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등 3, 4 학생용 초등 3, 4 학생용 0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초등 3, 4 학생용 초등 3, 4 학생용 01"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초등 3, 4

학생용

(4)

어느날 아침, 잠자리에서 눈을 떴을 때 이 세상 모든 물건이 사라진다면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이불이 없다면? 옷이 없다면? 전기가 없다 면? 시계가 없다면? 핸드폰이 없다면? 컴퓨터가 없다면? 등등.

이 모든 도구가 하루아침에 없어진다면 사람은 한달도 버티기 힘들 것입니다. 어 쩌면 1주일도 살기 힘들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없었던 과거의 사람들은 어떠했 을지 생각해봅시다. 선사시대로 돌아갔다고 생각해봅시다. 이불, 옷이 없다고 해 서 사람들은 크게 사는데 어려움이 없었을 것입니다. 없이 사는 것이 일상이었기 때문이겠지요.

사람은 다른 동물과 다르게 뇌가 발달되어 끊임없이 사고 활동을 합니다. 심지 어 잠을 자는 동안 꿈을 꾸면서까지 사람은 생각을 하지요. 선사시대의 사람이 잠 을 잘 때 어느날 추위를 느꼈다고 한다면 무엇을 생각할까요? 추위를 막기 위한 여 러 방법을 생각해낼 것입니다. 동굴에서 잔다. 나뭇잎을 덮고 잔다. 동물의 가죽으 로 몸을 덮는다. 등.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내고, 다양한 생 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해보며 무엇인가 만들었을 것입니다.

프롤로그

초등 3, 4

STEAM 불편한 진실,

만족하면 발명은 없다

01

(5)

지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왜 지금 발명가로 유명하지 않은 것일까요? 답은 장영실과 에 디슨의 행동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 분들은 끊임없이 불편함을 느끼고, 그 불 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무엇이든 만들었습니다. 만든 것이 한번에 불편을 해소하는 데 성공한 적은 거의 없었습니다. 실패에 실패를 거듭한 결과 장영실은 자격루, 측 우기, 앙부일구라 불리는 해시계 등, 에디슨은 백열전구, 축음기, 라디오 등의 발명 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발명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생각을 하십시오. 그리고 무엇이든 만들어 보십시오.

불편함에 불만과 함께 끈기를 가지고 불편함을깨기 위해 도전해보세요. 여러분 도 충분히 발명가가 될 수 있습니다.

(6)

생 각

열 기

동물에게 해답을 구하다

◆ <상황 1> 아래 세 장의 사진을 잘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 <상황 2> 선생님이 들려주시는 이야기를 잘 듣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을 적어보시오.

① 위 세 사진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② 선생님의 질문을 잘 듣고 동물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여러분의 생각을 적 어보시오.

(7)

읽 기 자 료

분류학의 연구과정 1

◎ 분류학이란?

식물과 동물의 다양한 무리들을 단계별로 질서 있게 정리하여 원리와 방법 을 탐구하는 과학을 말합니다.

◎ 분류학의 연구과정

현대적인 분류학적 연구를 위한 주요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표본의 채집 및 고정과 보존이 포함되며, 필요한 경우 특별한 처리를 합 니다.

② 대상표본이 기존의 생물군 중 어떤 무리에 속하는가를 비교합니다.

③ 대상표본이 이미 명명되어 기재된 종들 중의 어느 것과 일치하는지를 조 사해 정확하게 동정하고, 기존 종들과의 유사점이나 차이를 기재합니다.

신종일 경우에는 국제명명규약에 따라 명명합니다.

④ 기존의 분류체계에서 가장 잘 맞는 분류학적 위치를 결정하고, 새로운 정 보의 추가에 따라 분류체계에 수정할 점이 없는지를 결정합니다.

⑤ 대상분류군의 진화과정과 그 진화요인을 탐구할 수 있는 증거들을 수집 합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기에 앞서 분류체계에서 쓰이는 각종 분류계 급, 명명법, 검증의 절차 등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출처 : “분류학의 연구과정.”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8)

생 각 펼치기

신속 정확, 동물 정보 검색하기

◆ <설계 1 : 검색 정보 기록> 인터넷으로 찾은 다양한 동물의 손과 발에 해당하는 부위의 특징을 찾아 정리하여 적어봅시다.

동물이름 신체적 특징

(9)

읽 기 자 료

분류학의 연구과정 2

◎ 분류체계에 쓰이는 각종 분류계급

분류, 즉 생물들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여 생물들을 질서있게 무리짓고 배열하기 위해서는 우선 계급체계가 필요합니다. 분류체계에 사용되는 계급의 수는 학자나 대상분류군에 따라 다양한데, 가장 아래 계급인 종(種)에서 시작 하여 속(屬), 과(科), 목(目), 강(綱), 문(門), 계(界)는 의무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7 가지의 기본 계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7가지의 기본 계급 : 종, 속, 과, 목, 강, 문, 계

이 7가지 기본계급 각각에 위로는 상(上 super), 아래로는 아(亞 sub)·하(下 infra) 등의 접두어를 붙여서 사용해 계급의 수를 늘릴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는 코호트(cohort)·절(節 section)·족(族 tribe) 등의 계급들을 추가해 쓰기도 합니다. 각 분류군명의 구성은 종명은 2단어로 이명식, 아종명은 3단어인 3명 식으로 이루어지며, 그밖의 계급에서는 한 단어입니다. 동물명명규약에 따르 면, 분류군명의 어미를 상과의 경우 ‘─oidea’, 과는 ‘─idae’, 아과는 ‘─inae’, 족은 ‘─ini’로 각각 쓰게 되어 있습니다.

◎ 분류체계에 쓰이는 명명법

명명법은 린네의 명명체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국제식물명명규약(1901), 국제동물명명규약(1906), 세균과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국제미생물명명규약 (1948) 등으로 각각 독립되어 있으며, 이후 약간씩 수정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경우는 린네식의 이명법이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국제재배식물명 명규약은 1953년에 별도로 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국제명명규약들은 각각 관련된 국제회의를 거쳐 제정된 것이며 세 부적으로는 서로 다른 점이 많이 있으나 모두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 고 있습니다.

① 종명은 라틴어 2단어로 씁니다.

② 선취권이 보장됩니다. 즉 가장 먼저 작성되고 명명규약의 조건에 맞는 것 이 학명으로 쓰일 권리를 가집니다.

(10)

③ 하나의 유효한 학명은 특정 단일 분류군에만 쓰여 학명의 유일성과 독 특성을 보장합니다.

④ 만약 어떤 분류군의 분류학적 위치가 변할 때에는 학명도 그에 따라 변 할 수 있습니다.

⑤ 하나의 학명이 가지는 의미는 모식(模式)에 준해 결정합니다. 이밖에도 명명규약은 계급과 출판에 관한 규정 및 파생어에 대한 권고 등을 싣고 있습니다.

출처 : “분류학의 연구과정.”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위 분류계급과 명명법이 어떻게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하다구요? 그럼 지금 식물도감이나, 동물도감에서 동물의 이름을 찾아보도록 하세요. 그리고 각 계급과 라틴어 로 쓰여 있는 학명을 살펴보세요. 이해가 훨씬 잘 될 거예요. 여러분이 이 글을 읽고 도 감을 살펴보았다면, 여러분은 곧 분류학의 재미에 빠져들 겁니다.

(11)

생 각 펼치기

마인드맵속동물을분류해봅시다

◆ <설계 2 : 마인드맵에서 핵심 추출하기> 여러분이 마인드맵을 보며 비슷한 특징 을 가지고 있는 동물끼리 묶어보았습니다. 아래 표는 선생님이 여러분의 토의 내 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빈 칸에 동물의 신체적 특징을 적용한 생활 발명품이나 여러분의 새로운 발명 아이디어를 적어봅시다.

비슷한 특징 1

비슷한 특징 2

동물이름 동물이름

기존 생활 발명품

기존 생활 발명품

새로운 발명 아이디어

새로운 발명 아이디어

비슷한 특징 3

비슷한 특징 4

동물이름 동물이름

기존 생활 발명품

기존 생활 발명품

새로운 발명 아이디어

새로운 발명 아이디어

(12)

읽 기 자 료

분류학의 연구과정 3

◎ 분류한 생물의 형질 평가

잘 알려진 분류군의 경우, 단순히 동정의 목적 정도라면 적절한 검색표를 통해 그것에 실려 있는 형질들에 대해서만 조사를 해도 어느 정도 가능할 것 입니다. 그러나 대상이 새로운 분류군일 경우, 가능한 한 많은 형질을 조사해 야 하고 기존의 분류체계와의 면밀한 대조가 필요합니다.

유사한 두 집단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형태적 형질뿐 아니라 다 수의 생화학적 형질, 생리학적 형질, 행동학적 형질 등이 다양하게 사용됩니 다. 일부 극단적인 유전학 신봉자들은 분류의 토대를 각 생물종의 유전자 구 조와 배열에만 두고 있으나, 이미 절멸한 종들에서는 유전정보를 얻을 수 없 으며, 현재 생존해 있는 종이라 하더라도 그 유전정보의 양이 엄청나게 많으 므로 유전적 형질에 따른 분류에는 막대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최근에 는 DNA 재조합 기술의 발전에 따라 DNA 분자조성의 차이로부터 생물들간의 유사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유연관계를 조사할 때는 수렴진화(收斂進化), 즉 어류와 고래처럼 계통이 다르더라도 오랫동안 유사한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독립적으로 유사한 형질을 소유하게 되는 경우를 반드시 주의 깊게 가려내야 합니다. 또한 내부 기생생물과 같이 특이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체형에 큰 변이가 오는 경우, 또는 일시적으로만 나타나거나 현저하게 드러나지 않는 형질들도 완전한 생활 사를 관찰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13)

형질의 중요성 유무를 재는 것이 종종 임의적이고 부정확하다고 주장하는 수리분류학은 어떤 특정형질에 비중을 두지 않고 가능한 많은 형질을 고려한 소위 모든 유사성에 바탕을 두고 분류를 목표로 합니다.

이와 반대로, 형질의 중요성 여부에 따라 작업을 하지 않는다면 극단적인 수 렴진화의 경우들도 같은 무리로 분류될 위험이 있다고 주장하는 진화분류학 에서는 형질의 중요성에 따라 조상후손관계를 더 잘 나타낸다고 믿어지는 형 질을 더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출처 : “분류학의 연구과정.”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14)

생 각 펼치기

발명아이디어 구상 도화지 사용예시

<발명품 이름 : >

( )모둠 구성원 : , , ,

◆ 발명품 모습 스케치

(15)

읽 기 자 료

조선 최고의 발명가 장영실

장영실은 비천한 신분에도 불구하고 타고난 재능과 기술로 조선 전기 과학 기술 수준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본관은 아산(牙山). 아버지는 귀화한 중국인이며, 어머니는 기녀였다고 합 니다. 동래현(東萊縣)의 관노(官奴)로 있다가 뛰어난 기술재능으로 발탁되어, 1423년(세종 5년) 노비 신분을 벗고 상의원별좌(尙衣院別座, 궁중기술자)로 임 명되었습니다.

1424년에 중국의 체재를 참고하여 물시계를 만들어 그 공으로 행사직(行司 直)이 되었습니다. 1432년에는 김돈(金墩)·이천(李) 등을 도와 간의대(簡儀臺) 의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기기의 제작을 감독했습니다. 1433년 호군(護 軍)에 올랐으며, 같은 해 6월 혼천의(渾天儀, 천체의 움직임과 그 위치를 측정 하여 천문시계의 역할을 하는 기구)를 완성했습니다.

이듬해 김빈(金)과 함께 자동시보(自動時報) 물시계인 자격루(自擊漏)를 만 들었습니다. 11세기 송(宋)의 소송(蘇頌)이 제작한 천문시계장치와 아라비아 시계의 자동시보장치에 영향을 받은 이 시계는 시(時)·경(更)·점(點)에 따라 서 자동적으로 종·북·징을 쳐서 시보를 알리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1434년 7월 1일부터 사용된 표준시간은 자격루에 맞추어 운용되었습니다. 또한 같은 해 금속활자인 경자자(庚子字)의 결함을 보완한 갑인자(甲寅字) 제작을 감독 했습니다.

1437년에 천체관측용 기구인 대·소간의(大小簡儀), 공중 해시계인 앙부일구 (仰釜日晷), 휴대용 해시계인 현주일구(懸珠日晷), 태양시(太陽時)와 항성시(恒 星時)를 측정하여 주야 겸용 시계로 쓴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태양의 고도 와 출몰을 측정하는 규표(圭表) 등을 완성했습니다.

다음해에는 자격루의 일종인 옥루(玉漏)를 제작, 완료하고 경상도 채방별감 (埰訪別監)이 되어 동(銅)·철(鐵)의 채광·제련을 지휘, 감독했습니다. 1441년에

(16)

강우량 측정기인 측우기(測雨器)와 하천 수위 측정기인 수표(水標) 제작을 감 독, 완성했습니다.

조선 과학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한 공을 인정받아 상호군(上護軍)으로까지 특진했으나, 1442년 장영실의 감독으로 제작된 왕의 가마가 부서지는 바람에 투옥, 파면당하였습니다.

출처 : “장영실.”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위 글을 읽고 조선 최고의 발명가 장영실에 대하여 궁금한 점이 많이 생겼을 거에요.

장영실과 세종대왕의 관계는 매우 친밀했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가마 사건으로 파 면을 당하게 되지요. 친밀했지만, 파면을 당했다? 그 이유가 궁금하다면, 여러분이 그 이유를 검색해보는 것도 조선 최고의 발명가 장영실에 대해 알아가는 또 하나의 재미 가 될 것입니다.

(17)

읽 기 자 료

장영실의 발명품,자동시보 자격루

자동적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는 당시 사람들의 가장 오래된 바람이 었습니다. 세종대왕은 자동시보 물시계를 제작하기 위해 동래현의 관노였던 장영실을 특별히 등용하여 중국에 파견해서 연구하게 하고, 상의원(尙衣院) 별좌의 관직을 주었습니다. 이에 장영실은 천문학자 김조(金)와 함께 2년 여의 노력 끝에 1434년(세종 16) 6월에 자격루를 완성했습니다. 이 시계는 경복궁 남 쪽에 세워진 보루각(報漏閣)에 설치되어 그해 7월 1일을 기해 공식적으로 사 용되기 시작해서 경루 대신 새로운 표준시계로 등장했습니다. 자격루는 당시 야루법(夜漏法)인 부정시제(不定時制:계절에 따라 시간의 길이가 다름)에 맞 게 경점(更點)을 자동적으로 알려주도록 정밀하게 설계되었답니다.

〈세종실록〉에는 자격루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요약하면 다음 과 같습니다.

① 파수호(播水壺, 자격루의 부품으로 일정한 양의 물을 담아 두었다가 다 음 물받이 항아리로 물이 떨어지도록 장치된 물항아리)는 4개인데 크기 가 차이가 있다. 수수호(受水壺, 자격루의 부품으로 파수호 밑에 뚫려 있 는 작은 구멍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받는 파수호 아래에 있는 물받이 항 아리)는 2개로 물을 갈 때에 번갈아 사용한다.

② 살은 2개이며, 면은 12시로 나누고 시마다 8각(刻)으로 나누었는데 초정 여분(初正餘分)을 향해 100각이 되며 각은 12분으로 만들었다. 밤에 쓰 는 살[箭]은 이전에는 21개였는데 수시력에 의해 2개의 절기로 묶여 12개 로 만들었다. 그리고 시간을 맡는 목인(木人)을 만들어 시각에 따라 스스 로 알리도록 했다고 한다.

③ 파수호에서 새어나오는 물이 수수호로 흘러들어가면 떠 있는 살[淨箭]

은 점차 떠오른다. 시각에 따라 왼쪽 구리판 구멍의 장치를 튕기면 작은 구슬이 떨어져나와 구리통으로 굴러들어간다. 그리고 그것이 구멍으로 부터 떨어져서 그곳의 장치를 튕기면 그 장치가 열리면서 구슬이 떨어

(18)

진다. 그것이 굴러서 자리 아래에 걸린 짧은 통으로 굴러가는데, 이것이 떨어지면서 장치의 숟가락을 움직이면 이 장치의 다른 끝이 통 속으로 부터 올라와 시(時)를 맡은 신(神)의 팔꿈치를 건드려 종이 울리게 한다.

장영실의 자격루는 지렛대의 원리와 공의 운동을 잘 연결시켜 자동으로 시 보를 알려주게 만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원나라 순제(順帝)의 명에 의해 제작된 궁정물시계와 아라비아의 자동시보 물시계 장치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뚜렷합니다. 그러나 수수호의 길이가 11자 2치, 지름이 1자 8치나 되는 거대한 것이고, “무릇 모든 기계는 보이지 않고 속에 들어 있어서 겉에 나와 있는 것은 관(冠)과 대(帶)를 갖춘 목인뿐이다”라는 〈세종실록〉의 기록에 서 보듯이 그 정교함이 뛰어났습니다. 자격루의 제작은 조선의 물시계를 기계 시계로 발전하게 하는 기술적 향상에 크게 이바지했다고 평가됩니다.

그러나 자격루는 창설된 지 21년 만인 1455년(단종 3) 2월에 이르러 자동시 보장치의 사용은 중지되고 보루각도 폐지되었습니다. 이는 장영실이 죽고 그 공동설계자인 김조도 고령이어서 고장난 자동장치를 고칠 수 없었던 것이 주 요원인이었다고 생각됩니다. 그후 자격루는 1469년(예종 1) 10월에 복설되었다 가 1505년(연산군 11) 창덕궁으로 이전되었답니다. 성종 때에 이르러 자격장치 에 의한 시보가 잘 맞지 않자 새로운 시계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그뒤 새 자격루가 1536년(중종 31) 6월에 제조되었습니다. 유전(柳傳)과 최세

(19)

설치하였던 전각, 같은말-보루각)에서 사용했습니다. 현재 덕수궁에 보존되어 있는 누각은 중종 때의 새 자격루로, 1945년까지 창경궁에 보존되어 있던 것 을 8·15해방 후에 옮겨놓은 것입니다.

출처 : “자격루.”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

생 각 펼치기

발명품에 아이디어 더하기

◆ <체험 3 : 아이디어 더하기> 모둠 친구들의 발명품 설명을 들으며 장점을 찾아보 고, 친구의 발명품이 더 훌륭한 발명품이 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더해 봅시다.

구분 1모둠 2모둠

장점

아이디어 더하기

구분 1모둠 2모둠

장점

아이디어 더하기

구분 1모둠 2모둠

장점

아이디어 더하기

(21)

읽 기 자 료

조선시대의 해시계,앙부일구

앙부일구를 앙부일영(仰釜日影)이라고도 합니다. 네 발 달린 반구형(半球形) 의 솥처럼 생겼기 때문에 앙부라는 이름이 붙여졌답니다. 이것은 〈원사 元史〉

천문지(天文志) 앙의(仰儀)에 있는 곽수경법(郭守敬法)에 의해 만들었다고 하 나 앙의와는 다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세종대왕 때 처음 만들었으며 이후 조선말까지 계속해서 만든 대표적인 해시계로 공중용으로 설치해놓는 것과 작게 만들어 휴대할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이 오목형 해시계는 일본에도 전해져 많은 유물이 남아 있으나 중국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증보문헌비고 增補文獻備考〉 상위고(象緯考) 의상(儀象)에 의하면 세종대 왕의 명으로 정초(鄭招)·정인지(鄭麟趾) 등이 고전을 연구하고, 이천(李蕆)과 장영실(蔣英實)이 공역(工役)을 감독하여 1438년(세종 20)에 앙부일구를 비롯 한 여러 천문의기를 만들어냈다고 합니다.

김돈(金墩)의 앙부일구명(仰釜日晷銘)에는 “무릇 시설 중에서 시간에 관한 것보다 더 중대한 것은 없다. 밤에는 경루가 있으나, 낮에는 시간을 알기 어렵 다. 구리를 부어서 그릇을 만들었는데 모양이 솥과 같다. 지름에 둥근 송곳을 설치하여 북에서 남으로 마주 대하게 했으며, 움푹 팬 곳에서 휘어져 돌게 했 고, 점을 깨알같이 찍었다. 그 속에 도(度)를 새겨서 반주천(半周天)을 그렸다.

시신(時神)을 그린 것은 백성이 시간을 쉽게 이해하기 위함이며, 시간이 정확 하고 해 그림자가 명백하다. 길가에 놓아두니 구경꾼이 모여든다. 이로부터 백 성도 이것을 만들 줄 알게 되었다.”고 앙부일구에 대해 적고 있습니다.

공중용 앙부일구는 2개를 만들어 종묘 남쪽 거리와 혜정교(惠政橋)에 돌로 대를 쌓고 그 위에 설치하여 일반 백성들이 이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때의 앙부일구는 아쉽게도 현존하지 않답니다. 다만 18세기 전후의 작품들이 현존 하여 궁중유물전시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2기가 현재 보물 제845호로 지정 되어 있습니다.

앙부일구의 재료는 보통 청동이지만, 자기나 돌을 깎아 만든 것도 있습니다.

(22)

공중용 앙부일구는 보통 30~40cm 정도의 크기입니다. 앙부일구는 그림자 를 만들기 위해 끝이 뾰족한 막대[影針]를 쓰는데 이것도 보통 청동으로 만듭 니다. 영침의 길이는 앙부일구 지름의 절반이 됩니다. 영침의 끝을 앙부일구의 중심에 오도록 하며 그 방향은 천구의 북극을 향합니다. 앙부일구의 안쪽면에 는 절후선(節候線)이라는 13개의 위선이 있고, 시각선(時刻線)이라는 여러 개 의 경선이 그어져 있습니다. 시각선과 절후선은 항상 서로 직교하며, 절후선의 가운데 있는 춘추분선은 천(天)의 적도면과 일치하는 대원(大圓)이 되며 나머 지 12개의 절후선은 적도에 평행합니다. 태양의 고도가 여름에는 높아지고 겨 울에는 낮아지므로 절후선에 닿는 그림자의 위치로 시간뿐만 아니라 그해의 절기를 알 수 있습니다. 청동으로 만든 앙부일구에서는 절후선이나 시간을 나 타내는 글씨를 칼로 홈을 파고 은으로 상감했습니다.

앙부일구의 영침의 위치는 관측 지점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대개는 윗면 이나 옆면에 한양북극고도(漢陽北極高度) 또는 북극출지(北極出地)의 도수로 서 표시하고 있습니다.

휴대용 앙부일구로 유명한 것은 1874년(고종 8)에 강건(姜健)이 납석(蠟石) 으로 만든 것이 있습니다. 4~6cm 정도 크기의 직육면체 상자에 반구를 파 고 그 안에 영침을 세웠습니다. 또한 방향을 쉽게 정할 수 있도록 자침을 설 치한 것이 특징이랍니다. 이밖에 청동제나 상아로 만든 앙부일구가 상당수 남 아 있습니다.

(23)

평 가

하 기

스스로 평가하여 봅시다

평가 방법

평가

영역 평가기준 평 가

자기 평가

창의적 설계

• 마인드맵의 내용을 동물의 특징에 맞게 분류하였는가?

감성적 체험

• 즐거운 마음으로 활동에 참여하였는가?

• 발명품 제작을 위한 도안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는가?

• 상황제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 이 발명품에 잘 표현되었는가?

상호 평가

감성적 체험

• 내가 생각하는 가장 잘 만든 모둠의 발 명품은?

- 1위, 2위, 3위 모둠을 오른쪽의 빈 칸에 순서대로 쓰세요.

1위 2위 3위

(24)
(25)
(26)

강지혜 태평초등학교 교사 이승우 와우초등학교 교사 김진우 화성한울초등학교 교사 송재원 중부초등학교 교사 이석원 대경정보산업고등학교 교사 최정훈 한양대학교 교수

이한경 용인대학교 교수 최주선 경남대학교 교수 성낙훈 용인대학교 교수 성열관 경희대학교 교수 이환명 호서대학교 교수

과학기술 분야 주제별 융합형 프로그램 개발

참조

관련 문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동결방지 조치를 취하여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우려가 있는 곳은 보온재 드레인 호스 설치시 동결.

[r]

- 심장과 폐의 관계를 이해하고 심폐소생술을 실천할 수 있다. 준비물 동영상 자료, 학생용 워크북 활동지, 태블릿PC, 인터넷WIFI, 카드보드.. 준비물 동영상

강지혜 태평초등학교 교사 이승우 와우초등학교 교사 김진우 화성한울초등학교 교사 송재원 중부초등학교 교사 이석원 대경정보산업고등학교 교사 최정훈

지도자들은 지구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냉각가 스를 살포하기 위해 수십 대의 로켓을 대기권으 로 발사하였습니다.. 로켓을 발사한 첫해에는

자석 팽이는 볼록한 두 부분에는 고리 자석이 들어 있고, 받침대에는 팽이의 고 리 자석 위치와 일치하는 부분에 삼각형 모양의 자석이 네 개 들어 있다.. 그리고

http://blog.naver.com/op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