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구 당부하검사 결과 정상 임신의 양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경구 당부하검사 결과 정상 임신의 양상"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임신성 당뇨병은 모성 및 태아 이환에 많은 영향을 미 칠 수 있기 때문에,1- 8 제2차, 제3차 세계 임신성 당뇨병 워크숍 및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는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선별검사를 모든 임산부에게 적용하자고 하였다.1,8 1997년 제4차 세계 임신성 당뇨병 워크숍에서 는 인종을 포함한 여러 위험인자에 근거를 둔 선택적인

선별검사를 시행하도록 이전의 지침을 변화시켰으나,9 이 지침에 따르더라도 한국인에서는 모든 임산부에게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선별검사를 시행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명백한 임신성 당뇨병과 정상 임신의 중간 형태의 당대사 상태, 즉 당내성의 소변화 (minor degrees of glucose intolerance, MDGI)를 보이는 임신 상태에 대한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 결과 정상 임신의 양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

이원종・손병철・김행수・양정인・양성천・조미영・류종만・오기석・유희석

=ABSTRACT=

T h e S ig n if ica n ce of Nor m a l 100 g m Or a l Glucos e T oler a n ce T es t on P er in a t al Out com e s

Won J on g Lee , M .D ., Byu n g Ch eol S oh n , M.D., Ha en g S oo Kim , M.D., J eon g In Ya n g , M.D ., S eon g Ch eon Ya n g , M .D ., Mi Yeon g J o , M.D.,

J on g Man Ry ou , M .D ., Kie S u k Oh , M.D ., Hee S u g Ryu , M .D .

Dep 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j 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Objective : To evaluate perinat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bnormal 50 gm challenge test followed by normal 100 g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value.

Methods : We examined the pregnancy outcomes of 423 women classified as the study group with abnormal 50 gm oral glucose challenge test (OGCT) followed by normal 100 gm OGTT based on NDDG criteria. If the 1-hour plasma glucose value of 50 gm OGCT was over 130 mg/dL, the patient was scheduled for a full 3-hour 100 gm OGTT. 50 gm OGCT and 100 gm OGTT were administered at 24-28 and 28-32 weeks' gestation,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constituted of 467 age- and body mass index (BMI)-matched negative screenees. We defined poor maternal outcomes as those suffering from any one of hydramnios or oligohydramnios, preeclampsia, cesarean delivery due to cephalopelvic disproportion, dystocia, or fetal distress.

We also defined poor neonatal outcomes as those suffering from any one of hyperbilirubinemia, hypoglycemia, congenital anomaly,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ue to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r perinatal mortality. Retrospective review of outcomes of these patients was performed. Stu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y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stational age (38.7±1.5 vs 38.5

±1.5 weeks), birth weight (3189.2±420.9 vs 3236.7±423.1 gm), between the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rm birth (6.2% vs 7.4%), large for gestational age births (4.5% vs 5.0%),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5.4% vs 4.3%)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or maternal outcomes (15.6% vs 18.7%) and poor neonatal outcomes (3.9% vs 5.7%)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abnormal value on 50 gm challenge test followed by normal 100 gm OGTT is not associated with adverse perinatal outcomes.

Key Words : Normal 100 g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Perinatal outcomes

접수일:2001. 10. 4.

주관책임자 : 김행수

(2)

적절한 접근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0

임신성 당뇨병에 대하여 다양한 기관에서 공통적인 진단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MDGI의 질병 분류학적인 범위를 정의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고는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에 대한 NDDG 의 진단기준을 고수하고 있고,1 1- 17 이에 따르면 MDGI는 크게 3가지 경우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 결과 비정상이지만 100 gm 경구 당부 하검사상 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이는 경우, 둘째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4개의 측정치 중 어느 하나만이 비 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이는 경우, 마지막으로 100 gm 경 구 당부하검사에서 2시간 후에 측정한 혈장 혈당치가 120 mg/dL에서 164 mg/dL 사이인 경우이다. 진단적 방 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많은 보고들에서 이러한 임상 상태가 제왕절개수술에 의한 분만, 임신기간, 신생아 거 대아를 초래하는 과도한 태아성장과 관련하여 불량한 산과적 및 주산기예후를 보였다. Leikin 등은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결과 비정상이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 검사결과 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인 연구군과 50 gm 경 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정상인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거대아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높다고 하였다.12 한 등 은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 결과 4개의 측정치 중 어느 하나만 비정상 혈당치를 보인 122명을 대상으로, 당섭취 1시간 후 또는 3시간 후에 비정상을 보이는 산모군에서 불량한 모성 및 주산기 예후를 보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 한 지속적인 관찰 및 향후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 하다고 하였다.13 또한 Tallarigo 등은 100 gm 경구 당부 하검사결과 2시간 후에 측정한 혈장 혈당치가 120 mg/dL 에서 164 mg/dL 사이인 연구군에서 100 gm 경구 당부하 검사결과 2시간 후에 측정한 혈장 혈당치가 100 mg/dL 미만인 대조군에 비해 태아 거대아, 자간전증 및 제왕절 개분만 등의 위험도가 높다고 하였다.11 이렇듯 MDGI와 관련하여 불량한 주산기 예후가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실제로 국내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 구는 많지 않고 나아가 정확한 산전관리의 지침 역시 정 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 등은 50 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비정 상 결과를 보여 시행한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NDDG의 진단기준에 근거하여 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인 산모들을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정상을 보였 던 산모군과 비교하여 임신경과 및 주산기 예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96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산부 인과 외래에 산전진찰을 위하여 내원한 산모중 임신전 에 이미 당뇨를 지니고 있던 산모를 제외하고, 임신 제 1 삼분기부터 산전진찰을 받은 단태 산모 6,018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임신주수는 최종 월경시작일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불규칙한 월경력이 있거나 임신 제 1 삼분기 에 시행한 초음파검사상 태아 크기가 1주 이상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는 초음파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임신주수 를 산정하였다. 임신 24주부터 28주 사이에 산모들에게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를 시행하여 혈장 혈당치가 130 mg/dL 이상으로 나타난 1,320명을 선별검사 양성으 로 간주하여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 중 본원에서 분만하고 임상기록이 명확한 산모를 대상 으로 측정된 혈당치에 NDDG 기준인 공복시 105 mg/dL, 당섭취 1시간후 190 mg/dL, 2시간후 165 mg/dL, 3시간후 145 mg/dl을 적용하여 4개 모두 기준치 이하를 보인 산 모군 중에서 연구군 (423명)을 설정하였고,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를 시행하여 혈장 혈당치가 130 mg/dL 미만으로 나타난 선별검사 음성인 산모군에서 대조군 (467명)을 구성하였다. 연구군과 대조군은 무작위 추출 법을 사용하였고 산모의 연령, 산과력, 임신주수 및 임신 전 신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2. 연구 방법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는 임신 24-28주에 공복 여부와 무관하게 50%의 D-glucose 100 ml와 물 200 ml를 함께 먹은 후 1시간 동안 아무 것도 먹지 않고 앉아 있 은 후 채취한 정맥혈의 혈장에서 포도당 산화법 (glucose oxidase)으로 측정하였다.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 서 혈장 혈당치가 130 mg/dL 이상으로 판명된 산모는 임신 28-32주 사이에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 였다.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는 8-14시간 공복상태에서 정맥혈을 채혈한 후 50%의 D-glucose 200 ml와 물 100 ml 를 함께 먹은 다음 아무 것도 먹지 않고 앉아 있으면서 각각 1, 2, 3시간 후 채혈하여 혈장에서 포도당 산화법으 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산모와 신생아의 임상기록을 기초로 당뇨의 위험인자 (직계가족에서 당뇨병의 과거력, 4 kg 이상의 거대아 또 는 기형아 출산력, 사산력 또는 반복자연유산, 고혈압의 과거력, 임신중 요당검출, 이전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병 또는 임신성 내당능장애로 진단된 과거력) 유무 및 모성 합병증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자간전증 등)과 아두골 반 불균형이나 진행장애 혹은 태아곤란증으로 인한 제 왕절개분만의 빈도 및 신생아의 출생시 체중, 4 kg 이상 의 거대아,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와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의 빈도 및 신생아 합병증 (고빌리

(3)

루빈혈증, 저혈당증, 선천성기형, 호흡곤란증후군 및 신 생아 중환자실 입원 및 주산기 사망 등) 등에 대해 각 군별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간전증의 진단을 위한 고혈압은 임신 제 1삼분기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30 mmHg 이상 증가하거나, 이완기 혈압이 15 mmHg 이상 증가한 경우 혹은 임신 20주 이 후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단백뇨 의 정의는 24시간 소변에서 300 mg 이상이 검출되거나 dipstick에서 1+ 이상이 측정될 경우로 하여 고혈압과 단 백뇨가 동반된 경우 자간전증으로 진단하였다. 양수과다 증은 양수지수가 24 cm 이상일 경우, 양수과소증은 각 임신주수에 해당하는 양수지수가18 5 cm 이하일 경우로 정의하였다. 거대아의 기준은 분만시 신생아의 체중이 4 kg 이상으로 하였고, 각 해당 임신주수에서 90 percentile 이상을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로, 10 percentile 이하 를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로 하였다.19,20 견갑난산 은 어깨를 분만하는데 하부견인과 회음절개 이외의 치골 상방압력과 McRoberts 수기가 필요했던 경우로 정의하였 다. 신생아 합병증 중 저혈당증은 정맥혈당 50 mg/dL 이 하, 고빌리루빈혈증은 만삭아의 경우 10 mg/dL 이상, 조산 아는 8 mg/dL 이상으로 광선치료를 받은 경우로 하였다.

또한 양수과다 및 과소증, 자간전증, 아두골반 불균형 이나 진행장애 혹은 태아곤란증에 의한 제왕절개분만 중의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불량한 모성 예후로 간 주하였고, 고빌리루빈혈증, 저혈당증, 선천성 기형, 신생 아 호흡곤란증에 의한 신생아의 중환자실 입원, 주산기 사망 중의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불량한 신생아 예 후로 간주하였다.

각 측정치중 연속형은 평균±표준편차로 이산형은 빈 도 (%)로 표기하였으며, 통계학적인 검증은 Stu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p-value가 0.05 미만인 경우를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 과

1. 임산부의 특성

대상 산모들의 평균 연령은 대조군이 29.8±3.6세, 연 구군이 29.8±3.6세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각 군에서 30세 이상인 산모의 분포는 49.3%, 48.2%이었고, 35세 이상의 고령산모의 분포는 10.7%, 13.0%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신전 신체 질량지수는 21.2±3.2 kg/m2, 21.4±3.0 kg/m2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임신중 평균 체중 증가양은 11.5±5.1kg, 12.9±4.3 kg으로 대조군에 비해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1, Table 1).

각 군에서 하나 이상의 위험인자를 지닌 경우는

11.6%, 16.1%의 분포를 보여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1).

Table 1. Demographic and obstetrical characteristics 50 gm nl.

(N=467)

100 gm nl.

(N=423) Age (years)

≥30 years

≥35 years Gravida Para

Prepregnant BMI(Kg/m2)*

<19 (wasted) 19-25 (normal) 26-30 (overweight) 30 (obesity)

Wt. gain during pregnancy (Kg) Risk factors+

Family Hx, of DM Previous macrosomia or

congenital anomaly infant Hx.

Unexplained fetal loss or recurrent pregnancy loss Hypertension Hx.

Glucosuria Total risk factor

29.8±3.6 230 (49.3%)

50 (10.7%) 2.3±1.3 0.6±0.7 21.2±3.2 116 (24.8%) 309 (66.2%) 33 (7.1%) 9 (1.9%) 11.5±5.1 24 (5.1%) 6 (1.3%) 22 (4.7%) 2 (0.4%) 0 (0.0%) 54 (11.6%)

29.8±3.6 204 (48.2%)

55 (13.0%) 2.5±1.4 0.6±0.7 21.4±3.0 86 (20.3%) 304 (71.9%) 29 (6.9%) 4 (0.9%) 12.9±4.3*

28 (6.6%) 6 (1.4%) 31 (7.3%) 3 (0.7%) 0 (0.0%) 68 (16.1%) nl.: normal BMI: body mass index Wt.: weight Hx.: history DM: diabetes mellitus

*p: <0.01 ; chi-square test

2. 모성 합병증

양수과다증의 빈도는 각 군에서 0.6%, 0.5%이었고 양 수과소증의 빈도는 각 군에서 1.1%, 1.7%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간전증의 빈도도 1.5%, 1.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두골반불균형 또는 진행장애로 제왕절개분만을 시행한 빈도는 7.7%, 9.0%이었고, 태아 곤란증으로 제왕절개분만을 시행한 경우는 3.4%, 2.6%

로 나타나 각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불 량한 모성 예후는 양 군에서 15.6%, 18.7%의 빈도를 보 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2).

Table 2. Maternal outcomes

50 gm nl.

(N=467)

100 gm nl.

(N=423) Hydramnios

Oligohydramnios Preeclampsia

Indications of cesarean section CPD or failure to progress fetal distress

Poor maternal outcome

3 (0.6%) 5 (1.1%) 7 (1.5%) 36 (7.7%) 16 (3.4%) 67 (14.3%)

2 (0.5%) 7 (1.7%) 13 (3.1%) 38 (9.0%) 11 (2.6%) 71 (16.9%) CPD: cephalopelvic disproportion

p: Not significant; chi-square test

(4)

3. 신생아 합병증

분만시 임신주수는 38.7±1.5주, 38.5±1.5주로 각 군에 서 차이가 없었고, 37주 이전의 조기분만의 빈도 역시 각 군에서 6.2%, 7.4%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생시 신생아의 평균 체중은 3189.2±420.9 gm, 3236.7±

423.1 gm으로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4 kg 이상인 거 대아의 빈도는 3.0%, 2.4%로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LGA의 출생비율도 4.5%, 5.0%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GA의 출생 비율도 0.2%, 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생아에서 7미만의 낮은 5분 Apgar치의 빈도는 각 군 에서 차이가 없었다. 고빌리루빈혈증은 0.4%, 0.7%, 저혈 당증은 0.0%, 0.2%, 선천성 기형은 0.6%, 0.7%, 호흡 곤 란증후군으로 인한 신생아의 중환자실 입원은 2.4%, 3.8%, 주산기 사망은 각각 0.4%, 0.2%의 빈도를 보였다.

불량한 신생아 예후의 빈도는 3.9%, 5.7%로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3).

Table 3. Neonatal outcomes

50 gm nl.

(N=467)

100 gm nl.

(N=423) Gestational Age

at birth (weeks)

< 37 weeks Birth weight (gm) Giant baby (≥4 Kg) LGA

SGA

Shoulder dystocia Apgar score

1 min. < 7 5 min. < 7 Neonataloutcomes

Hyperbilirubinemia Hypoglycemia Congenital anomaly NICU admission Perinatal mortality Poor neonatal outcome

38.7±1.5 29 (6.2%) 3189.2±420.9

14 (3.0%) 21 (5.0%) 25 (5.4%) 1 (0.2%) 9 (1.9%) 3 (0.6%) 2 (0.4%) 0 (0.0%) 3 (0.6%) 11 (2.4%) 2 (0.4%) 18 (3.9%)

38.5±1.5 38 (7.4%) 3236.7±423.1

10 (2.4%) 21 (4.5%) 18 (4.3%) 1 (0.2%) 11 (2.6%) 5 (1.2%) 3 (0.7%) 1 (0.2%) 3 (0.7%) 16 (3.8%) 1 (0.2%) 24 (5.7%) min.: minute Wt.: weight NICU: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LGA: large for gestational age SGA: small for gestational age p: Not significant; Student's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고 찰

많은 연구에서 임신 중 당내성의 소변화 (minor degrees of glucose intolerance, MDGI)가 과도한 태아성장을 초래 하여 LGA 신생아의 출생 비율을 높임으로써 불량한 주 산기 예후와 관련된다고 하였다.1 1, 12, 14 - 16,2 1 임신 중 당대 사의 중간적인 이상 상태라고 할 수 있는 이런 상황은

NDDG 진단기준을 적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Carpenter 와 Coustan의 기준치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소견 을 보이고 있다. Leikin 등은 NDDG 진단기준을 근거로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비정상을 보였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이 거나 또는 하나의 비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인 연구군과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정상을 보인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연구군에서 거대아의 빈도가 높다고 하 였다.12 또한 Bonomo 등은 Carpenter와 Coustan의 기준치 를 근거로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비정상이었 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정상 혈장 혈당치 또 는 하나의 비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인 연구군과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정상을 보인 대조군을 비교 하였을 때 제왕절개분만 및 거대아의 빈도는 차이를 보 이지 않으나 LGA의 빈도가 연구군에서 높다고 하였 다.10 본 연구에서는 NDDG 진단기준을 근거로 50 gm 경 구 당부하 선별검사결과는 비정상이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4개의 측정치 모두가 정상을 보였던 경 우만을 연구군으로 설정하여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 사에서 정상을 보인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거대아, LGA 및 아두골반불균형이나 태아곤란증으로 인한 제왕 절개분만 등의 빈도가 양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 존의 보고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인종의 차이나, 연구군의 선정 및 진단기준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 로 생각된다.

거대아의 분만이 동반된 임신은 산모와 태아의 이환 율을 증가시킨다.3 ,22 거대아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산모 의 연령,2 3비만,2 2,23 -25산과력,2 3 임신주수23,24 및 인종2 4 등 이 있으며, 임신시 거대아와 가장 흔히 관련된 내과적 합병증은 당뇨이다.26

본 연구에서는 MDGI를 동반한 임신에서 신생아 합병 증 및 모성 합병증이 증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MDGI 중에서도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상 비정상 이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정상 혈장 혈당치 를 보인 경우만을 연구군으로 설정하여 50 gm 경구 당 부하 선별검사상 정상인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거 대아의 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인 산모의 연 령, 임신주수, 산과력, BMI 26 이상으로 정의한 비만 등 에서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군을 대상으 로 하였기 때문에 거대아의 빈도가 양 군간에 유의한 차 이가 없음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었다.

모성 고혈당증은 태아의 고혈당증을 유발하여 태아 고인슐린증을 초래하며, 이것이 글리코겐합성과 지방분 해를 촉진시키고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거대아 의 기전이 된다.2 6 또한 모성 고혈당증은 폐 및 태반의 성숙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7-29

모성 합병증 중 자간전증의 빈도는 각 군에서 차이를

(5)

보이지 않았다. 자간전증과 당뇨와의 관련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30,3 1 MDGI와 자간전증의 관련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Tallarigo 등과 Lindsay 등은 MDGI의 영 역중에서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4개의 측정치 중 하나만이 비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인 경우나 2시간 후에 측정한 혈장 혈당치가 120 mg/dL에서 164 mg/dL 사이를 보인 경우 자간전증의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11,32 본원에서의 이전의 보고에 의하면 4개의 측정치중 어느 하나만이 이상을 보이는 경우 정상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었다.33 한편 본 연구에서 아두골반불균형이나 태아 곤란증 등으로 인한 제왕절개분만의 빈도는 양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존의 보고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연구군 설정, 인종의 차이 및 LGA의 빈도가 낮았 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인자로는 당뇨병의 가족력, 이전 임신에서의 거대아나 선천성 기형아의 출산, 원인불명의 유산, 고혈압, 비만 등이 있으며 이중 하나 이상의 위험 인자를 갖는 경우는 연구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에 대한 위험인자를 고려 하지 않은 일반 산모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MDGI에 대 한 대조군으로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정상으 로 판정된 산모들을 선택하여 가능한 bias를 줄였다.

임신 중 당대사의 항상성을 고려하면 당대사의 분류 를 정상 당대사와 임신성 당뇨병으로만 분리하는 방법 은 더 이상 합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고, 정상 당대사와 임신성 당뇨병의 중간 부분에 MDGI를 도입하는 연속적 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겠다. 이러한 MDGI를 세 영역 으로 분류할 때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비정 상을 보이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정상 혈장 혈당치를 보인 경우는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 이 정상 당대사에 가까운 분야로 간주하여 관리하고,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하나만의 비정상 혈장 혈 당치를 보인 경우나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2시간 후에 측정한 혈장 혈당치가 120 mg/dL에서 164 mg/dL사 이를 보이는 경우는 여러 보고에서 제시한 것처럼 불량 한 예후를 보일 수 있으므로 임신성 당뇨병에 가까운 분 야로 간주하여 관리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또 한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의 혈장 혈당농도를 기준의 NDDG 기준치보다 낮은 Carpenter와 Coustan의 기준치를 채택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MDGI가 어떤 결과를 보일지는 대규모 대상군을 상대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결론적으로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비정상 을 보이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정상 혈당치 를 보인 임신은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정상 을 보인 임신과 비교하여 임신의 경과 및 주산기 예후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참고문헌 -

1. Panel chairpersons: Summary and recommendation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workshop-conference o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1985; 34(suppl 2): 123-6.

2. Freinkel N, Metzger BE, Phelps RL, Dooley SL, Ogata ES, Radvany RM, et al.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Heterogeneity of maternal age, weight, insulin secretion, HLA antigens, and islet cell antibodies and the impact of maternal metabolism on pancreatic B-cell and somatic development in the offspring. Diabetes 1985; 34 (Suppl 2): 1-7.

3. Gabbe SG, Mestman JH, Freeman RK, Anderson GV, Lowensohn RI.

Management and outcome of class A diabetes mellitus. Am J Obstet Gynecol 1977; 127: 465-9.

4. Coustan DR, Imarah J. Prophylactic insulin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reduces the incidence of macrosomia, operative delivery, and birth trauma. Am J Obstet Gynecol 1984; 150: 836-42.

5. Kitzmiller JL, Cloherty JP, Younger MD, Tabatabaii A, Rothchild SB, Sosenko I, et al. Diabetic pregnancy and perinatal morbidity. Am J Obstet Gynecol 1978; 131: 560-80.

6. Widness JA, Cowett RM, Coustan DR, Carpenter MW, Oh W. Neonatal morbidities in infants of mothers with glucose intolerance in pregnancy.

Diabetes 1985; 34(Suppl 2): 61-5.

7. O'Sullivan JB, Mahan CM, Charles D, Dandrow RV. Medical treatment of the gestational diabetic. Obstet Gynecol 1974; 43(6): 817-21.

8. Petitt DJ, Bennett PH, Knowler WC, Baird HR, Aleck KA.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during pregnancy.

Long-term effects on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in the offspring.

Diabetes 1985; 34(Suppl 2): 119-22.

9. Metzger BE, Coustan DR. Summary and recommendation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Workshop-Conference o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Organizing Committee. Diabetes Care. 1998; 21(Suppl 2): B161-7.

10. Bonomo M, Gandini ML, Farina A, Bonfadini E, Pisoni MP, Prudenziati A, et al. Should we treat minor degrees of glucose intolerance in pregnancy? Ann Ist Super Sanita 1997; 33(3): 393-7.

11. Tallarigo L, Giampietro O, Penno G, Miccoli R, Gregori G, Navalesi R.

Relation of glucose tolerance to complications of pregnancy in nondiabetic women. N Engl J Med 1986; 315(16): 989-92.

12. Leikin EL, Jenkins JH, Pomerantz GA, Klein L. Abnormal glucose screening tests in pregnancy: a risk factor for fetal macrosomia. Obstet Gynecol 1987; 69(4): 570-3.

13. 한기수, 양성천, 김행수, 양정인, 이희종, 임재현 등. 100 gm 경구 당 부하검사결과 하나만 비정상을 보인 임신의 양상. 대한산부회지 2001; 44: 인쇄중.

14. Langer O, Brustman L, Anyaegbunam A, Mazze R. The significance of one abnormal glucose tolerance test value on adverse outcome in pregnancy. Am J Obstet Gynecol 1987; 157: 758-63.

15. Berkus MD, Langer O. Glucose tolerance test: degree of glucose abnormality correlates with neonatal outcome. Obstet Gynecol 1993; 81:

344-8.

16. Sermer M, Naylor CD, Gare DJ, Kenshole AB, Ritchie JW, Farine D, et al. Impact of increasing carbohydrate intolerance on maternal-fetal outcomes in 3637 women without gestational diabetes. The Toronto Tri-Hospital Gestational Diabetes Project. Am J Obstet Gynecol 1995;

173: 146-56.

17.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other categories of glucose intolerance. Diabetes 1979; 28:

1039-57.

18. Moore TR, Cayle JE. The amniotic fluid index in normal human pregnancy. Am J Obstet Gynecol 1990; 162: 1168-73.

19. Alexander GR, Himes JH, Kaufman RB, Mor J, Kogan M. A United States national reference for fetal growth. Obstet Gynecol 1996; 87: 163-8.

20. Doubilet PM, Benson CB, Nadel AS, Ringer SA. Improved birth weight table for neonates developed from gestations dated by early ultrasonography.

J Ultrasound Med 1997; 16: 241-9.

21. Amankwah KS, Prentice RL, Fleury FJ.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Obstet Gynecol 1977; 49: 497-8.

22. Modanlou HD, Dorchester WL, Thorosian A, Freeman RK. Macrosomia:

maternal, fetal, and neonatal implications. Obstet Gynecol 1980; 55:

420-4.

23. Boyd ME, Usher RH, McLean FH. Fetal macrosomia: prediction, risks,

(6)

proposed management. Obstet Gynecol 1983; 61: 715-22.

24. Parks DG, Ziel HK. Macrosomia. A proposed indication for primary cesarean section. Obstet Gynecol 1978; 52: 407-9.

25. Edwards LE, Dickes WF, Alton IR, Hakanson EY. Pregnancy in the massively obese: course, outcome, and obesity prognosis of the infant.

Am J Obstet Gynecol 1978; 131: 479-83.

26. Hill DE. Effect of insulin on fetal growth. Semin Perinatol 1978; 2:

319-28.

27. Ludmir J, Alvarez JG, Landon MB, Gabbe SG, Mennuti MT, Touchstone JC. Amniotic fluid cholesteryl palmitate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diabetes mellitus. Obstet Gynecol 1988; 72(3 Pt 1): 360-2.

28. Ylinen K. High maternal levels of hemoglobin A1c associated with delayed fetal lung maturation in insulin-dependent diabetic pregnancies.

Acta Obstet Gynecol Scand 1987; 66: 263-6.

=국문초록=

목적 : 50 gm 경구 당부하검사상 비정상을 보여 시행한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정상을 보인 임신 과 50 gm 경구 당부하검사상 정상을 보인 임신의 양상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였다.

연구 방 법 : 임신 24-28주에 시행한 50 gm 경구 당부하검사상 혈장 혈당치가 130 mg/dL 이상이면 임신 28-32주에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다. NDDG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정상 혈당치를 보인 산모군 중 423명의 산모들을 연구군으로 분류하였고, 대조군은 5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혈장 혈당치가 130 mg/dL 미 만을 보인 산모군 중 4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도손상, 양수과다 및 과소증, 전자간증, 아두골반 불균형이나 진행장애 또는 태아곤란증에 의한 제왕절개분만 중의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불량한 모성 예후로 간주하 였고, 고빌리루빈혈증, 저혈당증, 선천성 기형, 신생아 호흡곤란증에 의한 신생아의 중환자실 입원, 주산기 사 망 중의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불량한 신생아 예후로 간주하여 양 군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후향적 분석 을 하였다. 통계학적인 검증은 Stu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및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연구군과 대조군 간의 인구학적 및 산과적 특성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만시 임 신주수 (38.7±1.5주, 38.5±1.5주), 출생시 신생아의 평균 체중 (3189.2±420.9 gm, 3236.7±423.1 gm)은 양 군간 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산 (6.2%, 7.4%), LGA (4.5%, 5.0%), IUGR (5.4%, 4.3%)의 빈도도 양 군간에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양 군간의 불량한 모성 예후 (15.6%, 18.7%) 및 불량한 신생아 예후 (3.9%, 5.7%) 의 빈도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상 비정상이지만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결과 정상 혈당치를 보인 임신은 50 gm 경구 당부하 선별검사에서 정상을 보인 임신과 비교하여 임신의 경과 및 주산기 예후가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중심단 어 : 정상 100gm 경구 당부하검사, 주산기 예후

29. Ojomo EO, Coustan DR. Absence of evidence of pulmonary maturity at amniocentesis in term infants of diabetic mothers. Am J Obstet Gynecol 1990; 163: 954-7.

30. Singh MM. Carbohydrate metabolism in pre-eclampsia. Br J Obstet Gynaecol 1976; 83: 124-31.

31. Long PA, Abell DA, Beischer NA. Importance of abnormal glucose tolerance (hypoglycaemia and hyperglycaemia) in the aetiology of pre-eclampsia. Lancet 1977; 1(8018): 923-5.

32. Lindsay MK, Graves W, Klein L. The relationship of one abnormal glucose tolerance test value and pregnancy complications. Obstet Gynecol 1989; 73: 103-6.

33. 이원종, 안성희, 김행수, 양정인, 김윤석, 오준환 등. 임신성 내당능 장 애 및 임신성 당뇨를 동반한 임신의 양상 및 주산기 예후. 대한산부 회지 2001; 44: 1033-9.

참조

관련 문서

∙ 고령화수준의 증가와 정부규모 재정지출 의 증가는 앞에서 법인세 부담률에는 모두 ( ) 유의적인 음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득세 부담률에 대해서는

아바타가 물건을 팔거나 일을 해서 벌어들인 린든 달러는 Lindex라는 가상 거래소에서 현실의 미국달 러로 환전할 수 있으며 미국달러를 내고 린든달러를 구입할 수도

혼합제를 사용하여도 천식 조 절이 되지 않는 경우 경구 약제인 류코트리엔 조절제 그리 고 (또는) 테오필린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류코트리엔은 효 과 면에서는

과학적 고찰의 중요한 성과는 과학적 고찰이 언급하고 있는 건강 또는 환경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과 GM 작물과 다른 작물과의 공존 등의 예와 같이 지식에

* AFI 제와 주위 4 등분 : 가장 큰 양수포켓은 수직 깊이 4 부분의 깊이를 합산함.

prednisone은 점차 감량하여 10 mg을, cyclophosphamide 는 계속 100 mg 투여 중이었다. 의식은 명료하였고 결막은 창백하지 않았다. 심음은 정상 소견 이었으나 노력성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중증 여드름 치료에 사용하는 경구 약제인 Isotretinoin 단일제 (본원 해당약품 : 로아쿠탄연질 캅셀10mg) 에 대한 안전성 서한을 발표하였다.

FDA는 경구 Ketoconazole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정보가 나오는대로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