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따 른 자 아 존중 감 및 대 인 관계 지 향성 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따 른 자 아 존중 감 및 대 인 관계 지 향성 의 관계"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 士 學 位 論 文

중 고 유 도 선수 들 의 경 기 력 수 준 에

따 른 자 아 존중 감 및 대 인 관계 지 향성 의 관계

A S tu dy ab out Ju doi s t ' S elf E s t e e m an d P e rs on al R elati on s w hi ch Corre s pon d w ith t h eir Corepe titiv e P o w er

國 民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體 育 敎 育 專 攻 정 희 락

20 0 1年

(2)

중 고 유 도 선수 들 의 경 기 력 수 준 에

따 른 자 아 존중 감 및 대 인 관계 지 향성 의 관계

A S tu dy ab out Ju doi s t ' S elf E s t e e m an d P e rs on al R elati on s w hi ch Corre s pon d w ith t h eir Corepe titiv e P o w er

指 導 敎 授 : 김 귀 봉

이 論 文 을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으 로 提 出 함

200 1年 6月

國 民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體 育 敎 育 專 攻 정 희 락

20 0 1年

(3)

정 희 락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0 0 1年 6月

審 査 委 員 長

審 査 委 員

審 査 委 員

國 民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4)

국 문 요 약 ... ⅰ

Ⅰ .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변인 및 가설.. ... 4

4. 연구의 제한점 ... 5

Ⅱ . 이 론 적 배 경 ... 6

1. 스포츠 수행과 자아존중감 ... 7

2. 스포츠 수행과 대인관계 지향성 ... 15

3. 스포츠 수행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 17

4. 유도 수행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 18

Ⅲ . 연 구 방 법 ... 19

1. 연구의 대상 ... 19

2. 조사도구 ... 20

3. 조사방법 ... 23

4. 자료처리 및 방법 ... 24

Ⅳ . 결 과 및 논 의 ... 25

1. 결 과 ... 25

2. 논 의 ... 33

(5)

Ⅴ . 결 론 및 제 언 ... 38 1. 결 론 ... 38 2. 제 언 ... 40

참 고 문 헌 ... 4 1 부 록 < 질 문 지 > ... 46 A B S T R A CT ... 5 5

(6)

표 1. 연구대상자들의 중・고등학교 분포 ... 19

표 2. 설문지의 주요 구성지표 ... 20

표 3. 측정도구의 신뢰도 ... 22

표 4. 문항구성과 문항수 ... 23

표 5. 선수들의 경기력 따른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 25

표 6. 선수들의 경기력 따른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 26

표 7. 선수들의 경기력 따른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 27

표 8. 선수들의 경기력 따른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 27

표 9. 자아존중감이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28

표 10. 자아존중감이 통제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29

표 11. 자아존중감이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30

표 12.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31

그 림 목 차

그림 1.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 모형 ... 4

(7)

- 국 문 요 약 -

고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정 희 락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 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 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1) 연구의 대상자들은 2001년 중・고등학교 남・녀 춘계 유도연맹전에 참가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에 관한 질문 지를 이용,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에 대한 결과를 작성 하여 Windows SPSS /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 계 지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유도선 수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지향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표준중다회 귀분석법으로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8)

2)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총체적 및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있어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통제변인으로 설정한 주관적 체격 요인이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있어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제변인으로 설정한 배경변 인의 부모의 직업이 선수들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포용적 대인관계지향 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회적,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요인 전체에 영향을 주었다.

5)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적 대인관계지향 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사회적,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 의 하위요인 전체에 영향을 주었다.

6)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애정적 대인관계지향 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사회적,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 의 하위요인 전체에 영향을 주었다.

7) 선수들의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요인과 학교 요인에서의 자아존중감 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지향성도 높았다.

(9)

Ⅰ . 서

1. 연구의 필요성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과정 속에서 산업의 발달

・발전과 함께 우리의 생활 양식 및 가치관이 변화되어 오고 있다. 인간은 성 장과 함께 많은 집단 및 단체 등의 사회적 경험을 통해 자기에 독특한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자신에 대한 타인의 태도를 통하여 자신의 능력, 외모, 성 격 등에 대하여 지각하게 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평가와 관련되 어 자기 존중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 활동경험은 개인이 스포츠를 통하여 집단 성원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관, 태도, 신념 등을 다른 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의 지위 에 상응하도록 하는 사회화 기능(임번장, 1987)과 함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Layman, 1960).

청소년기는 새로운 적응을 요하는 시기이다. 외모와 생리적 기능이 성인과 유사해지고 논리적・추상적 사고가 가능해지며, 같은 연령 친구들과 부모 못지 않게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등의 변화와 함께, 청소년들은 부모의 보호에서 벗어나 독립된 개체로서 자기나름의 판단과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려 한다. 특 히 청소년 초기에 해당하는 중학교 시기 동안 청소년은 급격한 신체적・성적 발달에 따라 독립의 욕구가 증가하는 동시에 수줍음과 불안감이 증대되는 등의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며(Hurlock, 1975), 아동기와는 다른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므로(신효식, 이경주, 1997; 정현숙, 정문자, 1995) 그 어느 때 보다 도 심각한 적응의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10)

선수집단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보다 특수한 여러 환경에서 생활하게 되고 이는 선수 자신의 인격 형성에 반영된다. 운동선수의 성격 특성은 스포츠 활동 경험의 결과로만 설명할 수는 없고, 연습과 경기 과정에서 경험되는 것과 사회 적 경험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스포츠 선수 집단은 서로간의 경쟁관계에서 생활하고 또는 지도자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다양한 특수한 경험을 쌓는 장이 라 생각할 수 있다.

선수들에 있어서 자아 에 대한 많은 선행 연구들은 일반인들과 비교하는 연 구계획으로서 운동선수 집단에서의 경험이 어떠한 자아 를 형성시키는가를 규 명하는 것이었으나 특수한 종목에 대한 세부적인 비교연구는 적은 실정이다.

특히 유도종목에 대한 심리적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었으나, 최근 들어 유 도경기가 활성화되고 국제대회에서 성적 및 선수 및 지도자의 신임도가 매우 높은 추세로 변화되면서 유도인들의 학문적 연구가 심도있게 촉진되어 오고 있 는 실정이다.

유도수련은 무도적 수행가치가 어느 종목보다도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승부 에 있어서도 종목적 특유의 근성이 매우 높으며, 또한 그 승부에 있어서도 승 부를 초월하는 곳에 도 란 의미가 담겨져 있다. 유도 수행에 있어서 의미를 부 여한다면 부동심, 기단련, 예의 등을 수련하여 자기통제와 자기 수양을 통해 자 아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천길영, 1994).

이에 본 연구자는 유도 종목의 경기 특성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자아존중감 형성을 알아보고 또한 선수들간의 상호작용에 나타나는 대인관계의 지향성에 대하여 연구 및 조사하여 그 자료를 일선 중・고등학교 선수 및 지도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연구계획을 세워 실행하게 되었다.

(11)

2 .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이 단체 및 사회 구성 원 생활에 있어서 자신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자아존중감 및 대인 관계 지향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선수들의 경 기력 결과를 근거로 선수들의 자아존중감을 연구하였으며, 또한 자아존중감을 근거로 선수들의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3 . 변인 및 가설

위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 및 문제를 근거로하여 연구의 변인 및 가설에 대 해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배 경 변 인 독 립 변 인 매 개 변 인 종 속 변 인

인구통계학적 변인 경기력 수준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지향성

성 별 경기력 우수자

(전국대회 4강)

총체적 자아 포용행동

연 령 사회적 자아

부모의 직업 통제행동

경기력비우수자 (무 입상자)

가정적 자아 부모의 교육 수준

주관적 체격 학교적 자아 애정행동

(그림- 1)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관계 모형

본 연구에서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배경변인은 성별, 연령,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수준, 체격으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인은 경기력 우수자(전국대회 4강 진출자) 와 경기력 비우 수자(전국대회 무 입상 경헙자)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인은 총체적, 사회적, 가 정적, 학교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은 포용적, 통제적, 애정적 변인으로 설정 하였다.

이러한 관계모형에서 설정한 변인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13)

Ⅰ.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Ⅰ- 1. 경기력 수준과 총체적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Ⅰ- 2. 경기력 수준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Ⅰ- 3. 경기력 수준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Ⅰ- 4. 경기력 수준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 5. 자아존중감은 포용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6. 자아존중감은 통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7. 자아존중감은 애정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1) 본 연구는 설정된 변인 이외에 다른 요인에 의해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 계 지향성에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

2) 연구대상의 대표성에 대한 한계 즉, 2001년도 전국 중・고등학교 춘계 유도 연맹전 시합에 출전한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 의 일반화에 주의가 요구 된다.

(14)

Ⅱ . 이론적 배경

유도 선수들은 훈련 및 경기에 임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문제장면에 부딪쳐 그 문제들을 능률적으로 해결해낼 수 있느냐는 선수 개개인이 지니는 지식이나 기능적 능력에만 달려 있다고 생각하면 해결되지 않을 때가 많다. 동일한 지식 과 능력을 가진 선수중에 어떤 문제의 상황이 나타날 때 한 선수는 잘 해결하 는데 비해 다른 선수는 처음부터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시도하지도 않 거나 아니면 해결하려고 시도해도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바로 유도 선수 가 당면하는 문제의 해결에 나타나는 효과에서 오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인간행동에 작용하는 효과적 요인은 많다. 동기, 정서적 안정성, 태도 및 습 관 등이 그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논의되고 중요시되는 변인은 동기이 고 동기 중에도 성취동기의 효과를 으뜸으로 여기고 있다. 그렇다면 강한 성취 동기를 가진 사람은 어떠한 사람이며 성취동기가 강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물론 동기의 구성요소, 즉 무엇이 성취동기를 강화시켜 주느냐의 문제는 목표 의식이나 욕구 그리고 흥미나 태도 등 여러 가지 변인이 있으나 비록 그 문제 나 행동이 개인의 욕구와 일치되고 흥미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기가 자기자신에 대하여 나는 무능하고, 나는 별 쓸모 없는 사람이고, 나 같은 사람은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 해 낼 수 없으며 또 그 문제를 해결해 보아도 무슨 소용이 있겠는 가 하고 자기자신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사람은 성취동기를 약화시킨다.

이와 같이 자기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가 곧 자아개념이다(정원식, 1997). 이러한 자아 를 통해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있어서 긍정적 사고를 통해 자신의 활동 및 위치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 로 사료된다. 즉, 남에게 유능하게 보이고 실제로 유능한 사람도 자신은 무능하

(15)

고 별 쓸모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남에게 무능하게 보이고 사람의 됨됨이도 그리 높게 평가받지 못하는 사람도 자기 자신을 유능하고 인격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이와 같이 자신에 대한 주관적인 인지상인 자아존중감은 일의 성취 및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도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선수 특성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의 연구는 중요하다.

1. 스포츠 수행과 자아존중감

1) 유도

맨손으로 상대와 맞잡고 공격, 방어하는 무술로서 서로 메치고, 누르고, 조르 고, 꺽기의 연습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고 정신을 수련하는 격투기라고 할 수 있으나, 본래 의미에서는 유도는 柔能制剛,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한 것 으로서 상대의 힘에 순응하면서 그 힘을 이용하여 상대를 제거하는 법리를 기 본으로 한다.

(1) 유도의 역사

유도의 기원을 규명한다면 멀리 원시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 가야만 할 것이 다. 인류는 생존하기 위해 의식주를 얻고 혹은 적으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 맨손・맨주먹으로 싸워 왔으며, 이러한 수단들이 체계를 이루어 현대적 의미의 각종 격투기로 발전하였다고 생각된다. 유도가 이런 격투로부터 그 기원이 출 발되고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16)

유도와 비슷한 형태의 경기가 고대로부터 존재하고 있었다고 하는 사실은 세 계 각국의 고대 유물 혹은 유적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이집트의 나일강변에 있는 베니핫산의 분묘 벽화에는 나체로 시합하고 있는 레슬링이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5천년전의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역사가 오랜 중국에 있어 무술의 창시자는 황제로 되어 있으나, 중국의 격투 기는 주먹이나 발을 써서 때리고 치고 차는 권술, 상대의 신경이나 급소를 쥐 어 아프게 하는 금나술, 유도와 씨름과 비슷한 솔각 등이 고대로부터 있어 왔 으며, 6세기 초에는 달마가 하남성의 소림사에 머물면서 역조경과 세수경을 지 어 유약한 승려들의 심신을 단련시켰다고 전해 내려 온다(이진수, 1987).

모든 생활태도를 경쟁적 사상으로 가득 채웠던 고대 그리스에 있어 격투기는 복싱과 레슬링 그리고 이 들 두종목을 합친 판크라티온(Pankration)이 있었다.

그러한 종목은 모두 고대 올림픽대회에 정식으로 채택된 격투기들이었다. 판크 라티온은 오늘날의 프로레슬링과 대단히 유사한 경기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유도의 기원은 세계 공통으로 분포되어 있는 격투기 로부터 그 연원을 찾아야 될 것이다. 우리는 보통 유도의 종주국으로 일본을 꼽고, 유도의 창시자로는 일본인 가노지고로를 들고 있다. 하지만, 김의태는 유 도라는 명칭이 이미 가노지고로 이전의 유술 유파의 하나였던 직신류에서 최초 로 사용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제광(1976)은 오늘의 유도가 유술로서 발달한 것은 고려 중엽부터라 하고 그 때는 유술을 수박 또는 각저로 불러다고 주장한다. 나구성은 한국의 유도인 들은 다수가 유도가 고구려때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근거로는 각저총 현실 벽화 를 들고 있는데 이것에 대한 문헌 근거는 너무 희박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벽화가 삼국시대에 무기를 들지 않는 호신술이라 규정하고 각저와 수박으로 생 각된다고 한다. 또한 유도가 한 사람의 손에 의하여 일대에 이루어진 것이 아 니라 태고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의 연구와 개선을 거듭하여 발달한 것으로서

(17)

1882년 강도관의 창시자 가노지고로에 의해 유도로 정리된 것이라 주장한다.

이상의 여러 학설을 고찰해 볼 때, 한국유도의 기원이 한국의 유술인 수박에 있다고 주장하는 설과 유술이란 용어 자체가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것이기 때문 에 유도의 기원을 일본이라고 주장하는 학설의 두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을 것 이다.

(2 ) 유도의 목적

유도 수련의 공격과 방어의 기술적 수련에 의하여 신체를 단련하고 아울러 정신을 수양함으로서 몸과 마음을 유효하게 구사할 수 있는 대도(大道)를 체득 하는 것이다. 즉, 신체를 단련하고 정신을 수양함으로서 자기의 몸과 마음을 보 람있고 뜻있게 쓸 수 있는 길을 찾아내고 행함으로서 사회에 보다 유익한 인간 으로서 역할을 하는데 그 목적을 둘 수 있다. 이는 건전한 심신을 요소로 하고 있는 만큼 고학적 체계를 근거로 하여 신체를 단련과 함께 정신을 수양하는 것 이다.

2) 자아존중감

(1) 자아존중감의 정의

자아존중감과 동일한 개념으로 자아개념을 가정하는 학자들도 있지만, 두 개 념은 구별된다. 먼저 자아개념(self- concept )은 다양한 역할에서 자기자신에 대 해서 가지는 기술적인면을 말하며, 이와 유사한 자아존중감은(self- esteem)은 역할 수행의 만족에 따라 개인이 가지는 평가적 태도라고 하였다.

자아개념은 일련의 기술적인 개념으로서 자신의 특성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

(18)

정적인 감정이 포함되지 않는 반면에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특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Coner, 1984). 즉,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자신에 대한 평가적・감정적 태도를 의미하며, 여기서 평가는 대상의 유용성과 도구적 가치 에 근거를 둔 인지적 반응인 반면, 감정은 평가의 크기나 방향과는 무관하게 개인의 실제적 가치에 근거하여 자기자신을 수용, 만족, 선호하는 반응이다 (Wells, 1976). 먼저, 자아존중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는 평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 중 어느 하나에만 비중을 둔 것과 두 요소 모두를 고려한 것으로 구분 된 다. 자아존중감의 평가적 요소에 비중을 둔 학자 중 Gilmore(1974)는 자아존중 감을 개인의 자신에 대한 평가적 태도 라고 정의하였고, Newman (1975)은 자 신의 능력과 사회적 수용이라는 두가지 경험에 대한 자기평가의 결과 라고, 그 리고 Rosenberg (1965)는 개인이 판단하는 또는 자신 스스로에 대해 의식적으 로 유지하는 평가 라고 각각 정의하고 있다. 다음으로 평가적 요소보다 감정적 요소에 비중을 둔 정의로는 개인이 자기 스스로를 받아들이고 가치롭게 여기 는 정도 (Brownfain, 1952), 타인과 비교하여 자신에게 속한 것으로 추정하는 가치나 중요성 (Long, 1968) 및 McCandless (1970)의 개인의 자신에 대한 선호 성 여부와 가치부여 여부를 의미하는 것 등이 있다. 한편 평가적 요소 및 감 정적 요소 모두를 고려하는 Coopersmith (1967)는 자아존중감을 개인이 자신에 대해 형성하고 유지하는 평가로서 긍정적・부정적 태도로 표현되며, 자신을 유 능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롭다고 여기는 정도 를 정의하고 있으며, W- ells (1976)는 자아개념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평가적・판단적・감정적 요소 라 고 정의하고 있다.

자아존중감의 중요한 요소가 감정임을 인정하는 학자들 중 Rosenberg (1965) 는 높은 자아존중감이라기 보다는 자신의 약점을 인식하면서도 자신을 좋아하 는 것이고, 낮은 자아존중감은 자아거부, 자아 불만족 및 자아비난을 의미한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한 감정없이 자아존중감을 발달할

(19)

수 없다 는 Mack(1985)의 주장 및 자아존중감은 전형적으로 평가적 차원을 거쳐 개인의 가치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하는 것이다 라는 Harter (1983)의 견해도 평가보다는 감정이 자아존중감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야 할 이론적 근거를 강조하고 있다.

한편, James(1980)는 자아존중감이란 나 자신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한 개인에 대한 가치감은 가정된 잠재력에 실제 얻게 되는 성취의 비율로 결정된 다고 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공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 =

가정된 잠재력

또한 James(1890)는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념으로 성취의 차원과 그리고 이러 한 평가로 얻어진 정서를 중요시하였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있어서 집단경험을 통한 소속감 및 개인으로부터 중요 한 존재로서의 인정을 받는 것은 자아존중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 발달과 자아실현에도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 자아존중감 발달

부모가 자녀에 대한 벌과 칭찬이 자녀의 무의식 속에 하나의 자아 형태로 각 인 되어 있다가 초자아로 다시 재현되는데, 이때 벌은 양심으로, 칭찬은 자아존 중감이 된다는 것이다. 형성 시기는 남근기로 보았고, Erikson (1968)은 그의 인 간의 발달 단계중 2단계로 자유성대 수치감과 의심의 단계에 부모에 의해 영향

(20)

을 받는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Piaget (1968)는 각 발달 단계의 연령은 환경의 여건에 따라 빠르거나 늦을 수 있기 때문에 발달의 시기는 각 개인의 일생에 걸쳐서 일어난다고 하였 다. 이 시기에 형성된 자아존중감은 극히 어렸을 때의 어머니의 양육 방법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으며, 또한 Stair (1972)도 자기 존중의 의식은 어린 시절부터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의 체험 그리고 인간으로서 그의 존재 가 치에 대한 중요한 타인들과의 메시지를 바탕으로 형성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의미 있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한 개인의 자아 개념이 형성되며 일단 한번 형성된 자아상을 확인하고 지지하는 방향으로 반응 하여 행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긍정적 자아구조가 형성된 경우에는 자아존중 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지만 부정적인 자아 구조가 형성된 경우에는 부적절감과 자신감의 결여를 경험하게 된다(Gazda, 1991). 자아존중감은 어릴 때 오랜 시간 을 함께 보낸 사람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데 청소년의 사회화를 연구하는 많 은 학자들은 부모들이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이중석, 1992).

따라서 최보가(1993)는 자아존중감을 자기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인 총체 적 자아존중감, 다른 사람에 대한 친구로서 자기 자신에 대해 느끼는 감정의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 자신의 가치 인정 정도와 부모와의 관계성에 대 한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그리고 학교생활에서 자신이 느끼는 유능함에 대한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네가지 측면에서 구분하였다.

그밖에도 Walker (1986)는 부모들의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자녀들의 긍정적 자 아존중감과 연관 된다고 보았다.

(21)

3) 스포츠 수행과 자아존중감

청소년기의 신체발달은 청소년의 자아형성과 정서 및 사회적 적응에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신체 발달은 청소년 스스로가 신체에 대한 이미지, 신체 조건을 같은 연령 친구들과 비교함에 따라 자아존중감 및 자신감, 적극적인 성격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청소년기의 운동 기술 습득은 스스로의 운동 기술을 다른 동료들의 기술과 비교하여 자기 평가를 하게 되므로, 자아와 자아존중감 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반복적인 연습 기회는 자신감을 갖게 하고, 이러한 것에 흥미를 느끼게 되면 운동 기술이 숙달된다. 또한, 스포츠 활 동을 통한 신체 발달은 자신감이 증가되고 도피와 반사회성이 감소한다(이완 섭,1981).

T ucker (1987)는 3등급으로 나눈 체력그룹의 학생들간의 가장 중요한 심리적 차이점은 자아존중감 이라고 보고하며, 근력 및 지구력이 증가함에 따라 청소 년들은 명백하게 자신감이 증가되고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더 많이 느끼게 되 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Ford(1989)은 체력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에 관한 연구에서 심폐지구력과 근력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Bidde(1995)등의 연구는 신체활동이 불안, 우울증에 도움을 주며, 자아존중감 을 고양시킨다고 하였다.

한편, 집단상담, 집단 경험, 프로그램 실시, 자기 훈련 등으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먼저 Warren (1988)은 남 녀 33명에게 낮은 자아존중감과 정서장애를 개선 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매주 1시간 30분씩 8주 동안 합리적이고 정서적인 접근 과 인지- 행동적 접근과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두 처지 모두 유의한 변화를 가

(22)

져 왔으며, 한편, T aylor (1977)는 중간 정도의 우울증 환자 28명에게 우울증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매회 40분씩 6회에 걸쳐 인지적 인 접근, 행동적인 접근, 인지- 행동적인 접근의 효과를 비교하였는데, 세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그 중 인지적 행동적인 접근이 가장 효과 적이었다.

Rogers (1969)는 참 만남의 집단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였으며, Jonson (1979) 은 다양한 집단 상담 접근들이 자아개념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 표하였다. Marks (1974)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집중적 소집단 훈련을 실시하여 POI(Personal Orientation Inventory )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두 유형의 소집단 훈련이 모두 통제 집단보다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윤용준(1987)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 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휴성(1988)은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한 소집단 상담이 고등학생들의 자아수용, 자아행동,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 격적 자아 및 총 자아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김선남(1979)은 집단 경험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직적, 전통적 집단 경험이 자아개념을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 시킬수 있는가를 조사하 였는데 조직적 집단 경험을 한 학생의 자아개념의 평균득점은 긍정적인 방향으 로 유의하게 변화되었으나 전통적 집단 경험은 중학생의 자아개념 변화에 유의 한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김창은(1990)은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훈련을 한 결과 대인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23)

2 . 스포츠 수행과 대인관계 지향성

1) 대인관계 지향성의 개념

청소년기의 대인관계는 출생 후 가족중 주로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가 점차 주변의 사회적인 관계들 속의 친구들을 통해 지향되며 초등학교를 거 쳐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이르는 청소년기에 들어서면서 친구라는 상호관계 및 교사, 이웃 등으로 확대되어 간다. 특히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등의 사회적 생활 공간이 확대되면서, 중・고등학교에 이르는 청소년기부터는 가까운 같은 연령 친구의 영향이 청소년의 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 소년의 대인관계에서 같은 동료 및 친구 관계는 청소년들에게 풍부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사회적 경험을 통해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 동료간의 대인관계를 통하여 자기중심적인 미분화된 상태에서 점차 타인들에게 자신과는 다른 내적 세계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타인의 감 정, 사고, 의도를 아동기 보다는 보다 사고적인 이해와 추론해 나간다고 한다 (최상진, 1989).

한편 Schutz(1966)는 인간은 다른 인간을 필요로 한다 는 사실이 대인관계 행동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이 어떻게 사람들을 필요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미비함을 지적하면서 그는 모든 개 인은 포함 통제 애정이라는 세가지의 대인관계 욕구가 있다고 생각하여 이 세가지 욕구의 분석을 통하여 각 개인의 대인관계 행동을 충분히 예측하고 설 명할 수 있다고 주장 하였다.

대인관계 욕구는 일정한 목적이나 결정에 의해서 서로에게 의미 있다고 여겨 지는 2명 이상의 사람이 관계되는 대인적인 상황에서 일어나는데, Schutz(1966)

(24)

는 대인관계에서 포용 통제 애정의 세 가지 대인관계욕구의 평형 상태가 필 요하다고 하였다.

첫째, 대인간 포용욕구(interpersonal need for inclusion)는 다른 사람과 친밀 하게 상호작용하고 교제하는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상대방은 나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다는 상호적인 느낌을 갖고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포용 행동은 포함에 대한 대인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하는 행 동을 말한다. 포용 욕구가 대체로 충족되어 행동화되면 이를 친밀하다 , 함께 어울리다 , 속해있다 , 참가하다 , 동료 , 또래 , 구성원 , 외향적인 등과 같은 말로 표현한다. 그러나 포용욕구가 만족스럽게 충족되지 못한 행동들은 제외됨, 고립되다, 외로운, 철회한, 무시당한, 외톨이 등과 같은 말로 표현한다. 대체로 포용 행동은 개인이 한 집단의 일원으로서 소속되고 싶어하면서 갖는 호감은 개인에 대하여 사적으로 갖게되는 호감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둘째, 대인간 통제욕구(interpersonal need for control)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에서 통제나 권력에 관하여 만족할 만한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를 말한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다른 사람을 통제하거나, 혹은 그 사람에 의해서 통제 받음으로서 심리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이다. 통제욕 구가 만족스럽게 충족되면, 서로 존중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또 한 집 단에 대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고 지도력을 발휘 하고자 하는 개인은 자신과 같 은 통제욕구를 가진 다른 구성원을 일종의 위협으로 느낄 가능성이 있다.

셋째, 대인간 애정욕구(interpersonal need for affection)는 대인관계에서 사랑 과 애정에 관하여 만족할 만한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특히, 일대일의 관계에서 친밀하고 사적인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하면서 심리적 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사랑 받고자하는 욕구이다.

(25)

3 . 스포츠 수행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청소년기의 대인관계는 유아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또래 및 학교 집단의 단 체 생활부터 대인관계가 확대되면서 유아시기부터 타인으로부터 수용이나 거부 의 반응을 인식하게 된다. 청소년이 격는 이러한 사회적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고, 청소년 자신의 사회적 능력을 수행하는데 자신에 대한 평가 차원 에서 기초를 이룬다.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도 청소년 스스로 확대된 사회적 관 계들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Pelham, 1989).

Bebout (1972)는 집단 훈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증가하고 인간 관계의 친 밀도가 높아졌다고 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의사소통 훈련을 실 시한 결과 대인관계 과정을 비디오 테이프로 피드백을 받은 훈련 집단이 참 만 남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는 공감, 자아실현, 동료와의 관계에 있어서 의미있는 향상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부모의 태도는 청소년 대인관계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부모의 태 도가 민주적일수록 청소년들은 대인관계 차원에서 더 높은 자아 동일성을 형성 하게 되며, 그리고 안정되고 애착된 삶일수록 자신에 대해서 자신감을 갖고 있 고 자신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대인관계에서도 보다 긍정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김남순, 1976: 박은경, 1992).

즉, 이것은 청소년기에 있어서 집단활동은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26)

4 . 유도 수행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유도선수들의 대인관계 역시 일반 청소년들 처럼, 유도를 시작하기전의 대인 관계는 유아시기부터 부모, 또래 및 학교 집단의 단체 생활에서 부터 대인관계 가 확대되면서 유아시기부터는 타인으로부터 수용이나 거부의 반응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또한, Bebout (1972)의 선행연구를 인용해 보면, 일반 운동수행과 마 찬가지로, 유도선수들 역시 집단 훈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증가하고 인간관 계의 친밀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렇듯 유도선수들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역시 일반 학생들과 많은 상호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지만, 지금까지 발 표된 구체적인 유도선수들에 관한 선행연구가 아주 미흡한 상태이므로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27)

Ⅲ .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 구에서는 연구대상과 조사도구,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을 모집 단으로 설정한 후, 조사 대상의 표집은 다단계 유층무선 집락표집법(stratified random cluster sampling)으로 표집 하였다.

표 - 1. 연구대상자들의 중・고등학교 분포

학교수 학교급별 성별 성별인원 학교급별인원 총인원

학교(18)

중학교

남 118

170

324

여 52

고등학교

남 111

154

여 43

(28)

연구대상자의 추출절차는 전국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유도선수 들을 대상으로 표집틀(sampling framework)을 작성한 다음, 난수표를 사용하여 전국 지역 중・고등학교 18개 학교를 선정 하고, 총 33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 정 하였다.

선정 후 본 연구의 질문에 불성실한 응답을 나타낸 연구 대상자는 본 연구 대상자의 선정과정에서 제외시켰으며, 최종 연구대상 인원은 324명으로 선정 하였다(표- 1).

2 .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 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자료수집 도구로 설문지를 이용 하였다.

표- 2 . 설문지의 주요 구성지

문 항 문항수

자 아 존 중 감

총 체 적 1,5,9,13,17,21 사 회 적 2,6,10,14,18,22,25,28,31 32 가 정 적 3,7,11,15,19,23,26,29,32 학 교 4,8,12,16,20,24,27,30

대 인 관 계 지 향 성

포 용 1,2,3,5,17,18,19,20,25, 32,33,40,41,42,44,48,51 통 제 6,7,8,9,10,11,12,21,22,23,28, 54

30,31,35,45,47,52,53 애 정 4,13,14,15,16,24,26,27,

29,34,36,37,38,39,43,49,50,54

계 86

(29)

1) 유도선수들의 배경변인 및 경기력 수준

본 연구에서 배경변인으로 설정한 5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은 기존의 선 행연구를 토대로 성별, 연령(학년),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수준, 개인의 주관 적 체격을 묻는 문항 1문항씩 구성 하였다.

독립변인인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경기력의 우수자와 비우수자의 경기력 수준을 묻는 문항 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자아존중감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인으로 사용한 자아존중감의 척도는 Coopersmith (1967)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최보가(1993)에 의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자아 존중감 척도인 총체적, 사회적, 가정적, 학교 4개의 하위척도를 사용 하였으며,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신뢰도는 .69~.84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3) 대인관계 지향성

본 연구에서 종속변인으로 사용한 대인관계 지향성 척도는 Schutz(1966)의 대인관계 지향성 척도를 최윤경(1993)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할 것이며, 이것은 포용욕구, 통제욕구, 애정욕구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욕구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능동적 표현행동과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하여 그렇게 해주기를 바라는 수동적인 행동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세가 지 욕구의 하위영역으로 성립된 각각 18문항, 총 5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 며, 신뢰도는 .91로 높게 나타났다.

(30)

또한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이용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에 관한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표- 3 . 측정도구의 신뢰도

c ro m b a c h 'x

자 아 존 중 감

총 체 적 .7 4

사 회 적 .8 1

가 정 적 .89

학 교 .79

대인관계 지향성

포 용 적 .85

통 제 적 .87

애 정 적 .8 1

유도선수들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변인의 측정 신뢰도 는 (.74)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변인의 측정 신뢰도는 (.81)로 나 타났고,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변인의 측정 신뢰도는 (.89)로서 나타났으며, 학교 적 자아존중감의 측정 신뢰도는 (.79)로서 본연구의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들의 측정 신뢰도로서 나타났다(표- 3).

또한 대인관게 지향성에 관한 하위변인의 측정 신뢰도는 포용적 행동은 (.85) 로서 나타났으며, 통제적 행동은 (.87)로서 나타났고, 애정적 행동에 있어서는 (.81)의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변인들의 측정 신로도가 나타났다(표- 3).

(31)

표- 4 . 문항구성과 문항수

문 항 수

배 경 변 인 인구통계학적변인 성별, 연령(학년),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수준, 체격 5

독 립 변 인 유도경기력수준 경기력 우수자(전국대회 4강

입상자), 비우수자(無입상자) 1

매 개 변 인 자아존중감 총체적, 사회적, 가정적, 학교 32

종 속 변 인 대인관계지향성 포용행동, 통제행동, 애정행동 54

전 체 92

설문지의 내용은 배경변인을 묻는 문항 5개, 독립변인으로 경기력 수준을 묻 는 문항 1개, 매계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문항 32개 종속변인으로 대 인관계 지향성을 측정하는 54개 문항으로 총 92개 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3 . 조사방법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를 규명 하기 위하여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2001년 전국 중・고등학교 남・녀 춘계 유도연맹전에 참가한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대 회 경기장으로 직접 방문하여 조사대상자에게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 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설문지를 배부한 다음 유의사항과 내용 을 설명한 후 질문에 대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hod)으로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한 후 완성된 설문지를 즉시 회수 하였다.

(32)

4 . 자료처리 및 방법

설문지의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하여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한 후, 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부호화(coding)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Windows용 SPSS / PC 10.0 버 전을 이용하여 다음과같은 통계분석 기법으로 전산 처리 하였다.

첫째, 유도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실시 하였다.

둘째, 유도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와의 관계를 규명하 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 하 였다.

(33)

Ⅳ . 결과 및 논의

1. 결 과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변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둘째, 자아존중감 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하였다.

1)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1)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차이

표- 5.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변산원 자승화 자유도 변량추정치 F 유의도

공변인 4.398 5 .880 2.074 .069

성별 .743 1 .743 1.752 .187

연령 .267 1 .267 .628 .429

부모의 직업 1.226 1 1.226 2.891 .090 부모의 교육수준 .003 1 .003 .006 .939 체격 2.396 1 2.396 5.647** .018 주효과 7.601 2 1.267 2.986** .008 경기력 수준 7.601 2 1.267 2.986** .008 설명변인 12.000 7 1.091 2.571** .004 잔 차 125.996 297 .424

전 체 137.996 308 .448

(34)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주 효과인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의 F값 은 2.986으로서,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 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공변인 또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주관적 체격은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5).

(2)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차이

표- 6.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변산원 자승화 자유도 변량추정치 F 유의도

공변인 3.511 5 .702 1.583 .165

성별 .182 1 .182 .410 .523

연령 .915 1 .915 2.062 .152

부모의 직업 .163 1 .163 .368 .545 부모의 교육수준 .088 1 .088 .199 .656

체격 2.404 1 2.404 5.420 .021

주효과 6.548 2 1.091 2.461 .025

경기력 수준 6.548 2 1.091 2.461 .025 설명변인 10.059 7 .914 2.062 .023 잔 차 125.062 282 .443

전 체 135.120 293 .461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주 효과인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의 F값 은 2.461로서,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6). 이러한 결과는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공변인 또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 치고 있는데, 사회적 자아존중감 역히 선수들 자신들의 주관적 체격이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5)

(3)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가정적 자아존중감 차이

표- 7.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변산원 자승화 자유도 변량추정치 F 유의도

공변인 2.513 5 .503 1.149 .335

성별 1.414 1 1.414 3.231 .073

연령 .013 1 .013 .030 .863

부모의 직업 .232 1 .232 .529 .468 부모의 교육수준 .415 1 .415 .949 .331

체격 .698 1 .698 1.596 .207

주효과 6.413 2 1.069 2.443 .025

경기력 수준 6.413 2 1.069 2.443 .025

설명변인 8.926 7 .811 1.855 .045

잔 차 130.381 298 .438 전 체 139.307 309 .451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주 효과인 유도선 수들의 경기력 수준의 F값은 2.443으로서,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력 수준 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배경변인들을 통제한 공변인들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6)

(4)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이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표- 8.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변산원 자승화 자유도 변량추정치 F 유의도

공변인 3.329 5 .666 1.474 .198

성별 .102 1 .102 .227 .634

연령 .093 1 .093 .206 .650

부모의 직업 1.958 1 1.958 4.336 .038 부모의 교육수준 .178 1 .178 .395 .530

체격 .803 1 .803 1.778 .183

주효과 2.826 2 .471 1.043 .397

경기력 수준 2.826 2 .471 1.043 .397

설명변인 6.155 7 .560 1.239 .260

잔 차 129.594 287 .452 전 체 135.749 298 .456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주 효과인 유도선 수들의 경기력 수준의 F값은 1.043으로서,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력 수준 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공변인 중 에서 부모의 직업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7)

2)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1) 자아존중감과 포용적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표- 9. 자아존중감이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귀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 .017 .055 - .023 - .309 .758

사회적 .175 .047 .259 3.737*** .000 11.70 가정적 .082 .052 .121 1.582 .115 ( .000) 학 교 .123 .040 .168 3.105** .002

상 수 2.218 .155 14.355*** .000 MR = .368 R Square = .135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포용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의 전체변량중 약 13.5%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R² =.135),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인 자 아존중감 및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의 포용적 대인관계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 여도에 있어서는 사회적 자아 (B=.259), 학교 자아(B=.168), 가정적 자아 (B=.121), 총체적 자아(B=- .02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38)

(2) 자아존중감과 통제적 대인관계지향성의 관계

표- 10. 자아존중감이 통제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귀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118 .074 .121 1.601 .110

사회적 .287 .066 .308 4.323*** .000 14.78 가정적 .003 .071 .003 .042 .966 ( .000) 학 교 .179 .053 .186 3.389*** .001

상 수 1.611 .212 7.599*** .000 MR = .420 R Square = .176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통제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에 보여진 바와 같이 자아존중감은 통제적대인관계 지향성의 전체변 량중 약17.6%를 설명해주고 있으며(R² =.176),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인 자아존중감 및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통제적 대인관계지향성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이 통제적 대인관계 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 여도를 살펴보면 사회적 자아(B=.308), 학교 자아(B =.186), 총체적 자아 (B=.121), 가정적 자아(B=.00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39)

(3) 자아존중감과 애정적 대인관계지향성의 관계

표- 11. 자아존중감이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기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041 .076 .040 .536 .592

사회적 .362 .066 .389 5.454*** .000 15.88 가정적 .013 .069 .014 .185 .853 ( .000) 학 교 .060 .053 .061 1.129 .260

상 수 1.650 .208 7.924*** .000

MR = .426 R Square = .181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애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애정적 대인관계지향성의 전체 변량중 약 18.1%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R² =.181),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아 존중감은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이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 여도를 살펴보면 사회적(B =.389), 학교(B=.064), 총체적(B=.040), 가정적 (B

=.014)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0)

(4)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표- 12.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귀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070 .066 .087 1.060 .290

사회적 .266 .059 .352 4.532*** .000 14.72 가정적 .013 .061 .017 .204 .838 ( .000) 학 교 .141 .047 .177 3.020** .003

상 수 1.777 .187 9.510*** .000 MR = .445 R Square = .198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전체변량중 약 19.8%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R² =.198),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인 대인관계 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사회적(B =.352), 학교(B =.177), 총체적(B =.087), 가정적(B =.017)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1)

2 . 논 의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 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 하였다.

1)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과의 관 계를 규명하였을 때 선수들의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들과 경기력과 밀접한 관 게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통제변인으로 설정한 배경변인들과 선수들의 경기력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유도의 선수들의 특성과 환경적 조건에 있어서 다 소 해석적 차이가 있다고 본 연구자는 생각한다.

강민정(1999)은 비 경기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의 성별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 하고 있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경기인과 비경기인의 차이가 있고, 또한 청소년기의 대상자들로 놓고 볼 때 종목적 특성 및 등・하교의 생 화을 하는 학생들과 기숙사 및 합숙소 생활을 하는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보 았을 때, 환경적 요소들이 같은 청소년기에 있는 유도선수들의 자아적 요소들 의 차이가 있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모의 학력에 있어서도 강민정(1999)은 아버지의 학력이 높으면 친구 관련 자아존중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영역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학력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이것은 청소년의 또래 관계에서 아

(42)

버지의 학력이 중졸 이하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는다는 것 을 시사하며 부모, 특히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가정의 사회 경제적 배경이 달 라질 것이며 이런 요인들이 청소년이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 측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의 학교적 자아존중감을 살펴 보면, 부모의 학력 에서는 선수들의 경기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부모의 직업에 있어서 다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수들이 기숙사 즉, 단체생활을 하고 있으나, 청소년기의 예민한 성격적 및 심리적 작용이 일어나므로서, 아직 미성숙된 선수들이 부모의 터울에서 아직 못 벗어난 기대적 심리 작용이 일어 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부모의 학력에 따른 치이에서도 문제해결 기술에 서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 기술이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어 머니의 양육 태도가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는 Jomes와 Rickel & Smith (1980)의 연구 등 부모가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언어적, 행동적으로 다양하 고, 자녀의 문제해결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였을 것이라고 예측 할 수 있으며, 이는 유도선수들에 있어서도 부모의 교육 태도에 따라 선수들이 보다 긍정적이고 다양한 사고력과 또한 자신의 신체적 조건 및 기술적 능력에 의해서 나타나는 난관들을 보다 긍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자아적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다음으로 안문자(1997)는 집단 경험을 통한 소속감 및 개인으로부터 중 요한 존재로서의 인정을 받는 것은 자아존중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자아 실현 에도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고 했다. 이러한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팀내 경기력 수준은 선수들의 자아 실현을 할수 있는 곳이다. 즉, 경기력에 있어서 자신 스스로의 기술 능력을 더욱 더 한 층 발휘할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 아질수록 새로운 과업을 즐길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스스로 새로운 기술 의 습득 및 연구의 창조력을 고취시키며, 자기자신의 중요성과 가치를 높인다

(43)

고 볼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선수들의 경기력과 총체적・사회적・가정적・학교에서의 자아 존중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총체적 자아존중 감의 차이에 있어서는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주 효과인 유도선수들의 경 기력 수준의 F값은 2.986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선수들의 주관적 체격은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유도선수들의 주 효과인 F값은 2.461로 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주 관적 체격에 있어서도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유도선수들의 주 효관인 F값은 2.443 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유도선수들의 주 효과인 F값 은 1.043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수들의 부모의 직업에 있어서는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연구의 가설에서 설정한 바와 같이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바를 본 연구 결과 뒷받침 되고 있다 고 본 연구자는 생각되며, 이는 아직 미 성숙된 청소년기의 선수들에게는 그 자신들의 경기력에 따라서 단체 및 대인관계의 생활에 있어서 보다 높은 자아 존중감을 이끌어 내고 있다고 본 연구자는 생각된다.

(44)

2)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유도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있어서는 전체변량중 약 13.5%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변인과 학교 변인에 있어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기여도에 있어서 는 사회적, 학교, 가정적,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순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있어서는 전체변량중 약 17.6%로 나타났으 며, 하위변인의 사회적 변인과 학교 변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기여도에 있어서도 사회적, 학교, 총체 적, 가정적의 자아존중감 순의 상대적 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있어서는 전체변량중 약 18.1%로 나타났 으며, 하위변인의 사회적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상대적 기여도에 있어서는 사회적, 학교, 총체적, 가정적의 상대적 기여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서 요약을 해 보았을 때, 특히 사회적 변인 과 학교 변인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의 해석은 유도선수들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다른 사람에 대한 친구로서 자신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말하는데, Pelham과 Swann (1989)는 사회 적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고, 사회적 능력을 수행하는데 자신에 대한 평가 차원에서 기초를 이루며, 성인이 되어서도 스스로 확대된 관계들에 계속 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이효숙(1992)의 연구에서 친구 관계의 갈등

(45)

상황에서 공격적인 방법 보다는 우호적인 방법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였을 때, 그 결과가 긍정적인 대인관계로 이루어졌으며,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 회적으로도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검증한 연구들은 사회적 자 아존중감과 대인관계지향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증명하고 있다. 이는 유 도선수들이 팀내 동료들간에 있어서 자신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의 영향이 대인관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도선수들의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학업적 평가, 즉 경기력은 물론 학교나 팀내 생활에서 자신이 느끼는 유능함, 즉 선수들이 선수 자신에 대한 평가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 지향성과 유 의한 영향이 있음은 집단훈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증가하고, 인간관계의 친 밀도가 높아졌음을 검증한 Bebout와 Gorden (1972)의 연구와 일치함을 보여주 고 있다.

끝으로, Maslow와 Rogers는 인본주의 심리학에 기초하여 자아개념의 향상은 건전한 대인관계를 위한 기본 과제라 하였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총체적, 사회 적, 가정적, 학교에서의 높은 자아존중감은 아직 청소년기에 머물러 있는 학교 유도선수들에게 생활환경에서나 또는 훈련 및 경기 사황에서 있어서도 어떠한 문제적 해결력의 지향적 부분에서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때, 선수들 자 신들이 개인이 선수생활 즉, 훈련 및 경기와 생활에 있어서 어떤 문제에 부딪 쳤을 때 문제에 대한 태도와 자신의 문제해결 능력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등에 대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행동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본 연구자는 생각 된다.

(46)

Ⅴ .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 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청소년기의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이 단체 및 사회 구 성원 생활에 있어서 자신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자아존중감 및 대 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즉,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에는 차이 가 있는가?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를 규명하는 것에 대해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2001년 중・고등학 교 남・녀 춘계 유도연맹전에 참가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또한 자아 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에 관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 문에 대한 결과를 작성 하여 Windows SPS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도선 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유도선수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지향 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법으로 자료처리를 실시하였 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 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특히 배경변인으로 설정한 성별, 연령,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 수준, 주관적 체격 요인의 변인들을 통제변인으로 한 결과, 선수들의 주관적 체 격 요인이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47)

2)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특히 배경변인의 주관적 체격 요인의 변인이 선수들의 주관적 체 격 요인이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3)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특히 배경변인의 부모의 직업이 선수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영 향을 주었다.

4)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포용적 대인관계지향 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회적,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 의 하위요인 전체에 영향을 주었다.

5)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적 대인관계지향 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사회적,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 의 하위요인 전체에 영향을 주었다.

6)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애정적 대인관계지향 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사회적,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 의 하위요인 전체에 영향을 주었다.

7) 선수들의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요인과 학교 요인에서의 자아존중감 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지향성도 높았다.

(48)

2 . 제 언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의 관계를 규명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 구자는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으로 성별, 연령,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 육수준, 주관적 체격을 설정 하였다. 이러한 설정변인들이 일반 학생들이 아닌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지향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객관적으로 다소 미비한 설정을 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변인에 대한 다채로운 특성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 본 연구의 독립변인으로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평가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선수들의 경기력 평가 수준의 각각의 입상 경험이 선수들의 자아존중감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되므로 선수들의 입상 경험과 배경변인 요인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변인들이 필요하다고 본 연구자는 생각된다.

3)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교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를 나타내었 다. 그러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관한 중학교 유도선수들에서 고등학교 선수들까지의 연령 차이는 결과의 적지 않은 오차를 내지 않았는가 하는 본 연 구자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아동기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각각의 구분 적으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수치

표 - 1. 연구대상자들의 중・고등학교 분포 학교수 학교급별 성별 성별인원 학교급별인원 총인원 학교(18) 중학교 남 118 170 324여52 고등학교 남 111 154 여 43

참조

관련 문서

역할에 대한 공연불안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요인인 지도자와의 관계(  =0. 286)에 따른 스트레스가 공연불안요인 인

F F Fi i ig g g.. C) 처리한 시편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것이다.. 950× 10 -6 ㎂/㎠ 이므로 Cp-Ti 의 시편에서 부식성이 다소 양호하게 나타났다.이러한 부식특성의 차이는 Cp-Ti

Sex,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mother were investigated as demographical variables to determine if there were

본 연구는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의 일환으로 선수들이 인식하는 심판판정과 자기관리 및 중도포기의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 는데 목적이

본 연구에서 임플란트의 고정체를 지지하는 치조골 내부의 해면골을 다르게 하였을 때 치밀골과 해면골의 제 1,2대구치에서 치관중심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였을

본 심판 판정의 신뢰도를 높이고 불공정한 판정을 줄이기 위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심판들의 판정 능력 수준 및 공정성에 대한 선수들의 인식을

태권도 발차기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은 다양한 기술 및 그룹으로 나누어져 연구되었다.이러한 결과들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지도자의 지도 기술

심리적 행복감은 심리적 안녕감을 연구한 Br adbum( 1 969) 의 연구를 시작으로 사 용 되었으며,백경숙과 권용신( 20 05) 은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대처방법과