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대형 태풍 '하이옌'과 미래태풍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초대형 태풍 '하이옌'과 미래태풍전망"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초대형 태풍‘하이옌’ 과 미래태풍전망

WaterforFuture

1. 초강력 슈퍼 태풍‘하이옌’

2013년 제 30호 태풍 하이옌(태풍번호: 1330, 국제명: HAIYAN, 필리핀 기상청 지정명:

Yolanda)은 11월 3일에 미크로네시아 팔라키르 서쪽 인근 해상에서 발생하여, 8일 필리핀 이스 턴 사마르 지역을 상륙 당시 태풍 중심부의 최대 풍속은 235 km를 기록하였다. 특히 필리핀 중 부를 지날 당시 순간 최대 풍속은 379 km/hr (205 kt)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의 태

풍 관측 사상 최고 수준으로 기록되고 있다. 최 저중심기압은 895 hPa으로 관측되었으며, 1991 년 필리핀을 강타한 태풍‘루스’이래 가장 큰 피 해를 남긴 것으로 기록되었다. 또한, 필리핀 해 안에 들어올수록 세력이 강한 특징을 보였으며 필리핀을 지나 베트남, 중국까지 상륙하였다 (Wikipedia, 2013). 역사상 가장 강력한 태풍으 로 기록된 하이옌은 314 km/hr의 강풍과 6-7m 의 폭풍 해일로 레이테섬 동부 해안을 쑥대밭으 로 만들었으며, 사망자 6100여명, 실종자 약 1780명, 100만 가구가 태풍에 피해를 입었으며 2만 7000명이 부상을 당했다. 필리핀 정부 추산 재산피해 규모는 129억 달러로 유엔과 각국의 지 원에도 불구하고 피해를 크게 본 레이테주 타클 로반 지역은 복구하는데 최소 4년이 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ewsis, 2013).

필리핀은 해마다 20여개의 태풍이 지나는 길 목에 위치하고 있다. 이번 하이옌이 슈퍼태풍으 로 진화된 것은 열용량이 높은 해역에서 발달하 여 태풍의 이동경로를 따라 높은 해수면 온도 (29°C이상)가 유지되고 있어 바다로부터 에너지 를 흡수하고 수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며, 이동 중에 연직바람쉬어 (vertical wind shear)가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 문에 강력한 태풍으로 발달할 수 있었다(Son et al., 2013; Kim et al, 2014). 지구온난화로 인 김 종 석|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연구교수, 도시홍수연구소 연구부장

jongsuk@uos.ac.kr

손 찬 영|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도시홍수연구소 연구원,

cyson@uos.ac.kr

문 영 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도시홍수연구소장

ymoon@uos.ac.kr

(2)

WaterforFuture

한 기온상승과 한반도 주변 해역의 열용량 증가 및 해수면 상승 등이 관측됨에 따라 태풍의 에너 지원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어 태풍의 강도는 더욱 세질 것으로 전망되며‘하이옌’과 같은 슈 퍼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할 잠재적 위험성을 무시 할 수 없다(ytnscience, 2013). 따라서 본 지면 을 통해 한반도 영향 태풍과 태풍으로 인한 강우 특성을 진단하고 기후변화가 지속되는 21세기 미래 기후상태에서의 태풍을 전망하여 대비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한반도 영향 태풍 및 태풍강우 특성 진단

한반도는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고 있으 며, 여름철 열대성 태풍에 의한 극치강우의 발생 으로 해마다 수많은 인명피해와 사회·경제학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Kim and Jain, 2011). 집 중호우와 태풍 등 극치사상의 발생에 관한 연구 는 자연 재해 뿐 아니라 유역 차원의 안정적인 용수공급과 원활한 수자원의 확보, 하천과 하천 주변에 토사의 유입이나 침전 부유물의 재분포

등을 통한 수질 및 생물다양성 확보 등 생태계의 안정성과 복원력 향상 연구에 매우 중요하나 아 직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Mathews and Richter, 2007; Kim et al, 2012c).

Kim and Jain(2011)은 연평균강수량의 60- 70%가 6월과 9월 사이에 발생하며,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여름철 강우량의 20-30%가 태풍 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으며, 한반도 태풍 영향 도메인(120°E-138°E, 32°N-40°N)을 적 용하여 태풍의 경로 및 유역의 수문기상학적 반 응을 분석하여 태풍에 의해 발생한 강우를 정량 적으로 분석하여 태풍에 취약한‘Hot Spot’ 유형화하였다(Figure 3).

최근 연구에 의하면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의 영향으로 대규모 해수면 온도의 상승과 하강 의 전형적인 패턴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Figure 5), 태평양 연안 국가들을 중심으 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Yeh et al., 2009; Kim et al., 2012a; Yoon et al., 2013). 해수면온도의 변화와 태풍은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따뜻한 해 Figure 1. Super Typhoon Haiyan’s Track (Asaad,

2013)

Figure 2. Haiyan through NOV 8 UTC Friday (NOAA, 2013)

※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 차적으로 사용됨. 2조에 있는 슈퍼태풍 하이옌(HAIYAN, 海燕)은 중국에서 제출한 이름이며 바다제비를 의 미함. (국가태풍센터: http://typ.kma.go.kr).

(3)

WaterforFuture

수면 온도가 태풍을 발생시키는데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태풍의 발생지점, 경로, 지속시간, 강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Son et al., 2013; Kim et al., 2012b). 태풍은 해수 면 온도가 26.5°C 이상의 광범위한 열대 해상에 서 발생하며, 북서태평양 지역의 발생 태풍 중 매년 평균 3-5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직·간접적 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et al, 2014).

한반도 영향 태풍은 주로 필리핀 동쪽이나 북 서태평양 지역에서 생성되어 북태평양고기압 기 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중국을 거쳐 이동하거나

한국과 일본으로 직접 접근하게 된다(Ahrens, 2009). 최근까지 기상 인자와 수문변량간의 관 계규명에 대한 국내외 여러 연구에도 불구하고, 열대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변화에 대한 분석은 현재 및 미래의 수문학적 유출이 지역에 따라 어 떻게 다른 양상으로 일어나며, 그것이 국지적으 로 어떠한 자연 재해를 야기하는가를 예측하여 대비하는 일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Kim et al., 2012d). 또한, 북서태평양 지역의 열대성 저 기압의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세력이 Figure 3. Spatial variations of seasonal

rainfall (June-September) in Korea (Kim and Jain, 2011)

Figure 4. Characteristics of typhoons (June- September) in South Korea

Figure 5. SST anomaly during CT/WP El Nino years (Yoon et al., 2013)

Figure 6. TC activity during CP El Nino years (Son et al., 2014)

(4)

WaterforFuture

강한 태풍(Figure 4, Figure 6)으로 인한 한반 도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전망하고 있어 보다 다 양한 태풍특성(발생지점, 경로, 강도)에 대한 분 석과 지역 태풍강우의 공간적 영향특성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필요하다(Kim et al., 2012c;

Kim et al, 2014).

3. 21세기 태풍전망 및 대응방안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및 강수량, 유출량을 포 함하는 수문기상학적 인자의 계절적 패턴의 변화 등에 관한 사항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 에 의해서 다뤄지고 있으나, 태풍전망에 대한 연 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의 고해 상도 동역학적 모형에 기반을 둔 기후변화 연구 에서는 21세기 동안 서태평양지역(West Pacific Region)에서 태풍의 발생빈도(Frequency)와 강 도(Intensity)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Knutson et al., 2010; Emanuel, 2013). 다음 Figure 7은 서로 다른 GCMs 적용에 따른 지역 별 태풍의 강도변화를 예측한 결과이며, GCMs 모형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제시되기도 하지만, 우리가 주의 깊게 살펴볼 부분은 한반도에 영향 을 미치는 태풍이 발생되고 있는 서태평양지역에

서 모든 GCMs 모형에서 태풍의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 Figure 8 은 CMIP5 기후모델의 상세화 연구에 대한 결과 를 나타내고 있으며,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한 태풍의 경로(2006-2100)와 과거 태풍경로 (1950-2005)의 차이를 도시하고 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북태평양 지역에서 태풍의 발 생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최대 풍속 등 태풍의 강도는 과거와 유사하거나 약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슈퍼 태풍 하 이옌은 인간이 만들어낸 온실가스와 이산화탄소 의 배출과 관련된 지구온난화의 결과라는 의견이 있으며 환경문제와 더불어 기후변화의 문제를 해 결하지 않으면 기상이변으로 인한 치명적인 재앙 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그러나 아직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미온적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탄소배출권의 문제도 각국의 이 해관계가 걸려 있어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한 해 법을 찾기에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최근 Park et al.,(2013)은 태풍이 과거에 비 해 육지 근처에서 빠르게 세력을 형성하는 경향 을 보이고 있으며, 상륙시 태풍의 최대강도가 높 아진다면서 슈퍼태풍의 한반도 상륙가능성이 커 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결국 온실가스의 저감 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21세기 미래 기

Figure 7. Changes in intensity of TC (Knuston et al., 2010)

Figure 8 Changes in Track Density voer the 21st century (Emanuel, 2013)

(5)

WaterforFuture

후상태에서도 기상재해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 으며, 한반도도 예외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태 풍의 발생은 막을 수는 없으나 정확하고 빠른 예 보와 방재시스템 구축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슈퍼 태풍의 발생 가능성 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및 계획, 인 프라 설계기법 개발 등이 요구되고 있다.

1. Ahrens, C. D. (2007) “Essentials of meteorology 5th 2 edition.”, Cengate learning, ISBN: 978-0-495-11477-2.

2. Asaad (2013) https://plus.google.com/105506377048904077126/posts

3. Emanuel K. (2013) “Downscaling CMIP5 climate models shows increased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21st century.”, PNAS, vol. 110, no.30, pp. 12219-12224.

4. Kim, J.S. and Jain, S. (2011) “Precipitation trends over the Korean peninsula:

typhoon-induced changes and a typology for characterizing climate-related risk”, Environ Res Lett, 6:034033, doi:10.1088/1748-9326/6/3/034033

5. Kim, J.S., Jain, S., and Yoon, S.K. (2012a) “Warm season streamflow variability in the Korean Han River Basin: links with atmospheric teleconnections.”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2, No. 4, pp. 635-640.

6. Kim, J.S., Li, R.C.Y., Zhou, W. (2012b) “Effects of the Pacific-Japan teleconnection pattern on tropical cyclone activity and extreme events over the Korean peninsula.”J.

Geophys Res, Vol. 117, D18109.

7. Kim J.S., Son C.Y., Lee J.H., Moon Y.I. (2014) “A study on typhoon Impacts in the Nakdong River Basin Associated with Decaying Phases of Central-Pacific El Nino.”, Journal of the KSCE, Vol. 34(1), DOI: http://dx.doi.org/10.12652/Ksce.2014.34.1.0000.

8. Kim J.S., Yoon, S.K., Lee J.H. (2012c) “Impacts of Two Types of El Nino on Hydrologic Variability in Annual Maximum Flow and Low Flow in the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10, pp. 969-981.

9. Kim, J. S., Zhou, W., Wang, X. and Jain, S. (2012d) “El Nino modoki and the summer precipitation variability over south korea: A diagnostic study.”J. Meteor. Soc. Japan, Vol. 90, No. 5, pp. 673-684.

10. Knuston T.R., McBride J.L., Chan J., Emanuel K., Holland G., Landsea C., Held I., Kossin J.P., Srivastava A.K., Sugi M. (2010) “Tropical cyclones and climate change.”, Nat Geosci, 3:157-163.

11. Mathews, R., and Richter, B.D. (2007) “Application of the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software in environmental flow setting.”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3, pp. 1400-1413.

참고문헌

(6)

12. Newsis (2013)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224_

0012617038&cID=10101&pID=10100

13. NOAA (2013) http://www.nws.noaa.gov/com/weatherreadynation//news/140107_

forecast.html

14. Park, D. S., Ho, C. H., Kim, J. H., Kim, H. S., (2013) “Spatially Inhomogeneous Trends of Tropical Cyclone Intens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for 1977-2010”, J. Climate, 26, pp. 5088-5101.

15. Son C.Y., Kim, J.S., Moon, Y.I., Lee, J. H.(2013).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 induced precipitation over the Korean River basins according to three evolution patterns of the Central-Pacific El Nino”, Stoch Environ Res Risk Assess, DOI 10.1007/s00477-013-0804-0.

16. Wikipedia (2013) http://en.wikipedia.org/wiki/Typhoon_Haiyan

17. Yeh, S. W., Kug, J. S., Dewitte, B., Kwon, M. H., Kirtman, B. P. and Jin, F. F. (2009)

“El Nino in a changing climate.”Nature, Vol. 461, pp. 511-514.

18. Yoon, S. K., Kim, J. S. and Lee, J. H. (2013) “Hydrometeorological variability in the korean han river basin and its sub-watersheds during different El Nino phases.”

Stoch. Environ. Res. Risk Assess., doi: 10.1007/s00477-012-0683-9.

19. ytnscience (2013)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ogram_view.php?s_m cd=0082&s_hcd=&key=201312311308264510

WaterforFuture

수치

Figure 2. Haiyan through NOV 8 UTC Friday (NOAA, 2013)
Figure 6. TC activity during CP El Nino years (Son et al., 2014)
Figure 8 Changes in Track Density voer the 21st century (Emanuel, 2013)

참조

관련 문서

이에 따라 , 농산물 재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정상적인 소비자 수요가 재개될 때까지 상품가격 은 더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25일부터 27일 후반까지 제14호 태풍 ‘덴빈’은 제15호 태풍 ‘볼라벤'의 영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는 이상진로로 이동하였는데 , 두 태풍의 북쪽에 고기압이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통추나요법을 처음 시술 받은 후 소감은 만족한다는 응답이 매우 만족한다가 보통이다가 순으로 나타나 가 만족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오감체험 미술활동은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에 있어 인지적, 정서적, 운동 감각적 영역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

<표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4학년 학생들의 설문지 분석 결과 영어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으며 참여도 또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뿐만 아니라 직접·

제1장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산업안전보건에 있어서 국내와 주요 선진국의 노사참여시스템을 비교· 분석해 보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그림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럭의 비율과 도로의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총 연료 소모량의 차이는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실제트럭으로

실험결과,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철금속의 품위는 분리대위치( 각도) 가 증 가할수록 증가하나 회수율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이와 같은 이유는 분리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