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Copied!
19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사업 02-3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정부승인통계 제38901호

(2)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면서 지식과 정보 및 잠재능력과 같은 무형 인적자원이 중요해지고 있다. 사 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맞추어 정부도 기존의 교육부를 교육인적자원부로 확대·개편하고, “인적자 원개발기본법”을 제정·발표(2002. 8)하는 등 국가적 차원의 제도적 정비뿐만 아니라 정보자료의 생성, 유통, 홍보 등 핵심적인 사업을 지정·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 정책의 수립과 및 추진에 있 어 인적자원개발지표는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정부 부처 및 정책 담당자에게 중요한 자료 가 된다. 그렇지만 우리의 경제 수준이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국가적 관심에 비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통계정보나 지표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지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본 원에서는 1998년『직업교육훈련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를 시작으로『한국의 직업교육훈련지표(이하 직훈지표)』를 1998년부터 2001까지 발간하여 왔다.

2001년에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지표집 발간을 위해 지표 체계 구성과 개별지표를 선정하는 기초 연구인『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를 수행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번에『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 표 2002』를 발간하게 되었다.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는 기존 직훈지표와의 연계성을 중 시하여 작성하였으며, 이는 지표집의 연속성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인적자원개발지표들을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지표집의 폭넓은 활용을 통하여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연구자들과 인적자원개발정책을 수립하 는 일선 정책 담당자들에게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인적자원개 발을 나타낼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거시적인 지표뿐만이 아니라 구체적인 수준에서의 미시적인 지표 를 연구·개발하여 국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간 할 예정이다. 이에 독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질정이 있기를 바라며, 다음 연구에서 이를 충분히 반영 하여 더욱 알찬 지표집을 발간하도록 힘쓸 것이다.

끝으로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연구와 집필에 애쓴 연구진의 노고에 감사를 드리며, 특히 번거로운 수치입력작업을 도와준 연구조원들의 수고에도 고마움을 표한다.

2002년 12월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원장

(3)

With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which includes such intangible assets as knowledge, information, and skills is increasing. In recognition of these socio-economic changes, the administration has enacted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Law(2002, 8)” and changed the nam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partment”, thereby adopting numerous policies to promote development of human capital. To establish and implement HRD-related policies effectively, it is important to have relevant HRD indicators and statistics ready. However, the statistical infra in the field of HRD is far from being sufficient to provide good basis to establish efficient HRD policies.

Conscious of these gaps, KRIVET has initiated several efforts starting from a study called 『Basic Research to develop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dicators』in 1998 and continuing with public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dicators』

from 1998 through 2001. In 2001, KRIVET has conducted a study called 『Indexes &

Indicators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as a base study to develop a framework and indicators for HRD. Based 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the current book of indicators, 『HRD Indicators in Korea, 2002』is published. In publishing this 2002 version of HRD indicators in Korea, we tried to keep continuity with the previous versions of VET indicators published from 1998 through 2001. We did this not only to maintain continuity between the previous versions and the current version, but to show how current HRD indicators can be utilized in view of other, more familiar VET indicators. We hope the data and statistics included in this book can be utilized as valuable source of data by researchers in the numerous fields of HRD and by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in the field of HRD. KRIVET has a plan to keep track of the changes and the policy needs in the field of HRD in Korea and to reflect these in the form of revised and extended book of HRD indicators in the future. We ask the users of this book for comments and suggestions as support, which we will try to reflect in our next version of the book of indicators.

Last but not least, KRIVET thanks the researchers for their effort to make this book a success, and the research assistants for their commitment to doing the extensive data work.

Moo-sub Kang President, KRIVET

FOREWORD

(4)

1. 본 지표집은 정부 각 부처 및 국내 주요기관에서 공표한 공식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며 각 통계표 하단에 그 출처를 표기하였음. 국내 주요기관의 약어는 다음과 같음.

1) 교육인적자원부(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MOE & HRD 2) 통계청(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 NSO

3) 노동부(Ministry of Labor) : MOLAB

2. 본 지표집의 체계 및 통계표의 수록 순서는『인적자원개발 지표 및 지수』(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이하『기초연구』로 표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가용한 원자료의 부족과 편집

상의 문제로『기초연구』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3. 각 지표 항목에서 제시하는 통계표는 기본적으로 1990년부터 작성되었음. 그러나 1990년 이후부 터 시작된 지표의 경우에는 지표 생성 당해 연도부터 작성된 것임을 의미함.

4. 통계표에서 제시된 수치 중 인구기준이나 백분율 등으로 표기되는 경우에는 세목과 합계가 각각 반올림(소숫점 둘째자리)된 것이 있으므로, 세목의 합이 전체 합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5. 통계표의 기호

1) - : 해당 숫자 미상 또는 확인된 자표가 없음.

2) ▼: 시계열 불연속

3) p : 추정치(추후 확정치로 바뀜)

6. 주요 자료의 조사 및 집계 기준일은 다음과 같음.

1) 교육통계연보 : 매년 4월 1일 2) 경제활동인구조사 : 매월 셋째주

3) 사회통계조사 : 조사 분야별 매년 9월15일이 낀 주간 다음 10일간(분야별 주기 4년) 4) 기타 행정부처 자료 : 매년 12월 31일

7. 수록된 자료에 대하여 문의사항이 있을 때에는 해당자료 출처기관이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적 자원개발연구실로 문의하기 바람.

전화 : 02)3485-5051 팩스 : 02)3485-5059

(5)

1. The data included in this book is based on the statistics releas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major research institutions in Korea. Data sources are included at the bottom of each table. The initials used in this book for major government organizations is as follows.

1)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MOE & HRD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 NSO

3) Ministry of Labor : MOLAB

2.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indicators and the order of the statistical tables included in this book reflect the results of the project 『Indexes and Indicators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1). Due to the lack of available data and editing difficulties, some deviation from the guidelines was necessary.

3. Statistical tables include data information that goes as far back as 1990. In other cases, data collection for the indicator items started in the earlist year on the tables.

4. Some of the numerical information shown in the tables, particularly percentages and population statistics, do not add up to the total due to rounding errors. (In most cases, the numbers are rounded to the second place below the decimal point.)

5. The note on the statistical tables

1) – : the pertinent data is missing or non-existing 2) ▼ : data is discontinued

3) p : estimated data ( to be replaced by specific data in the future )

6. The reference dates of data collection for major statistical sources used in this book are as follows:

1)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Ist of April, every year

2)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Monthly): 3rd Week, every month

3) Social Statistics Survey: for 10 days starting from any day of the week where the 15th of September is included. (Every 4 year, for pertinent subjects)

4) Other Sources: December 31st, every year.

7. All the questions and comments for the data included in the book should be addressed directly to the institutions which originally released the statistics, or to Department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t KRIVET.

Phone : 02) 3485-5051 Fax : 02) 3485-5059

How to read the Book

(6)

머 리 말 --- Ⅱ Foreword

일 러 두 기--- Ⅳ How to read the Book

개 요 Outline

1.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의 개요 --- 2

The Outlin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2002」

1) 발간 배경 및 필요성 --- 2

Background and need for publication

2) 목적 및 기능--- 2

Objectives and Functions of the Indicators

3) 지표개발의 경위--- 4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2.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 --- 6

The System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1) 인적자원의 개념--- 6

The Concept of Human Resources

2) 인적자원개발지표의 기본 모형--- 8

The Basic Model for HRD Indicators

3)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 10

The System of HRD Indicators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Ⅰ. 인적자원의 축적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19

Ⅰ- 1 총인구 및 연평균 인구성장률 --- 26

Total Population & Annual Growth Rate

Ⅰ- 2 생산가능인구 및 구성비 --- 27

Population in Working Ages & Distribution

Ⅰ- 3 부양비 --- 28

Dependency Ratio

Ⅰ- 4 수도권 인구수 및 인구비율 --- 29

Population of Capital Area & Ratio

(7)

Ⅰ- 5 학령인구수 --- 30

Distribution of Schooling Age Population

Ⅰ- 6 성·연령별 국민 평균교육년수 --- 31

Average Years of Schooling by Sex and Age

Ⅰ- 7 국민의 학력구성비(25세이상) --- 32

Composition of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25 Years Old & Over)

Ⅰ- 8 고등교육 기관별 학생수 --- 33

Number of Students by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Ⅰ- 9 인구10만명당 고등교육기관 여학생수 --- 34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Enrolled in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per 100,000 people

Ⅰ- 10 교육수준별 경제활동인구 분포--- 35

Distribution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Ⅰ- 11 계열별 학위(석사, 박사)취득자수 --- 36

Number of Persons Granted with Masters Degrees & Doctorates

Ⅰ- 12 국가기술자격검정현황(2001)--- 37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2001

Ⅰ- 13 외국인 근로자 수--- 38

Number of Foreign Workers

Ⅰ- 14 의료인력 1인당 인구수 --- 39

Number of Population Per

Ⅰ- 15 연령계급별 학생의 신장, 체중 및 신체중량지수 --- 40

Average Height, Weight & Body Mass Index of Students by Age

Ⅰ- 16 연령계층별 대학이상 고등교육이수자 비율(2001) --- 41

The Rate of Those with Associated Degrees and High by Age Group, 2001

Ⅰ- 17 연령계층별 대학이상 고등교육이수자 비율(2001) --- 42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25 to 64 years of age, by highest level of education attained, 2001

Ⅰ- 18 외국인 노동력 및 고급기술인력 --- 43

Foreign Labor Force & Foreign High-Skilled People

Ⅰ- 19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 참가율--- 44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Participation Rate

Ⅱ. 인적자원의 개발(과정)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45

Ⅱ- 1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입학자수 --- 52

Number of Vocational School Entrants by Education Level

Ⅱ- 2 계열별 실업계고 입학자수 --- 53

Vocational High School Entrants by Field of Study

Ⅱ- 3 전문대 계열별 입학자수 --- 54

Junior College Entrants by Field of Study

Ⅱ- 4 교육기회 미충족비율 및 이유 --- 55

Levels of Dissatisfaction with Education Attainment & Reasons for Dissatisfaction

Ⅱ- 5 직업교육기관별 교원1인당 학생수--- 56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by Education Level

(8)

Ⅱ- 7 일반계고 대 실업계고 학생비율 --- 58

Ratio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Ⅱ- 8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학생수 --- 59

Number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by Education Level

Ⅱ- 9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수--- 60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by Education Level

Ⅱ- 10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학교수 --- 61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Ⅱ- 11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교실당 학생수 --- 62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Ⅱ- 12 전문대 및 산업대 학생1인당 강의실면적--- 63

Classroom Area per Student at Junior Colleges & Industrial Universities

Ⅱ- 13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64

GDP vs Public Educational Expenditures Ratio

Ⅱ- 14 기능대 및 직업전문학교 훈련생 1인당 연간 훈련비 및 실습비--- 65

Annual Training and Practice Cost per Student in Polytechnic Colleges &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Ⅱ- 15 가구당 교육비 지출률 --- 66

Percentage of Expenditure on Education per Household

Ⅱ- 16 분야별 사설학원 수강자수 --- 67

Graduates from Private Institutes by Field

Ⅱ- 17 교육수준별 취업자수--- 68

Employed Persons by Educational Attainment

Ⅱ- 18 입사이후 직무관련 훈련 참여율 및 평균일수(2001) --- 69

Participation Rate & Average Days on the Job Training, 2001

Ⅱ- 19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 --- 70

Ratio of Research & Development Expenditures to GDP

Ⅱ- 20 기업의 교육훈련비용 추이(상용근로자 30인이상) --- 71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of Cooperates(Companies with 30 employees or more)

Ⅱ- 21 기업 규모별 교육훈련비(상용근로자 30인이상) : 2000년 --- 72

Employee Training Cost by Size of companies (Companies with 30 employees or more), 2000

Ⅱ- 22 직업교육훈련기관 유형별 직업훈련 인원수 --- 73

Number of Vocational Trainees by Type of Institutions

Ⅱ- 23 실업계고 학생의 중도탈락률 --- 74

Discontinuation Ratio of Study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Ⅱ- 24 기능 정도별 직업훈련 인원수 --- 75

Number of Vocational Trainees by Skill Level

Ⅱ- 25 직업교육 실시 일반계 고교학생수 및 비율 --- 76

Ratio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Ⅱ- 26 직업훈련실적 --- 77

Outcomes of Vocational Training

Ⅱ- 27 학교정보화 --- 78

School Informatization

(9)

Ⅱ- 28 컴퓨터 사용능력(2002) --- 79

Ability of Using PC, 2002

Ⅱ- 29 교육의 경쟁사회의 요구 부합정도--- 80

The Degree of meeting the Needs of a Competitive Economy

Ⅱ- 30 인터넷 사용자수(2001) 및 보안 서버수(2000) --- 81

Internet Users(2001) & Secure Servers(2000)

Ⅱ- 31 PC 보급대수 및 인터넷 호스트수--- 82

PC Supply & Number of Internet Host

Ⅲ. 인적자원의 이행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83

Ⅲ- 1 국공립 및 민간 직업안정기관수 --- 90

Number of Employment Security Offices

Ⅲ- 2 직업안정기관의 취업알선 실적 --- 91

Job Placement by Type of Employment Security Offices

Ⅲ- 3 성별, 학력별 직업선택요인 --- 92

Reasons for Job Selection by Sex & Educational Attainment

Ⅲ- 4 전문대 학생의 이동상황 --- 93

Annual Mo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Ⅲ- 5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진학률 --- 94

Advancement Rate of Vocational School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Ⅲ- 6 교육단계별 직업교육훈련기관 졸업자 수 --- 95

Number of Graduates by Vocational Education Level

Ⅲ- 7 실업계고 졸업자의 진학률 --- 96

Advancemen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Ⅲ- 8 전문대 졸업자의 진학률 --- 97

Advancement Rate of Junior College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Ⅲ- 9 산업대 졸업자의 진학률 --- 98

Advancement Rate of Industrial University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Ⅲ- 10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 --- 99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by Vocational Education Level

Ⅲ- 11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전공분야 취업률--- 100

Employment Rates of Vocational School Graduates

Ⅲ- 12 기능대 및 직업전문학교 졸업생의 취업률 --- 101

Employment Rates of Polytechnic College & V.T.I. Graduates

Ⅲ- 13 계열별실업계고 학생의 국가기술자격취득 --- 102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quir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Ⅲ- 14 전문대 학생의 국가기술자격취득 --- 103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quir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Ⅲ- 15 기능자격증 소지자 비율--- 104

Technical Certificate Holders

Ⅲ- 16 산업별 이직률--- 105

Employment Separation Rate

(10)

Ⅳ. 인적자원의 활용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107

Ⅳ- 1 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114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Ⅳ- 2 연령계층별, 성별 경제활동 참가율 --- 115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y Age & Sex

Ⅳ- 3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성 --- 116

No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Activity Type

Ⅳ- 4 직업별 취업자의 구성비--- 117

Distribution of the Employed by Occupation

Ⅳ- 5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구성비(전산업)--- 118

Distribution of the Employed by Worker Status(Whole Industry)

Ⅳ - 6 생산가능인구(15-64세)대비 연구원 비율 --- 119

R&D Personel as a percentage of 15-64 years population

Ⅳ- 7 사업체 규모별 인력부족률 --- 120

Shortage Ratio by Establishment Size

Ⅳ- 8 성별, 산업별 고령취업자(55세이상)비율 --- 121

Percentage of Employed Persons Aged 55 & over by Sex & Industry

Ⅳ- 9 산업별, 일자리 창출과 소멸(전년대비) --- 122

Employment Creation and Extinction by Industry

Ⅳ- 10 연령계층별 실업자 수 및 구성비 --- 123

The Number & Distribution of the Unemployed by Age

Ⅳ- 11 여성취업자의 취업 사유 --- 124

Reasons for Employment of Females

Ⅳ- 12 여성취업에 대한 태도 --- 125

Attitudes toward Female Employment

Ⅳ- 13 여성 전문·관리직 종사자 비율 --- 126

Percentage of Professional Workers among Females Employed

Ⅳ- 14 정부부분의 여성인력 비중 --- 127

Total Government Employees & Percentage of Female Senior Government Officials

Ⅳ- 15 성별, 산업별 주당 평균근로시간 --- 128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by Sex and Industry

Ⅳ- 16 산업별 월평균 근로일수--- 129

Average Working Days per Month by Industry

Ⅳ- 17 산업별 월평균임금수준 및 임금격차 --- 130

Monthly Wages by Industry & Wage Differences

Ⅳ- 18 직종별 월평균임금수준 및 임금격차 --- 131

Monthly Wages by Occupation & Wage Differences

Ⅳ- 19 학력별 임금격차 --- 132

Wage Differences by Educational Attainment

(11)

Ⅳ- 20 사업체 규모별 임금 --- 133

Wages by Establishment Size

Ⅳ- 21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추이 --- 134

Change of Labour Cost per Regular Employee

Ⅳ- 22-1 직업환경에 대한 만족도 1 --- 135

Level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1

Ⅳ- 22-2 직업환경에 대한 만족도 2 --- 136

Level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2

Ⅳ- 23 성차별에 대한 인식(1998) --- 137

Percep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1998

Ⅳ- 24 노동시장·기술적 효용(2002) --- 138

Labor Market·Availability of Skills, 2002

Ⅳ- 25 여성의 정치 참여(2000) --- 139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2000

Ⅴ.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Result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141

Ⅴ- 1 지적재산권의 등록건수 --- 148

Grants of Industrial Property

Ⅴ- 2 노동소득분배율--- 149

Ration of Compensation of Employees to NI

Ⅴ- 3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입 추이(전년대비 증가률) --- 150

Trend of Monthly Income of Urban Wage Earners Households

Ⅴ- 4 소득 10분위별 분포 및 소득집중도(도시근로자가구) --- 151

Distribution of Income Decile & Index of Concentration(Urban Wage Earner’s Households)

Ⅴ- 5 노동생산성지수 --- 152

Labor Productivity Indexes

Ⅴ- 6 생산구조 --- 153

Production Structrue

Ⅴ- 7 사회적 이동가능성에 대한 태도 --- 154

Attitudes toward Social Mobility

Ⅴ- 8 독서인구비율 --- 155

Percentage of People Who Read Books

Ⅴ- 9 인구만명당 좌석수 및 장서수 --- 156

Number of Seats and Volumes per 10,000 persons

Ⅴ- 10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인구1000명당 pc수/도메인수 --- 157

Number of Internet User & PC/Domain per 1,000 Persons

Ⅴ- 11 1인당 국내총생산(당해년가격) --- 158

GDP per Capita

Ⅴ- 12 국가별 남녀평등지수, 여성권한, 평등기회 지수--- 159

GDI, GEM, Equal Opportunity Index

Ⅴ- 13 국가정보화지수--- 160

National Informatization Index

(12)

Ⅴ- 14-2 부문별 국가경쟁력 순위2 --- 162

World Competitiveness Rank 2

Ⅴ- 15 산업생산지수 --- 163

Industrial Production Index

Ⅴ- 16 과학환경지수(2002) --- 164

Scientific Environment Index, 2002

Ⅴ- 17 기술관리지수(2002) --- 165

Technology Management Index, 2002

Ⅴ- 18 지적재산권(1999)--- 166

Intellectual Property, 1999

Ⅴ- 19 인간개발지수(2000)--- 167

Human Development Index, 2000

Ⅴ- 20 첨단기술수출(2000)--- 168

High-Tech Exports, 2000

Ⅵ.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169

Ⅵ- 1 인구 천명당 해외이민자수 --- 176

Number of Emigration Permissions per 1,000 Population

Ⅵ- 2 사망자수 및 사망률 --- 177

The Number of Deaths and Mortality Rate

Ⅵ- 3 사인별 사망자수 및 구성비 --- 178

The Death toll & Composition by Cause of Death

Ⅵ- 4 주요 성인질환 유병률 --- 179

Morbidity Rates on Adult Diseases

Ⅵ- 5 직업병 유병근로자 비율 --- 180

Rates of Health Examination & Occupational Disease

Ⅵ- 6 산업재해 발생률·사망률·사망만인률 --- 181

Rates of Frequency, Severity & Death in Industrial accidents

Ⅵ- 7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자원의 손실 --- 182

Traffic Accidents & Death by Means of Transport

Ⅵ- 8 경제활동인구대비 범죄자 비율 --- 183

Rate of Offenders to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Ⅵ- 9 주요범죄자 수(소년범죄자 비율) --- 184

Number of Major Criminal Offenders (Percentage of Juvenile Offenders)

(13)

그 림 차 례

[그림 Ⅰ- 1]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 22

[그림 Ⅰ- 2] 생산가능인구 및 구성비 --- 23

[그림 Ⅰ- 3] 부양비와 생산가능인구비율(총인구대비) --- 23

[그림 Ⅰ- 4] 국민의 학력구성비(25세 이상) --- 24

[그림 Ⅰ- 5] 수도권 인구 및 인구비율 --- 25

[그림 Ⅱ- 1] 교육단계별 취학률 --- 48

[그림 Ⅱ- 2] 교육단계별 교원 1인당 학생수 --- 49

[그림 Ⅱ- 3] PC 1대당 학생수 --- 49

[그림 Ⅱ- 4] GDP대비 공교육비 비율과 연구개발투자비율 --- 50

[그림 Ⅱ- 5] 학생 1인당 연간교육비(1998) --- 50

[그림 Ⅱ- 6] 노동비용 대비 교육훈련비 비율 --- 51

[그림 Ⅲ- 1]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률--- 86

[그림 Ⅲ- 2] 직업선택요인(1995, 1998) --- 87

[그림 Ⅲ- 3] 교육단계별 졸업자의 취업률 --- 87

[그림 Ⅲ- 4]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전공분야 취업률 --- 88

[그림 Ⅳ- 1] 경제활동참가율 --- 110

[그림 Ⅳ- 2]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성--- 111

[그림 Ⅳ- 3] 정부부문에서의 여성인력 비중 --- 112

[그림 Ⅳ- 4] 노동시장·기술적 효용(2002) --- 113

[그림 Ⅴ- 1] 노동생산성 지수--- 144

[그림 Ⅴ- 2] 지적재산권 등록건수 및 외국인 등록비율 --- 145

[그림 Ⅴ- 3] 주요국의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1998) --- 146

[그림 Ⅴ- 4] 첨단기술수출(2000) --- 146

[그림 Ⅵ- 1] 해외이민자수 및 취업이민자수 --- 172

[그림 Ⅵ- 2] 연도별 조사망률 및 사망자수 --- 173

[그림 Ⅵ- 3] 재해도수율, 강도율, 사망만인율 --- 174

[그림 Ⅵ- 4] 범죄자수 및 경제활동인구 대비 범죄자 비율 --- 175

(14)

개요

Outline

지표 개요

Outline of HRD Indicators

지표 체계

System of HRD Indicators

(15)

1.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 의 개요

1) 발간 배경 및 필요성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Knowledge-based Society)로 이행되면서 자본(Capital)과 노동력 (Labour)보다 지식(knowledge) 및 정보(information)가 핵심적인 생산요소로 등장하였다. 이에 따 라, 기업과 개인의 생산요소에 대한 평가 역시 물적 자산 중심에서 무형자산인 지식 및 잠재 능력 등 의 개발과 관리·활용으로 그 중요성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맞추어 OECD는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투자지표와 인적자원개발 상황을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국가간 비교가 가능한 지표 및 지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우리 나라 역시 지식기반사회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서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 다. 그에 따라, 정부부처의 개편과 인적자원개발회의 등을 통하여 국민 개개인의 인적자원의 질을 높 일 수 있는 정책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적자원 관련 정책의 효과적인 수립과 집행 및 평가, 그리고 학생·시민·기업 체 등의 인적자원 현황 및 개발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 및 지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 다. 따라서 본 지표집은 우리 나라의 현재 인적자원의 규모와 질을 측정하고, 인적자원의 개발과정을 통계적 수치로서 알 수 있게 하여 인적자원개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한다.

2) 목적 및 기능

사회 각 부문의 지표를 개발하는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개별지표에서 얻어지는 각종 정보들이 국가나 사회, 그리고 각각의 조직이 추구하는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결정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지표집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국가의 효율적 인력수급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인적자원의 현황 및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산업·지역간의 인적자원개발을 효율적으로 배 분할 수 있게 한다

셋째, 현재 인적자원의 현황 및 개발과정의 계량화를 통하여 인적자원 현황 및 개발에 대한 국제 비교 및 평가를 가능케 한다.

(16)

Indicators in Korea 2002 」 」

1) Background and need for publication

As part of the transformation from an industrial society to a knowledge-based one, capital and labor have been replaced by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the core production variables. Unlike in the past when material properties where seen as being the core variables, present day evaluations of the key production variables for enterprises and for individuals, focus on immaterial properties such as the development, management and utility of knowledge as well as an individual’s potential abilities. To cope with thes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ECD has strived to develop indexes and indicators that make possible comparisons between countries by measuring the stat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Korea recognize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s being the core variable affec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 knowledge-based societ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 holding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nferen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ived to develop policies to heighten the quality of individual human resources.

Due to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indexes and indicators that can help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of human resources related policies, as well as the state and development process of human resources of individual actors such as, students, citizens and enterprises. Therefore, in order to help Korea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2002」has been published to measure the size and quality of Korea’s present human resources and to indicate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cess in a statistical fashion.

2) Objectives and Functions of the Indicator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when developing indicators in any social science field is to assure that the compiled information actually plays a linkage role in establishing and deciding the policy objectives that the nation, society, and organizations are seeking for.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objectives of the indicator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policies to effectively manage the supply-demand of human resources.

Second,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of human resources should help effectively distribute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mong all industries and regions.

Third, by compiling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actual state and development process of human resources, international comparisons and evaluations of the actual state and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can be carried out.

(17)

3) 지표개발의 경위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는 2001년에 본원에서 발간된『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에 근

거하였다. 본 지표집의 기초연구의 성격을 띤『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이하 기초연구로 표기)는

지표 체계의 개발과 지표 선정에 앞서 지표 및 지수에 대한 선행연구와 현재 개발되어 있는 국·내외 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자료를 검토하였다.

먼저,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국내의 지표동향은 <한국의 사회지표>뿐만 아니라 인구 관련 지표, 사회복지 관련 지표, 보건 관련 지표, 노동 지표, 청소년 지표, 여성 관련 지표와 정보화 시대라는 추 세에 맞추어 정보화 관련 지표 또한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외 지표 개발 동향은 국제기관에서 발행되 는 인적자원 관련 지표들을 중심으로 OECD, UNDP, ILO, IMD, UNESCO 등에서 발간되는 자료 들을 검토하였다. 이것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지표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경제적인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전반적인 복지 수준을 포함하는 인간의 삶 의 질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의 개발.

둘째, 세계화라는 시대적 추세에 맞는 국제비교 지표의 개발.

셋째, 정보화 및 지식 활용을 측정하고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

넷째, 지속적인 시계열 자료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

다섯째, 사회에 대한 인식, 삶에 대한 평가 등의 주관적 지표의 개발.

위와 같은 다섯 가지의 기본적인 개발방향에 따라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 모형과 구성, 그리고 개별지표들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의 기초연구에서는 학문간 다르게 사용되고 있 는 인적자원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통계자료 및 문헌연구들을 통하여 체계의 모형과 구조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각각의 개별지표들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개별지표들은 전문가협의회와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지표 수요 조사를 통하여 주요지표, 보조지표, 장래지표로 분류되었다. 본 지표집의 개별지표들은 통계자료의 수집이 가능하고, 중요하 다고 조사된 개별지표들(주요지표) 중에서 연구진의 판단에 의해 기본적이고 현 상황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표들을 골라 정리한 것이다. 앞으로도 통계자료가 없거나 혹은 얻기 힘든 개별지표(장래 지표) 그리고 시대적 상황에 따라 그 필요성이 제기되는 개별지표들은 새로이 개발되어 지속적으로 보완될 것이다.

(18)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2002」(hereafter referred to as the HRD Indicators 2002) was based on the 「Indexes and Indicators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ublished by KRIVET in 2001. Before proceeding to develop the index structure and to select the proper indexes for the Indexes and Indicators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basic research for the Indicators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basic research), the research team analyzed exis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lated data along with indexes and indicators from previous research projects.

Firstly, with regards to trends related to domestic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basic research analyzed the Korean society indicators as well as population, social welfare, public health, labor, youth, and information related indicators. With regards to the trends related to international indicator development, the basic research focused on the human resources related indicators publish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as such data from OECD, UNDP, ILO, IMD, and UNESCO was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dicators development process was established:

First, indicators capable of exhibiting the quality of life ; including indicators for such subjects as quantitative economic growth as well as the welfare system for individuals, should be developed.

Second, indicators enabling the user to make international comparison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remain up to date in this rapidly changing globalization era.

Third, indicators that can measure and understand the us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hould be developed.

Fourth, indicators that can be databased through the provision of visual data should be developed.

Fifth, subjective indicators, such as,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society and the evaluation of individuals’liv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five basic development processes enumerated above, models and components for the HRD Indicators 2002 and the individual indicators to be used as part of the above were selected for development. In order to attain these objectives an agreed upon concept of human resources, which had differed among various academic sectors, was used in the 2001 basic research. Based on this agreed upon concept of human resources, models and components for the HRD Indicators 2002 were established using statistical data and related literature, and the individual indica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se models and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an indicator demand survey carried out during a specialists consultative meeting and the demand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lated specialists, the selected individual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e major indicator, supplementary indicator and the future indicator. Out of all the individual indicators (major indicators) that were regarded as being important by the research team those indicators that were recognized as necessary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ere included in the HRD Indicators 2002.

Individual indicators that were found to be difficult to compile (future indicator) or for which related statistical data does not yet exist as well as individual indicators whose necessity are of a temporary nature will be developed and added in the future.

.

(19)

2.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

1) 인적자원의 개념

기초연구를 통하여 인적자원 및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이 너무나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 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개념 정의가 필요하였다. 그간의 인적자원의 개념은 인적자원의 형성주체,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졌다. 즉, 개인, 기업, 국가 및 사회 등 각각의 인적자원의 형성주 체 및 대상에 따라 각각의 인적자원 형성 목표에 의해 상이하게 사용되어져 왔던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인적자원 및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은 크게 광의와 협의의 개념으로 요약할 수 있다.

협의의 개념은 기업 혹은 개인 차원의 생산성 혹은 자기개발을 위하여 교육·훈련 등의 활동으로 제 한된다. 광의의 개념은 대상이 기업뿐만 아니라 국민, 가정, 사회, 국가로 확대된 개념으로 기업의 생 산성 증대, 개인의 삶의 질 향상, 국가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능력, 기술, 정보, 도덕적 성숙, 인간의 품성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처럼 인적자원 및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대상과 목적에서 비롯한다. 협의의 개념 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의 대상은 기업과 개인이며, 목적은 조직의 생산성 증대와 개인의 자기개발을 의미한다. 광의의 개념에서는 인적자원개발 대상은 국가, 기업, 개인 모두를 포함하여, 인적자원개발 의 목적은 직업준비교육,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계속교육 및 평생학습체제를 갖추고 형성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궁극적으로 국가경쟁력 향상, 개인의 삶의 질 개선, 기업의 생산성 향상 등을 제고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인적자원개발의 정의를 협의적 관점으로 규정한다면, 그 대상과 관심영역 및 지표가 명 확하게 드러나는 장점은 있지만, 이는 인간을 단순히 경제적 가치로 평가하여 접근하게 되며, 국가 및 사회라는 거시적 차원의 접근이 어려워 무형의 가치인 삶의 만족도 등의 인적자원개발의 중요한 영역들을 나타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지표집은 인적자원을 개인, 조직, 국가가 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된 문제해 결능력, 즉, “국가·사회 발전과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기술력, 정보력

그리고 도덕적 성숙 등 가치 있는 인간의 제 능력과 품성”이라고 정의내리고,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은 위의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학습 및 훈련의 필요조건을 개인 및 기업을 포함한 국가가 구축해 가는 전체 행위로 간주한다.

(20)

Indicators in Korea

1) The concept of human resources

The basic research proved that several concepts of human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HRD) were in existence. Therefore, it became necessary, to some degree, to define these concepts. Concepts of human resources were found to vary according to whom it was that had formed the human resources and what were their objec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human resources.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human resources has varied depending on who are the concerned parties or the subjects of HRD and on what are the objectives in forming these human resources whether it be at the individual, enterprise, social or national level.

The various concepts of human resources and HRD can be reduced to a broad definition of the concept and a narrow one. The narrow definition of the concept is concerned solely with educational training activities designed to heighten the productivity of enterprises and to develop individuals’

vocational skills. The broad definition of the concept extends to enterprises as well as to the general public, homes, society and to the nation. It includes concepts such as the increase in enterprises’

productivity,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individual lives, the capability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technological, information, moral maturity and character trait concepts.

The differences found in these concepts of human resources and HRD originate from their diverse subjects and objectives. In the narrow definition of the concept, the subjects of HRD are enterprises and individuals, and the objectives ar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enterprises and to develop individuals’vocational skills. Meanwhile, in the broad definition of the concept the subjects of HRD include the nation, enterprises and individuals, while the objectives are to heighten national competitiven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 lives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enterprises, by composing networks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already formed human resourc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ntinuous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systems designed to prepare human resources for their future vocations and also to develop the abilities such vocations will require.

If the narrow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HRD is used, the subjects, areas of interest, and indexes can be expressed in a clear fashion. However, this approach results in the analysis of humans solely for their economic value. This particular definition of the concept makes analysis at the macroscopic level such as the nation and society very difficult and makes the display of important factors of HRD that have immaterial value, including individuals’life satisfaction, impossible.

Therefore, the indicators defined human resources as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that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nations are required to possess. That is to say, “the human cap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necessary to develop the society and na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 life including technological & information related capabilities as well as moral maturity”.

Therefore, the concept of HRD is defined as the actions of the nation, including individuals and enterprises that strive to construct the education & training conditions needed to develop the above- mentioned human resources.

(21)

2) 인적자원개발지표의 기본 모형

인적자원개발지표의 기본 모형은 유한한 생명체로서의 인간의 삶을 반영하였다. 즉, 인간은 성장 기로부터 자신의 생을 영위하는 바탕으로 인적자본을 축적하고, 사회 진출과 연결되는 이행과정을 거쳐 경제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순환과정을 그 기본 모델로 삼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의 기본적인 주체는 가정(가계), 기업, 정부이며, 여기에 세계화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게 해외부문을 추가하였다. 또한, 선천적 능력을 제외한 개개인의 인적자본을 개발하는 과정을 거 치게 되는데, 이는 인적자본투자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인적자본투자의 대상은 정규·비정규 교육, 기업에서의 현장훈련, 개인의 취업 및 고용생활에서 더 많은 편익을 얻기 위한 노동시장의 정보, 그 리고 기본적인 건강의 유지 및 증진 등이 있다. 이러한 인적자본개발의 공급조직들은 가계(가구주), 각급학교, 사내교육조직 직업교육훈련조직, 평생교육(학습)조직, 외국교육기관 등이 있다.

위의 인적자원의 개발과정을 거친 개개인들은 개발·형성된 인적자원이 활용되기까지의 이행과정 을 거치게 된다. 인적자원의 이행은 학교에서 학교(School-to-School), 학교에서 취업(School-to- Work), 직업이동(Work-to-Work), 재교육(Work-to-Work)을 포함하며,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개 발과 새로운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한 재배치 및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이행과정을 거친 인적자원들은 경제·사회활동에 참여한다. 즉, 인적자원들은 축적되고, [인적자원개발의 순환모형]

인적자원 형성주체

가정(가계)

기업(산업)

해외(외국)

인적자원 투자대상

정규교육

비정규교육

현장훈련

정보획득

건강유지/증진

국내외 이주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인구의 국제이동

인적자원의 상실 인적자원의 이행

(전이과정)

이행과정 학교-학교 학교-취업 취업-학교

고용정보시스템 공공고용정보 민간고용정보 노동이용 구인/구직활동 노동이동 (지역,산업,직업)

인적자원의 축적(양적,질적) 인적자원의 규모, 구조 인적자원의 수준, 분포

인적자원의 활용 인적자원의 수급측면 인적자원의 비활용

인적자원활용의 결과 인적자원의 경제적 효과 인적자원의 사회적 효과 인적자원

투자수요자 당대, 후대 근로자 내국인

재외국민 해외국민

인적자원 투자공급조직 가계(가구주) 각급학교 사내교육조직 평생교육조직 외국교육 기관 기타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인적자원의 육성, 개발, 형성

(22)

Within the basic model for the HRD indicators an individual’s life is considered as a limited one.

The basic model used in this indicator employed a cyclical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were recognized as accumulating human resource capital from youth onwards. This stock is dependent on how individuals manage their lives. Moreover, these individuals eventually participate in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through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entrance into society is achieved.

An overseas category has been added to the list of main actors in HRD that includes households, enterprises and government,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rapid changes caused by globalization. The process through which individuals go through to develop their own human resource capital, except for inherited talents, become the subject of human capital investment. Human resource capital is invested into such subjects as regular and irregular education, on-the-spot training in enterprises, access to information on the labor market in order to help individuals gain employment or to provide them with the information needed during their employment period, and the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basic health. The suppliers of human capital development are the heads of households, schools, educational organizations within enterprises,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organizations, lifelong (learning) organizations as well as foreign education organizations.

Individuals having already completed the above-mentioned HRD process must also complete several transitional processes in which they learn to utilize the human resources they have already formed and developed. These processes includes school-to-school, school-to-work, work-to-work, and work-to-school, all of which are important processes in developing effective human resources, in developing new vocations in order to adjust to the new environment, and in improv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The Cyclical model of HRD]

Main Bodies of HRD

Households

Enterprises

Government

Overseas

HR Investment Subjects

Regular Edu.

Irregular Edu.

Vocational Training Acquirement of Information Public health Relocation &

Immigration

Outflow & Loss of HR

International movement

Loss of HR HR Transition

Transitional process School-to-School School-to-Work Work-to-School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 Public Private Utility of Labor

Force Job offer & Hunting Relocation

Stock of HR Size & Structure Level & Distribution

Utilization of HR Supply-demand

Inutility

Results of HR Utilization Economic Efficiency Social Efficiency Demander of

HR Investment Present / Future Native Foreign Domestic Native Workers Overseas

Org. providing HR Investment Households Schools Educational Org.

within Enterprises Vocational Edu.

Lifelong Edu.

Foreign Edu.

Others

HRD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3)

활용되며, 그 활용의 결과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인적자원의 축적은 일정시점에서 양적·질적으 로 개발된 인적자원의 축적량(Stock)으로 규모, 구조, 수준 그리고 분포 등으로 파악된다. 인적자원 의 활용은 인적자원을 어떻게 배분·이용하는가 하는 것으로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 측면과 인적자 원의 비활용으로 구분된다. 인적자원활용의 결과는 개발된 인적자원의 경제적 및 사회적 기여의 정 도를 의미하며, 가계경제 및 국가경제의 기여도 등의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도덕성, 협동성, 사회적 신뢰 등의 사회자본의 형성으로도 나타나게 된다.

또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인적자원의 손실은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로 구분하였다. 인적자원의 유출은 개발·형성된 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이며, 대표적으로 해외이주가 있다. 인적자원의 상실은 노령과 질병에 의한 사망, 산업재해 및 각종 사고·범죄에 의한 인위적 재해 및 자연재해에 의한 사 망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인적자원의 순환모형을 통하여 인적자원개발지표는 인적자원의 축적, 인적자원의 개발(과 정), 인적자원의 이행, 인적자원의 활용, 인적자원활용의 결과,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의 6개 목표 영역으로 구성된다.

3)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

인적자원개발의 순환모형에 따라 6개 목표영역이 설정되었다. 이 목표영역에 포함되는 지표의 수 는 무수하게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많은 지표들을 목표영역에 맞게 적절히 포함하고 배치하기 위해 서는 지표체계의 설정이 필수적이다.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는 [관심영역 → 세부관심영역 → 개별지표] 라는 3단계 구조를 택하였 다. 체계구조의 3단계 구조는 기초통계와 가용할 수 있는 사회통계가 어느 정도 축적되어 있는 우리 의 현실에 맞고, 기존의 지표체계와도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 로 판단하였다.

각 목표영역에 따른 각각의 관심영역과 세부관심영역은 앞서 제시된 순환모형에 제시된 내용에 근 거하여 인적자원과 관련되는 국내외의 기존 지표체계에서 제시된 구체적인 관심영역을 가급적 빠짐 없이 배열한 후, 관심영역에 적합한 세부관심영역을 세분화하는 접근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인적자 원개발지표의 전반적인 각 목표영역별 관심영역과 세부관심영역은 다음과 같다.

(24)

in order to produce results. The accumulation of human resources is understood as the stocking of human resources, such as, the size, structure, level and distribution of human resources, at a certain point in time. Depending on how human resources are distributed and utilized, the utility of human resources can be divided into the supply-demand of human resources and the inutility of human resources. The results of the utility of the human resources refers to the degree of economic and social contribution of the developed human resources, exhibited as economic growth, including contribution to households and the national economy, as well a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which measures such variables as morality, cooperative mentality, and social trust.

In addition, the inevitable loss of human resources was separated into the Outflow and the loss of human resources. Outflow of the human resources refers to the international movement of already developed and formed human resources, of which immigration to other countries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The loss of human resources refers to death through aging or due to disease; death caused by artificial disasters, such as, industrial disasters, accidents and crimes, and death as a result of natural disasters.

Through this cyclical model of human resources, the HRD indicators were composed for six different areas: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human resources, the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the results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and the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area.

3) The System of HRD Indicators

The six different objective areas for the HRD indica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cyclical model of HRD. There is a need, in order to be able to include and arrange the many kinds of selected indicator in the six objective areas, to establish an index system.

A three-level structure, [interest area→ detailed interest area→ individual indicator] was chosen as the system for the HRD Indicators 2002. This three-level structure system was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facts. This three-level structure system can easily be harmonized with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in that the social statistics available to be used as basic statistics have already been accumulated, and in that it shares many similarities with existing indicator systems.

After having arranged the interest area based on the pres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icator systems, the interest area and detailed interest area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yclical model. Afterwards, through the use of itemized methods, a detailed interest area appropriate for the interest area was selected. The overall interest and detailed interest areas of the HRD Indicators 2002, as based on the objective areas, are displayed as follows.

(25)

Ⅰ. 인적자원의 축적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1. 인구규모

Size of the population

2. 인구구조, 분포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3. 인적자원의 수준 Levels of human resources

4. 국민보건 Public health

1-1 인구추세 Population trends 1-2 장래인구

Future population 2-1 인구구성

The structure of population 2-2 성별인구

Gender population 2-3 인구분포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3-1 국민교육수준

The level of public education 3-2 계열별 교육수준

The educational level according to the vocational fields

3-3 자격취득

Acquirement of certificates 3-4 해외인적자원

Overseas human resources 4-1 생존년수

Life expectancy 4-2 보건환경

Public health environment 4-3 체격 및 체력

Physique health environment 4-4 건강평가

Evaluation of health

목표영역 Objective area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체계

The System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2002

관심영역 Interest area

세부관심영역 Detailed interest area

(26)

Ⅱ. 인적자원의 개발(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Human Resources

1. 공교육(학교교육) Public education (School education)

2. 사교육

Private education

3. 사내교육

Vocational education in enterprises

4. 직업훈련 및 평생교육 Vocational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5. 정보화 교육

Informatizational education

1-1 교육기회

Educational opportunities 1-2 인적 교육자원

Human educational resources 1-3 물적 교육자원

Material educational resources 1-4 교육재정

Educational finances 1-5 공교육평가

Evaluation of the public education 1-6 고등교육의 질(수준)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1-7 인적자원의 집중

The concentration of human resources

2-1 사교육비

The costs of private education 2-2 사교육 수강자

Participants in private education 2-3 사교육의 물적, 인적 자원

Th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of private

3-1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환경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environment

3-2 사내직업훈련

Vocational training in enterprises 3-3 산·학·연 연계 교육훈련

Education & training clinking the industrial sector, academia and government 3-4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투자

Enterprise’s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4-1 교육기회 및 참여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articipation

4-2 인적·물적 자원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5-1 정보화 환경

Informatizational environment 5-2 학교정보화 수준(지수)

The level of school informatization

(27)

Ⅲ. 인적자원의 이행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Ⅳ. 인적자원의 활용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1. 진로지도 및 취업알선 Academic counseling and employment introduction

2. 진급과 진학

Entrance to a higher school 3. 졸업과 취업

Grasuation and Employment

4. 직업이동 Vocational change

1. 고용과 실업 Employment and unemployment

2. 여성고용

Women employment

3. 근로조건 Working condition

4. 차별대우

Discriminative treatment

1-1 취업정보

Employment information 1-2 진로선택

Choice of future life path 1-3 진로지도 시설

the facilities of academic counseling 1-4 진로지도 만족도

The satisfaction of academic counseling 2-1 진학

entrance to a higher school 2-2 중도탈락 Dropout 3-1 졸업 Graduation 3-2 취업 Employment 3-3 재학중 자격취득

Certificate acquirement during school period 4-1 직업이동준비(work-to-school)

Preparation for job change 4-2 이직(work-to-work)

Change of occupation 1-1 경제활동참가 및 비활용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inutility of human resources 1-2 취업 Employment 1-3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The creation and termination of jobs 1-4 실업 Unemployment 2-1 여성인력활용의 환경

The utilization of women resources 2-2 여성취업

Women employment 2-3 비활용 여성인력

Unutilized women resources 3-1 근로시간 Labor hours 3-2 임금 Salary 3-3 노동비용 Labor costs 3-4 근로환경 만족도

Satisfaction with labor environment 4-1 성차별

Sexual discrimination 4-2 비능력차별

Discrimination based on lack of abilities

목표영역 Objective area

관심영역 Interest area

세부관심영역 Detailed interest area

(28)

Ⅴ.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The Results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Ⅵ.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The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1. 경제적기여

Economic contribution

2. 사회적 기여 (사회적 자본 형성) The social contributi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3. 국가경쟁력

National competitiveness

4. 인간개발지수

Human development index 1. 인적자원 유출

The outflow of human resources

2. 인적자원 상실

The loss of human resources

1-1 국가기여도

The contribution to the nation 1-2 가계기여도

The contribution to households 1-3 기업기여도

The contribution to enterprises 2-1 사회통합수준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2-2 계층이동

Change of social status 2-3 문화향유

Enjoyment of culture 2-4 정보통신활용

The utlization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3-1 개인의 경쟁력

Individual competitiveness 3-2 기업의 경쟁력

Enterprises competitiveness 3-3 국가경쟁력

national competitiveness 4-1 인간개발지수

Human development index 1-1 인구의 국제이동

International movement of population 1-2 인적자원의 유출

The brain drain of human resources 2-1 사망력

Death

2-2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 Industrial disasters 2-3 사고로 인한 손실

Accidents

2-4 질병으로 인한 손실 Diseases

2-5 범죄로 인한 손실 Crime

(29)
(30)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Ⅰ. 인적자원의 축적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Ⅱ. 인적자원의 개발(과정)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Ⅲ. 인적자원의 이행

The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Ⅳ. 인적자원의 활용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Ⅴ.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The Result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Ⅵ.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The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31)
(32)

Ⅰ Ⅰ. 인적자원의 축적

·지표 개요

·통계표

(33)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In the chapters of Journey of Renewal that describe the Mission Accountability Framework there will be flashbacks to the story of Richmond Corps, showing clearly how

The people in charge of a research project involving human subjects is the applicant for ethics review, and the following materials shall be submitted to the Institutional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ports participation tim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the competition and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이하선의 실질 속에서 하악경의 후내측에서 나와 하악지의 내측면을 따라 앞으로 간다. (귀밑샘 부위에서 갈라져 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