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모음의 분류 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모음의 분류 2"

Copied!
3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입을 벌려 발음한다는 것은 아래턱이나 혀를 내려 발음하는 것

/ㅏ/와 같은 모음

‘개모음(open vowel)’ 또는 ‘저모음(low vowel)’

입을 벌리지 않는다는 것은 턱이나 혀를 내리지 않고 발음하는 것

/ㅡ/와 같은 모음

‘폐모음(close vowel)’ 또는 ‘고모음(high vowel)’

모음의 높이(high/low dimension)

1

(2)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높이(high/low dimension)

1

<고모음 i> <저모음 a>

(3)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높이는 모음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

모든 언어는 높이에 따른 모음의 차이를 두고 있음

모음이 2개만 있는 언어: 100% 높이에 따른 분류, 모음이 많은 언어일수록 고모음과 저모음의 중간 단계에 놓이는 모음이 생김

3단계인 언어(고모음-중모음-저모음): 한국어, 일본어 등

4단계인 언어(고모음-중고모음-중저모음-저모음): 네덜란드어

5단계(고모음-중고모음-중모음-중저모음-저모음)인 언어도 존재

가장 중요한 분류로 가장 세밀하게 나누어짐(IPA: 7단계)

모음의 높이(high/low dimension)

1

(4)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높이(high/low dimension)

1

높이 앞뒤 전설 후설

고모음

i u

중고모음

e o

중저모음

ɛ ɔ

저모음

a ɑ

[표] 높이에 따른 모음의 분류

(5)

1 생각해 봅시다 4

 한국어를 포함하여 5개의 언어의 모음을 높이에 따라 분류해 보자.

고모음 ⇓

ㅣ ㅡ ㅜ

중모음 ㅔ ㅓ ㅗ

저모음 ㅐ ㅏ

예: 높이에 따른 한국어 모음 분류

(6)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2

 모음 분류의 가로축

 자음에서의 조음위치와 맥을 같이 함

• 입천장에 가까이 가는 혀의 위치를 따라 전설모음(front vowel)

후설모음(back vowel)으로 나누고 필요에 따라 중설모음

(central vowel)을 추가하기도 한다.

(7)

① 혀끝 또는 설첨

② 혓날 또는 설단

③ 전설

④ 중설

⑤ 후설

⑥ 혀뿌리 또는 설근

[그림4] 혀의 위치에 따른 명칭 (허용·김선정 2005)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2

(8)

[그림5] 전설모음 [그림6] 후설모음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2

 후설모음

후설 부분이 올라가 발음되는 모음

 전설모음

전설 부분이 입천장 쪽으로 올라가 발음되 는 모음

(MacKay 1987)

(9)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2

 중설모음

• 중설 부분이 올라가 발음되는 모음.

• 많은 언어에서는 전설과 후설의 두 가지 대립으로 나타남

[이유]

 소리의 구분은 분명할수록 좋음

 대부분의 언어는 모음을 7개 이하로 가지고 있어 전설과 후설의

2분법 대립이면 충분하기 때문.

(10)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2

앞뒤 높이

전설 후설

⇒ ⇒

고모음

i u

중고모음

e o

중저모음

ɛ ɔ

저모음

a ɑ

[표] 높이에 따른 모음의 분류

(11)

1 생각해 봅시다 5

 한국어를 포함하여 5개의 언어의 모음을 혀의 앞뒤 위치에 따라 분류해 보자.

예: 앞뒤 위치에 따른 한국어 모음 분류

전설모음 후설모음

⇒ ⇒ ⇒

ㅡ / ㅜ

ㅓ / ㅗ

(12)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입술의 둥근 정도(degree of lip rounding)

3

 외관상 분명히 드러나는 기준

 ‘후, 호’ 또는 ‘부, 모’ 등의 모음 발음

• 입술이 동그래지고 앞으로 조금 튀어나옴

 ‘히, 제, 래, 가, 더, 느’ 등의 모음 발음

입술이 상대적으로 덜 동그래짐

 /

u o ɔ

/: 원순모음(rounded vowel)

 나머지 모음: 평순모음(unrounded vowel)

(13)

<표: 원순성에 따른 모음의 분류 >

평순모음 원순모음

⇒ ⇒ ⇒

i e ɛ a ɑ u o ɔ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입술의 둥근 정도(degree of lip rounding)

3

(14)

[표] 자연언어 모음의 분류 원순성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i y ɯ u

중고모음

e ø ɤ o

중저모음

ɛ œ ʌ ɔ

저모음

a Œ ɑ ɒ

혀의 위치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3

모음의 높이

1

혀의 앞뒤 위치

2

입술의 둥근 정도

(15)

2.3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분류

2

(16)

원순성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ㅣ(i) ㅡ (ɨ, ɯ) ㅜ (u) 중모음 ㅔ(e) ㅓ (ə, ʌ) ㅗ (o) 저모음 ㅐ(æ) ㅏ (a, ɑ)

혀의위치

1 생각해 봅시다 6

 한국어를 포함하여 5개의 언어의 모 음을 위와 같은 표로 만들어 보자.

예: 한국어 모음 분류

(17)

1 생각해 봅시다 7

1) 여러분은 /ㅔ/와 /ㅐ/를 구별하여 발음하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위의 모음 분류표를 어떻게 수정하는 것이 좋을까?

2) 한국어 단모음은 <표준발음법>과 현실 발음에

서 각각 몇 개로 나타나는가?

(18)

2.4 각 모음의 명칭 1 모음의 분류

2

1 i 전설+평순+고모음 2 e 전설+평순+중모음

3 ɛ 4 a

5 u 6 o

7 8

(19)

2.5 다른 분류 기준 1 모음의 분류

 자연언어의 모음 중에는 세 가지 기준 외에 다른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모음들이 있음

1) 모음의 길이(vowel length)에 따라 : 단모음(短母音)과 장모음의 구별

2) 발화하는 동안의 모음 음질의 균질성 여부에 따라:

단모음(單母音, monophthong 단순모음)과 이중모음 (diphthong)의 구별

3) 코를 이용하여 발음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구강모음과 모음(nasal vowel)의 구별

➤ 이들은 각각 해당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국어의 경 우는 비모음은 없고 장모음과 이중모음은 존재한다.

2

(20)

2.5 다른 분류 기준 1 모음의 분류

1) 장모음

2

 언어에 따라 장단이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 모음의 길이와 관련된 두 가지 문제

① 모든 모음이 장단의 대립이 있는지의 여부

② 장단의 모음이 똑 같은 소리값을 갖는지의 여부

(21)

1 모음의 분류

2

영어의 경우는 길이의 차이가 소리의 차이를 동반한다. 예를 들어,

‘sit’와 ‘seat’의 두 모음은 혀의 높이와 전후에서 차이가 나서 장모음 인 ‘seat’가 단모음인 ‘sit’보다 더 높고 더 앞에서 발음된다. 이런 이 유로 영어에서는 이 두 모음을 각각 [i:]와 [ɪ]로 구별하여 표기한다.

장단이 소리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소리의 차이가 장단을 가져오는 지는 학자에 따라 견해가 다르다.

2.5 다른 분류 기준

(22)

2.5 다른 분류 기준 1 모음의 분류

2

(monophthong)

조음 시 동질의 음가(qualitatively the same)를 갖는 모음 (예) ㅏ ㅗ keep shoe

(diphthong)

조음 시 음질의 변화(change in quality)를 갖는 모음 (예) ㅕ ㅝ boy cow

단모음

이중모음

모든 언어는 단모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중모음은 선택적이다.

2) 이중모음

(23)

2.5 다른 분류 기준 1 모음의 분류

2) 이중모음

2

 이중모음: 소리값의 변화 & 한 음절 안에 있는 모음

• ‘아우’와 같은 경우도 모음의 소리값이 바뀌고 조음점의 이동도 일어나지만 두 모음이 다른 음절에 속해 있어 이 중모음이라 하지 않는다.

⇒ 한 음절 내에 존재하는 두 개의 다른 모음(예: 권, 벼)

(24)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1 모음의 수에 따른 보편성

 5~7모음이 가장 보편적

언어수

24 36 131 91 74 24 41 30 451

%

5.3 8.0 29.0 20.2 16.4 5.3 9.1 6.7 100

모음수

3 4 5 6 7 8 9 10+

(25)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2 모음의 수에 따른 모음 구성의 보편성

모음수 구성 %

3모음체계 P3(a i u) 82.6

4모음체계 P3(a i u) + 1(e ə 등) 66.6 5모음 체계

A P5(a i u e o)

91.3

B P5(a i u ɛ ɔ)

6모음체계 P5(a i u e o(또는 ɛ ɔ)) + 1

95.4

7모음 체계

A p7(a i u e o ɛ ɔ)

87.5

B P5(a i u e o(또는 ɛ ɔ)) + 2

(26)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2 모음의 수에 따른 모음 구성의 보편성

1) 3모음체계(/a, i, u/)의 모음 공간에서의 위치 a. 위치

i u

a

(27)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2 모음의 수에 따른 모음 구성의 보편성

1) 3모음체계(/a, i, u/)의 모음 공간에서의 위치 b. 영역

 모음은 점으로만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 사람들마 다의 조음위치가 조금씩 다르더라도 같은 소리로 듣기 때문

 따라서 모음을 영역으로 나타낼 수도 있음

i u

a

 이 [그림]은 3모음 체계에서 모음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하 는 것

 이 영역에서 발음되는 말소리

들이 각각 /a, i, u/

(28)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2 모음의 수에 따른 모음 구성의 보편성

2) 5모음체계의 모음 공간에서의 위치 a. Type A

a

e o

b. Type B

i u

a

ɛ ɔ

i u

(29)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2 모음의 수에 따른 모음 구성의 보편성

2) 5모음체계의 모음 공간에서의 위치 c. 모음 영역

i u

a

e/ɛ o/ɔ

(30)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2 모음의 수에 따른 모음 구성의 보편성

3) 7모음체계의 모음 공간에서의 위치 a. Type A

원순성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i u

중고모음 e o

중저모음 ɛ ɔ

저모음 a /ɑ

혀의 위치

(31)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2 모음의 수에 따른 모음 구성의 보편성

3) 7모음체계의 모음 공간에서의 위치 b. Type B

원순성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i

ɨ(ㅡ )

u

중모음

e/ ɛ

ə(ㅓ)

o/ ɔ

저모음

a /ɑ

혀의 위치

(32)

1 생각해 봅시다 8

 한국어를 포함하여 5개의 언어의 모음체

계의 보편성에 대해 말해 보자.

(33)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3 자연언어 모음체계 구성에 나타나는 특징

1) 단계적 구성:

“Languages build up their phonologies in an ordered fashion.”

+ γ δ + α β

+ e/ɛ o/ɔ a i u

9모음

7모음 5모음 3모음

(34)

1 모음체계의 보편성

3

3.3 자연언어 모음체계 구성에 나타나는 특징

2) <주변부 모음 ⇒ 중앙부 모음>으로의 확장

원순성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i u

중모음

e/ ɛ o/ ɔ

저모음

a /ɑ

혀의 위치

3) 대칭성

자연언어는 가능한 한 전설과 후설의 모음 수를 같이 가지

려는 경향이 많다.

(35)

1 생각해 봅시다 9

 한국어를 포함하여 5개의 언어의 모음체계의

이와 같은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자.

(36)

자연언어의 자음체계의 보편성, 모음, 모음공간, 기 본모음, 단모음, 이중모음, 모음 분류 기준, 모음의 높이, 모음의 앞뒤 위치, 원순성,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자연언어의 모음체계의 보편성, 단계적 구성(3모음 체계 등), 주변부 모음, 중앙부 모음, 대칭성

주요 개념 및 용어

4 1

(37)

• 강옥미(2011),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 김진호(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개정판), 박이정.

• 박시균(2013), 「한국어 음성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 배주채(2013),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 신지영(2011),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 교양.

• 이진호(2014), 「국어음운론강의」, 삼경문화사.

• 허용·김선정(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 박이정.

• 허용(2010), “자음체계 대조 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언어과학」, 언어과학회.

• 허용(2010), “자음의 보편성과 음성적 유표성의 상관관계 연구: 장애음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 허용(2011), “한국어 자음체계의 유형적 보편성 연구”,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 Bauman-Waengler, J.(2008), Introduction to Phonetics and Phonology: From Concepts to Transcription, Pearson.

• Carr, P.(2013), English Phonetics and Phonology(2nd edition), Willy-Blackwell.

• Collins, B. & I. Mees(2013), Practical Phonetics and Phonology(3rd edition), Routledge.

• Davenport, M. & S. J. Hannahs(2010), Introducing Phonetics and Phonology(3rd edition), Hodder Education.

• Gussenhoven, C. & H. Jacobs(2011), Understanding Phonology(3rd edition), Hodder Education.

• Hayes, B.(2009), Introductory Phonology, Willy-Blackwell.

• Ladefoged, P.(2006), Vowels and Consonants, Blackwell.

• Ladefoged, P. & K. Johnson(2014), A Course in Phonetics(7th edition), Cengage Learning.

• Mackay, I. R. A.(1987), Phonetics: the Science of Speech Production(2nd edition), Allyn and Bacon.

• Odden, D.(2013), Introducing Phonology(2nd edition), CUP.

• O’grady, G(2013), Key Concepts in Phonetics and Phonology. Palgrave Macmillan.

• Zsiga, E. C.(2013), The sounds of Language: An Introduction to Phonetics and Phonology, Willy-Blackwell.

1 참고문헌

(38)

4주차.

음성학과 음운론:

자음과 모음의 체계

(39)

1 형성평가

1. 자음과 모음의 차이를 음성적인 관점과 음운적인 관점에서 설명해 보자.

2. 모음의 분류 기준 세 가지는 무엇인가?

3. 자연언어의 보편적인 자음체계와 모음체계에 대

해 말해보자.

참조

관련 문서

이처럼 퇴치 소리에 대한 조류의 반응에 따라 동적으로 퇴치 소리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소리들을 이용하여 최대한 적응을 방지할 수 있을

소리의 구성요소 중 소리의 색깔을 나타내는 음색은 사람마다 다른

[r]

마이크 외부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 가속도 센서 속력을 감지하는 센서.. 자이로 센서 각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 압력 센서

축구선수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각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소속 에 따라 지도자유형의 하위요인인 결단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리가 나오고 있는 스피커, 이어폰 등의 내부 보여주기. -소리의

소리가 반사되는 현상은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는데 단단하고 넓은 물체 앞에서 소리를 크게 지르면 소리가 반사되어 들리지만 가까운 곳에서 반사되는 소리는

 영상에서 효과음이나 음악이 필요하다 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으면 말해봅시다... 소리의 세기와 높낮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