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민화 화조도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보석 장신구 디자인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민화 화조도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보석 장신구 디자인 연구"

Copied!
5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 학위 논문

민화 화조도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보석 장신구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주얼리 디자인 전공

김 주 연

2006

(2)

석사 학위 논문

민화 화조도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보석 장신구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주얼리 디자인 전공

김 주 연

2006

(3)

민화 화조도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보석 장신구 디자인 연구

지도교수 김 승 희

이 논문을 디자인학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7년 월 일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주얼리 디자인 전공

김 주 연

2006

(4)

김주연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2007년 월 일

심사위원장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5)

국 국 국

국 문 문 문 문 요 요 요 약 요 약 약 약

여인들의 주거공간을 장식해주던 화조도의 이미지를 주제로 한 보석장신구를 통하여 현대 여성들이 우리 민족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화조도의 중요한 주제였던 꽃과 부부의 금슬을 나타내는 한 쌍의 새를 주제로 하여 현대 의상에 어울리며 어느 장소에서도 연출 할 수 있는 보석 장신구를 디자인하였다.

민화는 “민속회화” 또는 “겨레그림”이라고도 불리는 우리 민족 생활 속의 그림으로, 특별한 미적 감각이나 깊은 공부 없이도 살아 가면서 접하고, 그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던 그림으로, 작가와 감상 자가 일대 일로 교류하는 정통 회화와 달리, 민화는 그림을 통해 대 중을 상대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대중성 있는 그림이라 할 수 있다.

화조도는 민화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대중으로부터 사랑 받았음을 알려준다. 자연의 한 부분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모습으 로 보는 이로 하여금 마치 그 장소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을 전하며, 삶의 복락과 부부간의 화합을 표현한 화조도는 길상화로서 병풍이 나 족자로 꾸며져 신랑신부의 신혼방이나, 부인들 안방의 장식용으 로 써왔다.

현재에도 예술품으로서 민화를 그리는 작가들이 있고, 민화를 민예, 공예품으로 활용한 상품들도 볼 수 있다. 다른 작가들의 예술 작품에서도 민화 화조도를 느낄 수 있지만 보석 장신구로 표현된 화조도는 만나보기 어렵다. 우리 나라 보석 시장은 국내에서 개발된 브랜드 회사 제품이 많아지기도 했지만 해외 수입 브랜드들의 유입 으로 무척 다양해지고 있다. 현대 유행을 따르면서도 우리만의 색을 가진 보석 장신구를 만들어내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생각된다. 우 리 고유의 문화를 반영하면서도 현대인이 거부감 없이 무의식중에 녹아들 수 있는 디자인을 선보여야 하겠다.

여인들의 주거공간을 장식해주던 화조도의 이미지를 주제로 한 보석장신구를 통하여 현대 여성들에게 우리 민족의 아름다움을 느

(6)

낄 수 있도록 화조도의 중요한 주제였던 꽃과 부부의 금슬을 나타 내는 한쌍의 새를 주제로 하여 현대 의상에 어울리며 어느 장소에 서도 연출 할 수 있는 보석 장신구를 디자인하였다. 연구 작품은 18K 골드와 실버로 제작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다른 색으로 도금하 여 다채로움을 더하였다. 다양한 보석을 사용하여 다채로운 꽃의 색 들을 표현해보았다. 보석으로 그린 화조도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도 록 디자인하였다.

자연의 일부인 아름다운 꽃들과 암수 한 쌍이 등장하는 새를 통해 부부간의 화합과 가족의 사랑을 기원했다. 뿐만 아니라 등장하 는 새와 꽃에 따라 의미하는 뜻이 달라져, 사람들의 소망과 꿈을 표 현했다. 아름다운 모습으로 우리 가옥을 장식해주던 그림이 이제 장 신구의 형태로 현대 여성들을 장식할 수 있도록 작업해보았다. 그림 들이 의미하던 많은 상징들이 본 연구를 통해 탄생한 장신구를 통 해 사람들의 마음에 전달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7)

목 목 목

목 차 차 차 차

국문요약 국문요약 국문요약 국문요약

I . I . I .

I . 서서서서 론론론론 … … … 1 1 1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II.

II.

II.

II. 이론적이론적이론적이론적 배경배경배경 ……… 3배경 3 3 3 1. 민화의 의미 ……… 3 2. 민화의 특징 ……… 4 3. 화조도의 특징과 의미 ……… 10

III.

III.

III.

III. 현재현재현재 우리나라현재 우리나라우리나라우리나라 민화민화민화 화조도와민화 화조도와 보석화조도와화조도와 보석보석 장신구보석 장신구장신구장신구 ……… 17 17 17 17 1. 민화 화조도의 현재 모습 ……… 17 2. 보석 장신구 시장의 특징 ……… 23

IV

IV IV

IV. . . 화조도를. 화조도를화조도를화조도를 이미지로이미지로이미지로이미지로 한한한 보석한 보석 장신구보석보석 장신구장신구장신구 디자인디자인디자인디자인 연구연구연구 ……… 28연구 28 28 28 1. 작품 설명 ………..……… 28

V.

V.

V.

V. 결결결 론결 론론 ………. 44론 . 44. 44. 44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Ab Ab Ab

Abstractstractstract stract

(8)

I.

I.

I.

I. 서 서 서 서 론 론 론 론

1.

1.1.

1. 연구연구 목적연구연구 목적목적목적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여성들에게 장신구의 역할은 무궁무진하다. 이제는 더 이상 신분계급을 나타내는 징표로 사용되지 않지만, 개개인의 성품이나 취향, 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의상과의 적절한 조화를 이룬다면 하나의 장신구로도 여러 가지 모습을 연출할 수 있어 여성들의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치품이다.

회색건물 안에서 하루를 보내고 회색건물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현대 도시 여성들에게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면서 한편으로 자연을 느끼고 생활에 활력소가 될 수 있는 보석 장신구를 디자인, 제작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하겠다.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해 왔고 쉽게 접할 수 있었던 생활 속의 그림인 민화, 그 중에서도 여인들의 주거공간을 장식해주었던 화조도의 이미지를 주제로 디자인하고 제작한 보석 장신구를 통하여 현대 여성들에게 우리 민족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 동안 보석 장신구 디자인 업무를 하면서 상품을 위한 디자인만을 하다보니, 많은 아쉬움이 있었다. 차근차근 의미를 두고 깊이 있는 디자인을 할 기회보다는 시장에서 요구하는 뿌리 없는 디자인들을 선보일 기회가 더 많았다. 보석 장신구를 통해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사람으로서 유행이나 시장의 요구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이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 고유의 미를 놓치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우리 민화 화조도를 주제로 한 디자인의 보석 장신구를 선보여 또 다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고자 한다.

생활 속의 한 공간을 차지하여 제사나 혼례 등의 행사에서, 부인들의 방 등에서 생활공간을 장식해주었던 민화가 주거공간에서 나아가 장신구의 형태로 다시 거듭나서 여성 자신을 돋보이게

(9)

2.

2. 2.

2. 연구연구연구 내용연구 내용내용내용 및및및및 방법방법방법방법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화조도의 주요한 주제였던 꽃과 부부의 금슬을 나타내는 한 쌍의 새를 주제로 하여, 현대 의상에 어울리며 어느 장소에서도 연출할 수 있는 보석 장신구를 디자인하였다.

요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석 장신구들은 속칭 앤틱풍이라고 하며 18세기, 19세기 서양장신구 디자인을 모방한 제품들이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서구적인 의상으로 살아가게 되면서 우리 전통장신구를 그대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민중의 정신과 마음이 담겨있는 민화, 그 중에서 여성들의 공간을 장식했던 화조도를 주제로, 현대적인 형식의 보석 장신구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의상을 비롯한 패션분야에서 자연을 주제로 한 디자인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 영향을 받아 꽃으로 조각된 보석들이 많이 선보이고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연구 작품에서도 조각된 보석들도 사용하였고, 꽃과 새를 표현하기 위하여 귀금속과 다이아몬드, 다양한 크기의 유색 보석들도 사용하였다.

본론에서는 서민들의 생활 속에 자리하여 여러 가지 소망과 기원하는 마음을 표현했던 우리 민화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고, 민화의 한 분류인 화조도에 대해 더 알아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 시장의 보석 장신구의 특징과 디자인의 변화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귀금속인 금, 은과 보석으로 우리 민화 화조도를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다시 그린다는 개념으로 작업을 하였다. 재료로는 18K 금, 정은, 조각된 모패와 비취, 호박, 산호, 루비, 사파이어, 진주, 자수정, 커닐리언과 다이아몬드 등을 사용하였다.

(10)

II.

II.

II.

II.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배경 배경 배경 배경

1.

1.

1.

1. 민화의민화의민화의민화의 의미의미의미의미

민화는 “민속 회화” 또는 “겨레 그림”이라고도 불리는 우리 민족 생활 속의 그림으로, 특별한 미적감각이나 깊은 공부 없이도 살아가면서 접하고, 그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던 그림들이다.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는 그가 저술한 <조선의 민화>에서 “대체로 회화에는 정통 회화와 비정통회화의 두 흐름이 있다. 전자는 감상을 위해 그린 것이면 후자는 대부분 그림공부를 본격적으로 하지 못한 무명화가나 떠돌이 화가들이 그린 그림을 지칭하는 것이다. 전자는 감상을 위해 그린 것이면 후자는 실용성이 수반되는 그림이다. 전자는 같은 그림을 한 장 이상 그리지 않으나 후자는 똑 같은 것을 몇 장이나 반복해서 그렸다. 따라서 전자는 창조를 본질로 하고 후자는 서민들의 일상적인 생활양식이나 관습 등과 연관이 있는 것이 많다”고 적고 있다.1 민화는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 그림이며 그림에 표현된 작가의 심성을 읽다보면 넘치는 해학과 풍자가 한시대의 사회상을 그대로 그려내고 있음을 알게된다. 전통회화의 사군자나 수묵화처럼 격식을 차린 그림이 아닌 자유스러운 표현이기에 가슴에 와닿는 친근함이 더하는 우리의 그림이다.2

우리나라 민화는 현재 논의되는 미술사에서 큰 자리를 차지하지는 않지만, 민족의 가장 본질적인 의식과 정신문화가 담겨있는 그림이라 하겠다. 생활 속의 가구, 창문을 장식하는 그림으로, 또 병풍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인 가옥의 구조를 보완하고 장식하는 기능이 있었던 민화는 중요한 행사에는 병풍의 형태로 자리하였던 그림으로 현재에도 돌잔치나 조상을 기리는 제사에 사용되곤 한다.

1 윤열수, 민화이야기, 디자인하우스, 2006년,13~14쪽

(11)

민화의 독특한 색조화와 조형성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장신구를 만들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므로 민화에 대해 깊은 내용을 알아보기 보다는 대략적인 의미를 짚어보겠다.

2.

2.

2.

2. 민화의민화의민화의민화의 특징특징특징특징

장식적인 측면에서의 민화를 살펴보면 대표적인 것이 병풍의 형태이다(그림 1 ~ 그림 4). 전통 한옥의 생활공간에서 병풍은 기능성이 있는 장식품으로 외풍을 막아주고 보이기 싫은 것을 가려주는 동시에 방안 공간이 화려해 보일 수 있도록 치장해주는 꼭 필요한 세간이었다. 무거운 가구에 비해 이동도 쉬워서 여러 행사에도 사용해왔는데, 우리는 태어나서 첫 생일인 돌상을 병풍 앞에서, 혼례식과 회갑연도 병풍 앞에서 치렀고 세상을 떠나면 관에 들어가 병풍 뒤에 누워있었다. 이렇게 중요한 병풍에 그려졌던 그림들이 대부분 민화였다. 사랑방에는 책거리 그림(그림 8 ~ 그림 9)이, 안방에는 화조도(그림 5 ~ 그림 7), 어해도(그림 12)가 그려져 있었다. 민화는 주문자에 따라 내용을 달리하여 그리는 그림이었다.

실용성을 강조하는 민화는 그림에 나타나는 모든 것들에 상징성이 부여되어 있었다. 이 상징성을 통해 그 시대의 문화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고, 지역적인 특징도 볼 수 있으며, 상징성을 강조하는 그림이다보니 실제적으로 있을 법하지 않은 내용의 그림들도 볼 수 있었다. 민화에서 표현되는 이러한 상징성들은 사회전체에 의해 공유되기도 하지만 특수한 사회분류에서만 통용되는 것이기도 하고 개인적인 감수성에 의해 그 상징이 변질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징성이 민화만의 독특한 미술세계를 이루게 하며 민화의 아름다움과 해학 역시 이러한 상징적 표현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닐까 한다.3

3 윤열수, 민화이야기, 디자인하우스, 2006년, 25쪽

(12)

작가와 감상자가 일대 일로 교류하는 정통 회화와 달리, 민화는 그림을 통해 대중을 상대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대중성 있는 그림이라 할 수 있다. 민화는 서민대중의 마음을 표현하고 서로 같이 감상하고 즐겼던 그림으로 서민과 함께 생활하는 그림이었다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통회화의 화조도는 감상용 회화였지만, 민화로 정착되면서 음양화합의 남녀사랑을 기원하는 통속적인 형태로 변했다.

이우환씨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모두가 서로 다른 것을 갖겠다는 욕구보다는 같은 것, 비슷한 것을 같는다는데서 한층 더 기쁨을 느낀다. 결코 새로운 것, 낯선 것, 개성적인 것을 원치않고 즐거워 하지도 않는다. 모두가 동족이고 서로 닮았다는 데에서 안도감을 찾으며 서로의 생각이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될 때 감동한다”고 쓰고 있다.4 이런 이유로 민화는 ‘본’을 사용하여 같은 그림을 여러 장 그려낼 수 있었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더라도 충분히 그려낼 수 있어, 정통회화와는 사뭇 다른 구도와 색감으로 표현되어왔던 것이다. 그리하여 민화는 자유와 독특함, 기발한 표현기법, 천진스러움을 보여준다. 주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 상징성과 관념을 표현하여, 현실에 없는 것도 그려낸 경우가 있다. 화조도 중에 백로, 연밥이 있는 연과 갈대를 함께 그린 그림을 예로 들면, 백로는 여름에 우리나라에 머무는 철새이고 연밥은 여름이 지나야 무르익기 때문에 이 두 주제가 한 자리에 모인 그림은 자연의 이치에 맞지는 않는다. 다만 일로연과一路連科 라는 상징을 담아서 그렇게 그려진 것이다.

민화에서 보여지는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독특한 시점과 작법을 들 수 있다. 정통회화와 달리 한 가지 시점만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어서 각 주제별로 다른 시점을 보여두기도 하고, 앞모습과 옆모습을 동시에 보여주기도 하였다(그림 11). 자연과 나를 하나로 느끼고, 모든 존재에 일체화된 상호교감을 느꼈던 민초의 사고방식으로부터 나온

(13)

것이다.5 원근법이 없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민화에서 보여지는 강렬한 색상대비를 들 수 있다. 원색의 감각적 쾌감을 좋아했기에 가장 밝고 예쁜 색채를 사용하고자 하는 소박한 목적으로, 각각의 사물을 강약 없이 동등하게 표현하다 보니, 크기도 비슷하고 색도 비슷한 채도와 명도로 표현하여 어찌 보면 너무나도 강렬한 색상대비가 유치하고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기도 한다(그림 3). 셋째, 반복성을 들 수 있다. 같은 것을 반복하여 그려주어서 리듬감을 주기도 하고, 주술적인 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는 사람은 그림을 그리는 동안, 보는 사람은 그림을 감상하면서 리듬감을 느끼는 것이다. 또한 되풀이 그려지는 과정을 겪다보니, 입체적인 표현보다는 평면적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민화의 분류는 학자에 따라 다르게 분류되지만, 한국 민화 재발견에 선각자 역할을 하였으며 직접 수집한 민화로 에밀레 박물관을 세워 민화를 국내외에 널리 소개한 조자용은 민화의 내용을 상징별로 수壽, 쌍복雙福, 자복子福, 재복財福, 영복寧福, 녹복祿福, 덕복德福, 길상吉祥, 벽사僻祀, 민족民族등 열 가지로 나두고 또 이를 다시 화제별로 나누어 20항목으로 민화의 전반적인 종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6 그 스무 가지 종류는 다음과 같다.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 축수도, 영수화, 어해도, 초충도, 옥우화, 기용화, 인물화, 풍속화, 도석화, 기록화, 설화화, 도안화, 지도화, 혼성도, 춘화도. 본 논문에서는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화조도를 주제로 하였으므로 화조도에 대해서 간략하나마 더 알아보도록 하겠다.

5 임두빈, 민화란 무엇인가, 서문당, 1997년, 233쪽

6 윤열수, Korean Art Book 민화 I, 예경, 2005년, 10~11쪽

(14)

그림 1> 화조도, 병풍

그림 2> 산수도, 병풍

그림 3> 문자도, 병풍(일부) 그림 4> 화조도, 병풍(일부)

(15)

그림 5> 모란도 그림 6> 화조도

그림 7 > 초충도 그림 8> 책가도 그림 9> 책가도

(16)

그림 10 > 호랑이 그림 11> 호랑이

그림 12> 어해도 그림 13> 월토도구도

그림 14> 산수도 그림 15> 산수도

(17)

3 3 3

3. . . . 화조도화조도화조도화조도의의의 특징과의 특징과특징과특징과 의미의미의미의미

말 그대로 꽃과 새가 함께 있는 화조도는 민화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대중으로부터 사랑 받았음을 알려준다. 꽃과 새그림은 정통회화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민화에서도 자연의 한 부분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모습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마치 그 장소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을 전한다. 정통회화에서 화조도는 수량이 적어 귀족계층의 전유물이어서, 일반 민중들은 지니기 힘들었다.

이때 아마추어 화공들이 정통회화의 화조도와 비슷하게 모방하여 유포시켰고, 이렇게 베껴낸 그림들이 퍼져나가면서 상투적인 유형의 민화가 태어나게 되었고, 모방과정이 되풀이되면서 점점 도식화되고 화려하게 변해갔다.

정통회화에서의 꽃과 새그림(화조도)은 되풀이 그려지는 과정을 통하여 민화의 꽃과 새그림으로 변형이 되면서 그 주제의 성격이 상당히 변화되지 않을 수 없었다. 즉 주제의 의미가 통속적인 소망상징으로 변질되면서 음양화합의 남녀사랑을 기원하는 상징형 등으로 나타나든가 또는 애초의 사실적 표현보다 더욱 감각적이고 화려한 장식성을 띠고 그려지게 된다. 그리하여 급기야는 사실성을 배제한 감각적 장식성이 그림을 지배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7 이렇게 장식성과 실용성이라는 두 목적을 가지고 있는 화조도는 일정한 형식으로 주문 제작되고 화법이나 격을 따지기 보다는 상징이나 문양, 채색의 아름다움을 위주로 한 자유로운 그림이기도 하다.

화조도에 등장하는 꽃과 새의 조화로움과 행복한 모습에 담겨있는 상징성을 읽는 것도 중요한데, 부귀와 장수, 시험에서의 합격이나 벼슬의 승진에 대한 소망 등이 담겨있으며, 부부의 일평생의 금슬, 사람 사이의 경사, 좋은 관계를 지속하는 것 등을 바라는 마음도 표현되어 있다. 그리하여 삶의 복락과 부부간의 화합을 표현한 화조도는 길상화로서 병풍이나 족자로 꾸며져

7 임두빈, 한국의 민화 II, 서문당, 2006년, 6쪽

(18)

신랑신부의 신혼방이나, 부인들의 안방의 장식용으로 써왔다. 넓은 범위로 본다면 꽃과 곤충이 그려진 초충도, 채소와 과일을 주제로 한 소과도 역시 화조도의 범주에 넣을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화조도는 자연미와 예술미의 관점에서 볼 때 서양화의 경우와 같이 자연과 꽃과 새가 가지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빌어 새로운 예술미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고 자연과 예술에 공통된 조화의 이치에 따라 그리며 화면의 꽃과 새는 자연의 조화를 함축적으로 표현하며 이러한 상상과 화의를 지니면서 대자연의 일부라는 의미를 지니는 상징물로 파악한다.8 화조도에 등장하는 꽃과 새는 같은 비중을 차지하며 어우러지는 짝이 있었다. 예를 들어 오리와 백로는 연꽃에, 학은 소나무, 봉황은 오동과 대나무에 깃들었다. 또 화조도 병풍의 처음과 끝은 송학과 봉황으로 채워지는 것이 정해진 틀이었다. 화조도에 나타나는 새는 반드시 암수 한 쌍으로 나타나거나, 혹은 새끼들을 거느린 모습으로 나타나서 부부가 화합하고 금슬이 좋다는 것에 비유되었다. 화조도를 더 잘 이해하려면 등장하는 새들의 특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학은 주로 소나무를 배경으로 하여 십장생의 하나로서 장수를 상징하기도 하고 벼슬이나 관직과 연관되어 입신출세를 상징하기도 한다(그림 27). 고대 중국의 전설 속의 새인 봉황은 군왕을 상징해왔다. 수컷인 봉과 암컷인 황을 함께 이르며, 대부분 오동나무와 함께 그려졌다(그림 26). 백로를 그릴 때에는 연밥을 곁들인 연과 갈대를 함께 그렸는데, 흰빛의 청순한 백로는 선비를 상징하고, 연꽃은 군자에 비유되었다. 한 마리의 백로는 한 번의 시험으로 급제하기를 바라는 일로연과一路連科를 상징한다(그림 25).

기러기는 갈대가 있는 물가나 연꽃 주변에서 홀로, 쌍으로, 또는 무리지어서 나타난다(그림 18). 특히 갈대와 함께 그려진 그림은 노안도蘆雁圖라 하며 노안老安과 음이 같아, 노후의 안락을 의미한다. 부부의 금슬을 상징하는 원앙도 연꽃이나 갈대 사이의

8 전지혜, 민화에 나타나는 동식물을 응용한 장신구 제작연구, 국민대학교, 1997년,

(19)

다정한 모습은 다복한 복록의 의미로 사랑받았다.

닭은 닭머리의 벼슬을 닮아 계관화라고도 하는 맨드라미와 함께 그려져 관위에 관을 더한다는 관상가관冠上加冠의 의미를 뜻했는데, 최고의 출세를 뜻한다. 한편 하늘을 보고 크게 우는 수탉이 모란과 함께 있는 그림은 부귀공명을 뜻하고, 암탉은 매일 알을 낳기 때문에 다산多産을 의미한다(그림 19). 다정한 닭가족의 모습은 가족 모두가 원하는 바를 이루고 화목하게 지내는

“가족평안”을 상징한다.

오리가 새끼들과 연꽃 사이로 다니는 그림은 가족애를 뜻하며, 오리를 뜻하는 압鴨을 풀어쓰면 일등, 즉 장원급제를 뜻하는 갑甲과 조鳥가 되는데서 연유하여, 오리 그림은 과거급제를 뜻하기도 한다(그림 24). 오리는 이혼하지 않고 하나가 죽으면 뒤따라 죽는다는 민간의 의식이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뜻의 오리 한쌍을 고대로부터 행복의 상징, 생산의 상징, 화중군자의 상징으로 존중한 연꽃과 같이 그리게 된 쌍압도는 그 용모가 화려할 뿐 아니라 그 뜻이 깊다고 느껴진다.9

꿩은 아름다운 모습과 더불어 예로부터 은혜를 갚고 예를 표하는 동물로 여겨져왔고, 사이좋은 한 쌍의 아름다운 새로 인식되어, 실존의 새로서 화조도의 높은 자리를 차지한다. 흔히 볼 수 있는 참새나 까치는 기쁨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여겼다.

화조도를 비롯한 민화에 그려지는 꽃들도 새들 못지 않은 상징을 품고 있다. 몇 가지를 살펴보자면, 매화는 선비의 깨끗한 기품을, 도화는 아름다운 미인을 상징하고, 모란은 부귀와 명예, 부부애, 여성미, 번영 등을 상징하여 부귀영화를 뜻한다. 목련은 여성의 아름다움과 매력을 뜻한다. 연꽃은 진흙속에서도 때묻지 않는 깨끗함으로 선비정신을 의미함과 동시에 창조력, 천재 등을 나타내고, 연꽃과 함께 등장하곤 하는 연밥은 자손과 풍작을 상징하는데, 연밥에 뚫린 작은 구명들에 재물이 가득 차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그림 24). 접시꽃은 관직의 승진을, 국화는 기쁨과

9 조자용, 김철순, 민화:조선시대민화 上, 웅진출판, 1992년, 294쪽

(20)

안거, 공직에서의 은퇴를 뜻한다.

화조도 중에서 유달리 해학적이고 천진난만한 표현이 돋보이는 그림들이 있다. 때론 지나치게 과장하여 화제내용을 한 화면 가득 메우거나 반대로 축소, 함축시켜 놓기도 한다. 마치 어린이가 규범이나 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좋아하는 대상물 만을 아무렇게나 확대하여 그린듯한 순수함이 엿보이는 그림들인 것이다.10 언젠가 이중섭은 이런말을 했다고 고은은 그의 평전에서 전한다 “그림은 쉬워야 한다. 산골 농부가 보아도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고.11 화조도가 어찌보면 낙서처럼 보이는 그림이 많음에도 사랑받아온 것은 이런 이유가 아닌가 한다(그림 20 ~ 그림 23).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화조도는 자연의 한 부분을 따와서 가족의 사랑과 행복을 표현한 우리 생활에 녹아 드는 그림이자, 여성들의 생활 공간 속에서 부부의 화합과 모성애를 상징하면서, 평생을 주거공간에서 함께 해 온 그림이다. 꽃과 새 그림이 이렇게 많은 이유를 소박하게 생각해보면, 사람들이 화려한 꽃의 아름다움을 좋아하여 그것을 집 안에 가까이 놓고 언제나 보고 즐기려 했던 데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장식적 아름다움 외에도 민화의 꽃과 새 그림에는 민초들의 소망을 담은 주술적 의미가 함께 숨쉬고 있기도 하다.12

10 윤열수, Korean Art Book 민화 I, 예경, 2005년, 120쪽

11 조자용, 김철순, 민화:조선시대민화 下, 웅진출판, 1992년, 251쪽

(21)

그림 16> 화조도 그림 17> 화조도

그림 18> 화조도 그림 19> 화조도

(22)

그림 20> 화조도 그림 21> 화조도

그림 22> 화조도 그림 23> 화조도

(23)

그림 24> 화조도 그림 25> 화조도

그림 26> 화조도 그림 27> 화조도

(24)

III.

III.

III.

III. 현재 현재 현재 우리나라 현재 우리나라 우리나라 우리나라 민화 민화 화조도와 민화 민화 화조도와 화조도와 화조도와 보석 보석 보석 보석 장신구 장신구 장신구 장신구

1.

1.

1.

1. 민화민화민화민화 화조도의화조도의화조도의화조도의 현재현재현재 모습현재 모습모습모습

앞서 살펴 보았던 것처럼, 민화 화조도는 우리 선조들과 함께 생활했던 은유와 암시를 가진 그림이다. 현재 활동중인 우리나라 작가들의 작품에서도 민화 화조도의 이미지를 만날 수 있다.

대중들의 사랑을 받고있는 화가 김점선의 작품 중에서도 민화 화조도의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그림들이 있는데, 미술평론가 김종근씨는 ‘김점선 회화의 특징은 평면적이라는 것이다. 그의 그림에는 원근감도 거의 살아 있지 않고, 때문에 그림자는 더더구나 생각할 수 없다. 그의 그림이 평면적일 수 밖에 없는 또 하나는 어린아이의 그림같은 선과 투명한 색채를 바탕으로 동화적 작품세계를 보여왔기 때문’ 이라고 평했다.13 화가 김점선의 그림은 우리 민화에서 보여지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데, 우리 민화처럼 원근감이 없고, 색대비가 강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림 28

~ 그림 31 ).

금속공예가인 김재영은 ‘새’를 이미지로 한 브로치 장신구를 많이 선보이고 있다. 그녀 작품 속의 새는 우리 주변에서 보기 쉬운 참새를 닮았지만, 새 중에서 가장 작은 로빈(Robin)이다. 김재영의 작품에 대해 일민미술관 학예연구관인 장동광은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대체로 이야기를 지닌 동화 같은 추상적 표현 혹은 바다속의 풍경 혹은 심해(深海)의 퇴적된 시간의 흔적을 포착한 것과 같은 경향의 작품들이다. 이러한 경향의 장신구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대부분 한쌍으로 구성된 브로우치라는 것이다. 부부애와 화합, 정담(情談)을 나누는 가족사를 연상시키는 이러한 유형의 작품은 마치 민화(民畵) 속에서 볼 수 있는 새나 물고기에 빗대어 부부의 금슬을 표현한 것과 같은 분위기를 시사해주고 있다. (…) 마치 입체적으로 그려진 한폭의 동앙화같이 그의 장신구는 구성적

(25)

비례미와 선과 기하학적 형태가 자아내는 시적인 운율이 살아있다.

이러한 브로우치 들에서 우리는 피리소리를 듣는 듯한 리듬감과 함께 한 편의 한시(漢詩)를 감상하는 듯한 여유와 풍류를 느끼게도 된다.” 14 김재영의 작품은 민화 화조도를 염두하고 만들어진 작품들은 아니지만, 보는 이로 하여금 은연중에 우리 민화 화조도를 연상하게 한다 (그림 32 ~ 그림 40).

현재까지도 우리 민화들은 그려지고 있으며, 그림 작품뿐만 아니라, 가구와 같은 다양한 생활 용품속에서도 만날 수 있어 현대생활을 하고 있는 우리도 예전 우리 선조들처럼 생활속에서 민화 화조도를 즐길 수 있다. 우리 민예, 공예품을 한 자리에서 만나 볼 수 있는 인사동 일대에서 민화 화조도를 만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액자나 족자로 표구된 그림(경성화랑)부터 그림카드나 부채등으로, 또한 천에 그려지거나 수를 놓은 형태로도 볼 수 있으며, 한지공예(통인가게)나 작은 가구들도 있다. 민화 그림을 사용하여 도마, 받침, 벽시계 등을 만들어서 선보이고 있는

‘미나트’에서도 아름다운 화조도가 있는 생활 용품을 만날 수 있다(그림 42).

서울시 북촌문화센터에서는 ‘전통민화’, ‘실용민화’, ‘민화공방’

등의 수업을 통해 직접 민화를 그려보고 접할 수 있는 민화교실을 운영하여 우리가 더욱 다가설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민화와 관련된 전시들도 꾸준히 열리고 있는데, 민화 작가인 ‘혜원 김재춘의 민화세계, 제 2회 전통의 미’ 전이 2006년 8월에 타워 갤러리에서(그림 41), ‘가구에 그려진 한국전통민화’ 전시가 충북 청주시 한국 공예관에서 2007년 6월에 열리기도 했다.

지난 2006년, 디자이너 이영주의 패션쇼 ‘기원’에는 호랑이가 그려진 민소매 파티복이 관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민화작가 서공임 씨가 직접 옷 위에 호랑이ㆍ꽃ㆍ학 등 민화풍의 그림을 그린 원단을 디자인 한 이 작품은 한국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겼다(그림

14 자연의 숨결로 빚어낸 심상(心想)의 풍경들-김재영의 한국적 정서가 깃든 ‘콤바 인 아트(Combine Art)’ 장신구 작업에 대하여, 장동광, 일민미술관 학예연구관, 1999년

(26)

44). 민화의 현대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그는 ‘생활과의 접목’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작가. 그는 패션에 이어 도예가 이기영씨와 손잡고 민화 문양을 도자기에 앉히는 작업도 시작했다(그림 43).15

다양한 방법을 통해 우리 민화 화조도를 지금까지 접해오고 있다. 그렇지만 장신구로 표현된 민화는 쉽게 만나기 어렵고, 특히 화조도를 보석 장신구로 표현한 제품은 보기 힘들다. 생활 용품과 의상으로 느끼는 것도 좋겠지만, 보석 장신구의 형태로 우리의 민화 화조도를 몸에 지니고, 그림이 지니는 기원과 의미를 느끼는 것도 좋을 것이다.

(27)

그림28) 버드나무와 꽃과 오리, 59X47Cm, 2006, 실크스크린

그림29 ) 버들, 새, 30X24Cm, Digital Print

그림30 ) 오리 세마리와 들국화, 30X24Cm, Digital Print 그림31 ) 김점선 전시 알림

(28)

그림32) 독백, Gold, silver, bamboo, jade, amber , 70x80x10mm (왼쪽) 그림33) 전설I, Gold, silver, bamboo, jade, 80x80x20mm(오른쪽)

그림34) Y군, gold,silver,antique jade, 55x50x10mm,

X양, gold,silver,bamboo, antique jade, 58x53x13mm(왼쪽) 그림40) Missing you I, II, gold, silver, bamboo, coral, amber,

30x10x15mm(오른쪽)

(29)

그림41 ) 민화작가 혜원 김재춘의 화조도와 전시 알림

그림42 ) 미나트에서 선보이는 민화 생활 용품, 벽시계, 도마, 받침

그림43 ) 민화그림이 있는 도자기 그림44 ) 민화그림이 있는 의상

(30)

2.

2.

2.

2. 보석보석보석보석 장신구장신구장신구장신구 시장의시장의시장의시장의 특징특징특징특징

우리 나라 보석 시장은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국내에서 개발된 브랜드 회사 제품이 많아지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그 숫자를 넘어서는 해외 수입 브랜드들의 유입으로 무척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 보석의 쓰임은 결혼 예물이나 재산이나 신분 과시형에 머물러 있었으나 1990년대에 활성화되었던 카탈로그 홈쇼핑에서 브랜드 회사 제품으로 작은 사이즈의 G/SI 등급의 다이아몬드 제품들과, 중고가의 제품들도 선을 보여 일반 대중이 양질의 제품을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그림 45). 이 때의 제품들은 디자인이 예전 모습에 비해 많이 독창적이고 세련되지긴 했어도, 미숙한 점이 있었다.

그동안 우리 시장의 보석 장신구 디자인은 규모도 커지고 발전해왔다. 최근 8~9년 사이에 유수한 해외 유명 브랜드들이 우리나라 시장에 대거 진출하여,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고급 보석 장신구들을 멀리 가지 않고도 직접 눈으로 보고 만져볼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그림 48). 이제 손꼽히는 해외 유명 브랜드 중에 수입되지 않는 브랜드는 거의 없을 정도이다.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판매하며 호황을 누렸던 TV 홈쇼핑의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 TV 홈쇼핑을 통해 전국에서 같은 보석 장신구를 동시에 구입할 수 있게 되었고, 그로 인해 대량 생산이 많아졌다. TV 홈쇼핑을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들도 우후죽순 격으로 많이 생겨났으며, 보석 감정소들을 통해 보석의 진위여부를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모범을 보이기도 했다.

같은 시기 동안, 보석과 디자인에 관한 우수한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많이 활동을 하기 시작했고, 개별적인 활동을 하며 자신의 개성을 담은 제품을 선보이는 디자이너들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런 신진 디자이너들의 보석 장신구를 보면 과거 70년대, 80년대의 금 중량과 큰 사이즈의 고가의 보석만을 강조한 투박한 디자인들을 탈피하고, 다양한 보석이 들어간 디자인을 앞세운 보석 장신구를

(31)

모습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섰다. 오래된 보석 장신구나 예물로 받았던 것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다시 디자인하여 그림 작업을 함께 보여주면서 새로운 시도가 되었다(그림 46). 보석 장신구에 있어 디자인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우리 의식을 높여준 행사가 있다면 DeBeers(현 DTC)에서 2년마다 전세계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개최되었던 ‘다이아몬드 국제 대상’일 것이다. 다이아몬드 사용을 홍보하고 다이아몬드의 이미지를 높이고자 기성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신인 디자이너에게도 문이 열려 있었다(그림 47).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 디자이너가 두 번이나 수상한 것은 우리 디자이너들의 노력을 보여주는 듯 하다.

과거 보석 시장에 과연 디자이너의 역할이 따로 있었는지는 의심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디자인 감각이 없이 보석 시장에서 제품을 만든다는 것은 위험도가 높은 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아직도 유명 해외 브랜드 제품을 그대로 복사한 제품들도 많이 볼 수 있고, 소비자들도 그런 복사품을 만들어 주기를 원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런 반면, 최근 들어서 전통장신구의 인기도 높아가고 있다.

소비자층도 점점 젊어지고 있다. 제품을 표현하고 소개하는 방식이 변화되면서 전통장신구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이 달라지고 있다.

자연을 모티브로 황옥과 호박, 자마노, 쑥비취 등의 스톤을 이용한다든지 전통적인 스톤에서 벗어난 다양한 나석을 이용해 우리 장신구에 보다 쉽게 접근하고 있다. 이전보다 현대적인 느낌을 주는 나석을 사용하고 디자인이 주얼리에 가까워지면서 그 저변이 넓어지고 있는 것이다.16

현재 우리나라 보석 장신구는 세계의 유행에 발맞추어 같이 움직이고 있다. 최근에는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비즈공예와 접목된 보석 장신구들이 큰자리를 차지하고 천편일률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그림 49). 그렇지 않다면 서양의 18, 19세기 제품을 그대로 모방한 ‘앤틱풍’ 제품들을 많이 볼 수 있다(그림 50). 그리하여

16 귀금속경제신문, 2006년 9월 9일

(32)

백화점 등을 돌아보면 서양풍의 비슷한 물건들이 가득 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유행에만 치중하여 소신 없는 디자인으로 개성 없는 비슷한 제품들만 생산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겠다. 모든 색이 섞여 검은색이 되버릴 것이 아니라, 각각의 색이 조화를 이루어 무지개처럼 빛나야 할 것이다. 이제는 현대 유행을 따르면서도 우리만의 색을 가진 보석 장신구를 만들어내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생각된다. 우리 고유의 문화를 반영하면서도 현대인이 거부감 없이 무의식 중에 녹아들 수 있는 디자인을 선보여야 하겠다.

(33)

그림 45> 카탈로그 홈쇼핑 광고, 1990년대

그림 46> 잡지 기사, 1990년대 그림 47> 다이아몬드 국제 대상 광고

그림 48 > 해외 수입 브랜드 광고, 잡지 In sTyle, Harper’s Bazaar, 2005년

(34)

그림 49> 비즈 공예와 접목된 장신구를 소개하는 기사, 잡지 In Style, 2005년

그림 50 > 앤틱풍의 다사끼 지니아 제품, 2002~2004년

(35)

IV.

IV.

IV.

IV. 화조도를 화조도를 이미지로 화조도를 화조도를 이미지로 이미지로 이미지로 한 한 한 한 보석 보석 장신구 보석 보석 장신구 장신구 장신구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연구 디자인 연구 연구 연구

1.

1.1.

1. 작품작품 설명작품작품 설명설명설명

연구방법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이처럼 의미 있는 우리 문화인 민화, 그 중에서도 화조도를 주제로 하여, 현대 의상에 어울릴 수 있는 보석 장신구를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18K 골드와 실버로 제작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다른 색으로 도금하여 다채로움을 더하였다. 다양한 보석을 사용하여 다채로운 꽃의 색들을 표현해보았다. 보석으로 그린 화조도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디자인하였다.

작품 1> 브로치. 사이 좋은 부부애를 상징하며 그런 이유로 혼인식에 사용되기도 하는 한 쌍의 오리가 나란히 꽃연못을 헤엄치는 것을 표현했다. 사파이어와 루비를 사용하여 암수를 암시했다.

작품 2> 브로치와 귀걸이. 화조도의 한 부분을 옮겨 꽃나무에 암수 한 쌍의 새가 즐겁게 노니는 것을 표현했다. 어린아이가 그린 듯한 화조도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가벼운 느낌을 주는 실버를 사용하고 비교적 단순하게 디자인했다.

작품 3> 브로치와 귀걸이. 화조도의 한 부분을 따온 작품으로 나무의 선을 간결하게 하고 한 쌍의 새를 넣었다. 따듯한 색인 호박을 사용하고 금속의 색을 다르게 배치하여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작품 4> 반지. 귀여운 새 한 마리가 꽃나무 가지에 앉아서 노래하고 있는 모습을 애끼 손가락에 착용하는 반지로 표현했다. 착용했을 때 꽃들이 움직이도록 하여 율동감을 주었다.

(36)

작품 5> 목걸이. 길 잃은 새 한 마리가 꽃밭에 와서 즐거워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우아함의 상징이지만 단조로울 수 있는 진주 목걸이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펜던트로 디자인했다.

작품 6> 머리핀. 꽃으로 조각된 비취와 루비를 사용하여 꽃나무를 표현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새를 두어 특별한 날 화사한 머리장식으로 화조도를 느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 7> 브로치. 한 쌍의 새를 반대로 배치하여 서로 다른 곳을 보고 있어도 닮았고 다정해 보이는 부부의 모습을 표현했다. 루비와 사파이어로 꽃을 표현하고 청홍靑紅을 나타냈다.

작품 8> 목걸이. 영원한 사랑을 뜻하는 동그라미 안에 한 쌍의 새 외에도 새끼 한 마리가 더 있다. 무거운 느낌을 줄이기 위해 실크줄을 사용했고 다이아몬드로 영원한 사랑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작품 9> 목걸이와 반지. 작은 꽃들과 날아오르는 새들로 화조도의 한 장면을 연출했다. 결혼 예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단아하게 표현했다. 다른 색의 흰진주와 흑진주가 서로 만나 한 쌍을 이룬다.

작품 10> 귀걸이. 2006년 유행인 크기가 큰 금 장신구에 화조도를 가미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착용하였을 때 서로 부딪치며 청아한 소리를 더해준다. 우리 민화 화조도로 젊은 여성들에게 다가설 수 있는 작품을 디자인했다.

(37)

작품 11> 반지. 꽃밭을 떠받들고 있는 작은 새들과 루비, 사파이어로 입체적인 화조도를 표현했다. 루비 반지는 달려있는 꽃들이 움직이며 새가 지져귀는 듯한 경쾌한 소리를 더해준다. 사파이어 반지는 마치 착용한 사람이 꽃방석 위에 올라앉은 듯한 느낌을 준다.

작품 12> 브로치와 반지. 선세세공(Filigree)으로 꽃을 표현하고 브로치에만 새 두 마리를 넣어 포인트를 주었다. 비취의 녹색이 평화로운 느낌을 주며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새들의 시선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작품 13> 반지와 목걸이. 섬세한 선세세공(Filigree)으로 꽃밭을 만들어 바로크 형태의 담수진주를 두었다. 새들은 날아가고 없지만 그들의 인생여정의 굴곡을 진주로 표현하였다.

목걸이는 목에 감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38)

작품 1> Brooch, 아침 햇살속에

18K Gold, Shell, Ruby, Sapphire, Diamond, Fresh Water Pearl

(39)

작품 2> Brooch, Earing, 화조도와 함께 I Sterling Silver, Shell

(40)

작품 3> Brooch, Earing, 화조도와 함께 II 18K Gold, Amber

(41)

작품 4> Ring, 이른 아침 들려오는

18K Gold, Coral, Amethyst, Garnet, Iolite, Black Diamond, Diamond

(42)

작품 5> Necklace, 꽃밭에서 즐겁게

18K Gold, Fresh Water Pearl, Ruby, Sapphire, Diamond

(43)

작품 6> Hair Pin, 이런 날에는

18K Gold, Jadeite, Ruby, Diamond

(44)

작품 7> Brooch, 따로 같이 I, II

18K Gold, Ruby, Sapphire, Diamond

(45)

작품 8> Necklace, 우리 영원히 18K Gold, Diamond, Silk cord

(46)

작품 09> Necklace, Ring, 이렇게 만났어요 I, II

18K Gold, Fresh Water Pearl White, South Sea Pearl Black, Diamond

(47)

작품 10> Earing, 꽃노래 흥얼대며 I, II

18K Gold, Fresh Water Pearl, Carnilian

(48)

작품 11> Ring, 꽃바람 불어오는데 I, II 18K Gold, Ruby, Sapphire, Diamond

(49)

작품 12> Brooch, Ring, 언제나 이렇게

18K Gold, Jadeite, Ruby, Sapphire, Diamond

(50)

작품 13> 추억을 담아

18K Gold, Fresh Water Pearl, Amethyst

(51)

V.

V.

V.

V. 결 결 결 결 론 론 론 론

살펴본 바와 같이 민화는 여러 가지 면에서 정통회화와는 다른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독특한 차이점이 민화의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민화에서 볼 수 있는 주요 소재들은 동물과 식물로 자연의 일부이다. 자연의 조화에 인간의 감정과 사상을 결부시켜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는 것을 의미하며, 그 안에서 동화되어 여유로운 삶을 살 수 있게 한다.

우리 민화 중에서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화조도는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쉽게 이해하고 접할 수 있는 그림이다. 고운 꽃과 사랑하는 새들을 통해 이 세상의 모든 기쁨, 온갖 좋은 것을 한 자리에 모아서 꾸며놓은 그림이다. 자연 속의 생동감과 섭리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부인들의 안방을 화조도로 장식했던 것도 쉽고 아름답다는 이유만이 아니라 그림 안에 있는 꽃과 새들을 보며 그들의 사랑을 함께 느끼기 위해서였던 것이다.

우리 민화 화조도는 장난처럼 보일 정도로 간단하게 그려진 것들도 많지만, 정통회화에서 시작된 희소했던 그림이다.

일반인들이 아름다운 화조도를 가까이 두고자 흉내내어 그려낸 것이 민화 화조도의 시작이었다. 모방하여 반복하고 전파되면서 단지 감상만을 위한 그림이 아니라 다른 민화들과 마찬가지로 상징을 가지게 되었다. 자연의 일부인 아름다운 꽃들과 암수 한 쌍이 등장하는 새를 통해 부부간의 화합과 가족의 사랑을 기원했다.

뿐만 아니라 등장하는 새와 꽃에 따라 의미하는 뜻이 달라져, 주문에 따라 필요에 따라 주제를 달리하여 그리기도 하고, 현실에 맞지 않더라도 짝을 맞추어 그려서 사람들의 소망과 꿈을 표현했다.

집 안에 걸어두고 그려두고 즐기던 화조도를 이제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할 수 있도록 현대 의상에 어울리면서도 위와 같은 화조도의 느낌을 그대로 간직한 보석 장신구를 만들어 보았다.

시중에 나와있는 보석 장신구의 천편일률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우리 문화를 조금이라도 담아보고자 하였고, 상업용 제품이 공예품으로 한 걸음 다가설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52)

2001년 미국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테러사건 이후로 자연에 다가서고 여성스러워 보이는 풍조가 세계 패션계를 지배해오고 있다. 우리 민화 화조도야말로 이러한 사조에 꼭 맞는다고 생각된다.

우리들의 생활 속에 깊이 자리잡고 있었던 화조도를 주제로 디자인을 전개하고 기능을 살려서 장신구를 만들면서, 마치 과거의 이름없는 화가가 되었던 것처럼 느껴졌다. 현대 생활에서 민화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느낀다. 아름다운 모습으로 우리 가옥을 장식해주던 그림이 이제 장신구의 형태로 현대 여성들을 장식할 수 있도록 작업해보았다. 그림들이 의미하던 많은 상징들이 본 연구를 통해 탄생한 장신구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에 전달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53)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단행본>

우리그림 민화 속으로, 김영재, 조선민화박물관, 2004년 익살과 재치:꿈꾸는 우리민화, 경기도 박물관, 2004년 민화란 무엇인가, 임두빈, 서문당, 1997년

민화:조선시대민화 上, 조자용,김철순, 웅진출판, 1992년 민화:조선시대민화 下, 조자용,김철순, 웅진출판, 1992년 Korean Art Book 민화 I, 윤열수, 예경, 2005년 민화 이야기, 윤열수, 디자인하우스, 2006년 한국의 민화 II, 임두빈, 서문당, 2006년 김영학, 민화, 대원사, 1998년

<간행본>

귀금속 경제신문 서울 경제 잡지 In Style

잡지 Harper’s Bazaar

<논문>

전지혜, 민화에 나타나는 동식물을 응용한 장신구 제작 연구, 국민대학교, 1997년 이정연, 민화 이미지를 응용한 장신구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2005년

김경희, 민화의 이미지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2003년

<웹사이트>

문화관광부 e뮤지엄 www.emuseum.go.kr 가회박물관 www.gahoemuseum.org 민화의 모든 것 www.minwha.co.kr 혜원 김재춘 홈페이지 www.minhwakjc.co.kr 미나트 www.minart.com

인사아트 www.insaart.com

하나아트갤러리 www.hanaartgallery.com

(54)

Abstract

The Study of Design F The Study of Design F The Study of Design F

The Study of Design Fine ine ine JJJJewelry ine ewelry ewelry ewelry themed on the

themed on the themed on the

themed on the IIIImage of mage of mage of mage of Minhwa Minhwa Minhwa Hwajodo Minhwa Hwajodo Hwajodo Hwajodo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Majored in Jewelry Design : Kim, Joo Youn Academic Advisor : Professor Kim, Seung Hee

Through fine jewelry themed on the image of Hwajodo which decorated the living spaces of women, fine jewelry which matches well with modern clothing and can be worn in any place was designed themed on flowers, which were an important theme of Hwajodo, and a couple of birds, which represent a Korean harp and lute, so that modern women could sense the beauty of our people.

Minhwa is a picture which lies within the lives of our people, also called “folk paintings” or “brethren drawings” and they are pictures which people could come into contact with and enjoy the beauty of without special art senses or deep studying, and different from orthodox paintings in which artists and viewers make exchanges one on one, Minhwa can be considered paintings with popular appeal which form a responsive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public through pictures.

Hwajodo occupies the largest volume among Minhwa and gives notice that they have been loved by the general public.

With an image which seems to have directly transferred a part of nature, it gives a feel to the viewer that they are standing in that place and Hwajodo, which expresses the happiness of life and the harmony of a husband and his wife, is designed as a folding

(55)

fortune and drives away badness) and has been used to decorate the honeymoon room of married couples or in the main living quarters of wives.

There are presently artists who are drawing Minhwa as an art piece, and goods which have applied folk arts and handicrafts also can be seen. Minhwa Hwajodo can be felt in the art pieces of other artists as well but Hwajodo expressed through fine jewelry is hard to find. Brand name company products developed domestically have increased in the jewelry market of Korea but the inflow of overseas imported brands has diversified the market very much. I think our assignment now is to make fine jewelry with our own distinct colors while following modern trends. We should present designs that reflect our traditional culture while being able to melt without rejection into the unconsciousness of modern people.

Through fine jewelry themed on the image of Hwajodo which decorated the living spaces of women, fine jewelry which matches well with modern clothing and can be worn in any place was designed themed on flowers, which were an important theme of Hwajodo, and a couple of birds, which represent a Korean harp and lute, so that modern women could sense the beauty of our people. Study pieces were made from 18K gold and silver and by partially adding other colored plating, a variation of colors was added. Various gemstones were used to express the colors of flowers. They were designed to give a feel as if Hwajodos drawn with jewels were being looked at.

Through the appearance of beautiful flowers and a bird couple as a part of nature, the harmony of the married couple and the love of family were wished for. Not only that, meanings differ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different birds and flowers, expressing the hopes and dreams of people. Pictures

(56)

which decorated our homes with their beautiful images were worked on to decorate the modern woman in the form of jewelry.

I hope that the many symbols of pictures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rts of people through fine jewelry which have been born through this study.

수치

그림  1&gt;  화조도,  병풍
그림  16&gt;  화조도                                            그림  17&gt;  화조도
그림  20&gt;  화조도                                  그림  21&gt;  화조도
그림  26&gt;  화조도                                  그림  27&gt;  화조도
+2

참조

관련 문서

Also, they can be regarded as the most optimal tools which can be used to manufacture the environmental sculpture which reflects various demands of the public society, whi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e out the reason of which non-regular workers have been increased since the crisis, to show some problems of their

In conclusion, applications of combined exercise,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one’s daily life for elderly women, would be helpful for their

Therefore, if small cafés and effective spaces in the town can be re-created as cultural spaces of the village by adding humanistic values in accordance

This study suggested diversity in the configuration of expression through expression of abstract images, the style of modern painting, which are expressed

Firstly,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detailed elements and operational definitions and analysis framework which can be reflected in the science class

Modern people living in cities have diverse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urban spaces. As institutions or social structures have developed since industrialization,

• i) The very high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modern engineering seismology should be and can be absorbed through the engineering means like the capacity design princip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