 보여주는 결과이다.

(32)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학습자들과 교사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관한 현황과 인식을 조사하고 학생과 교사의 인식 차이를 분석 하는데 있었다. 또한 구두점 학 습 필요성 여부에 따른 구두점 이해도를 조사하여 현재 중등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구두점의 체계적인 교육을 권장하는데 있었다.

5.1 연구 요약

중학생 남녀 영어학습자 105명의 응답자 중 50명이 구두점 학습을 경험하였고, 이 보다 많은 55명이 구두점을 학습하지 않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구두점을 학습 한 경험이 있는 50명의 학생 중 대부분은 주로 사설교육기관에서 구두점을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교육기관인 학교에서도 구두점 교육이 강화되어 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는 응답결과로 볼 수 있다. 구두점 학습시기를 보았을 때 과 반수가 초등학교 때 구두점을 학습 하였으나 중학교에서는 구두점 교육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다는 결과를 유추할 수 있다. 설문에 참여한 중학교 영어 학습자 105명 중 80명이 ‘구두점 학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과반수의 응답비 율은 영어 학습에서 구두점 학습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구두점 학 습을 경험한 학습자(50명) 중 구두점 학습 장소에 관한 설문에 학원 및 과외를 통 한 사교육 기관에서 대체적으로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대부분(38명)은 구두점에 대하여 대체로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구두점이 필요한 이유를 묻는 문 항에서는 영어 문장 의미파악 도움(38명), 영어 문장 구조 파악 도움(33명), 영어 글쓰기 도움(9명)이라고 답하였다.

(33)

반면 영어 교사의 구두점 학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참여교사(5명)중 2명이 중학교에서 구두점을 학습한 것으로 응답하여 초등학교에서 라고 응답한 대다수의 학습자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사교육기관에서 구두점을 학습한 학생들과 달리 교사의 대부분(3명)은 학교인 공교육기관에서 학습했다는 응답과 상반되는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영어학습자의 경우, 구두점 학습의 필요성과 이해도의 차이가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가 구두점 학습이 필요하 다고 인식할수록 구두점에 대한 이해도는 높았다.

5.2 교육적 함의

글쓰기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문장부호 즉, 구두점 학습은 영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현 중등과정에서 영어 구두점 교육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그 학습의 필요성은 아직까지도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영어 구두점 교육을 위해 교사는 첫째, 영어 학습자들의 독해능력 및 글쓰기 능력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영어 구두점에 대해 보다 단계적이고 세밀한 교육의 실현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는 영어독해를 할 때 문단의 내용과 그 문단에 포함되어 있는 구두점을 함께 연결시켜 구두점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 야 한다. 또한 영어 글쓰기를 할 때 구두점 사용에 관한 중요성에 대해서도 학습자 들에게 주지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구두점에 대한 체계적 학습을 바탕으로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다양한 지도방안이 제공되어야 한다. 단지 구두점의 언급에 그 치는 학습이 아닌 그 중요성에 대해 학습자가 인식 할 수 있는 구두점 교육이 실 시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영어 학습자들의 구두점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식수준을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해서 중등교육과정 수준의 구두점 교육 재정비 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습자가 구두점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영어글쓰기

(34)

의 구두점의 적절한 사용 여부의 평가 및 구두점 빈칸 문항의 출제 등 학습자가 구두점을 끊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빈번한 노출의 기회를 접할 수 있는 학습과정 의 연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5.3 연구의 제한점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수가 비교적 많으나 표본 추출 지역이 D시 한 곳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중학생 전체를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있 다. 반면 참여 교사는 5명으로 그 수가 적은 편이었다. 구두점 시험 문항은 연구자 가 직접 제7차 교육개정과정범위에서 출제 하였으므로 학교문법에서 제시하는 정 답 이외 복수 답안도 가능하다.

5.4 후속 연구 제언

구두점 필요성 여부와 이해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계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는, 학습자가 구두점이 필요하다고 인식했을 때 구두점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자면 구두점 교육이 필요하다는 타당한 근거가 성립되는 결과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두점 학습의 높은 필요성만큼 구두점에 대한 이해도 및 지식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 보다 면밀하게 학습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세분화된 시험 문항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실질적으로 구두점의 학습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도 강구되어야 한다.

(35)

5.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학습자와 교사들의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한 학습 현황을 조사하고 학생과 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구두점 필요성 여부 와 그 이유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올바른 구두점 교육을 촉진하기 위 해서는 우리나라의 영어 구두점 교육과 관련된 교육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개선 하는데 의의를 두어야 한다. 또한 영어 학습자들의 독해능력 및 글쓰기 능력에 많 은 보탬이 될 수 있도록 구두점에 대한 교육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단계적인 학습 지도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것은 영어 구두점 학습에 대해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학습 필요성을 자각하고 궁극적으로는 구두점 교육의 수준 및 실력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목표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심이 영어 구두점 교육 의 필요성에 대한 설득력을 갖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36)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 (2007).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과 선택과목 성취기준, 평가 기준.

h t t p : / / w w w . m o e . g o . k r / w e b / 1 0 0 0 1 2 / k o / b o a r d / v i e w . d o ? b bsId=316&boardSeq=48039. 2013년 12월 14일에 검색하였음.

권오량, 최문영, 정운경, 양소영, 박리원, Gray, E. R. (2013). Middle School English 1. 서울: 교학사.

김덕기, 안병규, 오준일, 신인숙, 김서령, 김현숙, Choi. H. J. (2010). Middle School Englich 3. 서울: 천재교육

김미진. (2009). 영어 구두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도 및 학습 실태 조사. 미출 간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전.

김정수. (2006). 구두점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 교 교육대학원, 서울.

양기숙, 박거용. (2009). 쉼표기능에 대한 고등학생 이해도 연구: 비제한적 관계대 명사절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2, 1-36

정연우. (2011). 대학교 신입생들의 영어 쉼표 오류 분석.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조난심 외 11 명. (2001). 제 7 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 서울: 교육과학사

한학성. (2007). 영어 교육적 관점에서 본 구두점의 의미와 문법적 역할. 영미연 구, 17, 259-281.

한학성. (2012). 영어 구두점의 문법. 서울 : 태학사.

Brittain, R. (1964). Punctuation for clarity. Barnes & Noble

El-Koumy, Abdel Salam A.(1998). Effective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EFL students’ speaking skill(pp. 1-9). Research in Suez Canal University, Egypt.

Shuy, R. W. (1981). A holistic view of language.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15(2), 101-111.

Truss, L. (2012). Eats, Shoots & Leaves. London: PenguinGroupUSA.

(37)

<부록 1>

학생용 설문지

<영어구두점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이 설문은 중학생들의 영어구두점 습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입니다.

설문 결과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며,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을 것입니다.

•성별: 남□ 여□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다른 학생들과 비교 했을 때, 나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은:

①아주 열등하다. ②좋지 않다. ③중간이다.

④좋은 편이다. ⑤아주 좋다.

•나는 해외여행 경험이 있다. 그렇다.( ) 전혀 없다.( ) •나는 영어로 써진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다.( ) 아니다.( )

•영어 학습을 위해 가장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①영어독해 ②영미문화 ③듣기/말하기 ④영문법 ⑤영작문

* 다음 영어구두점에 대한 설명을 읽고, 설문에 답하시오.

1. 나는 영어구두점에 대해서 배운 적이:

①있다. (있다면 항목 1-1부터) ②없다. (없다면 2번부터)

구두점이란(punctuation)이란 문장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부호를 말합니다.

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②, ③! ④? ⑤“ ”

(38)

1-1. 있다면, 언제 영어구두점 학습을 받았는가?

①초등학교 입학 전 ②초등학교 때 ③중학교 때

1-2. 어디에서 영어구두점 학습을 받았는가?

①학교 ②학원 ③과외 ④어학연수(해외) ⑤기타 _________

1-3. 나는 영어구두점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

①매우 잘 알고 있다. ②대체로 알고 있다. ③잘 모른다. ④전혀 모른다.

1-4. 영어구두점이 나왔을 때, 선생님께서는:

①매번 언급해주셨다.

②대체로 언급해 주셨다.

③대체로 언급해주시지 않았다.

④전혀 언급해 주시지 않았다.

2. 나는 영어구두점의 쓰임에 대해 배워야 할:

①필요성을 느낀다. (3-1로 가시오)

②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3-2로 가시오)

3-1. 영어구두점 학습이 영어 공부에 필요한 이유는:

①영어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②영어 글쓰기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③영어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39)

① ② ③ ④ ⑤

. , “” ! ?

3-2.영어구두점 학습이 영어 공부에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①영어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②영어 글쓰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③영어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4. 다음 중 영어구두점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This is a pencil. ② Drink “Sprite.” ③ Happy birthday!

④ Do you agree? ⑤ Dear Mom.

5. 괄호 안에 들어가야 할 영어구두점을 써넣으시오.

1) What a wonderful day( )

2) Today we live on the earth( ) 3) ( )What’s your name?( ) 4) Excuse me( ) is she a teacher?

5) What is this( )

6. 다음 문장을 번역하시오.

①John and Mary’s children

②John’s and Mary’s children

설문에 응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40)

<부록 2>

교사용 설문지

<영어구두점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이 설문은 영어구두점 습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입니다.

설문 결과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며,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을 것입니다.

•성별: 남□ 여□

•현재 지도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과거 지도 학년: 중학교1학년□ 중학교2학년□ 중학교3학년□

고등학교1학년□ 고등학교2학년□ 고등학교3학년□

•지도 경력: 5년 미만□ 5년~10년미만 10년~15년미만□ 15년~20년미만□

20년이상□

•효과적인 영어 학습지도를 위해 가장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①영어독해 ② 영미문화 ③ 듣기/말하기 ④ 영문법 ⑤ 영작문

* 다음 영어구두점에 대한 설명을 읽고, 설문에 답하시오.

1.

•나는 영어구두점에 대해서 학습한 경험이:

①있다 (있다면 항목 1-1부터) ‚없다 (없다면 2번부터)

영어구두점(punctuation)이란 문장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부호를 말합니다. 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 ⑦ : ⑧ ; ⑨ ! ⑩ “ ”

(41)

1-1. 있다면, 언제 영어구두점 교육을 받았습니까?

초등학교 입학 이전 ‚초등학교 때 ƒ중학교 때 „고등학교 때

1-2. 어디에서 영어구두점 교육을 받았습니까?

학교 ‚학원 ƒ과외 „어학연수(해외) …기타

1-3. 나는 영어구두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

전혀 모른다 ‚잘 모른다 ƒ대체로 알고 있다 „매우 잘 알고 있다

1-4. 영어구두점이 나왔을 때,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에게:

매번 언급했다.

‚대체로 언급했다.

ƒ대체로 언급하지 않았다.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2. 나는 영어 구두점의 쓰임에 대해 지도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3-1로 가시오)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3-2로 가시오)

3-1. 영어구두점 학습 지도가 필요한 이유는:

영어문장의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영어 글쓰기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ƒ영어문장의 구조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3-2. 영어구두점 학습 지도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영어문장의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영어 글쓰기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ƒ영어문장의 구조 파악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 설문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proficiency level, they enjoyed English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eaching implications in order to improve English flipped instruction for midd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of English textbooks (Grade 7)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s on the current status, effects and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PS essential evaluation factors by applying soccer programs to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mentoring on th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in a team-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student health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